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172B1 -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172B1
KR101309172B1 KR1020050056789A KR20050056789A KR101309172B1 KR 101309172 B1 KR101309172 B1 KR 101309172B1 KR 1020050056789 A KR1020050056789 A KR 1020050056789A KR 20050056789 A KR20050056789 A KR 20050056789A KR 101309172 B1 KR101309172 B1 KR 101309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ujeolcho
pogongyoung
rapese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359A (ko
Inventor
정진락
노석선
박문억
한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56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1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01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배자 및 촉규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세포독성, 알러지 유발 가능성 등이 없어 피부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경로의 염증 유발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인 프로스타글란딘 E2 의 생성을 억제하는 등 항염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촉규화, 항염 효과

Description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FROM INFLAMMATION}
본 발명은 항염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독성, 알러지 유발 가능성 등이 없어 피부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경로의 염증 유발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인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의 생성을 억제하는 등 항염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미화 및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지만, 그 조성으로는 피부 보호 목적과는 상이한 성분들이 제품 형성을 위해 불가피하게 포함된다. 이러한 성분들의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색소 뿐 아니라, 그 밖의 효능,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성분들이 여기에 포함되는데, 이들 성분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염증이나, 뾰루지, 부종 등 각종 부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ibach ,H. I.,Contact Dermatitis,6, 369-404, 1980).
또한,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피지 및 땀, 화장품 성분 중의 지방산, 고급 알콜, 단백질 성분 등이 피부상에 존재하는 피부 상재균에 의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되어 이들에 의해 피부 염증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에 의해서도 피부 염증이 유발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염증 반응은 붉어짐(feeling of redness), 따끔거림(prickling feeling), 화끈거림(burning, hotness), 팽윤(swelling), 조직의 변화와 같은 5 가지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해로운 주위 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이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려는 생리적인 반응이다. 이러한 염증 현상은 여러 종류의 다형핵 백혈구(PMNs)와 면역 물질의 많은 증가를 초래하며, 이처럼 증가된 세포들은 염증성 세포 산물인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분해효소와 사이토카인(cytokine) 등을 분비함으로써 치료 및 방어를 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작용은 인접해 있는 조직 세포와 비세포 성분들에 해로운 손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적절한 조건 하에서는 염증초기 상태가 지난 후 정상 기능을 되찾게 되지만, 염증을 자극하는 자극제가 없어지지 않거나 계속해서 만들어질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만성 염증이 일어나게 되어 더욱 더 심각한 조직의 손상을 가져온다.
염증 생성 과정의 핵심 물질은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포스포리파아제 A2(phospholipase A2, PLA2)라는 효소에 의해 세포막 지질로부터 전환된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 아라키돈산은 다시 시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또는 리폭시게나아제(lipooxygenase)의 2 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류(prostaglandins), 류코트리엔류(leukotrienes)로 대사 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Thomas. R., Rev. Physiol. Biochem. Pharmacol., 100, 1984).
