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101B1 -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101B1
KR102133101B1 KR1020180148193A KR20180148193A KR102133101B1 KR 102133101 B1 KR102133101 B1 KR 102133101B1 KR 1020180148193 A KR1020180148193 A KR 1020180148193A KR 20180148193 A KR20180148193 A KR 20180148193A KR 102133101 B1 KR102133101 B1 KR 102133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oil
cleans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2598A (ko
Inventor
소현미
Original Assignee
소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현미 filed Critical 소현미
Priority to KR1020180148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1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 및 약재를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백모화 추출물, 쑥 추출물, 무환자나무 추출물, 연잎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국화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의 질 세정에 유용한 여성청결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체에 안전하고 단독 허브나 생약 추출물보다 상승적 항균 효과를 나타내고 향 및 쾌적함을 제공하여, 질 세정움 및 악취제거용 여성청결제로 이용가능성이 높다.

Description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A Feminine cleanser composition comprising imperata cylindrica leaf and artemisia princeps}
본 발명은 허브 및 약재를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백모화 추출물, 쑥 추출물, 무환자나무 추출물, 연잎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국화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의 질 세정 등에 유용한 여성청결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질은 외음부와 자궁의 연결 통로로 여성의 몸에서 가장 습기가 많고 따뜻한 곳이다. 따라서 질염의 주원인인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기 적합한 환경이므로 그로 인한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질 내부에 많은 유산균이 서식하면서 질 내부를 약산성으로 만들어 병원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지만, 항생제 장기복용이나 피임약 장기복용, 탐폰이나 루프사용 또는 임신이나 출산, 수유, 폐경 등으로 여성 호르몬의 균형 변화 등의 이유로 질 내부의 균형이 깨어질 때 질 내에서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성장이 통상적으로 억제되는 기회감염성 병원체의 증식이 일어나 질염이 발병할 수 있다.
질염은 세균성 질염(bacterial vaginosis), 칸디다성 질염(Candida vaginitis), 트리코모나스 질염(Trichomonas vaginitis), 위축성 질염(Atrophic vaginitis) 등이 보고되어 있다. 가장 흔한 질환은 세균성 질염으로,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의해 발병하며, 세균성 질염과 함께 흔한 칸디다성 질염은 진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균에 의해 발병한다.
이와 같은 여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청결제(질세정제), 외음부 세정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질염을 예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부용 세정제로는 지방산류 또는 증류된 라우릴알코올(lauryl alcohol) 등을 설폰화하고 완화제, 점증제, 영양제, 기포제, 유기 살균제 등을 합성한 제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화학적 질 세정제는 장기간 사용시 세정효과가 저하되고 잡균은 제거되는 대신 진균이 증가하며, 악취 및 불쾌한 냄새 제거 효과가 저해되는 등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많은 방법들이 개발이 되어 있더라도 재발이 잘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질염의 일반적인 치료제로서 사용되는 니스타틴(nystatin), 암포테리신B(amphotericinB)과 같은 폴리엔(Polyene)계 약물, 케토코나졸(ketoconazole) 과 같은 아졸(Azole)계 약물, 미코나졸(miconazole)과 같은 이미다졸(imidazole)계 약물 및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플루코나졸(fluconazole)과 같은 트리아졸(triazole)계 약물이 있으나, 이러한 항생제는 충분치 못한 양을 투여했을 경우에는 병균은 죽지 않고 내성으로 인하여 오히려 차후 치료에 더 큰 어려움을 낳는다.
이와 같이 질 세정 및 이상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 약물이 제시되고 있으나 사용의 부위가 외부 물질에 대한 가장 민감한 점막 부위임을 염두한 자극성이 없는 세정제, 청결제 또는 약물의 제시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자극성과 부작용이 없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청결제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지금까지 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87764호에서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을 제시한 바 있고, 특허등록번호 제 10-1917644호에서 "호로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을 제시한 바 있으며, 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87765호에서 "렌틸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을 제시한 바 있고, 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71558호에서 "캐모마일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한편, 백모화(삘기꽃)는 벼과 식물인 띠(삘기, 학명: Imperata cylindrica)의 꽃이삭을 말하며, 5월에 흑자색으로 피고 잎보다 먼저 나오며,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는 길이 10 ~ 20 cm로 흰색 털이 있으며, 원줄기에서 1 ~ 2회 갈라지고, 각 마디에 2개의 작은 이삭이 달린다. 작은 이삭은 길이 3.5~4.5mm의 타원형이고, 밑부분에 은백색 털이 많다. 갈색의 수술은 2개이고,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져 길게 나오며 흑자색이다. 맛은 달고 성질은 따듯하며 독이 없으며, 예로부터 꽃이삭을 꽃줄기째 잘라 햇볕에 말리면 약재로서 지혈 및 진통 효능이 알려져 있다.
