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215B1 -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215B1
KR101904215B1 KR1020160158684A KR20160158684A KR101904215B1 KR 101904215 B1 KR101904215 B1 KR 101904215B1 KR 1020160158684 A KR1020160158684 A KR 1020160158684A KR 20160158684 A KR20160158684 A KR 20160158684A KR 101904215 B1 KR101904215 B1 KR 101904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jube
extract
ethanol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287A (ko
Inventor
강연자
김진철
박종국
정용하
전동하
천정윤
박상미
정다운
한협우
김명준
장민정
백성환
Original Assignee
(주)튜링겐코리아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튜링겐코리아,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튜링겐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5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215B1/ko
Priority to PCT/KR2016/015026 priority patent/WO2018097388A1/ko
Publication of KR20180059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추씨(Jujube seed)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DPPH 자유 라디칼, ABST 라디칼 양이온, 과산화수소 및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자외선에 조사에 의해 세포가 사멸되지 않아 자외선 차단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추씨 추출물은 항균 활성이 우수하고, 세포 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약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A COMPOSITION FOR ANTIOXIDATING AND BLOCKING ULTRAVIOLET COMPRISING EXTRACTS OF JUJUBE SEED}
본 발명은 대추씨(Jujube seed)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화장료,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각질층을 포함하는 표피와 진피, 그리고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각질층은 표피(epidermis)의 기저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의 분화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죽은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인체를 외부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에서의 노화의 원인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로 연구되고 있는데, 하나는 "내적 노화"로서 연령의 증가에 따른 피부의 구성단위인 세포의 기능변화에 기인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외적 노화"로서 외부 환경 즉 자외선, 공해, 스트레스 등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피부의 세포는 생체 내에서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인간의 생체 내에서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끊임없이 일어나는 생화학 반응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가 가해지게 되면, 세포 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과 DNA 산화적 손상 및 효소활성을 변화시켜 피부암 등의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노화를 촉진시킨다.
특히 여름이 길어지며 국내 자외선 차단제품 시장은 2010년 3,320억원대에서 매년 꾸준한 성장을 기록하며 2014년 4,200억원대 규모이다. 데이터모니터의 연구 자료에 따르면 국내 자외선 차단제 시장 규모는 2010년 3,320억원에서 2011년 3,570억원, 2012년 3,770억원, 2013년 3,980억원을 기록하며 연 평균 6.34%의 지속적 성장세를 이어왔다. 광노화의 위험이 알려지면서 자외선 차단제는 사계절 필수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지만 여전히 여름 시즌에 강세를 보이며 대표적인 계절상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90% 정도는 자외선 A 이며 10% 미만이 자외선 B 이다. 광선의 파장은 에너지와 반비례하므로 비록 자외선B가 절대량은 적어도 강한 에너지를 갖고 있으므로 세포의 유전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정 파장대의 광선이 피부에 홍반을 유발하는 최소 광량을 최소 홍반량 (minimal erythema dose, MED)이라고 한다. 동양인에서 피부의 최소 홍반량은 자외선 A의 경우 50-70 J/cm2, 자외선 B의 경우 50-70 mJ/cm2이며 자외선 A의 1/1,000 량으로도 홍반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 장벽 연구에 많이 사용하는 hairless마우스에서 자외선 B의 최소 홍반량은 보고마다 차이가 있으나 대략 20-80 mJ/cm2정도이다.
자외선은 DNA를 변화시켜 피부암을 일으킬 수 있으며 피부의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의 수를 저하 시켜 피부 면역반응을 억제할 만큼 피부에 있어서 반갑지 않은 존재이다. 자외선에 대한 인식의 증가로 인하여 자외선차단 및 흡수 관련 화장품은 다양한 제형과 종류로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화장품 분야에서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피부에 독성이나 자극을 주지 않기 위하여 천연 물질을 이용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한편, 대추씨는 대추의 과육 안에 있는 종자부위로써 대추 과육의 가공 후 생성되는 대추 가공 부산물이다. 대추 가공 시 생산되는 대추씨 부산물은 대추가공원료의 약 30% 중량을 차지한다. 예로부터 대추는 한방에서 감초처럼 감미를 내기 위해 첨가되는 경우가 많았고 그 자체로도 위경련, 불면증, 소화불량, 대장하혈, 청혈, 지각과민증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약리효과가 있다.
