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304A - 케이폭 나무 꽃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미용적, 약학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케이폭 나무 꽃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미용적, 약학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304A
KR20200122304A KR1020207021132A KR20207021132A KR20200122304A KR 20200122304 A KR20200122304 A KR 20200122304A KR 1020207021132 A KR1020207021132 A KR 1020207021132A KR 20207021132 A KR20207021132 A KR 20207021132A KR 20200122304 A KR20200122304 A KR 20200122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water
advantageously
caly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피 르클레르-비앙페
스테파니 브레디프
Original Assignee
라보라토이레즈 익스펜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보라토이레즈 익스펜사이언스 filed Critical 라보라토이레즈 익스펜사이언스
Publication of KR2020012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3Liquid-solid separation, e.g. centrifugation, sedimentation or crystall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폭 나무,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으로부터의 꽃, 바람직하게는 꽃받침의 추출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미용적, 약학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점막 또는 케라틴성 부속물의 장애 또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및 혈관성 장애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이러한 조성물 또는 이러한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지막으로 이의 상태 또는 외관의 개선 측면에서, 피부, 케라틴성 부속물 또는 점막에 대한 미용적 처치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이러한 조성물 또는 이러한 추출물을 투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케이폭 나무 꽃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미용적, 약학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케이폭 나무(Kapok tree) 꽃 추출물,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Bombax costatum)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미용적, 약학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또한 케이폭 나무 꽃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케이폭 나무 꽃받침 추출물의 추출 방법뿐만 아니라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추출물을 포괄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점막 또는 피부 부속물의 장애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서의 그리고 혈관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서의 그 사용을 위한 이러한 조성물 또는 이러한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조성물 또는 이러한 추출물을 투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그 상태 또는 외관의 개선 측면에서, 피부, 피부 부속물 또는 점막에 대한 미용적 처치(care) 방법에 관한 것이다.
케이폭 나무
케이폭 나무,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은 봄바카세애과(APG: 말바세애)의 구성원이다. 봄박스 코스타툼은 봄박스 앤드리위(Bombax andrieui) 또는 봄박스 하우아르디이(Bombax houardii)로도 불린다. 봄박스 코스타툼은 더 일반적으로는 홍화 판야 나무, 당아옥(cheese-maker) 나무, 적색 케이폭 나무, 판야 나무, 잠비아 판야 나무, 바카(Mor
Figure pct00001
어로) 또는 바움바우(Jula어로)로 알려져 있다.
봄박스는 8개 종: 아프리카에서 2개, 아시아에서 5개 및 오세아니아에서 1개 종을 포함하는 범열대 속으로, 솔로몬 제도까지 계속 확인된다. 이전에는, 봄박스 속이 훨씬 더 널리 퍼져 있었다. 봄박스 코스타툼은 때때로 봄박스 부오노포젠세(Bombax buonopozens)와 동종으로 간주된다.
봄박스 코스타툼의 용도
일반적으로, 아프리카에서, 봄박스 코스타툼은 비교적 일반적인 식품원인 나무이다: 잎은 바오밥 나무의 잎과 동일한 방식으로 건조되고 섭취되며, 꽃, 특히 꽃받침도 식용 가능하다.
어린 식물의 혹은 소가 먹는다.
이것은 때때로 신성한 나무로 간주되므로, 여러 마술적 및 종교적 용도를 갖는다(Sanou 2013).
부르키나 파소에서, 나무껍질은 이빨을 빨갛게 물들이기 위해 사용된다. 꽃은 보통 요리되어 야채로 섭취되는 과육성 꽃받침을 위해 수집된다. 잎도 야채로 사용된다. 익지 않은 열매 그리고 때때로 꽃이 소스에 증점제로서 첨가된다. 어린, 익지 않은 열매는 음료 제조에도 사용된다. 종자의 오일은 식용 가능하다. 꽃은 이의 벌꿀형성 품질에 대해 훨씬 인정받는다.
나무의 몇몇 부분은 다양한 질환에 대한 전통 의약에서 사용된다. 뿌리는 분말로 분쇄되어 소스로 섭취되거나 간질에 대한 목욕재로 적용된다. 나무껍질 제조물은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상처에 적용된다.
세네갈 및 시에라 리온에서는, 줄기 및 뿌리의 나무껍질이 이뇨 특성을 갖는다고 여겨진다.
나무껍질은 또한 트리코모나스증, 아메바증 및 다른 형태의 이질에 대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줄기 나무껍질의 추출물에서의 목욕이 정신이상에 대해 취해진다. 줄기 나무껍질의 분말은 두통에 대해 훈증에 의해 적용되는 의약 조성물 중에 사용된다. 줄기 나무껍질의 습포는 두통 및 치통을 치료하기 위해 머리에 적용될 수 있다.
잎은 냉 및 설사를 치료하기 위해 다른 의약성 식물과 함께 처방된다. 분쇄된 잎의 추출물은 출산 동안의 문제에 대한 음료로서 취해진다. 분쇄된 잎 추출물에서의 목욕은 경련을 예방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취해진다. 건조된 잎으로 제조된 허브 차는 홍역을 예방하기 위해 음용되거나 신체에 적용된다. 줄기 또는 뿌리의 잎 및 나무껍질의 달임물은 중증 부종을 위한 음료로서 취해진다. 잎 및 어린 줄기의 달임물은 황달을 치료하기 위해 취해진다. 잎 달임물은 또한 구루병에 대한 어린이용 음료로서 제공된다.
식물의 상이한 부분이 수유를 촉진하기 위해 그리고 피로용 강장제로서 사용된다. 나병에 대해서는 셰아 버터와 혼합된 잎으로 피부를 문지른다.
말리에서는, 다른 식물 부분과 더불어 나무껍질 및 잎의 달임물이 생리 문제를 위해 취해진다. 잎은 연화제이며 잎 달임물에서의 온수 목욕이 열이 있는 환자에 대해, 특히 어린이에서 처방될 수 있다. 잎은 또한 십이지장충에 대한 치료로서 그리고 꽃은 촌충에 대한 치료로서 사용된다.
니제르에서는, 열매가 20~25% 단백질을 함유함이 확인되었다. 종자는 높은 오일 함량(20%)을 갖는다. 오일의 지방산 조성은 하기와 같다: 카프로산 3%, 카프릴산 7%, 팔미트산 8%, 스테아르산 3%, 올레산 49%, 리놀레산 13%, 라키드산 3%, 리그노세린산 1~2%, 및 기타 13%. 점액질 꽃 추출물은 주로 당(람노스 및 아라비노스)으로 구성된다; 이는 입자 패널에 대해 적합한 접착제를 이룬다.
상기 모든 데이터는 물 및 삼림 감독관인 Dr. Lassina SANOU의 민족식물학 보고로부터 발췌된 것이다. 그는 와가두구에 기반을 둔 부르키나 파소 국립 삼림 종자 센터(CNRS)에서 환경 및 지속 가능 개발부에서 일했다(2014년 12월).
