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218B1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218B1
KR101891218B1 KR1020180007583A KR20180007583A KR101891218B1 KR 101891218 B1 KR101891218 B1 KR 101891218B1 KR 1020180007583 A KR1020180007583 A KR 1020180007583A KR 20180007583 A KR20180007583 A KR 20180007583A KR 101891218 B1 KR101891218 B1 KR 101891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weight
wat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기성
이석원
손근영
손완영
손관영
한연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Priority to KR1020180007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2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에 유래한 것으로 안전하면서도 부작용이 없고 치료활성이 높은 새로운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dermatitis comprising natural plant extracts}
본 발명은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란, 라틴어 Atopia에서 온 말로 괴상한(Odd)의 뜻을 가진 단어로서 과민한 반응을 일으키기 쉬운 체질을 말한다. 아토피는 유발인자를 가지고 있는 개인에게 피부 및 호흡기 점막, 안 점막 및 장점막 들에 일련의 알레르기 증상을 야기한다. 유발인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집 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음식물, 꽃가루 및 곰팡이 등과 같이 외부 환경에서 자주 접하는 단백물질에 대한 피부반응검사에서 흔히 두드러기 반응을 나타내며, 특정한 단백물질을 먹거나 흡입하면, 가려움증, 피부발작, 두드러기, 혈관부종, 재채기, 콧물, 코 막힘, 결막 충혈 및 눈물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아토피 유발인자는 유전되며 가족적으로 나타난다. 아토피 유발인자에 의한 알레르기 질환으로는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장관염 및 아토피성 두드러기 등이 있으며, 이들 질환은 환자 개개인의 유전적소인, 환경 및 연령 등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그 중 아토피성 피부염은 아토피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알레르기 피부질환이다.
아토피 알레르기의 메카니즘을 보면, 알레르겐이 각질층을 통해 침입해서 표피세포에까지 이르게 되면 백혈구의 일종인 대식세포 (Macrophage)가 이를 포식하여 조각조각 분해시킨다.
침입한 알레르겐의 양이 많아 대식세포가 이를 다 처리하지 못할 경우에는 미처 처리하지 못한 알레르겐의 존재에 대한 정보를 같은 백혈구의 일종인 T세포에 보내준다. T세포는 그 정보를 다시 백혈구의 일종인 호산구에 전함으로써 혈중에 널리 분포된 호산구를 알레르겐이 침입한 장소를 불러모은다. 이때에 환부에 집적된 호산구가 화학전달물질을 과잉으로 방출함으로 인하여 염증이 일어나게 된다.
대개 아토피성 피부염은 흔히 태열이라 부르는 영유아기 습진으로부터 시작하며, 급성기에는 피부가 가렵고, 붉어지거나 붓거나 좁쌀처럼 돋아 오르거나, 작은 물집이 잡히거나 습하고 딱지가 앉는 등의 증상을 보이며, 만성기에는 가렵고, 피부가 딱딱하게 되거나 두꺼워지거나 줄이 가거나 쌀가루 같은 비늘이 앉거나 검어지거나 또는 희게 탈색되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치료약 중 스테로이드제는 소염 작용 및 면역억제 작용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주의해야할 점은 스테로이드제의 부작용이다. 장기간 바르면 바른 부위에 털이 나고 피부가 위축될 수 있으며, 피부색소가 적어지고 세균의 감염이 생기며, 여드름이 돋고, 피부가 얇아지고 실핏줄이 드러나 흉한 모습을 갖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호로몬에 의한 전신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약을 중지하면 다시 폭발적으로 증상이 심해지므로 이 약의 사용을 중지할 수도 없게 된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은 5세 이전의 유아들에게 흔하므로 부신피질의 전신적 투여는 권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호르몬 농도가 아주 적은 스테로이드 연고를 단기간에만 꼭 필요한 때 사용하여야 하며, 한꺼번에 많은 양을 바르기보다는 적은 양을 자주 발라야 한다.
