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232A - 홀리 바질의 상부 성장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용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홀리 바질의 상부 성장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용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232A
KR20230160232A KR1020237027962A KR20237027962A KR20230160232A KR 20230160232 A KR20230160232 A KR 20230160232A KR 1020237027962 A KR1020237027962 A KR 1020237027962A KR 20237027962 A KR20237027962 A KR 20237027962A KR 20230160232 A KR20230160232 A KR 20230160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advantageously
holy basi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7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피 르클레르-비엔페
스테파니 브레디프
Original Assignee
라보라뜨와르 엑스빵씨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보라뜨와르 엑스빵씨엉스 filed Critical 라보라뜨와르 엑스빵씨엉스
Publication of KR20230160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23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4Vasoprotectives; Antihaemorrhoidals; Drugs for varicose therapy; Capillary stab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3Liquid-solid separation, e.g. centrifugation, sedimentation or crystall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리 바질, 특히 오키뭄 생텀(Ocimum sanctum)의 상부 성장(top growth) 추출물, 추출물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화장품, 약학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점막 또는 피부 부속물의 장애 또는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고 혈관 장애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이러한 조성물 또는 이러한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피부, 피부 부속물 또는 점막의 상태 또는 외관을 개선하는 관점에서 피부, 피부 부속물 또는 점막을 위한 미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이러한 조성물 또는 이러한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홀리 바질의 상부 성장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본 발명은 녹색 또는 자색 홀리 바질(holy basil)(오키뭄 생텀)(Ocimum sanctum)의 지상부(aerial parts)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화장품, 약학 또는 피부과용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홀리 바질의 지상부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점막 또는 피부 부속물(skin appendage)의 장애 또는 병리(pathology)의 예방 또는 치료, 및 혈관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이러한 조성물 또는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조성물 또는 이러한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피부, 피부 부속물 또는 점막의 상태 또는 외관 개선의 관점에서의, 피부, 피부 부속물 또는 점막을 위한 미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홀리 바질
식물학적 기재
흔히 "홀리 바질" 또는 "툴시(tulsi)"로 알려져 있는 오키뭄 생텀 (또는 오키뭄 테누이플로룸(ocimum tenuiflorum))은 꿀풀과(Lamiaceae)에 속하는 방향성 식물이다. 이것은 높이 30 내지 60 cm로 자라며 줄기에 털이 있다. 잎은 다양성에 따라 녹색 또는 자주색이다. 단순하고 잎자루가 있으며 길이는 최대 5 cm이다. 자줏빛을 띤 작은 꽃은 길쭉한 총상 꽃차례로 핀다. 홀리 바질에는 녹색 바질과 자색 바질의 두 가지 품종이 있다. 두 품종 모두 유사한 식물 화학적 조성을 가지고 있다.
홀리 바질은 아시아에서 종교 및 의약 용도로 재배되고 있으며, 특히 아유르베다 의학에서는 "불로장생약"으로 여겨진다. 홀리 바질 잎은 태국 요리와 곤충 기피제로도 사용된다.
식물화학
오키뭄 생텀의 조성:
단백질: 174.5 g/kg 건조 식물
섬유질: 90.7 g/kg 건조 식물
회분: 135.6 g/kg 건조 식물
오키뭄 생텀의 수성 및 알코올 추출물에서 많은 분자가 확인되었다. 폴리페놀이 널리 존재하며 주요 화합물은 로즈마린산이다. 우르솔산, 아피제닌 유도체 및 페놀산도 널리 보고되어 있다.
당은 자일로오스와 다당류로 구성되어 있다. 줄기와 잎에는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트리테르페노이드 및 탄닌이 포함되어 있다.
미네랄 성분은 칼륨이 대부분임을 보여준다(표 1 참조):
[표 1]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의 대상은 홀리 바질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polyphenol-rich extract), 특히 폴리페놀이 풍부한 홀리 바질의 지상부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홀리 바질" 및 "오키뭄 생텀"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홀리 바질에는 녹색과 자색의 두 가지 품종이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목적 상 "홀리 바질" 또는 "오키뭄 생텀"은 기존의 2가지 품종, 즉 녹색 및 자색 품종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오키뭄 생텀의 "지상부 부분"은 잎, 줄기 및 꽃, 바람직하게는 잎 및 줄기를 포함한다.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은 주로 또는 본질적으로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6 중량%의 폴리페놀, 즉 액체 추출물 1 mL당(갈산 당량으로) 적어도 1.2 mg의 폴리페놀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해 적어도 9 중량%, 보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11 중량%, 보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15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중량 기준으로 6% 내지 17%, 보다 유리하게는 9% 내지 17%, 보다 유리하게는 11% 내지 17%, 보다 유리하게는 15% 내지 17%의 폴리페놀을 포함한다. 백분율은 상기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건조 매질을 첨가하기 전)에 대해 표현되며 폴린 시오칼테우(Folin Ciocalteu)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 상, 폴리페놀은 하나 이상의 벤젠 고리에 적어도 2개의 하이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분자이다. 특히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페놀은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 및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거나 이로 이루어진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적어도 5 중량%의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 보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7 중량%의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 즉 액체 추출물 1 mL당 적어도 1.0 mg의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를 포함한다. 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적어도 10 중량%, 보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15 중량%의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5 중량% 내지 20 중량%, 보다 유리하게는 7 중량% 내지 20 중량%, 보다 유리하게는 10 중량% 내지 20 중량%, 보다 유리하게는 15 중량% 내지 20 중량%의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를 포함한다. 백분율은, 클로로겐산 당량으로, 상기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건조 매질을 첨가하기 전)에 대해 표현되며, 아나우(Arnow)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상기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해, 루틴 당량(rutin equivalent)으로 표현되는, 플라보노이드 적어도 2.5 중량%, 보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3.5 중량%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상기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해, 루틴 당량으로 표현되는, 플라보노이드 2.5 중량% 내지 6 중량%, 보다 유리하게는 3.5 중량% 내지 6 중량%를 포함한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루츠(Loots)(AlCl3)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특히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6 중량%의 폴리페놀, 즉 액체 추출물 1 mL당(갈산 당량으로) 적어도 1.2 mg의 폴리페놀, 특히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 중량%의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 및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해, 루틴 당량으로 표현되는, 플라보노이드 적어도 2.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는 그 구조에 하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분자이다:
모이어티의 수소는 임의의 다른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는 특히 하이드록시신남산, 에스테르 및 글리코실화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의 예는 치코르산(chicor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또는 카파르산(caffaric acid),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플라보노이드는 그 구조에 하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분자로 정의된다:
모이어티의 수소는 임의의 다른 기로 치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식에서 점선은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보노이드의 예는 아피게닌, 아피게닌-7-글루쿠로나이드 또는 루테올린-7-글루쿠로나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 상, 플라보노이드 및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는 전형적으로 폴리페놀이다.
