KR101489935B1 -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935B1
KR101489935B1 KR20130058092A KR20130058092A KR101489935B1 KR 101489935 B1 KR101489935 B1 KR 101489935B1 KR 20130058092 A KR20130058092 A KR 20130058092A KR 20130058092 A KR20130058092 A KR 20130058092A KR 101489935 B1 KR101489935 B1 KR 101489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hours
extract
mugwort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8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540A (ko
Inventor
서선호
이대현
Original Assignee
(주)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이 filed Critical (주)서이
Priority to KR20130058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935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Abstract

본 발명은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쑥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억제활성 및 멜라닌 생성억제 활성이 우수한 바, 미백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화장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METHOD FOR PREPARING MUGWORT EXTRACT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UGWORT EXTRACT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카로틴 및 헤모글로빈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중 멜라닌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며, 피부의 두께와 반사도 및 혈류량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피부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멜라닌 색소는 인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이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의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효소인 티로시나제에 의해 도파로 전환된 후 일련의 복잡한 산화과정을 통해 생성된다. 상기 생성과정에는 유전적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 호르몬이나 식품, 의약품과 같은 화학 물질들이 관여하게 된다.
티로시나제는 미생물, 식물, 및 동물 등 거의 모든 생물 종에 분포되어 있으며, 활성 부위에 한 쌍의 구리 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금속함유 단백질이다. 지금까지의 미백제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티로시나제의 활성 저해제를 개발하는데 집중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제의 작용 메카니즘은 두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는 티로시나제의 활성부위에 포함되어 있는 구리이온에 킬레이트 되는 것으로, 대표적인 효소 저해제로는 코직산이 상품화되어 있다. 두 번째는 티로시나제의 활성 저해와 메카니즘상 관련이 있으나 구리이온과 킬레이트되는 정도가 약하거나 없는 경우이다.
티로시나제의 기능은 질병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동물에서는 멜라닌 합성의 이상에 따라 백반증과 색소침착과 같은 비정상적인 멜라닌 착색을 일으키며, 이는 더 심할 경우 피부암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멜라닌 착색의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의약품과 미백을 목표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을 위하여 멜라닌 합성 저해제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의 하나로서, 흔히 쑥 이외에 산쑥(A. montana), 참쑥(A. lavandulaefolia), 덤불쑥(A. rubripes) 등도 쑥이라고 일컫는다. 이른 봄에 나오는 어린순으로 국을 끓여 먹어 봄을 느끼기도 하며, 떡(쑥떡)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쑥은 약으로 쓰기도 하여 약쑥이라고도 부르는데, 줄기와 잎을 단오 전후에 캐서 그늘에 말린 것을 약애(藥艾)라고 해 복통, 구토, 지혈에 쓰기도 하며, 잎의 흰 털을 모아 뜸을 뜨는 데 쓰기도 한다. 잎만 말린 것은 애엽(艾葉)이라고 하며, 조금 다친 약한 상처에 잎의 즙을 바르기도 한다. 한국 곳곳의 양지바른 길가, 풀밭, 산과 들에서 자란다. 특히, 강화사자발약쑥(강화사자발쑥 또는 강화약쑥이라 고도 칭함)은 우리나라 강화도의 마니산을 중심으로 얕은 산자락과 햇볕이 잘드는 바닷가에서 발견되는 쑥으로서, 육지와는 다르게 오염이 안되고 약쑥재배에 좋은 화강암계의 토성을 갖추고 있어 깨끗하게 자라며, 주위가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염기가 섞인 바람과 바다에서 피어오르는 안개를 머금고 자라는 약쑥이라 각종 한의학 서적에 강화약쑥이 가장 효능이 좋은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강화사자발약쑥은 5월에 베어 바닷바람이 통하는 그늘에서 3년 이상 숙성시키기 때문에 박하향의 그윽한 향기는 다른 지역 약쑥과는 차별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종래 쑥 추출물을 이용한 여러 화장용 조성물이 개발된 바 있으며, 예를 들어, 국내공개 제1997-0064450호에는 쑥 추출물을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물질로 사용하는 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음식물이 개시되어 있고, 국내공개 제2009-0046387호에는 황금, 어성초, 쑥, 유자 추출물로 방부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공개 2002-0035322호에는 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관련하여, 국내공개 제2011-0088203호에는 유파틸린과 자세오시딘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위장관 질환에 우수한 치료 효능을 갖는 에틸아세테이트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공개 제2009-0088343호에는 프로판올로 추출하여 얻은 고함량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들은 쑥 추출물의 용도 및 추출용매를 달리한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어서, 추출물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추출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은 우리나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쑥 추출물에 대해 연구하던 중, 쑥 추출물의 제조공정을 개선함으로써 추출물의 미백 효과 등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티로시나제 억제활성 및 멜라닌 생성억제 활성이 우수한 쑥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효과가 개선된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강화 사자발쑥을 정제수로 35 내지 45℃에서 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2) 이어서, 강화 사자발쑥을 50 내지 60℃에서 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3) 이어서, 강화 사자발쑥을 65 내지 75℃에서 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화 사자발쑥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쑥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억제활성 및 멜라닌 생성억제 활성이 우수한 바, 미백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화장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 강화 사자발쑥을 정제수로 35 내지 45℃에서 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2) 이어서, 강화 사자발쑥을 50 내지 60℃에서 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3) 이어서, 강화 사자발쑥을 65 내지 75℃에서 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화 사자발쑥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식물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통상적으로 식물을 물 또는 유기 용매에 침지한 후, 고온에서 추출하고, 이를 여과, 농축, 또는 동결건조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쑥을 3단계의 온도 조건 하에서 추출함으로써 미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새로운 발견에 기초한다. 종래 쑥 추출물의 경우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으나, 그 미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제시되지 않았다.