OPCS
OPC 또는 프로시아니딘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올리고프로안토시아니딘 올리고머는 여러 야채에서 확인되는 페놀 화합물이다. OPC는 탄닌의 전구체인 플라보노이드의 중합체이다. 프로시아니딘을 구성하는 단량체에는 카테킨 및 에피카테킨이 있다. 따라서 프로시아니딘은 2, 3, 4 또는 5회 반복되는, 카테킨(화학식 Ia 및 Ib) 또는 에피카테킨(화학식 IIa 및 IIb)으로 불리는 동일한 반복기로 제조된다:
[화학식 Ia]
Figure pct00002
[화학식 Ib]
Figure pct00003
[화학식 IIa]
Figure pct00004
[화학식 IIb]
Figure pct00005
6회 반복 이후부터, 분자는 프로안토시아니딘게 중합체로 불리며, 고분자량을 갖는다. 이들은 매우 약하게 흡수되며, 그 결과, 매우 약한 생물학적 활성만을 갖는다.
OPC는 이의 혈관보호 특성에 대해,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엘라스타제 및 트립신의 억제제로서, 그리고 연결 조직의 콜라겐에 대한 결합에 의해 그리고 콜라게나제의 억제에 의해 혈관벽의 보호를 제공하여, 벽의 온전성, 저항성 및 탄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이의 항산화, 항-자유 라디칼, 항-염증 및 항-바이러스 특성에 대해서도 알려져 있다.
본 출원인은 케이폭 나무,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의 꽃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꽃받침 추출물이 현재까지 한 번도 설명된 바 없는 미용적 및 피부학적 특성을 보유함을 발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케이폭 나무,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의 꽃 추출물, 특히 꽃받침 추출물이 이의 특이적 특성에 대해 이와 같이 사용된 것은 이번이 최초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폭 나무 꽃, 바람직하게는 케이폭 나무 꽃받침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이며, 케이폭 나무는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봄박스 코스타툼 꽃, 바람직하게는 봄박스 코스타툼 꽃받침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이다.
식물학에서, 꽃은 식물이 전체인 경우, 외부로부터 내부로, 하기를 포함하는 식물의 부분이다:
- 꽃받침 조각으로 구성되는 꽃받침;
- 꽃잎으로 구성되는 꽃부리;
- 수술군, 즉 꽃가루를 생산하는 수술(수컷 부분); 및
- 암술로 구성되는 암술군 또는 암술기(암컷 부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용어 ≪ 꽃 ≫에는 적어도 꽃부리 및 꽃받침이 포함된다. 꽃은 또한 전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케이폭 나무 꽃받침의 추출물, 보다 유리하게는 봄박스 코스타툼 꽃받침의 추출물이다.
용어 ≪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 ≫은 주로 또는 본질적으로 폴리페놀로 구성되는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유리하게는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 대비 적어도 15 중량%, 보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20 중량%의 폴리페놀; 즉 액체 추출물 ㎖ 당 적어도 2.5 ㎎의 폴리페놀(갈산 당량으로)을 포함한다. 백분율은 상기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건조제의 임의의 첨가 전)에 대비하여 주어진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 대비 15 중량% 내지 40 중량%, 보다 유리하게는 20 중량% 내지 40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의 총 중량 대비, 카테킨 당량으로 표현되어, 적어도 10 중량%, 보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13 중량%, 더욱 유리하게는 적어도 15 중량%의 OPCS, 즉 액체 추출물 ㎖ 당 적어도 1.9 ㎎의 OPC를 추가로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상기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 대비, 카테킨 당량으로 표현되어, 10 중량% 내지 25 중량%, 보다 유리하게는 13 중량% 내지 25 중량%, 더욱 유리하게는 15 중량% 내지 25 중량%의 OPC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 대비 적어도 6 중량%, 유리하게는 6 중량% 내지 10 중량%의 유기 산, 특히 알파-하이드록시산(AHA), 특히 아세트산, 말산, 락트산, 시트르산 또는 이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 대비, 루틴 당량으로 표현되어, 적어도 5 중량%, 유리하게는 5 중량% 내지 10 중량%의 플라보노이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유리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주로 폴리페놀, OPCS, 유기 산 및 플라보노이드(추출물 중 이의 함량의 함수로서 감소하는 순서로 분류됨)를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추출물은 유리하게는 하기를 함유한다(수득되는 건조 추출물의 분자%를 감소하는 순서로 나타냄):
- 약 20%의 폴리페놀 - 갈산 당량으로
- 약 15%의 OPCS(올리고 프로안토시아니딘 - 카테킨 당량으로),
- 약 6%의 유기 산(주로 시트르산 및 말산)
- 약 4%의 플라보노이드(루틴 당량으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술된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은 물, 에탄올, 글리콜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중, 유리하게는 케이폭 나무 꽃, 바람직하게는 케이폭 나무 꽃받침의 고체/액체 추출에 의해 수득되며, 케이폭 나무는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이다. 추출 용매는 보다 구체적으로 물/글리콜, 물/에탄올의 이원성 혼합물,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유리하게는 30 내지 90%, 전형적으로 50 내지 90%의 수중 글리콜 및/또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비율로 선택된다. 특히, 추출 용매는 물/프로판디올, 물/프로필렌 글리콜 및 물/에탄올, 특히 물/프로판디올, 보다 구체적으로 물/1,3-프로판디올의 이원성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유리하게는, 상술된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은 물, 글리콜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중, 케이폭 나무 꽃, 바람직하게는 케이폭 나무 꽃받침의 고체/액체 추출에 의해 수득되며, 케이폭 나무는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이다. 추출 용매는 보다 구체적으로 물/글리콜의 이원성 혼합물로부터, 유리하게는 30 내지 90%, 전형적으로 50 내지 90%의 수중 글리콜을 포함하는 비율로 선택된다. 특히, 추출 용매는 물/프로판디올 및 물/프로필렌 글리콜, 특히 물/프로판디올, 보다 구체적으로 물/1,3-프로판디올의 이원성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언급된 글리콜은 식물 기원의 글리콜, 특히 프로판디올 및/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판디올, 특히 1,3-프로판디올이다.
보다 유리한 방식으로, 상술된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은 물/1,3-프로판디올의 이원성 혼합물 중, 유리하게는 30 내지 90%, 전형적으로 50 내지 90%의 수중 1,3-프로판디올을 포함하는 비율로, 케이폭 나무,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의 꽃, 바람직하게는 꽃받침의 고체/액체 추출에 의해 수득된다. 상기 특정 용매는 더욱 우수한 수율로 요망되는 활성 성분, 특히 폴리페놀, OPCS,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유기 산을 생성한다.
