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343B1 -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 Google Patents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343B1
KR101483343B1 KR20120146879A KR20120146879A KR101483343B1 KR 101483343 B1 KR101483343 B1 KR 101483343B1 KR 20120146879 A KR20120146879 A KR 20120146879A KR 20120146879 A KR20120146879 A KR 20120146879A KR 101483343 B1 KR101483343 B1 KR 101483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white
composition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4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9518A (ko
Inventor
이항종
Original Assignee
이항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항종 filed Critical 이항종
Publication of KR20130069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3Gleditsia (locu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5가지 종류의 약재 성분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A composition for treating skin diseases comprising complex extract and a cosmetic and skin externa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피부질환(skin diseases)은 피부에 생기는 모든 병의 총칭이다.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체내로부터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피부 질환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그에 따라 발현하는 질환의 종류 또한 상당히 많다. 피부질환의 종류로는 아토피, 여드름, 습진, 반점, 종양, 두드러기, 발진, 기미, 주근깨, 피부미란, 피부 트러블, 피부염, 무좀, 피부가려움증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피부질환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로부터 여러 가지 치료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으며,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0-0059188 호에는 천연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으나, 보다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피부질환 치료방법 중 하나로서 피부질환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화장품의 원료로서 합성재료를 사용하거나 천연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합성재료를 장기간 인간의 피부에 적용할 경우에는 안정성이 문제화되므로, 그 사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피부질환을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화장료의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천연물질을 찾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KR 2010-0059188 A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피부질환을 개선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녹두, 주엽나무열매, 감초, 승마, 도인, 자근, 백급, 백선피, 백부자, 백지, 황련, 고본, 녹차, 감송향, 황금, 금은화, 황백, 백렴, 연교, 음나무, 은행잎, 상엽, 마치현, 지부자 및 사상자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질환의 개선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또는 피부외용제의 제조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 피부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을 8주일 사용한 후 피부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2의 피부외용제를 사용하기 전 피부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2의 피부외용제를 4주일 사용한 후 피부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녹두, 주엽나무열매, 감초, 승마, 도인, 자근, 백급, 백선피, 백부자, 백지, 황련, 고본, 녹차, 감송향, 황금, 금은화, 황백, 백렴, 연교, 음나무, 은행잎, 상엽, 마치현, 지부자 및 사상자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복합추출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녹두(綠豆, Phaseolus radiatus)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로서, 피부 진정, 모공수축, 피부를 맑게 하는 효능이 있다.
상기 주엽나무열매는 조협이라고도 불리며, 주엽나무(쥐엄나무)의 열매를 말린 한약재로서, 종기, 피부궤양, 변비 등에 치료 효능이 있다.
상기 감초(甘草)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및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 또는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으로, 각종 통증을 완화시키고, 해열작용, 독극성 물질의 해독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고 한다.
상기 승마(升麻)는 미나리아재빗과의 여러해살이풀의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으로, 해독작용, 폐와 위의 열독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피부의 두드러기, 발진 등에 사용된다.
상기 도인(桃仁)은 복숭아 씨 속에 있는 자인(子仁)을 건조한 것이며, 어혈을 제거하고, 피부 가려움증, 건조, 기미, 주근깨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
상기 자근은 지칫과의 여러해살이풀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지치'라고도 하며, 열을 식히고 독을 풀어주며 피부병의 반진, 습진, 화상, 동상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
상기 백급은 자란(紫蘭, Bletilla striata)의 덩이줄기를 건조한 것으로서, 피를 멈추게 하고 새로운 살을 돋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국부출혈의 지혈, 종기 외과질환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백선피(白鮮皮)는 백선 뿌리의 껍질을 건조한 것으로서, 몸에 습기와 열이 있는 것을 없애주고, 습진, 종기, 농양, 피부 가려움증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
상기 백부자(Aconitum koreanum)는 노랑돌쩌귀라고도 하며,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백부자(Aconitum koreanum R. Raymond)의 덩이뿌리이다. 백부자는 냄새가 없고, 맛은 맵고 성질은 따듯하다. 백부자는 풍과 담을 제거하여 중풍으로 인한 안면신경마비, 경련, 발작, 중풍, 파상풍, 편두통, 두통 및 풍습성 사지마비, 관절통, 음낭습지, 피부가려움증, 경부림프절염에 쓰이며 뱀에 물렸을 때 해독작용이 있다.
