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521B1 -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521B1
KR101686521B1 KR1020150041061A KR20150041061A KR101686521B1 KR 101686521 B1 KR101686521 B1 KR 101686521B1 KR 1020150041061 A KR1020150041061 A KR 1020150041061A KR 20150041061 A KR20150041061 A KR 20150041061A KR 101686521 B1 KR101686521 B1 KR 101686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se
composition
skin
extrac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479A (ko
Inventor
양지혜
이승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에프네이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에프네이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에프네이처
Priority to KR1020150041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5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장미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미 허브 추출물은 상기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wt% 내지 50wt%가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미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조성물은 인체의 피부섬유 모세포(HDF: human dermal fibroblast)에서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고, MMP-1 억제가 이루어져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BEAUTY OF SKIN}
본 발명은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노화를 방지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노화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적 변화 또는 화학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노화의 원인은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광노화(photo-aging)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내인성 노화는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피할 수 없는 노화 현상이고, 광노화는 피부가 태양에 노출됨에 따라 노출된 얼굴, 손등, 목 등의 피부에서 주로 나타나는 노화 현상이다.
그 외에도 스트레스, 질병, 환경인자 상처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노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피부를 구성하는 주요 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됨에 따라 피부세포 조직이 파괴에 따라 피부가 노화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피부 노화의 원인 중 콜라겐 및 탄력섬유 등의 기질단백질이 손상되어 피부 내 콜라겐의 양이 부족해지고, 탄력 섬유가 변성됨에 따라 피부가 노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 노화는 피부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를 거쳐 콜라겐의 합성이 감소되는데, 콜라겐 등의 세포외 기질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MMP.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발현으로 인해 피부 노화가 촉진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세포 내에서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의 발현을 조절하거나 활성화 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10149호(마가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공개일: 2005.11.23)도 그 중 하나이다.
한편, 인체의 피부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한데, 그 중 표피에 존재하는 색소세포인 멜라닌, 혈관 속에 포함된 헤모글로빈과 피하조직의 카로틴 등의 색소의 상호작용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멜라닌 색소의 양과 분포가 피부색을 결정하는데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 색소는 피부의 자외선 투과를 막고, 활성산소나 프리 라티칼을 제거하여 피부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멜라닌 색소는 자외선을 받으면 피부 표피 내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어 주변 각질세포로 전이됨에 따라 사람의 피부색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멜라닌은 주로 티로시나제의 작용에 의해 생합성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티로시나제는 구리와 결합된 효소로, 동물, 식물, 미생물 및 인체 등에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모노하이드록시 또는 디하이드록시 페닐알라닌(dihydroxy-phenylalanine) 등의 페놀 화합물에서 호기적 산화를 촉진시킨다. 특히, 자외선에 심하게 노출된 피부에 멜라닌토스(melanintorth)를 침착시켜 피부의 노화나 손상을 유발시키는 작용을 한다.
최근에는 멜라닌의 생합성 기전에 대해 피부암과 관련하여 집중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를 통해 다양한 멜라닌 저해제가 개발되어 피부질환 치료제나 화장품 산업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 산업에서는 기미, 주근깨 등을 예방하거나 개선하는 피부 미백제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에는 멜라닌 생성 저해제 등에 대해 주로 티로시나제 저해제를 개발하는 방향으로 집중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티로시나제 저해제는 티로시나제 활성부위의 구리 이온을 킬레이트 형성물질 및 퀴논류를 페놀류로 환원시키는 아스코르브산 등의 환원제에 대한 연구와 티로시나제 자체를 변성시키는 바이설파이트(bisulfites) 제제 등이 있다. 일례로,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로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또는 그의 유도체일 수 있으며, 코직산(kojic acid), 글루타치온(glutathione), 알부틴(arbutin)과 같은 티로시나제를 저해시키는 물질이 있다.