최근, 피부 자극 및 염증의 생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 P(substance P) 등의 신경 펩타이드나 자극에 의해 조직이나 혈장에 서 활성화되는 브라디키닌과 같은 키닌(kinins) 등에 의해, 또는 시클로옥시게나아제 경로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사이토카인 및 프로스타글란딘 E2 등이 부종 형성과 혈관 확장에 관여하여 염증과 통증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항염제로서는 물질 P를 비롯한 신경 펩타이드 길항제, 브라디키닌 길항제, 시클로옥시게나아제 억제제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제는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나, 제품에 포함시킬 때의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안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세포독성, 알러지 유발 가능성 등이 없어 피부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경로의 염증 유발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인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생성을 억제하는 등 항염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포 및 인체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생성을 현저히 억제시킬 수 있는 항염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염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있어서, 오배자 및 촉규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효과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항염 효과와 피부 안전성, 화장료 배합시 안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항염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여러 물질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오배자 및 촉규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식물 추출물이 피부에 안전하며 항염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항염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은 오배자 및 촉규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연교(連翹, 학명: Forsythia koreana)는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관목으로 개나리꽃나무, 영춘화라고도 한다. 산기슭 양지에서 많이 자라며 높이는 약 3 m이고,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잔가지는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점차 회갈색으로 변하고 껍질눈[皮目]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며 톱니가 있고 길이 3∼12 ㎝이며, 잎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황록색인데 양쪽 모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가 1∼2 ㎝이며, 4 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노란색 꽃이 1∼3 개씩 피며 꽃자루는 짧다. 꽃받침은 4 갈래이며 녹색으로, 화관은 길이 2.5 ㎝ 정도이고 끝이 4 갈래로 깊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긴 타원형이다. 수술은 2 개이고 화관에 붙어 있으며 암술은 1 개이다. 암술대가 수술보다 위로 솟은 것은 암꽃이고, 암술대가 짧아 수술 밑에 숨은 것은 수꽃이다. 열매는 9 월에 삭과로 달리는데, 길이는 1.5∼2 ㎝이고 달걀 모양이다. 번식은 종자로도 하지만 가지를 휘묻이하거나 꺾꽂이로 한다. 병충해와 추위에 잘 견디므로 흔히 관상용, 생울타리용으로 심는다. 한방에서 쓰는 연교는 개나리 종류의 열매를 말린 것인데, 한열(寒熱), 발열, 화농성질환, 림프선염, 소변불리, 종기, 신장염, 습진 등에 처방한다. 뿌리를 연교근, 줄기와 잎을 연교지엽이라 하여 모두 약용으로 쓴다. 개나리 열매껍질에서 추출한 물질에는 항균 성분이 있다. 개나리꽃으로 담근 술을 개나리주라 하고, 햇볕에 말린 열매를 술에 담가 저장한 것을 연교주라 한다. 한국(함경남도,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 중국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청상자(靑箱子, 학명: Celosia argentea)는 쌍떡잎식물 명아주목 비름과의 한해살이풀로 개맨드라미, 들맨드라미, 계관화라고도 한다. 주로 밭둑이나 길가에서 자라며 높이는 약 40∼80 ㎝로 풀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부드러우며 흔히 밑동에서 가지를 치고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8 ㎝, 나비 1∼2.5 ㎝로 잎자루는 거의 없다. 꽃은 양성화로 7∼8 월에 피고, 가지 끝과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는 길이 5∼8 ㎝이고 원기둥 모양으로, 포와 작은 포는 흰색의 넓은 바소꼴이다. 꽃받침은 바소꼴이고 꽃이 진 뒤 흰색이 되며 수술은 5 개이고, 수술대 밑부분은 붙어 있다. 열매는 포과로 9 월에 익으며 달걀 모양인데, 꽃받침보다 짧으며 가로로 갈라지고 지름 1.5 ㎜ 정도의 종자가 여러 개 들어 있다. 한방에서는 잎과 줄기를 가려움증, 종기, 외상출혈 등의 치료에 쓰고, 종자를 눈병, 가려움증, 종기, 고혈압 치료에 처방한다.