이하, 본 발명의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종래 기술과 접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쑥은 쑥속(Genus Artemisia)에 속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쑥은 북반구에 약 400여 종이 서식하며, 우리 나라에만도 30종 이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지역별로, 강화, 인천, 옹진 등에는 싸주아리 쑥과 사자발쑥이 자생하며, 강원, 전북 및 충북에는 인진쑥이, 충남에는 당진쑥이 주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실험 결과 강화사자발쑥이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화사자발쑥은 강화도의 약쑥 재배에 우수한 화강암계 토양에서 자라, 5월에 수확된 후 그늘에서 3년 이상 숙성시키기 때문에 다른 쑥과 달리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강화사자발쑥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나, 입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른 쑥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강화사자발쑥은 쑥의 뿌리 및 줄기를 제거한 잎만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통상적인 추출방법과의 차이점으로, 본원발명의 방법은 정제수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통상적인 추출방법은 물 또는 알코올류, 예를 들어, 1차 알코올, 2차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특히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사용하나, 알코올류를 사용하는 경우 용매를 제거하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하며, 추출액 자체를 화장 용도로 사용하기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추출방법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쑥 10~50 중량부를 절단한 상태나 원상태로 넣고, 3단계의 온도 조건하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추출에서 온도 1단계는 35 내지 45℃에서 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온도 1단계는 40℃에서 24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추출에서 온도 2단계는 50 내지 60℃에서 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온도 2단계는 55℃에서 24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추출에서 온도 3단계는 65 내지 75℃에서 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온도 3단계는 70℃에서 24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3단계의 온도에서의 추출을 통해 각 단계에서 상이한 유용 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온도를 순차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냉각과 같은 부가적인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 과정은 최대 온도가 80℃를 초과하지 않음으로써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이 파괴를 막을 수 있는바, 목적하는 미백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과정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온도제어가 가능한 추출용기를 이용하여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추출액은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거쳐 4℃의 냉장온도에서 보관될 수 있으며,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물 형태로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쑥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또는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바, 미백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미백"은 멜라닌의 생성이 저해됨에 따른 결과로서 이해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멜라닌의 생성이 저해됨에 따라 멜라닌의 증가에서 비롯되는 증상이 예방 또는 억제됨에 따른 결과로서 이해된다. 그러한 증상으로서 전술한 바의 기미, 주근깨, 피부노화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이 멜라닌의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 명백한 이상, 상기 증상은 멜라닌의 증가에서 비롯되는 증상 예방 또는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의 결과로 이어지는 모든 증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은 쑥 추출물 또는 쑥 추출액을 전체 중량비를 기준으로 1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은 화장품의 형태, 예컨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에센스, 영양크림 및 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피부 미백용으로 이용되는 한 다양한 형태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이외에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담체와 함께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헤어토닉, 샴푸, 린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은 쑥 추출물 이외에, 피부 미백 효과를 상승 또는 보강시킬 수 있도록 피부 미백 효과가 있다고 이미 알려진 화합물이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피부 미백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여타의 공지된 화합물이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앞으로 밝혀질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화합물이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쑥 종류에 따른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 측정
쑥의 종류에 따른 미백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김제농원으로부터 싸주아리 쑥, 제비 쑥 및 개똥 쑥을 구입하였고, 강화도의 강화약쑥 판매처로부터 강화사자발쑥을 구입하였다. 강화사자발쑥은 초년생 사자발쑥으로서 수확한 후 3년 건조 및 숙성된 입쑥으로 제한하였다.