특히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알레르기성 화합물이며 본 발명의 의미에서 폴리페놀이 아니라 페놀인 유게놀 및 메틸 유게놀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유게놀 및 메틸 유게놀은 특히 그들의 물리화학적 특성 때문에 폴리페놀 계열로 분류되지 않는다. 실제로, 이들 화합물은 홀리 바질 에센셜 오일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이며 본 발명의 폴리페놀과 달리 증기 동조성(steam-entrainable) 화합물이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유게놀 및 메틸 유게놀을 포함하지 않거나 50 ppm 미만의 유게놀 및 100 ppm 미만의 메틸 유게놀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추출물의 구성 성분이 증기 동조성이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추출물은 에센셜 오일이 아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전술한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은 유리하게는 물, 글리콜 또는 글리세롤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용매에서 홀리 바질의 지상부 부분의 고체/액체 추출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용매는 무독성 용매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글리콜 또는 물/글리세롤의 이원 혼합물(binary mixture)로부터, 유리하게는 사용된 용매의 총 부피(물 + 글리콜 또는 물 + 글리세롤)에 대한 부피 기준으로 물 중 30% 내지 90%, 전형적으로 50% 내지 80%, 또는 보다 유리하게는 60% 내지 70%의 글리콜 또는 글리세롤의 비율에서 선택된다. 특히, 추출 용매는 물/프로판디올, 물/프로필렌 글리콜, 물/글리세린, 특히 물/프로판디올, 보다 특히 물/1,3-프로판디올 또는 물/글리세린의 이원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언급된 글리콜은 식물 기원의 글리콜, 특히 프로판디올 및/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보다 특히 프로판디올, 특히 1,3-프로판디올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언급된 글리세롤은 식물성 기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당업자에게 알려진 최적의 pH, 시간 및 온도 조건 하에 상기 단락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절한 용매 혼합물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체/액체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홀리 바질 지상부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홀리 바질 지상부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의 연속적인 단계를 포함한다:
a) 홀리 바질의 지상부 부분을 분쇄하는 단계;
b) 최적의 시간, pH 및 온도 조건 하에 물, 글리콜, 글리세롤 및 이들의 혼합물, 유리하게는 물/글리콜 또는 물/글리세롤의 이원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용매에서 분쇄한 지상부를 추출하는 단계;
c) 디캔테이션(decantation) 및/또는 원심분리 및/또는 연속 여과에 의해 액체상으로부터 고체상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선택적으로, 단계 c)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유리하게는, 추출물 제조 방법은 전형적으로 진공 증발 또는 탈취에 의해 유게놀 또는 메틸 유게놀을 제거하거나 유게놀 및 메틸 유게놀 함량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식물을 분쇄하는 단계 a)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 특히 커터 밀, 해머 밀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단계 b)에서, 추출은 바람직하게는 물/글리콜 또는 물/글리세롤의 이원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단계 b)에서 사용되는 추출 용매는 사용된 용매(물 + 글리콜 또는 물 + 글리세롤)의 총 부피에 대한 부피 기준으로 물 중 30% 내지 90%, 전형적으로 50% 내지 80%, 보다 유리하게는 60% 내지 70% 글리콜 또는 글리세롤의 비율의 물/글리콜 또는 물/글리세롤의 이원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추출 용매는 물/프로판디올, 물/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물/글리세린, 특히 물/프로판디올, 보다 특히 물/1,3-프로판디올 또는 물/글리세린의 이원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유리하게는, 글리콜은 식물 기원의 글리콜, 특히 프로판디올 및/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보다 특히 프로판디올, 특히 1,3-프로판디올이다. 유리하게는, 글리세롤은 식물성 기원이다.
 또한, 고체/액체 추출의 단계 b)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 특히 30℃ 내지 80℃, 보다 특히 30℃ 내지 75℃, 전형적으로 60℃를 포함하는 온도에서 수행된다.
다른 선행 기술 방법과 달리 추출 시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유리하게는 추출 시간은 30분 내지 4시간, 특히 1시간 내지 3시간, 유리하게는 약 2시간이다.
액상으로부터 고상을 분리하는 단계 c)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 특히 디캔테이션, 원심분리 및/또는 연속 여과, 바람직하게는 여과에 의해 수행된다. 단계 c) 동안, 수득된 액상은 예를 들어 한외여과 및/또는 멸균 여과에 의해 유리하게 정제되고 농축된다. 단계 c)는 액체가 완벽하게 투명하고 미생물학적으로 100 CFU/g 총 세균 이하의 정도로 깨끗해질 때까지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건조 단계 d)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
건조 단계 d)는 예를 들어 말토덱스트린 또는 아카시아 섬유(CNI제인 Fibregum®)와 같은 담체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담체 함량은 전형적으로 액체 형태의 추출물에서 얻어지는 건조물의 백분율에 대해 담체 0% 내지 80% 범위의 비율로 다양하다.
추출물을 동결 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최종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최종 분말은 유리하게는 추출물로부터의 건조물 3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고, 100% 잔량은 동결 건조 담체이다. 보다 유리하게는, 최종 분말은 50% 추출 건조물 및 50% 동결 건조 담체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단계 d)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얻어진 추출물은 정균/살균 활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인 추출 용매, 특히 추출물과 용매의 총 중량에 대해 50 중량% 이상의 양인 추출 용매에 보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 방법에 의해 유리하게는 간단한 구현 방법으로 단일 주요 추출 단계에서 폴리페놀이 농축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즉, 분별에서와 같이 연속적인 추출 단계를 여러번 거치지 않고도 농축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은 하기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i. 홀리 바질의 지상부 부분을 분쇄하는 단계;
ii. 1,3-프로판디올/물 혼합물(60/40) 또는 글리세린/물 혼합물(60/40)에 10%(w/w)로 분쇄된 지상부를 용해시키는 단계;
iii.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 하에 추출하는 단계;
iv. 연속적인 여과 단계를 통해 정제하는 단계;
v. 유리하게는 전형적으로 진공 증발 또는 탈취에 의해 유게놀 및 메틸 유게놀을 제거하는 단계; 및
vi. 멸균 여과하는 단계.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라는 표현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추출물 자체, 또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추출물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상술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추출물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추출물 자체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및 50/50 내지 0/100, 유리하게는 30/70 내지 10/90, 보다 유리하게는 20/80의 물/용매 비율(v/v)의 물/용매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용매는 글리콜, 식물성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식물 기원의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1,3-프로판디올로부터 선택된다.
유리하게는,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30 중량%, 유리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의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건조 추출물의 중량으로 표현됨) 및 70 내지 99.999 중량%, 유리하게는 90 내지 99.999 중량%의 물/용매 혼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물/용매 비율은 50/50 내지 0/100, 유리하게는 30/70 내지 10/90, 보다 유리하게는 20/80이고, 용매는 글리콜, 식물성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식물 기원의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1,3-프로판디올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따르면, 용매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물리적 및 미생물학적 안정화 작용을 위한 유효량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활성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오키뭄 생텀 지상부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 및 선택적으로 적합한 부형제(excipient)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추출물 그 자체에 관한 상기 단락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추출물에 관한 단락에 정의된 바와 같다.