하지만, 하이드로퀴논은 피부 자극성이 매우 강해 사용이 제한되며, 아스코르브산은 산화되기 쉬워 제형의 변색되거나 변취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코직산은 용액 내에서 불안정하여 제형의 안정성이 낮고 갑상선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알부틴은 활성이 높지 않으며,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가 있고, 경괴 흡수에도 문제가 있다. 또한,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은 극성이 높아 화장품 원료에 배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10149호(2005.11.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피부 노화를 방지하면서 피부 미백을 활성할 수 있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장미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미 허브 추출물은 상기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wt% 내지 50wt%가 함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미 허브 추출물의 추출을 위해 이용된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무수 알코올 및 함수 알코올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피부자극 완화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피부 노화 억제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 및 유중수(W/O)형의 에멀전 중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미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조성물은 인체의 피부섬유 모세포(HDF: human dermal fibroblast)에서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고, MMP-1 억제가 이루어져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면, DPPH 라디칼(radical)이 억제 활성이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했을 때, 멜라닌의 생성을 유의하게 저해하기 때문에 미백효능이 있으며, 세포 생존율의 변화가 없어 우수한 안전성이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미허브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MTT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미허브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콜라겐 생성에 관여하는 물질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미허브 추출물에 대한 멜라닌 함량 및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미허브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미허브 추출물에 대한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장미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장미 허브 추출물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초인 장미 허브에서 추출한 추출물이다. 장미 허브의 학명은 플렉트란투스 토멘토사(plectranthus tomentosa)이고, 영명은 빅스 플랜트(vicks plant)이다. 국내에서는 장미꽃과 같이 겹겹이 자란다는 이유 또는 장미향이 난다는 이유로 장미 허브로 유통되고 있다. 원산지는 지중해로 알려져 있으며, 약 30cm 내지 70cm 정도의 크기로 자라는 식물이다.
장미 허브는 잎이 두꺼워 다육식물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잎의 형태가 콜레우스와 비슷하여 콜레우스로 분류하는 나라도 있다. 잎에 달콤한 장미향이 나며, 향주머니나 향수 원료 또는 드라이 플라워 등에 이용된다. 또한, 장미 허브는 특별한 병충해가 없어 재배하기 어렵지 않지만, 낮은 온도에서는 잘 자라지 않아 겨울에는 실내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장미 허브는 배수가 잘되는 사질 양토 등에 키우는 것이 좋으며, 습기가 과하면 잎이 황변할 수 있어 과한 습기는 피하는 것이 좋은 식물이다.
상기와 같은 장미 허브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먼저, 장미 허브를 건조시키고, 건조된 장미 허브에 추출용매를 첨가한다. 이때, 첨가된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무수 알코올 및 함수 알코올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추출용매의 양은 건조된 장미 허브의 총 중량 대비 1배 내지 15배가 첨가될 수 있다. 이렇게 건조된 장미 허브에 추출용매가 첨가된 혼합물에서 냉각 콘덴서가 장착된 추출기를 이용하여 약 0도 내지 100도의 온도로 1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추출한다.
여기서, 장미 허브가 혼합된 혼합물에서 장미 허브 추출물의 추출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건조된 장미 허브에 추출용액을 첨가한 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내지 7일간 침적시켜 장미 허브 추출물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약 100도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할 수도 있으며, 70%의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혼합물을 침적시켜 3일 내지 7일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장미 허브를 추출한 다음, 여과하거나 감압 농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미 허브 추출물의 함량은 최종 조성물의 제형이나 기호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0.001wt% 내지 20wt%일 수 있다.
실험예 1.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실험
상기와 같이 제조된 장미 허브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체의 피부 노화를 억제하고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실험을 실시한다.
