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9253A -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9253A
KR20240079253A KR1020220161311A KR20220161311A KR20240079253A KR 20240079253 A KR20240079253 A KR 20240079253A KR 1020220161311 A KR1020220161311 A KR 1020220161311A KR 20220161311 A KR20220161311 A KR 20220161311A KR 20240079253 A KR20240079253 A KR 20240079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ultraviolet rays
cherry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현
조현덕
이일형
유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람
Priority to KR1020220161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9253A/ko
Publication of KR2024007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925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4Aftersun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EVENTING UV-INDUCED SKIN DAMAGE COMPRISING PRUNUS YEDONESIS EXTRACT}
본 발명은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광(日光)은 인체의 체온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살균 작용과 비타민 D를 합성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하지만 과도하게 일광에 노출되면 피부화상을 비롯해 광-민감성 피부염을 일으키기도 하고, 조기 노화현상, 심각하게는 피부암을 유발하기도 한다.
일광에 의한 피부 변화는 거칠어짐, 주름, 착색 반점, 혈색 변화, 모세혈관 확장, 흑점, 자반 및 종양발생 등이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광노화라고 한다.
광노화는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피할 수 없는 내인성 노화에 비하여 더욱 깊고 많은 주름을 유발하는 임상적 특성을 가진다.
햇빛에 노출된 피부는 불규칙한 색소 침착 및 일광흑자(solar lentigo) 등의 색소질환이 증가할 수 있으며, 수분의 감소로 인해 탄력성이 감소하고 피부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광에는 가시광선, 적외선 및 자외선이 존재하는데, 자외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A(320-400 nm), B(290-320 nm), C(200-290 nm)로 구분된다. 자외선 C는 생명체에 치명적이지만 오존층에 의해 100% 흡수되어 지표면에 도달하지 않으므로 유해성에 대해 심각한 우려가 없다.
반면, 자외선 B는 장시간 햇볕에 노출된 경우에 빈번하게 경험하는 일광화상 (sunburn)의 직접적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자외선 A는 피부의 진피층에 침투하여 피부암 및 노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은 면역 세포의 수를 저하시켜 피부 면역 체계를 혼란시키고, 유전물질인 DNA를 변화시켜 피부암을 일으키며, 피부 구조 단백질은 콜라겐, 엘라스틴 등을 파괴하여 피부 탄력 저하, 주름 노화 등의 현상을 촉진시키는 피부 건강의 최대 위해 요소로 오존층의 파괴에 따른 자외선 조사량 증가는 다양한 종류의 자외선 차단 및 흡수 관련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촉진시키고 있다.
자외선 차단 소재는 작용 기전에 따라 유기 및 무기 계열로 나눌 수 있는데 유기물 차단제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화학물질(ex. Avobenzone, Octylmethoxycinnamate, Benzophenone)을 기반으로, 무기물 차단제는 자외선을 산란시키거나 흡수하여 광촉매 기능을 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ex. TiO2, ZnO, Fe2O3)을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소재는 화장품 제형 내에서 안정성을 저하시키거나 피부트러블이 유발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으며, 자외선 차단제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화장품의 중요한 화두이다.
화장품 업계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다수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생체 안전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왕벚나무 수피로부터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30 내지 70%(w/w) 농도의 에탄올에 의해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세포 독성을 완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손상은 일광화상, 홍반, 부종, 색소침착, 피부 염증, 피부 각화, 광알레르기, 광독성, 광감작현상 및 광노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재생 용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장벽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피부 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벚나무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벚나무 추출물의 UVB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를 평가한 결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Matsum)는 장미과(Rosaceae) 벚나무속(Prunus L.)에 속하는 식물로 높이가 15m에 달하는 낙엽교목으로서 수피가 평활하며 어린가지에 잔털이 약간 있다.