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화장품, 약학 또는 피부과용이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외부 국소 투여용으로 제형화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10 중량%, 전형적으로 0.01 내지 5 중량%의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추출물의 중량은 건조 추출물로 표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국소 투여에 적합한 다양한 제제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특히 크림, 에멀젼, 밀크, 연고, 로션, 오일, 수성 또는 하이드로알코올 또는 글리콜 용액, 분말, 패치, 스프레이, 샴푸, 바니시 또는 외부 적용을 위한 기타 제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 특성(화장품, 약학 또는 피부과용)에 따라, 또한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약학적 또는 피부과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계면활성제, 증점제, 방부제, 향료, 착색제, 화학적 또는 광물성 필터, 보습제, 온수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약학적 또는 피부과적으로 허용되는 애쥬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자신의 일반적인 지식을 활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을 적합화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최적 투여량 및 생약 형태는 환자 또는 동물에 적합한 약리학적, 피부과적 또는 미용적 치료를 확립하는데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기준, 예컨대 환자 또는 동물의 연령 또는 체중, 전신 상태의 중증도, 치료에 대한 내약성, 관찰된 부작용, 피부 유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및/또는 점막(잇몸, 치주, 생식기 점막) 및/또는 피부 부속물(모발 및 손발톱) - 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노화 여부에 관계없음 -의 장애 또는 병리, 유리하게는 염증성 반응, 산화 반응, 내적 또는 외적 스트레스(예컨대 심리적 스트레스, 불안 상태와 관련된 스트레스, 오염(특히 화학적 또는 대기 오염)과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은 라디칼 공격 및/또는 UV 또는 IR 노출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관련된 장애, 장벽 또는 항상성 장애, 노화, 특히 생활 연령성 및/또는 화학선 노화, 광과민성 피부 및/또는 기계적 또는 열적 공격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혈관 장애, 특히 발적 및 농진(couperose)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및/또는 점막(잇몸, 치주, 생식기 점막) 및/또는 피부 부속물(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노화)의 미생물총(microbiota)의 불균형 및/또는 그 불균형과 관련된 장애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노화 여부에 관계없이 피부 및/또는 점막(잇몸, 치주염, 생식기 점막) 및/또는 피부 부속물 및/또는 그 부속기를 기계적, 미생물, 열 및 자유 라디칼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미생물총을 방어하는 작용을 하여 미생물총 불균형을 퇴치하는데 도움을 준다. 추출물은 또한 피부의 면역 방어 및 항산화 시스템을 자극하는 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및/또는 점막(잇몸, 치주, 생식기 점막) 및/또는 피부 부속물(모발 및 손발톱) - 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노화 여부에 관계없음 -의 장애 또는 병리, 유리하게는 염증성 반응, 산화 반응, 내적 또는 외적 스트레스(예컨대 심리적 스트레스, 불안 상태와 관련된 스트레스, 오염(특히 화학적 또는 대기 오염)과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은 라디칼 공격 및/또는 UV 또는 IR 노출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관련된 장애, 장벽 또는 항상성 장애, 노화, 특히 생활 연령성 및/또는 화학선 노화, 광과민성 피부 및/또는 기계적 또는 열적 공격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화장품용, 약학적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혈관 장애, 특히 발적 및 농진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화장품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및/또는 점막(잇몸, 치주, 생식기 점막) 및/또는 피부 부속물 및/또는 그 부속기(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노화 여부에 관계없음)의 미생물총의 불균형 및/또는 그 불균형과 관련된 장애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화장품용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 특히 국소 투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및/또는 점막(잇몸, 치주, 생식기 점막) 및/또는 피부 부속물(모발 및 손발톱) - 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노화 여부에 관계없음 -의 장애 또는 병리, 유리하게는 염증성 반응, 산화 반응, 내적 또는 외적 스트레스(예컨대 심리적 스트레스, 불안 상태와 관련된 스트레스, 오염(특히 화학적 또는 대기 오염)과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은 라디칼 공격 및/또는 UV 또는 IR 노출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관련된 장애, 장벽 또는 항상성 장애, 노화, 특히 생활 연령성 및/또는 화학선 노화, 광과민성 피부 및/또는 기계적 또는 열적 공격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 특히 국소 투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혈관 장애, 특히 발적 및 농진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 특히 국소 투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및/또는 점막(잇몸, 치주, 생식기 점막) 및/또는 피부 부속물 및/또는 그 부속기(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노화 여부에 관계없음)의 미생물총의 불균형 및/또는 그 불균형과 관련된 장애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추출물은 피부, 피부 부속물(모발 및 손발톱) 및/또는 점막(잇몸), 치주, 생식기 점막)(미성숙, 정상 또는 성숙/노화 여부에 관계없음)의 장벽 또는 항상성의 염증성 또는 자극성 반응, 또는 병리 또는 장애를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피부 장벽 또는 항상성의 염증성 또는 자극성 반응, 또는 병리 또는 장애 또는 질환은 여드름, 주사비(rosacea) 또는 에리트로쿠페로스(erythrocouperose), 혈관 장애, 특히 발적 및 농진, 기저귀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접촉성 피부염, 자극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유아지방관(cradle cap)), 민감성 피부, 반응성 피부, 건성 피부(건조증), 수분 부족 피부, 발적 피부, 피부 홍반, 노화 또는 광노화 피부, 광과민성 피부, 색소성 피부(기미, 염증 후 색소 침착..), 임신선이 있는 피부, 일광화상, 화학적, 물리적(예: 임산부의 스트레스), 세균 또는 진균 인자로 인한 자극, 피부 노화, 특히 광노화, 및 화학적 또는 대기 오염으로 인한 라디칼 공격 및/또는 UV 또는 IR 노출과 관련된 장애이다.
유리하게는, 점막 장벽 또는 항상성의 염증성 또는 자극성 반응, 또는 장애 또는 병리 또는 질환은 치은염(신생아의 민감한 잇몸, 흡연 등으로 인한 위생 문제), 및 외부 또는 내부 남성 또는 여성 생식기 영역의 자극이다.
유리하게는, 피부 부속물의 장벽 또는 항상성의 염증성 또는 자극성 반응, 또는 장애 또는 병리 또는 질환은 취성 손발톱, 부서지기 쉬운 손발톱, 약해진 모발, 부서지기 쉬운 모발, 건조 모발, 탈모증, 지루성 피부염 및 모낭염 피부염이다.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추출물은 예를 들어 햇빛 노출 또는 염증 현상과 관련된 피부 노화, 특히 생활 연령성 및 화학선 노화에 대한 노화 방지제로서 의도되거나 자극받은 피부에 작용하도록 의도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피부 부속물의 장애 또는 병리, 유리하게는 염증성 반응, 내적 또는 외적 스트레스, 예컨대 심리적 스트레스, 불안 상태와 관련된 스트레스, 화학적 또는 대기 오염과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은 라디칼 공격(radical attack) 및/또는 UV 또는 IR 노출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관련된 장애로서, 유리하게는 민감한 피부(sensitive skin), 반응성 피부(reactive skin) 및/또는 반응성 점막(reactive mucous membrane)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장애, 따끔거리는 피부(irritated skin), 염증이 생긴 피부(inflamed skin), 장벽 또는 항상성 장애, 광과민성 피부(photosensitized skin), 기계적 및/또는 열적 공격; 및/또는
- 혈관 장애, 바람직하게는 발적 및 농진(couperose); 및/또는
- 유리하게는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불쾌한 암내 발생, 피부 장벽 약화, 여드름, 건선, 화농한선염(hidradenitis suppurativa), 모낭염, 유아지방관(cradle cap), 비듬, 특히 두피의 가려움증, 자극, 칸디다증(candidiasis) 및 세균성 질염(bacterial vaginosis)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생물총의 불균형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되고/거나, 치유제(healing agent)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분 부족 피부; 발적 피부; 노화된 피부; 피부 노화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미용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부속물의 관리, 특히 취성 손발톱; 부서지기 쉬운 손발톱; 약해진 모발; 부서지기 쉬운 모발; 및 건조 모발의 예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미용 용도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추출물을 투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피부 및/또는 피부 부속물 및/또는 점막의 상태 및/또는 외관을 개선하는 관점에서, 피부 및/또는 피부 부속물 및/또는 점막의 미용 관리 방법; 특히 피부의 견고성(firmness), 탄성(elasticity) 또는 탄력(tonicity)을 개선하고, 피부 및 점막의 기계적 특성을 강화하고, 특히 메마르고(withered), 생기가 없고(limp), 넓어지고(distended)/거나 처진(sagging) 피부를 되돌리고(combat)/거나, 피부의 탄성 또는 견고성을 강화 및/또는 회복시키고, 잔주름 및 주름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피부 부속물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추출물을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피부 장벽의 손상 및 탈수를 방지하거나 피부 및/또는 점막을 보습하는 관점에서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피부 부속물의 미용 관리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추출물을 피부 및/또는 피부 부속물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노화 방지의 관점에서 피부 및/또는 피부 부속물를 미용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및/또는 점막에 수분을 공급하고, 특히 긴장제(tensor agent) 또는 주름 방지제로서 피부의 탄성 또는 견고성에 작용하고 민감한 피부에 작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추출물의 미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분 부족 피부; 발적 피부; 노화된 피부의 치료 및/또는 예방; 안색 균일성; 피부의 반점 또는 피부 노화, 특히 생활 연령성 및/또는 화학선 노화의 감소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추출물의 미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용도 및 미용 관리 방법은 전형적으로 건강한 피부 또는 신체의 건강한 부위에 수행되며 치료적이지 않다.
도 1은 코티솔 스트레스 하에서 케라틴세포(keratinocyte)에 의한 NO 생성 측정을 나타낸다.
도 2는 오염 스트레스를 겪은 섬유아세포의 세포 바이오 에너지에 대한 홀리 바질 추출물의 효과, 특히 산소 소비에 대한 효과 도 2A, ATP 생산 도 2B, 락테이트 생산 2C 및 NAD/NADH 비 도 2D(* p<0.05; ** p<0.01 vs 비처리 대조군; #p<0.05; ##p<0.01 vs 오염물질)를 나타낸다.
도 3은 세포당 손상된 미토콘드리아의 백분율(%)(###p<0.0001 vs 오염물질)을 나타낸다.