(1) 세포 배양
유아 포경에서 절재된 피부 진피층에서 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여 수집한 인체의 정상 피부 섬유유아세포(human normal dermal fibroblast, MCTT: Modern Cell & Tissue Technologies, Seoul, Korea, Catalog No. MC1213)의 각 웰(well)에 1ㅧ105 개수의 세포가 되도록 접종한 다음,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10%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 인간 정상 피부섬유아세포(human normal dermal fibroblast) 성장에 미치는 영향 평가
장미 허브 추출물이 인간 정상 피부섬유아세포의 세포성장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상기의 실험예 1의 (1)에서와 같이 배양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배지는 10% FBS(fetal bovine serum, Cambrex)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배지에 장미 허브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72시간 후에 MTT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의 (a)는 장미 허브 추출물을 제조할 때, 추출용매로 가열된 물을 이용한 열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장미 허브 추출물과 추출용매로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장미 허브 추출물을 각각 실험한 결과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미 허브 추출물을 적용한 섬유아세포의 성장 촉진이 활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자외선 조사 및 장미 허브 추출물 처리
실험예 1의 (1)에서와 같이 배양한 섬유아세포에 인산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을 이용하여 섬유아세포를 약 3회 세척한 다음, 자외선 A 또는 자외선 B를 조사하여 피부노화를 유발한다. 여기서, 자외선 A는 진피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여 멜라닌 색소가 만들어지도록 멜라닌 색소를 자극하고, 자외선 B는 피부가 햇빛에 노출되고 몇 시간 안에 피부를 그을리거나 붉은 반점이 생기도록 하여, 피부노화를 유발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자외선 B(Sankyo Denki G9T5E lamp, Sankyo Denki.co., Japan)를 이용하여 총 144mJ/㎠를 조사하였다. 자외선을 조사한 직후, 세포를 다시 인산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우태아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에 장미 허브 추출물을 0.8ug/ml 내지 100ug/ml의 농도로 첨가하여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시험군은 무처리군(자외선 및 장미 허브 추출물을 모두 처리 하지 않음), 자외선 단독 처리군 및 실험군(자외선 및 장미 허브 추출물을 처리)으로 나누었으며, 그 결과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4)RT-PCR(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전체 RNA 분리는 통상적인 TRIZOL 방법을 이용하고, RNA 퀄리티와 퓨리티는 A260/280 비를 구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1.5% 아가로스 젤 영동을 이용하여 RNA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RT-PCR은 one-step RT-PCR preMix Kit(Cat No. 25101, 인트론 바이오테크놀로지, 한국)을 이용하여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다.
그리고 프라이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인간 유례 Type-1 procollagen 및 MMP-1(matrix metalloproteinase type 1)에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된 서열을 상동성(homology) 확인을 거쳐 이용하였다.
즉, 정방향 Type-1 procollagen 프라이머는 3'-ATTCTACTGATATCGGGGCTTTGA-5'이고, 역방향 Type-1 procollagen 프라이머는 5'-ATGTCCTTGGGGTATCCGTGTAG-3'이다. 그에 따라 약 409bp의 DNA 프래그먼트를 증폭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방향 MMP-1 프라이머는 3'-ATTCTACTGATATCGGGGCTTTGA-5'이고, 역방향 MMP-1 프라이머는 5'-ATGTCCTTGGGGTATCCGTGTAG-3'이다. 그에 따라 약 409bp의 DNA 프래그먼트를 증폭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휴먼 베타-액틴 유전자(human beta-actin gene)에 대한 GAPDH의 프라이머(정방향: 5'-TGGAAATCCCATCACCATTT-3', 역방향: 5'-GGAGGCATTGCTGATGATCT-3')는 Bioneer(대구, 한국)로부터 구입한 것을 이용하였다. 그에 따라 약 240bp의 DNA 프래그먼트를 증폭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측정시료 각각의 mRNA 양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PCR 산물은 1.5% 아가로스 겔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한 후, 에티디움 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 EtBr) 염색을 실시하였다.
