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141B1 -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141B1
KR102350141B1 KR1020200028003A KR20200028003A KR102350141B1 KR 102350141 B1 KR102350141 B1 KR 102350141B1 KR 1020200028003 A KR1020200028003 A KR 1020200028003A KR 20200028003 A KR20200028003 A KR 20200028003A KR 102350141 B1 KR102350141 B1 KR 102350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honggyeongcheon
ayeop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3490A (ko
Inventor
이재석
이수연
박소연
김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20002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141B1/ko
Priority to CN202110254860.8A priority patent/CN113350232B/zh
Publication of KR2021011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Abstract

본 발명은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향상된 피부장벽 개선효과,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 효능 및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혼합추출물을 피부보호, 피부자극 완화, 또는 피부 진정용도의 화장료 조성물으로 사용가능하다.

Description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protection and Alleviation of skin irritation Comprising Extract of Portulaca oleracea, Artemisia argyi and Rhodiola rosea}
본 발명은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가장 외부에 존재하는 기관으로 체내 수분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의 침입인자를 막아 인체를 보호하는 필수적인 장벽 역할을 한다. 피부에 염증이나 자극을 일으키는 인자로는 물리화학적 자극, 알러젠, 자외선, 산화 스트레스, 병원균 감염 그리고 이로 인해 이차적으로 생산된 염증관련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등이 있다. 이러한 인자들로 인하여 피부 자극이 가중되면 피부의 염증 반응으로 나타나거나 알러지성 또는 아토피성 피부의 형태로 나타난다. 염증은 본래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손상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통증, 부종, 발적, 발열 등을 일으켜 기능 장애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염증은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초기 상태가 지난 후 정상으로 돌아오나, 염증을 자극하는 자극제가 없어지지 않거나, 계속 염증 반응이 생기게 되면 세포손상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생기게 된다. 항염증제에는 다양한 물질이 있으나, 피부 안전성 면에서나 화장료 배합시 안정성 면에서 부작용이 없는 항염 물질이 중요하다. 현재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제로는 스테로이드 제제, 국소 면역억제제, 국소 항생제 및 항히스타민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약물제제를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살이 트는 팽창선조, 피부위축, 모세혈관 확장, 스테로이드성 여드름, 다모증, 자반 등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특히 스테로이드제를 광범위한 부위에 바르면 피부를 통해 약제가 전신적으로 흡수되어 소아의 경우 성장을 방해할 수 있고, 성인의 경우 골다공증과 같은 전신적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천연물질로부터 유래되어 부작용이 적어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63108호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면서 인체 부작용이 적은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이 각각의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향상된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에 대한 완화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마치현(Portulaca oleracea)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천연물 중에서 중심자목 쇠비름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서 오행초, 쇠비름, 장명채, 마치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주로 들길이나 텃밭 등에서 5-9월에 걸쳐 주로 자생하며 '본초강목'과 '동의보감' 등에는 마치현을 충독 및 사독 등의 해독제로도 많이 활용되어 왔다고 전해지고 있다. 아라비아 반도에서는 전통적으로 마치현을 방부제, 항괴혈병제제, 진경제, 이뇨제, 구충제, 피부진정제로 사용해 오고 있으며, 그 외 근육이완 활성과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 상기 마치현은 추출물의 형태이거나, 생(生) 마치현, 생약 자체의 분쇄물, 생약의 건조물, 생약의 건조 분쇄물, 마치현의 발효물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마치현은 그 입수 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재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애엽은 황해쑥(Artemisia argyi 또는 Artemisia argyi H.Lev. & Vaniot), 쑥(A. princeps Pamp. var. orientalis Hara), 산쑥(A. montana Pampani), A. mongolica, 또는 A. asiatica의 잎이나 어린 줄기를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황해쑥의 잎이나 줄기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애엽은 추출물의 형태이거나, 생(生) 애엽, 생약 자체의 분쇄물, 생약의 건조물, 생약의 건조 분쇄물, 애엽의 발효물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애엽은 그 입수 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재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초본의 지상부 또는 뿌리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애엽 초본의 잎, 꽃, 줄기, 열매, 뿌리 및 이들의 조합 및 초본 전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애엽의 경우 반드시 건조를 통해서 제조되는 것은 아니며 애엽의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에 적절한 형태의 원료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홍경천(Rhodiola rosea)은 유럽과 아시아의 고산지대에 널리 분포되어 서식하는 식물로서, 신경계통의 자극, 우울증의 감소, 작업능력의 향상, 피로회복, 고산병의 예방 등에 유효한 전통약물로 동유럽과 아시아에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상기 홍경천은 추출물의 형태이거나, 생(生) 홍경천, 생약 자체의 분쇄물, 생약의 건조물, 생약의 건조 