도 4는 리소좀 밀도(강도/μ㎡)를 나타낸다(*** p<0.0001 vs 대조군; #p<0.05; ###p<0.0001 vs 오염물질).
도 5는 미토파지(Mitophagy)(손상된 미토콘드리아와 공존하는 리소좀의 %)를 나타낸다(*** p<0.0001 vs 대조군; ###p<0.0001 vs 오염물질).
도 6은 T0과 T40h 사이의 섬유아세포 이동 백분율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홀리 바질 추출물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득하였다:
a) 40/60 w/w 물/프로판디올 혼합물에 오키뭄 생텀 - 자색 품종 -의 분쇄된 지상부 10%(w/w) 용해
b) 60℃에서 2시간 추출
c) 연속적인 여과에 의한 고체/액체 분리.
이렇게 얻어진 폴리페놀이 풍부한 액체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분자 중량%/수득한 추출물의 건조 추출물):
· 건조 추출물(2시간, 105℃, 통기식 오븐): 1.0%
· 총 폴리페놀: 11.4%
· 플라보노이드: 3.6%
·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 7.6%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홀리 바질 추출물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득하였다:
a) 40/60 w/w 물/프로판디올 혼합물에 오키뭄 생텀 - 녹색 품종 -의 분쇄된 지상부 10%(w/w) 용해
b) 60℃에서 3시간 추출
c) 연속적인 여과에 의한 고체/액체 분리.
이렇게 얻어진 폴리페놀이 풍부한 액체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분자 중량%/얻어진 추출물의 건조 추출물):
· 건조 추출물(2시간, 10℃, 통기식 오븐): 1.4%
· 총 폴리페놀(폴린 시오칼테우 방법으로 측정): 16%
· 플라보노이드: 3.5%
·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 20%.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시험
A. 항산화 활성
A.1. 항산화 효과
A.1.1 정상 인간 케라틴세포에서 H 2 O 2 - 유도된 ROS 생성에 대한 활성
H2O2에 의해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를 겪은 케라틴세포에서 생성되는 ROS(Reactive Oxygen Species: 활성 산소종)의 양을 평가하여 홀리 바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a. 재료 및 방법
H2DCF-DA 프로브 도입 전에, 정상 인간 케라틴세포를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6가지 농도의 홀리 바질 추출물(0.00032% 내지 0.01% dm) 또는 항산화제 참조 분자인 쿼세틴(10 μM) 또는 비타민 C(500 μM)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케라틴세포를 100 μM 과산화수소(H2O2)로 20분 동안 자극하였다.
ROS와 접촉하는 프로브에 의해 방출된 형광을 측정하여 ROS 생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일원 ANOVA(one-way ANOVA)에 이어 터키 검정(Tukey test)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b. 결과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홀리 바질 추출물은 H2O2에 의해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케라틴세포에 의한 ROS 생성을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여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표 2]
A.1.2. 재구성된 인간 표피에서 UVA로 유도된 ROS 생성에 대한 활성
UVA 조사에 의해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를 재구성된 인간 표피에서 ROS 분석으로 연구하였다.
a. 재료 및 방법
재구성된 인간 표피를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3% 바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 또는 그의 플라시보로 24시간 동안 전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표피에 30 J/㎠의 UVA를 조사하였다.
ROS와 접촉하는 H2DCF-DA 프로브에 의해 방출된 형광을 측정하여 ROS 생성을 평가하였다.
b. 결과
결과를 표 3에 정리하였다. 3% 제형 중의 홀리 바질 추출물은 UVA 유도 ROS 생성을 억제하여 UVA 조사에 의해 유발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를 입증하였다.
[표 3]
UVA 조사로 재구성된 표피에서 ROS 생성
1.3. 정상 인간 케라틴세포 및 섬유아세포에서 메나디온에 의해 유도된 ROS 생성에 대한 활성
메나디온에 의해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를 겪은 케라틴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에 의해 생성된 ROS의 양을 평가하여 홀리 바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a. 재료 및 방법
한편으로 정상 인간 케라틴세포 및 다른 한편으로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를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0.001% 및 0.005% 건조물(dm) 홀리 바질 추출물 또는 항산화 참조로 사용된 ROS 스캐빈저 분자인 10 mM N-아세틸시스테인(NAC)으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50 또는 20 μM 메나디온(2-메틸-1,4-나프토퀴논)의 존재 하에 1시간 인큐베이션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하였다.
ROS를 CellRox® 프로브로 표지하였다; ROS의 양에 비례하는 세포내 형광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일원 ANOVA에 이어 듀넷 검정(Dunnett's test)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b. 결과
결과를 표 4 및 5에 나타내었다. 홀리바질 추출물은 케라틴세포(표 4)와 섬유아세포(표 5)에서 메나디온 스트레스로 인한 ROS 생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여 항산화 활성을 입증하였다.
[표 4]
메나디온 스트레스를 겪은 케라틴세포에 의한 ROS 생성
[표 5]
메나디온 스트레스를 겪은 섬유아세포에 의한 ROS 생성
A.2. 지질 과산화 억제
ROS는 주로 세포막에 결합된 다중불포화 지질을 표적으로 하는 지질 과산화의 주요 활성인자이다. 홀리 바질 추출물의 항지질 과산화 활성을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에 의해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를 겪은 케라틴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에서 조사하였다.
a. 재료 및 방법
한편으로 정상 인간 케라틴세포 및 다른 한편으로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를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0.001% 및 0.005% dm 홀리 바질 추출물 또는 200 μM의 항산화제 참조 비타민 E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200 또는 50 μM의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의 존재 하에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하였다.
지질 과산화물을 BODIPY® 581/591 C11로 표지하여 나타내었다; 세포내 형광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일원 ANOVA에 이어 터키 검정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b. 결과
결과를 표 6 및 7에 정리하였다. 홀리바질 추출물은 케라틴세포(표 6)와 섬유아세포(표 7)에서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지질 과산화를 유의하게 억제하여 항산화 활성을 입증하였다.
[표 6]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스트레스를 겪은 케라틴세포에서 지질 과산화의 정량화
[표 7]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스트레스를 겪은 섬유아세포에서 지질 과산화의 정량화
A.3. 항산화 방어에 대한 효과
글루타티온(GSH)은 ROS를 중화시킬 수 있는 주요 내인성 항산화 펩티드이다. 세포 내 GSH 고갈은 미토콘드리아 독성과 관련된 산화 스트레스 유발 손상의 원인이 된다.
세포내 글루타티온 저장에 대한 홀리 바질 추출물의 효과를 메나디온 유도 산화 스트레스를 겪은 섬유아세포에서 평가하였다.
a. 재료 및 방법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를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0.001% 및 0.005% dm 홀리 바질 추출물 또는 항산화제 참조, 10 mM NAC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25 μM 메나디온의 존재 하에 4시간 인큐베이션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유도하였다.
GSH 스톡을 형광 프로브 모노클로로비만(Monochlorobimane: Mbi)을 사용하여 모니터링하였다. GSH의 양에 비례하는 세포내 형광을 측정하였다.
b. 결과
결과를 표 8에 정리하였다. 홀리 바질 추출물은 항산화제 참조(10 mM NAC)보다 더 유의하게 메나디온에 의해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 하에서 고갈된 세포내 글루타티온을 복원하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입증하였다.
[표 8]
메나디온 스트레스를 겪은 섬유아세포에서 글루타티온(GSH) 함량의 변화
A.4. 결론
종합하면, 이들 결과는 홀리 바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입증한다.
B. 항염증 작용
홀리 바질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PMA로 유도된 전 염증성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각질 세포에 의해 생성된 인터루킨 8(IL8)을 분석하여 조사하였다.
a. 재료 및 방법
정상 인간 케라틴세포를 0.001%, 0.005% 또는 0.01% dm의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홀리 바질 추출물 또는 항염증성 참조물인 0.1 μM의 덱사메타손의 존재 하에 24시간 동안 사전 인큐베이션하였다. 그런 다음 세포를 10 μg/mL PMA(포르볼-미리스테이트-아세테이트(Phorbol-Myristate-Acetate)) 존재 하에서 24시간 처리하여 자극하였다.
