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238B1 -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238B1
KR102455238B1 KR1020220056913A KR20220056913A KR102455238B1 KR 102455238 B1 KR102455238 B1 KR 102455238B1 KR 1020220056913 A KR1020220056913 A KR 1020220056913A KR 20220056913 A KR20220056913 A KR 20220056913A KR 102455238 B1 KR102455238 B1 KR 102455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dandruff
sca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지안
Original Assignee
우지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지안 filed Critical 우지안
Priority to KR102022005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어성초, 자소엽, 녹차, 감초, 마치현, 한련초, 측백, 삼백초, 구아바잎, 하수오, 검은콩, 창포잎,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로 이루어진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은 비듬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피지의 증식을 억제하여 비듬제거, 두피 가려움증 개선 및 지루성 피부염의 개선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은 두피를 진정 및 연화시키고 피부 염증을 완화하여 두피 건강을 개선하며, 모근 강화를 통해 모발 굵기를 증대시키고, 발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은 인체에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어 비듬 및 두피 케어용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dandruff and scalp care containing oriental herbal complex extracts}
본 발명은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성초, 자소엽, 녹차, 감초, 마치현, 한련초, 측백, 삼백초, 구아바잎, 하수오, 검은콩, 창포잎,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로 이루어진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비듬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피지의 증식을 억제하여 비듬제거, 두피 가려움증 개선 및 지루성 피부염의 개선효과가 우수하고, 발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학의 발달에 따른 산업화로 지구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초래되어 사람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각종 만성 피부 질환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피로와 스트레스에 지친 현대인의 두피는 각종 화학 샴푸와 컨디셔너, 퍼머(Perm), 염색, 탈색 그리고 드라이의 무분별한 사용과 대기오염, 화학환경에 노출, 황사, 미세먼지의 심각성과 더불어 더욱 더 두피 질환을 야기하고 있다.
두피의 비듬 및 두피 가려움증의 원인에는 지루성 피부염, 스트레스, 두피 건선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지루성 피부염은 피지의 과잉 생성이나 피지에 기생하는 효모균의 증식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지방이 뭉쳐진 것처럼 보이는 노란색 또는 붉은색 비듬덩어리들이 모발 주변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두피 가려움증이나 통증이 유발되며 두피의 모공이 막히게 되어 탈모를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외부 자극을 받은 두피에 면역 반응이 일어나면서 두피의 염증이나 두피 가려움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피지에 기생하는 효모균류인 말라세지아(Malassezia) 균들은 주로 지질 친화성 균이며 피부의 정상 균총에 속하여 자연적으로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데 피지선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두피 부위에 주로 집락을 형성하여 생존한다. 그러나 기후, 땀, 음식 등의 환경적인 요인과 스트레스 등의 생리적인 요인에 의해 말라세지아(Malassezia)균이 과다하게 증식하게 되면서 정상 균총의 74%가 넘을 경우 비듬이 생기기 시작하고 83% 이상 높아질 경우 지루성 피부염으로 발병하게 된다. 또한 말라세지아균은 스스로 분비하는 리파아제(lipase)들에 의해 피지내의 트리글레라이드(triglyceride)를 분해하면서 증식하는데 이 때 다량의 자극성 불포화 지방산들이 형성되며 이들이 두피에 침투하면서 염증이 유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여러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두피 염증 및 두피 가려움은 신체 내 특정 면역세포들을 활성화 시키며 이로 인해 여러 사이토카인 분비를 유도하여 두피 가려움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극을 받은 두피는 세린 프로테아제(serine protease)와 같은 다양한 단백분해효소가 활성화되어 피부지질대사 효소인 beta-GluCer'ase 및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아제(aSMase)의 분해를 유도하고 이후 단백분해효소가 활성화되면 PAR-2(단백질분해효소 활성화 수용체)가 활성화되어 IkB 인산화효소(IKK)가 활성화되고, NF-kB가 증가하여 사이토카인인 IL-6, TNF-a의 발현을 증가시켜 염증반응과 두피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한편, 최근 연구에 의하면 두피 가려움증은 두뇌로 신호전달이 될 때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를 통하게 되는데 중추신경계로부터 고통(pain)과 두피 가려움의 신호전달과정을 보유하면서 서로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두피 가려움증을 느낄 때 고통(예: 긁기)을 가하면 두피 가려움이 완화된다. 그러나 가렵다고 긁으면 두피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물질이 더욱 증가하여 두피 가려움에 더욱 민감하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이러한 두피 가려움증 신호전달과정에는 프로테이나아제-활성화 수용체(proteinase-activated receptor, PAR)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후에 G-단백질을 거쳐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이인산염(phosphatidylinositol diphosphate)과 다이아실글라이세롤(diacylglycerol), 단백질 키나아제 C를 포함하는 신호전달과정이 밝혀졌다. 이후에 대뇌 해마 신경 세포막위의 캡사이신 수용체(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type 1, TRPV1)로 신호전달이 되고 TRPV1에 의해 더욱 두피 가려움에 민감하게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두피의 비듬 및 두피 가려움증을 종합적으로 해결하고자 항균제, 스테로이드와 같은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시 부작용이 발생하거나 내성의 문제로 인해 호전되지 않는 등 여러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체에 보다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으며 두피의 비듬 및 두피 가려움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천연 소재의 발굴이 필요하다.