상기 왕벚나무는 대부분 북반구 온대 지역에서 자라며, 우리나라에도 전국 산지에 20여종이 있으며, 열매는 식용을 하기도 하고, 민간 의학에서는 각기병, 수종, 유선염, 치통과 통경제 등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왕벚나무의 줄기 및 수피는 기침, 담마진, 우육체 등의 민간약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줄기의 수피에는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아직까지 왕벚나무 수피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 효과는 연구된 바 없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은 투여하고자 하는 개체에 대한 의도하는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왕벚나무 추출물은 생체 안전성이 우수하므로 당업자가 양적 상한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전이된 용매를 지칭하는 것으로, 천연물로부터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낸 물질이라면, 추출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왕벚나무 수피로부터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왕벚나무는 잎, 가지, 뿌리, 수피 등 여러 부위 중에서도 수피 추출물에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보호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핵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은30 내지 70%(w/w) 농도의 에탄올에 의해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원료에 포함된 유효성분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으므로, 용매에 따른 생리 활성 물질의 선택성을 고려하여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 원료를 물로 수세한 후 건조 및 분쇄하여, 원료 중량의 8 내지 12배에 달하는 부피의 용매로 약 1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 순환 추출, 가압 추출, 초음파 추출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또는 동결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세포 독성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은 세포독성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세포가 자외선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세포 내 활성 산소가 증가하게 되고, 8-옥소구아닌(8-OHdG)과 같은 산화된 염기를 만들어 DNA 상해가 유발될 수 있는데, 상기 왕벚나무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세포 독성을 완화시켜 자외선에 의한 세포 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손상은 일광화상, 홍반, 부종, 색소침착, 피부 염증, 피부 각화, 광알레르기, 광독성, 광감작현상 및 광노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에 의해 야기된 피부 손상 증상을 포괄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재생 용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재생”은 피부 외부 및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에 대해 피부 조직의 회복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창상, 외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을 복구시키고, 이를 통해 피부 재생을 촉진하며, 수분을 증가시켜 자외선이나 공해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면역력을 증대시키며 피부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장벽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피부 장벽”은 피부 구조는 외부에 드러나 있는 표피와 안쪽의 진피로 나뉘는데 표피에서도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각질층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상기 피부장벽의 역할은 외부 유해 요소가 피부에 침입하지 못하도록 방어하면서, 내부 수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피부 장벽 손상 개선”은 피부 장벽이 약해지면 외부 자극에 취약해지고 수분을 쉽게 잃어 피부가 건조, 민감해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바, 이를 예방, 방지 또는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치,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예방”은 병리학적 현상의 발생 빈도 또는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예방은 완전할 수 있으며 또는 부분적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개체 내의 염증에 의해 발생되는 증상이 상기 조성물을 사용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치료”는 치료하고자 하는 대상 또는 세포의 천연 과정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임상적으로 개입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임상 병리 상태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행할 수 있다.
목적하는 치료 효과는 질병의 발생 또는 재발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질병에 따른 모든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를 저하시키거나, 전이를 예방하거나, 질병 진행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질병 상태를 경감 또는 일시적 완화시키거나, 예후를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적 전달, 비경구적 전달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전신 또는 국소 투여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경구 투여 및 비경구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적절한 투여 형태를 제공하도록 적합한 양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 또는 담체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실시예 1 : 왕벚나무 껍질 50% 에탄올 추출물 제조(HR2107_BaT_50E)
왕벚나무 껍질 건조물에 50%(v/v) 에탄올을 첨가한 후,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은 농축기를 이용하여 10 내지 15brix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왕벚나무 껍질 70% 에탄올 추출물 제조(HR2107_BaT_70E)
왕벚나무 껍질 건조물에 70%(v/v) 에탄올을 첨가한 후,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은 농축기를 이용하여 10 내지 15brix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 왕벚나무 가지 70% 에탄올 추출물 제조
왕벚나무 가지 건조물을 분쇄하고 70%(v/v) 에탄올을 첨가한 후,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은 농축기를 이용하여 10 내지 15brix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고예 2 : 왕벚나무 껍질 열수 추출물 제조
왕벚나무 껍질 건조물을 분쇄하고 젱제수를 첨가한 후,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은 농축기를 이용하여 10 내지 15brix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고예 3 : 왕벚나무 꽃 70% 에탄올 추출물 제조
왕벚나무 꽃 건조물을 분쇄하고 70%(v/v) 에탄올을 첨가한 후,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은 농축기를 이용하여 10 내지 15brix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고예 4 : 왕벚나무 잎 70% 에탄올 추출물 제조
왕벚나무 잎 건조물을 분쇄하고 70%(v/v) 에탄올을 첨가한 후,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은 농축기를 이용하여 10 내지 15brix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독성 평가(MTT assay)
살아있는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효소에 의해 Tetrazolium salt(WST-1)에서 formazan으로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생성된 formazan의 농도를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함으로써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Ez-cytox(Dozen, Korea)을 이용하여 프로토콜에 따라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RBL-2H3 및 HaCaT 세포를 5 x 103 cells/100μL로 96 well에 분주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농도별로 시료를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10% MTT 시약이 포함된 배지로 교체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50nm 파장에서 microplate reader(Epoch, Biotek)로 측정하였다.
각 시료에 대한 세포생존율에 의한 독성 평가는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으며, 그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시료는 소정의 농도 범위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2 : 자외선 조사에 따른 세포 보호 효과 시험
실시예의 시료의 UVB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UVB로부터의 보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Hs68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serum free DMEM으로 시료를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UVB camber를 이용하여 UVB(45mJ/cm2)를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배지를 갈아주고 24시간동안 각각의 소재의 농도 6.25, 12.5, 25, 50 및 100μg/mL에서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소재 처치 없이 같은 방법으로 PBS washing과 배지 교환을 해주었다.
24시간 뒤 MTT 용액을 200μL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1mL의 DMSO를 넣고 이를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wave length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도 2, 표 1).
구분 Relative cell viability(% of control)
실시예 1 89.0
실시예 2 92.6
비교예 1 75.8
비교예 2 77.2
비교예 3 73.5
비교예 4 74.3
음성대조군(자외선 미조사) 100
양성대조군(자외선 조사) 70.2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시료는 세포 보호 효과가 높은 수준으로 평가된 반면, 실시예와 부위를 달리하는 가지, 꽃, 잎 추출물(비교예 1, 3, 4) 및 열수 추출물(비교예 2)의 경우 세포 보호 효과가 현저하게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결과는 왕벚나무의 추출 부위 및 용매에 따라 생리 활성이 현저히 변화될 수 있으며, 왕벚나무 수피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시사한다.
