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821A -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821A
KR20190080821A KR1020180173099A KR20180173099A KR20190080821A KR 20190080821 A KR20190080821 A KR 20190080821A KR 1020180173099 A KR1020180173099 A KR 1020180173099A KR 20180173099 A KR20180173099 A KR 20180173099A KR 20190080821 A KR20190080821 A KR 20190080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pic dermatitis
preventing
composition
mixed extrac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강수영
Original Assignee
엔앤씨 메디메틱 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앤씨 메디메틱 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엔앤씨 메디메틱 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Publication of KR20190080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약초 혼합추출물은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는 염증인자인 TARC, IL-8 및 ICAM-1의 발현을 현저하게 저해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개발 또는 아토피 환자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또는 화장품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medicinal herb mixed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유전적, 환경적, 면역학적인 원인에 의해 피부 가장 바깥에서 보호벽 역할을 하는 각질층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건조한 기후에서 더욱 심해지는 알레르기 질환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전 세계적으로 약 10~20%의 유병률을 보이며, 생후 1개월에서 1년 사이의 유아에게서 주로 발병하고 3세가 되면 어느 정도 완화되나 생활환경, 개인차 등에 의해 다시 재발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주요 증상은 심한 가려움증, 피부건조, 발진, 진물, 부스럼딱지, 비늘 같은 껍질이 있는 피부(인비늘) 등으로 주로 만성 피부염증이 동반된다. 긁고 싶은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가려움증은 히스타민(histamine)과 같은 가려움 매개 물질에 의해서 유도되는데, 정상인의 경우 긁으면 그 증상이 쉽게 완화되지만, 아토피 환자의 경우 긁으면 긁을수록 더욱 긁고 싶은 감정이 형성되어 더욱 더 심하게 긁게 된다. 아토피 환자의 이러한 긁는 행동으로 인해서 피부장벽이 붕괴되고 2차 감염을 유발하여 염증이 더욱 악화된다. 아토피 피부염은 일시적으로 완화될 수 있지만, 환경 및 식품 등의 자극원에 의해서 재발될 수 있으며, 악화와 완화가 반복된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주로 유전적인 요소가 많고 면역 반응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그 외에 건조한 피부, 정상인에 비해 쉽게 피부 가려움증을 느끼는 특성, 세균, 바이러스 및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정서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 등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토피 피부염에 동반되는 염증은 과도한 면역세포 작용으로 인해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tumor necrosis factor-α)와 인터루킨-1(IL-1, interleukin-l)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하이드록시 라디칼(·OH), 슈퍼옥사이드 라디칼(·O2-), 과산화수소(H2O2) 등과 같은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을 대량생산하기 때문에 주변 조직의 손상을 야기한다.
또한, 비만세포(mast cell)는 아토피 피부염을 비롯한 대부분의 알레르기성 질환에서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을 일으키는 핵심 세포로 알려져 있다.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TNF-α, IL-1과 IL-6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s)의 생성뿐만 아니라 히스타민과 같은 가려움 유발물질(pruritogen)을 방출한다. 이와 같이 비만세포 유래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염증반응을 더욱 촉진시키는 동시에 히스타민과 같은 가려움 유발물질의 분비를 더욱 촉진시켜 피부장벽을 붕괴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부작용없이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가려움 매개물질을 억제시킬 수 있는 물질을 발굴한다면, 아토피 피부염을 비롯한 각종 알레르기성 질환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처방은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등과 같은 약물요법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스테로이드제(부신피질호르몬제)는 크게 소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이 있고 효과가 우수하지만, 장기간 바르면 피부약화, 전신 호르몬증상, 중독성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최근 연구중인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 방향은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 것과 새로운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항히스타민제만으로는 알레르기 반응을 완벽하게 차단하지는 못한다. 이는 알레르기 반응을 야기하는 화학전달물질이 히스타민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에 효과가 있으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를 위한 조성물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와송(Orostachys japonicus)은 돌나물과(Crassulaceae) 다년생 초본으로 주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 등이며, 약리적으로는 혈관수축 작용, 흥분 작용, 장관의 긴장도 증강 작용 등이 알려져 있고 한방에서는 해열, 소종, 지혈, 이뇨 등에 사용되고 있다. 와송은 주로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뿌리를 제거한 전초를 햇볕에 말려 여러 질병의 치료제로 사용해 왔으며, 특히 암치료제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또한, 한련초(Eclipta prostrate)는 높이 10~70 cm되는 국화과(Compositae)의 한해살이 초본으로, 우리 나라의 제주도, 남부지방, 중부지방의 콩밭에 많이 자라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혈류량 촉진, 진통, 면역, 피부염, 모발 성장 촉진 및 피부가 갈라지는 피부염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피부 자극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줄풀(Zizania latifolia)은 벼과(Poaceae)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키는 1~2 m쯤 자라고 진흙 속에 굵고 짧은 뿌리가 옆으로 뻗으면서 자란다. 잎의 길이는 약 50 cm~1 m이고 넓이는 약 2~3 cm이며, 아래쪽이 둥글고 끝은 뾰족하다. 줄풀의 잎에는 단백질 1.2%, 기름 0.1%, 회분 0.5%가 포함되어 있으며 전초와 뿌리 줄기 모두 해열, 이뇨, 장과 위를 고르게 하고 지갈작용(목마름을 그치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열성구갈(열에 의해 목이 마르는 증상), 어린이 설사, 심장병, 간장병, 폐병, 신장병, 위장병에 쓰인다.