천연소재를 이용한 두피의 비듬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용 조성물과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6-0081207호에서는 유색 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두피의 두피 가려움 및 비듬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6-0081204호에서는 산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두피의 두피 가려움, 비듬 생성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탈모방지와 모발생장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74583호에서는 초유 성분, 과라나 추출물, 풀빅산 등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천연물을 활용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의약품 대비 낮은 활성으로 인해 비듬방지제의 상용화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을 위한 효과적인 천연 유래 발모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 수행한 결과, 어성초, 자소엽, 녹차, 감초, 마치현, 한련초, 측백, 삼백초, 구아바잎, 하수오, 검은콩, 창포잎,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로 이루어진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비듬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피지의 증식을 억제하여 비듬제거, 두피 가려움증 개선 및 지루성 피부염의 개선효과가 우수하고, 발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방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듬제거, 두피 가려움증 개선 및 지루성 피부염의 개선효과가 우수한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어성초, 자소엽, 녹차, 감초, 마치현, 한련초, 측백, 삼백초, 구아바잎, 하수오, 검은콩, 창포잎,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로 이루어진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소엽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녹차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감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한련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측백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삼백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구아바잎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하수오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검은콩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창포잎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생강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소루쟁이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마늘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 샴푸, 헤어 린스, 헤어 에센스, 헤어 영양제, 헤어 오일, 헤어 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또는 헤어 염색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어성초, 자소엽, 녹차, 감초, 마치현, 한련초, 측백, 삼백초, 구아바잎, 하수오, 검은콩, 창포잎,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로 이루어진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듬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피지의 증식을 억제하여 비듬제거, 두피 가려움증 개선 및 지루성 피부염의 개선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두피를 진정 및 연화시키고 피부 염증을 완화하여 두피 건강을 개선하며, 모근 강화를 통해 모발 굵기를 증대시키고, 발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은 인체에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어 비듬 및 두피 케어용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어성초, 자소엽, 녹차, 감초, 마치현, 한련초, 측백, 삼백초, 구아바잎, 하수오, 검은콩, 창포잎,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로 이루어진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소엽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녹차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감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한련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측백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삼백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구아바잎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하수오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검은콩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창포잎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생강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소루쟁이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마늘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성초, 자소엽, 녹차, 감초, 마치현, 한련초, 측백, 삼백초, 구아바잎, 하수오, 검은콩, 창포잎,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로 이루어진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듬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피지의 증식을 억제하여 비듬제거, 두피 가려움증 개선 및 지루성 피부염의 개선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비듬의 발생, 확산 및 재발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투여로 비듬균 성장의 진행이 지연 또는 멈춰 비듬 발생이 호전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erg)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약모밀의 개화기의 지상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잎을 부수면 고기 비린내가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맛은 약간 떫다. 전통약용식물로서 청열해독, 이뇨 소종하는 효능이 있고 폐농양, 담열해수, 폐렴, 수종, 각기, 요로감염, 백대하, 과다, 용종, 창독에 외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크게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이뇨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을 가진다. 어성초의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염증작용, 이뇨작용 및 진해작용이 보고되었다. 주요 성분으로는 Flavonoid로서 quercetin, quercitrin, isoquercetin, afzerin, rutin, Alkaloid로서 aristolactam A, AII, B, BII, piperolactam A, norcepharadione B, cepharadione B, splendidine 등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자소엽(Perilla frutescens (L.))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차즈기 또는 주름소엽의 잎 및 끝가지이며, 이를 말려서 약용으로 사용한다. 자소엽은 전통적으로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기침, 천식, 가슴이 그득한 증상과 물고기와 게 등으로 인한 식중독의 치료에 사용하였으며, 현대적으로 해열작용, 항균작용, 혈당수치의 상승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자소엽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6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때 상기 자소엽 추출물이 4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6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녹차는 동백나무과에 속하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O Kuuntze)의 싹이나 잎을 가공한 것으로 녹차에는 카테킨, 카페인, 아미노산, 섬유소, 펙틴, 비타민 등의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들 성분들에 의해 항산화작용, 항균작용, 염증예방효과, 소취작용, 수렴(收斂)작용, 충치예방효과,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노화억제 작용 등의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는데, 특히 EGCg, ECg, EGC 등의 카테킨류는 단백질에 대한 친화성이 있어 오염된 각질층에 대한 세정효과 및 피부 보습력을 높여주고, 세균 억제, 몸 냄새 제거 등의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녹차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6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때 상기 녹차 추출물이 4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6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Glycyrrhiza glabra Linne)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약리 작용은 해독 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진해·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궤양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감초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내지 8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때 상기 감초 추출물이 7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8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마치현(Portulaca oleracea)은 쇠비름, 장명채, 과자엽채, 오행초라고도 한다. 