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강원도, 경기도, 함경남도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포공영(학명: Mongolian dandelion)은 민들레, 안질방이, 앉은방이, 코딱지나물, 보개초, 포공초 등으로 불리우며,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줄기는 없고 잎이 뿌리에서 뭉쳐나 옆으로 퍼진다. 잎은 길이가 20∼30 ㎝, 폭이 2.5∼5 ㎝이며, 깃꼴로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털이 약간 있다. 꽃은 4∼5월에 노란 색으로 피는데, 잎과 길이가 비슷한 꽃대 끝에 1 개가 달린다. 꽃대에는 흰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두상화 밑에만 털이 남으며, 열매는 길이 3∼3.5 ㎜의 긴 타원 모양이며 갈색이다. 상기 포공영은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하며, 들의 볕이 잘 드는 곳에 서식 봄에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 한방에서는 꽃피기 전의 식물체를 포공영(蒲公英)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열로 인한 종창, 유방염, 인후염, 맹장염, 복막염, 급성간염, 황달에 효과가 있으며, 열로 인해 소변을 못 보는 증세에도 사용하며, 민간에서는 젖을 빨리 분비하게 하는 약으로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오배자(학명: Gallnut)는 매미목[同翅目] 진딧물과의 오배자면충이 옻나무과의 붉나무(오배자나무)의 잎에 기생하여 만든 벌레혹으로 불규칙적인 주머니 모양으로 사람의 귀 모양을 닮은 것이 많다. 속이 비어 있고, 맛이 매우 시며, 한방에서는 수렴(收斂), 지혈, 해독, 항균의 효력이 있어, 설사, 탈항,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도한, 유정(遺精), 혈변, 혈뇨, 구내염 등에 처방한다. 상기 오배자는 탄닌 성분을 50∼60 % 정도 함유하고 있어 탄닌제를 비롯하여 염모제(染毛劑)나 잉크의 원료가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구절초(학명: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는 쌍떡잎 식물이며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 살이풀로써 넓은잎 구절초, 구일초(九日草), 선모초(仙母草), 들국화, 고뽕(苦蓬)이라고도 한다. 산기슭 풀밭에서 자라며, 높이 50 ㎝ 정도로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모양이 산구절초와 비슷하며 잎은 달걀 모양으로 밑부분이 편평하거나 심장 모양이며 윗부분 가장자리는 날개처럼 갈라진다. 9∼11 월에 줄기 끝에 지름이 4∼6 ㎝의 연한 홍색 또는 흰색 두상화가 한 송이씩 피며, 총포조각은 긴 타원형으로 갈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씨는 10 월에 익고, 꽃은 술에 담가 먹으며, 모양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생약 구절초는 줄기와 잎을 말린 것이며, 한방과 민간에서는 꽃이 달린 풀 전체를 치풍, 부인병, 위장병에 처방한다. 유사종인 산구절초, 바위구절초 등도 약재로 사용되며,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유채(학명: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는 쌍떡잎식물이며 양귀비목 겨자과의 두해살이풀이다. 상기 유채는 평지라고도 하며 보통종(Brassica napus)과 서양종(B. campestris)이 있다. 상기 보통종은 지중해 연안에서 중앙아시아 고원 지대 원산으로서, 꽃은 노란색이고 종자는 붉은 갈색이라서 적종(赤種)이라고도 하며, 상기 서양종은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시베리아와 카프카스 지방에 걸친 지역이 원산지로서, 꽃은 녹색을 띤 붉은색이며 종자는 검은빛을 띤 갈색이다. 한국에서 재배하는 것은 서양종이며, 1962 년부터 유료작물(油料作物)로서 본격적으로 재배하였다. 상기 유채는 높이가 80∼130 ㎝이며, 표면은 매끄럽고 녹색이다. 원줄기에서는 15 개 안팎의 1차 곁가지가 나오고, 이 가지에서 다시 2∼4 개의 2차 곁가지가 나온다. 잎은 바소꼴이고 끝이 둔하고, 아래쪽 줄기에 달린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잎 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지며, 위쪽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줄기를 둘러싸고 그 끝은 가늘다. 서양종의 잎은 두껍고 혁질(革質: 가죽같은 질감)이며, 보통종은 연한 녹색이고 잎살이 비혁질이다. 줄기에는 보통 30∼50 개의 잎이 붙는다. 꽃은 3∼4 월에 총상꽃차례로 피며 가지 끝에 달리며, 배추꽃과 비슷하며 약 10 ㎝ 길이의 꽃자루를 가진 홑꽃이 핀다. 꽃잎, 꽃받침은 각각 4 개로 갈라지며 수술 6 개, 암술 1 개, 4 개의 꿀샘이 있다. 성숙한 이삭 길이는 가지의 위치, 재식방법, 품종 등에 따라 다르나, 대개 35∼45 ㎝이고 한 이삭에 30∼40 개의 열매가 달린다. 열매는 각과(角果)로서 길이 8 ㎝ 가량의 원통 모양이다. 중앙에는 봉합선이 있으며 완숙하면 봉합선이 갈라져서 종자가 떨어진다. 속은 2실로 되고 투명한 격막으로 갈라지며, 보통 20 개 가량의 짙은 갈색 종자가 들어 있다. 번식은 종자로 하며, 품종에는 파성(播性)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데, 한국에서 재배하는 서양종은 맥류와는 달리 감광성이 약하고 감온성의 차이에 의해서 파성 정도가 달라진다. 수확량이 많고 품질이 좋으며 빨리 자라고 추위와 습기에 잘 견디는 것이 우량품종으로, 대표적인 품종은 아사히, 유달, 목포11호, 용당 등이다. 종자에는 38∼45 %의 기름이 들어 있는데, 15∼20 %의 가용성 질소질과 20 % 가량의 단백질이 들어 있는 식용유로서 콩기름 다음으로 많이 소비하고 있으며, 깻묵은 사료나 비료로 쓴다. 