상기 4종의 쑥을 정제수를 이용하여 수회 세척한 후, 추출용기에 쑥 100g 및 1L의 정제수를 넣고 7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상기 각 추출물을 대상으로 티로시나제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효과는 Vanni 등의 방법(Vanni A, Gastaldi D, Giunata G, 1990, Kinetic investigations on the double enzymatic activity of the tyrosinase mushroom. Annali di Chimica 80: 35-60)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96웰 플레이트에 0.1M 포스페이트 버퍼 140μL, 1.5mM L-티로신 40μL 및 각각의 쑥 추출물을 1μg/ml, 10μg/ml 및 100μg/ml의 농도로 혼합하고, 티로시나제(2100 units/mL) 10μL를 첨가하여 잘 혼합해준 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를 측정한 후 37℃에서 12분 동안 반응시키고 490 nm에서 다시 흡광도를 측정하여 티로시나제가 저해된 정도를 확인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농도(/) 싸주아리 쑥 제비 쑥 개똥 쑥 강화사자발쑥
1 8.3 - 10.8 19.7
10 21.2 13.3 25.3 34.7
100 45.1 33.6 49.4 64.2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싸주아리 쑥, 제비 쑥 및 개똥 쑥은 100μg/mL의 농도에서 33.6 내지 45.1%의 티로시나제 저해효과를 나타낸 반면, 강화사자발쑥은 동일한 농도에서 64.2%의 티로시나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를 볼 때, 강화사자발쑥의 티로시나제 저해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어, 이후 실험을 강화사자발쑥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추출방법에 따른 쑥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 측정
추출방법에 따른 쑥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추출 온도를 조합하여 1단계 온도 추출, 2단계 온도 추출 및 3단계 온도 추출에 의해 쑥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단계 온도 추출로서, 쑥 추출물 A는 강화사자발쑥을 정제수로 40℃에서 72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하였고, 쑥 추출물 B는 강화사자발쑥을 정제수로 55℃에서 72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하였으며, 쑥 추출물 C는 강화사자발쑥을 정제수로 70℃에서 72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하였다.
2단계 온도 추출로서, 쑥 추출물 D는 강화사자발쑥을 정제수로 40℃에서 36시간 동안 추출한 후, 55℃에서 36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하였고, 쑥 추출물 E는 강화사자발쑥을 정제수로 40℃에서 36시간 동안 추출한 후, 70℃에서 36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하였고, 쑥 추출물 F는 강화사자발쑥을 정제수로 55℃에서 36시간 동안 추출한 후, 70℃에서 36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하였다.
3단계 온도 추출로서, 쑥 추출물 G는 강화사자발쑥을 정제수로 4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5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7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 조건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단계 2단계 3단계
추출물 A 40℃ (72시간) - -
추출물 B 55℃ (72시간) - -
추출물 C 70℃ (72시간) - -
추출물 D 40℃ (36시간) 55℃ (36시간) -
추출물 E 40℃ (36시간) 70℃ (36시간) -
추출물 F 55℃ (36시간) 70℃ (36시간) -
추출물 G 40℃ (24시간) 55℃ (24시간) 70℃ (24시간)
상기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후,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티로시나제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농도(μg/ml) 추출물
A
추출물
B
추출물
C
추출물
D
추출물
E
추출물
F
추출물
G
1 16.4 16.7 18.4 19.2 19.9 20.4 28.2
10 29.8 30.2 32.7 41.2 42.8 43.9 51.4
100 55.4 59.4 63.8 66.4 71.2 74.6 92.4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1단계 추출의 경우 온도가 상승할수록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효과는 상승하였으나, 2단계 추출 및 3단계 추출물에 비해 그 효과가 낮았으며, 2단계 추출은 3단계 추출에 비해 그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전체 추출 시간이 72시간으로 동일한 것을 감안할 때, 추출시에 40℃(24시간), 55℃(24시간) 및 70℃(24시간) 동안 단계적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추출을 하는 것이 티로시나제 활성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3단계 이상, 즉 4-5단계로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법은 각 단계의 온도차가 크지 않아 오히려 효과가 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데이터 미제시), 잦은 온도 상승으로 인한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종 온도가 80℃를 초과하는 경우 유효성분들이 파괴되어 오히려 효과가 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데이터 미제시).