현재 대추의 잎과 열매는 식용이 가능하나 씨는 제한적으로 식용이 가능하다고 고시되어 있다. 대추씨는 단백질, 미네랄, 식이섬유 등의 함량이 높아 영양학적인 가치가 높고 한방에서는 산조인이라는 약재로도 사용되어져 왔다. 이러한 우수한 영양 및 약리학적인 가치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대추씨 자원은 산업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실정이다.
대추 종자의 성분으로는 주로 oleic acid, linoleic acid의 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지방유와 사포닌, eblin, lact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용성분으로는 betulin, betulicacid 등이 알려져 있으며, 대추의 약용성분으로는 각종 스테롤, 알칼로이드, 비타민, 사포닌, 세로토닌, 지방산,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cyclic-AMP 성분은 일반식물보다 약 1,000배 이상 높은 함량을 나타내며 그 외 당류와 유기산 등의 영양성분이 알려져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그러나, 아직까지 대추씨의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효과에 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면서 인체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천연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한 결과, 대추씨 추출물이 세포 독성이 없으면서도 항산화효과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효과를 가지면서 인체 안정성이 우수한 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대추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추씨 추출물은 당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용매는 예를 들어,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또는 (g)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좋다. 추출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추출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대추씨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서도 대추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대추씨 추출물은 대추씨를 분쇄한 후 추출용매, 예컨대 물, 탄소수 1~3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생약 건조 중량의 2 내지 20 중량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서는, 대추씨 추출물은 20 내지 95% 에탄올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20 내지 30시간,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회수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고 농축하여 대추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대추씨 추출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5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대추씨 추출물의 함량이 0.005 중량%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의 증가에 따라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대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며, 천연 물질로서 세포독성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으로서의 대추씨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검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대추씨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시르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으로서 대추씨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대추씨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대추씨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하며,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료, 약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DPPH 자유 라디칼, ABST 라디칼 양이온, 과산화수소 및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자외선에 조사에 의해 세포가 사멸되지 않아 자외선 차단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추씨 추출물은 항균 활성이 우수하고, 세포 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약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대추씨 추출물의 추출용매인 에탄올의 농도에 따른 DPPH 전자공여능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대추씨 추출물의 추출용매인 에탄올의 농도에 따른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대추씨 추출물의 추출용매인 에탄올의 농도에 따른 과산화수소 (H2O2)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대추씨 추출물의 추출용매인 에탄올의 농도에 따른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은 대추씨 추출물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는 대추씨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HaCaT 세포에서 UVB로 인한 세포사멸에 대한 대추씨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대추씨 추출물의 MMP-2 및 MMP-9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대추씨 추출물이 UVB 조사된 Pro-Collagen Type 1과 MMP-2 및 MMP-9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대추씨 추출물 함량에 따른 선크림 제형의 pH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대추씨 추출물 함량에 따른 선크림 제형의 점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대추씨 추출물 제조
본 실험에 사용한 대추씨 추출물은 매남농산(경북 청도군)에서 제공 받은 것을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시료 1kg에 각각 20%, 40%, 60% 80%, 95% 에탄올 1000 ml을 24시간씩 침적시킨 후 3회 반복 회수하여 수집 후 No. 2 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여액을 진공회전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으며, -20℃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예 1> 항산화 효과 측정
(1)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전자공여능 (EDA; electron donating ability)은 Blois의 방법(1958)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2 mL에 0.2 mM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1 mL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 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 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의 측정은 일종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환원력이 클수록 강력한 항산화제가 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DPPH의 환원 정도를 기준으로 측정물질의 환원력과 항산화력을 가늠할 수 있다. 지질과산화의 연쇄반응에 관여하여 free radical의 전자를 공여하여 산화를 억제시키는 DPPH 전자공여능 실험해서 대추씨 추출물을 10~1,000 ug/ml농도로 조절 및 첨가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대추씨 추출물의 추출용매인 에탄올의 농도에 따른 DPPH 전자공여능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J20는 2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40는 4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60는 6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80는 8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95는 95%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BHA는 양성 대조군으로 Butylated hydroxyanisole이다.
