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952B1 -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952B1
KR102196952B1 KR1020180170292A KR20180170292A KR102196952B1 KR 102196952 B1 KR102196952 B1 KR 102196952B1 KR 1020180170292 A KR1020180170292 A KR 1020180170292A KR 20180170292 A KR20180170292 A KR 20180170292A KR 102196952 B1 KR102196952 B1 KR 102196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cheon
leaf
skin regeneration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640A (ko
Inventor
윤미영
최화정
Original Assignee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0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9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9Berberidaceae (Barberry family), e.g. barberry, cohosh or mayapp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 잎 추출물은 피부재생 촉진 효과가 있으며 세포독성이 없으므로, 피부재생 촉진 조성물로써 화장품,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Regeneration Containing Extract of Nandina domestica Leaf}
본 발명은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원료의 주요 트렌드를 살펴보면, 웰빙(well-being), 전통 복고(traditional), 타 산업응용(natural foods), 지역/산지 차별화(clean zone)로 나타난다. 100% 유기농 제품, 한의학/한방소재에 의한 아토피, 아크네 제품, 슈퍼 푸드10 등의 건강식품을 접목한 화장품, 청정지역의 천연물을 배합한 기능성 제품 등의개발이 주류를 이룰 전망이다. 화장품 산업에서의 자연주의 트렌드는 수년 전부터 친환경적인 식물유래 제품 개발로 나타나고 있다. 천연 원료로 만들어진 화장품은 효능과 안정성 면에서 기존 제품보다 뛰어난 장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피부 주름 개선,미백 등 각종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천연식물을 화장품에 직접 이용한 것은 1973년 아모레퍼시픽이 인삼을 주원료로 한 제품을 선보인 후 산삼, 홍삼뿐만 아니라 감초, 녹두, 흑두, 한란, 단풍잎, 대나무, 닥나무, 주목, 귤나무, 오가피, 야자수, 생강, 영지버섯, 녹차, 꽃잎, 우엉, 뽕나무 등 다양한 식물자원으로부터 효능 성분을 추출하여 화장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끊임없이 소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럽,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는 광우병의 발병으로 동물 유래의 화장품소재들이 대부분 식물 유래의 소재로 급격히 대체되고 있으며, 최근에 실시된 규제 완화 조치에 의해 일부 배합이 금지된 성분을 제외하고는 배합된 전 성분을 표시하면 자유롭게 모든 소재를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식물 유래의 화장품 원료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식물 유래의 화장품 소재로 올리브유, 야자유와 사포닌, 소맥 배아유, 미강유, 인지질 등과 같은 계면활성성분, 아미노산, 단백질, 당류 등을 함유한 수용성 성분 등이 보습제, 미막형성제, 피부보호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활성 및 생산을 억제하는 소재, 엘라스티나제(Elastianse)의 활성을 억제하는 소재,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촉진하는 소재, 활성산소의 제거 능력을 갖춘 소재, 각화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소재,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소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소재 등이 연구개발 중이거나 이미 보습, 항노화, 미백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은 미나리아재비목(Ranunculales)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식물로 일명 남촉목(南燭木) 또는 남천촉(南天燭), 천축자(天竺子), 천촉자(天燭子), 남죽자(南竹子), 남천죽(南天竹), 홍파자(紅杷子)이라고 한다(百度百科). 중국 남방 지역, 일본, 인도, 한국 남부 지방 등 국가에 분포하여 흔히 볼 수 있는 늘푸른떨기나무이다. 나무 높이는 1~3 m 정도 까지 자를 수 있으며 잎은 광택이 있으며 가죽 같은 촉감을 가지고 있다. 남천의 잎은 남천죽엽 이라고 하며, 백일해, 혈뇨, 감모, 혈뇨, 타박상을 치료효과를 가지고 있다. 3회 깃꼴겹잎으로 가지 엽축에 마디가 있고 일반적으로 길이 30∼50 cm이다. 작은 잎은 엽병이 없으며 잎의 형태는 타원형이며 피침형로 길이와 너비를 비하며 몇 배가 되며 항상 밑에서 1/3정도 되는 부분이 가장 넓고 끝이는 뾰족하다. 잎의 길이는 3~10 cm로 톱니가 없으며 엽병 줄기의 아랫부분은 흔히 흑자색으로 된다. 겨울철에는 푸른색 잎은 빨간색으로 변하고 봄에 되며 다시 푸른색으로 변한다. 꽃은 양성화로서 6~7월에 가지 끝의 하양색의 꽃을 피며, 원추형인 화서 차례로 달린다. 꽃 받침잎은 3개, 꽃통은 횐색이고 수술은 6개 있다. 꽃밥은 황색 자방은 1개가 있다. 암술대는 짧고, 암술머리는 손바닥 모양이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0.5~1 cm 정도로 10월 달에 익이면 홍색으로 바꾸다. 종자는 2개 이다. 남천 열매는 민간에서 남천실(南天實) 또는 남천(南天), 남천죽자(南天竹子)이라고 하며 약재로서 사용한다. 명목, 지해, 청간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진해약으로 염폐, 해수, 일분에서 만성 기침, 매독, 자궁출혈, 천식, 백일해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서수정,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0(10), 1371-1377 2011).