상기 백지(白芷)는 구릿대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서, 피부의 창양, 피부병, 소양감 등에 사용된다.
상기 황련(連)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luaceae)에 속한 다년생초목인 황련(Coptis japonica) 및 동속 근연식물의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 해열 작용, 습기 제거 효과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염증, 습진, 소양증 등에 사용된다.
상기 고본(藁本)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 풀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서, 항염증 작용, 백선균에 강한 억제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녹차(綠茶)는 찻잎을 건조한 것으로서, 항암효과, 염증 억제, 세균감염 억제, 항산화 작용, 해독 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다이어트, 피부미용 등에 사용된다.
상기 감송향(甘松香)은 감송(Nardostachys chinensis Batalin) 또는 동속 식물의 뿌리줄기 및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서, 검버섯, 기미, 영양장애를 동반한 부스럼, 각기병, 무릎 부종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황금(芩)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한 다년생초목인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서, 맛이 쓴 편이며, 찬 성질을 가지고, 습기 제거, 열 제거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금은화(金銀花)는 인동과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erg) 또는 그 변종의 꽃봉오리를 건조한 것으로서, 종기, 피부가 헐어 생긴 독, 열독으로 인한 피부조직 괴사, 부스럼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황백(柏)은 황벽나무의 껍질을 건조한 것으로서, 습기를 없애주고, 열이 많은 피부를 진정시키며, 습진이나 소양증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백렴(白斂)은 포도과에 속하는 낙엽성 넌출식물로, 학명은 Ampelopsis japonica. MAKINO이며, 백근(白根), 백초(白草), 염초, 가회톱이라고도 불린다. 가회톱이라는 이름은 잎의 모양이 우상(羽狀)으로 갈라져서 톱과 같이 생긴 데서 유래되었다. 그 뿌리는 한약재로 쓰이며, 소염·진통제, 또는 종기나 피부염·중이염 등 외과적인 염증치료제나 화상이나 부스럼에 사용하며, 피부 재생 효과가 탁월하다.
상기 연교(連翹)는 개나리의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서, 해열작용, 해독 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급성 열성 전염병으로 인한 피부 발진, 종기, 단독 등에 사용된다.
상기 음나무는 음나무의 껍질을 건조한 것으로서, 해동피(海桐皮)라고도 불리며, 풍습을 없애고, 경락을 통하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허리나 무릎 등이 시리고 저린 경우에도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습진, 피부병 등에도 사용된다.
