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790A -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790A
KR20140040790A KR1020140028981A KR20140028981A KR20140040790A KR 20140040790 A KR20140040790 A KR 20140040790A KR 1020140028981 A KR1020140028981 A KR 1020140028981A KR 20140028981 A KR20140028981 A KR 20140028981A KR 20140040790 A KR20140040790 A KR 20140040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umestrol
effect
composition
coumes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희영
김정기
김수경
서대방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KR2014004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79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ulmonology (AREA)
  • Cosme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beauty of skin containing coumestrol or germinated soy bean extract with coumestrol}
본 발명은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평균 수명이 점차 길어지면서 얼마나 오래 사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오랫동안 젊음을 유지하면서 사느냐가 관건이 되고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화는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게다가 환경 오염, 스트레스가 점점 심해지고 자외선 노출 빈도가 높아지는 현대 사회에서, 노화는 예전보다 오히려 일찍 시작되고 있다.
인체의 모든 기관은 일정한 비율로 서서히 노화가 진행되고, 그 중 피부 노화는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다. 대부분의 초기 피부 노화는 피부의 건성화 현상으로부터 시작되며, 피부에 수분이 부족해지면 피부 탄력성 저하와 주름 생성이 쉽게 이루어진다. 피부 노화가 진행되면 피부 재생이 느려지고, 노화 각질이 많이 쌓여 피부가 거칠어지며, 콜라겐 합성량이 감소되어 주름이 생기고, 자외선에 대한 방어력이 떨어져 기미, 검버섯 등 색소 침착이 나타나며, 피부 보호 기능이 저하되어 약물이나 외부 자극에 쉽게 반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인 피부 미용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피부 미용용 조성물은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피부 미용용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항염증, 항균, 피부 노화 억제, 항산화, 여드름 피부 개선, 아토피 피부염 개선, 피부 자극 완화, 피부 항상성 유지, 피부 알러지 완화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지며, 화장품 및 식품 분야를 예로 들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인 피부 미용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또한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또한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인 피부 미용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라 함은, 천연물로부터 그 안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이라면, 뽑아내는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해 낸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미용"이라 함은 피부를 아름답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피부를 건강하고 생기있도록 하는 모든 처리 또는 처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쿠메스트롤(CMS; 3,9-dihydroxy-6H-benzofuro(3,2-c)(1)benzopyran-6-one)은 아래 화학식 1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Figure pat00001
쿠메스트롤(coumestrol)은 식물성 에스트로겐 중 하나로서, 주로 콩과(leguminosae), 국화과(comositae) 식물의 씨앗, 뿌리 또는 잎 등에서 발견된다. 이는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의 일종으로 쿠메스탄(coumestan) 계열의 화합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에스트로겐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피부 미용용 조성물은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천연물 또는 그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천연물로는 대두, 완두, 녹두 및 이들을 발아한 발아콩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콩류, 붉은 토끼풀, 자주개나리(알팔파) 또는 싹양배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서,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천연물은 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콩은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과 식물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콩의 종류는, 장류 및 두부용, 나물용, 밥밑용 또는 풋콩용 품종일 수 있다. 장류 및 두부용 품종으로는, 대풍(大豊), 호장(湖醬), 장원(壯元), 대황(大潢), 소담, 송학(松鶴), 대원(大元), 진품(眞品), 단백(蛋白), 두유(豆油), 신팔달(新八達), 태광(太光), 만리(萬里), 장수(長壽), 무한(無限), 백운(白雲), 새알, 황금(黃金) 및 장엽(長葉) 등이 있다. 나물용 품종으로는, 신화, 소원, 안평(安平), 서남(西南), 다채(多彩), 소록(小綠), 소호(小湖), 소명(疏明), 다원(多元), 풍산(豊産)나물, 익산(益山)나물, 소백(小白)나물, 광안(光安), 단엽(短葉) 및 은하(銀河) 등이 있다. 밥밑용 품종으로는, 청자(靑磁), 흑청(黑靑), 갈미(褐味), 선흑(鮮黑), 검정콩 및 일품(一品)검정콩 등이 있다. 또한, 풋콩용 품종으로는, 다올, 신록(新綠), 새을, 검정을, 석량(夕凉)풋콩, 화엄(華嚴)풋콩 및 큰을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콩은 발아가 가능하고 병충해에 강한 품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콩으로는, 예를 들어 신화, 소원, 안평(安平), 서남(西南), 다채(多彩), 소록(小綠), 소호(小湖), 소명(疏明), 다원(多元), 풍산(豊産)나물, 익산(益山)나물, 소백(小白)나물, 광안(光安), 단엽(短葉) 및 은하(銀河)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천연물 또는 그의 추출물은 다량의 쿠메스트롤, 구체적으로 천연물 또는 그의 추출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 더 구체적으로 0.1 내지 30 중량%의 쿠메스트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천연물의 추출물은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천연물을 물 또는 에탄올로 상온 냉침 혹은 온침하여 얻은 추출물을 완전히 농축한 후 다시 물에 분산하고, 동량의 헥산,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에탄올, 메탄올 및 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분획하여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추출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최종추출물에 쿠메스트롤이 포함되도록 하는 모든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피부 미용용 조성물은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고 주름을 개선시키는 피부 탄력 개선용 또는 주름 개선용 피부 미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쿠메스트롤은 콜라게네이즈로 작용할 수 있는 MMP-1(matrix metalloproteinase-I)의 발현을 억제하고, 타입 Ⅰ pN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며, 