마치현은 해열, 해독, 지혈효과가 있으며 항균효과도 보고된바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마치현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내지 8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때 상기 마치현 추출물이 7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8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련초(Eclipta prostrats)는 국화과의 식물로, 아주 습한 땅에서 주로 관찰되기 때문에 습지식물로도 분류된다. 인도를 포함한 전 세계 열대, 아열대 습지에서 자라는 식물로, 잎은 약간 매운맛과 신맛이 있다. 동의보감에는 한련초가 모발을 길게 하며, 백발을 검게 한다고 나와 있다. 몸의 열로 인해 두피에 영양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탈모 진행이 빨라지게 되는데, 한련초는 두피로 가는 영양분을 적절히 공급해주어 직간접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한련초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내지 8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때 상기 한련초 추출물이 7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8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측백나무(Chinese arbor vitae)는 휘발성 정유 성분 중 thujene, pinene 등이 들어 있다. 측백나무는 천연 항균 성분인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측백나무는 독특한 향이 있으며 잎과 열매 모두 약재로 쓰인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측백나무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내지 8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때 상기 측백나무 추출물이 7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8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삼백초(Saururus chinensis)는 제주도와 지리산 일부 지역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으로, 탄닌 등이 피를 맑게 하고 모세혈관을 강화시키며 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어 노화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삼백초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내지 8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때 상기 삼백초 추출물이 7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8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구아바잎(Psidium guayava LINN.)은 비타민 C와 인, 철분, 칼슘, 칼륨 및 마그네슘 등과 같은 무기질 성분 및 탄닌 성분 등의 고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위장 장애, 노화, 고혈압, 당뇨병 및 암 등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구아바잎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때 상기 구아바잎 추출물이 2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3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root)은 하수오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여뀌과 Polygonaceae)의 덩이뿌리로 만든 약재를 말하며, 약리작용으로 탈모와 머리카락을 검게, 노화방지와 뇌활성화, 피를 보충, 정력강화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하수오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내지 1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때 상기 하수오 추출물이 9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11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검은콩은 신장을 다스리고 부종을 없애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모든 약의 독을 풀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모발을 성장시키는 성분(시스테인)이 함유되어 있어 탈모를 예방하는 데도 효과가 있고, 꾸준히 복용하는 경우에는 신장과 방광의 기능을 원활하게 이루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검은콩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내지 1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때 상기 검은콩 추출물이 9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11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창포는 탄닌, 비타민이 풍부하고 방향성 정유를 다량 함유한다. 따라서 자외선이나 기타 화학물질에 의해 손상된 두피 및 모발을 진정시키고 창포 특유의 향기를 발산하며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창포잎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내지 8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때 상기 창포잎 추출물이 7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8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생강은 생강속(Zingiber) 식물의 뿌리로 민간요법에서 위통, 멀미, 구토, 간질, 인후통, 기침, 타박상, 상처, 해산, 안질환, 간장병, 류머티즘, 근육통, 백선(버짐), 천식, 발열, 악성종양 및 종기 등의 치료에 이용하고 있으며, 생강의 주요 활성 성분으로는 정유성분(essential oil)과 매운맛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올레오레진(oleoresin)성분이 보고되어 있다. 정유 성분은 감기, 두통, 관절염 및 정신적 치료에 효과적이며 올레오레진(oleoresin)의 매운맛 성분인 진저롤(gingerol), 진저론(ginerone), 쇼가올(shogaol) 등은 항산화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외에도 생강의 생리활성 성분들은 항균작용, 항염작용,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종양억제, 소염작용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특히 생강의 올레오레진, 진저롤 및 쇼가올이 자연살해세포(NK cell)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면역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는 생강의 면역과 관련된 연구 결과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강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내지 1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때 상기 생강 추출물이 9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11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소루쟁이는 다년생 식물로, 소루쟁이 뿌리는 노랗고 굵으며, 소루쟁이의 어린잎과 줄기는 봄철에 식용으로, 뿌리는 식용, 약용으로 쓰이는데, 소루쟁이 뿌리의 생김새는 더덕, 도라지와 비슷하지만, 뿌리에는'안드라퀴논 및 '유도체인 크리소파놀''에모틴'이라는 성분이 있어 허약해진 위를 튼튼하게 하고 이뇨, 지혈, 변통 등의 효능이 있으며, 소루쟁이는 소염기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예부터 종기, 피부부스럼, 치질, 황달, 음부소양증, 두피 가려움증, 무좀습진, 화농성 피부염, 치조농루, 변비, 감염 등의 약재로 이용되어 왔으며, 소화불량 자궁출혈을 멎게 하고, 류머티스에 크게 도움이 된다고도 알려져 있으며, 유해 콜레스테롤을 녹여주는 효능이 있어 혈압을 정상수치로 만들어 주는데 아주 좋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소루쟁이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내지 1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때 상기 소루쟁이 추출물이 9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11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는 로즈메리 혹은 미질향이라고도 하며, 잎, 순 및 꽃이 식용 가능한 꿀풀과(Labiatae)의 상록 작은 관목이다. 바늘 같은 잎을 가진 여러해살이 식물로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허브이며, 푸른 잎과 특유의 향을 갖는다. 