분쇄물, 홍경천의 발효물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홍경천은 그 입수 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재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 추출물은 구입하거나 또는 직접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 추출물을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는 경우에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와 같은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Tetrahydrofuran)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 용매로 추출한 것으로서,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석유 에테르,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 추출물은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개별 추출물을 서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또는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용매의 양은 추출하는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치현, 애엽 또는 홍경천 중량의 1배 내지 20배의 부피, 더욱 구체적으로는 2배 내지 15배의 부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치현, 애엽 또는 홍경천 중량의 3배 내지 12배 부피, 4 내지 10배 부피,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마치현, 애엽 또는 홍경천 중량의 4, 5, 6, 7, 8, 9, 10배 부피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60 내지 100 부피%의 에탄올 용액인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60 내지 90 부피%, 60 내지 80 부피%, 65 내지 100 부피%, 65 내지 90 부피%, 65 내지 80 부피%, 70 부피%, 80 부피%, 90 부피%, 95 부피%, 또는 100 부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추출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0 ℃내지 120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95 ℃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 내지 70 ℃, 가장 구체적으로는 20 ℃, 30 ℃, 40 ℃, 50 ℃, 60 ℃, 또는 70 ℃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추출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1시간 내지 10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시간 내지 6시간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2시간 내지 4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공지의 천연물 추출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침추출,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열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열수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1회 내지 10회, 보다 구체적으로는 2회 내지 7회 반복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 중 애엽 추출물은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 (Isosecotanapartholide) 함량이 애엽추출물 중량 대비 10 중량 % 내지 20 중량 %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 중 홍경천 추출물은 로사빈(rosavin) 함량이 홍경천 추출물 중량 대비 10 중량 % 내지 20 중량 %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는 다양한 천연물에 함유되어 있다. 예컨대 더위지기 (Artemisia iwayomogi), 애엽(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ampan' Hara), 또는 쑥에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 추출물의 건조 중량비가 1~20:1~20:1 인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 추출물의 건조 중량비는 1~20:1~20:1, 1~20:1~15:1, 1~20:1~10:1, 1~20:1~5:1, 1~20:1:1, 1~15:1~15:1, 1~15:1~10:1, 1~15:1~5:1, 1~15:1:1, 1~10:1~10:1, 1~10:1~5:1, 1~10:1~3:1, 1~10:1:1 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0:1:1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마치현 추출물을 0.1~1.0%(w/w), 애엽 추출물을 0.01~0.1%(w/w), 홍경천 추출물을 중량%:0.01~0.1%(w/w)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3.0중량%로 함유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3.0 중량%, 1.0 내지 3.0 중량 %로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혼합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3.0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제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추출물은 용매에 의해 추출된 조추출물(crude extract)의 형태를 이용할 수 있으며, 고순도로 정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상기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정제수, 일가 알코올류(에탄올 또는 프로필 알코올), 다가 알코올류(글리세롤, 1,3-부티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고급 지방산류(팔미틸산 또는 리놀렌산), 유지류(소맥 배아유, 동백기름, 호호바유, 올리브유, 스쿠알렌, 해바라기유, 마카데미아땅콩유, 아보가드유, 대두 수첨가 레시틴 또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소염제 및 청량제를 첨가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모노라우린산헥사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 환원라놀린, POE, 글리세릴피로글루타민산, 이소스테아린산, 디에스테르, N-아세틸글루타민 및 이소스테아릴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살균제로는 히녹티올, 트리크로산, 크롤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즐렌 (azulene), 살리실산 및 징크피리타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 몰식자산프로필 및 에리소르빈산 중에서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하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디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류, 멜라닌,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시녹사이트, 파라메톡시계피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2-(2-히드록시-5-메틸페닐) 