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835B1 -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835B1
KR101936835B1 KR1020170012246A KR20170012246A KR101936835B1 KR 101936835 B1 KR101936835 B1 KR 101936835B1 KR 1020170012246 A KR1020170012246 A KR 1020170012246A KR 20170012246 A KR20170012246 A KR 20170012246A KR 101936835 B1 KR101936835 B1 KR 101936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eed oil
flowers
potato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764A (ko
Inventor
이경록
한병석
김경민
김정환
김수영
강지미
방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70012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8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7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4Urogenital system, e.g. vagina, uterus, cervix, penis, scrotum, urethra, bladder; Personal lubric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FEMININE CLEANSER COMPOSITION COMPRISING POTATO OR POTATO PULP EXTRACT}
본 발명은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질은 외음부와 자궁의 연결 통로로 여성의 몸에서 가장 습기가 많고 따뜻한 곳이다. 따라서 질염의 주원인인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기 적합한 환경이므로 그로 인한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질 내부에 많은 유산균이 서식하면서 질 내부를 약산성으로 만들어 병원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지만, 항생제 장기복용이나 피임약 장기복용, 탐폰이나 루프사용 또는 임신이나 출산, 수유, 폐경 등으로 여성 호르몬의 균형 변화 등의 이유로 질 내부의 균형이 깨어질 때 질 내에서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성장이 통상적으로 억제되는 기회감염성 병원체의 증식이 일어나 질염이 발병할 수 있다.
질염은 세균성 질염(bacterial vaginosis), 칸디다성 질염(Candida vaginitis), 트리코모나스 질염(Trichomonas vaginitis), 위축성 질염(Atrophic vaginitis) 등이 보고되어 있다. 가장 흔한 질환은 세균성 질염으로,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의해 발병하며, 세균성 질염과 함께 흔한 칸디다성 질염은 진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균에 의해 발병한다.
이와 같은 여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청결제(질세정제), 외음부 세정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질염을 예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부용 세정제로는 지방산류 또는 증류된 라우릴알코올(lauryl alcohol) 등을 설폰화하고 완화제, 점증제, 영양제, 기포제, 유기 살균제 등을 합성한 제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화학적 질 세정제는 장기간 사용시 세정효과가 저하되고 잡균은 제거되는 대신 진균이 증가하며, 악취 및 불쾌한 냄새 제거 효과가 저해되는 등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많은 방법들이 개발이 되어 있더라도 재발이 잘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질염의 일반적인 치료제로서 사용되는 니스타틴(nystatin), 암포테리신B(amphotericinB)과 같은 폴리엔(Polyene)계 약물, 케토코나졸(ketoconazole) 과 같은 아졸(Azole)계 약물, 미코나졸(miconazole)과 같은 이미다졸(imidazole)계 약물 및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플루코나졸(fluconazole)과 같은 트리아졸(triazole)계 약물이 있으나, 이러한 항생제는 충분치 못한 양을 투여했을 경우에는 병균은 죽지 않고 내성으로 인하여 오히려 차후 치료에 더 큰 어려움을 낳는다.
이와 같이 질 세정 및 이상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 약물이 제시되고 있으나 사용의 부위가 외부 물질에 대한 가장 민감한 점막 부위임을 염두한 자극성이 없는 세정제, 청결제 또는 약물의 제시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자극성과 부작용이 없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청결제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458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6- 00236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안전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감자(Solanum Tuberosum (Potato))”는 생육기간이 짧고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비교적 높고 환경적응성도 비교적 강하기 때문에 세계 130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 밀가루, 옥수수 다음으로 가는 세계 4대 식량작물 중의 하나이다. 감자는 일부 국가에서는 주식으로서도 중요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공제품을 만드는데 이용되기도 하고, 음식문화가 서구화 됨에 따라서 감자의 소비는 더 한층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감자박(Solanum Tuberosum (Potato) Pulp)”은 감자로부터 전분을 뽑아내고 남은 찌꺼기를 말려서 분쇄한 것이다. 상기 감자 및 감자박은 단당류를 함유하여 락토바실러스 균의 성장 촉진, 질 내의 산성을 유지하는 락트산의 생성을 촉진시킴으로써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무 추출물, 비트뿌리 추출물, 당근 추출물 및 우엉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Raphanus sativus var.)”는 소화불량과 가래, 기침에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 동의보감에 기록된 한약재 나복은 무를 일컬으며, 무는 폐경, 위경에 작용하고, 소화를 촉진시키고 강장의 효과가 있으며, 담을 삭이고 독을 풀어주는 해독작용과 거담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비트(Beta vulgaris) 뿌리”는 비트의 뿌리 부분을 말하며, 비트는 근공채(根恭菜), 홍채두(紅菜頭), 화염채(火焰菜)라고도 불린다. 유럽 남부 원산으로 원줄기는 1m 내외로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두껍고 연하다. 비트뿌리는 혈액을 맑게 해주며 노화방지, 암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혈압을 낮추고 간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당근(Daucus carota var.)”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2년초로서 뿌리는 굵고 곧으며 황색, 감색, 붉은 색을 띠고 가지고 갈라지며 세로로 모가 난 줄이 있고 퍼진 털이 있다. 