처리를 마치고, 생성된 IL8을 배양 상청액에서 ELISA 검정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결과를 스튜던트 t-검정(Student t-test)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b. 결과
결과를 표 9에 정리하였다. 홀리 바질 추출물은 케라틴세포에서 PMA로 유도된 IL8 생성을 상딩히 억제했으며, 일부 경우에는 참조 덱사메타손보다 더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따라서 이는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다.
[표 9]
PMA로 유도된 염증 스트레스를 겪은 케라틴세포에 의해 생성된 인터루킨 8의 분석
C. 노화 방지 작용
피부 노화는 주로 콜라겐 및 엘라스틴과 같은 기질 섬유의 질과 양의 감소와 함께 진피 기질의 변화를 특징으로 한다.
표준 조건 하 및 "염증 노화(inflamm'aging)" 또는 저등급 염증으로도 알려진 만성 염증을 모델링하는 염증 스트레스 조건 하에서 진피 기질 마커의 발현 및 생산을 자극하는 능력으로 홀리 바질의 노화 방지 활성을 평가하였다.
C.1. 진피 기질에 미치는 영향
진피 기질 마커의 발현에 대한 홀리 바질 추출물의 효과를 배양 정상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또는 재구성된 인간 피부에서 평가하였다.
C.1.1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진피 기질 마커에 대한 유전자 발현의 자극
a. 재료 및 방법
정상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0.001% 및 0.005% dm의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홀리 바질 추출물 또는 5 ng/mL의 TGFβ1(양성 분석 참조)의 존재 하에 4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콜라겐 I, 엘라스틴, 더마토폰틴 및 MMP1(Matrix-Metalloproteinase-1: 기질금속단백질가수분해효소-1)의 유전자 발현을 실시간 정량 PCR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일원 ANOVA에 이어 듀넷 사후 검정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b. 결과
결과를 표 10에 정리하였다. 홀리 바질 추출물은 진피 기질 밀도와 관련된 주요 마커인 콜라겐 I, 엘라스틴 및 더마토폰틴의 유전자 발현을 유의하게 자극하였다. 또한, 추출물은 진피 기질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인 MMP1의 유전자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진피 기질의 치밀화 및 그에 따른 노화 방지 활성을 입증한다.
[표 10]
섬유아세포에서 진피 기질 마커의 유전자 발현
C.1.2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진피 기질 마커에 대한 단백질 발현의 자극
a. 재료 및 방법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홀리 바질 추출물 0.001% 및 0.005% dm 또는 양성 참조로 사용된 10 μM의 비타민 C와 5 ng/mL의 TGFβ의 혼합물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콜라겐 I 생성을 면역 형광 라벨링 및 이미지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b. 결과
결과를 표 11에 정리하였다. 홀리 바질 추출물은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I 표지를 상당히 자극하였다. 이 결과는 진피 기질 치밀화에 대한 추출물의 활성을 입증한다.
[표 11]
섬유아세포에 의한 콜라겐 I 생성
C.1.3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진피 기질 마커의 단백질 발현 자극
a. 재료 및 방법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3% 홀리 바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크림) 또는 그의 플라시보를 재구성된 인간 피부의 표면에 적용하였다. 24시간 인큐베이션 후, 피부 혜택에 대한 관심 마커의 유전자 발현을 실시간 정량 PCR로 평가하였다.
b. 결과
결과를 표 12에 정리하였다. 홀리 바질 추출물은 재구성된 피부에서 CLN3 및 PXN 유전자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CLN3은 자가포식(autophagy) 과정을 조절하는 데 관여하는 리소좀/엔도좀 막횡단 단백질(세로이드-리포푸시노시스(ceroid-lipofuscinosis) 뉴런 3)을 인코딩한다. 자가포식은 손상된 단백질과 소기관의 분해 및 재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세포 내 해독 과정이다. 이 과정은 세포 기능과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자가포식의 자극은 노화를 늦추고 세포 수명을 연장하는 데 이득이 된다.
PXN은 초점 부착 분자(팍실린(paxillin))를 인코딩하는데, 그 발현은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므로 노화 방지 작용의 표적이 된다. 세포-기질 연결 및 섬유아세포와 그 기질 사이의 역학적 변환에서의 중요한 역할 때문에, 나이가 들면서 팍실린이 손실되는 것은 세포 기능을 손상시켜 피부 노화의 시작 또는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그 발현을 유도하면 노화와 관련된 콜라겐 손실과 피부 수축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표 12]
플라시보(1.00으로 설정)와 비교하여 3% 홀리 바질 추출물 제형에 의해 유의하게 조절된 유전자
C.2. 염증 노화 모델에서의 효과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 조직에서는 덜 심각한 조용하지만 만성의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평생 동안 외부 스트레스에 누적적으로 노출된 결과이다. 이 염증은 조직 손상을 일으킬 수 있고 활성 산소종을 생성하여 피부 노화를 가속화시키는 염증성 사이토카인(IL1, IL6, TNF, CRP..)을 방출한다. 염증 과정과 관련된 이러한 피부 노화 현상을 염증 노화라고 한다.
홀리 바질 추출물을 염증 과정을 재현한 시험관 내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IL1α 생성 자극으로 대표되는 염증을 재구성된 표피에서 유도하였다. 이어 이들 재구성된 표피로부터의 조건화 배지를 섬유아세포에 적용하고 표피에 의해 생성된 IL1α에 의해 변경된 진피 마커의 발현을 평가하였다.
a. 재료 및 방법
재구성된 표피를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3% 홀리 바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크림) 또는 그의 플라시보로 국소 처리하거나, 항염증 참조인 1 μM의 덱사메타손으로 전신 처리하였다. 24시간 사전 인큐베이션 후, 표피를 0.5 μg/mL PMA로 자극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배양 상청액을 수집하여, 한편으로는 IL1α 분석을 수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들 상청액(조건화 배지)을 정상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의 배양물에 플레이팅하였다.
조건화 배지의 존재 하에 섬유아세포의 24시간 인큐베이션 후, 실시간 정량적 PCR에 의해 관심 마커의 발현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ANOVA에 이어 터키 검정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b. 결과
결과를 표 13 및 14에 나타내었다. 3%로 제형화된 홀리 바질 추출물은 재구성된 표피에서 PMA-유도 IL1α 방출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표 13). 이 효과는 플라시보보다 훨씬 더 높았다.
PMA-자극된 재구성된 표피로부터의 섬유아세포 배양물에 조건화 배지의 적용은 염증 마커의 유전자 발현, 산화 스트레스 및 진피 기질 합성 및 분해에서 변화를 유도하였다(표 14). 이 결과는 염증 노화 모델을 입증한다.
이들 조건에서 홀리 바질 추출물은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CXCL1, IL8, IL6, CCL2), 산화 스트레스 마커(MT1G, SOD2), 기질 분해 효소(MMP1, MMP3) 및 ICAM1의 과발현을 조절하였다. 추출물은 또한 기질 어셈블리 마커(HAS2, DPT)의 발현을 복원하였다.
이들 결과는 홀리 바질 추출물의 염증 노화 과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입증한다.
[표 13]
PMA-자극된 재구성 표피에 의해 생성된 IL1α의 분석
[표 14]
염증 노화 모델에서 3% 홀리 바질 제형에 의해 조절된 유전자: 조건화 배지와 함께 인큐베이션된 섬유아세포에서의 유전자 발현(상대적 양의 발현 수준, % 변화 vs PMA)
D.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 활성
피부는 매일 다양한 유형의 외인성 및/또는 내인성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기능과 질이 변경되고 궁극적으로는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홀리 바질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다양한 외부 스트레스(오염) 또는 내부 스트레스(심리적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다양한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D.1.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손상으로부터의 보호
산화질소(NO)는 피부 항상성 조절에 관여하는 활성 종이다. 이 매우 불안정한 분자는 멜라닌 생성, 상처 치유, 염증 조절, 면역 조절, 혈관 확장 등등과 같은 생리학적 및 항상성 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수많은 세포 유형에 의해 합성되고 방출된다.