피부 세포 당화를 억제하고, 세포 내 ATP 생성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쿠메스트롤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탄력 개선 또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특히 UV에 의해 유도된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피부 미용용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쿠메스트롤은 피부 노화 및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생성된 활성 산소를 유의적으로 소거하고,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며, 피부 세포의 당화를 저해한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쿠메스트롤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뛰어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피부 미용용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쿠메스트롤은 피부 수분 손실을 억제하고, 세포 내 ATP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 재생 능력이 뛰어나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쿠메스트롤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피부 미용용 조성물은 항염증용 또는 항균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쿠메스트롤은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생성을 억제하고, 세포 내 ATP 생성을 촉진하며, 지질다당류(Lipopolysacchride, LPS)에 의해 유도된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통해 염증 반응을 억제하며 세균, 박테리아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쿠메스트롤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뛰어난 항염증 및 항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피부 미용용 조성물은 피부 노화 억제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일 수 있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및 당 단백질의 함유량 및 배열이 변하거나 감소된다. 또한, 피부는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상기 조성물이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쿠메스트롤은 활성 산소 소거 효능이 뛰어나며, 피부 탄력 및 피부 주름을 개선하고,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며, 피부 세포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므로 뛰어난 피부 노화 억제 또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쿠메스트롤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피부 노화 억제 또는 항산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피부 미용용 조성물은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쿠메스트롤은 PGE-2 생성을 억제하고, 지질다당류(LPS)에 의해 유도된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의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피지 조절 및 염증 반응 조절 효과를 가지며, 이를 통해 여드름 및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쿠메스트롤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피부 미용용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 개선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쿠메스트롤은 우수한 피부 보습, 항염증 및 항균 효과를 가지며, 피부 세포 재생 능력이 뛰어나므로 아토피 피부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피부 미용용 조성물은 피부 자극 완화용 또는 피부 항상성 유지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쿠메스트롤은 PGE-2 생성을 억제하고 지질다당류(LPS)에 의해 유도된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의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외부 유해 물질에 의한 피부 염증 반응 및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쿠메스트롤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화학 물질, 대기 오염 물질, 자외선 등의 여러 외부 유해 요인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항상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피부 미용용 조성물은 피부 알러지 완화 또는 예방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쿠메스트롤은 우수한 피부 보습, 항염증 및 항균 효과를 가지며, 피부 세포 재생 능력이 뛰어나다. 따라서 쿠메스트롤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피부 알러지를 완화 또는 예방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30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10 중량%, 더 구체적으로 0.1 내지 5 중량%의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로 포함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피부 미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학 또는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파우더, 페이스트,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멀티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 포말(foam)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 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료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료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제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수, 로션, 에센스, 크림, 연고, 젤, 팩, 패치, 분무제, 파우더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콘실 스틱, 핸드 또는 풋 로션, 핸드 또는 풋 크림, 핸드 또는 풋 오일, 핸드 또는 풋 에센스, 핸드 또는 풋 세정제, 비누,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피부 미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드링크제, 캐러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50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mg/kg/일 내지 50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UVB 유도성 활성 산소(ROS) 소거 효능 평가
쿠메스트롤의 UVB 유도성 ROS(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 소거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2', 7'-디클로로디하이드로-플루오레세인 디아세테이트(2', 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DCFH-DA; Molecular Probes, Inc, OR, USA)를 이용하였다. DCFH-DA는 세포 내의 ROS 디텍터(detector)로 잘 알려진 지용성 물질로 세포에 쉽게 흡수되며 세포 내의 에스터라제(esterase)에 의해 아세테이트 기(acetate group)가 가수분해되어 수용성인 2', 7'-디클로로디하이드로플루오레세인으로 변한다. 이것이 세포 내의 산화제에 의해 형광을 띠는 2', 7'-디클로로플루오레세인(DCF)으로 되므로 DCFH-DA를 처리한 세포의 형광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내 ROS의 양을 평가할 수 있다.
