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275B1 -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275B1
KR102348275B1 KR1020210054074A KR20210054074A KR102348275B1 KR 102348275 B1 KR102348275 B1 KR 102348275B1 KR 1020210054074 A KR1020210054074 A KR 1020210054074A KR 20210054074 A KR20210054074 A KR 20210054074A KR 102348275 B1 KR102348275 B1 KR 102348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white rice
inflammatory
skin irr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조일지
김은지
변승연
주영아
김호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디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to KR102021005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백미꽃 및 접시꽃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및 두피 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항염 효능을 갖는 효과가 있고, 수입 대체로 인해 경제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HAVING EFFECT OF MITIGATING SKIN IRRITATION AND ANTIINFLAMMARTORY ACTIVITIES}
본 발명은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일차적인 기능과 미용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서, 과도한 자외선이나 오염물질 등에 노출되면 홍반 부종, 가려움 등의 피부 자극 및 염증 반응이 유발되는데, 이러한 스트레스원에 의한 피부 트러블은 미관상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염증 반응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이 부수적으로 피부의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 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 주름의 증가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부를 청결하게 하거나 아름답게 표현하는 미적 기능 및 유해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방어기능을 그 목적으로 하여 화장품을 사용한다.
그러나, 피부를 보호하고 미화 청결을 위한 목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피부 외용 제품들에 있어서, 사용이 불가피 하지만 피부 보호 목적과는 상이한 성분들, 예컨대 계면 활성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색소, 기능성 원료 등은 피부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미백, 주름 개선, 각질제거 등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제품에 함유되는 AHA(알파하이드록시산), 레티놀, 알부틴 등의 성분들은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염증은 체내의 자극에 의해 변화된 손상 부위를 재생하려는 기전인데, 지속적인 염증 반응은 점막 손상을 촉진시켜 결과적으로 통증, 부종, 발적, 발열 등을 일으켜 기능 장애를 유발한다.
대식세포는 다양한 숙주반응을 통한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염증반응 시에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해 만들어지는 산화질소(nitric oxide)와 사이클로옥시제나아제 (cyclooxygenase)-2에 의해서 과량 만들어지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E2 등과 같은 염증 촉진 인자들이 생성된다.
또한,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유발된 세포에서 염증매개 물질인 튜머 네크로시스 팩터(tumor necrosis factor)-α, 인터루킨(interleukin)-6 및 인터루킨(interleukin)-1β와 같은 사이토카인을 생산하여 다양한 염증반응을 매개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피부 자극 및 염증의 생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항염제제로 사용되는 물질로 비스테로이드 계통의 벤지다민, 인도메타신, 이부프로펜 등이 있으며, 스테로이드 계통의 덱사메타손, 하이드로코티존 등이 있다. (Leung Y.F. et al., Mol Vis. Sep 5;9:425-39 (2003), Rocksen D. et al., Clin Exp Immunol. 122(2):249-56 (2000), Endo Y. et al., Res Commun Chem Pathol Pharmacol. 33(2):195-206 (1981), FAVOUR C.B. et al., Med Bull. 6(1):15-8 (1958), Sato S. et al., J Osaka Dent Univ.1(1):37-49 (1967))
그런데, 상기의 물질들은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량이 제한된 경우가 대부분이며, 특히 스테로이드 계통의 경우 피부 위축, 불면, 불안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고 있다.
따라서, 피부에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 식물로부터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물질을 발굴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일례로, 종래에는 화장료 조성물 중에 백미꽃 추출물이나 접시꽃 추출물을 다양한 성분의 하나로써 개별적으로 포함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본 발명과 같은 만족스러운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27156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97160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768870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09172호
본 발명은 천연 식물로부터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백미꽃이란 식물은 국내 재배 농가가 없으며, 대부분 수입하여 제품화 하고 있으므로, 경제성이 우수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백미꽃 추출물의 효능을 현저히 향상시키면서 경제성을 보완할 대체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백미꽃 추출물 및 접시꽃 추출물을 7~9.5 : 3~0.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항염 효능은 TNF-α, IL(Interleukin)-8 및 IL(Interleukin)-1α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발현하는 염증 매개 경로에 효과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부틸렌글리콜, 헥산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페녹시에탄올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마스크팩 에센스,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젤, 로션, 연고, 패치 및 분무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백미꽃 및 접시꽃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및 두피 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항염 효능을 갖는 효과가 있고, 수입 대체로 인해 경제성이 우수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들의 NO-assay의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들을 염증 매개 인자를 변경한 RT-PCR의 결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들의 자극 완화 실험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 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은 다양한 영양소 및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그 작용이 복합적이다.