항히스타민제는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이 유리되지 못하도록 하여 가려운 증상을 경감시키거나 임시방편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장기간 복용 시 불면, 식욕감퇴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그 자체보다 가려워 긁다가 생기는 2차성 세균감염이 더 무서운 병이다. 아토피 환자의 피부는 장기간 긁고 건조해진 결과로 세균감염이 꼭 따라온다. 아토피 환자의 90%이상이 포도상구균에 감염되어 있는데 이 균은 환자가 가려움을 참지 못해 긁어서 생기기도 하며,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이 세균의 외독소가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나오게 하여 아토피를 악화시킨다고 한다. 즉, 이 세균 자체가 알레르겐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토피의 치료에는 적절한 항생물질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그 외 약물치료용으로 비스테로이드 연고제가 있으며 이것은 보습제 종류로 밤에는 보습을 위해 연고를 바른 후 랩으로 도포 부위를 감싸는 방법도 사용하고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현상 중 하나인 건조 피부는 가려움증 및 습진을 유발하기 쉽고 아토피성 피부염의 제발 및 악화의 요인이 되므로 보습은 아토피성 피부의 관리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된다. 또한, 환자를 진정시키기 위하여 진정제나 신경안정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아토피의 특성으로 볼 때, 아토피 치료재의 필수 항목으로 항균 효과, 항염 효과, 프리라디칼 소거 효과 및 항산화 효과 등을 제공하면서 부작용이 없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외용제로서 약학 조성물은 경구 치료약에 비해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정상 피부의 손상이 적을 수 있어 피부에 안전하고 염증성 피부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외용제로서 원료를 천연물 소재로부터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천연 식물 유래의 안전한 다양한 천연 추출물이 시도되고 있으나 그 기작이 불분명하고 임상적 효과가 데이터도 입증이 부족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안전하면서도 기작이나 임상적 효과가 충분히 규명된 새로운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KR2012-0130703 A
(비특허문헌1) Th 세포분화조절을 통한 알레르기 반응제어의 연구 동향, 이충은, 장지영, 2005.01.19 (http://www.iuj.co.kr)
(비특허문헌2) 분자세포생물학 뉴스레터, 피부 면역과 면역인자들에 의한 피부 생리 조절, 조은경, 2015.04.02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의 안전하면서도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아토피를 포함한 염증성 피부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 이의 기작 뿐 아니라 다양한 환자군에 대하여 탁월한 임상적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새로운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결과 다양한 환자군에서 임상효과를 입증하여 피부 건조 및 습진을 개선하고 부작용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에 유래한 것으로 안전하면서도 부작용이 없고 치료활성이 높은 새로운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은 1:1:1: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의 건조 중량의 1 내지 20 배(v/w)의 중량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에서 10 내지 100 ℃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용매는 물,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것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로 이루어진 것이다. 일예로, 상기 추출물을 농축한 용액에 메틸설포닐메탄(MSM)을 0.5 내지 10 중량 %에서 추가로 첨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중량%이다. 일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로 사용되는 것이다. 일예로 피부염은 아토피 피부염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은 1:1:1: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의 건조 중량의 1 내지 20 배(v/w)의 중량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에서 10 내지 100 ℃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용매는 물,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것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로 이루어진 것이다. 