각질형성세포주(독일암연구센터의 Dr. Fusenig로부터 입수)를 형광 측정용 96 웰 블랙 플레이트(well black plate)(Greiner BioOne Inc, NC, USA)에 한 웰당 1 X 104개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FBS가 없는 새로운 배지에 쿠메스트롤의 최종 농도가 0.01, 0.1, 1 μM이 되도록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시험 물질을 넣고 24시간 배양 후에 HCSS(HEPES-buffered control salt solution)로 세척하여 남아 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HCSS에 20μM로 준비된 DCFH-DA 배지를 100㎕ 가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0분간 배양한 후 HCSS로 세척하였다. ROS 생성을 유도하기 위해서 100㎕의 HCSS를 가한 상태에서 UVB 30 mJ/cm2를 조사하였다. 이후 HCSS에 동일한 농도의 쿠메스트롤을 희석하여 3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DCF의 형광 강도는 왈락 빅터2 형광 광도계(Wallac VICTOR2 Fluorometer)(Wallac, Turku, Finland)를 이용하여 여기 파장 485nm, 방출 파장 530nm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측정한 형광 강도를 기초로 ROS 소거능(%)을 계산하여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ROS 소거능 (%)
UV 대조군 0
쿠메스트롤 0.01 μM 18.7
쿠메스트롤 0.1 μM 25.6
쿠메스트롤 1 μM 55.1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쿠메스트롤은 UVB 유도성 ROS 소거 효능을 가지며, 쿠메스트롤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 효능도 높아진다. 따라서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산화를 저해하고, 광노화를 억제하며,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시험예 2] UV 유도성 MMP-1 발현 억제 효능 평가
쿠메스트롤의 UV 유도성 MMP-1 발현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람 섬유아세포(CAS-C-004-5C, Invitrogen, CA, USA)를 24 웰-플레이트에 한 웰당 1 X 104개로 분주하여 약 80%의 컨플루언시(confluency)에 도달할 때까지 10% FBS가 들어있는 배지에서 약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FBS가 없는 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UV 조사를 위하여 PBS로 세포를 1회 세척한 후, 100㎕의 PBS를 첨가한 상태에서 UVB 15 mJ/cm2를 조사하였다. PBS를 제거한 후, FBS가 없는 새로운 배지에 쿠메스트롤의 최종 농도가 0.01, 0.1, 1μM이 되도록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시험 물질을 처리한지 48시간 경과한 후 MMP-1의 발현을 평가하였다. MMP-1의 발현은 배양 상층액을 수거하여 효소결합 면역흡착 검사(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키트(RPN 2610; Biotrak Amersham Pharmacia Biotech, UK)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측정된 각 MMP-1의 양은 총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였다. MMP1 활성 정도(%)를 계산하여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MMP-1 활성 (%)
무처리 대조군 100
UV 대조군 132
쿠메스트롤 0.01 μM 115
쿠메스트롤 0.1 μM 102
쿠메스트롤 1 μM 98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쿠메스트롤은 UV 유도성 MMP-1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며, 쿠메스트롤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 효능도 높아진다. 따라서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여 피부 탄력 및 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시험예 3] 타입 I pN 콜라겐 합성 효능 평가
쿠메스트롤의 타입 I pN 콜라겐 합성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 섬유아세포(CAS-C-004-5C, Invitrogen, CA, USA)를 24 웰-플레이트에 한 웰당 1 X 104개로 분주하여 약 80%의 컨플루언시(confluency)에 도달할 때까지 10% FBS가 들어있는 배지에서 약 24시간 배양하였다. FBS가 없는 새로운 배지에 쿠메스트롤의 최종 농도가 0.01, 0.1, 1μM이 되도록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시험 물질을 처리한지 48시간 경과한 후 배양 상층액을 수거하여 프로콜라겐 타입 I C-펩타이드(PIP) EIA 키트(MK101; Takara Shuzo, Kyoto, Japan)를 이용하여 타입 I pN 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각각 측정된 타입 I pN 콜라겐의 양은 총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였다. 타입 I pN 콜라겐 합성 정도(%)를 계산하여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타입 I pN 콜라겐 합성 정도(%)
무처리 대조군 100
쿠메스트롤 0.01 μM 115
쿠메스트롤 0.1 μM 126
쿠메스트롤 1 μM 129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쿠메스트롤은 타입 I pN 콜라겐 합성을 촉진한다. 따라서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탄력 및 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시험예 4] 피부 세포 당화 억제 효능 평가