(5) 실험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정상 피부섬유아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자외선 단독처리군) MMP-1의 발현은 증가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미 허브 추출물을 처리함에 따라 MMP-1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하게 인체 정상 피부섬유아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 Type-1 procollagen의 발현은 감소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미 허브 추출물을 처리하여 Type-1 procollagen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미 허브 추출물은 콜라겐 생성과 관련하여 Type-1 procollagen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고, 콜라겐 분해와 관련하여 콜라게나제(MMP-1)의 유전자 발현이 억제된다. 그에 따라 우수한 주름개선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B16F10 멜라노마(melanoma)에 대한 효능 실험
(1) 멜라닌 함량 측정
B16F10 생쥐 유래 멜라노마 세포주(B16F10 murine melanoma cell line, ATCC CRL-9475)를 24-웰 플레이트에 1 ㅧ 104 세포/웰로 접촉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흑색종화(melanogenesis)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alpha-MSH(alpha-melamin stimulating hormone)를 배지에 첨가하였다. 웰당 990㎕의 배양액을 매일 갈아주고, 농도에 맞춘 10㎕의 시료(장미 허브 추출물)를 3일간 처리한 다음, 1일간 더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한 세포에서 배지를 제거한 다음, 세포를 회수하고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렛(cell pellet)을 얻는다. 그리고 얻은 세포 펠렛에 10%의 DMSO(dymethyp sulfoxide)가 포함된 1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한 다음, 60℃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여 멜라닌을 용해시킨 후, 400nm 내지 405nm에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멜라닌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2) 세포 생존율 측정
상기와 같이, 배양한 세포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10mM 인산완충액 (PBS, pH 7.4)을 세척한 다음,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체(crystal violet 0.1%, 10% 에탄올 및 PBS 포함)를 200㎕를 첨가하여 5분 간 상온에서 배양한 다음, 물로 2회 세척하였다. 그리고 에탄올 1㎖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약 20분 간 진탕한 후, 590nm에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세로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3) 실험결과
상기와 같이, 멜라닌 함량 및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의 (a)는 배양한 세포에 코직산(kojic acid)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는 배양한 세포에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를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의 (c)는 배양한 세포에 추출용매로 가열된 물을 이용한 열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장미 허브 추출물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d)는 추출용매로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장미 허브 추출물을 첨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미 허브 추출물을 배양한 세포에 첨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키는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세포독성이 낮아 우수한 피부미백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3. 항산화 활성 측정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Sigma, USA)의 환원력을 이용하는 Sang S et al.의 문헌(Sang S et al., J. Agric. Food Chem. 50(8), p2459-2463, 2002)에 개시된 항산화 활성 측정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장미 허브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메탄올에 녹인 0.2mM DPPH 용액 180㎕와 증류수 20㎕에 1㎍/㎖, 10㎍/㎖ 및 100㎍/㎖의 세 가지 종류의 시료(장미 허브 추출물)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넣고 37℃에서 30분간 배양한다. 그 다음 환원된 DPPH의 양을 측정한다. 이때, DPPH의 양은 분광광도계(Precision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VersaMax)를 이용하여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시료를 가하지 않은 무첨가 대조군과 활성을 비교하였다. 본 실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에 도시된 결과는 앞선 실험들과 마찬가지로, 열수를 추출용액으로 이용하여 추출된 장미 허브 추출물과 에탄올을 추출용액으로 이용하여 추출된 장미 허브 추출물을 각각 시료로 이용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미 허브 추출물은 용량 의존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미백 및 주름 개선 활성이 있다.
실험예 4. 버섯 유래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활성 측정
이시하마 등의 문헌(Ishihara Y et al. J. Antibiot(Tokyo). 44(1), p25-32, 1991)에 개시된 활성 실험법을 변형하여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버섯 유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측정한다.