상기 은행잎은 은행나무의 잎을 건조한 것으로, 심장과 혈전에 좋고, 혈관 및 혈류장애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상엽(桑葉)은 뽕나무의 잎을 건조한 것으로, 인체의 풍열을 몰아내고, 간의 화기를 내리는 작용이 있어 피부 두드러기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마치현은 쇠비름과의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을 건조한 것으로서, 해열 작용, 해독 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마른버짐, 무좀, 습진, 종기 등을 개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지부자(地膚子)는 댑싸리의 종자를 건조한 것으로서, 피부의 습열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소양증, 습진 등을 개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사상자(蛇床子)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두해살이풀의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서, 살균 작용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피부소양증, 습진, 알레르기성 피부염, 진물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25가지 종류의 약재를 혼합 및 추출하여 얻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25가지 종류의 약재를 '복합추출물의 원료'라고 정의한다. 또한, 하기 중량%는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고형분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녹두는 상기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엽나무열매는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초는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승마는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인은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자근은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백급은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백선피는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백부자는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지는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황련은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본은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녹차는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송향은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황금은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금은화는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황백은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렴은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교는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음나무는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은행잎은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엽은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마치현은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부자는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상자는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들이 상기와 같은 함량으로 복합추출물의 원료로 사용될 때, 얻어진 복합추출물이 본 발명에서 원하는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피부질환으로는 아토피, 여드름, 피부미란, 피부트러블, 기미, 주근깨, 습진, 무좀, 피부염, 피부가려움증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피부미란은 피부 또는 점막의 표층이 결손된 것을 말하며, 흔히 피부염이나 누공 주변 또는 화상·외상 등으로 작은 물집 혹은 고름집이 터진 자리에 생기고, 이것은 불그스레한 색을 띠며 쓰리고 아프며, 심하면 궤양이나 옹저 등으로 진행될 수 있는 증상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질환의 개선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의 원료로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 배합 성분으로서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가 배합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희석제, 담체, 보습제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성분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복합추출물은 상기 25가지 종류의 약재를 혼합한 후에 추출하여 얻을 수도 있고, 각각의 약재 추출물을 제조한 후에 혼합하여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으나, 반드시 하기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복합추출물은, 상기 25가지 종류의 약재를 용매에 넣은 후, 약 80℃ 내지 140℃의 온도에서 1 내지 6 시간 동안 열을 가하여 추출한 후, 이를 농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매로는 정제수,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극성용매; 및 헥산,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 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린저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다양한 방식 또는 형태로 인체에 적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되어 적용가능한 피부외용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우더, 연고제, 겔제, 크림제, 리니멘트제, 로션제, 액제, 또는 에어로졸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외용제로 제제화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 외에 첨가물 등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각 원료를 하기와 같이 계량하여 혼합하였다.
녹두 800g, 주엽나무열매 800g, 감초 800g, 백선피 800g, 승마 400g, 도인 400g, 자근 400g, 백급 400g, 백부자 400g, 백지 400g, 황련 400g, 고본 400g, 황금 400g, 황백 400g, 백렴 400g, 연교 400g, 음나무 400g, 녹차 200g, 감송향 200g, 금은화 200g, 은행잎 200g, 상엽 200g, 마치현 200g, 지부자 200g, 사상자 200g