다양한 천연 추출물 중에서, NO 생성 저해능으로 항염 효능을 스크리닝 하여, 백미꽃추출물보다는 부족하지만 항염 효능이 우수한 접시꽃추출물을 후보물질로 선정하였다.
접시꽃(학명 : Althaea Rosea)은 아욱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2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심장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5~7개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열매는 편평한 원형으로 심피가 수레바퀴처럼 돌려 붙으며 9월에 익는다. 뿌리를 촉규근(蜀葵根)이라 하고, 꽃을 촉규화라고 하며, 점액이 있어 한방에서 점활제(粘滑劑)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백미꽃 추출물 및 접시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성의 조성물의 효능 비교를 위해 아래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1) 항염효능평가_NO assay
일산화질소 (NO)의 과도한 생성은 염증 반응을 유도하며, 이에 대한 효능 측정을 위하여, 세포를 LPS (lipopolysaccharide)로 자극하여 NO의 생성을 유도한 후, 시료에 의한 NO 생성 저해 효과를 Griess reagent 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대식세포주(Raw 264.7)를 24-well 플레이트에 1×105 cells/ml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도 1 및 도 2에서 “Contol”로 표기함).
이어서,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DMEM, 10% FBS, 1% Ab, 2.5% HEPES, 100ng/ml LPS 포함)만를 이용하거나, 양성대조군인 L-NMMA (NG-methyl-L-arginine acetate salt) 50uM을 포함하거나, 다양한 조성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배지를 500㎕씩 세포에 처리하여, 최종농도 10~200μg/ml의 농도가 되도록 하였다(도 1 및 도 2 참조).
24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회수하여 4℃,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시킨 후, 상층액만 회수하였다.
상층액 50ul만 취하여 96-well 플레이트에 넣고 동량의 Griess reagent(Sigma사, G4410)와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미꽃과 접시꽃의 혼합추출물은 모두 항염 효능이 확인되지만, 백미꽃과 접시꽃을 동량 추출한 추출물(5:5)은 백미꽃 단독 추출물보다 효능은 부족하였고, 접시꽃 추출물의 비율이 백미꽃 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면, 백미꽃 단독 추출물 보다 항염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미꽃:접시꽃이 중량비로 7:3인 경우, 백미꽃:접시꽃이 8:2인 경우, 백미꽃:접시꽃이 9:1인 경우 및 백미꽃:접시꽃이 9.5:0.5인 경우의 추출물은 백미꽃 단독 추출물보다 항염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RT-PCR(자극원: 계면활성제 SLS(Sodium Lauryl Sulfate))
각질형성세포주를 60-㎜ 접시에 2*106의 개수로 접종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도 3 내지 도 5에서 “Control”로 표기함). 배양된 세포주를 PBS(phosphate buffer saline)를 이용하여 성장인자들을 제거한 후, 상기 세포가 배양된 배지에 자극원(계면활성제_SLS)만을 이용하거나, 양성대조군(Dex: dexamethasone) 및 다양한 조성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추가로 처리한 후, 24~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TriZol을 이용하여 RNA를 분리한 후 cDNA를 합성한 후, TNF-α, IL(Interleukin)-8 및 IL(Interleukin)-1α의 염증매개인자의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도 3 내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미꽃과 접시꽃의 혼합추출물은 모두 항염효능이 확인되지만, 중량비로, 백미꽃:접시꽃이 8:2인 비율, 백미꽃:접시꽃이 9:1인 비율, 백미꽃:접시꽃이 9.5:0.5인 비율의 추출물은 백미꽃 단독 추출물보다 항염인자 TNF-α 발현을 더욱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비로, 백미꽃:접시꽃이 7:3인 비율, 백미꽃:접시꽃이 8:2인 비율, 백미꽃:접시꽃이 9:1인 비율의 추출물은 백미꽃 단독 추출물보다 항염인자 IL-8 발현을 더욱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비로, 백미꽃:접시꽃이 7:3인 비율, 백미꽃:접시꽃이 8:2인 비율, 백미꽃:접시꽃이 9:1인 비율, 백미꽃:접시꽃이 9.5:0.5인 비율의 추출물은 백미꽃 단독 추출물보다 항염인자 IL-1α 발현을 더욱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서 백미꽃 추출물 : 접시꽃 추출물의 비율은 중량비로 7~9.5 : 3~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항염 효능은 TNF-α, IL(Interleukin)-8 및 IL(Interleukin)-1α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발현하는 염증 매개 경로에 효과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부틸렌글리콜, 헥산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페녹시에탄올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에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용매는 후속하는 제형의 형성 및 추출물의 안정성을 위해 필요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마스크팩 에센스,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젤, 로션, 연고, 패치 및 분무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자극완화 정도를 아래와 같이 실험하였다.