0.3%의 티로신 용액 50㎕와 증류수 50㎕에 1㎍/㎖, 10㎍/㎖ 및 100㎍/㎖의 세 가지 종류의 시료(장미 허브 추출물)를 96-웰 마이크로플리에트에 넣고 버섯 추출 티로시나제 50㎕를 첨가였다. 이때, 0.3%의 티로신 용액은 0.1M 인산 완충액 pH6.8에 용해시켜 제조한 것이고, 티로시나제는 200U/㎖, 0.1M 인산 완충액 pH6.8에 용해시켜 제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티로시나제를 첨가한 상태에서 37℃에서 10분간 배양한 후, 생성된 도파 크롬의 양을 측정한다. 도파 크롬의 양은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측정한다.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은 마쯔다 등의 문헌(Matsuda H et al. Biol. Pharm. Bull. 19(1), p153-156, 1996)에 개시된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였고, 시료를 가하지 않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하였다. 본 실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에 도시된 결과는 앞선 실험들과 마찬가지로, 열수를 추출용액으로 이용하여 추출된 장미 허브 추출물과 에탄올을 추출용액으로 이용하여 추출된 장미 허브 추출물을 각각 시료로 이용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Figure 112015028920854-pat0000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미 허브 추출물은 용량 의존적으로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미백 활성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예 1. 피부미백용 화장료를 이용한 제품의 제조
1.1 목욕액
제조되는 목욕액의 총 중량(100wt%)을 기준으로, DL-락트산나트륨 21wt%, 피루브산 나트륨 8wt%, 장미 허브 추출물 5wt% 및 에탄올 40wt%를 포함하고, 색소 및 향료는 1wt% 미만이 포함되도록 하고, 총 중량에서 나머지 잔량은 정제수로 하여 목욕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목욕액은 사용 시 목욕물 중에 약 100배 내지 10,000배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조된 목욕액은 목욕물 대신 클렌징액, 수렴액 및 보습액 중 하나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1.2. 미백 스킨로션
제조되는 미백 스킨로션의 총 중량(100wt%)을 기준으로, 장미 허브 추출물 1wt%, 글리세린 5wt%, 부틸랜글리콜 3wt%, 프로필렌 글리콜 2wt%,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 피마자유 1wt%, 에탄올 10wt%, 트리에탄올 아민 0.1wt%를 포함하고, 방부제, 향료 및 색소는 1wt% 미만이 포함되도록 하고, 총 중량에서 나머지 잔량은 정제수로 하여 미백 스킨로션을 제조하였다.
1.3. 미백 밀크로션(영양로션)
제조되는 미백 밀크로션의 총 중량(100wt%)을 기준으로, 장미 허브 추출물 1wt%, 시토스테롤 1.7wt%,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wt%, 세라마이드 0.7wt%, 세테아레스-4 1.2wt%, 콜레스테롤 1.5wt%, 디세틸 포스페이트 0.4wt%, 농글리세린 5.0wt%, 선플라우어 오일 10wt%,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wt% 및 산탄검 0.3wt%을 포함하고, 향료 및 색소는 1wt% 미만이 포함되도록 하며, 총 중량에서 나머지 잔량은 정제수로 하여 미백 밀크로션을 제조하였다.
1.4. 미백크림
제조되는 미백크림의 총 중량(100wt%)을 기준으로, 장미 허브 추출물 3wt%, 시토스테롤 4wt%,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3wt%, 세라마이드 0.7wt%, 세테아레스-4 2wt%, 콜레스테롤 3wt%, 디세틸포스페이트 0.4wt%, 농글리세린 5.0wt%, 선플라우어 오일 22wt% 및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wt%를 포함하고, 방부제, 향료 및 색소는 1wt% 미만이 포함되도록 하며, 총 중량에서 나머지 잔량은 정제수로 하여 미백 크림을 제조하였다.