또한, 마치현(Portulaca oleracea)은 쇠비름과(Portulacaceae)의 1년생 초본으로서 주로 길가나 텃밭 등에서 5~9월에 걸쳐 자생하며 줄지의 높이가 약 15~30 cm 내외로 털이 없으며, 줄기는 갈적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땅위로 비스듬히 퍼지면서 자라는 식물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마치현 추출물이 항위궤양 작용, 기관지 천식 완화, 창상 치유, 항균 활성 및 항진균 활성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쑥(Artemisia princeps)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의 하나로, 농약의 사용없이 친환경 방식으로 재배 가능하며 항균작용, 기관지 확장작용, 모세혈관작용, 혈액응고 억제작용, 항위염 및 항위궤양 효과가 알려져 있다. 쑥을 이용하여 다양한 건강식품 또는 화장품으로 개발되어 왔고, 화장품의 향료, 방부제, 항균화장품, 생리대, 쑥뜸기, 훈증좌욕제, 입욕제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비파엽(Eriobotrya japonica)은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비파나무의 잎으로서, 한방에서는 열매, 뿌리, 줄기껍질 및 잎을 약용으로 사용한다. 비파엽은 맛이 쓰고 차가운 성질의 약재로서 폐의 열을 내려주어 기침을 멈추고 가래를 없애는 작용이 있으며, 위에 작용하여 구토와 딸꾹질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산죽(Sasa borealis)은 벼과(Poaceae)에 속하는 상록성 관목으로 탁월한 기능성을 함유하여 최근에 들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면서 그 효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대의학에서 밝혀진 산죽의 효능은 주로 항암, 살균 및 항궤양 작용과 더불어 열을 내리며 폐기를 통하게 하고 소염, 진정, 진통작용, 위액 산도를 높이는 작용, 동맥경화 예방 작용, 혈당량 감소 작용, 해독 작용 및 강장 작용 등이 있다. 또한, 민간요법으로는 여러 원인으로 인한 출혈, 눈병, 화상, 부스럼 및 무좀 등에도 쓰이고 있다.