혼합한 원료를 깨끗한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은 후, 고압추출기에 혼합한 원료를 넣고 7배수의 정제수를 붓고, 97℃로 가열하였다. 1시간 후 온도를 109℃로 높이고, 30분 경과 후 15분마다 수증기를 3번 배출시켜 액상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액상 추출물을 300메쉬의 면포를 이용하여 여과시킨 후, 7~15°C에서 3일간 숙성시켜 최종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녹두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의 열매의 씨로 잘 말린 것을 기형낱알과 이물질을 골라내고 사용하였다. 상기 주엽나무열매는 납작하고 약간 구부러진 콩꼬투리 모양인 것을 덜 여문 것과 이물질을 골라내고 사용하였다. 상기 감초는 줄기 일부를 껍질이 붙은 채로 말려 2mm 두께로 엇비슷하게 썰어 놓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승마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Komarov) 또는 동속 식물의 뿌리줄기로 물로 깨끗이 씻어 말린 다음 2~3mm로 얇게 썬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도인은 장미과의 복숭아나무(Prunus persica Batsch)씨로 잘 말린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자근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지치과의 여러해살이풀의 뿌리줄기로 물로 깨끗이 씻어 말린 다음 3cm정도로 잘라 놓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백급은 난초과의 자란(Bletilla striata (Thunberg) Reichenbach fil.)의 덩이줄기를 물로 깨끗이 씻어 말린 다음 적당한 크기로 잘라 놓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백선피는 운향과의 백선(Dictamnus dasycarpus Turcz.)의 뿌리를 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껍질을 벗겨 말린 것을 잘게 썬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백부자는 미나리아재비과의 백부자(Aconitum koreanum R. Raymond)의 덩이뿌리를 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잘게 썬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백지는 산형과의 구릿대(Angelica dahurica Bentham et Hooker)의 뿌리를 물로 깨끗이 씻어 말려 얇게 썬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황련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황련(Coptis Chinensis FRANCH)의 뿌리를 물로 깨끗이 씻어 말린 다음 잘게 썰어 놓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고본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인 고본(Angelica tenuissima Nakai)의 뿌리줄기를 물로 깨끗이 씻어 말려 얇게 썬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녹차는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차나무과의 상록교목의 어린잎을 따서 말린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감송향은 감송(Nardostachys chinensis Batalin) 또는 동속식물의 뿌리줄기를 물로 깨끗이 씻어 말린 다음 짧게 잘라 놓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황금은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속서근풀의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뿌리를 물로 깨끗이 씻어 말려 일정한 크기로 잘라놓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금은화는 인동과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erg) 꽃봉오리를 따서 말린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황백은 운향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인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의 나무줄기에서 껍질을 볏겨 내어 일정한 크기로 썰어 말린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백렴은 포도과에 속하는 낙엽 덩굴 줄기 식물인 가회톱(Ampelopsis japonica. MAKINO)의 뿌리를 물로 깨끗이 씻어 말려 일정한 크기로 자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연교는 물푸레나무과의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또는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의 성숙한 열매를 따서 말린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음나무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낙엽교목인 음나무 또는 엄나무(Kalopanax pictus)의 나무줄기를 말려 일정한 크기로 자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은행잎은 은행나무과 은행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교목인 은행나무(Ginkgo biloba L.)의 성숙한 잎을 따서 말린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상엽은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인 뽕나무(Morus alba L.)의 성숙한 잎을 따서 말린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마치현은 쇠비름과의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의 전초를 말린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지부자는 명아주과에 속한 일년생 초본인 댑싸리(Kochia scoparia Scharder)의 성숙한 열매를 따서 말린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사상자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두해살이풀인 사상자(Torilis japonica Decandolle)의 성숙한 열매를 따서 말린 것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피부외용제의 제조
본 가마에 정제수 50리터를 투입하고 60℃로 가온하였다. 이어서, 별도 가마에 정제수 50리터를 넣고 Aloe(알로에) 2kg, Sodium Hyaluronate(히알루론산) 2kg, Allantoin(알란토인)2kg, Betaine(베타인) 25kg를 넣고 충분히 용해한 후 본 가마에 투입하였다. 이어서, 별도 가마에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 50리터와 Beta-Glucan(베타글루칸) 10kg를 넣고 용해한 후 본 가마에 투입하였다. 이어서, 별도 가마에 잔량의 정제수와 점증제 2kg를 넣고 충분히 용해한 후 본 가마에 투입하였다. 이어서, 나노리포즘한 Ceramide3(세라마이드) 10kg를 본 가마에 투입하였다. 이어서, 별도 가마에 유화제 13kg, 보조유화제 2kg, 천연방부제 10kg, 적당량의 향료를 넣고 충분하게 용해한 후 본 가마에 투입하였다. 이어서, 본 가마에 투입된 원료를 60℃를 유지하면서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15rpm 회전으로 4시간 이상 용해를 충분하게 진행하게 한 후 7~15℃로 3일간 숙성하여 천연원료 99.9%이상의 천연화장품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여드름성 피부염 개선효과확인
만12세~32세 여드름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8주일간 1일 2회 아침, 저녁으로 환부에 바르도록 하여 여드름성 피부염의 개선효과 확인실험을 실시하였다. 효과에 대한 평가는 실시예 1의 조성물 사용전과 사용 후에 여드름개선효과 평가법(Local SCORAD)을 사용하였다.