벤조트리아졸, 우로카닌산 및 금속산화물 미립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소염제로는 글리틸리틴산디칼륨 또는 알란토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청량제로는 고추틴크 또는 1-멘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겔,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앰플, 헤어앰플, 두피트리트먼트,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린스겸용 샴푸,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젤, 헤어왁스, 헤어 스프레이, 염색제,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 혼합추출물의 투여는 염증과 관련된 사이토카인인 iNOS, COX-2, TNF-α, IL-6 및 IL-1α의 발현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사람의 피부를 대상으로 한 피부과 평가를 통해 경피수분손실량, 홍반지수 및 피부자극제에 대한 자극지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장벽기능을 강화하고, 피부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피부자극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은 염증성 반응의 지표인 iNOS, COX-2, TNF-α, IL-6 및 IL-1α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경피수분손실량, 홍반지수 및 피부자극제에 대한 자극지수를 감소시키는 등 피부자극에 대한 보호, 회복 및 완화 효과가 각각의 단일 추출물(마치현 추출물, 애엽 추출물, 및 홍경천 추출물)과 대비하여 우수한 바 시너지 효과가 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향상된 피부 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면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또는 피부 외용제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홍경천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유무를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홍경천 추출물의 혼합물의 농도에 따른 HaCaT 세포 생존율 결과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홍경천 혼합물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HaCat 세포 생존율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홍경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iNOS 활성 및 Raw264.7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홍경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iNOS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홍경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 추출물의 의 농도에 따른 COX-2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홍경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TNF-alpha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홍경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IL-6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홍경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IL-1alpha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홍경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IL-1alpha 단백질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의 피부 자극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제형의 처치에 따른 단위 면적당 증발되는 수분량(TEWL)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의 피부 자극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제형의 처치에 따른 피부 홍반의 정도를 크로마미터(chromateter)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의 피부 자극에 대한 회복 및 진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제형의 처치에 따른 단위 면적당 증발되는 수분량(TEWL)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의 피부 자극에 대한 회복 및 진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제형의 처치에 따른 피부 홍반의 정도를 크로마미터(chromateter)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 혼합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1: 마치현, 애엽, 홍경천 단일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1-1: 마치현 추출물의 제조
세척한 마치현(生) 1.0kg 에 95%(w/w) 에탄올 4.0kg을 넣고 50~60℃에서 3시간 이상 가온하여 추출한다. 추출액을 활성탄(CGSP)를 이용하여 여과한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완전 농축한 후 진공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켜 마치현 추출물 파우더 약 50g을 얻었다.
실시예1-2: 애엽 추출물의 제조
애엽(건조, 황해쑥) 지상부 1kg을 50~60℃의 온도에서 70%(w/w) 에탄올 10.0kg에 침지하여 3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 액을 감압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을 n-Hexane과 Ethyl Acetate로 1:1~1:10(w/w)으로 용매 분획하여 얻은 Ethyl Acetate 분획물을 감압농축하여 240g의 파우더를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애엽 Ethyl Acetate 가용 추출물을 n-Hexane과 Ethyl Acetate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컬럼에 충진한 실리카에 흡착시키고, n-Hexane과 Ethyl Acetate의 혼합용매로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시행하였다. 용출물을 크게 3개의 분획으로 나누었고 2번 용출물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Isosecotanapartholide 함량이 분획물 중량 대비 12중량%인 파우더 5g을 얻었다.
실시예1-3: 홍경천 추출물의 제조
100%(w/w) 메탄올 4.0kg에 Rosavin 함량이 0.1~5.0%인 홍경천 파우더 1.0kg을 완전 용해 후, 홍경천 추출물 파우더와 동량의 실리카를 넣고 감압농축하여 2.0kg의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건조물을 Methylene Chloride 와 Methanol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컬럼에 충진한 실리카에 흡착시키고, Methylene Chloride와 Methanol의 혼합용매로 크로마토그래피를 시행하였다. 용출물을 크게 3개의 분획으로 나누었고 2번 용출물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Rosavin 함량이 분획물 중량 대비 12 중량%인 파우더 약 80g을 얻었다.