일예로, 상기 추출물을 농축한 용액에 메틸설포닐메탄(MSM)을 0.5 내지 10 중량 %에서 추가로 첨가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5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1 내지 30 중량 %로 함유되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염증성은 아토피 피부염인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의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의 혼합물에 총 건조 중량의 1 내지 20 배의 중량부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에서 10 내지 100 ℃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 및
c) 상기 농축된 추출액에 메틸설포닐메탄(MSM)을 0.5 내지 10 중량 %에서 추가로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피(Prunus sargentiiRehder)는 산벚나무의 껍질로 장미과의 잎지는 넓은잎 큰키나무로 줄기가 곧게 올라와 키 20m 정도로 자란다. 줄기 중간에서 가지가 많이 나오고 옆으로 비스듬히 뻗어 위쪽이 빗자루를 거꾸로 세워 놓은 듯한 원뿔 모양이 된다. 산 1,600m 이하의 고지의 숲속, 계곡가, 바닷가에 서식한다. 주로 깊은 산 600m 고지에서 볼 수 있다. 줄기껍질이 가로로 튼 듯한 긴 껍질눈이 줄무늬처럼 나 있다. 4~5월에 잎 달리는 자리에 어린 잎과 함께 또는 잎보다 조금 먼저 연한 분홍색 또는 흰색으로 핀다. 꽃자루가 2~3개 모여서 우산살처럼 벌어진 끝에 지름 2.5~4㎝ 정도의 꽃이 달린다. 꽃잎은 5장이다. 꽃받침잎은 5갈래로 갈라지며 붉은 갈색을 띤다. 수술이 많다. 향기가 없다. 길이 8~12㎝ 정도의 잎이 가지에 어긋나게 달린다. 끝이 점점 뾰족해지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날 모양의 겹톱니가 있다. 어릴 때는 불그스름하고 끈끈한 털이 있으며 점차 앞면이 짙은 녹색이 된다. 뒷면은 희다. 잎자루는 붉은빛을 띠고 털이 없으며 위쪽에 붉은빛을 띤 한 쌍의 꿀샘이 있다. 가을에 노랗다가 붉은색으로 물든다. 5~6월에 단단한 핵으로 싸인 씨앗이 있는 둥근 열매가 노란 붉은색에서 검은 갈색으로 여물며 윤기가 있다. 어린 나무는 검붉은 자줏빛 도는 갈색을 띤다. 매끄러우면서도 옆으로 길게 난 껍질눈이 많다. 묵을수록 갈색빛 도는 짙은 회색이 되며 밝은 회색의 얼룩이 생기며 껍질눈 자리가 옆으로 벗겨진다. 고목이 되면 껍질이 얕게 비늘처럼 갈라진다. 가장자리는 밝은 노란색을 띤다. 안쪽에는 노란 갈색의 넓은 심이 있다. 한가운데에는 노란 연갈색의 작고 무른 속심이 있다. 햇가지는 윤나는 붉은 자주색을 띠다가 점차 붉은빛 도는 연한 갈색이 된다. 묵으면 자줏빛 도는 짙은 회색을 띠며 허연 껍질눈이 있다. 굵은 편이며 조금 모가 나 있다. 아래가 좁고 끝이 뾰족한 원뿔 모양이다. 붉은빛 도는 갈색을 띤다. 약용: 기관지염, 방광염, 장염, 불면증 식용: 과실 줄기 속껍질 또는 잔가지(앵피, 櫻皮) 봄에 채취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말려서 쓴다. 기관지염, 방광염, 장염에 말린 것 5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열매(야앵화, 野櫻花) 봄~여름에 채취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말려서 쓴다. 불면증에 말린 것 5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생것을 버찌라 하여 과실로 먹는다. 산에서 자라는 낙엽활엽수로 높이 15m에 이르는 큰 나무도 있다. 줄기는 비교적 낮은 자리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많은 가지를 친다. 잎은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며 계란 꼴로 5~8cm의 길이를 가진다. 잎 밑동은 둥그스름하고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고르게 배열된다. 어린잎은 붉은빛을 띠며 양면에 잔털이 많이 나 있으나 자라면 잎맥 위에만 남는다. 꽃은 짧은 가지 끝에 잎과 함께 2~3송이씩 피는데 4cm를 넘는 기다란 꽃자루를 가진다. 지름 3.5cm 안팎인 꽃의 빛깔은 연분홍빛이다. 꽃이 지고 난 뒤에는 지름이 6mm쯤 되는 둥근 열매를 맺는데 익으면서 붉게 물들었다가 검은색으로 변한다. 전국 각지에 널리 분포하며 산록지대의 숲 속에 난다. 앵피(櫻皮). 화피(樺皮)라고도 한다. 가지의 껍질을 약재로 쓴다. 털산벚나무, 왕산벚나무, 벚나무, 좀벚나무 등도 함께 쓰인다. 생육기간 중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거친 부분을 벗기고 잘게 썰어서 쓴다. 텔리키닌(Thelykinine), 코우마린(Coumarin), 플로르리진(Phlorrhizin), 아미그달린(Amygdalin), 말릭산(Ma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진해, 해독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적용질환은 기침, 담마진(두드러기), 피부염, 가려움증 등이다. 기침을 멈추게 하기 위해서는 말린 약재를 1회에 4~8g씩 200cc의 물로 달여서 복용하며 또는 약재를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 피부 질환의 치료를 위해서는 약재를 달인 물로 환부를 수시로 닦아준다.