유리한 방식으로, 케이폭 나무,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의 꽃, 바람직하게는 꽃받침의 고체/액체 추출이 물/용매의 이원성 혼합물 중에 수행되는 경우, 수중 용매의 비율은 50 내지 90%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적절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중, 그리고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최적 pH, 기간 및 온도 하에 적어도 하나의 고체/액체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폭 나무 꽃, 바람직하게는 케이폭 나무 꽃받침(케이폭 나무는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임), 유리하게는 봄박스 코스타툼 꽃받침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의 제조 방법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폭 나무 꽃, 바람직하게는 케이폭 나무 꽃받침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의 제조 방법(케이폭 나무는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임)은 하기 연속 단계를 포함한다:
a) 꽃, 특히 꽃받침을 분쇄하는 단계;
b) 적절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중, 최적 pH, 기간 및 온도 조건 하에, 분쇄된 꽃, 특히 분쇄된 꽃받침을 추출하는 단계;
c) 경사분리 및/또는 원심분리 및/또는 연속 여과에 의해 고상 및 액상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필요시, 단계 c)에서 수득된 추출물을 건조하는 단계.
식물 분쇄 단계 a)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특히 나이프 밀, 햄머 밀 등의 도움을 받아 수행될 수 있다.
단계 b)에서, 추출상은 바람직하게는 물 및/또는 글리콜 및/또는 에탄올의 단독 존재 하에 또는 이원성 혼합물 중에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단계 b)에서 사용되는 추출 용매는 물/글리콜, 물/에탄올의 이원성 혼합물,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유리하게는 30 내지 90%, 전형적으로 50 내지 90%의 수중 글리콜 및/또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비율로 선택된다. 특히, 추출 용매는 물/프로판디올, 물/프로필렌 글리콜 및 물/에탄올, 특히 물/프로판디올, 보다 구체적으로 물/1,3-프로판디올의 이원성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유리하게는, 단계 b)에서 사용되는 추출 용매는 물/글리콜의 이원성 혼합물로부터, 유리하게는 30 내지 90%, 전형적으로 50 내지 90%의 수중 글리콜을 포함하는 비율로 선택된다. 특히, 추출 용매는 물/프로판디올, 물/프로필렌 글리콜, 특히 물/프로판디올, 보다 구체적으로 물/1,3-프로판디올의 이원성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언급된 글리콜은 식물 기원의 글리콜, 특히 프로판디올 및/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판디올, 특히 1,3-프로판디올이다.
보다 유리한 방식으로, 단계 b)에서 사용되는 추출 용매는 유리하게는 30 내지 90%, 전형적으로 50 내지 90%의 수중 1,3-프로판디올을 포함하는 비율의 물/1,3-프로판디올의 이원성 혼합물이다. 상기 특정 용매는 더 우수한 수율의 요망되는 활성 성분, 특히 폴리페놀, OPCS,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유기 산을 생성한다.
유리한 방식에서, 케이폭 나무,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의 꽃, 바람직하게는 꽃받침의 고체/액체 추출은 물/용매의 이원성 혼합물 중에 수행되며, 수중 용매의 비율은 50 내지 90%이다.
또한, 고체/액체 추출의 단계 b)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 특히 30℃ 내지 80℃, 보다 구체적으로 30℃ 내지 75℃, 전형적으로 5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추출의 기간은 유리하게는 30분 내지 4시간, 특히 1시간 내지 3시간이며, 유리하게는 약 2시간이다.
액상으로부터 고상을 분리하는 단계 c)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 특히 경사분리, 원심분리 및/또는 연속 여과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여과에 의해 수행된다. 단계 c)는 절대적 투명도 또는 미생물학적 위생이 달성될 때까지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해 건조 단계 d)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
건조 단계 d)는 예를 들어 말토덱스트린 또는 예를 들어 아카시아 섬유 유형(CNI에서 공급되는 Fibregum®) 지지체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지지체 함량은 추출물의 액체 형태 중에 수득되는 건조 물질의 백분율 대비 지지체 0% 내지 80% 범위의 비에 따라 변한다.
추출물은 최종 분말을 수득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냉동 건조 또는 분무화에 의해 건조된다. 최종 분말은 유리하게는 30 내지 70 중량%의 건조 추출물 물질을 포함하며, 100%를 채우는 나머지는 냉동-건조 또는 분무화 지지체이다. 보다 유리하게는, 최종 분말은 추출물로부터 유래되는 50%의 건조 물질 및 50%의 냉동-건조 또는 분무화 지지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유리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글리콜, 예컨대 프로판디올, 전형적으로 1,3-프로판디올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에 의해 물리적으로 및 미생물학적으로 안정화될 수 있고, 상기 용매는 이러한 안정화에 적용되는 비율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콜, 특히 프로판디올, 바람직하게는 1,3-프로판디올은 단독으로 또는 3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의 수중 글리콜 범위의 비율로 물과 조합되어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로 케이폭 나무 꽃, 바람직하게는 케이폭 나무 꽃받침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또 다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폭 나무는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이고, 용매는 필요시 수중, 물리적 및 미생물학적 안정화 작용을 위한 유효량으로 글리콜, 예컨대 프로판디올, 특히 1,3-프로판디올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은 하기 방법에 따라 수득될 수 있다:
a') 분쇄된 꽃을 1,3-프로판디올/물의 혼합물(60/40) 중 5%(w/w) 용액으로 투입;
b') 40℃에서 2 h 동안 교반하며 추출;
c') 연속 여과 단계에 의한 정제; 및
d') 멸균 여과.
후술되는 기재에서, 용어 ≪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그대로의 추출물, 또는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추출물을 지칭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추출물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그대로의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과 동일한 조성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활성 성분으로서, 케이폭 나무 꽃, 바람직하게는 케이폭 나무 꽃받침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 및 필요시 적절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케이폭 나무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봄박스 코스타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그대로 추출물에 관해 상기 단락에서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추출물에 관한 것들에 정의된 바와 같다.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미용적, 약학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외부 국소 경로에 의한 투여를 위해 제형화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0.001 내지 10 중량%, 전형적으로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며, 추출물 중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건조 추출물로서 표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국소 투여에 적용되는 상이한 제조물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고, 크림, 에멀젼, 밀크, 연고, 로션, 오일, 수성, 알코올성 또는 글리콜성 용액, 분말, 패치, 스프레이, 샴푸, 바니시 또는 외부 적용을 위한 임의의 다른 제품이 포함된다.
그 유형(미용적, 약학적 또는 피부학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약학적으로 또는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계면활성제, 증점제, 보존제, 향료, 염료, 화학적 또는 미네랄 필터, 수화제, 열수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용적으로, 약학적으로 또는 피부학적으로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주반트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당업자는 자신의 일반 지식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안다.