당근에 포함되어 있는 카로틴은 몸에 흡수되면 비타민 A로 전환되며, 이는 야맹증, 안구건조증 등 안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 그 외 한방에서는 당근은 빈혈, 저혈압 등에 효능이 있는 약재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서, “ 우엉(Arctium lappa L.)”은 국화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뿌리 부위가 식품의 용도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생약재로서 성숙한 과실이 우방자라 하여 해열이나 해독 등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종자나 잎 부위도 민간요법이나 한방에서 이뇨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식품으로 주로 이용되는 뿌리는 섬유질과 함께 이눌린 형태로 주로 존재하는 당질로 인해 당뇨병이나 신장 질환에 도움이 되며, 항산화 및 항돌연변이 활성, 항염증 활성 등의 효과와 함께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증에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무, 비트뿌리, 당근, 우엉 등의 뿌리 채소는 면역 증강, 항균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바, 여성 청결제 조성물에 포함되어 항균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오미자 추출물, 복령 추출물, 홍삼 추출물, 후박 추출물, 갈근 추출물, 백급 추출물, 광곽향 추출물, 감초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가시오갈피 추출물, 도인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인삼 추출물, 당귀 추출물, 황련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미자, 복령, 홍삼, 후박, 갈근, 백급, 광곽향, 감초, 고삼, 가시오갈피, 도인, 맥문동, 인삼, 당귀, 황련, 황백 및 어성초를 통칭, 생약재로 지칭하였다.
본 발명에서, “오미자(Schizandrae Fructus)”는 낙엽 활엽 덩굴나무로 잎은 어긋나고 난형(卵 形) 또는 도란형(倒卵形)이며 끝은 급히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뒷면 맥상에 다소 털이 있다. 꽃은 홍백색으로 6~7월에 피며 자웅이주이다. 과실은 식용으로 쓰이고 가지 끝에 이삭모양으로 늘어지며 8~9월에 붉게 익는다. 주성분으로는 시잔드린(schizandrin), 시잔드란(schizandran), γ -시잔드린(schizandrin), 에타미그래날(ethamigrenal), 고미신(gomisin)과 정유 성분으로 시트럴(citral), 네스퀴카렌 (sesquicarene), α ,β -차미그렌(chamigrene) 등이 주요 성분으로 포함되어 있고, 중추신경 흥분작용, 진해(鎭咳)작용, 거담(祛痰)작용, 자궁 수축작용, 항균작용, 혈압강하작용, 강심작용, 트란스아미나제(Transaminase) 저하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복령(Poria cocos)”은 소나무 뿌리에서 자라난 균핵으로, 지름 5 내지 7㎝ 의 공모양 혹은 타원형을 띄며, 땅 위에서는 나무껍질 조각과 함께 밤색 또는 더러운 흑색을 띤다. 복령은 지라를 건강하게 하고, 안정제로 쓰이며, 태열안정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몸을 따뜻하게 한다고 전해지고 있다. 소화성 궤양, 근육경련, 갈증, 현훈, 정신불안, 실면증에 효과적이며, 한약재로 강장, 이뇨, 진정 등에 효능이 있어, 신장병, 방광염, 요도염에 이용되었다. 또한, 접촉성 피부염 억제작용 효과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홍삼”이란, 인삼을 증숙 또는 팽숙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인삼의 녹말을 호화한 것을 말한다. 주된 약리성분으로 알려진 인삼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다른 식물에서 발견되는 사포닌과 다른 특이한 화학 구조 뿐 아니라 그 효능도 매우 상이하다.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말초에서는 간을 보호하고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생식 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특히 항염 및 항종양작용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후박 (Magnolia officinalis)”은 쌍떡잎 식물에 속하여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의 상록 활엽수로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남부에 서식한다. 예로부터 약용으로 줄기 및 가지의 껍질이 천식과 위장병 치료에 사용되었으며 마그놀(magnolol), 이소마그놀(isomagnolol), 호노키올(honokiol), 마치올(machiol)과 같은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 중, 호노키올(honokiol)은 폴리페놀(polyphenol)에 속하는 물질로 항우울, 혈전응고저해, 신경 안정, 항균 효능을 나타내는 유용한 물질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갈근(Puerariae radix)”은 대한약전에 의하면 칡(Pueraria lobata Ohwi)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로서, 민간에서는 기호 식품, 음료, 건강 식품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방에서 갈근은 기육을 풀어 주는 작용을 하므로 감기 몸살이나 발진성 질환, 항강통 등에 해표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며 비장과 위장의 기를 상승하게 도와주어 진액을 만들어 갈증을 해소하게 하고 지사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백급”은 자란(Bletilla striata Reichb. fil.)의 덩이줄기로 신선한 생괴근에는 수분 14.6%, 전분 30.48%, 포도당 1.5%가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와 점액질도 함유되어 있다. 뿌리에는 블레틸라 만난(bletilla mannan)이 함유되어 있다. 백급은 양호한 국소지혈작용을 가지고 혈구를 응집시켜 인공혈전을 형성하는 지혈작용을 가지며, 항균작용도 있으며, 폐결핵 및 규폐와 폐결핵의 합병증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광곽향(Pogostemonis Herba)”은 필리핀, 인도, 중국 남부 등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광곽향은 다년생 초목인 Pogostemon cablin Bentham의 지상부를 건조한 것으로서, 파코울리 알코올(pachouli alcohol), 유제놀(eugenol), 신나믹 알데히드(cinnamic aldehyde), 파고스톨(pagostol), 파코울리피리딘(pachouli pyridine) 등의 정유를 약 1.5% 정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또는 크론병 (Crohn's disease)과 같은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본 발명에서, “감초(Glycyrrhizae Radix)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이며, 유럽감초(Glycyrrhiza glabra L.), 만주감초(Glycyrrhiza uralensis F.)