꽃은 밀원식물(蜜源植物)이고, 종자에서 분리한 지방유를 연고기제(軟膏基劑), 유성주사약(油性注射藥)의 용제나 기계의 윤활유로 사용하며, 한국(제주도와 남부지방),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촉규화(蜀葵花, 학명: Althaea rosea)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두해살이풀로 접시꽃, 덕두화, 접중화, 촉규, 촉계화, 단오금이라고도 한다. 중국 원산이며 길가 빈터 등지에 자생한다. 원줄기는 높이 2.5 m에 달하고 털이 있으며 원기둥 모양으로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며 가장자리가 5∼7 개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꽃은 6 월경 잎겨드랑이에서 짧은 자루가 있는 꽃이 피기 시작하여 전체가 긴 총상꽃차례로 된다. 작은포는 7∼8 개이며 밑부분이 서로 붙고, 꽃받침은 5 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5 개가 나선상으로 붙는다. 꽃색은 붉은색, 연한 홍색, 노란색, 흰색 등 다양하고 꽃잎도 겹으로 된 것이 있다. 수술은 서로 합쳐져서 암술을 둘러싸고 암술머리는 여러 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편평한 원형으로 심피가 수레바퀴처럼 돌려붙으며 9 월에 익는다. 뿌리를 촉규근(蜀葵根)이라 하고, 꽃을 촉규화라고 하며, 점액이 있어 한방에서 점활제(粘滑劑)로 사용한다. 관상용이며 잎, 줄기, 뿌리 등을 약용한다.
상기와 같은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추출용매의 종류 및 함량 등도 목적에 따라 임의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또는 촉규화 추출물은 정제한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또는 촉규화를 건조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약 10 배량의 추출용매로 5 일간 냉침하여 추출한 추출원액을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추출용매로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그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핵산, 디에틸에테르,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하거나, 1 종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후, 여기에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용매분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또는 촉규화 추출물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2 종 이상의 혼합시 혼합비율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또는 촉규화 추출물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항염 효과가 우수하지만, 특히 2 종 이상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시너지 효과에 의한 상기 항염 효능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로 이 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식물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총 0.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총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인체에 무해하며 조성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젤, 로션,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독성, 알러지 유발 가능성 등이 없어 피부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경로의 염증 유발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인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생성을 억제하는 등 항염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 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를 한약분쇄기를 이용하여 100∼200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한 후, 분쇄물 무게의 5 배 용량의 에탄올이나 10 배 용량의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하여 5 일 동안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그 다음, 상기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와트만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4)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회전식 증발농축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안전성 시험)
1. 세포독성 시험
상기 수득한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의 1차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각각의 추출물에 대하여 V79-4세포(차이니스 햄스터, 폐조직 섬유아세포의 연속 세포주)를 배양하여 MTT 시험을 하는 방법(참고 문헌 : Mossma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 survival :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1983, 65, 55~63)을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 SLS(Sodium Lauryl Sulfate)를 사용하였다.