본 발명에 따른 투여량 및 최적 생약 제형은 환자 또는 동물에 적합한 약학적, 피부학적 또는 미용적 치료를 제형화하는 경우 보통 고려되는 기준, 예컨대 환자 또는 동물의 연령 및 체중, 일반 상태의 중증도, 치료의 관용성, 관찰되는 부작용, 피부 유형에 따라 확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또한 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고령 여부와 무관한, 피부 및/또는 점막(잇몸, 치주 조직, 생식기 점막) 및/또는 피부 부속물(모발 및 손발톱)의 장애 또는 질환, 유리하게는 염증 반응, 산화 반응, 오염에 연관되었는지와 무관한 라디칼 공격에 관련된 장애, 장벽 또는 항상성 장애, 노화, 특히 연대기 노화 및/또는 광선 노화, 및/또는 기계적 또는 열적 공격 인자, 보다 유리하게는 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고령 여부와 무관한, 피부, 피부 부속물 및/또는 점막(잇몸, 치주 조직, 생식기 점막)의 염증 및 자극 반응 또는 질환, 또는 장벽 또는 항상성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의 그 사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혈관성 장애, 특히 발적 및 얼룩덜룩함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의 그 사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또한 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고령 여부와 무관한, 피부 및/또는 점막(잇몸, 치주 조직, 생식기 점막) 및/또는 피부 부속물(모발 및 손발톱)의 장애 또는 질환, 유리하게는 염증 반응, 산화 반응, 오염에 연관되었는지와 무관한 라디칼 공격에 관련된 장애, 장벽 또는 항상성 장애, 노화, 특히 연대기 노화 및/또는 광선 노화, 및/또는 기계적 또는 열적 공격 인자, 보다 유리하게는 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고령 여부와 무관한, 피부, 피부 부속물 및/또는 점막(잇몸, 치주 조직, 생식기 점막)의 염증 및 자극 반응 또는 질환, 또는 장벽 또는 항상성 장애를 예방하고/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미용적, 약학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혈관성 장애, 특히 발적 및 얼룩덜룩함을 예방하고/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미용적, 약학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량의 투여, 특히 국소 투여 단계를 포함하는, 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고령 여부와 무관한, 피부 및/또는 점막(잇몸, 치주 조직, 생식기 점막) 및/또는 피부 부속물(모발 및 손발톱)의 장애 또는 질환, 유리하게는 염증 반응; 산화 반응, 오염에 연관되었는지와 무관한 라디칼 공격에 관련된 장애; 노화, 특히 연대기 노화 및/또는 광선 노화; 및/또는 기계적 또는 열적 공격 인자, 보다 유리하게는 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고령 여부와 무관한, 피부, 피부 부속물 및/또는 점막(잇몸, 치주 조직, 생식기 점막)의 염증 및 자극 반응 또는 질환, 또는 장벽 또는 항상성 장애를 예방하고/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량의 투여, 특히 국소 투여 단계를 포함하는, 혈관성 장애, 특히 발적 및 얼룩덜룩함을 예방하고/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추출물은 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노령 여부와 무관하게, 피부, 피부 부속물(모발 및 손발톱) 및/또는 점막(잇몸, 치주 조직, 생식기 점막)의 염증 반응 또는 자극 반응 또는 질환, 또는 장벽 또는 항상성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피부의 염증 반응 또는 자극 반응, 장애 또는 질환 또는 장벽 또는 항상성 장애는 여드름, 장미증 또는 붉은 농진, 혈관성 장애, 특히 발적 및 얼룩덜룩함, 시트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접촉성 피부염, 자극성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두피의 지루성 피부염), 민감성 피부, 반응성 피부, 건조 피부(건조증), 탈수된 피부, 발적을 갖는 피부, 피부 홍반증, 노령 또는 광-노화 피부, 광민감성 피부, 색소침착 피부(흑반, 염증 후 색소침착 등), 임신선을 갖는 피부, 일광화상, 화학적, 물리적(예를 들어 임신 여성에서의 자연적 조직 장력) 자극, 박테리아 및 진균 제제, 피부 노화, 특히 광-노화 및 화학적 또는 대기 오염에 연관되고/되거나 UV 또는 IR로의 노출에 연관된 라디칼 공격에 관련되는 장애이다.
유리하게는, 점막의 염증 반응 또는 자극 반응, 장애 또는 질환, 또는 장벽 또는 항상성 장애는 치은염(신생아에서의 민감한 잇몸, 흡연 등으로 인한 위생 문제) 및 내부 또는 외부 남성 또는 여성 생식 영역의 자극이다.
유리하게는, 피부 부속물의 염증 반응 또는 자극 반응, 장애 또는 질환, 또는 장벽 또는 항상성 장애는 부서지는 손발톱, 연약한 손발톱, 손상된 모발, 부서지는 모발, 건조한 모발, 탈모증, 지루성 피부염 및 여포성 피부염이다.
특히 유리한 방식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추출물은, 예를 들어 일광 또는 염증 현상으로의 노출에 관련된, 또는 피부 노화, 특히 연대기 노화 또는 광선 노화에 대한 노화-방지를 위한, 심지어 자극받은 피부에서 작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탈수된 피부; 발적을 가진 피부; 고령 또는 광-노화 피부; 광민감성 피부; 피부 노화, 특히 광-노화; 및 화학적 또는 대기 오염에 연관된 및/또는 UV 또는 IR로의 노출에 연관된 라디칼 공격에 관련된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피부 부속물의 치료를 위한, 특히 부서지는 손발톱; 연약한 손발톱; 손상된 모발; 부서지는 모발; 및 건조한 모발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미용적 용도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추출물을 투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그 상태 및/또는 외관의 개선 관점에서의, 피부 및/또는 피부 부속물 및/또는 점막에 대한 미용적 처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추출물을 피부 및/또는 피부 부속물에 적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피부 장벽에서의 변화 및 그 탈수의 예방 관점에서의, 피부 및/또는 피부 부속물의 미용적 처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추출물을 피부 및/또는 피부 부속물에 적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노화의 예방 관점에서의, 피부 및/또는 피부 부속물의 미용적 처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및/또는 점막을 수화하기 위한, 특히 퍼밍제 또는 주름방지제로서, 피부 탄성 또는 퍼밍에 작용하기 위한, 민감성 피부에 작용하기 위한, 또는 오염에 대해 작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건강한 섬유아세포(HF) 대비 주름 섬유아세포(WF)에 의해 발생한 수축력을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KPO 추출물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건강한 섬유아세포(HF)에 의해 발생한 수축력을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KPO 추출물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주름 섬유아세포(WF)에 의해 발생한 수축력을 표시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을 돕는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봄박스 코스타툼 꽃받침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을 하기 방법에 따라 수득한다:
a) 분쇄된 봄박스 코스타툼 꽃받침을 물/프로판디올 30/70, 20/80 또는 10/90 w/w의 혼합물 중 용액으로 투입한다.
b) 50℃에서 2 h 추출
c) 연속 여과에 의한 고체/액체 분리.
