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891B1 -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891B1
KR101829891B1 KR1020170099037A KR20170099037A KR101829891B1 KR 101829891 B1 KR101829891 B1 KR 101829891B1 KR 1020170099037 A KR1020170099037 A KR 1020170099037A KR 20170099037 A KR20170099037 A KR 20170099037A KR 101829891 B1 KR101829891 B1 KR 101829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comparative example
skin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록
한병석
김경민
김정환
김수영
강지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70099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891B1/ko
Priority to US15/837,454 priority patent/US10434057B2/en
Priority to CN201711318380.3A priority patent/CN10938141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SMANTHUS ASIATICUS EXTRACT AND CLEMATIS APIIFOLIA EXTRACT}
본 발명은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물리적, 화학적 혹은 생물학적 자극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또한, 피부는 피부 내부의 수분 및 체온을 조절하는 등의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피부 내부의 신진 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피부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면, 피부에 염증과 아토피와 같은 각종 트러블이 발생한다. 또한, 피부의 기능 저하로 인해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하고, 멜라닌이 세포에 침착하여 기미, 주근깨, 주름 등으로 피부가 손상된다.
이러한 피부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피부 외용제인 화장품 조성물이 개발되었다. 특히,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의 원인인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항산화제라 함은 산화작용으로 손상된 피부 기능과 구조가 파괴되고 소진되는 현상을 상당 정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는 능력을 갖고 있고, 자외선 노출로 인해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켜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장품 업계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다수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약용식물은 항암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성이 함유되어 있어 화장품의 원료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방법으로 수득된 천연 유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품은 항산화, 항염 및 미백 등 기능성이 충분히 구현되지 아니하며, 피부 개선 활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우수한 기능성과 함께 생체 안정성 및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 유래 화장료 제품의 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사위질빵은 산과 들에서 흔히 자라는 소염, 진통, 이뇨, 지사에 효능이 있는 약용식물이다. 사위질빵은 신경통, 안면신경마비, 중풍, 편두통, 근육마비, 류머티스성 관절염, 무릎이 시리고 아픈데, 허리가 아픈데, 통풍, 손발이 마비된 데, 목구멍에 가시가 걸린 데 두루 좋은 효험이 있으며, 이뇨 작용도 뛰어나서 신장염으로 인한 부종의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화장품 개발을 위한 피부 개선 활성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다.
따라서 우수한 기능성과 함께 생체 안정성 및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 유래 화장품 제품의 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발명자들은 사위질빵을 이용한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사위질빵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갈근 추출물, 감초 추출물, 관동화 추출물, 고삼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백급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가시오갈피 뿌리 추출물, 도인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인삼 추출물, 천궁 추출물, 향부자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황금 추출물, 당귀 추출물, 황련 추출물, 괴화 추출물, 황백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및 미백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영양로션,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오일, 파운데이션,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샴푸, 린스,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발효함에 따라 항산화제인 폴리페놀계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항산화능을 대조군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미백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개선 효과 및 생체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은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예컨대, 주름개선효능과 관련된 콜라겐 합성, 탄력 개선 또는 피부 미백, 피부 자극 완화, 피부 진정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은목서(Osmanthus asiaticus)”는 물푸레나무과의 늘푸른 넓은잎 떨기나무이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의 넓은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잎은 길이 7~12cm, 폭 2.5~4cm이며, 잎맥은 들어가고 뒷면에서는 잎맥이 도드라진다. 꽃은 이가화로 황백색으로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리며 향기가 매우 좋다. 꽃받침과 꽃잎은 4개로 갈라지고 2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타원형의 핵과로 꽃이 핀 다음해 5월에 짙은 보라색으로 열린다. 중국이 원산으로서, 한국에서는 남부 지역에 서식한다.