시료 IC50 (%, w/v)
SLS 0.005
연교 추출물 10
청상자 추출물 10
포공영 추출물 10
오배자 추출물 10
구절초 추출물 10
유채 추출물 10
촉규화 추출물 10
[주] IC50(Inhibitory Concentration 50) - 50 %의 세포를 사멸시키는 농도
상기 표 1을 통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의 IC50 값은 10 %로 SLS에 비하여 2,000 배 이상 세포독성이 낮게 나타나 안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알러지 평가
상기 수득한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의 알러지 유발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LLNA(local lymph node assay) 실험법을 실시하였다(참고문헌 : OECD GUIDELINE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 DRAFT NEW GUIDELINE 429: Skin Sensitization ; Local Lymph Node Assay).
먼저,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을 각각 20 중량%, 40 중량%, 60 중량% 용액으로 제조하여, 마우스(Balb/c)의 양쪽 귀에 25 ㎕씩 3 일간 발라준 후, 마우스로부터 이개임파절(Auricular lymph node)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임파절을 분쇄하여 단일세포 상태로 만든 후, 방사성 동위원소 [3H]-메틸티미딘(methyl thymidine)을 첨가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세포 증식의 dpm 및 증폭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에탄올 60 % 용액을 사용하였다.
구분 농도 (중량%) 임파절세포 수 (세포/mL × 107) dpm1 (평균) S.I.2 (증폭도)
에탄올 60 2.27 1895 운반매개물
연교 추출물 20 2.85 2168 1.14
40 2.98 2087 1.10
60 2.65 2239 1.18
청상자 추출물 20 3.15 2019 1.07
40 2.78 2177 1.15
60 2.69 2269 1.2
포공영 추출물 20 3.04 2507 1.32
40 3.1 2468 1.30
60 2.79 2706 1.43
오배자 추출물 20 2.86 2460 1.3
40 2.46 2648 1.4
60 3.15 2897 1.53
구절초 추출물 20 2.29 1241 0.7
40 2.32 1839 1.0
60 3.2 1714 0.9
유채 추출물 20 2.67 2377 1.25
40 2.99 2464 1.3
60 3.09 2234 1.18
촉규화 추출물 20 2.41 2125 1.12
40 2.38 2374 1.25
60 2.59 2299 1.21
[주] 1. dpm(disintegraion per minute) - [3H]-메틸티미딘이 세포내로 삽입되는 양
2. S.I.(stimulation index) - 시료의 평균 dpm을 대조군의 평균 dpm으로 나눈 값
알러지 평가 결과는 대조군에 비한 시료군의 임파구 증폭 정도로 나타내며, 한 농도에서라도 시료의 증폭 정도(S.I.)가 3 이상이고,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경우 알러젠으로 간주하게 되는데,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은 증폭 정도가 3 이하로서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인체첩포 시험
상기 수득한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인체 첩포 시험(Human patch test)을 통하여 인체에 대한 1차 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50 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참고문헌 : The Cosmetic, Toilit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실시하였다.
먼저, 핀 챔버(Finn Chamber)에 1 % 농도(v/v)의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 0.05 % 농도(w/v)의 SLS시료, 및 증류수를 각각 15 ㎕를 적하시킨 후, 이를 시험부위인 피시험자의 등에 얹어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이어서, 24 시간 동안 첩포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4 시간이 경과한 다음 시험부위의 피부 반응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 판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자극도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측정하였다.