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뿌리와 주출경(走出莖)을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통증완화 및 해열/해독 작용이 뛰어난 효능 때문에 예로부터 한의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진정작용, 항염증 효과 및 항균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고삼(Sophora flavescens)”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도둑놈의 지팡이, 너삼, 뱀의 정자나무라고도 한다. 고삼의 주피를 벗긴 뿌리는 피부 진균 발육 억제, 피부 보습, 미백, 혈액 순환 개선 뿐 아니라 방부 효과를 보이는 원료로 잘 알려져 있다. 고삼은 하초습열(下焦濕熱)로 인한 황달, 이질, 대하, 음부가려움증에 유효한데, 가려움증에는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하며, 피부가려움증과 농포창, 옴이나 버짐 등에 활용되며, 열이 쌓여서 소변을 잘 못보고 아픈 증상에 효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가시오갈피 (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 . & Maxim.)Maxim.)"는 오대산, 지리산 등과 만주, 시베리아, 훗카이도 등에 자생한다. 생체기관의 전반적인 기능을 증대시켜 주는 촉진작용을 하며, 생체 기관의 환경적응 내지 방어력을 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도인(Persiccae Semen)”은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복숭아나무 Prunus persica Batsh.의 성숙종자로서 지방유(40~50%), 아미그달린(amygdalin), 트리올레인(triolein), 수용성 단백질 PR-A, PR-B(Shigeru et al., Shoyakugaku Zasshi 40, 2, 129, 1986)을 함유하고 있으며, 파혈(anticoagulant blood), 거담, 장윤활 작용과 어혈(stagnant blood)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은 다년생식물로서 근경과 종자로 번식하는 식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500 m 이하의 낮은 야산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잎은 연중 녹색을 유지한다 (Huh, M. K., H. W. Huh,J. S. Choi, and B. K. Lee. 2007.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Liriope platyphylla (Liliaceae) in Korea. J. Life Sci. 17, 328-333.). 맥문동은 한국과 중국에서 기침, 가래 등의 질병 치료제로 한방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당뇨 치료, 기억력 증진, 미생물 억제, 염증 억제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인삼(Panax ginseng)”은 깊은 산악지대에서 자라는 식물로 높이는 60㎝ 에 달하고, 근경은 짧으며 곧거나 비스듬히 서고, 밑에서 도라지 같은 뿌리가 발달한다. 주로 우리나라, 중국에서 널리 재배되며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고 안식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다년초 식물로서 우리나라 중북부의 산간 및 고랭지가 재배 적지로 알려져 있으며, 오랫동안 약재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데쿠르신(Decursin), 데쿠르시놀(decursinol) 등의 쿠마린(coumarin) 유도체와 α-피네네(α-pinene), β-에우데스몰(β-eudesmol) 등이 주성분으로서 함유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약리 효과로 항균효과, 피로회복 및 보혈, 빈혈 및 부인병 계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황련(Coptis chinensis)”)은 미나리아제비과(ranuc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베르베린(berberine), 콥티신(coptisine), 팔마틴(palmatine) 등의 알칼로이드 화합물 및 오바쿠논(obacunone), 오바쿨락톤(obaculactone) 등의 성분들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균 작용, 혈압강하작용, 자궁 등의 기관 평활근이완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황백(Phellodendri Cortex)”은 황벽나무(황경피나무; Phellodendron amurense Rupr.(운향과)) 또는 그 밖의 동속식물의 주피를 벗겨낸 줄기껍질이다. 황백의 유효성분으로는 껍질 성분으로서 베르베린(berberine), 팔마틴(palmatine), 구아니딘(guanidine), 자트로리진(jatrorr-hizine), 펠로덴드린(phyellodendrine), 칸디신(candicine), 메니스페린(me-nisperine) 등의 알칼로이드계 성분, 오바쿠논(obakunone), 오바쿠락톤(obakulactone) 등의 고미성 물질, 스테로이드계 물질 등이 있다. 황백은 항균작용, 혈압강하작용, 중추신경 억제작용, 아세틸콜린 증강작용 및 항염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항산화와 노화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는 삼백초과(Saururaceae)의 식물인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의 전초로, 아시아 동남부와 특히 일본, 한국 등지에 서식한다. 약리적으로는 강심, 이뇨, 항균, 해독, 항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민간에서는 해독과 미용을 돕는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하고 있다. 상기 어성초에는 항균, 항바이러스, 진균억제에 효과가 있는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 화합물과 이뇨, 강심, 배변작용에 효과가 있는 플라보노이드계열의 화합물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감자, 감자박, 뿌리채소 및/또는 각종 생약재들의 추출물 뿐 아니라 상기 각 추출물들의 혼합액, 감자, 감자박, 뿌리채소 및/또는 각종 생약재 혼합물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상기 각각의 해당 식물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C1 내지 C4의 무수 또는 저급 알코올, 상기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 용매, 아세톤,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으로, 단독으로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 용매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또는 증류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감자, 감자박, 뿌리채소 및/또는 각종 생약재를 1회 이상 추출하여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 추출물을 감압 증류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얻은 건조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물(또는 증류수)을 사용하여 감자 추출물(실시예 1) 및 감자박 추출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2). 또한, 상기 감자 추출물 및 감자박 추출물 각각에 뿌리채소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실시예 3 및 실시예 4), 생약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5 및 실시예 6).