상기 “사위질빵(Clematis apiifolia)”은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덩굴식물이다. 산과 들에서 흔히 자라며, 길이는 약 3m이다 어린 잎과 줄기를 식용으로 사용하고, 한국, 일본 및 중국에 분포한다. 상기 사위질빵은 소염, 진통 이뇨, 지사의 효능이 있으며, 뿌리는 백근초라하고 요통과 중풍에 효험이 있다. 줄기는 여위라하고 열이 날 때나 부종, 설사 등에 사용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갈근 추출물, 감초 추출물, 관동화 추출물, 고삼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백급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가시오갈피 뿌리 추출물, 도인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인삼 추출물, 천궁 추출물, 향부자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황금 추출물, 당귀 추출물, 황련 추출물, 괴화 추출물, 황백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갈근(Puerariae radix)”은 대한약전에 의하면 칡(Puerarialobata Ohwi)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로서, 민간에서는 기호 식품, 음료, 건강 식품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방에서 상기 갈근은 기육을 풀어 주는 작용을 하므로 감기 몸살이나 발진성 질환, 항강통 등에 해표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며 비장과 위장의 기를 상승하게 도와주어 진액을 만들어 갈증을 해소하게 하고 지사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는 국로(國老), 미초(美草), 밀감(蜜甘), 밀초(蜜草), 영통(靈通), 첨초(甛草)라고도 명칭되는 식물이다. 상기 감초의 겉껍질은 적갈색이나 암갈색을 띠며 세로로 주름이 있고 때때로 피목, 싹눈 및 비늘잎이 붙어 있으며, 특이한 냄새가 나고 맛이 달다. 한방에서는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관동화(Farfarae flos)”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꽃이다. 한방에서는 윤폐(潤肺) 작용이 있어서 진해, 거담하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폐허(肺虛)로 인해 기침이 나고 가래에 피가 섞일 때 및 폐결핵, 폐농양에 유효한 것(潤肺下氣)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외감성으로 인한 해수, 천식, 상기도감염증에 널리 응용되며, 울체된 기를 풀어 균일한 피부로 가꾸어준다.
상기 “고삼(Sophora flavescens)”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도둑놈의 지팡이, 너삼, 뱀의 정자나무라고도 한다. 고삼의 주피를 벗긴 뿌리는 피부 진균 발육 억제, 피부 보습, 미백, 혈액 순환 개선뿐 아니라 방부 효과를 보이는 원료로 잘 알려져 있다. 고삼은 하초습열(下焦濕熱)로 인한 황달, 이질, 대하, 음부가려움증에 유효한데, 가려움증에는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하며, 피부가려움증과 농포창, 옴이나 버짐 등에 활용되며, 열이 쌓여서 소변을 잘못보고 아픈 증상에 효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후박(Magnolia officinalis)”은 쌍떡잎 식물에 속하여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의 상록 활엽수로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남부에 서식한다. 예로부터 약용으로 줄기 및 가지의 껍질이 천식과 위장병 치료에 사용되었으며 마그놀(magnolol), 이소마그놀(isomagnolol), 호노키올(honokiol), 마치올(machiol)과 같은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 중, 호노키올(honokiol)은 폴리페놀(polyphenol)에 속하는 물질로 항우울, 혈전응고저해, 신경 안정, 항균 효능을 나타내는 유용한 물질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백급”은 자란(Bletilla striata Reichb. fil.)의 덩이줄기로 신선한 생괴근에는 수분 14.6%, 전분 30.48%, 포도당 1.5%가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와 점액질도 함유되어 있다. 뿌리에는 블레틸라 만난(bletilla mannan)이 함유되어 있다. 백급은 양호한 국소지혈작용을 가지고 혈구를 응집시켜 인공혈전을 형성하는 지혈작용을 가지며, 항균작용도 있으며, 폐결핵 및 규폐와 폐결핵의 합병증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오배자(Rhus semialata)”는 매미목 진딧물과의 오배자면충이 옻나무과의 오배자나무(붉나무)의 잎에 기생하여 만든 벌레혹으로, 생김새는 고르지 않고 불규칙하게 2~4개로 갈라진 주머니 모양을 하거나 깨어져 있다. 바깥 면은 회색을 띈 회갈색으로 연한 갈색의 짧은 털로 덮여 있고 단단하면서 부서지기 쉽다. 속은 비어 있으나 회백색의 분질 또는 죽은 벌레와 분비물이 남아 있을 수 있다. 오배자는 수렴작용이 강해 폐가 허하여 생기는 만성해수, 오래된 기침, 그리고 오랜 설사, 탈항, 식은땀, 유정 등을 치료하고 대변출혈, 코피, 자궁출혈, 외상출혈, 조기, 피부염, 가려움증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약리작용으로는 수렴효과, 항균작용, 간기능 보호작용, 항산화 작용 등에 효과가 있다.