또한,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상록 활엽수로 우리나라, 특히 온대 남부와 난대지역인 제주도, 완도, 해남, 거제도 등 남서 해안과 일부 도서지역에서만 국소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우리나라 특산수종이다. 황칠나무의 수피에 상처를 내면 황색의 수액이 소량 분비되는데 이를 황칠이라고 하며, 그 향은 안식향으로서 마음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황칠나무의 효능으로는 혈행개선, 간기능 개선, 항산화작용, 면역력 증진, 신경안정, 항균작용 및 항암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544176호에는 '제주 황칠나무 추출물의 피부 미백, 주름개선, 항염 및 항산화활성 안정화방법 및 안정화된 제주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946583호에는 '와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8가지(와송, 한련초, 줄풀, 마치현, 쑥, 비파엽, 산죽 및 황칠) 약초의 혼합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는 염증인자인 TARC(Thymus and activation regulated chemokine), IL-8(Interleukin-8) 및 ICAM-1(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의 발현을 현저하게 저해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초 혼합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으면서 아토피 피부염증 표지인자인 TARC, IL-8 및 ICAM-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또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HaCaT 세포(human keratinocyte cell line)에 약초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A) 또는 에탄올 추출물(B)을 처리한 후 세포독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TNF-α 및 IFN-γ를 처리한 HaCaT 세포에서 약초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WE: 0.5 ㎍/㎖, 1 ㎍/㎖) 또는 약초 혼합물의 에탄올 추출물(EE; 0.5 ㎍/㎖, 1 ㎍/㎖)의 처리에 따른 TARC(Thymus and activation regulated chemokine; A), IL-8(Interleukin-8; B) 및 ICAM-1(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 C)의 발현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TI; TNF-α 및 IFN-γ를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경을 조성한 군. control; TNF-α 및 IFN-γ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대조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추출물은 와송:한련초:줄풀:마치현:쑥:비파엽:산죽:황칠을 0.5~3:0.5~1.5:0.5~1.5:0.5~1.5:0.5~1.5:0.5~1.5:0.5~1.5:0.5~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약초 혼합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식물성 오일을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호호바 오일, 달맞이꽃종자유, 스윗아몬드, 동백유, 타마누 오일 또는 아보카도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용매 중 물을 사용할 경우 8가지 약초 혼합물에 혼합물 중량 대비 10~50배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85~105℃의 진공추출기로 추출하여 약초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용매 중 저급 알코올을 사용할 경우 8가지 약초 혼합물에 혼합물 중량 대비 10~50배의 60~100% 에탄올을 첨가하고 85~105℃의 진공추출기로 추출하여 약초 혼합물의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60~10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을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용매 중 식물성 오일을 사용할 경우 8가지 약초 혼합물에 혼합물 중량 대비 10~50배의 식물성 오일을 첨가하고 20~80℃의 진공추출기로 추출하여 약초 혼합물의 오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 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 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약초 혼합추출물은 와송, 한련초, 줄풀, 마치현, 쑥, 비파엽, 산죽 및 황칠을 0.5~3:0.5~1.5:0.5~1.5:0.5~1.5:0.5~1.5:0.5~1.5:0.5~1.5:0.5~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약초 혼합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식물성 오일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약초 혼합추출물은 TARC(Thymus and activation regulated chemokine), IL-8(Interleukin-8) 및 ICAM-1(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제, 외용제, 좌제 및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초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약초 혼합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약초 혼합추출물은 와송, 한련초, 줄풀, 마치현, 쑥, 비파엽, 산죽 및 황칠을 0.5~3:0.5~1.5:0.5~1.5:0.5~1.5:0.5~1.5:0.5~1.5:0.5~1.5:0.5~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약초 혼합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식물성 오일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약초 혼합추출물의 제조
1-1. 열수 추출물 제조
약초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은 와송(전초), 한련초(전초), 줄풀(전초), 마치현(전초), 쑥(전초), 비파엽(잎), 산죽(전초) 및 황칠나무(잎 및 줄기)를 0.5~3:0.5~1.5:0.5~1.5:0.5~1.5:0.5~1.5:0.5~1.5:0.5~1.5:0.5~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에 중량 대비 10~50배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80~105℃의 진공추출기에서 추출한 후, -120℃ 이하에서 동결건조하였다.
1-2. 에탄올 추출물 제조
약초 혼합물의 에탄올 추출물은 와송, 한련초, 줄풀, 마치현, 쑥, 비파엽, 산죽 및 황칠나무를 0.5~3:0.5~1.5:0.5~1.5:0.5~1.5:0.5~1.5:0.5~1.5:0.5~1.5:0.5~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에 중량 대비 10~50배 60~100% 에탄올을 첨가하여 80~105℃의 진공추출기에서 추출한 후, -120℃ 이하에서 동결건조하였다.
1-3. 오일 추출물 제조
약초 혼합물의 오일 추출물은 와송, 한련초, 줄풀, 마치현, 쑥, 비파엽, 산죽 및 황칠나무를 0.5~3:0.5~1.5:0.5~1.5:0.5~1.5:0.5~1.5:0.5~1.5:0.5~1.5:0.5~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에 중량 대비 10~50배 식물성 오일(호호바, 달맞이꽃종자유, 스윗아몬드, 동백유, 타마누 또는 아보카도유 등)을 첨가하여 20~80℃의 진공추출기에서 추출하였다.