구분 생약 수율(%)
실시예 1-1 마치현 5
실시예 1-2 애엽 0.5
실시예 1-3 홍경천 8
실시예2: 마치현, 애엽, 홍경천 단일 추출물의 조성비에 따른 혼합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마치현, 애엽, 홍경천 추출물 파우더를 하기 표 2의 비율에 따라 혼합하였다.
구분 마치현 추출물 파우더(g) 애엽 추출물 파우더(g) 홍경천 추출물 파우더(g)
실시예2-1 1 1 1
실시예2-2 1 1 10
실시예2-3 1 10 1
실시예2-4 1 10 10
실시예2-5 10 1 1
실시예2-6 10 1 10
실시예2-7 10 10 1
실시예 3: 마치현, 애엽, 홍경천 혼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1-1 내지 1-3에서 사용한 마치현, 애엽, 홍경천을 아래 표 3의 비율과 같이 혼합한 후 무게대비 10배에 해당하는 70~95%(w/w) 에탄올 넣고 50~60℃에서 3시간 이상 가온추출하여 추출 파우더를 수득하였다.
구분 세척 및 건조한 마치현(生) 무게(g) 애엽(건조, 황해쑥)
무게(g)
홍경천 추출물 파우더
무게(g)
추출 파우더 수율(%)
실시예 3-1 1 1 1 0.95%
실시예 3-2 1 1 10 0.92%
실시예 3-3 1 10 1 1.00%
실시예 3-4 1 10 10 0.87%
실시예 3-5 10 1 1 0.79%
실시예 3-6 10 1 10 0.58%
실시예 3-7 10 10 1 0.85%
실험예 1: 각질형성세포(HaCaT)에 대한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 추출물의 세포독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해당하는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질형성세포(HaCaT)에서 MTT Assay를 통해 독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24-웰 플레이트에 HaCaT를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무혈청(serum-free) 배지로 교체하고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에 2.5 mg/ml의 MTT 용액을 10배 희석시킨 배지로 교체하여 반응시킨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 1 ml을 첨가하여 생성된 MTT-formazan 결정체를 용해시켜 ELISA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대조군은 용해 용매로 DMSO (Dimethyl Sulfoxide)를 사용하였다. 세포 독성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흡광도의 백분율로 나타낸다. 독성 테스트 결과는 표 4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 (μg/ml) 세포 생존율 (%)
Control 100.00
실시예1-1 40 104.02
80 101.27
120 99.07
실시예1-2 40 100.99
80 99.77
120 98.92
실시예1-3 40 99.57
80 98.89
120 97.17
실시예 2-1 40 94.58
80 93.76
120 91.82
실시예 2-2 40 94.63
80 93.96
120 91.37
실시예 2-3 40 103.07
80 100.70
120 100.64
실시예 2-4 40 95.96
80 95.50
120 95.23
실시예 2-5 40 101.57
80 100.28
120 99.87
실시예 2-6 40 99.01
80 97.65
120 95.34
실시예 2-7 40 99.68
80 99.18
120 97.51
실시예 2-8 40 94.64
80 94.02
120 92.57
실시예 3-1 40 100.61
80 100.21
120 99.75
실시예 3-2 40 100.63
80 99.40
120 98.60
실시예 3-3 40 100.27
80 99.70
120 99.37
실시예 3-4 40 100.16
80 98.96
120 94.23
실시예 3-5 40 99.49
80 98.69
120 98.58
실시예 3-6 40 95.24
80 94.46
120 93.87
실시예 3-7 40 97.71
80 96.16
120 94.80
80 97.71
120 95.23
상기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추출물 및 혼합물은 3% (120 μg/ml)까지의 농도에서 각질형성세포에 대해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2: 마치현, 애엽, 홍경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 추출물의 iNOS 활성 억제 및 Raw264.7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확인
생쥐의 대식 세포인 Raw264.7 세포에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ipopolysaccharide, LPS)(Sigma, St. Louis, MO)를 처리하여 인위적으로 유발시킨 염증의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의 결과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실시예 1-1, 1-2, 1-3, 실시예 2-3, 2-5, 2-7의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유도성 나이트릭 옥사이드 생성 효소) 활성 억제능력을 측정하였다.