상기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 Rupr . &Maxim.)Maxim.)"는 오대산, 지리산 등과 만주, 시베리아, 훗카이도 등에 자생한다. 생체기관의 전반적인 기능을 증대시켜 주는 촉진작용을 하며, 생체 기관의 환경적응 내지 방어력을 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도인(Persiccae Semen)”은 장미과에 속하는 복숭아나무의 성숙종자로서 지방유(40~50%), 아미그달린(amygdalin), 트리올레인(triolein), 수용성 단백질 PR-A, PR-B(Shigeru et al., Shoyakugaku Zasshi 40, 2, 129, 1986)을 함유하고 있으며, 파혈(anticoagulant blood), 거담, 장윤활 작용과 어혈(stagnant blood)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은 다년생식물로서 근경과 종자로 번식하는 식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500 m 이하의 낮은 야산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잎은 연중 녹색을 유지한다 (Huh, M. K., H. W. Huh,J. S. Choi, and B. K. Lee. 2007.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Liriope platyphylla (Liliaceae) in Korea. J. Life Sci. 17, 328-333.). 맥문동은 한국과 중국에서 기침, 가래 등의 질병 치료제로 한방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 는 당뇨 치료, 기억력 증진, 미생물 억제, 염증 억제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상기 “인삼(Panax ginseng)”은 깊은 산악지대에서 자라는 식물로 높이는 60㎝ 에 달하고, 근경은 짧으며 곧거나 비스듬히 서고, 밑에서 도라지 같은 뿌리가 발달한다. 주로 우리나라, 중국에서 널리 재배되며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고 안식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이 원산지로써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천궁의 생리적작용으로는 항산화(Lee et al., 2002) 및 혈소판응집 억제 활성(Zhang L et al., 2009) 등의 보고가 있다.
상기 “향부자(Cyperi Rhizoma)”는 사초과 여러해살이풀 향부자의 뿌리줄기로 정유(essential oil), 알칼로이드(alkaloid),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당분(sugar), 펙틴(pec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향부자의 뿌리줄기의 유동엑스는 진통, 자궁의 긴장성 완화, 강심작용, 발뇨작용 및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 향부자는 통경약, 정혈약으로 월경불순, 산전산후의 부인병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해열진정약이나 소화약에 첨가하여 감기, 머리아픔, 배아픔 등에 사용하기도 한다. 화장료와 관련하여 향부자는 피부진균에 대한 강한 항균효과를 보이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혈색을 윤택하게 하며, 항산화 작용과 항염작용으로 인한 피부노화를 예방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상기 “상백피”는 뽕나무(Morus Alba) 또는 같은 속 식물의 뿌리 껍질을 말린 것으로서 과거부터 진해제, 항염증제, 이뇨제 등으로 한방 제제에 널리 사용되었다. 상기 상백피는 진통, 이뇨, 진해, 항부종, 진정, 항경련 및 혈압강하 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지며, 향약 집성방 등에 수록되어 있는 전통 민간 요법으로서 비듬, 가려움 및 탈모 관련 질환에 사용된 바 있다.
상기 “자소엽(Perilla ocymoides)”은 꿀풀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로, 늦여름에 전초를 베어 그늘에 말려 사용하며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여 폐경, 비경, 위경에 작용하는 것으로 본초강목에 나와 있다. 상기 자소엽은 땀을 내어 풍한을 없애며 비위의 기를 잘 통하게 하고 태아를 안정시키고 물고기독을 해독하며, 약리실험에서 약한 해열작용, 건위작용, 억균작용, 방부작용 등이 밝혀졌다. 또한, 상기 자소엽은 풍한표증, 비위의 기가 막혀 헛배가 부르고 그득한 증상, 토하고 설사하는 증상, 한담으로 기침이 나고 숨이 찬 증상 및 임신부의 구토, 기체로 인한 태동불안, 물고기중독 등에 쓰인다.
상기 “마치현(Portulaca oleracea)”은 쇠비름의 파지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쇠비름과 쇠비름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쇠비름, 오행초, 장명채, 마치채 등으로도 불린다. 상기 마치현은 약리학적 활성에 있어 해독, 이뇨 및 이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마현, 오행초, 구두사자초, 마치채, 마치초, 산현, 안동채, 오방초, 장명채, 돼지풀, 도둑풀, 말비름이라고도 불리운다.