실험예 3 : 자외선 조사에 따른 세포노화 억제능 평가
실시예의 시료에 따른 자외선에 대한 세포 보호 기작을 분석하기 위해 SA-βstaining assay를 실시하였다.
Cellular senescence assay kit를 이용하여 노화에 의해 성장이 멈춘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SA-βgalactosidase 효소에 대한 염색을 진행하였다.
시료를 38시간 배양된 세포에 전처리한 후, UVB(30 mJ/cm2)를 조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1× PBS로 수세하여 1× 고정액(2% formaldehyde, 0.2% glutaraldehyde) 에서 7분 동안 고정하였다.
고정액이 제거된 세포는 다시 1× PBS로 3번 수세한 후, 염색 혼합물(10× Staining solution, Reagent B, Reagent C, X-gal solution)과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상태의 37℃ 암실에서 17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베타-갈락토시데이즈 활성을 측정하였다(표 2).
구분 Numbers of SA-β-Gal(% of control)
실시예 1 147
실시예 2 128
비교예 1 196
비교예 2 173
비교예 3 251
비교예 4 239
음성대조군(자외선 미조사) 100
양성대조군(자외선 조사) 312
표 2를 참조하면, 자외선만 처리한 세포는 대조군(control)에 비해 염색된 세포수가 3배 이상 증가하였고, 자외선 처리 후 실시예의 시료를 처리한 세포는 노화가 억제되어 세포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예 4 : 자외선 조사에 따른 피부장벽 강화 활성 평가
실시예의 시료가 피부장벽강화에도 효과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필라그린(profilaggrin) 발현 조절 여부를 평가하였다.
먼저, 각질형성세포에 UVB(30 mJ/cm2)를 조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각각 처리하였다.
그 후, 세포추출물을 대상으로 웨스턴 블롯을 실시하여 프로필라그린 발현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세포 추출물을 SDS-PAGE 젤에 로딩하였다. 로딩된 젤에 함유된 단백질을 PVDF에 트랜스퍼(transfer)한 후 5% BSA(Bovine Serum Albumin)로 1시간 동안 블로킹한 후 필라그린 항체(Santa Cruz, USA)를 1: 1000으로 희석한 후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다음 HRP가 부착된 2차 항체 반응과 세척과정을 거친 후 ECL 용액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밴드를 확인하였다.
구분 프로필라그린 발현량(% of control)
실시예 1 79.6
실시예 2 85.3
비교예 1 65.5
비교예 2 67.1
비교예 3 58.6
비교예 4 59.3
음성대조군(자외선 미조사) 100
양성대조군(자외선 조사) 52.8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시료가 필라그린 발현량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 반면, 실시예와 부위를 달리하는 가지, 꽃, 잎 추출물(비교예 1, 3, 4) 및 열수 추출물(비교예 2)의 경우 필라그린 발현량을이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결과는 왕벚나무의 추출 부위 및 용매에 따라 생리 활성이 현저히 변화될 수 있으며, 왕벚나무 수피 에탄올 추출물이 필라그린 발현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장벽 강화 효과가 뛰어남을 시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왕벚나무 수피로부터 수득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30 내지 70%(w/w) 농도의 에탄올에 의해 추출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자외선에 의한 세포 독성을 완화화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손상은 일광화상, 홍반, 부종, 색소침착, 피부 염증, 피부 각화, 광알레르기, 광독성, 광감작현상 및 광노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재생 용도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장벽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20161311A 2022-11-28 2022-11-28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조성물 KR20240079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311A KR20240079253A (ko) 2022-11-28 2022-11-28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311A KR20240079253A (ko) 2022-11-28 2022-11-28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9253A true KR20240079253A (ko) 2024-06-05

Family

ID=9147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311A KR20240079253A (ko) 2022-11-28 2022-11-28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92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525467B1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CN113350232B (zh) 含马齿苋、艾叶及红景天的混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护及刺激缓解用化妆品组合物
KR102169463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2447A (ko)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904215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KR100441596B1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2525901B1 (ko) 지면패랭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139328B1 (ko) 두충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 또는 피부 홍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7426B1 (ko)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09195A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40079253A (ko)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용 조성물
KR102370802B1 (ko) 민들레 뿌리 추출물, 카페인 및 토코페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20112446A (ko) 돌가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689489B1 (ko) 편백잎 추출물, 천심련 추출물 및 아스타잔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9462A (ko) 흰무늬엉겅퀴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470781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8074B1 (ko) 꿩의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638536B1 (ko) 7종 천연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2991B1 (ko) Dhhb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20010018657A (ko) 괴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89846B1 (ko) 딱지꽃, 서양민들레잎, 산수유열매, 수선화비늘줄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7169501B2 (ja) 細胞内酸化ストレス抑制剤及びその用途
KR102322836B1 (ko) 텍토리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