10% FBS-DMEM (Fetal Bovine Serum, 소태아혈청,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웰진) 배지에 8 x 105 세포를 현탁시켜 24웰 세포 배양판에 접종하여 부착시켰다. 하루 후 1 μg/ml의 리포폴리사카라이드가 함유된 배지로 교체하여 염증을 유발시킨 후, 실시예 1-1, 1-2, 1-3, 실시예 2-3, 2-5, 2-7, 실시예 3-1, 3-3의 추출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했다.
그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96웰 플레이트에 100 μl씩 넣고 그리에스 시약 (Griess' reagent)(Sigma, St. Louis, MO)을 동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간 가볍게 흔들어 준 뒤,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소디움 나이트리트 (Sodium Nitrite) (Sigma, St. Louis, MO)를 표준품으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각 시료를 배양액 중의 나이트릭 옥사이드 생성량을 구하였다.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처리한 군의 나이트릭 옥사이드 생성량을 100%로 하여 각 시료 처리군의 나이트릭 옥사이드 % 수득율을 구하였다.
또한, 시료 처리 배지 제거 후, 250 μg/ml 농도의 MTT 용액을 처리한 후 4시간 후에 MTT를 제거하고 DMSO를 처리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세포생존율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하기 표 5 및 도 4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23805015-pat00001
Figure 112020023805015-pat00002
상기 표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2-5는 iNOS의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시켰으며, Raw264.7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2는 농도 의존적으로 iNOS 활성 저해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Real-Time PCR을 통한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의 iNOS 및 COX-2, TNF-α, IL-6 유전자 발현 억제 확인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에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처리하여 인위적으로 iNOS 및 COX-2, TNF-α, IL-6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킨 후,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 시료에 의한 발현 억제를 Real-Time PCR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0% FBS-DMEM 배지에 2x106 세포를 현탁시켜 60 mm 디쉬에 접종하여 부착시켰다. 하루 후, 1 μg/ml의 리포폴리사카라이드가 함유된 배지로 교체하여 염증을 유발시킨 후, 혼합추출물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했다. 세포의 배지를 제거하고 트라이졸 (Trizol)(Invitrogen, USA) 1 ml를 첨가하여 인비트로젠 사의 RNA 분리법에 따라 RNA를 분리하고 정량한 뒤 1 μg의 RNA로 cDNA를 합성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하였다.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코스모진텍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고,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유전자 서열(5'to 3') 서열번호
iNOS Sense CATTGCTCCCTTCCGAAGTTT 1
Anti-sense GCCTCCTTTGAGCCCTTTG 2
COX-2 Sense GGCCATGGAGTGGACTTAAATC 3
Anti-sense AAGGCGCAGTTTATGTTGTCTGT 4
TNF-α Sense TCTCATCAGTTCTATGGCCCAGA 5
Anti-sense CAGGCTTGTCACTCGAATTTTG 6
IL-6 Sense TCGGCAAACCTAGTGCGTTAT 7
Anti-sense TTTCTGACCACAGTGAGGAATGTC 8
GAPDH Sense GGCATCTTGGGCTACACTGAG 9
Anti-sense GGAAGAGTGGGAGTTGCTGTTG 10
Real-Time PCR을 수행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표 7 및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μg/ml) iNOS (%) COX-2 (%) TNF-α (%) IL-6 (%)
대조군 0.93 0.35 57.10 1.02
리포폴리사카라이드 100.00 100.00 100.00 100.00
실시예 1-1 40 79.58 79.42 88.22 78.88
80 70.90 70.33 80.41 70.41
120 64.37 63.28 72.21 62.31
실시예 1-2 40 82.34 82.87 88.87 82.20
80 76.03 72.22 75.56 72.22
120 65.65 66.26 68.59 67.59
실시예 1-3 40 87.14 87.63 82.63 77.57
80 80.80 76.97 74.63 69.14
120 75.43 63.02 61.35 52.58
실시예 2-3 40 74.24 77.41 79.08 71.60
80 65.26 66.53 69.20 51.07
120 59.22 61.61 60.61 46.95
실시예 2-5 40 50.07 62.95 77.74 66.30