상기 방식으로 수득된 폴리페놀이 풍부한 액체 추출물은 하기 특징을 갖는다(수득된 추출물의 분자/건조 추출물의 중량%):
Figure pct00006
실시예 1(20/80)에 따라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폭 나무 추출물은 명세서 및 도면에서 KPO 추출물로도 언급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봄박스 코스타툼 꽃받침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을 하기 방법에 따라 수득한다:
a) 분쇄된 봄박스 코스타툼 꽃받침을 물/에탄올 20/70 w/w의 혼합물 중 용액으로 투입한다;
b) 75℃에서 2 h 추출; 및
c) 연속 여과에 의한 고체/액체 분리.
상기 방식으로 수득된 폴리페놀이 풍부한 액체 추출물은 하기 특징을 갖는다(수득된 추출물의 분자/건조 추출물의 %):
· 건조 추출물(2 h, 105℃, 통기 오븐) : 1.05%
· 총 폴리페놀(갈산 당량) : 24%
· OPC(카테킨 당량) : 14%
· 플라보노이드(루틴 당량) : 7.8%
· 항산화 활성(DPPH) : 34(㎍)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생물학적 활성 평가
아래 실시예에서, KPO 추출물로 언급되는 평가된 추출물은 실시예 1(물/프로판디올 20/80의 혼합물)에 따라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다.
1 - 섬유아세포, 각질세포 및 피부 외식편 배양에서 유전자 발현의 스크리닝
미용적 요건의 메신저 RNA 발현 특징에 대한 KPO 추출물의 효과를 특징적 피부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정상 인간 표피 각질세포 또는 정상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0.0005% 및 0.001% KPO 추출물(건조 추출물 농도: d.e.)과 함께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추가로, 피부 외식편을 0.005% 및 0.001% KPO 추출물(d.e.)과 함께 24 h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말기에, mRNA를 추출하고 90개 관심 유전자의 발현을 RT-qPCR에 의해 분석하였다.
결과는 하기 영역에서 KPO 추출물의 가능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었다:
- 진피 매트릭스의 신합성, 구조형성 및 리모델링: DCN, SPARC, BGN, COL3A1, TP63, TGFB1 유전자의 자극;
- 접착 및 장벽 기능: CD44, CTNNA1, ITGA2, SDC1, LAMC2, TNC, COL17A1, VCAN, PXN, LAMA5, S100A7 유전자의 자극;
- 수명 및 재생: SIRT6, ATP5A1, INSR, EGF, SIRT3 유전자의 자극;
- 색소침착: POMC 및 PMEL 유전자의 자극;
- 해독 및 항산화 방어: BSG, CAT, GLRX, MSRA, MSRB2, TXN, SOD2, PPIA, HMOX1, HSPB1, DGAT1, GBA 유전자의 자극.
요약하면, KPO 추출물의 2가지 주요 효과가 상기 분석으로부터 도출된다. 첫 번째는 세포-세포 또는 세포-매트릭스 접착에 관여되는 유전자의 강력한 발현을 갖는 접착 및 장벽 기능이다. 상기 활성은 조직 퍼밍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세포외 매트릭스 신합성 및 구조형성 활성에 의해 부스팅된다. 스트레스 반응도 그 일부가 특히 강력한 유도를 나타내는 여러 유전자의 유도와 함께 매우 크게 존재한다. 상기 스트레스 반응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가 우세하다. 다른 유형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경로 및 해독 경로도 활성화된다.
2 - 진피 세포외 매트릭스 및 세포 커뮤니케이션 마커의 유전자 발현
KPO 추출물의 효과를 세포 커뮤니케이션 및 섬유아세포에서 진피 세포외 매트릭스의 구성에 관여되는 마커의 유전자 발현에 대해 평가하였다: 정상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0.0005% 또는 0.001% KPO 추출물(d.e.) 또는 5 ng/㎖ TGFβ1(진피 매트릭스 유도 마커에 대한 양성 대조군)과 함께 6시간 또는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말기에, 하기 마커의 유전자 발현을 RT-qPCR에 의해 분석하였다.
- CTNNA1(카테닌 α): 카드헤린에 결합하여 세포 상호작용을 촉진한다.
- 신데칸: 세포/세포 및 세포/매트릭스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프로테오글리칸.
- 라미닌 5(α3β3γ2): 기저막으로의 접착을 보조하는 분자.
- TNC(테나신 C): 진피-표피 접합부의 응집에 관여되고 콜라겐 VII의 합성을 촉진하는 세포외 매트릭스 단백질.
- SPARC: 세포외 매트릭스의 다양한 구성분과 연관되고 그 구성에 기여하는 단백질.
- BGN(바이글리칸): 콜라겐 섬유의 어셈블리에 관여되는 프로테오글리칸.
- 베르시칸: 조직의 형태발생 및 유지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ECM의 주성분. 이는 또한 피부의 탄성 섬유의 형성에 기여한다.
- 진피에 그 퍼밍 및 압력 품질에 대한 내성을 제공하는 콜라겐은 진피 세포외 매트릭스(ECM) 성분의 약 70%를 나타내며, 대부분이 III형 콜라겐과 빈번하게 연관되는, I형 콜라겐(85~90%의 진피 콜라겐)임.
- IV형 및 VII형 콜라겐: 당단백질, 진피-표지 접합부의 구성분.
- 파이브로넥틴: 고분자량 당단백질이다. 이는 진피 ECM의 구조에서 역할을 담당한다.
- 탄성 섬유는 피부 탄성에 관여한다. 이들은 2가지 주요 성분: 엘라스틴(진피의 1 내지 3%) 및 미소섬유의 어셈블리로 생성된다.
- LOXL: 엘라스틴 섬유의 어셈블리에 관여함.
- 데코린: 매트릭스의 어셈블리에 관여되는 프로테오글리칸.
- 더마토폰틴: 콜라겐 섬유의 어셈블리에서 역할을 담당한다; 이는 진피 세포외 매트릭스의 구조적 배열 유지 및 조직 유연성을 위해 중요하다.
- 라미닌 5(α3β3): 기저막으로의 접착을 보조하는 분자(진피-표피 접합부).
결과를 미처리 대조군 대비 상대량(RQ)으로 제공한다. 결과의 유의성을 통계적 테스트를 사용해서 평가하였다(1-요인 분산 분석에 이어 던넷(Dunnet) 테스트): *p<0.05; **p<0.01; ***p<0.001; ns: 유의미하지 않은 p>0.05.
결과를 아래에서 표 1 및 2에 함께 그룹핑한다. 이들은 연구된 마커 세트에 대한 KPO 추출물의 상당한 유도 효과를 나타내어, 진피 매트릭스의 구조형성, 진피-표피 접합부(DEJ) 및 세포 커뮤니케이션 방법에서 강력한 유효성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KPO 추출물은 수화, 탄성, 진피 교환(EDJ) 및 피부 노화에서 역할을 담당한다.