1.5. 미백에센스
제조되는 미백에센스의 총 중량(100wt%)을 기준으로, 장미 허브 추출물 5wt%, 시토스테롤 1.7wt%,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wt%, 세라마이드 0.7wt%, 세테아레스-4 1.2wt%, 콜레스테롤 1.5wt%, 디세틸포스페이트 0.4wt%, 놀글리세린 5.0wt%, 선플라우어 오일 15wt%,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wt% 및 산탄검 0.2wt%를 포함하고, 방부제, 향료 및 색소는 1wt% 미만이 포함되도록 하며, 총 중량에서 나머지 잔량은 정제수로 하여 미백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약학적 제제 제조
2.1. 산제의 제조
장미 허브 추출물 2g 당 유당 1g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장미 허브 추출물 100㎎, 옥수수 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장미 허브 추출물 100㎎, 옥수수 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미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다양한 담체일 수 있으며, 상기의 예를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 형태일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과 더불어 외용제나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그리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로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로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 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경구용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고형 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일 수 있는데, 일례로,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의 희석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용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를 포함할 수 있고,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약학 조성물에 함유되는 장미 허브 추출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장미 허브 추출물은 1일에 0.0001mg/kg 내지 100mg/k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mg/kg 내지 100mg/k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기간은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100wt%)에 대하여 장미 허브 추출물을 0.001wt% 내지 50wt%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일례로, 경구,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미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장미 허브 추출물을 사용하여 통상의 화장료 제조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화장료 조성물은 장미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향장 제품, 샴푸,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 젤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클렌징액, 수렴액 및 보습액으로 희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장미 허브 추출물 1wt%, 글리세린 5wt%, 부틸랜글리콜 3wt%, 프로필렌 글리콜 2wt%,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 피마자유 1wt%, 에탄올 10wt%, 트리에탄올 아민 0.1wt%를 포함하고,
    방부제, 향료 및 색소는 각각 0wt% 초과 1wt% 미만이 포함되며, 총 중량(100wt%)에서 나머지 잔량은 정제수인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미 허브 추출물의 추출을 위해 이용된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무수 알코올 및 함수 알코올 중 하나 이상인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으로 사용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자극 완화용으로 사용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노화 억제용으로 사용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 및 유중수(W/O)형의 에멀전 중 하나의 제형을 갖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0150041061A 2015-03-24 2015-03-24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686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061A KR101686521B1 (ko) 2015-03-24 2015-03-24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061A KR101686521B1 (ko) 2015-03-24 2015-03-24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479A KR20160114479A (ko) 2016-10-05
KR101686521B1 true KR101686521B1 (ko) 2016-12-14

Family

ID=5715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061A KR101686521B1 (ko) 2015-03-24 2015-03-24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778B1 (ko) * 2019-04-15 2020-07-31 주식회사 피에프네이처 장미허브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미백,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66279B1 (ko) * 2020-01-29 2020-10-16 주식회사 피에프네이처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548B1 (ko) 2004-05-18 2006-03-27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마가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4239A (ko) * 2013-03-18 2014-09-26 주식회사 에이치티티엔 미백 화장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479A (ko)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20532560A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51284B1 (ko)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6110276A1 (zh) 含有黄柏酮的局部组合物及用其美白皮肤的方法
KR102348419B1 (ko) 사과, 딸기 및 엘더베리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8780B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686521B1 (ko)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211942B1 (ko) 정공실 추출물 또는 정공실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2447A (ko)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210090790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20140089305A (ko) 참가시나무 추출물를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80128773A (ko) 연교 또는 작약 오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2124698B1 (ko) 국화, 알로에, 서양송악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0856A (ko) 승마 추출물의 분획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와 이의제조방법
KR101904216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2446A (ko) 귤나무 꽃잎 및 차엽으로부터 화차 추출물을 생성시키는 방법, 및 상기 차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60062235A (ko) 꾸지뽕잎 및 뽕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2196B1 (ko) 홍화씨유 가수분해물과 삼백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980144B1 (ko) 분홍느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326086B1 (ko) 닥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0561781B1 (ko) 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10032670A (ko) 닥나무 속 식물의 캘러스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