쑥(Japanese mugwort, 학명: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PAMPAN). HARA)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높이는 60∼120㎝에 달하며 원줄기에 종선이 있다. 전체가 거미줄 같은 털로 덮여 있고, 근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싹이 나와 군생한다. 쑥은 우리의 건국신화에 등장할 정도로 그 이용의 역사가 오래이다. 한방에서는 약재로 이용한다. 약성은 온(溫)하고 신(辛)하며 이기혈(理氣血), 온경(溫經), 지혈(止血), 축한습(逐寒濕), 이담(利膽), 안태(安胎)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심복냉통, 월경불순, 붕루(崩漏), 대하, 토혈, 변혈, 소화불량, 식욕부진, 만성간염, 태동불안(胎動不安), 습진, 개선(疥癬: 부스럼) 등의 증상에 사용한다.
무환자나무(無患者, Sapindus mukorossi)는 낙엽이 지는 활엽교목으로서, 높이가 30 m 이상인 큰 나무띠다. 잎은 길이 30cm 이상의 큰 깃꼴 겹잎으로, 어긋나며, 긴 잎자루와 4-6쌍의 작은잎을 가지고 있다. 꽃은 적자색으로 초여름에 큰 원추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리는데, 각각의 꽃은 4 ~ 5개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열매는 곧 모양의 핵과로 10월경에 익는다. 주로 산에서 자라며, 특히 전라북도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무환자나무의 열매는 손으로 문질러도 거품이 나오는 천연계면활성제이기도 하다. 그래서 비누 대용품으로 쓰인다.
연잎은 수련과 식물인 연꽃(학명: Indian lotus, Oriental lotus)의 잎을 말하며, 어긋나며(互生), 수면으로부터 약 30 cm 이상까지 잎자루가 신장(伸張)한다. 연잎은 물을 튕겨내는 성질이 있어 어느 정도 빗물이 차면 아래로 떨어뜨린다. 또한 흙탕물이 묻지도 않는데, 과학자들은 이러한 성질을 가진 연잎의 구조를 연구하여 절대로 젖지 않는 식기와 옷감을 만들어 냈다. 연잎은 비타민 C와 식이섬유소가 풍부하고, 혈관질환 개선 (항산화물질인 퀄세틴 등이 풍부하여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며,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혈압 강하에 도움을 준다.) 효능이 알려져 있다.
사상자(뱀도랏, 학명: Torilis japonica)는 풀밭에서 자라고, 높이 30 ~70 cm이며, 전체에 눈털이 나며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 잎이 나온 잎이 2회 깃꼴로 갈라지며 길이 5 ~10 cm이다.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의 밑부분은 잎집처럼 원줄기를 감싼다. 꽃은 6 ~ 8월에 흰색으로 핀다. 각 6 ~ 20개의 꽃이 달린다. 총포는 4 ~ 8개이고 줄 모양이며 길이 1cm 정도이고 작은 총포는 줄 모양이며 작은 꽃자루에 붙는다. 열매는 분열과로서 달걀 모양이며 길이 2.5 ~ 4 mm이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열매는 수렴제·소염제·살충제 등으로 쓴다.
국화(학명: Chrysanthemum morifolium)는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하며, 많은 원예 품종이 있다. 높이 1 m 정도로 줄기 밑부분이 목질화하며, 잎은 어긋나고 깃꼴로 갈라진다. 꽃은 두상화로 줄기 끝에 피는데 가운데는 관상화, 주변부는 설상화이다. 꽃은 노란색, 흰색, 빨간색, 보라색 등 품종에 따라 다양하고 크기나 모양도 품종에 따라 다르다. 국화는 동양에서 재배하는 관상식물 중 가장 역사가 오랜 꽃이며, 사군자의 하나로 귀히 여겨왔다. 관상용 뿐 아니라 차나 탕으로도 끓여먹을 수 있다. 날이 추워 입이 텄을 때 국화차를 마시면 좋다고 한다. 화전을 만들어 먹을 수도 있다.