도 1에서 보듯이, 60% 에탄올을 이용한 대추씨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과 비교시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2) ABTS radical cat ion 소거능 측정
ABTS radical cation 소거능은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와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으로 ABTS+·radical이 생성되면 특유의 색인 청록색을 띄게 되는데, 시료를 첨가함에 따라 연한녹색으로 decolorization되는 것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hydrogen donating antioxidant와 chain breaking antioxidant 모두를 측정 할 수 있는 방식이다.
ABTS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은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 방법(Roberta, et al., 1999)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7 mM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와 2.4 mM potassium persulfate를 혼합하여 실온인 암소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을 형성시킨 후 ethanol로 희석 하여 ABTS+ 0.1 mL에 시료 0.1 mL를 가하여 1분 동안 방치한 후 7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는 대추씨 추출물의 추출용매인 에탄올의 농도에 따른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J20는 2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40는 4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60는 6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80는 8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95는 95%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BHA는 양성 대조군으로 Butylated hydroxyanisole이다.
도 2에서 보듯이, 대추씨 ABTS radical cation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0 ug/ml의 농도에서 44.56 %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500 ug/ml에서는 99.38 %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대조군인 BHA와 비교해서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상기 DPPH 효과와 같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산업화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3)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소거능 측정
과산화수소(H2O2) 저해활성은 과산화수소 분석 (Jayaprakasha et al., 2004)에 의해 측정하였다. 농도별 시료용액 1.0 mL와 phosphate-buffer saline (PBS, pH 7.4)에 녹인 40 mM 과산화수소 용액 2.0 mL을 37℃에서 10분 간 반응시킨 후 반응액 중에 저해된 과산화수소의 양을 2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합성항산화물질인 BHA와 활성을 비교해보았다.
과산화수소 저해활성 측정은 항산화제가 과산화수소와 같은 전구 산화제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능력을 측정하는 가장 유용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과산화수소는 약한 산화제로 효소의 필수기인 티올기를 산화시켜 일부 효소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과산화수소는 반응성이 있는 non-radical 물질로 생체막을 직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과산화수소는 생체막을 통과하면 다양한 반응을 통해서 반응성이 큰 일중항산소(singlet oxygen) 및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로 전환되어 지질과산화 또는 세포내에서 독성을 유발시킨다.
도 3은 대추씨 추출물의 추출용매인 에탄올의 농도에 따른 과산화수소 (H2O2)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J20는 2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40는 4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60는 6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80는 8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95는 95%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BHA는 양성 대조군으로 Butylated hydroxyanisole이다.
도 3에서 보듯이, 대추씨 추출물의 과산화수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중 60% 에탄올 추출물이 양성 대조군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4)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측정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은 Fridovich의 방법에 따라 NBT 환원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0.1 ml와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5) 0.4 ml에 xanthine (0.4 mM)과 NBT (0.24 mM)을 녹인 기질액 1 ml을 첨가하고 xanthine oxidase (0.2 U/ml) 1 ml를 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1 N HCl 1 ml을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다음, 반응액 중에 생성된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의 양을 56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은 다른 유해 활성산소의 전구체로 작용하므로 이 물질에 대한 소거활성 측정은 시료의 항산화 활성 탐색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도 4는 대추씨 추출물의 추출용매인 에탄올의 농도에 따른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J20는 2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40는 4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60는 6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80는 8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95는 95%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BHA는 양성 대조군으로 Butylated hydroxyanisole이다.
도 4에서 보듯이, 대추씨 추출물은 모든 농도에서 20% 정도의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활성이 나타내었다.