상기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 산지의 풀밭에서 자라며, 높이가 20∼60cm이다. 상기 황금의 뿌리는 한방에서 해열, 이뇨, 지사, 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한다. 또한, 상기 황금에는 플라보노이드 중의 하나인 바이칼린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항암, 항염증의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참당귀의 뿌리로 우리나라 중북부의 산간 및 고랭지가 재배 적지로 알려져 있으며, 오랫동안 약재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당귀는 쿠마린(coumarins), 정유(essential oils),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s)을 포함하고 있으며, 주요 활성성분으로는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 등이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약리 효과로 항균효과, 피로회복 및 보혈, 빈혈 및 부인병 계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황련(Coptis chinensis)”은 미나리아제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상기 황련은 베르베린(berberine), 콥티신(coptisine), 팔마틴(palmatine) 등의 알칼로이드 화합물 및 오바쿠논(obacunone), 오바쿨락톤(obaculactone) 등의 성분들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황련의 효능으로는 항균 작용, 혈압강하작용, 자궁 등의 기관 평활근이완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괴화(Flos Sophora japonica Linne)”는 두과에 속하는 회화나무에 속하는 콩과식물의 꽃송이 및 꽃봉우리로서, 괴각(槐角)과 함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상품(上品)으로 수재되어 있다. 상기 괴화는 한방 약리학적으로 맛(味)은 쓰고 성질(性)은 서늘하고 간과 대장으로 귀경(歸經)하여 열을 내리고 피를 차게 하며 출혈을 멎게 하고 눈의 출혈에 의한 떨림(風熱目赤), 혈압강하작용 및 중풍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괴화는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와 사람의 각질형성 세포(Human keratinocyte)의 성장을 촉진하는 활성을 가짐으로써 모발의 생장 및 건강한 두피 생육을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황백(Phellodendron amurensis)”은 황벽나무의 껍질을 약재로 이르는 말로, 황경피라고도 한다. 국내에는 제주 및 전남 지역을 제외한 전지역에서 분포하고,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및 우수리 등지에 분포하며, 잡목 숲 또는 산속의 계곡에서 서식한다. 상기 황백의 줄기에서 껍질을 벗겨내어 조피(粗皮: 거친 껍질)를 제거하거나 썰어서 햇볕에 말린 후, 약으로 복용하며 혈당저하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상기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로, 덩굴성 약용식물이다. 강장제, 강정제, 통경제, 양혈제, 진해제로 활용되며, 감기, 토혈, 신경쇠약, 관절염 치료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 .)”는 삼백초과의 식물인 약모밀의 전초로, 아시아 동남부와 특히 일본, 한국 등지에 서식한다. 약리적으로는 강심, 이뇨, 항균, 해독, 항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민간에서는 해독과 미용을 돕는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하고 있다. 상기 어성초에는 항균, 항바이러스, 진균 억제에 효과가 있는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 화합물과 이뇨, 강심, 배변작용에 효과가 있는 플라보노이드계열의 화합물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으로 천연물로부터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낸 물질이라면, 추출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건조 후 분말화하거나, 열수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60 내지 80% 농도(v/v)의 에탄올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원료에 포함된 유효성분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은 천연 원료의 생리 활성 물질 추출에 있어서 선택성이 뛰어나므로 상기 에탄올 추출에 의해 최적의 피부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물과 에탄올은 극성이 상이하고 각 극성에 따라 추출되는 유효성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최적의 피부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에탄올의 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탄올의 농도가 60% 미만이면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을 수 있고, 80% 초과이면 적정한 수율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 원료를 물로 수세한 후 건조 및 분쇄하여, 원료 중량의 8 내지 12배에 달하는 부피의 용매로 약 1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 순환 추출, 가압 추출, 초음파 추출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또는 동결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상기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50℃ 내지 90℃ 의 온도에서 12 내지 18시간 동안 추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출 온도가 50℃ 미만이면 추출 효율이 저하되고 유효 성분이 적절히 용출되지 않을 수 있고, 60℃ 초과이면 천연 원료에 함유된 유효 성분이 고온에서 변형 또는 소실되어 피부 개선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추출 온도를 적정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출 시간이 12시간 미만이면, 천연 원료에 함유된 유효 성분이 완전이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18시간 초과이면 천연 원료에 함유된 잔여 유효 성분의 함량이 과소하여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므로 추출 시간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및 미백용일 수 있다.