당귀는 한국에서는 산형과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중국에서는 산형과 중국 당귀(Angelica sinensis (Oliv.) Diels)의 건조 시킨 뿌리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산형과 왜당귀(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 또는 홋카이당귀(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 var. sugiyamae Hikino)의 뿌리를 말려서 사용한다.
마땅히 돌아오기를 바란다는 뜻을 담아 '당귀(當歸)'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진다. 이는 오래 전 중국에서 부인들이 싸움터에 나가는 남편을 염려하며 품 속에 당귀를 넣어줬다는 풍습에 유래하는데, 전쟁터에서 기력이 다했을 때 당귀를 먹으면 다시 기운이 회복되어 돌아올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일설에는 '이 약을 먹으면 기혈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이 약재는 기운이 따뜻하고 맛은 달면서도 매운데[溫甘辛], 일반적으로 참당귀가 중국 당귀나 왜당귀에 비해 단맛은 약하고 매운맛이 강하다. 당귀의 효능은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 작용(補血作用)이 주를 이룬다. 중국 당귀나 왜당귀의 뿌리로 만든 당귀는 보혈작용이 뛰어나다. 하지만 참당귀의 뿌리로 만든 당귀는 보혈작용보다는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활혈작용(活血作用)이 더 뛰어나며,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 작용이 강하다. 약리학적으로 당귀는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한다. 중국 당귀는 약재의 껍질이 황갈색을 띠며 왜당귀와 참당귀는 어두운 갈색을 띤다. 약재의 단면은 중국 당귀가 황갈색과 황색으로 선명한 편이나, 왜당귀는 황백색 또는 회백색, 참당귀는 어두운 황색 또는 유백색으로 중국 당귀에 비해 색이 선명하지 않게 보인다. 또한 중국 당귀의 경우 약재 단면에서 왜당귀나 참당귀에 비해 기름 성분을 관찰할 수 있다.
참당귀는 토당귀(土當歸), 숭검초, 조선 당귀라고도 하고, 중국 당귀는 당귀(當歸), 문귀(文歸), 건귀(乾歸), 대근(大芹), 상마(象馬), 지선원(地仙圓)이라고도 불리며, 왜당귀는 일당귀(日當歸)라고도 한다.
생지황은 현삼과 식물인 지황 Rehmannia glutinosa Libosch. var. purpurea Makino의 뿌리이다. 지황(地黃)은 각지에서 심는다. 가을에 뿌리를 캐 흙을 털어 버리고 물에 씻는다. 맛은 쓰고 약간 달며 성질은 몹시 차다. 심경(心經)·신경(腎經)· 간경(肝經)·소장경(小腸經)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혈열(血熱)을 제거하며 진액을 생기게 하고 어혈을 없앤다. 약리 실험에서 응혈(凝血) 촉진 작용·강심(强心) 작용·이뇨 작용·혈당 강하 작용·혈압 상승 작용 등이 밝혀졌다.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갈증이 나는 데, 혈열(血熱)로 인한 출혈, 발반(發斑), 타박상 등에 쓴다. 하루 20~30g을 탕약으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이거나 즙을 바른다. 비위(脾胃)가 차고 허약한 데는 쓰지 않는다.