쿠메스트롤의 피부 세포 당화(glycation)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 섬유아세포(CAS-C-004-5C, Invitrogen, CA, USA)를 6 웰-플레이트에 한 웰당 5 X 104개로 분주하여 약 80%의 컨플루언시(confluency)에 도달할 때까지 10% FBS가 들어있는 배지에서 약 24시간 배양하였다. UV 조사를 위하여 PBS로 세포를 1회 세척한 후, 100㎕의 PBS를 첨가한 상태에서 UVB 50 mJ/cm2를 조사하였다. PBS를 제거한 후, FBS가 없는 새로운 배지에 쿠메스트롤의 최종 농도가 2.5 μM이 되도록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시험 물질을 처리한지 24시간 경과한 후 피부 세포 당화 정도를 옥시셀렉트TM 어드밴스드 당화 최종 산물(OxiselectTM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AGE))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당화 최종 산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당화 최종 산물(㎍/ml)
무처리 대조군 0.156
쿠메스트롤 2.5 μM 0.077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쿠메스트롤은 피부 세포의 당화를 억제한다. 따라서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탄력을 개선하고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시험예 5] ATP 생성 정도 평가
시험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세포 처리를 한 후 세포 내 ATP 생성 정도를 ATP 결정 키트(determination kit)(invitrogen, A22066)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측정한 ATP 농도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ATP 농도(nM)
무처리 대조군 803
쿠메스트롤 2.5 μM 917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쿠메스트롤은 세포 내 ATP 생성을 촉진한다. 따라서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세포의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고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 재생을 촉진하고 피부 탄력을 개선할 수 있다.
[시험예 6]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평가
C57BL/6 마우스 유래의 쥐 색소 세포(Mel-Ab cell)를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에 10% 우태반 혈청, 100nM 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tetradecanoyphorbol)-13-아세테이트 및 1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를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한 Mel-Ab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24 웰 평판 배양기에 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한 다음 이틀째부터 3일 연속으로 0.01, 0.1, 1 μM의 쿠메스트롤을 가하여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포를 녹여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이 매우 뛰어나다고 알려진 하이드로퀴논 10 μM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측정 흡광도를 기초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멜라닌 생성 억제율(%)
쿠메스트롤 0.01 μM 1.2
쿠메스트롤 0.1 μM 24.4
쿠메스트롤 1 μM 30.1
하이드로퀴논 10 μM(양성 대조군) 41.1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쿠메스트롤은 멜리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시험예 7]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생성 억제 효과 평가
쿠메스트롤의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사람 섬유아세포(CAS-C-004-5C, Invitrogen, CA, USA)를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FBS(fetal bovine serum)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FBS가 없는 새로운 배지에 쿠메스트롤의 최종 농도가 0.01, 0.1, 1μM이 되도록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이를 37℃, 5 %(v/v)의 CO2 배양기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프로스타글란딘 E2 자극원으로 칼슘 이오노포어 A23187(Calcium ionophore A23187)과 아라키돈산을 50㎛의 농도로 5 분간 처리한 후, 세포를 용혈시키고 ELISA 판독기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프로스타글란딘 E2를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이 때, 억제율(%)은 아라키돈산 처리시 쿠메스트롤을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의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량의 차이를 기준으로 계산하였으며, 5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 억제율(%)
쿠메스트롤 0.01 μM 12.8
쿠메스트롤 0.1 μM 24.8
쿠메스트롤 1 μM 38.2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쿠메스트롤은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생성을 억제한다. 따라서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염 효과를 가지며 나아가 피지 분비를 억제하고 피부 트러블을 완화하며 피부 여드름 및 피부 알러지를 개선할 수 있다.