로즈마리는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미백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등의 다양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로즈마리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6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때 상기 로즈마리 추출물이 4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6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마늘(garlic)은 알리신 성분을 포함한 여러 유용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항암효과, 피로 해소, 면역력 강화 등에 도움을 준다. 마늘 내에 존재하는 알리신을 포함한 유황화합물은 항암작용 및 예방에 기여하고, 고혈압 예방 효과, 세포를 활성화하는 작용을 가진다. 이를 바탕으로 스태미나 증진효과를 유발하여 노화예방, 혈관을 확장해서 혈액순환을 좋게 할 수 있으므로 피부의 신진대사 촉진하여 피부노화방지, 시스테인, 메티오닌 성분의 강력한 해독작용, 당뇨병 예방효과, 감기예방효과, 불면증 해소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마늘 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6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때 상기 마늘 추출물이 4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거나 60 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한방 허브를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각 한방 허브의 잎, 어린 새싹, 본체, 본체 껍질, 줄기, 줄기 껍질, 뿌리, 뿌리 껍질, 뿌리줄기, 종자, 열매, 미숙과, 완숙과, 과육, 과피, 꽃, 수술군(androecium), 암술군(gynoecium), 꽃받침, 수술, 꽃잎, 꽃받침 조각, 심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 복합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한방 복합추출물은 약재를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거나, 열풍건조기 또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분쇄한 후 추출용매, 예컨대 물, 탄소수 1~3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천연 식물 건조 중량의 2 내지 20 중량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성초, 자소엽, 녹차, 감초, 마치현, 한련초, 측백, 삼백초, 구아바잎, 하수오, 검은콩, 창포잎,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을 각각 추출하여 혼합하거나 또는 어성초, 자소엽, 녹차, 감초, 마치현, 한련초, 측백, 삼백초, 구아바잎, 하수오, 검은콩, 창포잎,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을 혼합한 다음 추출할 수 있으며, 이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어성초, 자소엽, 녹차, 감초, 마치현, 한련초, 측백, 삼백초, 구아바잎, 하수오, 검은콩, 창포잎,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 각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4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0배 분량의 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약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9의 혼합비(㎏/ℓ)를 갖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매로, 약 2 내지 7일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일 동안 교반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한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각 어성초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측백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구아바잎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검은콩 추출물, 창포잎 추출물, 생강 추출물, 소루쟁이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및 마늘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혼합하여 한방 복합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어성초, 자소엽, 녹차, 감초, 마치현, 한련초, 측백, 삼백초, 구아바잎, 하수오, 검은콩, 창포잎,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을 미리 혼합한 다음 시료 총 중량의 약 1 내지 4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0배 분량의 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약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9의 혼합비(㎏/ℓ)를 갖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매로, 약 2 내지 7일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일 동안 교반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한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한방 복합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은 상기 수득된 추출액을 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한방 복합추출물은 분말형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분말을 증류수 또는 통상의 용매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에서 복합 한방 복합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소엽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녹차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감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한련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측백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삼백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구아바잎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하수오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검은콩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창포잎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생강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소루쟁이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마늘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한방 복합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소엽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녹차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감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한련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측백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삼백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구아바잎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하수오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검은콩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창포잎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생강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소루쟁이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마늘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진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화장품학적 유효량(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토닉, 크림, 팩, 로션, 스프레이, 포마드, 분말, 젤,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및 에어로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의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 샴푸, 헤어 린스, 헤어 에센스, 헤어 영양제, 헤어 오일, 헤어 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또는 헤어 염색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소엽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녹차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감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한련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측백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삼백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구아바잎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하수오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검은콩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창포잎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생강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소루쟁이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마늘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진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의 경구형 제형, 액상, 크림상, 로션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의 경피 국소 도포형 제형(피부 외용제), 좌제, 멸균 주사용액 및 분무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으로서 다양한 제형의 의약품 및 화장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여러 요소, 예를 들면 투여방법, 목적부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사용 시 투여량은 안전성 및 효율성을 함께 고려하여 적정량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동물실험을 통해 결정한 유효량으로부터 인간에 사용되는 양을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효한 양의 결정시 고려할 이러한 사항은, 예를 들면 Hardman and Limbird, ed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0th ed.