낮은 수준의 NO가 세포 신호 전달에 중요한 반면, 높은 수준의 NO 방출은 일반적으로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
심리적 스트레스는 중추신경계와 내분비계를 연결하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PA) 축의 활성화와 코티솔과 같은 내인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증가를 특징으로 한다.
수많은 연구에서 심리적 스트레스가 피부 항상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면역 및 염증성 반응을 변화시킨다고 설명하였다. 염증성 반응에는 NO를 포함한 자유 라디칼의 활성화가 포함된다.
케라틴세포를 코티솔로 처리하고 NO를 유도 스트레스의 바이오마커로 정량화하여 심리적 스트레스(정서 장애/불안)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재현하는 모델에서 홀리 바질 추출물을 평가하였다.
a. 재료 및 방법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홀리 바질 추출물 0.001% 및 0.005% dm 또는 1 mM 아스코르브산(AA)(양성 참조)의 존재 하에 1 μM 코르티솔로 처리한 후 10분 동안 연속 전류 측정법으로 정상 인간 표피 각질 세포에 의한 NO 생성을 측정하였다.
b. 결과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홀리 바질 추출물은 코티솔 스트레스에 의해 각질 세포에서 유도된 NO 생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따라서, 추출물은 피부 항상성에 대한 정서적/심리적 스트레스의 악영향을 상쇄한다.
D.2. DNA 손상에 대한 보호
대기 오염물질은 피부를 포함한 많은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오염물질에의 반복적 노출은 조기 노화, 탈색소 및 DNA 손상에 기여할 수 있다.
홀리 바질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오염 스트레스에 의해 케라틴세포에서 유도된 DNA 손상(이중 나선 절단)에 대해 평가하였다.
a. 재료 및 방법
정상 인간 표피 케라틴세포를 캄프토테신에 1시간 동안 노출시키기 전에 0.001% 및 0.005% dm의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홀리 바질 추출물 또는 참조 니코틴아미드의 존재 하에서 24시간 동안 사전 인큐베이션하였다. 캄프토테신은 DNA 이중 나선 절단의 유도에 사용되는 유전독성 화합물인 토포아이소머라제 I 억제제이다.
이중 나선 절단을 γH2AX(이중 나선 절단에 반응하여 초기에 개입하는 히스톤 H2AX의 인산화)의 면역염색에 의해 검출하고 이미지 분석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결과를 ANOVA에 이어 터키 검정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b. 결과
결과를 표 15에 나타내었다. 홀리 바질 추출물은 캄프토테신 처리에 의해 유도된 이중 나선 DNA 절단을 상당히 억제하였다. 따라서 추출물은 유전 독성 오염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활성을 나타낸다.
[표 15]
캄프토테신 스트레스 하에 케라틴세포에서 γH2AX의 발현
D.3. 오염 스트레스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보호
도시 오염에 대한 홀리 바질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정상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조사하였다. 세포를 추출물 존재 하에 도시 오염물질에 노출시키고, BBS+ 기술을 사용하여 세포 바이오 에너지 및 자가포식/미토파지 발생을 분석하였다.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변경은 노화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연령 관련 ROS 생성의 90%는 미토콘드리아 기원이다.
환경 요인(UV, 오염)은 세포 기능을 늦추고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조기 노화에 기여할 수 있다.
세포 내 ROS는 주로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 사슬의 기능 장애에 의해 형성된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궁극적으로 노화 과정에 기여하는 다음 현상인 ROS에 특히 민감하다:
에너지 생산 감소,
산화 스트레스 증가,
미토콘드리아 기능 증가.
D.3.1 세포 바이오 에너지(cellular bioenergetics) 연구
a. 재료 및 방법
정상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실시예 1에서 수득한 0.001% 및 0.005% dm 홀리 바질 추출물과 0.1% 도시 오염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1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 바이오 에너지를, 산소 소비, ATP 생산, 세포외 락테이트 수준 및 NAD+/NADH 비율의 다중 정량화를 포함하는 BBS+(Bioenergetic Balance Screen Plus)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스튜던트 t-검정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b. 결과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시 오염물질에 세포가 노출되면 전자 수송 호흡 사슬이 변경되어 산소 소비와 ATP 수준이 감소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홀리 바질 추출물은 용량 의존적으로 산소 소비율을 증가시키면서 ATP 생산을 자극하였다. 이러한 관찰은 크렙스 주기 기능 및 에너지 생산의 자극 및 정상화에 대한 추출물의 직접적인 영향을 입증한다. 추출물은 또한 오염물질로 인한 미토콘드리아 호흡 사슬의 변화를 해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추출물에 의한 락테이트 생산의 감소는 ATP 생산에 대한 데노보 해당작용(de novo glycolysis)의 기여도를 감소시키면서 세포 바이오 에너지에 호흡 사슬 활성을 다시 관여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홀리 바질 추출물은 오염 스트레스로 인해 변화된 에너지 균형을 정상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D.3.2 자가포식/미토파지 연구
a. 재료 및 방법
정상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실시예 1에서 수득한 0.001% 및 0.005% dm 홀리 바질 추출물과 0.1% 도시 오염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1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자가포식 및 미토파지의 분석을 리소좀 마커 및 손상된 미토콘드리아에 특이적인 염료를 통해 평가하였다: 미토콘드리아 막 손상이 발생할 때 방출하는 미토콘드리아 막에 공유 결합된 플루오로크롬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적색 형광으로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시각화하였다. 리소좀 염료를 사용하여 리소좀을 표지화하고 손상된 미토콘드리아의 리소좀에 대한 공동 국소화를 평가하였다.
다음 세 가지 파라미터를 분석하였다:
- 세포당 손상된 미토콘드리아의 백분율;
- 세포당 리소좀의 밀도(자가포식을 나타내는 리소좀 지수);
- 손상된 리토콘드리아(미토파지를 나타내는 미토파지 지수)를 포함하는 리소좀의 백분율.
결과를 스튜던트 t-검정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b. 결과
결과를 도 3, 4 및 5에 나타내었다. 세포가 도시 오염물질에 노출되면 손상된 미토콘드리아 수가 증가하였다. 홀리 바질 추출물은 손상된 미토콘드리아의 수를 강력하고 현저하게 억제하였다(도 3).
마크로-자가포식 동안 자가포식소체가 형성되어 재순환된 손상 미토콘드리아 막을 리소좀 구획으로 운반한다. 오염 스트레스는 세포당 리소좀의 밀도를 크게 증가시켜 자가포식 과정의 증가를 보여준다. 홀리 바질 추출물은 리소좀 밀도를 감소시키고 정상화하였다(도 4).
미토파지는 손상된 미토콘드리아의 신호와 함께 공동 국소화된 리소좀의 백분율로 표시된다. 오염은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리소좀의 빈도를 증가시켜 미토파지 과정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오염은 미토콘드리아 및 소포체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둘 다 미토콘드리아 막 손상을 유발한다. 스트레스 하에서 관찰되는 미토파지의 증가는 세포가 손상된 미토콘드리아 및/또는 기형 단백질 또는 지질을 제거하려는 것과 관련이 있다. 홀리 바질 추출물은 오염 스트레스 유발 미토파지를 감소시키고 정상화하였다(도 5).
종합하면, 홀리 바질 추출물은 오염이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역전시키고 자가포식 및 미토파지 과정을 정상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외부 스트레스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네트워크의 보호 활성을 입증한다.
E. 프로힐링 활성(pro-healing activity)
홀리 바질 추출물의 프로힐링 활성을 스크래치-검정 모델(scratch-assay model)에서 섬유아세포 이동을 평가하여 연구하였다.
a. 재료 및 방법
정상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의 컨플루언트 매트(confluent mat) 상에 기계적 스크래치를 만들었다. "상흔"을 만든 직후, 0.001% 및 0.005% dm의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홀리 바질 추출물 또는 양성 대조군인 인슐린을 10-5M로 배지에 첨가하고, 세포 이동을 세포핵의 면역 형광 라벨링을 통해 경시적으로 모니터링하였다. 이동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b. 결과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0.005%의 홀리 바질 추출물은 섬유아세포 이동을 자극하였고, 이는 추출물의 치유 촉진 활성을 나타낸다.