<시험예 2> 항균력 측정
(1) 대상균주
Candida albicans(KCTC 7965)의 배양을 위한 액체배지로는 YM broth (YMB)를 사용 하였으며, Escherichia coli(KCTC 1039) 및 Staphylococcus epidermidis(KCTC 1917)의 액체배지로는 nutrient broth (NB)를 사용하였고, Staphylococcus aureus(KCTC 1621)의 액체배지로는 tryptic soy broth (TSB)를 사용하였고 Propionibacterium acnes(KCTC 3314)는 GAM을 사용하였고 고체배지는 상기 액체배지에 agar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균주는 BOD incubator에서 생육 온도조건별로 배양하였다.
(2) 감수성검사를 위한 디스크 확산법
항균력 측정은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평판배지에 배양된 각 균주를 1 백금이랑 취해서 액체배지 10 mL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0.85% 식염수에 풀어 잘 섞은 후 0.5 McFarland 탁도 (spectrophotometer, 530nm)로 맞추어 균 농도가 약 1~5X106 CFU/mL가 되도록 하였다. 균액을 소독된 면봉을 이용하여 MH-GMB 배지에 고르게 도말하고 대추씨 추출물을 각각 농도 의존적으로 제작한 디스크와 항생제(대조군) 디스크를 올렸다. 37℃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disc주위의 clear zone (mm)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 및 도 6은 대추씨 추출물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여기에서, J20는 2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40는 4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60는 6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80는 80%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고, J95는 95% 에탄올로 추출한 대추씨 추출물이다. 그 결과, 대추씨 추출물은 그람양성, 음성, 진균에 대해서 항균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세포재생 측정
(1) 세포배양
CCRF S-180 Ⅱ (Mouse skin fibroblast cell line, KCLB No. 10008)을 한국세포주은행(Korean Cell Line Bank (Seoul, Korea))으로부터 분양받았다. 세포배양액은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을 사용하였다. 10 % fetal bovine serum (FBS), 100 U/ml penicillin (100 U/ml), and 100 mg/ml streptomycin (100 mg/ml)을 첨가하였다. 계대배양은 0.05% trypsin, 0.53 mM EDTA를 사용하였다.
(2) MTT assay에 의한 세포 생존율 평가
대추씨의 세포에 대한 독성은 MTT assay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mitochondrial dehydrogenases에 의하여 formazan으로 전환되는 것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96 well plate에 1X 104cell/well의 CCRF S-180 Ⅱ (Mouse skin fibroblast cell)을 분주하고 대추씨 60%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 (62.5 ~ 1000 ug/ml)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Well 당 20 ul의 MTT solution을 첨가하여, 37℃ 5% CO2 조건하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In vitro 실험을 토대로 가장 저해 효능이 좋았던 J60 이용하여 50~200 ug/ml의 농도에서의 CCRF S-180 Ⅱ(Mouse fibroblast cell)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도 7은 대추씨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200ug/ml의 농도에서 97.9%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3) UVB에 대한 J60의 세포사멸 억제효과 측정
자외선은 피부 세포에 조사되면 직, 간접적으로 손상을 주게 되는데 직접적으로 DNA구조 변화를 유도하거나 산화 반응을 통해 세포 구성 물질에 손상을 주게 된다.
UVB를 세포에 조사하여 세포를 사멸시키고 시료를 이용하여 세포의 사멸이 얼마나 억제되는지에 대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UVB를 조사하고 MTT 시약을 처치하여 세포사멸정도를 확인하였다.
HaCaT cell (Human Keratynocyte Cell)을 96 well plate에 Seeding하여 24시간 배양 후 serum free로 배지를 교환하고 24시간 후 96 well plate에서 배양중인 각질형성세포에 UVB (250mJ/cm2)를 조사하여 광 손상을 주고 J60 (60% ethanol extracts of Jujube seed)을 다양한 농도로 처치한 후 24시간 배양하고 MTT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처치하고 4시간 후 plate의 상층액을 제거하고 Ethanol : DMSO = 1 : 1 solution을 각 well에 처치하고 540nm에서 흡광도를 관찰하였다.