남천 뿌리는 남천죽근이라 하며, 거풍, 제습, 청열, 화담의 효과가 가지고 있다. 또한 폐열해수, 결막염, 풍열두통, 습열황달, 좌골신경통을 치료한다. 가지와 줄기는 남천죽경이라고 푸르며 지해정천, 강장 흥분의 효능이 있으며, 남천 열매에는 난테닌(nantenine), 이소코리딘(isocorydine) 등의 알칼로이드 성분이 있어 해수, 천식, 백일해, 간 기능 장애 등에 약제로 사용되었으며, 잎은 강장제로 사용되어왔다(배기환,한국의 약용식물. 출판사: 교학사. p.150, 2000).
또한 남천의 에센셜 오일 및 각종 유기 추출물은 특정 식물 병원성 진균에 대한 광범위한 곰팡이 제거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작물, 식물 및 관상용 식물에 감염을 일으키는 여러 병원성 곰팡이를 통제하기위한 합성 살균제로 사용 가능하며, 남천 녹색 잎, 빨간 색 잎 그리고 열매 추출물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비교한 결과, DPPH 실험에 빨간 색 잎은 다른 추출물과 비하면 강한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Vivek K. Bajpai,한국생물공학회; 372-373, 2008, Mi Jin Park et al., 한국자원식물학회; 232-232, 2017).
본 발명자들은 항균 및 항산화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남천의 새로운 생리활성 효과를 발견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 잎 추출물이 피부 재생 촉진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 유래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물 유래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 잎 추출물은 피부재생 촉진 효과가 있으며 세포독성이 없으므로, 피부재생 촉진 조성물로써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남천 열매(NDF)의 HDFn 세포 독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남천 잎(NDL)의 HDFn 세포 독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남천 열매(NDF)의 24시간 후 피부 재생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남천 잎(NDL)의 24시간 후 피부 재생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남천 열매(NDF)의 48시간 후 피부 재생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남천 잎(NDL)의 48시간 후 피부 재생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흔한 정원수로 알려져 있는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을 열매 및 잎로 구분하여 에탄올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은 세포 독성이 없으며, 특히 남천 잎 추출물은 피부 재생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5, 도 7).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온탕 추출, 열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및 침지 추출에서 선택되는 방법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침지 추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남천 잎 추출물을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1~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 "피부재생"은 피부 외부 및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에 대해 피부 조직의 회복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창상, 외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또는 아이섀도의 제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남천 잎 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색제(색소), 착향제(향료), 현탁화제, 유화제, 용해보조제, 안정제, 등장제, pH조절제, 점도조절제, 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법에 적용시킬 수 있다. 구제척으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이들 각 제형에 적합하고 당업계에 주지된 각종의 통상적인 보조제와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남천 잎 추출물 이외의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남천 잎을 세절하여 70% 에탄올 용매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제조한 남천 추출물의 수율은 각각 18.5%, 24.3%인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HDFn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남천 열매(NDF) 및 남천 잎(NDL) 추출물에서의 세포 독성 및 세포의 증식 효과를 분석한 결과, 고농도의 100 ㎍/㎖의 추출물 농도에서도 세포 독성은 없었으며, 24시간 반응 조건에서 100 ㎍/㎖의 추출물 농도에서 각각 112.89±11.37%, 141.54±2.89%의 세포 증식율, 48시간 반응 조건에서 118.47±12.95%, 166.11±6.45%의 세포 증식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남천 잎 추출물의 피부 재생 효능에 현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따른 관점에서,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온탕 추출, 열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및 침지 추출에서 선택되는 방법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침지 추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예컨대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고형 제제로 제제화된 경우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즈, 젤라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액상 제제화된 경우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포함하며,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의 희석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제화된 경우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를 포함하며,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되는 남천 잎 추출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연령,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남천 잎 추출물은 0.01 내지 20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0mg/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에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실시예 1: 실험 재료 및 통계 분석 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약재는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의 열매 및 잎으로, 2016년 12월에 광주광역시에서 직첩 채집하며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본원 발명의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Excel program을 사용하였고 mean ±standard deviation (S.D.)로 나타나며 통계적 유의성은 Student's t-test법을 사용하여 *p < 0.05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을 판정하였다.