작약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꽃이 크고 탐스러워서 함박꽃이라고도 한다. 백작약·적작약·호작약·참작약 등 다양한 품종이 있다. 백작약은 높이 40~50㎝로 밑부분이 비늘 같은 잎으로 싸여 있으며, 뿌리는 육질(肉質)이고 굵다. 잎은 3, 4개가 어긋나며, 3개씩 2회 갈라진다. 소엽(小葉)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倒卵形:거꿀달걀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6월에 피며 백색이다. 적작약은 뿌리가 붉은빛이 도는 품종으로 높이가 50~80㎝이다. 뿌리는 방추형이고, 근생엽은 1~2회 우상(羽狀)으로 갈라진다. 소엽은 피침형·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백색·적색 등 여러 품종이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성분은 배당체로서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과 알칼로이드인 파에오닌(paeonine)을 함유하고 탄닌·수지·안식향산도 있다. 약리적 작용으로는 흰쥐의 위장과 자궁의 평활근에 대하여 수축력을 약화시켰고, 토끼의 장관에는 진경(鎭痙) 효과를 나타내었다. 배당체 성분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한다. 이 밖에 항균작용이 있어서 황색포도상구균·이질균·용혈성연쇄상구균·폐렴쌍구균의 발육을 억제시킨다.
약성은 차고, 맛은 시고 쓰다. 위장염과 위장의 경련성동통에 진통효과를 나타내고, 소화장애로 복통·설사·복명(腹鳴)이 있을 때에 유효하며, 이질로 복통과 후중증이 있을 때에도 효과가 빠르다. 부인의 월경불순과 자궁출혈에 보혈·진통·통경의 효력을 나타낸다. 만성간염에도 사용되고 간장 부위의 동통에도 긴요하게 쓰인다. 또 빈혈로 인한 팔과 다리의 근육경련, 특히 배복근경련에 진경·진통 효과가 있다. 한방에서는 많이 쓰이는 약에 속하며, 민간에서는 빈혈에 사용한다. 금기로는 산후에 발열이 심할 때에는 복용을 삼간다.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이 있다.
본 발명은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조 중량비로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이 1: 0.2 ~ 5: 0.2~ 5: 0.2 ~ 5가 되도록 조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1: 1: 2가 되도록 조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한 약재들 외에도 맛이나 풍미 등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약재들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내복용이나 외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약재를 추출하여 제조되는 추출물들을 포함할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재들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고, 다른 구현 예에서는 혼합된 약재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재의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추출 용매를 상기 약재에 가하여 고온에서 저압 또는 고압 조건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물(또는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을 혼합한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추출 효율, 조성물의 효능 또는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용매의 양은 추출 대상 약재의 건조 중량 대비 1 내지 50배 정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의 약재(이때, 각 약재는 추출 전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잘게 자른 것을 이용할 수 있다)를 적정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이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도 있으며, 혼합 약재를 함께 추출하여 추출 당시부터 각 추출물이 혼합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한 후 이러한 분말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내복을 위하여 포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1회당 20 내지 150 ml의 용량으로 포장할 수 있다. 내복의 경우, 1일 3회 음용할 수 있으나, 연령, 증상의 경중이나 증상의 개선도를 고려하여 용량이나 내복 횟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섭취 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올리고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추출물은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의 건조 중량의 1 내지 20 배의 중량(v/w)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에서 10 내지 100 ℃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의 10 내지 15배의 중량의 용매를 가한 후 90 ℃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혼합 용매는 물,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로 이루어진 것이다. 일예로, 상기 추출물을 농축한 용액에 메틸설포닐메탄(MSM)을 0.5 내지 10 중량 %에서 추가로 첨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중량%이다. 일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로 사용되는 것이다. 일예로 피부염은 아토피 피부염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물질에서 추출한 액에 첨가하려는 메틸설포닐메탄(methyl sulfonyl methane)은 유황을 함유한 물질로서 메틸설포닐마탄(MSM)은 허준의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의하면 "유황은 열이 많고, 독성이 강하나 몸 안의 냉기(冷氣)를 몰아내어 양기(陽氣) 보족을 돕는 한편 심복(心腹)의 적취 (積聚)와 사기(邪氣)를 다스린다. 