도 8은 HaCaT 세포에서 UVB로 인한 세포사멸에 대한 대추씨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대추씨 추출물을 자외선을 조사한 후 첨가되면 세포의 생존을 증가시켜 주는 결과를 보여주며, 이는 대추씨 추출물이 노화 현상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4) Gelatin Zymography
Gelatin을 분해하는 물질인 MMP-2, MMP-9의 특성을 이용해 대추씨 추출물의 MMP-2, MMP-9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Gelatin zymography를 실시하였다. 대추씨의 MMP-2와 MMP-9의 발현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Gelatin Zymography 방법을 이용하였다. 10% SDS-polyacrylamide gel(30% acrylamide/ 0.8% bis-acrylamide, 1.5M Tris-HCl(pH8.8), 10% SDS, 10% APS, TEMED, 0.2% Gelatin, DW)에 정량한 배지와 sample buffer를 1:1로 섞은 후 전기영동 하였다. SDS를 제거하기 위해 renaturing buffer (Triton X-1002% in D.W)에 30분 동안 shaking 후 Developing buffer (50mM Tris-HCl, 0.2M NaCl, 5mM CaCl2, 1% TritonX-100)에 넣은 후 37℃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Staining Solution인 0.5% coomassie blue에서 1시간동안 염색하고, Destaining Solution (Methanol : Acetic acid : D.W = 5 : 1 : 4)에 1시간동안 탈색한 다음 투명한 밴드를 확인하였다.
도 9는 대추씨 추출물의 MMP-2 및 MMP-9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UVB (50mJ/cm2)를 처치한 구간에서 MMP-2와 MMP-9의 발현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추씨 EtOH 60%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50ug/ml을 처치하였을 때는 별다른 발현량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00ug/ml, 200ug/ml을 처치한 구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MMP-2와 MMP-9의 발현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Western blot
UVB가 사람 각질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aCaT cell에 UVB(50mJ/cm2)를 조사하여 콜라겐의 전구물질인 Pro-Collagen Type 1과 MMPs의 발현과 관련 있는 kinase들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Western blot 방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UVB 50mJ/cm2를 조사 후 대추씨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세포를 수거하여 PBS로 세척 후 RIPA buffer (M.biotek)로 1시간동안 용해시킨 후 12,000rpm,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상등액은 SDS sample buffer (M.biotek)을 첨가하여 90℃에서 10분간 변성(denaturation)시킨 후 단백질을 SDS-PAGE로 분자량별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은 100V의 조건에서 1시간동안 nitrocellulose membrane (Whatman, UK)으로 전이시키고 0.1% BSA 용액으로 blocking 시킨 후 membrane을 Antibody 용액에 담가 4℃에서 18시간 반응시켰다. TBST (10mM Tris-HCl (pH 7.5), 150mM NaCl, 0.2% Tween 20)로 10분씩 3회 세척하였다. 세척된 membrane을 화학적 형광을 낼 수 있는 horse radish peroxidase (HRP)와 결합시키기 위해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화학 발광 이미지 장치(ATTO사)를 이용하였다.
도 10은 대추씨 추출물이 UVB 조사된 Pro-Collagen Type 1과 MMP-2 및 MMP-9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Pro-Collagen Type 1의 발현량 확인결과 UVB 조사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양성 대조군과 J60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MMP-2와 MMP-9의 경우 MMP-9는 가시적인 발현량의 억제가 확인되었다.
<제형예> 대추씨 추출물 함량에 따른 선크림 제형 개발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추씨 추출물(이하 "HC-Phytoju"라 명명함)의 함량에 따른 선크림 제형을 제조하였다.