실시예 2: 남천 추출 및 방법
본 실험에 사용된 남천 열매 및 잎은 물로 깨끗하게 씻고 열풍건조기에 24시간 동안 50℃에 건조한 후, 각각 30 g 씩 분쇄기(HBL-3500S, ELEXION, Korea)로 분쇄하여 10배 70% 에탄올에 72시간 동안 상온에서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은 400 mesh 필터로 1차 필터한 후 1000 rpm에서 15 분 동안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남는 불순물을 침전시키고 상층액을 여과지로 2차 여과 하였다. 여과된 남천 가지 및 잎 추출물은 감압 농축하였다. 남천 열매는 18.5%(NDF), 남천 잎은 24.3%(NDL)의 수율을 얻었다.
남천 열매, 잎 부위별로 효능을 비교하려고 각각 70% 에탄올로 이용하여 추출을 진행하였으며, 남천 열매(NDF) 및 남천 잎(NDL)의 수율은 각각 18.5%, 24.3%로 나타났다 (표 1).
남천 부위별 추출물의 수율
추출물 추출 수율 (%)
남천 열매(NDF) 18.5%
남천 잎(NDL) 24.3%
실시예 3: HDFn(ATCC PCS-201-010 )세포 배양 조건
미국 세포주은행 에서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HDFn)는 분양을 받아서 시험에 사용했다. HDFn 사용된 배지는 F-12과 DMEM를 각 1:3 비율로 혼합하였고 10% Fetal bovine serum (FBS), 1% phenicillin-streptomycin (PS)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CO2 incubator에 37℃, 5% CO2, full humidity조건에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배지를 세척 후 PBS (0.1 M phosphate saline buffer, pH 7.4) 완충 용액을 3 ㎖를 사용하여 washing후 1x trypsin-EDTA로 culture dish에 있는 세포를 떼어내었다. 1200 rpm, 5min 동안 원심분리를 상층액을 제거한 후 새로운 배지를 넣고 cells를 풀어주었다. trypan blue 95 ul 및 5 ul 세포를 함유된 배지를 혼합하여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계수하여 5×105 cells/plate 3일 동안 incubation하였다.
실시예 4: 세포 독성
HDFn cell을 이용하여 남천 열매(NDF) 및 남천 잎(NDL)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HDFn(섬유아세포)를 계수하여 1x105 cells/well이 되도록 24-well plate에 접종하였다. 24시간 안정화 후, 남천 열매(NDF), 남천 잎(NDL) 추출물은 DMSO에 용해 후, 100 ㎎/㎖로 시료를 제조하였다. 각 시료는 0.2 ㎛ 필터를 사용하였다. 남천 열매, 남천 잎은 10% FBS 함유된 DMEM를 이용하여 10, 30, 100 ㎍/㎖ 3개 농도로 희석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24시간 후 MTT 용액을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MTT 용액을 각 well당 50 ㎕ 씩 첨가하여 2시간에서 3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생성된 formazan을 용해하기 위해 350 ㎕의 DMSO를 사용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HDFn(섬유아세포)세포를 이용한 세포 독성 실험 결과, 남천 열매(NDF)의 경우 10, 30, 100 ㎍/㎖에서 103.08±0.38, 100.62±0.28, 104.39±0.39%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남천 잎(NDL)의 경우 10, 30, 100 ㎍/㎖에서 104.27±0.78, 99.58±0.65, 101.40±0.49%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었다(도 2, 도 3). 남천 열매 및 잎 추출물을 100 ㎍/㎖까지 처리한 시료에서도 HDFn세포에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5 : 피부 재생 효과 분석 방법 및 결과
실시예 5-1 : Western blot를 통한 세포 내 Tyrosinase, TRP-1의 발현 측정
HDFn(섬유아세포)는 1x104 cells/well로 96-well plate에 접종한 후 overnight 시켜 세포를 안정화 시킨 후, 0.2% FBS 함유된 배지로 교체하고 남천 열매(NDF), 남천 잎(NDL) 시료를 첨가하였다. 남천 열매(NDF), 남천 잎(NDL) 시료는 3, 10, 30, 100 ㎍/㎖의 농도로 2 ㎕씩를 제조하였으며, 24시간, 48시간 MTT시약을 30 ㎕씩 반응시킨 후, 3시간 후부터 550 nm 조건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5-2 : 피부 재생 효능(증식) 결과
HDFn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남천 열매(NDF), 남천 잎(NDL) 시료에서의 증식 효과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4 시간 반응 조건에서, 남천 열매(NDF)는 10, 30, 100 ㎍/㎖에서 93.16±15.96, 99.09±14.06, 112.89±11.37%의 세포 증식율을 나타냈으며, 남천 잎(NDL)은 10, 30, 100 ㎍/㎖에서 98.80±11.38, 112.76±5.15, 141.54±2.89%의 세포 증식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남천 잎(NDL)의 경우 100 ㎍/㎖ 농도에서 각각 115.70±4.50%, 141.54±2.89%의 세포 증식율을 나타내어 대조군보다 피부 재생 효능에 현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남천 잎은 시료의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 도 5).