2. MTT 어세이
인간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 cell line)인 HaCaT 세포를 10% FSB(fetal bovine serum)와 항생제(penicillin)가 포함된 RPMI 배지에 분주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HaCaT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약초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0.5, 1, 5, 10, 100 ㎍/㎖)로 각각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MTT 용액을 처리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켰으며, 흡광도 측정기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 )
HaCaT 세포를 10% FSB와 항생제가 포함된 RPMI 배지에 분주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무혈청 배지(serum free media)로 교환하여 16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상기 배양된 세포에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0.5 및 1 ㎍/㎖)을 각각 1시간 전처리하고, TNF-α 및 IFN-γ를 처리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상기 세포에 트리졸(trizol)을 넣고 균질화하였다. 균질화된 세포에 클로로폼(chloroform)을 가하여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얻었으며, 상기 상층액에 아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첨가한 후 원심분리하여 RNA만을 추출한 다음 추출된 RNA를 주형으로 RT-PCR(reverse transcrip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real-time PCR을 통해 TARC(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IL-8(interleukin-8), ICAM-1(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 및 GAPDH(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상기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정보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1. 약초 혼합추출물의 세포 독성 분석
본 발명의 약초 혼합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분석하기 위해 MTT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약초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1 ㎍/㎖, 5 ㎍/㎖까지의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열수 추출물은 1 ㎍/㎖, 에탄올 추출물은 5 ㎍/㎖까지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
실시예 2. 약초 혼합추출물 처리에 따른 염증인자 발현 분석
본 발명의 약초 혼합물의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아토피 피부염 염증인자인 TARC, IL-8 및 ICAM-1의 유전자 발현의 저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TNF-α와 IFN-γ를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 환경을 조성한 군(Tl)은 무처리 대조구(control)에 비해 TARC, IL-8 및 ICAM-1의 유전자 발현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0.5 ㎍/㎖ 및 1 ㎍/㎖ 농도의 열수 추출물(각각 WE 0.5, WE 1)과 에탄올 추출물(각각 EE 0.5, EE 1)을 각각 처리한 군에서는 아토피 피부염 유발군에 비해 TARC, IL-8 및 ICAM-1 유전자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2).

Claims (6)

  1.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초 혼합추출물은 와송:한련초:줄풀:마치현:쑥:비파엽:산죽:황칠을 0.5~3:0.5~1.5:0.5~1.5:0.5~1.5:0.5~1.5:0.5~1.5:0.5~1.5:0.5~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초 혼합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식물성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초 혼합추출물은 TARC(Thymus and activation regulated chemokine), IL-8(Interleukin-8) 및 ICAM-1(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80173099A 2017-12-28 2018-12-28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808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983 2017-12-28
KR20170181983 2017-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821A true KR20190080821A (ko) 2019-07-08

Family

ID=6706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099A KR20190080821A (ko) 2017-12-28 2018-12-28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80821A (ko)
WO (1) WO201913262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29B1 (ko) * 2019-10-25 2020-03-12 장은정 자주방아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074951A1 (ko) * 2021-10-28 2023-05-04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7315278B1 (ja) 2023-03-15 2023-07-26 マスダ商事株式会社 皮膚疾患改善剤の製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6122B (zh) * 2021-06-09 2022-05-06 辽宁中医药大学 马齿苋中一种芳基类化合物的提取分离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046B1 (ko) * 2009-10-26 2012-03-13 지영학 부들, 조릿대, 갈대 및 줄풀을 포함하는 한방음료
KR101337415B1 (ko) * 2011-09-19 2013-12-06 최희선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302222B1 (ko) * 2012-09-18 2013-08-30 주식회사 아가방앤컴퍼니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식물성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29B1 (ko) * 2019-10-25 2020-03-12 장은정 자주방아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074951A1 (ko) * 2021-10-28 2023-05-04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7315278B1 (ja) 2023-03-15 2023-07-26 マスダ商事株式会社 皮膚疾患改善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2625A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80821A (ko)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8042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74462B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3192605A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6982A (ko)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2222B1 (ko)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식물성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4249B1 (ko) 사상자 추출물 및 카퍼트리펩타이드-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1413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9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1842786B1 (ko) 생약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77889A (ko) 송엽 또는 송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13054B1 (ko) 국화 및 주증대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160091593A (ko) 심비디움(cymbidium)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826823B1 (ko) 새송이버섯 및 포도가지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8429B1 (ko) 감피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