임상평가는 (1)과색소침착(Hyperpigmentation), (2)농포성(Pustule) 여드름, (3)낭종성(Cyst) 여드름, (4)구진성(Papule) 여드름으로, 총 4개 항목에 대해 수행하였다.
여드름성 피부염의 개선에 따라 5단계(0=해당증상 없음, 1=해당증상 조금 있음, 2=해당증상 반 정도 있음, 3=해당증상 많이 있음, 4=해당증상 그대로 있음)로 평가한 다음, 임상평가 4개 항목의 값을 모두 합하여 평가하였다. 사용 전 4개 항목점수합계에서 사용 후 4개 항목점수합계를 차감한 것이 개인별개선율(%)이고(수학식 1), 1인당개선율평균(%/인)은 개인별개선율의 총합을 대상자 수로 나누어 계산한 것을(수학식 2),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 수학식 1>
개선율(%)=(사용전 4개항목 점수합계-사용 후 4개항목 점수합계)
÷사용전 4개항목 점수합계×100
<수학식 2>
1인당개선율평균(%)=개선율 총합(%)÷대상자 수(인)
시료 항목 개선율 합계 대상자 수 1인당개선율평균(%)
실시예1 과색소침착 1525 20 76.25
실시예1 농포성 여드름 325 5 65
실시예1 낭종성 여드름 675 10 67.5
실시예1 구진성 여드름 1075 15 71.67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여드름피부염의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평가대상자 중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염색이나 파마로 트러블이 일어나고 좁쌀처럼 뾰루지 생긴 가려운 두피에 1주일 사용한 12명이 증세가 말끔히 나아졌다고 보고되었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한 50명 중 18명은 각각 습진, 종양, 발진, 기미, 주근깨, 피부미란, 피부 트러블, 피부염, 피부가려움증에 병행하여 사용한 결과 증세가 개선되었다고 보고되었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한 50명 중 12명은 추가로 6~8주일 동안 완치될 때까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하였으며, 완치가 되고 3개월이 지나서 여드름의 재발이나 부작용 여부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나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한 50명 중 1명에 대해 사용전과 8주일 사용 후 피부상태를 촬영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 피부상태를 촬영한 것이고, 도 2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을 8주일 사용하고 나서 피부상태를 촬영한 것이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조성물 사용에 있어서 여드름이 효과적으로 개선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증세의 여드름에 효과적이며 재발이나 부작용의 문제도 없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효과확인
실시예 2의 피부외용제를 피부홍반, 피부소양증(가려움증), 피부건조증 등,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 120명(만2세~60세 남녀)을 대상으로 1일 2회(아침, 저녁) 아토피성 환부 부위에 바르도록 하면서 4주일간 사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효과 확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효과평가는 실시예 2의 피부외용제 사용전과 사용 후에 아토피개선효과 평가법(Local SCORAD)을 사용하였다.
임상평가는 (1)피부홍반(Erythema), (2)피부건조증(Xeroderma), (3)피부소양증(Pruritus Cutaneous), (4)삼출(Exudation), (5)태선화(Lichenification) 및 (6)표피박리(keratolysis)로, 총 6개 항목에 대해 수행하였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에 따라 5단계(0=해당증상 없음, 1=해당증상 조금 있음, 2=해당증상 반 정도 있음, 3=해당증상 많이 있음, 4=해당증상 그대로 있음)로 평가한 다음, 임상평가 6개 항목의 값을 모두 합하여 평가하였다. 사용 전 6개 항목점수합계에서 사용 후 6개 항목점수합계를 뺀 것이 개인별개선율(%)이고(수학식 3), 1인당개선율평균(%/인)은 개인별개선율의 총합을 대상자 수로 나누어 계산한 것을(수학식 4)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 수학식 3>
개선율(%)= (사용전 4개항목 점수합계-사용 후 4개항목 점수합계)
÷사용전 4개항목 점수합계×100
< 수학식 4>
1인당개선율평균(%)=개선율총합÷대상자수
시료 항목 개선율 합계 대상자 수 1인당개선율평균(%)
실시예2 피부홍반 1,575 20 78.75
실시예2 피부건조증 1,725 20 86.25
실시예2 피부소양증 1,775 20 88.75
실시예2 삼출 1,450 20 72.5
실시예2 태선화 1,350 20 67.5
실시예2 표피박리 1,650 20 82.5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2의 피부외용제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의 피부외용제를. 햇빛에 노출되어 열이 나고 화끈거리고 가려운 붉어진 피부에 3일 동안 사용한 16명이 증세가 말끔히 나아지고, 레이저 수술로 손상된 피부에 1주일 사용한 3명이 붉어진 피부가 가라않고 진정되어 정상적인 피부로 개선되었다고 보고되었다.