본 발명에서 열수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포도씨오일, 호호바씨 오일, 사향장미씨오일, 빅사씨오일, 보리지씨오일, 리씨열매오일, 석류씨오일, 고수씨오일, 당근씨오일, 딸기씨오일 및 드럼스틱씨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오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오일”은 실내 온도에서 액체로 있는 유지, 유화성분으로 이를 함유함으로써 유화활성 및 유화안정도가 증가하며,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오일은 더욱 구체적으로 “식물종자오일”일 수 있으며, 임의의 식물 종자 또는 견과류의 오일이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해바라기씨오일은 해바라기 씨앗에서 채취한 오일로 비타민 A와 E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보습효과가 좋고 피부노화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카다미아씨오일은 피부에 잘 스며들어 번들거림이 없으며, 피부를 매끄럽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카다미아씨 오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팔미톨레익산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체내에서 농도가 감소하게 되는 성분으로, 나이든 사람의 피부에 더욱 유익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혈액순환촉진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도씨오일은 포도씨를 압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항산화제인 비타민 E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고농도의 리놀레인산을 함유한다. 보습효과가 뛰어나고 피부 깊숙이 스면들어 모공 속 노폐물까지 제거해주는 세정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호바씨오일은 호호바씨를 압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화학구조가 피지 성분과 유사하여 피부에 잘 침투하기 때문에 끈적이지 않으며, 피부 보습 효과, 피부 주름완화 및 감소효과, 여드름 진정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향장미씨오일은 사향장미씨를 압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토코페롤, 비타민 A 및 B, 카로틴이 함유되어 있다. 기미, 흉터, 주름 및 피부 트러블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빅사씨오일은 주로 보습목적으로 사용되며, 피부에 적용시 판토텐산이 증가하여 피부 조직을 재생시키고 생리기능을 촉진시키데 도움을 주는 것을 알려져 있다.
보리지씨오일은 보리지씨를 압축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감마리놀렌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마사지 오일, 화장 크림으로 활용되고 있다.
리씨열매오일은 리씨열매에서 얻은 오일 성분으로, 리씨는 월경 불순 치료, 천식 완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석류씨오일은 석류씨를 압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석류는 당질, 유기산 등 다양한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어 고혈압, 동맥경화 예방 및 부인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수씨오일은 고수씨를 압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고수는 항균성이 있어 보존제로 활용되고 있으며, 종자오일은 방향제로도 활용되었다.