48 시간 반응 조건에서, 남천 열매(NDF)는 10, 30, 100 ㎍/㎖에서 97.66±17.95, 101.55±17.53, 118.47±12.95%의 세포 증식율을 나타내었으며, 남천 잎(NDL)은 10, 30, 100 ㎍/㎖에서 103.32±12.42, 134.22±11.52, 166.11±6.45%의 세포 증식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남천 잎(NDL)은 30, 100 ㎍/㎖ 농도에서 각각 134.22±11.52, 166.11±6.45%의 세포 증식율을 나타내어 대조군보다 피부 재생 효능에 현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6, 도 7).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30㎍/㎖ 내지 100㎍/㎖ 농도의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아세포 증식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온탕 추출, 열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및 침지 추출에서 선택되는 방법으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70292A 2018-12-27 2018-12-27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2196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292A KR102196952B1 (ko) 2018-12-27 2018-12-27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292A KR102196952B1 (ko) 2018-12-27 2018-12-27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640A KR20200080640A (ko) 2020-07-07
KR102196952B1 true KR102196952B1 (ko) 2020-12-30

Family

ID=7160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292A KR102196952B1 (ko) 2018-12-27 2018-12-27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9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272A (ko) 2021-09-01 2023-03-08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폐질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213A (ko) 2020-08-18 2022-02-25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22212A (ko) 2020-08-18 2022-02-25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173B1 (ko) * 2007-06-01 2009-06-10 (주)아모레퍼시픽 바이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화장료
KR20150001070A (ko) * 2013-06-26 2015-01-06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1699127B1 (ko) * 2014-10-01 2017-01-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101808816B1 (ko) * 2015-12-16 2017-12-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남천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혈관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272A (ko) 2021-09-01 2023-03-08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폐질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640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747B1 (ko)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CN110519997B (zh) 通过辣木叶提取物和杜仲提取物的复合物的抗生、抗氧化、抗炎、抑制牙周骨损失和再生牙周骨缓解牙龈炎和牙周炎的方法
KR102196952B1 (ko)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5195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617590B1 (ko) 아로니아, 아사이베리 및 스테비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식품 조성물
KR101686008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JP5577443B2 (ja) バラ胎座組織培養物の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33101B1 (ko)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171761B1 (ko) 피부노화 방지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0531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US2022007207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comprising bridalwreath spirea
KR10171534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그령속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1496926B1 (ko) 황금, 황련, 황백, 작약 및 루이보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예방 및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5238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KR20220163542A (ko) 레몬머틀 및 꽃송이 버섯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안티 폴루션용 조성물
KR101544000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993676B1 (ko)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92087A (ko) 괴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