또한 "유황은 단독(丹毒)을 풀어준다" 라고 쓰여 있으며, 중국고전문헌에 의하면 유황은 만명을 물리친다는 천하의 명약으로 알려진 금단(金丹)의 주원료로써 불로장생(不老長生)의 선약(仙藥)이요, 늙은 노인도 젊음을 되찾게 된다는 "회춘의 묘약"으로 전해 내려올 만큼 그에 대한 약성의 평가는 대단하며 또한 유황은 보양 작용뿐만 아니라 현재 암과 각종 난치병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공해(중금속, 농약독, 기타 화공독 등)해독 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타가토스(Tagatose),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아토피 피부 예방과 개선용 크림에서 제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담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적인 것으로 예를 들어, 기제, 부형제, 윤활제, 습윤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액제, 스프레이제, 로션제, 크림제, 연고제 등의 제형으로 만들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성 피부 질환의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과자, 떡, 빵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는 식물추출물로 구성된 것이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때 그 양은 전체 중량의 0.1 내지 50%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음료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즉, 천연 탄수화물로서 포도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로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은 1:1:1: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의 건조 중량의 1 내지 20 배의 중량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에서 10 내지 100 ℃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용매는 물,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것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로 이루어진 것이다. 일예로, 상기 추출물을 농축한 용액에 메틸설포닐메탄(MSM)을 0.5 내지 10 중량 %에서 추가로 첨가될 수 있으며, 이중 5 중량%가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1 내지 30 중량 %로 함유되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염증성은 아토피 피부염인 것인다. 상기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의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조성물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질환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워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로서는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열수 추출물의 제조
생약제로 판매되는 각각의 약재를 구입하여 건조된 상태에서 화피 300g, 당귀 300g, 생지황 300g 및 작약 600g을 믹서기로 분쇄한 후 2L의 정제수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90℃에서 5시간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15℃에서 15일간 방치하고 최종적으로 0.3㎛ 필터로 여과하여 감압 농축 하여 혼합 추출물 1L 를 완성한다.
알콜 추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믹서기로 분쇄 후 60% 에탄올 2L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혼합 추출물 1L을 제조하였다.
정제수 및 알콜 추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믹서기로 분쇄 후 2L의 정제수에 5시간동안 900℃로 가열하였다.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15℃에서 15일간 방치하였다. 이 용액에 60% 에탄올 2L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혼합 추출물 1L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에 상온에서 메틸설포닐메탄(MSM) 50g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에 상온에서 메틸설포닐메탄(MSM) 50g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에 상온에서 메틸설포닐메탄(MSM) 50g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 내지 3
연고의 제조
상기 실시예 4 내지 6의 추출 조성물을 각각 다음과 같이 추가하여 표 1의 연고를 제조하였다.
성 분 함 량 (중량%)
정제수 (100이 될 때까지)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실시예 4 내지 6의 추출물(각각) 3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밀납 4.0
4
영양화장수(밀크스킨로숀) 제조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추출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2의 영양화장수(밀크스킨로숀)을 제조하였다.
성 분 함 량 (중량 %)
정제수 (100이 될 때까지)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히아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실시예 1의 추출물 3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
5
영양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추출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3의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성 분 함 량 (중량 %)
정제수 (100이 될 때까지)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실시예 5의 추출물 3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
6
맛사지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추출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4의 맛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 분 함 량 (중량 %)
정제수 (100이 될 때까지)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히아루론산 추출물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실시예 5의 추출물 3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파라핀 1.5
7
팩의 제조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추출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 5의 팩을 제조하였다.