(2001), Pergamon Press; 및 E.W. Martin ed.,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1990), Mack Publishing Co.에 기술되어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약학적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둘 이상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조성물을 생체 내 전달에 적합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Merck Index, 13th ed., Merck & Co. Inc. 에 기재된 화합물,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이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8th, 1990)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경피,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다양한 부형제,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은 천연 한방 허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므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에도 일반적인 합성 화합물에 비하여 부작용이 덜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성초, 자소엽, 녹차, 감초, 마치현, 한련초, 측백, 삼백초, 구아바잎, 하수오, 검은콩, 창포잎,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로 이루어진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듬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피지의 증식을 억제하여 비듬제거, 두피 가려움증 개선 및 지루성 피부염의 개선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두피를 진정 및 연화시키고 피부 염증을 완화하여 두피 건강을 개선하며, 모근 강화를 통해 모발 굵기를 증대시키고, 발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은 인체에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어 비듬 및 두피 케어용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제조
어성초, 자소엽, 녹차, 감초, 마치현, 한련초, 측백, 삼백초, 구아바잎, 하수오, 검은콩, 창포잎,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 각 1㎏을 정제수에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열추출하여 각 어성초, 자소엽, 녹차, 감초, 마치현, 한련초, 측백, 삼백초, 구아바잎, 하수오, 검은콩, 창포잎,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상기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 추출물추출물을 어드벤텍 2호(Advantec No. 2, 110mm) 여과지로 감압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장착된 농축기를 사용하여 4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 농축된 추출물의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정제수 0.5ℓ를 넣어 현탁시킨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어성초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측백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구아바잎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검은콩 추출물, 창포잎 추출물, 생강 추출물, 소루쟁이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및 마늘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어성초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측백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구아바잎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검은콩 추출물, 창포잎 추출물, 생강 추출물, 소루쟁이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및 마늘 추출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비(단위 g)에 따라 혼합하여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10>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비에 따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어성초 추출물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자소엽 추출물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100 - 100
녹차 추출물 100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감초 추출물 150 150 100 150 150 - 150 150 150 150 150
마치현 추출물 150 150 150 - 150 150 150 150 - 150 150
한련초 추출물 150 150 150 150 - 150 150 150 150 150 150
측백 추출물 150 150 - 150 150 - 150 150 150 150 150
삼백초 추출물 150 - 150 150 150 150 - 150 150 150 150
구아바잎 추출물 50 200 100 - 50 50 150 100 50 - 50
하수오 추출물 200 200 200 200 - 200 200 200 200 200 200
검은콩 추출물 200 -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창포잎 추출물 150 200 150 150 150 150 - 150 150 200 150
생강
추출물
200 - 200 200 - 200 200 200 - - 200
소루쟁이 추출물 200 200 - - - 200 200 - 200 - -
로즈마리
추출물
100 100 100 - 100 - - 200 - 100 -
마늘
추출물
100 100 100 100 - - - 100 200 - -
<시험예 1>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한 항균력 측정은 비듬균인 말라세지아 퍼퍼(Malassezia furfur)를 이용하여 디스크확산법(paper disc diffusion)로 평가하였다. M. furfur는 mLNA 액체배지에서 30℃, 5일간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균액 200 μl를 mLNA 고체배지 위에 고르게 도말한 뒤 각각 농도 단계별로 희석된 실시예 1을 6 mm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에 올렸다. 균을 접종한 배지는 30℃에서 배양하였고 72시간 후에 균의 성장이 억제된 clear zone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은 비듬균에 항균 효과가 있는 케토코나졸(Ketoconazole)을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1에 대한 실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clear zone(mm)
양성 대조군 20
실시예 1 23
비교예 1 12
비교예 2 10
비교예 3 11
비교예 4 13
비교예 5 10
비교예 6 12
비교예 7 11
비교예 8 9
비교예 9 10
비교예 10 8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성대조군인 케토코나졸(Ketoconazole)의 clear zone이 20mm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은 23mm로 비듬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비듬균 생장 억제능 분석
모발 및 두피에 존재하여 모낭의 영양분을 그 먹이로 생육하여 탈모의 원인을 야기하는 비듬균인 Pityrosporium ovale(P. ovale)에 대한 생육 저해환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균주는 ATCC14521의 균주를 세포주은행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미리 제조한 비듬균 평판배지에 P. ovale 균을 접종하여 5% CO2, 37℃에서 48시간 배양한다. 배양이 끝난 P. ovale 균을 백금이를 이용하여 희석액에 진하게 풀어서 108 CFU/㎖ 농도의 현탁액을 만든다. 균 현탁액을 멸균 면봉을 이용하여 비듬균 배양배지에 골고루 접종하고 배지 중앙에 직경 8.0㎜의 멸균 disk를 얹는다. 정제수를 이용하여 50%로 희석한 시료 60㎕를 disk에 떨어뜨린 후, 37℃, 5% CO2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시료와 저지대의 전체지름을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성장저지대(저지환)를 구하였다.