처리 6 h 후 유전자 발현 분석:
평가된 유전자 발현 정도(상대량)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TGFβ1 5 ng/㎖) KPO 0.0005% KPO 0.001%
SPARC 1.00 1.28 ns 1.37 *** 1.60 **
BGN 1.00 1.28 ns 1.73 ** 2.11 ***
CTNNA1 1.00 1.07 ns 1.48 * 1.48 ***
신데칸 1.00 1.85 ns 1.41 ns 1.73 ns
TNC 1.00 0.94 ns 1.41 ns 1.73 *
베르시칸 1.00 1.61 ns 1.15 ns 1.24 ns
콜라겐 I 1.00 0.84 ns 1.33 ns 2.08 ***
콜라겐 III 1.00 0.91 ns 1.24 * 1.96 ***
콜라겐 IV 1.00 1.68 *** 1.33 ns 1.55 **
콜라겐 VII 1.00 1.96 *** 0.86 ns 1.41 *
파이브로넥틴 1.00 1.09 ns 1.22 ns 1.60 **
엘라스틴 1.00 0.72 ns 1.26 ns 1.96 ***
LOXL 1.00 1.05 ns 1.46 ** 1.99 **
데코린 1.00 n.d. 1.29 * 1.30 *
더마토폰틴 1.00 1.14 ns 1.32 * 1.49 *
라미닌 5α3 1.00 n.d. 2.17 * 1.64 ns
라미닌 5β3 1.00 n.d. 1.48 * 1.61 *
처리 24 h 후 유전자 발현 분석:
평가된 유전자 발현 정도(상대량)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TGFβ1 5 ng/㎖) KPO 0.0005% KPO 0.001%
SPARC 1.00 2.00 *** 1.65 *** 2.12***
BGN 1.00 2.92 *** 2.05 *** 2.61 **
CTNNA1 1.00 1.07 ns 1.47 * 1.80 **
신데칸 1.00 8.08 *** 1.98 * 2.65 *
TNC 1.00 1.79 * 1.53 ns 1.72 *
베르시칸 1.00 2.87 ** 1.45 ** 1.06 ns
콜라겐 I 1.00 2.30 * 2.31 * 4.91 ***
콜라겐 III 1.00 1.24 ns 1.35 ns 3.16 ***
콜라겐 IV 1.00 2.81 ** 1.60 ** 2.08 ***
콜라겐 VII 1.00 3.07 *** 1.20 ns 1.78 ns
파이브로넥틴 1.00 2.12 * 1.27 ns 1.77 ***
엘라스틴 1.00 3.65 ** 2.50 * 6.20 ***
LOXL 1.00 1.10 ns 1.39 * 2.28 ***
데코린 1.00 n.d. 1.19 *** 1.58 *
더마토폰틴 1.00 1.36 * 1.41 * 2.00***
라미닌 5α3 1.00 n.d. 1.58 * 1.60 *
라미닌 5β3 1.00 n.d. 1.35 ns 1.68 *
3 - 진피 섬유아세포에서의 항-프로테아제 활성 평가
KPO 추출물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염증성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MMP1(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제-1)의 생산을 제한하는 그 능력에 대해 평가하였다.
정상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0.0005% 또는 0.001%(d.e.)의 KPO와 함께 24시간 동안 사전-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섬유아세포를 100 nM의 PMA(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에 의해 자극하고 KPO 추출물과 함께 하룻밤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MMP1의 생산을 세포 상청액에서 ELISA 검정에 의해 평가하였다. 결과를 총 단백질 ㎎ 당 MMP1 pg으로 제공한다(BC 검정에 의해 결정됨). 유의성을 1-요인 분산 분석에 이어 투키(Tukey) 테스트에 의해 평가하였다: *p<0.05; ***p<0.001; ns: 유의미하지 않은 p>0.05.
결과를 아래에서 표 3에 그룹핑한다. KPO 추출물은 섬유아세포에서 PMA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MMP1 방출을 유의미하게 억제하였다; 상기 결과는 진피 매트릭스의 보호 효과 및 상기 연대기 및 광선 노화-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수화, 탄성, 진피 교환(EDJ) 및 피부 노화에서 역할을 담당한다.
PMA에 의해 자극된 섬유아세포에서의 MMP1 생산:
MMP1(pg/단백질 ㎎)
대조군 3.859 ± 0.623
PMA 11.358 ± 2.560 대조군 대비 +194% ***
0.0005% KPO 8.230 ± 0.768 PMA 대비 -28% (ns)
0.001% KPO 7.727 ± 0.770 PMA 대비 -32% *
4 - 항-염증 가능성의 평가
KPO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PMA 처리에 의해 자극된 각질세포에서 평가하였다.
정상 인간 표피 각질세포를 0.001%, 0.002% 또는 0.005%(d.e.)의 KPO 추출물 또는 0.1 μM의 참조 항-염증 분자 덱사메타손 또는 0.1 μM의 인도메타신과 함께 24시간 동안 사전-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각질세포를 10 ㎍/㎖의 PMA(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에 의해 자극하고 KPO 추출물 또는 참조 분자와 함께 하룻밤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염증 매개체인 인터류킨-8(IL*), 인터류킨-1β(IL1β) 및 프로스타글란딘 E2(PGE2)의 생산을 세포 상청액에서 ELISA 검정에 의해 평가하였다. 유의성을 1-요인 분산 분석에 이어 투키 테스트에 의해 평가하였다: *p<0.05; ***p<0.001; ns: 유의미하지 않은 p>0.05.