감초(학명: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감초의 겉껍질은 적갈색이나 암갈색을 띠며 세로로 주름이 있고 때때로 피목, 싹눈 및 비늘잎이 붙어 있다. 껍질 벗긴 감초는 바깥 면이 엷은 황색이고 섬유성이다. 약재로서의 직접적인 효능은 위장 보호 및 독성 중화, 특히 다른 약재의 독을 중화하고 효능을 완화시켜 효능이 적절히 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주로 한다. 또한, 맛이 달아 탕약의 역한 맛을 줄이는 역할도 한다. 그러므로 한방에서 약재 처방을 할 때 비교적 자주 들어간다.
이에, 본 발명자는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안전한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백모화 추출물, 쑥 추출물, 무환자나무 추출물, 연잎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국화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항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쾌적함 등 기호도 역시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백모화 추출물, 쑥 추출물, 무환자나무 추출물, 연잎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국화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술한 허브 및 약재를 혼합한 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여성청결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모화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쑥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무환자나무 추출물 3 내지 10 중량부, 연잎 추출물 3 내지 10 중량부, 사상자 추출물 3 내지 10 중량부, 국화 추출물 3 내지 10 중량부, 및 감초 추출물 3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백모화 20 내지 30 중량부, 쑥 20 내지 30 중량부, 무환자나무 3 내지 10 중량부, 연잎 3 내지 10 중량부, 사상자 3 내지 10 중량부, 국화 3 내지 10 중량부, 및 감초 3 내지 10 중량부를 각각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또는 혼합한 후 추출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 상기 단계 i)의 혼합 추출물에 정제수 및 첨가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모화 추출물, 쑥 추출물, 무환자나무 추출물, 연잎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국화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의 물질이어서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여성 청결제로서의 활용도가 높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백모화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쑥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무환자나무 추출물 3 내지 10 중량부, 연잎 추출물 3 내지 10 중량부, 사상자 추출물 3 내지 10 중량부, 국화 추출물 3 내지 10 중량부, 및 감초 추출물 3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각 식물은 재배하는 것 또는 시판하는 것 모두 사용가능하고, 천연 뿐만 아니라 잡종 및 변종 식물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예로는 물, C1 내지 C4의 무수 또는 저급 알코올, 상기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애플워시 3 내지 10 중량부, 글리세린 3 내지 10 중량부, 및 1,2-헥산디올(1,2-Hexanediol) 0.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제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아로마오일 0.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제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오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아로마오일은 모두 사용가능하며, 예로는 티트리 오일, 라벤더 오일, 페퍼민트 오일, 네롤리 오일, 레몬 오일, 장미 오일, 로즈마리 오일, 쟈스민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바질 오일, 쥬니퍼 오일 또는 클라리세이지 오일 등이 있으며, 티트리 오일, 라벤더 오일 및 페퍼민트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상기 여성청결제는 여성의 질에 외부로부터 침입한 세균에 의해 감염이 되어 나타나는 증상인 분비물, 가려움, 냄새 등을 예방하고 불쾌함을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청결제는 냉대하증, 염증과 가려움증은 물론 상기 세균 감염 또는 염증으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불임증, 자궁근종, 자궁암 등 각종부인병의 원인을 해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허브 및 약재 재료는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9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 조성물은 세정제용, 약제용, 화장료용, 물티슈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정제용은 스프레이형, 액상형, 젤형, 분말, 고형의 비누, 폼 타입 등으로 제형화 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액상 제형은 부직포 또는 펄프에 도포하여 물티슈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용은 종래의 일반적 화장료 제형인 로션, 화장수, 크림, 에센스, 에어로졸, 파우더, 오일 또는 미스트 등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용은 상기한 허브 및 약재 재료 외에도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수용성 성분, 분말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도 조절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약제용은 비경구투여를 위한 피부외용제 형태로서 크림, 연고, 로션, 드레싱용액, 분무제, 기타 도포제 등으로 제형화 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제용은 상기한 허브 및 약재 재료 외에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용제, 착색제, 또는 착향제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i) 백모화 20 내지 30 중량부, 쑥 20 내지 30 중량부, 무환자나무 3 내지 10 중량부, 연잎 3 내지 10 중량부, 사상자 3 내지 10 중량부, 국화 3 내지 10 중량부, 및 감초 3 내지 10 중량부를 각각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또는 혼합한 후 추출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 상기 단계 i)의 혼합 추출물에 정제수 및 첨가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i)의 추출물은 허브 및 약재를 각각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할 수 있고, 일부만 묶어서 함께 추출할 수 있으며, 전체 재료를 혼합한 후 동시에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예로는 물, C1 내지 C4의 무수 또는 저급 알코올, 상기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ii)의 첨가제는 애플워시 3 내지 10 중량부, 글리세린 3 내지 10 중량부, 및 1,2-헥산디올(1,2-Hexanediol) 0.