[시험예 8] LPS(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의 생합성 억제 효과 평가
쿠메스트롤의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의 생합성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 섬유아세포(CAS-C-004-5C, Invitrogen, CA, USA)를 6 웰-플레이트에 한 웰당 5 X 104개로 분주하여 약 80%의 컨플루언시(confluency)에 도달할 때까지 10% FBS가 들어있는 배지에서 약 24시간 배양하였다. FBS가 없는 새로운 배지에 쿠메스트롤의 최종 농도가 0.01, 0.1, 1μM이 되도록 희석하여 처리한 다음, 37℃, 5 %(v/v)의 CO2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수확해서(harvest) 웨스턴 블랏(Westren blot)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yclooxygenase-2, COX-2)의 양을 정량하였다. 대조군 대비 COX-2 발현 정도(%)를 계산하여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COX-2 발현 정도(대조군 대비 %)
쿠메스트롤 0.01 μM 89
쿠메스트롤 0.1 μM 81
쿠메스트롤 1 μM 64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쿠메스트롤은 LPS로 유도된 사이클로옥시게나제-2의 생합성을 억제한다. 따라서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나아가 피부 여드름 및 피부 알러지를 개선할 수 있다.
[시험예 9]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 평가
아토피 증상(가려움, 진무름 또는 심한 건조증)으로 진단받았거나,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아토피 유사 증상을 나타내는 10~50대의 30명을 선별하여 2그룹으로 나누고, 쿠메스트롤이 0.1% 포함된 피부 도포제와 포함되지 않은 피부 도포제(대조군)를 각각 제공하여, 아토피 증상을 보이는 부위에 매일 2회씩 12주 동안 도포하게 하였다. 12주 처치 후 설문을 통해 아토피 증상 개선 정도를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항목은 "가려움", "건조함", "각질 발생", "비듬", "홍반", "부어오름", "피부 균열" 및 "진물과 습진" 등의 대표적인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의 개선 정도에 대한 것이었다. 상기 증상이 있는 경우 각 증상의 개선 정도를 평가하게 한 후 이를 평균하여 각 대상자의 아토피성 피부염이 전체적으로 개선된 정도를 평가하고 개선된 정도별 대상자 수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해당 대상자 수(인)
현저히 개선 개선 변화없음 악화
대조군 1 4 8 2
쿠메스트롤 0.1% 5 8 2 0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쿠메스트롤 및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시험예 10] 피부 보습력 개선 정도 평가
피부 보습력의 개선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로 시험예 9 대상자의 피부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평균하여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피부 수분 손실율 (%)
1주 경과 4주 경과 8주 경과 12주 경과
대조군 34 39 41 36
쿠메스트롤 0.1% 30 32 26 15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쿠메스트롤은 피부 수분 손실을 억제하며 시간이 흐를수록 그 효과가 크다. 따라서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아래에 상기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 화장수를 제조한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
쿠메스트롤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 화장수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화장수를 제조한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
쿠메스트롤 2.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영양 크림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크림을 제조한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쿠메스트롤 3.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정제
쿠메스트롤 80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갈락토올리고당 200㎎, 유당 60㎎ 및 맥아당 140㎎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을 첨가한다. 이들 조성물 500mg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5] 드링크제
쿠메스트롤 80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를 가하여 각 병에 200㎖씩 되도록 충진하였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초간 살균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2.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0028981A 2010-03-31 2014-03-12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201400407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29164 2010-03-31
KR1020100029164 2010-03-3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582A Division KR20110110052A (ko) 2010-03-31 2011-03-31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315A Division KR101677254B1 (ko) 2010-03-31 2015-08-20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790A true KR20140040790A (ko) 2014-04-03

Family

ID=4472041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582A KR20110110052A (ko) 2010-03-31 2011-03-31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20140028981A KR20140040790A (ko) 2010-03-31 2014-03-12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20150117315A KR101677254B1 (ko) 2010-03-31 2015-08-20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582A KR20110110052A (ko) 2010-03-31 2011-03-31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315A KR101677254B1 (ko) 2010-03-31 2015-08-20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65707B2 (ko)
KR (3) KR20110110052A (ko)
CN (3) CN103989589B (ko)