Figure 112022049221095-pat00001
W : 성장저지대의 폭(㎜)
T : 시료와 저지대의 전체지름(㎜)
D : 시료의 지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성장 저지대

(㎜)
15.6 8.2 8.3 8.5 8.5 8.2 8.5 8.5 8.2 8.3 8.3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10에 대한 항진균 효과를 조사한 결과, 실시예 1에서 대표적인 비듬균인 P. ovale에 대하여 성장저지대의 폭이 15.6㎜를 나타내어 비교예 1 내지 10에 비하여 현격하게 높은 항진균 효과를 보였다.
<시험예 3> PAR-2 발현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AR-2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사람 유래 섬유아세포를 배양용 페트리 디쉬에 넣고 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각각 100 ppm 농도로 희석하여 처리하였고, 대조군으로 완충 용액을 처리하고 양성대조군으로 덱사메타손 100 nM을 처리하였다. 이후 24시간 배양 후, 용균 버퍼(lysis buff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용균(lysis)하였다. 이후 단백질 BCA 방법으로 단백질을 정량하여 20 μg/ml의 농도의 단백질을 취하여 SDS-PAGE를 진행하였다. PVDF membrane으로 트랜스퍼(transfer) 후 anti-PAR-2을 1:1000으로 냉장에서 24시간 처리한 다음 검출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PAR-2 발현 양 (%)
양성대조군(덱사메타손 100 nM) 30.5
실시예 1 26
비교예 1 56
비교예 2 68
비교예 3 61
비교예 4 53
비교예 5 60
비교예 6 62
비교예 7 66
비교예 8 65
비교예 9 58
비교예 10 67
대조군(완충용액) 100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은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처리군과 유사한 PAR-2 발현 억제 효능을 발휘함으로써 염증 완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TRPV1 발현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TRPV1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사람유래 섬유아세포를 배양용 페트리 디쉬에 넣고 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100 ppm 농도로 희석하여 각각 처리하였고, TRPV1의 발현을 위하여 캡사이신을 처리하였다. 대조군으로 완충 용액을 음성 대조군으로 100 nM 캡사이신(sigma-aldrich)을 각각 처리하였다. 이후 24시간 배양 후, 용균 버퍼(lysis buff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용균(lysis)하였다. 이후 단백질 BCA 방법으로 단백질을 정량하여 20 μg의 단백질을 취하여 SDS-PAGE를 진행하였다. 그 후, PVDF membrane으로 트랜스퍼(transfer) 후 anti-TRPV1을 1:1000으로 냉장에서 24시간 처리한 다음 검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TRPV-1 발현 양 (%)
음성대조군(캡사이신 100 nM) 156.2
실시예 1 52
비교예 1 76
비교예 2 72
비교예 3 76
비교예 4 73
비교예 5 76
비교예 6 72
비교예 7 78
비교예 8 76
비교예 9 75
비교예 10 78
대조군(완충용액) 100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은 TRPV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항염증 효과 분석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항염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NO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NO 생성 저해에 따른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주 (ATCC number: CRL-2278)를 이용한 GRIESS 법으로 Nitric oxide(NO) 형성억제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수차례 계대배양하고, 웰 하나에 1.0×105 cells/well로 48 웰 플레이트에 넣은 후, 18 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이어서, 농도별로 제조한 시료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였다, 이 때, NO-생성 억제 물질인 L-NMMA (L-NG-Monomethylarginine)을 양성 대조군으로 함께 처리하여 30분 동안 배양하였고, 자극원으로 LPS (Lipopolysaccharide)를 1 μg씩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100 μl씩 취해 96 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GRIESS 용액을 100 μl씩 가해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54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NO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모든 결과 값은 3회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을 거쳐 평균±표준편차 (SD)로 나타내었다.
NO 생성율 (%)
LPS(-) (대조군) 10.37
LPS(+) 100
2-Amino-4-methylpyridine
(양성대조군)
15.86
실시예 1 15.54
비교예 1 53.66
비교예 2 52.45
비교예 3 56.27
비교예 4 61.23
비교예 5 55.36
비교예 6 57.27
비교예 7 54.36
비교예 8 57.25
비교예 9 60.21
비교예 10 52.34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에 의해 증가되었던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이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두피 진정에 있어 항염 효과가 보조적인 역할로 작용하여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시험예 6> 모발 성장 촉진 효능 분석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세포 증식을 통한 모발 성장 효능을 확인하였다.
Human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모유두세포, DP cell)은 세포바이오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고, 10% FBS(fetal bovine serum)와 1% penicillin을 첨가한 Low glucose DMEM 배지를 배양액으로 37℃,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DP cell 현탁액을 적당한 농도로 96-well plate에 가한 다음 배양기에서 24시간 안정화시킨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조성물 각각을 2㎍/㎖의 양으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media를 제거하고 PBS로 washing 하였다. 1 ㎎/㎖의 농도로 PBS에 녹인 MTT 용액을 100 ㎕씩 분주하여 37℃의 incubator에서 4시간 배양한 다음, 상층액을 제거하고 200 ㎕ DMSO를 넣어 완전히 formazan을 용해시킨 후 ELISA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OD값을 측정하였다.