F. 보습 활성
케라틴세포에서 아쿠아포린-3 생산을 유도하는 능력에 대한 홀리 바질 추출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수분 공급은 피부 장벽 기능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다. 아쿠아포린-3는 피부 수분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막횡단 단백질은 표피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물과 글리세롤을 케라틴세포로 운반하는 데 관여한다.
a. 재료 및 방법
정상 인간 표피 케라틴세포를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홀리 바질 추출물 0.001% 및 0.005% dm 또는 양성 참조로 레티노산의 존재 하에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아쿠아포린-3 발현을 면역염색으로 평가하고 이미지 분석으로 정량화하였다.
b. 결과
결과를 표 16에 나타내었다. 0.001% dm의 홀리 바질 추출물은 케라틴세포에서 아쿠아포린-3 발현을 상당히 증가시켰다. 이 결과는 추출물의 보습 활성을 나타낸다.
[표 16]
케라틴세포에서 아쿠아포린-3 생성
G. 피부 미생물총에 대한 활성
피부 미생물총을 대표하는 다양한 박테리아 균주에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물막을 형성하는 능력에 대한 홀리 바질 추출물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a. 재료 및 방법
연구된 박테리아 균주:
-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MFP04;
-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FP03;
- 코리네박테리움 크세로시스(Corynebacterium xerosis) CIP 100653T/ATCC373;
- 마이크로코쿠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 0116.
a1. 박테리아 증식에 대한 추출물의 효과 연구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홀리 바질 추출물의 1:50 희석물이 6가지 박테리아 모델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24시간(S. aureus, S. epidermidis) 또는 48시간(M. luteus, C. xerosis)에 걸쳐 연속 교반 하에 다중웰 인큐베이터/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모니터링하여 조사하였다. 야생형 균주를 참조로 사용하여 박테리아 균주의 생성 시간을 측정하였다. 통계적 차이를 만-휘트니(Mann-Whitney) 검정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a2. 생물막 형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박테리아 종의 생물막 생성을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 기술을 사용하여 다중웰 플레이트에서 연구하였다. 결과를 정규화하고 대조군 배지에서 생물막 형성 값의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통계적 차이를 만-휘트니 검정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b. 결과
결과를 표 17 및 18에 나타내었다. 홀리 바질 추출물은 공생 균주의 증식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병원성 균주(S. aureus)의 생성 시간을 증가시켰다(표 17).
또한, 홀리 바질 추출물은 연구 대상인 다른 균주의 생물막 형성 능력은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S. aureus의 생물막 형성 능력을 강력하고 유의미하게 변화시켰다(표 18).
이러한 결과는 피부 미생물총의 균형을 유지하는 추출물의 능력을 입증한다.
[표 17]
홀리 바질 추출물이 다양한 박테리아 균주의 생성 시간에 미치는 효과
[표 18]
홀리 바질 추출물이 다양한 박테리아 균주의 생물막 형성에 미치는 효과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에 대한 임상 연구
본 발명에 따른 홀리 바질 추출물의 임상적 노화 방지 효능을 생체 내 임상 연구를 통해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3% 홀리 바질 추출물(이하 활성제로서 지칭됨)을 함유하는 제형(크림) 또는 그의 플라시보를 평가하였다.
A. 프로토콜
본 연구는 이중 맹검, 플라시보 대조 연구였다. 대상체에 56일 동안 홀리 바질 추출물(활성제)을 함유한 크림 또는 플라시보(포함 시 무작위)를 1일 2회(아침과 저녁) 적용하였다.
플라시보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표 19]
플라시보 조성
모집 대상체에 대해 정의된 포함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성별: 여성
· 연령: 40~60세
· 포토타입: I ~ III
· 유형: 백인(Caucasian)
· 주름이 있는 대상자(잔주름이 있는 눈가, 이마)
· 6일과 0일 사이에는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다음 기술을 사용하여 효능을 평가하였다(D0, D28 및 D56에 측정):
· 이미지 분석 - 토포그래피(Topography)
· 생체역학적 피부 특성 측정
· 교차 편광 사진.
B. 주름에 대한 노화 방지 효과 평가
a. 눈가 잔주름에 대한 결과
토포그래피 분석에 의해 D0, D28 및 D56에서 얻은 결과가 아래 표에 나열되어 있다.
활성 성분은 D56에서 검출된 주름의 면적과 길이를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표 20]
측정 결과 - 눈가 잔주름
b. 이마 주름에 대한 결과
토포그래피 분석에 의해 D0, D28 및 D56에서 얻은 결과가 아래 표에 나열되어 있다.
전체 영역에서: 활성 성분은 D28에 이마 주름을 전반적으로 상당히 개선했으며 D56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플라시보는 D28에 어떤 유의한 변화도 유발하지 않았고 D56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악화를 유발하였다. 종합하면, 평가된 모든 토포그래피 파라미터에 있어서 D28 및 D56에서 활성 성분에 유리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표 21]
측정 결과 - 이마 주름
d. 결론 - 주름 방지 효과
결과는 눈가 잔주름(주름 면적 및 길이 개선) 및 이마 주름(토포그래픽 파라미터 개선)에 대해 플라시보와 유의미한 차이로 주름 방지 효과를 보여준다.
C. 피부의 생체역학적 특성에 대한 노화 방지 효과 평가
쿠토메트리(Cutometry)에 의해 D0, D28 및 D56에 얻은 결과가 아래 표에 나열되어 있다.
[표 22]
쿠토메트리(Cutometry) 시험 결과
활성 성분은 D56에서 탄력성(Ur 및 Ua)을 개선한 반면 플라시보는 현저한 악화를 일으켰다. 활성제와 플라시보의 차이는 두 파라미터 모두에서 활성제에 유리하게 유의미하였다.
활성 성분은 D56에서 Ur/Uf 총 탄성을 개선하였다. 악화를 유발하는 플라시보와 비교했을 때 그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활성 성분은 D28 및 D56에서 Ua/Uf 생물학적 탄성을 상당히 개선하였다. 악화를 유발하는 D56에서의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그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활성 성분은 D56에서 순 탄성 Ur/Ue를 개선하였다. 악화를 유발하는 D56에서의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그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활성 성분은 D28 및 D56에서 상당히 Q1 점탄성 회복을 개선하였다. 악화를 유발하는 D56에서의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그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활성 성분은 D56에서 Q2 탄성 회복을 개선하였다. 악화를 유발하는 D56에서의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그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활성 성분은 D28 및 D56에서 Q3 점성 회복을 상당히 개선하였다. 어떤 유의한 변화도 나타내지 않은 D56에서의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그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결론 - 생체역학적 특성:
활성 성분은 플라시보에 비해 피부 탄력성 및 탄성을 개선하여 피부의 생체역학적 특성을 크게 개선한다.
D. 안색에 대한 노화 방지 효과 평가: 사진에서 측정한 색상 및 균일성
이미지 분석에 의해 D0, D28 및 D56에서 얻은 결과가 아래 표에 나열되어 있다.
[표 23]
사진에서 색상 및 균질성 측정 결과
활성 성분은 D28 및 D56에서 홍조 a*를 상당히 감소시켰다. 그 차이는 D28 및 D56에서 홍조를 또한 상당히 감소시킨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D28 및 D56에서 활성 성분에 더 호의적이었다.
활성 성분은 D28 및 D56에서 헤모글로빈을 감소시켰다.
활성 성분은 H76에서 D56까지 피부 톤 균일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결론 - 안색 평가
활성 성분은 피부 안색의 광도, 홍조 및 균일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E. 임상 연구 결과의 일반 요약
· 주름에 대한 노화 방지 효과:
활성 성분은 얼굴 윗부분의 주름, 즉 눈가 주름 및 이마 주름에 대해 기기적으로 관찰된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다. 시간 경과에 따라 플라시보와 비교했을 때 활성 성분에 유리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 생체역학적 특성에 대한 노화 방지 효과:
활성 성분은 고려된 파라미터에 따라 D28 및 D56에서 피부 탄력성 및 탄성을 상당히 개선했으며 활성 성분에 호의적으로 플라시보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 안색 및 균일성에 미치는 영향:
활성 성분은 D56에서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활성 성분에 유리한 차이로 피부 톤 균질성을 개선하였다.