(실시예 3) 자극완화실험
본 발명의 조성물이 자극완화에 도움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20~30세 성인 3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1) 대일밴드 중형(19x72mm, 거즈 면적 13x25mm)의 안쪽 거즈에 자극원(Phenoxyethanol 2% solution)을 200㎕ 흡수시킨 뒤, 팔꿈치 아래 시험 부위 4군데에 1시간 부착하였다.
2) 1시간 경과 후 자극원 처리 밴드를 제거하고, 남은 수분은 닦아주었다.
3) 홍반 유발이 확인되면 사진촬영 진행 후 자극 위치 및 시료 처리 위치를 표시하였다.
4) 자극원 처리 시와 동일한 밴드를 이용하여 안쪽 거즈에 음성대조군(정제수), 양성대조군(Dexpanthenol 2% solution) 및 평가시료(백미꽃 에탄올 추출물; 백미꽃:접시꽃이 9:1인 비율의 에탄올 혼합 추출물) 2종을 각각 200ul씩 흡수시킨 뒤, 시험부위 4군데에 10분 부착하였다.
5) 10분 경과 후 자극완화 시료 처리 밴드를 제거하고, 남은 수분을 닦아주었다.
6) 자극완화 시료 처리 직후와 10분 경과 후 육안으로 홍반 완화 효능을 확인한 뒤 사진촬영을 진행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우수 자극완화 성분으로 알려진 Dexpanthenol의 홍반 완화능과 백미꽃 에탄올 단독추출물 및 백미꽃+접시꽃 혼합추출물의 홍반 완화능은 피험자 모두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피험자 1의 경우 백미꽃 에탄올 단독 추출물보다 백미꽃+접시꽃 혼합추출물에서 육안으로 보아도 확실한 홍반 완화가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5)

  1. 백미꽃 추출물 및 접시꽃 추출물을 7~9.5 : 3~0.5의 중량비로 포함하여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 효능이 TNF-α, IL(Interleukin)-8 및 IL(Interleukin)-1α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발현하는 염증 매개 경로에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부틸렌글리콜, 헥산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페녹시에탄올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마스크팩 에센스,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젤, 로션, 연고, 패치 및 분무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54074A 2021-04-27 2021-04-27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8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074A KR102348275B1 (ko) 2021-04-27 2021-04-27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074A KR102348275B1 (ko) 2021-04-27 2021-04-27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275B1 true KR102348275B1 (ko) 2022-01-06

Family

ID=7934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074A KR102348275B1 (ko) 2021-04-27 2021-04-27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2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367A1 (ko) * 2021-07-07 2023-01-12 주식회사래디안 백미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609A (ko) * 2008-05-02 2009-11-05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017729A (ko) *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래디안 2,4-다이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백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09172B1 (ko) 2005-06-29 2013-09-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397160B1 (ko) 2012-08-10 2014-05-20 주식회사 래디안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1847A (ko) *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래디안 백미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시나프산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백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93220B1 (ko) * 2015-05-06 2017-01-05 (주)비타바이오 촉규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172B1 (ko) 2005-06-29 2013-09-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5609A (ko) * 2008-05-02 2009-11-05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017729A (ko) *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래디안 2,4-다이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백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7156B1 (ko) 2009-08-14 2012-06-13 주식회사 래디안 2,4-다이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백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7160B1 (ko) 2012-08-10 2014-05-20 주식회사 래디안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1847A (ko) *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래디안 백미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시나프산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백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68870B1 (ko) 2015-04-13 2017-08-17 주식회사 래디안 백미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시나프산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백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93220B1 (ko) * 2015-05-06 2017-01-05 (주)비타바이오 촉규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367A1 (ko) * 2021-07-07 2023-01-12 주식회사래디안 백미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916B1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47833B1 (ko)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2304A (ko) 케이폭 나무 꽃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미용적, 약학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35350B1 (ko) 필란투스 니루리의 추출물
KR102348275B1 (ko)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92177B1 (ko)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1525876B1 (ko) 당나귀 껍질로부터 아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아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6853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491487A (zh) 一种天然修护润唇膏
JP6915048B2 (ja) アルブツス・ウネドの果実抽出物の化粧品としての使用
KR2017013756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47623B1 (ko) 붉가시나무 열매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방지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8888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2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1428B1 (ko)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98348B1 (ko) 피지 조절 및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20110063912A (ko) 길경, 홍삼 및 시호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WO2023282367A1 (ko) 백미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1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