시험성적의 통계적 유의성은 평균±표준편차로 표기하였고, 각 군간의 차이는 SPSS 25(SPSS Inc.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ANOVA, Duncan 검정으로 사후 검정을 실시하여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P<0.05 이하인 경우에 유의한 것으로 인정하였다. 각각의 실험은 모두 적어도 3번 이상 실시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모유두 세포의 증식율(%)을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모유두 세포증식율 (%)
DMSO 100.00±0.00
minoxidil 105.12±0.21
실시예 1 100.01±0.14
비교예 1 101.01±0.23
비교예 2 101.11±0.22
비교예 3 100.14±0.16
비교예 4 100.21±0.22
비교예 5 101.11±0.13
비교예 6 100.12±0.20
비교예 7 100.13±0.21
비교예 8 101.10±0.15
비교예 9 100.21±0.02
비교예 10 100.12±0.21
상기 표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100.00±0.00%인 control군에 비해 양성대조군인 minoxidil(MNXD)군은 105.12±0.21%로 증가하였고, 비교예 1 내지 10의 경우 미세한 효과를 나타낸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105.12±0.21로 모유두 세포 증식율이 월등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 발모 효과, 모발 영양효과, 비듬 방지효과 및 두피 가려움증 제거효과 평가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발모효과, 모발 영양효과, 비듬 방지효과 및 피지 및 두피 가려움증 제거효과에 대한 평가를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실험하였다.
비듬과 두피 가려움증이 있는 사람 110명을 대상으로 각각 10명씩 한 군으로 나누어 매일 저녁 한번씩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10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사용하여 세정하였다. 3개월 이후 비듬과 두피 가려움증에 대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상기 평가에서, 발모 상태의 경우, 두부 전체에 발모증상이 있으며 모발 수의 증가 현상이 있다면 '매우 좋음', 두부 일부에 발모증상이 있으며 두부 일부에서 모발 수의 증가 현상이 있다면 '좋음', 발모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변화없음'으로 하였고, 모발 영양상태의 경우, 모발 손상상태가 거의 없고 매끄러운 상태로서 전체적으로 풍부한 경우에는 '매우 좋음', 모발 손상상태가 일부분에 국한되고 모발이 매끄러운 경우 '좋음', 사용전과 모발상태 개선이 없는 경우에는 '변화 없음'으로 하였으며, 두피 상태의 경우 두부 전체에 비듬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면 '매우 좋음', 두부 일부에 비듬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면 '좋음', 비듬이 줄어드는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변화없음'으로 하였고, 또한 두피 전체적으로 피지가 없어지고 두피 가려움증이 없으며 두피가 청결한 상태이면 '매우 좋음', 피지나 두피 가려움증이 일부 개선되어 청결상태가 좋아진 경우에는 '좋음', 사용전과 두피 상태가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변화 없음'으로 하였다.
발모 효과 모발 영양 비듬방지 피지 및 두피 가려움증 방지
실시예 1 매우좋음 8 9 9 10
좋음 2 1 1 0
변화없음 0 0 0 0
비교예 1 매우좋음 2 1 1 2
좋음 5 4 5 4
변화없음 3 5 4 4
비교예 2 매우좋음 2 1 2 1
좋음 4 5 5 3
변화없음 4 4 3 6
비교예 3 매우좋음 0 0 0 0
좋음 2 3 2 1
변화없음 8 7 8 9
비교예 4 매우좋음 2 0 2 4
좋음 8 2 6 2
변화없음 0 10 2 4
비교예 5 매우좋음 0 0 0 0
좋음 0 4 3 2
변화없음 10 6 7 8
비교예 6 매우좋음 2 1 1 2
좋음 5 4 5 4
변화없음 3 5 4 4
비교예 7 매우좋음 0 0 0 0
좋음 0 5 4 2
변화없음 10 5 6 8
비교예 8 매우좋음 0 0 0 0
좋음 2 3 2 1
변화없음 8 7 8 9
비교예 9 매우좋음 2 0 2 4
좋음 8 2 6 2
변화없음 0 10 2 4
비교예 10 매우좋음 0 0 0 0
좋음 0 4 4 5
변화없음 10 6 6 5
상기 표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된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모든 사용자에게 비듬방지, 및 피지 및 두피 가려움증 방지 효과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가는 모발이나 잔털이 굵어지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모발 영양 상태는 대부분 좋은 변화가 있었으며 비듬과 두피 가려움증이 있던 사람들은 비듬과 두피 가려움증이 완전히 해소되어 지루성 염증이 완전히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8> 제형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관찰 기간은 1주일 동일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온도에서 안정성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온도 0℃ 40℃ -10℃
실시예 1 양호 양호 양호
상기 표 9에서 보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은 다양한 온도에서 안정성이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9> 인체 안전성 확인 실험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이 인체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누적 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스쿠알렌을 베이스로 하고 실시예 1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을 1% 첨가한 제형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건강한 2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 외용제를 15 ㎕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점수화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2049221095-pat00002
반응도에서 ±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평균
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 ++ ±+ ++ ±+ ++ ±+ ++ ±+ ++ ±+ ++ ±+ ++ ±+ ++ ±+ ++
대조군
(스쿠알렌)
1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9
[시험군 1]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상기 표 10에서 시험군 1이 ±, + 및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각각 0명, 0명 및 1명이고, 평균 반응도는 각각 0.00, 0.00이었다. 그러므로 평균반응도가 3 이하의 반응도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은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헤어 샴푸 제조
하기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헤어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
정제수 80.75
폴리쿼터늄-10 0.20
카보머 0.15
다이소듐코코암포다이아세테이트 2.0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0.00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2.00
세틸알코올 0.50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
트라이하이드록시스테아린 0.05
폴리쿼터늄-7 0.30
코카마이드메틸엠이에이 2.50
페녹시에탄올 0.50
카프릴릴글라이콜 0.10
향료 0.70
실시예 1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0.20
<제제예 2> 헤어 트리트먼트 제조
하기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헤어 트리트먼트를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
정제수 74.40
트레할로오스 1.00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30
글리세린 3.00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0.20
베헨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2.40
아이소프로필알코올 0.60
프로필렌글라이콜 1.10
스테아트라이모늄클로라이드 1.50