상기 “항산화”는 산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체는 산화촉 진물질과 산화억제물질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하여 이러한 균형 상태를 잃고 산화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기울게 되면, 생체 내에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유발되어 세포손상 및 병리적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높아 DNA, 단백질, 지질 및 탄수화물과 같은 여러 생체물질과 쉽게 반응할 수 있으며, 생체 내 고분자들을 공격하여 세포와 조직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키거나 돌연변이, 세포독성 및 암 등을 초래하게 되고, 노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 활성 산소종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킴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얻어 노화를 방지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미백”은 피부색에 영향을 미치는 멜라닌, 산화-환원 헤모글로빈, 카로틴, 멜라노이드 등 다양한 생체 분자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잡티, 주근깨, 기미 등의 피부 색소 침착 현상을 완화시키고, 피부 누런기, 붉은기를 완화시켜 피부 밝기 및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영양로션,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오일, 파운데이션,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샴푸, 린스,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치,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제조예 : 천연 추출물의 제조
은목서, 사위질빵, 후박, 백급, 오배자, 가시오갈피 뿌리, 향부자, 상백피, 자소엽, 마치현, 황백 및 하수오를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분쇄물을 100g 수득하였다. 각각의 분쇄물 100g에 대해 20배 부피의 에탄올 80%을 용매로 하여 상온에서 7일 동안 침적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250메쉬 및 3㎛ 필터에 의해 여과되었으며, 40℃에서 감압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추출물의 고형분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수득한 시료의 피부 개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기 표 1 및 2와 같이 시료를 혼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정하였다.
[함량(중량부)]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7 8 9
은목서 추출물 30 25 25 25 25 25 25 25 25
사위질빵 추출물 30 25 25 25 25 25 25 25 25
후박 추출물 - 5 - - - - 2 - 1
백급 추출물 - 5 - - - - 2 - 1
오배자 추출물 - - 5 - - - 2 - 1
가시오갈피 뿌리 추출물 - - 5 - - - 2 - 1
향부자 추출물 - - - 5 - - 2 - 1
상백피 추출물 - - - 5 - - 2 1
자소엽 추출물 - - - - 5 - - 2 1
마치현 추출물 - - - - 5 - - 2 1
황백 추출물 - - - - - 5 - 2 1
하수오 추출물 - - - - - 5 - 2 1
[함량(중량부)]
구분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은목서 추출물 60 - - - - - - - - - - -
사위질빵 추출물 - 60 - - - - - - - - - -
후박 추출물 - - 60 - - - - - - - - -
백급 추출물 - - - 60 - - - - - - - -
오배자 추출물 - - - - 60 - - - - - - -
가시오갈피 뿌리 추출물 - - - - - 60 - - - - - -
향부자 추출물 - - - - - - 60 - - - - -
상백피 추출물 - - - - - - 60 - - - -
자소엽 추출물 - - - - - - - - 60 - - -
마치현 추출물 - - - - - - - - - 60 - -
황백 추출물 - - - - - - - - - - 60 -
하수오 추출물 - - - - - - - - - - - 60
실험예 1 : 피부 안전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에 대한 피부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섬유아세포(HDF), 멜라닌형성세포(B16F10), 각질세포(HaCaT)에 대한 MTT assay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정제수에 0, 1, 5, 10, 20, 50 및 100 mg/L의 농도별로 각각 현탁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은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모스만(Mosmann)의 방법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섬유아세포(HDF), 멜라닌형성세포(B16F10), 및 각질세포(HaCaT)를 각각 96-웰 플레이트에 1×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37℃, 5% CO2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배지에 48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반복 세척하였다.
MTT를 5 mg/mL로 PBS에 녹여 50 μL 첨가하고 37℃, 5%의 CO2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MSO(Dimethyl sulfoxide)를 한 웰(well) 당 100L 넣고, 10분 동안 교반한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각 시료의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상기 결과는 상기 시료가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인체 안전성이 우수함을 시사한다.
실험예 2 : DPPH 측정법을 통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을 정제수에 현탁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free radical scavenging acticity)을 평가하였다.
DPPH 측정법은 억제제(inhibitor)가 안정한 라디칼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를 소거하여 탈색되는 정도를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상기 대조군은 비타민 C를 이용하였고, 라디칼 DPPH의 50% 소거하는 농도(SC50)를 측정하고, 이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표 3).
특히, 실시예 1은 농도별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고 대조군과 비교하였다(도 1).
[라디칼 DPPH의 50% 소거하는 농도]
구분 SC 50 (μg/mL)
실시예 1 48.4
실시예 2 41.2
실시예 3 42.1
실시예 4 43.1
실시예 5 42.5
실시예 6 42.6
실시예 7 38.2
실시예 8 39.9
실시예 9 35.6
비교예 1 53.2
비교예 2 54.6
비교예 3 85.3
비교예 4 82.8
비교예 5 83.3
비교예 6 77.4
비교예 7 83.2
비교예 8 77.5
비교예 9 75.3
비교예 10 72.1
비교예 11 82.4
비교예 12 84.6
대조군(비타민 C) 8.7
표 3을 참고하면, SC50의 값이 낮을수록 DPPH 자유라디칼의 소거 활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9의 시료는 단일 추출물인 비교예 1 내지 12에 비해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이 현저히 우수하였다.