당근씨오일은 당근씨를 압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피부 세포 재생을 촉진시킴으로써 흉터 제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방에서 당근씨는 살충 효과가 있어 장내 기생충 제거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딸기씨오일은 오메가 3 등 주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고, 토코페롤 및 노화방지 물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피부 탄력을 유지하면서 피부 진정, 보습,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드럼스틱씨오일은 드럼스틱씨을 압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향기를 유지하는 성질이 있어 항료로도 사용된다. 그 외 각질이나 굳은살 등 피부를 연화시켜 죽은 피부의 탈락을 돕거나 유효 성분의 흡수가 용이하도록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오일들은 피부 노화방지 등 피부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여성 청결제로서의 용도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감자 추출물에 식물종자오일을 혼합한 혼합물(실시예 7) 및 감자박 추출물에 식물종자오일을 혼합한 혼합물(실시예 8)을 제조하였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라벤더꽃, 수레국화꽃, 에버라스팅꽃, 페퍼민트잎, 로즈마리잎, 쟈스민꽃, 비터오렌지꽃, 캐모마일꽃, 위치하젤꽃, 오렌지꽃, 연꽃, 엘더꽃, 피나무꽃, 서양장미꽃, 알로에베라잎, 유칼립투스잎 및 세이지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꽃 또는 잎을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수용액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꽃 또는 잎을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수용액”을 “꽃/잎수”로 지칭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꽃/잎수는 상기 기재된 꽃 또는 잎 외에도 임의의 식물 의 꽃 또는 잎을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수용액이면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라벤더꽃수는 피부 진정 및 활력 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레국화꽃수는 피부 정화 및 보습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버라스팅꽃수는 모공수렴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페퍼민트잎수는 모공을 깨끗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로즈마리잎수는 피부 청결, 자극완화 및 트러블 진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쟈스민꽃수는 피부 진정 및 보습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터오렌지꽃수는 노화방지 및 피부 청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캐모마일꽃수는 피부 트러블 및 피부 홍조 진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치하젤꽃수, 오렌지꽃수는 피부 진정 효과가 있으며, 연꽃수는 항산화 효과가 있고, 엘더꽃수는 보습 효과가 있다. 피나무꽃수는 손상된 모발을 부드럽게 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서양장미꽃수는 피부결을 곱게하는 효과가 있고, 알로에베라잎수는 자극받은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칼립투스잎수는 비듬 예방 효과가 있으며, 세이지잎수는 피부 정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꽃/잎수들은 피부 또는 모발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으나, 여성 청결제로서의 용도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감자 추출물에 꽃/잎수를 혼합한 혼합물(실시예 9) 및 감자박 추출물에 꽃/잎수를 혼합한 혼합물(실시예 10)을 제조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에
무 추출물, 비트뿌리 추출물, 당근 추출물 및 우엉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복령 추출물, 홍삼 추출물, 후박 추출물, 갈근 추출물, 백급 추출물, 광곽향 추출물, 감초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가시오갈피 추출물, 도인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인삼 추출물, 당귀 추출물, 황련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포도씨오일, 호호바씨 오일, 사향장미씨오일, 빅사씨오일, 보리지씨오일, 리씨열매오일, 석류씨오일, 고수씨오일, 당근씨오일, 딸기씨오일 및 드럼스틱씨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오일; 및
라벤더꽃, 수레국화꽃, 에버라스팅꽃, 페퍼민트잎, 로즈마리잎, 쟈스민꽃, 비터오렌지꽃, 캐모마일꽃, 위치하젤꽃, 오렌지꽃, 연꽃, 엘더꽃, 피나무꽃, 서양장미꽃, 알로에베라잎, 유칼립투스잎 및 세이지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꽃 또는 잎을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수용액을 더욱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감자 추출물, 뿌리채소 추출물, 생약 추출물, 식물종자오일 및 꽃/잎수의 혼합물(실시예 11) 및 감자 추출물, 뿌리채소 추출물, 복합 생약 추출물, 식물종자오일 및 꽃/잎수의 혼합물(실시예 12)을 제조하였다.
상기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 뿌리채소 추출물, 생약 추출물, 식물종자오일 및 꽃/잎수는 중량비 기준으로 동일 비율로 혼합될 수 있고, 1~10 : 1~10 : 1~10 : 1~10 : 1~10 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각의 추출물, 오일 또는 꽃/잎수의 혼합에 있어서 중량비 기준으로 동일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혼합비는 필요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모든 추출물의 원료는 천연물 유래의 물질이어서 독성이 없으며,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 등급상 1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안전성이 우수한 것이 입증되었으므로, 특정 추출물이 과량 포함된다 하더라도 부작용이 없다.
본 발명에서, “여성 청결제”란 여성의 질에 외부로부터 침입한 세균에 의해 감염이 되어 나타나는 증상인 분비물, 가려움, 냄새 등을 예방하고 불쾌함을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청결제는 냉대하증, 염증과 가려움증은 물론 상기 세균 감염 또는 염증으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불임증, 자궁근종, 자궁암 등 각종 부인병의 원인을 해소하는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질 내 유해 세균을 억제 또는 사멸시키면서 예민한 부위에 대한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추출물 및 혼합물들이 모두 강한 생육저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1). 또한, 상기 본 발명 조성물이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에 대해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칸디다 바실러스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의 생장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특히,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균 효과가 질 내 유익한 유산균에 대해서는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반면, 유해균에 대한 저해 효과가 매우 크게 나타나 항균 효과의 선택성까지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 조성물은 체내 세포에는 독성을 미치지 않아 안전함을 확인하였다(표 3).