세틸알코올 5.00
베헤닐알코올 1.00
부틸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6.00
다이메티콘 2.00
실시예 1의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0.50
향료 0.50
프로판다이올 0.40
카프릴릴글라이콜 0.08
에틸헥실글리세린 0.03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어성초, 자소엽, 녹차, 감초, 마치현, 한련초, 측백, 삼백초, 구아바잎, 하수오, 검은콩, 창포잎, 생강, 소루쟁이, 로즈마리 및 마늘로 이루어진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한방 복합추출물은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소엽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녹차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감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한련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측백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삼백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구아바잎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하수오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검은콩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창포잎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생강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소루쟁이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마늘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2. 삭제
  3. 어성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소엽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녹차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감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마치현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한련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측백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삼백초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구아바잎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하수오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검은콩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창포잎 추출물 70 내지 80 중량부, 생강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소루쟁이 추출물 90 내지 110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마늘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로 이루어진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 샴푸, 헤어 린스, 헤어 에센스, 헤어 영양제, 헤어 오일, 헤어 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또는 헤어 염색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KR1020220056913A 2022-05-09 2022-05-09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KR102455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913A KR102455238B1 (ko) 2022-05-09 2022-05-09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913A KR102455238B1 (ko) 2022-05-09 2022-05-09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238B1 true KR102455238B1 (ko) 2022-10-17

Family

ID=8381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913A KR102455238B1 (ko) 2022-05-09 2022-05-09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645B1 (ko) * 2023-02-15 2024-02-14 주식회사 피나트린 천연식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118A (ko) * 2016-03-30 2017-10-12 안동석창포영농조합법인 석창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촉진과 탈모방지 및 비듬방지를 위한 샴푸 조성물과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샴푸
KR20190041068A (ko) * 2017-10-12 2019-04-22 김민재 소리쟁이 조성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 및 지루성 피부염 치료 샴푸의 제조방법
KR20200063516A (ko) * 2018-11-28 2020-06-05 박신성 발모 및 두피 개선을 위한 천연기능성 샴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26660B1 (ko) * 2021-02-19 2021-11-17 우지안 한방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발모촉진 및 모발 굵기 증대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118A (ko) * 2016-03-30 2017-10-12 안동석창포영농조합법인 석창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촉진과 탈모방지 및 비듬방지를 위한 샴푸 조성물과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샴푸
KR20190041068A (ko) * 2017-10-12 2019-04-22 김민재 소리쟁이 조성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 및 지루성 피부염 치료 샴푸의 제조방법
KR20200063516A (ko) * 2018-11-28 2020-06-05 박신성 발모 및 두피 개선을 위한 천연기능성 샴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26660B1 (ko) * 2021-02-19 2021-11-17 우지안 한방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발모촉진 및 모발 굵기 증대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s ook-love/8916405. 두피에 좋은 한방재료, 2009.09.1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645B1 (ko) * 2023-02-15 2024-02-14 주식회사 피나트린 천연식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26660B1 (ko) 한방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발모촉진 및 모발 굵기 증대용 조성물
JP2024045614A (ja) モリンガ・オレイフェラ種子のタンパク質抽出物の美容的使用
KR20110134719A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2635B1 (ko) 마유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30105003A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55238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3043B1 (ko) 비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200080640A (ko) 남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1936835B1 (ko)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20190064714A (ko) 레몬머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110125087A (ko)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49278B1 (ko) 자귀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450919B1 (ko) 한방 발효물을 포함하는 모발개선 및 발모촉진을 위한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0392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6855A (ko)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