판정기준
0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1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2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3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수학식 2]
자극도 = {(0 × 명) + (1 × 명) + (2 × 명) + (3 × 명)} / 피시험자 수
시료 판정결과 (명) 자극도
3 2 1 0
증류수 - 3 6 41 0.24
0.05% SLS 1 4 11 33 0.44
1 % 연교 추출물 - 1 6 43 0.16
1 % 청상자 추출물 - - 3 47 0.06
1 % 포공영 추출물 - 2 6 42 0.2
1 % 오배자 추출물 - - 3 47 0.06
1 % 구절초 추출물 - - 3 47 0.06
1 % 유채 추출물 - - 2 48 0.04
1 % 촉규화 추출물 - - 3 47 0.06
상기 표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은 SLS에 비하여 월등히 낮은 자극을 나타내며, 증류수에 의한 자극보다도 낮아 인체 피부에 자극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수득한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의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참고문헌 : Jeffrey, K. H., Anglea, S. W., Zoe, S., and Rhia C. M. Intracellular Measurement of Prostaglandin E2: Effect of Anti-inflammatory Drugs on Cyclooxygenase Activity and Prostanoid Expression, Analytical Biochemistry, 1999, 271, 18-28).
먼저, 사람의 표피 조직에서 분리한 섬유 아세포를 수 차례 계대 배양한 후, 96-웰 플레이트에 1×105 개씩 넣고 37 ℃, 5 %(v/v)의 CO2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FBS(fetal bovine serum)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하여 2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 각각에 증류수를 혼합하여 각각 100 ㎍/mL, 1000 ㎍/mL, 10000 ㎍/mL의 농도로 준비하여 처리한 다음, 37 ℃, 5 %(v/v)의 CO2 배양기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프로스타글란딘 E2 자극원으로 칼슘 이오노포어 A23187(Calcium ionophore A23187)과 아라키돈산을 50 ㎛의 농도로 5 분간 처리한 후,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를 최종 농도 0.25 %(w/v)로 10 분간 처리하여 세포를 용혈시켰다. 이 상층액을 goat-anti mouse Ig 로 코팅된 플레이트에 50 ㎕ 씩 취하여 넣어주고, 이때 프로스타글란딘 E2 standard도 각각 농도를 변화시켜가며(20, 40, 80, 160, 240, 320, 480, 640 pg / 50 ㎕) 50 ㎕ 씩 넣어주었다.
여기에, 프로스타글란딘 E2 항체와 프로스타글란딘 E2 접합체를 각각 50 ㎕ 씩 넣어 플레이트 쉐이커로 2 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배지 및 버퍼를 제거하고 4 회 수세하였다. 그 다음, 효소 기질인 3,3',5,5'-테트라메틸벤지딘(tetramethylbenzidine(TMB))/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를 150 ㎕씩 넣어 쉐이커에서 30 분간 반응시킨 후, 반응 정지를 위하여 1M의 황산을 첨가하고 ELISA reader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하기 표 4의 억제율은 아라키돈산을 처리하지 않은 피부 섬유아세포와 아라키돈산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의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량의 차이를 기준으로 계산하였으며, 상기 억제율은 5 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구분 농도 (㎍/mL) 프로스타글란딘 E2 (pg/105 cells) 억제율 (%)
음성대조군 - 24.2 ± 4.4 -
양성대조군 (아라키돈산) - 383.2 ± 10.1 -
연교 추출물 100 346.4 ± 13.7 9.6
1000 264.9 ± 10.2 30.8
10000 126.1 ± 14.8 67.1
청상자 추출물 100 337.8 ± 16.1 11.8
1000 301.5 ± 8.4 21.3
10000 119.5 ± 11.3 68.8
포공영 추출물 100 372.6 ± 7.5 2.8
1000 350.4 ± 10.6 8.6
10000 70 ±12.3 81.7
오배자 추출물 100 306.4 ± 8.4 20.04
1000 184.5 ± 14.2 51.8
10000 52.9 ± 9.7 86.2
구절초 추출물 100 262.6 ± 13.2 61.5
1000 201.9 ± 17.6 47.3
10000 110.4 ± 15.1 71.2
유채 추출물 100 352.4 ± 7.2 8.03
1000 318.4 ± 8.9 16.9
10000 95.8 ± 11.8 75
촉규화 추출물 100 334.9 ± 14.2 12.6
1000 267.9 ± 10.7 30
10000 107.3 ± 15.5 72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은1000 ㎍/mL의 농도에서 대부분 20∼30 %의 항염 효능이 있고, 10000 ㎍/mL의 농도에서 최대 60 ^ 이상 자극원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을 억제하여 탁월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in vivo 항염 효과)
상기 수득한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의 동물 실험에서의 항염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in vivo 평가법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mouse ear swelling test, MEST)(참고문헌 : A. Crummey, G. P. Harper, E. A. Boyle and F. R. Mangan. Inhibition of arachidonic acid-induced ear edema as a model for assessing topical anti-inflammatory compound. Agents and Actions 1987, 20, 69-76).