WO (1) WO201112286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158B1 (ko) * 2011-10-24 2018-06-14 (주)아모레퍼시픽 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63686B1 (ko) * 2012-01-02 2020-02-11 (주)아모레퍼시픽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33448B1 (ko) * 2012-07-31 2019-10-17 (주)아모레퍼시픽 콩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14960B1 (ko) * 2012-07-31 2019-08-28 (주)아모레퍼시픽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57845B1 (ko) * 2012-07-31 2019-03-14 (주)아모레퍼시픽 콩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14962B1 (ko) * 2012-08-02 2019-08-28 (주)아모레퍼시픽 콩꼬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985356B1 (ko) * 2012-08-03 2019-06-04 (주)아모레퍼시픽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89067B1 (ko) * 2013-02-28 2019-06-14 (주)아모레퍼시픽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200014B1 (ko) * 2013-05-06 2021-01-08 (주)아모레퍼시픽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5407871A (zh) * 2013-08-09 2016-03-16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护肤组合物
FR3015526B1 (fr) * 2013-12-20 2017-02-17 Oreal Biomarqueur npy1r du lentigo actinique
US9730972B1 (en) * 2016-06-13 2017-08-15 Ashley Diana Black International Holdings, Llc Skin tightening lotion
US20190134129A1 (en) * 2017-11-06 2019-05-09 Sinotai Oncology Associate., Ltd. Method for alleviating ultraviolet damage with ethyl acetate-extracted product of sedum formosanum
KR102226151B1 (ko) * 2017-11-20 2021-03-11 (주)아모레퍼시픽 콩과식물 배양근을 이용한 쿠메스트롤 생산 방법
KR20200040583A (ko) * 2018-10-10 2020-04-20 (주)아모레퍼시픽 코티존 환원효소 저해용 조성물
KR102249711B1 (ko) * 2018-10-23 2021-05-10 (주)아모레퍼시픽 콩과 식물 배양근의 효소 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97033B1 (ko) * 2018-11-19 2019-07-08 (주)아모레퍼시픽 콩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763A (ja) 1993-05-17 1994-11-22 Kao Corp 美白剤
EP1144997A3 (en) * 1998-03-30 2002-08-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and compounds for modulating nuclear receptor activity
KR100338654B1 (ko) * 2000-06-23 2002-05-30 임병철 페룰산에스테르 유도체, 3,9-디페룰릴쿠메스트롤 및 이를함유한 화장료
KR100628518B1 (ko) 2003-06-12 2006-09-26 김홍렬 대두황권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기능성 화장품
FR2863886B1 (fr) * 2003-12-22 2007-05-04 Oreal Utilisation d'un ligand steroidien ou non-steroidien du recepteur ecr dans une prepara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pour maintenir l'homeostasie cutanee.
WO2005117849A1 (en) * 2004-05-28 2005-12-15 Unigen Pharmaceuticals, Inc. Diarylalkanes as potent inhibitors of binuclear enzymes
KR20080018624A (ko) * 2006-08-25 2008-02-28 제노마인(주) 유기 셀레늄이 강화된 발아콩 추출물의 용도
US9101161B2 (en) * 2006-11-02 2015-08-11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phytoestrogen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KR100902326B1 (ko) * 2007-07-27 2009-06-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2869A3 (ko) 2012-02-02
WO2011122869A2 (ko) 2011-10-06
CN102905685A (zh) 2013-01-30
KR20110110052A (ko) 2011-10-06
CN103989589B (zh) 2018-08-21
KR20150101980A (ko) 2015-09-04
US9265707B2 (en) 2016-02-23
KR101677254B1 (ko) 2016-11-17
US20130071342A1 (en) 2013-03-21
CN105362151A (zh) 2016-03-02
CN103989589A (zh)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254B1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US11484559B2 (en) Kapok tree flower extract, and cosmetic, pharmaceutical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28612A (ko) 인진쑥 추출물 및 올리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25579B1 (ko)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558186B1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23068B1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6894B1 (ko) 'dkmex'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및 미백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4433B1 (ko)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57972B1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1748B1 (ko) 미성숙 열매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7803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628074B1 (ko) 꿩의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00094694A (ko) 쌀 유래 배아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흡수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2B1 (ko) 복주머니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7464A (ko)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