특히, 은목서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은 은목서 및 사위질빵을 각각 포함하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이 현저히 개선되었으며, 상기 결과는 은목서 추출물과 사위질빵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시사한다.
또한, 은목서 및 사위질빵 추출물과 후박, 백급, 오배자, 가시오갈피 뿌리, 향부자, 상백피, 자소엽, 마치현, 황백 및 하수오 추출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실시예 2 내지 9는 실시예 1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더욱 향상되었다.
실험예 3 : ABTS 측정법을 통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을 정제수에 현탁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free radical scavenging acticity)을 평가하였다.
ABTS 측정법은 항산화제가 청녹색의 라디칼 ABTS(2,2'-azinodi [3-ethlbenzthiazolne-6-sulfonic acid])을 소거하여 무색의 ABTS로 전환되는 정도를 732nm에서 측정하는 방법이다.
상기 대조군은 비타민 C를 이용하였고, 라디칼 ABTS의 50% 소거하는 농도 (SC50)를 측정하고, 이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표 4).
특히, 실시예 1은 농도별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고 대조군과 비교하였다(도 1).
[라디칼 ABTS의 50% 소거하는 농도]
구분 SC 50 (μg/mL)
실시예 1 59.3
실시예 2 51.2
실시예 3 52.1
실시예 4 53.1
실시예 5 52.5
실시예 6 52.6
실시예 7 52.4
실시예 8 52.3
실시예 9 45.6
비교예 1 78.4
비교예 2 66.6
비교예 3 81.2
비교예 4 88.1
비교예 5 84.4
비교예 6 82.9
비교예 7 84.3
비교예 8 98.1
비교예 9 83.5
비교예 10 81.3
비교예 11 95.8
비교예 12 83.7
대조군(비타민 C) 8.7
표 4를 참고하면, SC50의 값이 낮을수록 자유라디칼의 소거 활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9의 시료는 단일 추출물인 비교예 1 내지 12에 비해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이 현저히 우수하였다.
특히, 은목서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은 은목서 및 사위질빵을 각각 포함하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이 현저히 개선되었으며, 상기 결과는 은목서 추출물과 사위질빵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시사한다.
또한, 은목서 및 사위질빵 추출물과 후박, 백급, 오배자, 가시오갈피 뿌리, 향부자, 상백피, 자소엽, 마치현, 황백 및 하수오 추출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실시예 2 내지 9는 실시예 1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더욱 향상되었다.
실험예 4 : 총 폴리페놀계 화합물 함량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계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Folin-Denis법에 따라 비색정량 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추출물 100 μL 에 D.W 5mL을 혼합하여 folin 시약 1mL을 혼합한 후 20% Na2CO3 용액 1.5mL를 가하여 혼합하여 실온에서 2시간 정치한 후 76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갈산 당량(GAE, gallic acid equivalents)으로 나타내었으며, 미리 작성한 갈산의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추출물에 포함된 폴리페놀을 정량하였다.
구분 총 폴리페놀 화학물(μg GAE/1mg)
실시예 1 90.6
실시예 2 84.1
실시예 3 81.8
실시예 4 85.3
실시예 5 83.4
실시예 6 84.6
실시예 7 99.1
실시예 8 98.8
실시예 9 92.4
비교예 1 90.4
비교예 2 83.2
비교예 3 82.8
비교예 4 78.1
비교예 5 81.5
비교예 6 78.4
비교예 7 81.8
비교예 8 84.4
비교예 9 78.9
비교예 10 76.1
비교예 11 77.5
비교예 12 75.7
폴리페놀은 항산화 효과가 있는 항산화제이기 때문에,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실험예 5 : 멜라닌 생성량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멜라민 함량 분석(melanin contents assay)를 통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에 의한 멜라닌형성(melanogenesis) 저해능을 평가하였다(Eisinger M et al, 1982; Siegrist W and Eberle AN, 1986).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정제수에 50 mg/L 농도로 각각 현탁한 후 멜라닌 생성량을 평가하였다.