성 분 함 량 (중량%)
정제수 (100이 될 때까지)
글리세린 4.0
폴리비닐 알코올 15.0
히아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실시예 6의 추출물 4
노닐 페닐 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에탄올 6.0
8
오일제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추출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 6의 오일을 제조하였다.
성 분 함 량 (중량%)
스쿠알란 5.0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5.0
조조바 오일 1.0
월견초유 0.5
야생장미씨 추출물 20.0
실시예 6의 추출물 4
카르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0
유동파라핀 잔량
적량
기타 오일 (100이 될 때까지)
[실험예]
실험예1
IgE 항체 분비 억제능
U266B1 세포주를 이용한 IgE 항체 분비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U266B1 세포주는 미국 세포주 은행 (ATCC #TIB-196)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5% 태아 송아지 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항생제(페니실린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mL)가 포함된 RPMI 배지에 2X105세포/mL 농도로 희석한 후, 24 웰 플레이트에 400 ㎕/well 씩, 96 웰 플레이트에 100 ㎕/well 분주하고 37℃, 5 % CO2 배양기에 넣어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U266B1 세포주에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추출물을 5 mg/mL 로 처리하였으며, 24 웰 플레이트의 배지는 IgE 항체 분비 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하고, 96 웰 플레이트는 세포독성 (cytotoxicity)를 측정하는데 사용하였다.
먼저 IgE 항체 분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24 웰 플레이트에 있는 배지를 수집하여 125xg 에서 5분간 원심분리를 통해 찌꺼기를 제거하였으며, 배지 중 100 ㎕를 10배 희석 한 후 IgE 효소결합 면역흡착분석법(ELISA, 고마바이오텍)을 이용하여 IgE 분비 정도를 측정하였다. 약물에 의한 IgE 분비 억제 정도는 다음과 같은 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7에 나타내었다.
[식 1]
IgE 분비 억제능(%)=100-(시험군의 IgE 농도/대조군의 IgE 농도)X100
성 분 억제능(%)
(n=5, Mean =SE)
실시예 1 25 ± 3.6
실시예 2 28 ± 2.0
실시예 3 32 ± 6.7
실시예 4 35 ± 7.0
실시예 5 29 ± 1.6
실시예 6 54 ± 2.4
실험예2
인체피부에 대한 개선 효과시험
얼굴과 몸 부위에 아토피 피부를 가진 10세 이하의 소아 총 60명과 20 세 이상의 성인 총 30명을 대상으로 총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각각의 그룹에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연고를 30일간 매일 2회 이상 아토피 부위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피부 개선 효과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하고 표 8에 나타내었다.
[식 2]
개선정도=개선된피검자수/총피검자수 X 100
피부에 대한 개선 결과
시험군 결과
매우 양호 양도 변화없음 나쁨
소아 그룹1 (10명) 4명
(40%)
5명
(50%)
1명
(10%)
-
그룹2 (10명) 6명
(60%)
2명
(20%)
2명
(20%)
-
그룹3 (10명) 8명
(80%)
2명
(20%)
- -
성인 그룹1 (20명) 7명
(35%)
8명
(40%)
5명
(25%)
그룹2 (20명) 9명
(45%)
8명
(40%)
3명
(15%)
그룹3 (20명) 13명
(65%)
6명
(30%)
1명
(5%)
-
상기 표 8는 실시예 4 내지 6의 조성물은 대부분 개선효과를 보여주지만 특히 소아 및 성인에 있어 실시예 6의 조성물을 적용한 연고에 있어 90% 이상의 치료효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 모든 조성물에서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이 적은 안전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6)

  1.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이 1:1:1:2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총 건조 중량의 1 내지 20 배의 중량의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의 혼합 용매에서 10 내지 100 ℃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농축한 용액에 메틸설포닐메탄(MSM)을 0.5 내지 10 중량 %에서 추가로 첨가하는 것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로 사용되는 것인 조성물.