먼저, 무모 마우스(hairless mouse) 21 마리를 각 7 마리씩 3 개 군으로 나누어 0.5 %의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에탄올을 시료로서 처리하는 시험군 1, 1.0 %의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에탄올을 시료로서 처리하는 시험군 2, 추출물을 포함하지 아니하는 에탄올을 시료로서 처리하는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마우스의 양쪽 귀를 시료 적용 전 에탄올로 깨끗이 세척한 후,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귀 두께의 평균치를 측정하였다. 시험군 1 및 시험군 2는 각각의 시료 20 ㎕를, 대조군은 에탄올 20 ㎕를 도포하고 1 시간이 경과한 후, 대조군을 제외한 각각의 마우스의 좌측 귀에는 에탄올을, 우측 귀에는 아라키돈산을 각각 2 ㎎/ear씩 도포하고, 도포 1 시간 후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양쪽 귀의 두께를 3 회씩 반복 측정하여 아라키돈산에 의한 귀의 부종(edema)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아라키돈산을 도포하지 아니한 마우스의 좌측 귀는 시험군 1 및 시험군 2자체의 염증 유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대조군으로 이용하였으며, 시료의 도포 전과 비교하여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아니하였다.
시험군 1 및 시험군 2의 항염 효과는 추출물을 포함하지 아니하는 에탄올을 처리한 대조군을 기준으로 부종 억제 정도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측정하였다.
[수학식 2]
억제율 (%) = {(A-B) / A} × 100
A: 대조군 귀의 평균두께 변화 (아라키돈산 처리 후 두께 - 아라키돈산 처리 전 두께)
B: 시험군 귀의 평균두께 변화 (아라키돈산 처리 후 두께 - 아라키돈산 처리 전 두께)
구분 농도 (부피 %) 귀 두께 (㎛) 억제율 (%)
아라키돈산 처리 전 아리키돈산 처리 후 두께변화
연교 추출물 0.5 325 572 247 16.3
1.0 331 541 210 28.8
청상자 추출물 0.5 318 536 218 26.1
1.0 308 613 205 30.5
포공영 추출물 0.5 321 526 205 30.5
1.0 314 507 193 34.5
오배자 추출물 0.5 309 510 201 31.8
1.0 316 519 203 31.2
구절초 추출물 0.5 321 555 234 20.5
1.0 318 528 210 28.6
유채 추출물 0.5 311 559 248 15.9
1.0 306 514 208 29.5
촉규화 추출물 0.5 297 512 215 27.1
1.0 304 499 195 33.9
대조군 - 323 618 295 47.7
상기 표 5를 통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은 모두 30 % 내외의 염증 억제율을 보여 in vivo 상에서도 항염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연교, 청상자, 포공영, 오배자, 구절초,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은 항염 효과가 뛰어나며, 피부에 안전한 성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세포독성, 알러지 유발 가능성 등이 없어 피부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경로의 염증 유발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인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생성을 억제하는 등 항염 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항염 조성물에 있어서,
    오배자 및 촉규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배자 및 촉규화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식물 추출물이 조성물에 총 0.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젤, 로션, 연고, 패취, 및 분무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조성물.