상기 결과는,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추출온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방법, 특히 3단계 추출법이 효과적임을 보여주며, 최대 온도도 80℃를 넘지 않는 것이 유리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쑥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실시예 2의 결과를 바탕으로, 쑥 추출물을 제조하고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입수한 강화사자발쑥을 지하 정제수로 5회 세척한 후, 세척한 쑥 5kg 및 물 300 L를 500 L 크기의 원액 추출용 스테인레스 가열 용기(용기 재질 STS304, 전기 히팅 중온 가열식(380V 3상, 5KW)에 넣고, 40에서 24시간, 55℃에서 24시간 및 70℃에서 24시간 동안 단계적으로 추출하였다. 추출이 완료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동결건조하였다.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는 Tsuboi 등의 방법(Tsuboi T, Kondoh H, Hiratsuka J, Mishima Y, 1998, Enhanced melanogenesis induced by tyrosinase gene-transfer increases boron-uptake and killing effect of boron meutron capture therapy for amelanotic melanoma. Pigm Cell Res 11: 275-282)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된 악성 흑색종인 B-16 멜라노마 세포는 10% FBS (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으로 배양하여 6웰 플레이트에 2×104 cells/well 농도로 2mL씩 넣고 5% CO2, 37℃ 조건 하에서 24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는 제거하고 다시 새로운 배지로서 10% FBS, 2M α-MSH(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2mM theophylline이 함유된 DMEM배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1μg/ml, 10μg/ml 및 100μg/ml 농도의 쑥 추출물을 상기 교체된 배지에 적당히 희석하여 넣은 다음 5% CO2, 37℃ 조건 하에서 세포가 웰 바닥에 약 80% 이상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때, 쑥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을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이 배양이 끝난 다음 사용되었던 배지를 제거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하였고, 이것을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 펠렛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펠렛은 에펜도프튜브로 옮겨 10,000 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이 세포 펠렛을 60℃에서 건조하여 1N NaOH로 녹인 후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상기 대조군의 배양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계산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농도(μg/ml) 쑥 추출물
1 8.8
10 45.2
100 64.8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쑥 추출물은 1, 10, 100μg/mL의 농도에서 각각 8.8, 45.2, 64.8%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쑥 추출물은 종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쑥 추출물에 비해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가 뛰어난 바, 미백용 화장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강화 사자발쑥을 정제수로 35 내지 45℃에서 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2) 이어서, 강화 사자발쑥을 50 내지 60℃에서 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3) 이어서, 강화 사자발쑥을 65 내지 75℃에서 18시간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강화 사자발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1) 강화 사자발쑥을 정제수로 4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2) 이어서, 강화 사자발쑥을 5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3) 이어서, 강화 사자발쑥을 7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 이후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 이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쑥 추출물이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또는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쑥 추출물이 미백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에센스, 영양크림 또는 팩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KR20130058092A 2013-05-23 2013-05-23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1489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8092A KR101489935B1 (ko) 2013-05-23 2013-05-23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8092A KR101489935B1 (ko) 2013-05-23 2013-05-23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540A KR20140137540A (ko) 2014-12-03
KR101489935B1 true KR101489935B1 (ko) 2015-02-06

Family

ID=5245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8092A KR101489935B1 (ko) 2013-05-23 2013-05-23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9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798A (ko) 2017-12-06 2019-06-14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자발쑥 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20159740A (ko) 2021-05-26 2022-12-0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쑥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76873A (ko) 2021-11-22 2023-06-0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쑥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8430B (zh) * 2020-07-28 2022-04-19 时垠(上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艾蒿多糖及其制备方法和美白、增加皮肤弹性用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798B1 (ko) 2005-12-15 2006-12-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간 해독 작용 증진을 위한 강화산 사자발쑥의 저온 복합추출방법
KR20100057157A (ko) * 2008-11-21 2010-05-31 (주)더페이스샵코리아 하고초 추출물 및 개사철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5500A (ko) * 2012-03-24 2012-05-31 주식회사 내추럴솔루션 강화사자발쑥, 어성초, 익모초, 눈연꽃, 함초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798B1 (ko) 2005-12-15 2006-12-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간 해독 작용 증진을 위한 강화산 사자발쑥의 저온 복합추출방법
KR20100057157A (ko) * 2008-11-21 2010-05-31 (주)더페이스샵코리아 하고초 추출물 및 개사철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5500A (ko) * 2012-03-24 2012-05-31 주식회사 내추럴솔루션 강화사자발쑥, 어성초, 익모초, 눈연꽃, 함초로 구성된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798A (ko) 2017-12-06 2019-06-14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자발쑥 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20159740A (ko) 2021-05-26 2022-12-0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쑥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76873A (ko) 2021-11-22 2023-06-0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쑥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540A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507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68507B1 (ko) 효소처리 그라비올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56521A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CN111712305A (zh) 木棉树花提取物,以及含有其的化妆品、药物或皮肤病学组合物
WO2019124862A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87531B1 (ko)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489935B1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5251B1 (ko) 순무, 순무 무청 또는 순무 캘러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수렴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0292B1 (ko) 천삼, 녹각영지, 백호은침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00093A (ko) 발아곡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6636467B2 (ja) 紅葉した大豆の葉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56263B1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2621B1 (ko) 꽃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WO2020203933A1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1793104B1 (ko) 꾸지뽕잎 및 뽕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601B1 (ko) 홍화의 상황버섯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 조성물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4897B1 (ko) 고본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활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25178B1 (ko) 주름제거 및 미백효과가 강화된 황칠나무 추출물 및 d-아스파라긴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