Claims (15)

  1. 홀리 바질(holy basil)인 오키뭄 생텀(Ocimum sanctum)의 지상부(aerial parts)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polyphenol-rich extract)로서,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해 폴리페놀 적어도 6 중량%를 포함하고, 특히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해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 적어도 5 중량% 및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해, 루틴 당량(rutin equivalent)으로 표현된, 플라보노이드 적어도 2.5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페놀을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해 적어도 9 중량%, 유리하게는 적어도 11 중량% 포함하는 추출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를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해 적어도 7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포함하는 추출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해, 루틴 당량으로 표현된, 플라보노이드 적어도 3.5 중량%를 포함하는 추출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글리콜 또는 물/글리세롤, 유리하게는 물 중 30% 내지 90% 글리콜 또는 글리세롤의 비율의 이원 혼합물(binary mixture)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에서, 홀리 바질의 지상부의 고체/액체 추출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정의된, 홀리 바질의 지상부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물/글리콜 또는 물/글리세롤, 유리하게는 물 중 30% 내지 90% 글리콜 또는 글리세롤의 비율의 이원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고체/액체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다음의 연속적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홀리 바질의 건조된 지상부를 분쇄하는 단계;
    b) 물/글리콜 또는 물/글리세롤의 이원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용매에서 분쇄된 지상부를 추출하는 단계;
    c) 디캔테이션(decantation) 및/또는 원심분리 및/또는 연속 여과에 의해 액체상으로부터 고체상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선택적으로, 단계 c)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건조하는 단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진공 증발 또는 탈취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콜은 식물성 기원의 글리콜, 특히 프로판디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특히 1,3-프로판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활성 성분으로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홀리 바질의 지상부 추출물, 또는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추출물, 및 유리하게는 적합한 부형제(excipient)를 포함하는 조성물.
  11. - 피부 및/또는 점막 및/또는 피부 부속물(skin appendage)의 장애 또는 병리(pathology), 유리하게는 염증성 반응, 내적 또는 외적 스트레스, 예컨대 심리적 스트레스, 불안 상태와 관련된 스트레스, 화학적 또는 대기 오염과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은 라디칼 공격(radical attack) 및/또는 UV 또는 IR 노출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관련된 장애로서, 유리하게는 민감한 피부(sensitive skin), 반응성 피부(reactive skin) 및/또는 반응성 점막(reactive mucous membrane)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장애, 따끔거리는 피부(irritated skin), 염증이 생긴 피부(inflamed skin), 장벽 또는 항상성 장애, 광과민성 피부(photosensitized skin), 기계적 및/또는 열적 공격; 및/또는
    - 혈관 장애, 바람직하게는 발적 및 농진(couperose); 및/또는
    - 유리하게는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불쾌한 암내 발생, 피부 장벽 약화, 여드름, 건선, 화농한선염(hidradenitis suppurativa), 모낭염, 유아지방관(cradle cap), 비듬, 특히 두피의 가려움증, 자극, 칸디다증(candidiasis) 및 세균성 질염(bacterial vaginosis)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생물총(microbiota)의 불균형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것이거나,
    치유제(healing agent)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물, 또는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추출물, 또는 제10항에 따른 조성물.
  12. 피부 및/또는 피부 부속물 및/또는 점막의 상태 및/또는 외관을 개선하는 관점에서, 피부 및/또는 피부 부속물 및/또는 점막을 위한 비치료적 미용 관리 방법(non-therapeutic cosmetic care method)으로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정의된 추출물, 또는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추출물, 또는 제10항에 정의된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비치료적 미용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피부 및/또는 점막의 보습 및/또는 피부 장벽 손상 및 피부 장벽의 탈수 방지 및/또는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관점에서의 비치료적 미용 관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피부의 견고성(firmness), 탄성(elasticity) 또는 탄력(tonicity)을 개선하고, 피부 및 점막의 기계적 특성을 강화하고, 특히 메마르고(withered), 생기가 없고(limp), 넓어지고(distended)/거나 처진(sagging) 피부를 되돌리고(combat)/거나, 피부의 탄성 또는 견고성을 강화 및/또는 회복시키거나, 잔주름 및 주름을 치료하는 관점에서의 비치료적 미용 관리 방법.
  15. 수분 부족 피부(dehydrated skin); 발적 피부(skin with redness); 노화된 피부의 치료 및/또는 예방; 안색 균일성; 피부의 반점 또는 피부 노화, 특히 생활 연령성(chronological) 및/또는 화학선 노화(actinic aging)의 감소에서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물, 또는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추출물, 또는 제10항에 따른 조성물의 비치료적 미용 용도.
KR1020237027962A 2021-01-20 2022-01-20 홀리 바질의 상부 성장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용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KR202301602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100513A FR3118879A1 (fr) 2021-01-20 2021-01-20 Extrait de parties aeriennes de basilic sacre et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atologiques le comprenant
FRFR2100513 2021-01-20
PCT/FR2022/050111 WO2022157457A1 (fr) 2021-01-20 2022-01-20 Extrait de parties aeriennes de basilic sacre et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atologiques le compren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232A true KR20230160232A (ko) 2023-11-23

Family

ID=7595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7962A KR20230160232A (ko) 2021-01-20 2022-01-20 홀리 바질의 상부 성장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용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91294A1 (ko)
EP (1) EP4281095A1 (ko)
JP (1) JP2024504330A (ko)
KR (1) KR20230160232A (ko)
CN (1) CN117529328A (ko)
FR (1) FR3118879A1 (ko)
WO (1) WO2022157457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9495B1 (fr) * 2010-12-22 2013-10-11 Expanscience Lab Extrait de parties aeriennes de maca riche en polyphenols et composition le comprenant
FR3075642B1 (fr) * 2017-12-22 2021-10-22 Expanscience Lab Extrait de fleurs de kapokier et compositions cosmetiques, pharmaceutiques ou dermatologiques le compren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7457A1 (fr) 2022-07-28
EP4281095A1 (fr) 2023-11-29
FR3118879A1 (fr) 2022-07-22
JP2024504330A (ja) 2024-01-31
US20240091294A1 (en) 2024-03-21
CN117529328A (zh)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5707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umestrol or a bean extract containing coumestrol for skin care
TWI574702B (zh) 雅囊(tiliacora triandra)於化妝品之用途及其組合物
KR102059453B1 (ko) 배초향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11484559B2 (en) Kapok tree flower extract, and cosmetic, pharmaceutical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KR20160063394A (ko) 하마멜리스 비르기니아나 추출물의 미용 또는 피부과 용도
FR2857596A1 (fr) Utilisation d&#39;une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comprenant un extrait riche en lupeol, a titre de principe actif, pour stimuler la synthese des proteines de stress
CN108697610A (zh) 西番莲种子提取物和包含其的化妆品、药物或皮肤病学组合物
ES2741874T3 (es) Uso de Tiliacora triandra en cosméticos y composiciones de los mismos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5467B1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US20220273576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raphene quantum dots as active ingredient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EP2722075B1 (en) Prevention of conditions arising from an impaired skin barrier function
KR102525901B1 (ko) 지면패랭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30160232A (ko) 홀리 바질의 상부 성장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용또는 피부과용 조성물
KR101686521B1 (ko)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628074B1 (ko) 꿩의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40057785A (ko) 편백잎 추출물, 천심련 추출물 및 아스타잔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87208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을 위한 녹차 줄기세포 발효 여과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72226A (ko) 라벤더잎세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 장벽개선 및 피부 진정(붉은기)에 효과적인 조성물
JP2023535449A (ja) ボンバクス・コスタトゥムの花からの多糖類に富む抽出物
KR20240079253A (ko)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조성물
KR20240080284A (ko) 생열귀 및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434446B1 (ko) 참그물바탕말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000049A (ko) 가시우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