KR1020050056789A 2005-06-29 2005-06-29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309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789A KR101309172B1 (ko) 2005-06-29 2005-06-29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789A KR101309172B1 (ko) 2005-06-29 2005-06-29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359A KR20070001359A (ko) 2007-01-04
KR101309172B1 true KR101309172B1 (ko) 2013-09-17

Family

ID=3786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789A KR101309172B1 (ko) 2005-06-29 2005-06-29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17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920A (ko) 2014-07-01 2016-0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7A (ko) 2014-07-01 2016-0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2763A (ko)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진켐 항염 조성물
KR102015854B1 (ko) 2019-04-08 2019-08-30 (주)우성씨앤티 황금과 후박의 벤질글라이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안티- 풀루션 효과로 피부 트러블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68079B1 (ko) 2019-01-21 2020-01-21 박성율 피부 자극이 없으면서 손상된 피부의 회복을 촉진하는 효과 화장품 조성물
KR102348275B1 (ko) 2021-04-27 2022-01-06 주식회사 래디안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US11351131B2 (en) 2016-10-17 2022-06-07 Neopharm Co., Ltd.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KR102606838B1 (ko) 2023-01-20 2023-11-29 그린코스 주식회사 식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294B1 (ko) * 2007-02-27 2009-03-16 주식회사 더마랩 촉규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9687517B2 (en) 2007-12-20 2017-06-27 Elc Management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kin
US8535738B2 (en) 2007-12-20 2013-09-17 Elc Management,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kin
KR101888184B1 (ko) * 2011-12-28 2018-08-16 유은미 구절초 및 아로니아로 구성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57675B1 (ko) * 2012-03-22 2014-02-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71818B1 (ko) * 2012-12-04 2014-12-11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7082B1 (ko) * 2016-03-04 2022-07-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청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488A (ja) * 1998-11-16 2000-05-23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1122730A (ja) * 1999-10-26 2001-05-08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20050050012A (ko) * 2003-11-24 2005-05-27 최상숙 천연물을 이용한 항여드름 화장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3488A (ja) * 1998-11-16 2000-05-23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1122730A (ja) * 1999-10-26 2001-05-08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20050050012A (ko) * 2003-11-24 2005-05-27 최상숙 천연물을 이용한 항여드름 화장료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구절초에서 분리한 linarin의 생리활성, 약학회지. 2001, 제45권 제6호 pp.604-610 *
구절초에서 분리한 linarin의 생리활성, 약학회지. 2001, 제45권 제6호 pp.604-610*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920A (ko) 2014-07-01 2016-0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7A (ko) 2014-07-01 2016-0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11351131B2 (en) 2016-10-17 2022-06-07 Neopharm Co., Ltd.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KR20180062763A (ko)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진켐 항염 조성물
KR102068079B1 (ko) 2019-01-21 2020-01-21 박성율 피부 자극이 없으면서 손상된 피부의 회복을 촉진하는 효과 화장품 조성물
KR102015854B1 (ko) 2019-04-08 2019-08-30 (주)우성씨앤티 황금과 후박의 벤질글라이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안티- 풀루션 효과로 피부 트러블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화장품 조성물
KR102348275B1 (ko) 2021-04-27 2022-01-06 주식회사 래디안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06838B1 (ko) 2023-01-20 2023-11-29 그린코스 주식회사 식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359A (ko)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172B1 (ko)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Vardhana Direct uses of medicinal plants and their identification
KR100910747B1 (ko)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2276213B1 (ko)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US20130101537A1 (en) Skin-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from trees including paper mulberry
KR102012732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염증 및 모공축소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20200063612A (ko) 조롱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1441A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3101B1 (ko)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121353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171761B1 (ko) 피부노화 방지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0211B1 (ko)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95577B1 (ko)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0432A (ko) 칠화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3085A (ko)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1637B1 (ko) 염생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19316B1 (ko)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277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KR101936150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