실시예 2의 피부외용제를 사용한 120명 중 10명은 추가로 4주일 동안 완치될 때까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하였으며, 완치가 되고 3개월이 지나서 아토피 피부염의 재발이나 부작용 여부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나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시예 2의 피부외용제를 사용한 대상자 중 1명에 대해 사용전과 4주일 사용 후 피부상태를 촬영하였다. 도 3은 실시예 2의 피부외용제를 사용하기 전 피부상태를 촬영한 것이고, 도 4는 실시예 2의 피부외용제를 4주일 사용하고 나서 피부상태를 촬영한 것이다. 그 결과 실시예 2의 피부외용제를 사용하여 아토피가 효과적으로 개선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각종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적이며 재발이나 부작용의 문제도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7)

  1. 녹두, 주엽나무열매, 감초, 승마, 도인, 자근, 백급, 백선피, 백부자, 백지, 황련, 고본, 녹차, 감송향, 황금, 금은화, 황백, 백렴, 연교, 음나무, 은행잎, 상엽, 마치현, 지부자 및 사상자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로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녹두 3 내지 40 중량%, 주엽나무열매 3 내지 40 중량%, 감초 3 내지 40 중량%, 승마 3 내지 40 중량%, 도인 2 내지 30 중량%, 자근 2 내지 30 중량%, 백급 2 내지 30 중량%, 백선피 2 내지 30 중량%, 백부자 2 내지 30 중량%, 백지 1 내지 20 중량%, 황련 3 내지 40 중량%, 고본 1 내지 20 중량%, 녹차 1 내지 20 중량%, 감송향 2 내지 30 중량%, 황금 3 내지 40 중량%, 금은화 2 내지 30 중량%, 황백 3 내지 40 중량%, 백렴 3 내지 40 중량%, 연교 1 내지 20 중량%, 음나무 2 내지 30 중량%, 은행잎 1 내지 20 중량%, 상엽 1 내지 20 중량%, 마치현 1 내지 20 중량%, 지부자 1 내지 20 중량% 및 사상자 1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는 원료로부터 추출하여 제조되고,
    상기 피부질환은 여드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4. 삭제
  5. 녹두, 주엽나무열매, 감초, 승마, 도인, 자근, 백급, 백선피, 백부자, 백지, 황련, 고본, 녹차, 감송향, 황금, 금은화, 황백, 백렴, 연교, 음나무, 은행잎, 상엽, 마치현, 지부자 및 사상자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복합추출물의 원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녹두 3 내지 40 중량%, 주엽나무열매 3 내지 40 중량%, 감초 3 내지 40 중량%, 승마 3 내지 40 중량%, 도인 2 내지 30 중량%, 자근 2 내지 30 중량%, 백급 2 내지 30 중량%, 백선피 2 내지 30 중량%, 백부자 2 내지 30 중량%, 백지 1 내지 20 중량%, 황련 3 내지 40 중량%, 고본 1 내지 20 중량%, 녹차 1 내지 20 중량%, 감송향 2 내지 30 중량%, 황금 3 내지 40 중량%, 금은화 2 내지 30 중량%, 황백 3 내지 40 중량%, 백렴 3 내지 40 중량%, 연교 1 내지 20 중량%, 음나무 2 내지 30 중량%, 은행잎 1 내지 20 중량%, 상엽 1 내지 20 중량%, 마치현 1 내지 20 중량%, 지부자 1 내지 20 중량% 및 사상자 1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는 원료로부터 추출하여 제조되고,
    상기 피부질환은 아토피 또는 여드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화장료.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피부외용제.