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제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 아로마오일 0.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제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마오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아로마오일은 모두 사용가능하며, 예로는 티트리 오일, 라벤더 오일, 페퍼민트 오일, 네롤리 오일, 레몬 오일, 장미 오일, 로즈마리 오일, 쟈스민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바질 오일, 쥬니퍼 오일 또는 클라리세이지 오일 등이 있으며, 티트리 오일, 라벤더 오일 및 페퍼민트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상기 여성 청결제 조성물은 세정제용, 약제용, 화장료용, 물티슈용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프레이형, 액상형, 젤형, 분말, 고형, 폼 타입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 실시예 1> 여성 청결제의 제조
백모화 100 g을 추출용매(증류수) 1000 g와 혼합한 후 100℃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백모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쑥 100 g, 무환자나무 100 g, 연잎 100 g, 사상자 100 g, 국화 100 g, 감초 100 g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백모화 추출물 29 ml, 쑥 추출물 29 ml, 무환자나무 추출물 8 ml, 연잎 추출물 8 ml, 사상자 추출물 8 ml, 국화 8 ml, 감초 추출물 8 ml, 애플워시 10 ml, 글리세린 10 ml, 1,2-헥산디올 0.5 ml, 아로마오일 0.5 ml 및 나머지 정제수를 혼합하여 전체 150 ml의 조성물을 제조한 후, 교반하여 잘 섞은 준 다음, 소독된 용기에 담았다.
< 비교예 1> 백모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백모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나머지 재료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쑥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쑥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나머지 재료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백모화 및 쑥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백모화 추출물 및 쑥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나머지 재료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무환자나무 추출물, 연잎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국화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연잎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국화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나머지 재료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항균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들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한 질염 발생 원인균으로서 진균류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와 일반 세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전 배양된 칸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를 각각 디스크 확산법 측정용 평판배지(Sabouraud Dextrose Agar. Difco. USA)에 100 ㎕씩 분주하여 도말한 후,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들을 멸균된 페이퍼 디스크에 5 mg/disc의 농도로 시료를 점적하고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양성 대조군으로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해서는 항진균제인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에 대해서는 항생제인 앰피실린(Ampicillin)을 사용하였으며, 페이퍼디스크에 100 ㎍/disk의 농도로 점적한 후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음성 대조군으로 식염수 5 mg/disc의 농도로 점적한 후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이 평판배지를 28℃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육저지환(Clean Zone)의 크기(mm)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이 강한 생육저지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 2 및 4의 경우 생육저지효과가 실시예 1에 비해 약 1/2 이하로 떨어졌으며, 비교예 3의 경우 약 1/3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칸디다 알비칸스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대조군 120 130
양성 대조군 24 25
실시예 1 29 30
비교예 1 53 55
비교예 2 58 59
비교예 3 89 95
비교예 4 72 78
< 실험예 2>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들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여성청경제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관능평가는 30대 및 40대 여성 피험자 15명(각 실험군 당 3명 배정)에게 2개월 동안 1일 1회 사용하게 하였고, 각 회당 사용 방법은 조성물을 약 1.0 ml씩 점적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여성청결제의 세정력, 향, 쾌적함 및 전반적인 기호도로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향, 쾌적함 및 기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 및 2의 경우 전체적인 관능 평가가 다소 낮아졌으며, 비교예 3 및 4의 경우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 특성
세정력 쾌적함 전체적 기호도
실시예 1 7 8 8 8
비교예 1 5 6 5 6
비교예 2 5 4 5 5
비교예 3 2 3 3 3
비교예 4 3 2 3 2