Phase Trade Name HC-A HC-B HC-C
A phase D.I-water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Disodium EDTA Q.S Q.S Q.S
1.2-Hexandiol Q.S Q.S Q.S
MgSO4 Q.S Q.S Q.S
1,3-BG Q.S Q.S Q.S
D.P.G Q.S Q.S Q.S
HC-Phytoju 1.00 3.00 5.00
B phase Parsol MCX Q.S Q.S Q.S
Parsol EHS Q.S Q.S Q.S
Neoheliopan E1000 Q.S Q.S Q.S
HallBrite BHB Q.S Q.S Q.S
Finoslov TN Q.S Q.S Q.S
Vit.E Acetate Q.S Q.S Q.S
C phase KF 995 Q.S Q.S Q.S
Bentone 38V Q.S Q.S Q.S
D phase KF 995 Q.S Q.S Q.S
DC 200/6cs Q.S Q.S Q.S
Abil EM 90 Q.S Q.S Q.S
E phase Silica 67 SDM Q.S Q.S Q.S
Micro TiO2 035 AS Q.S Q.S Q.S
Z Cote HP-1 Q.S Q.S Q.S
F phase Frag-80890 Q.S Q.S Q.S
Q.S. (Quantum sufficient : Proper quantity)
<시험예 4> 안정성 평가 방법
(1) pH 측정
pH 측정은 Ohaus(Starter 3100F)사의 pH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하기 전에 유리전극은 미리 염기성 완충액이나 증류수에 수 시간 담궈 두고 pH meter는 전원에 연결하고 10분 이상 두었다가 사용하였다. 검출부는 물로 잘 씻어 가볍게 닦아 낸 다음 사용하였다.
도 11은 대추씨 추출물 함량에 따른 선크림 제형의 pH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0, 1, 3, 5, 7, 14, 28, 60, 90일차로 12주간 25℃에서 보관한 선크림의 pH를 측정한 결과, 처방 HC-A, HC-B 및 HC-C 제형에서 보관기간 동안 대추씨 추출물의 함량에 따라 pH 수치상에서 약간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2) 경시적 점도 변화 측정
점도 측정은 Brookfield Viscometer(Brookfield LV-Ⅱ+, Brookfield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Middleboro,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기포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제조 시 탈포하여 점도 값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최소화하여 측정하였다. 25℃에서 보관한 선크림을 스핀들(spindle) No.4를 택하여 12rpm에서 1분간 점도를 측정하였다. 0, 1, 3, 5, 7, 15, 30, 60, 90일차로 점도를 12주간 측정하였다.
도 12는 대추씨 추출물 함량에 따른 선크림 제형의 점도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0, 1, 3, 5, 7, 14, 28, 60, 90일차로 12주간 25℃에 보관한 선크림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 처방 HC-A, HC-B 및 HC-C 모든 제형에서 3개월 동안 26,000-17,500cp로 점도의 차이가 나타났고, 특히 HC-B 및 HC-C 제형의 경우 보관기간 동안에 따라 점도의 하락이 관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각 온도조건별(0℃, 25℃ 및 45℃) 경시적 안정도 관찰
선크림을 투명 용기에 담아 0℃, 25℃ 및 45℃에서 각각 12주간 보관하면서 0, 1, 3, 5, 7, 15, 30, 60, 90일차까지 온도별 안정성을 평가한다. 선크림의 자발적인 경시적 열화(劣化) 현상에 따른 화학적 및 물리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온도 안정성 평가를 하였다. 고온(45℃)에서는 외관의 산패, 변색, 변취, 부유, 침전, 분리 등을 중점하여 관찰하였고, 저온에서는 응고, 침전, 분리 등의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각 처방별로 제조된 선크림을 투명 용기에 담아 0℃, 25℃ 및 45℃에서 각각 12주간 보관하면서 1, 3, 5, 7, 14, 28, 60 및 90일차까지 온도별 안정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2(0℃), 표 3(25℃) 및 표 4(45℃)에 각각 온도조건별 경시적 안정도 결과를 나타내었다.