결과를 아래에서 아래에서 표 4, 5 및 6에 함께 그룹핑한다. KPO 추출물은 각질세포에서 친-염증성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사이토카인 IL1β 및 IL8의 방출을 유의미하게, 그리고 PGE2를 더 적은 정도로 억제하였다. 이들 결과는 민감한 피부 상에서의, 또는 심지어 자극받은 피부 상에서의 KPO 추출물의 항-염증 가능성 및 노화-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PMA에 의해 자극받은 각질세포에서의 IL8 생산:
IL8(pg/㎖)/OD 뉴트랄 레드
평균 표준 편차
대조군 47.215 4.711
PMA 1420.626 92.557 대조군 대비 +2909% ***
0.001% KPO 1198.008 154.124 PMA 대비 -16% *
0.002% KPO 795.287 84.255 PMA 대비 -44% ***
0.005% KPO 338.854 18.731 PMA 대비 -76% ***
PMA에 의해 자극받은 각질세포에서의 IL1β 생산:
IL1베타(pg/㎖)/OD 뉴트럴 레드
평균 표준 편차
Control 0.007 0.000
PMA 0.040 0.006 대조군 대비 +451% ***
Dexa + PMA 0.026 0.002 PMA 대비 -35% **
0.001% KPO 0.018 0.003 PMA 대비 -55% ***
0.002% KPO 0.017 0.003 PMA 대비 -57% ***
0.005% KPO 0.017 0.003 PMA 대비 -57% ***
PMA에 의해 자극받은 각질세포에서의 PGE2 생산:
PGE2(pg/㎖)/OD 뉴트럴 레드
평균 표준 편차
대조군 220.878 18.449
PMA 802.843 75.214 대조군 대비 +263% ***
Dexa + PMA 617.645 61.477 PMA 대비 -23% **
Indo + PMA 181.780 15.506 PMA 대비 -77% ***
0.001% KPO 631.360 24.516 PMA 대비 -21% *
0.002% KPO 701.909 60.353 PMA 대비 -13% (ns)
0.005% KPO 735.274 60.135 PMA 대비 -8% (ns)
5 - 항산화 가능성의 평가
KPO 추출물의 항산화 가능성을 친-산화성 H2O2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 ROS(반응성 산소종)의 검정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정상 인간 표피 각질세포를 0.001%, 0.002% 또는 0.005%(d.e.)의 KPO 추출물 또는 10 μM의 참조 항-염증 분자 퀘르세틴 또는 500 μM의 비타민 C와 함께 24시간 동안 사전-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세포층을 DCFH-DA 탐침과 접촉시킨 후 100μM의 H2O2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였다. 탐침이 산화되는 경우 방출되는 형광을 측정하여 생산된 ROS의 양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1-요인 분산 분석에 이어 투키 테스트에 의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p<0.01; ***p<0.001.
결과를 아래에서 표 7에 함께 그룹핑한다. KPO 추출물은 H2O2의 존재에 의해 유발된 ROS의 생산을 유의미하게 억제하였다. 이들 결과는 강력한 항산화 가능성을 실증한다. 따라서 KPO 추출물은 오염 및 노화에 대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H 2 O 2 스트레스를 거친 각질세포에서의 ROS 생산:
ROS(임의 단위)
평균 표준 편차
대조군 18564.862 12917.522
100 μM H2O2 133342.523 52149.942 대조군 대비 +618% ***
10 μmol/ℓ 퀘르세틴 12959.361 2587.250 H2O2 대비 -90% ***
500 μM Vit C 12807.703 4220.635 H2O2 대비 -90% ***
0.001% KPO 68750.713 10417.179 H2O2 대비 -48% **
0.002% KPO 59761.384 15339.601 H2O2 대비 -55% ***
0.005% KPO 26779.475 6550.110 H2O2 대비 -80% ***
6 - 주름-방지 및 퍼밍 효과의 시험관내 평가
KPO 추출물의 ≪ 퍼밍 ≫ 효과를 주름 기부로부터의 섬유아세포 상에서 그리고 인접한 주름지지 않은 피부로부터의 섬유아세포(≪ 건강한 ≫ 섬유아세포) 상에서 GlasBox® 시스템에서 평가하였다. GlasBox® 시스템은 진피 동등물 내에서, 섬유아세포에 의해 발생한 수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주름 기부로부터 유래되는 섬유아세포는 인접한 주름지지 않은 피부로부터의 수축력보다 적은 수축력을 가지며 이러한 방식으로 화합물의 ≪ 주름-방지 ≫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섬유아세포(건강한 피부 또는 주름진 피부)를 콜라겐 용액과 혼합하여 진피 동등물을 제조하였다. 섬유아세포는 한 손 상에서 심부 주름으로부터, 그리고 주변의 주름지지 않은 피부로부터 동일한 환자(65세 여성)에서 수득된 샘플로부터 유래되었다. 상기 혼합물을 직사각형 GlasBox® 탱크에서 냉각하였다. 0.005% 또는 0.001%(d.e.) KPO 추출물을 함유하는 또는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첨가하였다. 2개의 가요성 실리콘 블레이드를 이들 탱크 각각에 도입하였다. 따라서 진피 동등물이 스트레인 거즈(≪ 센서 ≫)가 장착된 2개의 블레이드 사이에 발생한다. 섬유아세포에 의해 발생한 당김력의 효과 하에, 실리콘 블레이드가 변형된다; 이는 스트레인 거즈의 전기적 저항값에서의 변화로 나타난다.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상기 변화가 진피 동등물 내에서 발생한 힘을 표시한다. 따라서 등척성 힘을 24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 내지 3 및 표 8에 함께 그룹핑한다. 예상되는 바와 같이, 주름 섬유아세포(WF)에 의해 발생한 수축력은 건강한 섬유아세포(HF)에 의해 발생한 수축력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된다.
주름 섬유아세포(WF)에서, 0.0005% KPO 추출물은 수축력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상기 결과는 주름-방지 효과를 실증한다.
건강한 섬유아세포에 적용되어, KPO 추출물은 수축력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Glasbox® 그래프의 분석은 AUC(곡선 하 면적) 및 최대 수축이 추출물의 존재 하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음을 나타낸다. 이들 결과는 추출물의 퍼밍 효과를 실증한다.
GlasBox 그래프의 분석(HF)
대조군 HF HF + 0.001% KPO
계산된 파라미터 평균 sem 평균 sem
AUC 2278.6 40.2 2574.5** 101.1
최대 97.79 1.46 112.44** 4.32
**대조군 HF 대비 p<0.01 - 1-요인 분산 분석에 이어 피셔(Fisher) 테스트
7 -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에 대한 KPO 추출물의 효과 평가
정상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0.001%(d.e.) KPO 추출물과 함께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처리 말기에, 세포를 트립신 처리에 의해 수집하고 분광형광측정에 의해 실시간으로 산소 소비를 측정하기 위해 산소-민감성 형광 탐침의 존재 하에 인큐베이션하였다.
결과를 표 9에 함께 그룹핑한다. 이들 결과는 KPO 추출물이 전반적 호흡을 유발하고 증가시킴을 나타낸다. 따라서, KPO 추출물은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자극을 표시하는 효과인, 호흡 연쇄 활성의 자극을 유발한다.