< 실험예 3> 세포 독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섬유아세포(Human Diploid Fibroblast)를 세포를 96웰(well) 플레이트에 5000 cells/㎕의 농도로 희석하여 100 ㎕ 접종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무혈청 배지를 웰에 90 ㎕ 넣었다. 이후, 최종 농도가 200㎍/㎕가 되도록 희석한 실시예 1의 조성물 10 ㎕를 웰에 처리한 후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Phosphate Buffered Saline(PBS)에 5 ㎎/㎖의 농도로 녹인 MTT 시약을 20 ㎕ 넣어주고 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MTT 시약과 실시예 1의 조성물이 포함된 배지를 제거하고 웰에 100㎕ acidisopropanol(0.04N HCliniso-propanol)을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하고,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섬유아세포의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여성 청결제 조성물은 체내 세포에는 독성을 미치지 않아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세포 생존율(%)
실시예 1 100.8

Claims (5)

  1. 백모화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쑥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무환자나무 추출물 3 내지 10 중량부, 연잎 추출물 3 내지 10 중량부, 사상자 추출물 3 내지 10 중량부, 국화 추출물 3 내지 10 중량부, 및 감초 추출물 3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애플워시 3 내지 10 중량부, 글리세린 3 내지 10 중량부, 및 1,2-헥산디올(1,2-Hexanediol) 0.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아로마오일 0.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아로마오일은 티트리 오일, 라벤더 오일 및 페퍼민트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5. i) 백모화 20 내지 30 중량부, 쑥 20 내지 30 중량부, 무환자나무 3 내지 10 중량부, 연잎 3 내지 10 중량부, 사상자 3 내지 10 중량부, 국화 3 내지 10 중량부, 및 감초 3 내지 10 중량부를 각각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또는 혼합한 후 추출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 상기 단계 i)의 혼합 추출물에 정제수 및 첨가제를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48193A 2018-11-27 2018-11-27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133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193A KR102133101B1 (ko) 2018-11-27 2018-11-27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193A KR102133101B1 (ko) 2018-11-27 2018-11-27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598A KR20200062598A (ko) 2020-06-04
KR102133101B1 true KR102133101B1 (ko) 2020-07-10

Family

ID=7108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193A KR102133101B1 (ko) 2018-11-27 2018-11-27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690B1 (ko) * 2020-08-21 2021-03-16 (주)바이오시엠 우수한 항균효과 및 가려움완화에 도움을 주는 저자극 외음부 세정제 조성물
KR102430140B1 (ko) * 2020-09-17 2022-08-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액상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430138B1 (ko) * 2020-09-17 2022-08-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153B1 (ko) * 2003-07-07 2006-02-02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질염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유효성분의 추출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KR101404798B1 (ko) * 2011-06-08 2014-06-12 (주) 앤디 천연약초를 이용한 아로마 에센스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598A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709B1 (ko)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870780B1 (ko) 다마스크 장미꽃오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544532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9172B1 (ko)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48042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471818B1 (ko)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3101B1 (ko)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103021B1 (ko) 편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및 항질염용 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5718A (ko) 쇠비름 추출물 및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
KR102518446B1 (ko) 천연 원료 기반의 남성 청결제
KR102196952B1 (ko)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2296688B1 (ko) 천연물 유래의 질 건강 유지용 조성물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36835B1 (ko)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20240004199A (ko) 올벚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917644B1 (ko) 호로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98194B1 (ko) 헤어 및 바디용 다기능 소취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5599A (ko) 천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69881B1 (ko) 관중, 단삼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또는 항진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3973B1 (ko) 한약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7555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5552B1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20150116301A (ko) 피지 억제 및 피부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유카, 보골지 및 비단풀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