Sample
Day
HC-A HC-B HC-C
1 O O O
3 O O O
5 O O O
7 O O O
14 O O O
28 O O O
60 O O O
90 O O O
O : Stable X : Unstable
Sample
Day
HC-A HC-B HC-C
1 O O O
3 O O O
5 O O O
7 O O O
14 O O X
28 O X X
60 O X X
90 O X X
O : Stable X : Unstable
Sample
Day
HC-A HC-B HC-C
1 O O O
3 O O O
5 O O O
7 O O X
14 O X X
28 O X X
60 O X X
90 O X X
O : Stable X : Unstable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0℃에 보관한 선크림(HC-A, HC-B, HC-C)의 경우 28일동안 크리밍이나 응집의 현상 없이 안정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표 3에서 25℃에 보관한 선크림의 경우 B는 28일차, C는 14일차 크리밍과 응집 현상이 일어나 안정성이 불안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표 3에서 보듯이 45℃에 보관한 선크림의 경우 B는 14일차, C는 7일차 이후에 크리밍과 응집 현상이 일어나 안정성이 불안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4) 온도순환 (Cycle chamber)에 따른 안정성 시험
선크림을 투명 용기에 담아 -5℃, 25℃, 50℃에서 각각 8시간 보관한 후 이를 1 dah/1 cycle로 하여 14회 반복 시행하여 0, 1, 3, 5, 7, 14일차로 2주간 동안온도 순환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온도순환(Cycle chamber)에 따른 안정성 시험법은 4계절이 분명한 우리나라에서 화장품의 저온 및 고온의 보관조건에 따른 물성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또한 온도 변화에 따라 유화·가용화에서의 물성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제품의 대부분은 고온에서 가수분해 현상 및 기타 현상 등이 빨리 일어나며, 저온인 경우는 부피팽창, 용해도차에 의한 계면막 손상, 침전 등이 일어난다. 온도순환(Cycle chamber)에 따른 안정성 시험법은 이런 현상을 짧은 기간 내에 체크할 수 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Sample
Day
HC-A HC-B HC-C
1 O O O
3 O O X
5 O X X
7 O X X
14 O X X
O : Stable X : Unstable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선크림 HC-B, HC-C에서 크리밍, 응집, 분리등의 물성 변화가 나타났으며, HC-A는 14 cycle모두에서 상의 분리와 변색,변취 없이 안정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유효성 평가(SPF, PA)
본 시험은 화장품법 제9조에 규정된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기능성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5-14호)의 '자외선 차단효과 측정방법 및 기준' 에 따라 수행되었다.
(1) 시험부위
시험은 피험자 등에 실시하였다. 시험부위는 피부손상, 과도한 털 또는 색조에 특별히 차이가 있는 부분을 피하여 선택하였고, 깨끗하고 마른 상태였다.
(2) 시험물질 적용 방법
척추부위를 제외한 피험자의 등에 표준 시료 및 시험시료 도포면적을 35㎠로 하여 2.0 ㎎/㎠의 양(총 70.0 ㎎)으로 시험부위에 도포하였다. 정확한 양으로 시료를 도포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피펫을 사용하였다. 시료는 피부 표면에 여러 번 균일하게 점적 한 후 손가락 골무 혹은 스패츌러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자외선 조사부위의 구획
제품 도포면적을 35㎠로 하여 0.8㎝X 0.8㎝ 크기의 면적을 갖는 6개의 정사각형 조사부위를 구획하였다.
(3) 사용장비
(가) 자외선 인공 조사기 (Multiport solar simulator 601, V2.5 Solar Light, USA)
이 장비는 태양광과 유사한 연속적인 방사 스펙트럼을 갖고, 특정 피크를 나타내지 않는 300watt 제논아크램프 (Xenon arc lamp)를 광원으로 탑재하였으며, 램프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은 색선별 거울 (dichroic mirror)과 조준 렌즈(collimating lens)를 거친 후 6개의 액체 광도체 (liquid light guide)를 통해 0.8㎝ X 0.8㎝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방출된다. 특수 필터를 사용하여 인체에 특히 유해한 290nm 이하의 자외선 영역의 파장을 제거한다.
(나) 광량측정기 (PMA-2100, Solar Light, USA)
㎼/cm2 단위로 표시되는 광량 측정기로서, 각각 light guide의 끝부분에 SUV 탐침기를 결합하여 측정하며, 자외선 조사 전과 조사 후에 측정값이 유지 되는 지를 확인한다.
(다) 표준시료
「기능성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5-14호)의 '자외선 차단효과 측정방법 및 기준' 에 근거하여 높은 자외선차단지수의 표준시료를 제조하여 사용한다.