  7. 삭제
  8.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이 1:1:1:2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총 건조 중량의 1 내지 20 배의 중량의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의 혼합 용매에서 10 내지 100 ℃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농축한 용액에 메틸설포닐메탄(MSM)을 0.5 내지 10 중량 %에서 추가로 첨가하는 것인 조성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1 내지 30 중량 %로 함유되는 것인 조성물.
  14. 삭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의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조성물.
  16. a) 화피, 당귀, 생지황 및 작약이 1:1:1:2의 중량비로 혼합물에 총 건조 중량의 1 내지 20 배의 중량부의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의 혼합 용매에서 10 내지 100 ℃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 및
    c) 상기 농축된 추출액에 메틸설포닐메탄(MSM)을 0.5 내지 10 중량 %에서 추가로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007583A 2018-01-22 2018-01-2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1891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583A KR101891218B1 (ko) 2018-01-22 2018-01-2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583A KR101891218B1 (ko) 2018-01-22 2018-01-2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218B1 true KR101891218B1 (ko) 2018-08-23

Family

ID=6345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583A KR101891218B1 (ko) 2018-01-22 2018-01-2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2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550A (ko) 2019-04-12 2020-10-21 이연제약주식회사 자주천인국 착즙액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208482B1 (ko) * 2020-03-31 2021-01-27 주식회사 맥스코프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795A (ja) * 1993-05-07 1994-11-22 Kuga Takaaki アトピー性皮膚炎等の皮膚疾患治療薬
KR20040063127A (ko) * 1994-06-24 2004-07-12 파이토테크 리미티드 한약재 추출물
KR20110130555A (ko) * 2010-05-28 2011-12-06 박성화 아토피 피부 예방및 개선용 크림 제조방법
KR20120130703A (ko) 2011-05-23 2012-12-03 에이알엠 리미티드 레벨 시프팅 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795A (ja) * 1993-05-07 1994-11-22 Kuga Takaaki アトピー性皮膚炎等の皮膚疾患治療薬
KR20040063127A (ko) * 1994-06-24 2004-07-12 파이토테크 리미티드 한약재 추출물
KR20110130555A (ko) * 2010-05-28 2011-12-06 박성화 아토피 피부 예방및 개선용 크림 제조방법
KR20120130703A (ko) 2011-05-23 2012-12-03 에이알엠 리미티드 레벨 시프팅 회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Koreaan Soc. Appl. Biol., Vol. 51, No. 1, pp. 70-78 (2008)* *
Journal of Korean Medicine, Vol. 38, No. 3, pp. 30-42 (2017)* *
김공민,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Effect of the Extracts from the Paeonia lactiflora on Atopic Dermatitis" (201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550A (ko) 2019-04-12 2020-10-21 이연제약주식회사 자주천인국 착즙액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208482B1 (ko) * 2020-03-31 2021-01-27 주식회사 맥스코프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9603789B2 (en) Composition containing a natural extract
CN110519997B (zh) 通过辣木叶提取物和杜仲提取物的复合物的抗生、抗氧化、抗炎、抑制牙周骨损失和再生牙周骨缓解牙龈炎和牙周炎的方法
KR20120007275A (ko) 식물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190086317A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10105142A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663978B1 (ko) 잇몸에 좋은 한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196952B1 (ko)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189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2168300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20946A (ko)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055758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130120597A (ko) 꽃 쌈발효에 의한 항염증용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197858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81066B1 (ko) 한방 초고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13054B1 (ko) 국화 및 주증대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43245B1 (ko) 감국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2917B1 (ko) 쓴쑥, 범부채, 돌나물, 미역취 및 개다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