60 mm culture dish에 B16F10 세포를 1.5x105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α-MSH(Sigma-Aldrich, St. Louis, MO, USA)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200 μg/mL 농도로 배지에 투입하였다(Virador VM et al, 1999).
48시간 경과 후, 세포를 수확하여 PBS로 1회 세척한 후, 1N NaOH lysis buffer 120 μL를 넣고 95℃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세포를 용해하였다.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 200 μg/mL 농도의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였다(표 6).
특히, 실시예 1은 농도별로 멜라닌 생성율을 측정하였다(도 1).
구분 멜라닌 생성율(%)
실시예 1 53.8
실시예 2 51.1
실시예 3 52.2
실시예 4 52.3
실시예 5 53.1
실시예 6 53.1
실시예 7 49.7
실시예 8 47.2
실시예 9 45.1
비교예 1 52.1
비교예 2 68.6
비교예 3 74.4
비교예 4 84.1
비교예 5 82.4
비교예 6 81.9
비교예 7 75.1
비교예 8 83.4
비교예 9 77.9
비교예 10 76.7
비교예 11 81.2
비교예 12 74.1
양성 대조군 38.2
멜라닌 생성이 억제되는 것은 미백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9의 시료는 단일 추출물인 비교예 1 내지 12에 비해 멜라닌 생성을 더욱 높은 수준으로 저해하였다.
특히, 은목서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은 은목서 및 사위질빵을 각각 포함하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 멜라닌 억제 효과가 더욱 개선되었으며, 이는 은목서 추출물과 사위질빵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시사한다.
또한, 은목서 및 사위질빵 추출물과 후박, 백급, 오배자, 가시오갈피 뿌리, 향부자, 상백피, 자소엽, 마치현, 황백 및 하수오 추출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실시예 2 내지 9는 실시예 1에 비해 미백 효과가 더욱 향상되었다.
실험예 6 : 피부톤 개선 효과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된 시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색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동일한 조성의 크림으로 제형화하였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만을 달리하였다.
20 내지 60세 여성 중 선정된 210명에 대하여 제형화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크림을 적용하고 피부색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여성 210명에 대하여, 10명씩 21개의 조로 나누고 상기 제형화한 크림을 온도 24 내지 26℃, 습도 75% 조건에서 매일 2회씩 12주간 안면에 전체에 도포시켰으며, 전문가의 육안 평가를 통해 피부색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구분 현저히 개선 (명) 약간의 개선 (명) 개선 없음 (명)
실시예 1 3 2 5
실시예 2 6 3 1
실시예 3 4 2 4
실시예 4 4 2 4
실시예 5 5 3 2
실시예 6 4 2 4
실시예 7 5 2 3
실시예 8 4 3 3
실시예 9 7 2 1
비교예 1 1 1 8
비교예 2 2 1 7
비교예 3 2 2 6
비교예 4 2 1 7
비교예 5 3 1 6
비교예 6 2 1 7
비교예 7 2 2 6
비교예 8 1 2 7
비교예 9 2 2 6
비교예 10 3 1 6
비교예 11 2 1 7
비교예 12 2 2 6
표 7을 참고하면,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9의 시료는 단일 추출물인 비교예 1 내지 12에 비해 피부색 개선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은목서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은 은목서 및 사위질빵을 각각 포함하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 피부색 개선 효과가 현저히 증대되었다.
실험예 7 : 피부 탄력 개선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한 시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각 시료를 동일한 조성의 크림으로 제형화 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14, 비교예 1 내지 9의 시료만을 달리하였다.
온도 24 내지 26℃, 습도 75%의 조건에서 2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평균연령 37세)을 그룹별로 나누고 제형화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크림을 각각 도포하였다.
눈가를 중심으로 하루 2회씩(아침 및 저녁) 12주간 상기 제형화한 크림을 도포하였고, 피부탄력 측정기(Cutometer MPA580, Conrage + Khazaka사, 독일연방국)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는 cutometer MPA580의 R8(R8(12주)-R8(0주)) 값으로 기재하였고, R8 값은 피부 점탄성(Vi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내며,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구분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실시예 1 0.65
실시예 2 0.77
실시예 3 0.72
실시예 4 0.73
실시예 5 0.72
실시예 6 0.71
실시예 7 0.73
실시예 8 0.72
실시예 9 0.78
비교예 1 0.42
비교예 2 0.44
비교예 3 0.42
비교예 4 0.34
비교예 5 0.34
비교예 6 0.34
비교예 7 0.35
비교예 8 0.32
비교예 9 0.35
비교예 10 0.34
비교예 11 0.34
비교예 12 0.25
양성 대조군(비타민 C) 0.92
음성 대조군(무처리) 0.31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9의 시료는 단일 추출물인 비교예 1 내지 12에 비해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
특히, 은목서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은 은목서 및 사위질빵을 각각 포함하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현저히 증대되었다.