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 조성물은 세정제용, 약제용, 화장료용, 물티슈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정제용은 스프레이형, 액상형, 젤형, 분말, 고형의 비누, 폼 타입 등으로 제형화 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액상 제형은 부직포 또는 펄프에 도포하여 물티슈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용은 종래의 일반적 화장료 제형인 로션, 화장수, 크림, 에센스, 에어로졸, 파우더, 오일 또는 미스트 등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용 여성 청결제 조성물은 상기한 생약추출물 외에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피부 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성분, 예를 들면 수용성 성분, 분말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도 조절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약제용은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로서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으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고, 비경구투여를 위한 형태로서 크림, 연고, 로션, 드레싱용액, 분무제, 기타 도포제 등으로 제형화 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여성 청결제 조성물에 있어서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5중량% 내지 30.0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0.01중량%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항진균 또는 항균 효과가 나타나는 이점이 있으며, 조성물의 제형이 안정화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은 기호성 식품 성분을 첨가하여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각종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일반적인 식품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첨가성분은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 상기 추출물과 뿌리채소 추출물, 생약 추출물, 식물종자오일 및/또는 꽃/잎수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균 및/또는 항진균 활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의 물질이어서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여성 청결제로서의 활용도가 높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모든 원료는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 등급상 1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안전성이 우수한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감자 추출물의 제조
감자 건조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감자박 추출물의 제조
감자박 건조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감자 추출물 및 뿌리채소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
무, 비트뿌리, 당근, 및 우엉 각각의 건조중량 100g씩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각각의 추출물들을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추출물들을 중량비 기준으로 동일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감자 추출물과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감자 추출물 및 뿌리채소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감자박 추출물 및 뿌리채소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
무, 비트뿌리, 당근, 및 우엉 각각의 건조중량 100g씩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각각의 추출물들을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추출물들을 중량비 기준으로 동일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감자박 추출물과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감자박 추출물 및 뿌리채소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감자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
오미자, 복령, 홍삼, 후박, 갈근, 백급, 광곽향, 감초, 고삼, 가시오갈피, 도인, 맥문동, 인삼, 당귀, 황련, 황백 및 어성초 각각의 건조중량 100g씩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각각의 추출물들을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추출물들을 중량비 기준으로 동일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감자 추출물과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감자 추출물 및 복합 생약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감자박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
오미자, 복령, 홍삼, 후박, 갈근, 백급, 광곽향, 감초, 고삼, 가시오갈피, 도인, 맥문동, 인삼, 당귀, 황련, 황백 및 어성초 각각의 건조중량 100g씩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각각의 추출물들을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추출물들을 중량비 기준으로 동일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감자박 추출물과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감자박 추출물 및 복합 생약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감자 추출물 및 식물종자오일의 혼합물 제조
EWG 1등급의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포도씨오일, 호호바씨 오일, 사향장미씨오일, 빅사씨오일, 보리지씨오일, 리씨열매오일, 석류씨오일, 고수씨오일, 당근씨오일, 딸기씨오일 및 드럼스틱씨오일을 중량비 기준으로 동일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감자 추출물과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감자 추출물 및 식물종자오일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감자박 추출물 및 식물종자오일의 혼합물 제조
EWG 1등급의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포도씨오일, 호호바씨 오일, 사향장미씨오일, 빅사씨오일, 보리지씨오일, 리씨열매오일, 석류씨오일, 고수씨오일, 당근씨오일, 딸기씨오일 및 드럼스틱씨오일을 중량비 기준으로 동일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감자박 추출물과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감자박 추출물 및 식물종자오일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감자 추출물 및 꽃/ 잎수의 혼합물 제조
라벤더꽃, 수레국화꽃, 에버라스팅꽃, 페퍼민트잎, 로즈마리잎, 쟈스민꽃, 비터오렌지꽃, 캐모마일꽃, 위치하젤꽃, 오렌지꽃, 연꽃, 엘더꽃, 피나무꽃, 서양장미꽃, 알로에베라잎, 유칼립투스잎 및 세이지잎 각각의 건조중량 100g씩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100℃에서 40~50분 동안 증류하여, 수증기 증류방식으로 수용액 성분을 수득하여 각각의 꽃수 또는 잎수를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꽃수 또는 잎수들을 중량비 기준으로 동일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감자 추출물과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감자 추출물 및 꽃수 또는 잎수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감자박 추출물 및 꽃/ 잎수의 혼합물 제조
라벤더꽃, 수레국화꽃, 에버라스팅꽃, 페퍼민트잎, 로즈마리잎, 쟈스민꽃, 비터오렌지꽃, 캐모마일꽃, 위치하젤꽃, 오렌지꽃, 연꽃, 엘더꽃, 피나무꽃, 서양장미꽃, 알로에베라잎, 유칼립투스잎 및 세이지잎 각각의 건조중량 100g씩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100℃에서 40~50분 동안 증류하여, 수증기 증류방식으로 수용액 성분을 수득하여 각각의 꽃수 또는 잎수를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꽃수 또는 잎수들을 중량비 기준으로 동일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꽃/잎수로 지칭)을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감자박 추출물과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감자박 추출물 및 꽃/잎수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감자 추출물, 뿌리채소 추출물, 생약 추출물, 식물종자오일, 및 꽃/잎수의 혼합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감자 추출물과 실시예 3 내지 10에서 제조한 바 있는 뿌리채소 추출물의 혼합물, 생약 추출물의 혼합물, 식물종자오일의 혼합물 및 꽃/잎수의 혼합물을 중량비 기준으로 동일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감자박 추출물, 뿌리채소 추출물, 생약 추출물, 식물종자오일, 및 꽃/ 잎수 혼합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감자박 추출물과 실시예 3 내지 10에서 제조한 바 있는 뿌리채소 추출물의 혼합물, 생약 추출물의 혼합물, 식물종자오일의 혼합물 및 꽃/잎수의 혼합물을 중량비 기준으로 동일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자사 시판 여성 청결제
현재 시판 중인 자사 여성 청결제를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항균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천연 추출 항균제 조성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였다. 대상 균주로 질염 발생 원인균으로서 진균류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와 일반 세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Gardnerella vaginalis)를 사용하였다.