KR20120146879A 2011-12-15 2012-12-14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KR101483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867 2011-12-15
KR20110135867 2011-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518A KR20130069518A (ko) 2013-06-26
KR101483343B1 true KR101483343B1 (ko) 2015-01-15

Family

ID=4886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46879A KR101483343B1 (ko) 2011-12-15 2012-12-14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4924B (zh) * 2013-09-23 2014-12-03 李娜 一种治疗湿热郁结型痤疮的中药组合物
CN103599205B (zh) * 2013-11-25 2015-11-25 黎芷杉 防治伤口感染的中药药液及其制备方法
CN103623311A (zh) * 2013-11-29 2014-03-12 青岛中科菲力工程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治疗阴囊湿疹的中药组合物
CN104274722A (zh) * 2014-09-24 2015-01-14 江苏奇力康皮肤药业有限公司 一种治疗湿疹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524118A (zh) * 2014-12-03 2015-04-22 天峨县平昌生态农业有限公司 止痒润肤膏及其制备方法
CN104547110A (zh) * 2014-12-29 2015-04-29 陈英娣 一种用于治疗慢性荨麻疹的中药
CN106176445A (zh) * 2016-08-29 2016-12-07 王佳 一种紫草祛痘膏及其制备方法
CN106266495A (zh) * 2016-09-26 2017-01-04 上海和善化妆品有限公司 具有改善激素依赖性皮炎的中药组合物及应用
CN107812132A (zh) * 2017-08-28 2018-03-20 贵州欣龙上医堂医院有限公司 一种治疗痤疮的药物及其制作方法
CN108324871A (zh) * 2018-03-31 2018-07-27 丁永奎 一种用于治疗痤疮的中药组合物
KR102194920B1 (ko) * 2019-02-15 2020-12-24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여드름 개선용 복합생약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마스크팩
CN113244151B (zh) * 2021-05-31 2022-07-29 植然天成(北京)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舒缓修护霜及其制备方法
KR102663826B1 (ko) * 2023-04-27 2024-05-03 송용문 한방 재료로 제조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6333A (ko) * 2009-04-22 2010-11-01 김병구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보호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피부보호제
KR20110104624A (ko) * 2010-03-17 2011-09-23 (주)미네랄바이오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6333A (ko) * 2009-04-22 2010-11-01 김병구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보호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피부보호제
KR20110104624A (ko) * 2010-03-17 2011-09-23 (주)미네랄바이오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518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343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KR101478945B1 (ko)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TWI432206B (zh) 含有天然萃取物之組合的口腔用組成物及其用途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2533052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KR101194059B1 (ko) 한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3197B1 (ko) 발효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용 두피 케어 샴푸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샴푸 조성물
HU202743B (en)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 comprising medicinal herb extracts, cosmetics comprising such active ingredi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medicinal and veterinary compositions
KR20120061528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20080099365A (ko)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3554B1 (ko)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한방비누 제조 방법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347036B1 (ko) 항산화가 우수한 생약복합재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36835B1 (ko)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1133785B1 (ko)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07718B1 (ko)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피부 개선용 한방 비누
KR101196397B1 (ko) 식물성 추출물을 이용한 피톤치트 생성 아토피 습진 완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7013637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90038085A (ko) 화장료 조성물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20110082752A (ko) 한방 피부 보습 및 세정 조성물
KR10216853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