또한, 또한, 은목서 및 사위질빵 추출물과 후박, 백급, 오배자, 가시오갈피 뿌리, 향부자, 상백피, 자소엽, 마치현, 황백 및 하수오 추출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실시예 2 내지 9는 실시예 1에 비해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더욱 향상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갈근 추출물, 감초 추출물, 관동화 추출물, 고삼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백급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가시오갈피 뿌리 추출물, 도인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인삼 추출물, 천궁 추출물, 향부자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황금 추출물, 당귀 추출물, 황련 추출물, 괴화 추출물, 황백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영양로션,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오일, 파운데이션,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샴푸, 린스,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99037A 2017-08-04 2017-08-04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037A KR101829891B1 (ko) 2017-08-04 2017-08-04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5/837,454 US10434057B2 (en) 2017-08-04 2017-12-11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smanthus asiaticus extract and clematis apiifolia extract
CN201711318380.3A CN109381419A (zh) 2017-08-04 2017-12-12 包含银木犀提取物及钝齿铁线莲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037A KR101829891B1 (ko) 2017-08-04 2017-08-04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891B1 true KR101829891B1 (ko) 2018-02-20

Family

ID=61394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037A KR101829891B1 (ko) 2017-08-04 2017-08-04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34057B2 (ko)
KR (1) KR101829891B1 (ko)
CN (1) CN1093814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761A (ko) * 2019-01-25 2020-08-04 한국콜마주식회사 사위질빵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177B1 (ko) * 2019-03-21 2019-07-08 김문규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샴푸 조성물
CN111150689A (zh) * 2020-01-21 2020-05-15 广州睿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疗伤绒毛花的组合物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1176A (en) * 1872-09-10 Improvement in steam-whistles
CH657866A5 (fr) * 1983-07-06 1986-09-30 Nestle Sa Protection antioxygene des produits alimentaires et cosmetiques par des extraits vegetaux.
CN1105556C (zh) * 1997-03-27 2003-04-16 郑义强 丹桂沐浴露及其生产工艺
CN102670453A (zh) * 2001-10-09 2012-09-19 株式会社芳凯尔 一种组合物a在制备美白用组合物中的应用
KR20040005345A (ko) * 2002-07-09 2004-01-16 김정규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으로부터추출된 항균. 항진균 효과를 갖는 정유(Essential oil)의추출 방법
CN1753968B (zh) * 2003-01-27 2010-04-28 维生素C60生化学研究公司 抗氧化组合物以及外用组合物
EP1555598A1 (en) * 2004-01-14 2005-07-20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generating an on-screen menu
CN1977821A (zh) * 2005-12-08 2007-06-13 赵保云 一种沐浴散的制作方法
EP2144673A2 (en) * 2007-04-19 2010-01-20 Mary Kay, Inc. Magnolia extract containing compositions
CN102151240A (zh) * 2010-12-14 2011-08-17 徐玉仙 中药沐浴露及其制备方法
CA2873461A1 (en) * 2012-05-14 2013-11-21 Biocogent, Llc Prevention of fibroblast collapse
KR20140114240A (ko) * 2013-03-18 2014-09-26 주식회사 에이치티티엔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CN103767975B (zh) * 2014-01-29 2016-03-16 浙江大学 桂花苯乙醇苷提取物在制备美白化妆品中的应用
CN104490712B (zh) * 2014-10-28 2017-11-28 广州环亚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衰老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N106420484A (zh) * 2016-11-07 2017-02-22 北京痘博士痤疮医学研究院 一种安肌舒敏精华液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761A (ko) * 2019-01-25 2020-08-04 한국콜마주식회사 사위질빵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66256B1 (ko) 2019-01-25 2020-10-15 한국콜마주식회사 사위질빵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81419A (zh) 2019-02-26
US10434057B2 (en) 2019-10-08
US20190038546A1 (en)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9330A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986186B1 (ko)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6577A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붓기 완화용 조성물
KR102012732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염증 및 모공축소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9266A (ko) 딱총나무 및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1543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23B1 (ko)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질환 케어용 조성물
KR101998684B1 (ko) 눈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