전 배양된 칸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를 각각 디스크 확산법 측정용 평판배지(Sabouraud Dextrose Agar. Difco. USA)에 100 ㎕씩 분주하여 도말한 후, 추출물을 멸균된 페이퍼 디스크에 5mg/disc의 농도로 시료를 점적하고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양성 대조군으로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해서는 항진균제인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에 대해서는 항생제인 앰피실린(Ampicillin)을 사용하였으며, 페이퍼디스크에100㎍ /disk의 농도로 점적한 후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이 평판배지를 28℃ 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육저지환(Clean Zone)의 크기(mm)를 측정하고,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칸디다 알비칸스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양성 대조군 27 28
실시예 1 28 27
실시예 2 29 27
실시예 3 30 31
실시예 4 32 33
실시예 5 31 30
실시예 6 33 32
실시예 7 31 31
실시예 8 32 34
실시예 9 31 32
실시예 10 32 31
실시예 11 36 36
실시예 12 37 36
비교예 1 28 28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2의 경우 종래의 여성 청결제인 비교예 1에 비해 생육저지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양성 대조군인 항진균제에 비해서도 현저히 우수한 생육저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미생물 증식 억제력 평가
여성의 질 내에서도 증식하는 유산균으로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와 질염 발생 원인균으로서 진균류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와 일반 세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배지 내의 탁도 증가여부를 통하여 미생물 증식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액체배지감수성실험(Broth Microdilution Susceptibility Tests)법을 이용하여 항균활성 및 미생물을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농도인 IC50(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값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균주의 세포 수가 2×105 cells/ml이 되도록 Sabouraud Dextrose 배지로 희석한 후 96-well에 serial dilution 방법에 의해 농도별 처리를 하였다. 그 후, 28℃ 에서 24 시간 배양하고 Microplate reader(BIO-RAD)를 사용하여 570nm 파장에서 그 흡광도를 측정하여 IC50값을 결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
(mg/ml)
생존율(%)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칸디다 알비칸스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실시예 1 5 100 38.8 39.1
10 98 11.8 13.2
20 95 3.1 5.1
50 94 1.2 2.2
실시예 2 5 100 37.8 37.7
10 97 15.1 18.3
20 96 6.1 5.5
50 92 2.1 1.5
실시예 3 5 100 39.4 38.1
10 98 9.5 10.3
20 96 3.1 6.1
50 92 0.8 2.2
실시예 4 5 100 27.6 28.9
10 98 14.7 15.4
20 97 5.8 3.2
50 93 1.8 2.0
실시예 5 5 100 30.0 27.9
10 96 8.7 9.5
20 93 3.1 4.6
50 90 0.9 1.7
실시예 6 5 100 31.2 23.4
10 97 9.6 12.5
20 95 5.8 5.3
50 90 1.3 1.0
실시예 7 5 100 35.8 37.6
10 94 14.8 18.7
20 92 7.7 5.4
50 89 2.1 3.1
실시예 8 5 100 33.1 35.2
10 95 14.4 18.9
20 92 6.6 5.4
50 90 2.2 2.1
실시예 9 5 100 30.3 31.2
10 97 12.5 11.1
20 95 5.8 4.6
50 90 1.7 1.3
실시예 10 5 100 30.1 29.8
10 98 10.3 9.3
20 96 5.1 4.9
50 92 1.5 1.2
실시예 11 5 100 22.1 31.2
10 97 5.3 9.6
20 95 1.7 3.2
50 90 0.8 1.1
실시예 12 5 100 23.4 30.5
10 96 5.7 9.3
20 94 3.2 4.3
50 90 1.0 1.3
비교예 1 5 100 39.6 40.3
10 91 15.4 20.1
20 85 7.8 5.6
50 79 2.2 3.4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2는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에 대해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칸디다 바실러스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의 생장을 저해하여 거의 증식이 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비교예 1의 경우 농도가 높아질수록 락토바실러스 카제이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2에 비해 상대적으로 칸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에 대한 생장 저해 효과가 다소 감소되어 있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종래의 제품에 비해 여성 청결제로서의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균 효과가 선택성까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3. 세포 독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섬유아세포(Human Diploid Fibroblast)를 세포를 96웰(well) 플레이트에 5000cells/㎕ 의 농도로 희석하여 100㎕ 씩 접종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무혈청 배지를 각 웰에 각각 90㎕ 씩 넣었다. 이후, 최종 농도가 200㎍ /㎕ 가 되도록 희석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시료를 10㎕ 씩 각 웰에 처리한 후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Phosphate Buffered Saline(PBS)에5㎎ /㎖ 의 농도로 녹인MTT시약을 20㎕ 씩 넣어주고 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MTT 시약과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시료가 포함된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각 웰에 100㎕ acidisopropanol(0.04N HCliniso-propanol)을 첨가하여 30분간 교반하고,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섬유아세포의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을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
실시예 1 101.3
실시예 2 100.8
실시예 3 99.1
실시예 4 99.4
실시예 5 100.1
실시예 6 101.2
실시예 7 99.5
실시예 8 100.8
실시예 9 103.2
실시예 10 101.1
실시예 11 99.7
실시예 12 100.3
비교예 1 98.4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 조성물은 체내 세포에는 독성을 미치지 않아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액상 여성 청결제 조성물 제조
하기의 표 4와 같이 액상 여성 청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원료명 함량(중량%)
본 발명 조성물 20
프로필렌글라이콜 5
1,2-헥산디올 5
하?록시에틸셀룰로오스 4.25
피브이피 4
베타인 1.5