(4) SPF 측정결과
화장품 임상시험기관인 대한피부과학연구소에 본 연구과제로 수행된 선크림을 2명의 예비 피험자를 포함하여 총 12명의 본 피험자를 대상으로 제품의 자외선차단지수 평가 시험을 실시한 결과 평균 50.5±2.3의 자외선차단지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시한 시험방법에 따라 표준시료를 제작하여 동시에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평균 15.3±1.3의 자외선차단지수를 확인하였고 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5-14호]에서 제시한 범위 15.5±3.0 내에 있었다. 본 시험을 통해 측정된 표준시료와 시험시료 각각의 자외선 차단지수의 95% 신뢰구간은 측정치의 ±20% 이내로 확인되어 측정치의 신뢰성이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제품은 SPF 50.5±2.3에 해당하는 자외선 단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5) PA 측정결과
화장품 임상시험기관인 대한피부과학연구소에 본 연구과제로 수행된 선크림을 2명의 예비 피험자를 포함하여 총 12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제품의 자외선A차단지수 평가 시험을 실시한 결과 평균 8.77±0.71의 자외선A차단지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시한 시험방법에 따라 표준시료를 제작하여 동시에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평균 4.04±0.41의 자외선A차단지수를 확인하였고 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5-14호]에서 제시한 범위 3.75±1.01 내에 있었다. 본 시험을 통해 측정된 표준시료와 시험시료 각각의 자외선A차단지수의 포준 오차는 측정치의 ±10% 이내로 확인되어 측정치의 신뢰성이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제품은 PFA 8.77±0.71, PA+++에 해당하는 자외선A차단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DPPH 자유 라디칼, ABST 라디칼 양이온, 과산화수소 및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자외선에 조사에 의해 세포가 사멸되지 않아 자외선 차단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추씨 추출물은 항균 활성이 우수하고, 세포 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화장료, 약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대추씨(Jujube seed)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대추씨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식품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추씨 에탄올 추출물이 대추씨를 분쇄한 후 20 내지 95%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20 내지 30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회수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고 농축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추씨 에탄올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5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60158684A 2016-11-25 2016-11-25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KR101904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684A KR101904215B1 (ko) 2016-11-25 2016-11-25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PCT/KR2016/015026 WO2018097388A1 (ko) 2016-11-25 2016-12-21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산화 및 자외선차단을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684A KR101904215B1 (ko) 2016-11-25 2016-11-25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287A KR20180059287A (ko) 2018-06-04
KR101904215B1 true KR101904215B1 (ko) 2018-12-05

Family

ID=6262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684A KR101904215B1 (ko) 2016-11-25 2016-11-25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220A (ko)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오고엘앤디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항균 기능을 가진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595B1 (ko) 2019-08-08 2020-03-24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22793A (ko) 2022-02-15 2023-08-2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항산화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220A (ko)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오고엘앤디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항균 기능을 가진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287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697B1 (ko) 테아세아 식물로부터의 생물활성 조성물 및 이들의 생산방법 및 용도
RU2358750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на основе лишайника бородатого (usnea barbata) и зверобоя обыкновенного (hypericum perforatum)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JP2008247854A (ja) 抗酸化剤、dna損傷抑制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102442117B1 (ko) 와송 추출물 또는 와송 추출물과 참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7022700B2 (ja) ハルンガナ・マダガスカリエンシス(Harungana madagascariensis)葉抽出物を含む、若年性尋常性ざ瘡の処置および/または予防に使用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KR101904215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Chen et al. Photoprotection of maqui berry against ultraviolet B-induced photodamage in vitro and in vivo
KR101302222B1 (ko)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식물성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0465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작약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41991A (ko) 베르게닌 및 플러린을 포함하여 비타민 c를 안정화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0973755B2 (en) Method for treating skin aging and photodamage by using Camellia sinensis callus extract
WO2018097388A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산화 및 자외선차단을 위한 조성물
KR102139328B1 (ko) 두충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 또는 피부 홍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0105B1 (ko) 낭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552472B1 (ko)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10757A (ko)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6065A (ko)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실라리아 추출물, 및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1904216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210113490A (ko)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2726A (ko) 적과자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주름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190067701A (ko) 갈근초 및 아데노신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7230976A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KR20170135397A (ko) 천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