NHDF에서 산소 소비의 측정
O2 소비(%)
미처리 대조군 100
0.001% KPO 145.40

Claims (15)

  1. 케이폭 나무 꽃, 바람직하게는 케이폭 나무 꽃받침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로서, 상기 케이폭 나무는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이며,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 대비 적어도 15 중량%의 폴리페놀, 및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 대비 카테킨 당량으로 표현되는 적어도 15 중량%의 올리고프로안토시아니딘(OPC)을 포함하는 추출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 대비 적어도 20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추출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 대비 적어도 6 중량%의 유기 산, 특히 알파-하이드록시산, 예컨대 아세트산, 말산, 락트산, 시트르산 또는 이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추출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 대비 루틴 당량으로 표현되는 적어도 5 중량%의 플라보노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추출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 글리콜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중 케이폭 나무,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의 꽃, 특히 꽃받침의 고체/액체 추출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리하게는 30 내지 90%의 수중 글리콜을 포함하는 비율의, 물/글리콜의 이원성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중 케이폭 나무,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의 꽃, 특히 꽃받침의 고체/액체 추출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케이폭 나무 꽃, 바람직하게는 케이폭 나무 꽃받침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케이폭 나무는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이며, 물, 글리콜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중 적어도 1회의 고체/액체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하기 연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꽃, 특히 꽃받침을 분쇄하는 단계;
    b) 물, 글리콜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에서 분쇄된 꽃, 특히 꽃받침을 고체/액체 추출하는 단계;
    c) 경사분리 및/또는 원심분리 및/또는 연속 여과에 의해 고상 및 액상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필요시, 단계 c)에서 수득된 추출물을 건조하는 단계.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체/액체 추출 용매는 유리하게는 30 내지 90%의 수중 글리콜을 포함하는 비율의, 물/글리콜의 이원성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은 식물 글리콜, 특히 프로판디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특히 1,3-프로판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활성 성분으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케이폭 나무 꽃, 바람직하게는 케이폭 나무 꽃받침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 또는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 추출물, 및 유리하게는 적절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케이폭 나무가 특히 봄박스 코스타툼인 조성물.
  12. 하기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물 또는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 추출물 또는 청구항 11에 따른 조성물:
    -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피부 부속물의 장애 또는 질환, 유리하게는 염증 반응, 산화 반응, 오염에 연관되는지 여부와 무관한 라디칼 공격에 관련된 장애, 장벽 또는 항상성 장애, 기계적 및/또는 열적 공격 요인, 및/또는
    - 혈관성 장애, 특히 발적 또는 얼룩덜룩함, 및/또는
    - UV 또는 IR로의 노출에 연관된 라디칼 공격에 관련된 장애.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되는 추출물 또는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 추출물 또는 청구항 11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그 상태 및/또는 외관의 개선 관점에서의, 피부 및/또는 피부 부속물 및/또는 점막에 대한 미용적 처치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피부 장벽에서의 변화 및 그 탈수를 예방하고/하거나 피부 노화를 예방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적 처치 방법.
  15. 탈수된 피부; 발적을 가진 피부; 고령 또는 광-노화 피부; 광민감성 피부; 피부 노화, 특히 광-노화; 및 화학적 또는 대기 오염에 연관된 라디칼 공격에 관련된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있어서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수득되는 추출물 또는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 추출물 또는 청구항 11에 따른 조성물의 미용적 용도.
KR1020207021132A 2017-12-22 2018-12-21 케이폭 나무 꽃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미용적, 약학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KR202001223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63152A FR3075642B1 (fr) 2017-12-22 2017-12-22 Extrait de fleurs de kapokier et compositions cosmetiques, pharmaceutiques ou dermatologiques le comprenant
FR1763152 2017-12-22
PCT/EP2018/086754 WO2019122408A1 (fr) 2017-12-22 2018-12-21 Extrait de fleurs de kapokier et compositions cosmetiques, pharmaceutiques ou dermatologiques le compren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304A true KR20200122304A (ko) 2020-10-27

Family

ID=6165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132A KR20200122304A (ko) 2017-12-22 2018-12-21 케이폭 나무 꽃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미용적, 약학적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84559B2 (ko)
EP (1) EP3727603B1 (ko)
JP (1) JP7338105B2 (ko)
KR (1) KR20200122304A (ko)
CN (1) CN111712305B (ko)
ES (1) ES2942766T3 (ko)
FR (1) FR3075642B1 (ko)
WO (1) WO2019122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2685B1 (fr) * 2020-07-24 2023-12-22 Expanscience Lab Extrait de fleurs de bombax costatum riche en polysaccharides
FR3118879A1 (fr) * 2021-01-20 2022-07-22 Laboratoires Expanscience Extrait de parties aeriennes de basilic sacre et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atologiques le comprenant
CN113520956B (zh) * 2021-08-27 2022-07-01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以木棉花提取物和苦参提取物为活性成分的祛痘膜及其制备方法
CN114469815A (zh) * 2022-02-25 2022-05-13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木棉花提取物及其制备方法、应用
FR3134515A1 (fr) * 2022-04-14 2023-10-20 Isp Investments Llc Extraits de fleurs de Crocus sativus, compositions les comprenant et leurs utilisations dans les soins buccaux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9305B2 (ja) 1999-07-16 2009-02-25 株式会社マンダム 育毛剤組成物
JP2003201212A (ja) * 2001-10-23 2003-07-18 Shiseido Co Ltd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皮膚外用剤
CN103202784B (zh) * 2012-04-18 2014-12-10 广州环亚化妆品科技有限公司 具有美白抗衰老活性的木棉花提取物制备方法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N105494738A (zh) 2015-12-14 2016-04-20 华坚 一种桃花养颜茶及其制备方法
CN105796418A (zh) * 2016-03-23 2016-07-27 苏州市贝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植物提取物的去屑洗发水及其制备方法
CN106806161A (zh) * 2017-03-29 2017-06-09 珠海京工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提取木棉花色素制备变色唇膏及其制备方法
CN107308039A (zh) * 2017-06-14 2017-11-03 佛山市汇汾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抗衰老修复面膜
CN107468583A (zh) * 2017-09-12 2017-12-15 佛山市聚成生化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具有淡斑美白功效的遮瑕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27603A1 (fr) 2020-10-28
CN111712305B (zh) 2023-08-04
FR3075642B1 (fr) 2021-10-22
FR3075642A1 (fr) 2019-06-28
WO2019122408A1 (fr) 2019-06-27
EP3727603B1 (fr) 2023-03-01
ES2942766T3 (es) 2023-06-06
CN111712305A (zh) 2020-09-25
JP7338105B2 (ja) 2023-09-05
US20210093685A1 (en) 2021-04-01
JP2021509413A (ja) 2021-03-25
US11484559B2 (en)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4559B2 (en) Kapok tree flower extract, and cosmetic, pharmaceutical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KR20200026646A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7801B1 (ko) 수경재배 인삼 유래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040790A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056521A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JP2019508394A (ja) ニンジンボク(Vitex negundo)のポリフェノール強化抽出物含有皮膚用または化粧用組成物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30050675A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7328A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4605B1 (ko) 새우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29546B1 (ko) 무궁화의 꽃, 뿌리, 캘러스 및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6661B1 (ko) 실버위드, 히더, 홉, 멀레인의 허브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항주름 및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64107B1 (ko)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2157395B1 (ko) 광천수 함유 배지에서 배양된 생열귀 캘러스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90085844A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20090056522A (ko) 기실, 원보초, 상기생, 여정자 및 지골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을 갖는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3368B1 (ko)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3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30160232A (ko) 홀리 바질의 상부 성장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용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