피피지-25-부테스-26 1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트 1
디소듐이디티에이 0.2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2
시트릭애씨드 0.2
정제수 To 100
제조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크림 제형의 여성 청결제 제조
하기의 표 5와 같이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조성물 함량(중량%)
본 발명 조성물 20
디메티콘코폴리올 10
사이클로메치콘 10
우레아 20
글리세린 20
트리에탄올아민 0.02
방부제 1
정제수 To 100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감자박 추출물, 당근 추출물, 무 추출물, 비트뿌리 추출물, 및 우엉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오미자 추출물, 복령 추출물, 홍삼 추출물, 후박 추출물, 갈근 추출물, 백급 추출물, 광곽향 추출물, 감초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가시오갈피 추출물, 도인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인삼 추출물, 당귀 추출물, 황련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여성 청결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포도씨오일, 호호바씨 오일, 사향장미씨오일, 빅사씨오일, 보리지씨오일, 리씨열매오일, 석류씨오일, 고수씨오일, 당근씨오일, 딸기씨오일 및 드럼스틱씨오일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여성 청결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라벤더꽃, 수레국화꽃, 에버라스팅꽃, 페퍼민트잎, 로즈마리잎, 쟈스민꽃, 비터오렌지꽃, 캐모마일꽃, 위치하젤꽃, 오렌지꽃, 연꽃, 엘더꽃, 피나무꽃, 서양장미꽃, 알로에베라잎, 유칼립투스잎 및 세이지잎을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수용액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여성 청결제 조성물.
  6. 삭제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효과 또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무수 또는 저급 알코올, 상기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 용매, 아세톤,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여성 청결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자박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5중량% 내지 30.0중량% 포함되는 것인,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20170012246A 2017-01-25 2017-01-25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1936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46A KR101936835B1 (ko) 2017-01-25 2017-01-25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46A KR101936835B1 (ko) 2017-01-25 2017-01-25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764A KR20180087764A (ko) 2018-08-02
KR101936835B1 true KR101936835B1 (ko) 2019-01-11

Family

ID=6325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246A KR101936835B1 (ko) 2017-01-25 2017-01-25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049B1 (ko) * 2020-04-08 2020-09-16 문주현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과 프리바이오틱스를 함유한 항염 항균 기능 증진 여성청결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0610B (zh) * 2020-03-04 2022-07-08 东莞波顿香料有限公司 用于婴幼儿湿巾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婴幼儿湿巾
KR102431866B1 (ko) * 2020-04-09 2022-08-18 이성재 천연재료 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비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587A (ko) 2001-07-05 2003-01-15 정부교 신용카드 즉시 결제 서비스 방법
KR20060002369A (ko) 2004-07-02 2006-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모터 하우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 Edziri 외 6명. In vitro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me Tunisian vegetables. South African Journal of Botany, Vol. 78, 2012, pp. 252-256
Paola Bontempo 외 7명.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Solanum tuberosum L. var. Vitelotte.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Vol. 55, 2013, pp. 304-31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049B1 (ko) * 2020-04-08 2020-09-16 문주현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과 프리바이오틱스를 함유한 항염 항균 기능 증진 여성청결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764A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709B1 (ko)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310970B1 (ko)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
KR101483343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471818B1 (ko)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873997A (zh) 一种含有植物提取物为活性成分的功能性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66279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KR101986186B1 (ko)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936835B1 (ko)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CN109288931A (zh) 一种治疗婴幼儿湿疹的组合物,制剂及制备方法和应用
KR20130105003A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33101B1 (ko)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168300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104898B1 (ko) 강화사자발쑥 등의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효과를 갖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7644B1 (ko) 호로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1307718B1 (ko)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피부 개선용 한방 비누
KR102455238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KR10216753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9278B1 (ko) 자귀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