80 26.83 54.78 63.95 31.53
120 17.34 49.57 55.80 17.58
실시예 2-7 40 76.56 74.56 74.40 74.88
80 68.23 68.56 70.23 55.03
120 59.45 58.07 66.07 44.55
표 7 및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5 조건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을 가장 크게 감소시키므로 염증 완화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계면활성제에 의한 피부 자극 유전자 발현 저해 실험
실험예 1 내지 3의 결과를 토대로, 세포독성이 없고 항염 효과가 가장 뛰어난 실시예 2-5의 혼합추출물을 실시예 1-1 내지 1-3의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인간 각질세포주인 HaCaT 세포에 각 시료를 처리한 후, 계면활성제 (SDS, Sodium dodecyl sulfate)를 처리하여 피부 자극을 일으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α 유전자 발현을 Real-Time PCR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0% FBS-DMEM 배지에 HaCaT 세포 약 2x106 cells 를 현탁시켜 60 mm 디쉬에 접종하여 부착시켰다. 하루 후, 각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한 뒤, 10 μg/ml의 계면활성제를 1일 처리하여 자극을 유발시킨 후, 세포의 배지를 제거하고 트라이졸 (Trizol, 인비트로젠 社) 1 ml를 첨가하여 인비트로젠 사의 RNA 분리법에 따라 RNA를 분리하고 정량한 뒤 1 μg의 RNA로 cDNA를 합성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하였다.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코스모진텍 社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고,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유전자 서열(5'에서3') 서열번호
IL-1α Sense TGAATGACGCCCTCAATCAA 11
Anti-sense TATGTAATGCAGCAGCCGTGA 12
β-actin Sense GGCACCCAGCACAATGAAG 13
Anti-sense CCGATCCACACGGAGTACTTG 14
Real-Time PCR을 수행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표 9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 (μg/ml) IL-α(%)
대조구 0.14
계면활성제 (SDS) 100.00
SDS + 실시예 1-1 40 70.39
80 55.08
120 45.90
SDS + 실시예 1-2 40 78.54
80 65.82
120 56.14
SDS + 실시예 1-3 40 72.87
80 63.21
120 53.91
SDS + 실시예 2-5 40 38.54
80 25.82
120 16.14
상기 표 9 및 도 9에서와 같이, 염증 완화 효과가 가장 뛰어난 조합 조건인 실시예 2-5는 실시예 1-1, 1-2 및 1-3과 비교하여 계면활성제로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계면활성제에 의한 피부 자극 완화 단백질 분비 실험
인간 각질세포주인 HaCaT 세포에 시료를 처리한 후, 계면활성제 (SDS, Sodium dodecyl sulfate)를 처리하여 피부 자극을 일으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α 단백질 분비를 ELISA(Enzyme-linked immune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0% FBS-DMEM 배지에 2x105 세포를 현탁시켜 24 웰 디쉬에 접종하여 부착시켰다. 하루 후,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한 뒤, 10 μg/ml의 계면활성제를 처리하여 자극을 유발시켰다. 하루 후, ELISA 플레이트를 수세 용액으로 2회 수세하였다. 희석제(assay buffer)로 농도의존적으로 희석된 표준용액과 1:1로 희석된 배양 배지 시료를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에 biotin이 접합된 항체를 첨가하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플레이트를 수세 용액으로 2회 수세한 후, Streptavidin-HRP 용액을 플레이트에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고, 수세 용액으로 2회 수세하였다. 플레이트에 테트라메틸 벤지딘(tetramethyl benzidine, TMB) 페록시다제 기질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고, 규칙적으로 흔들었다. 정지 용액을 넣어 반응을 종료시킨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단백질의 분비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표 10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 (μg/ml) IL-1α 단백질 분비율(%)
대조군 17.25
계면활성제 (SDS) 100.00
SDS + 실시예 1-1 40 90.03
80 79.69
120 71.45
SDS + 실시예 1-2 40 85.16
80 74.04
120 69.55
SDS + 실시예 1-3 40 80.95
80 78.69
120 75.37
SDS + 실시예 2-5 40 54.04
80 46.97
120 36.37
상기 표 10 및 도 10에서와 같이, 실시예 2-5는 계면활성제로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 단백질 분비를 현저히 감소시켜,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형의 제조
실험예 1 내지 3의 결과를 토대로, 세포독성이 없고 iNOS 활성을 억제하고, iNOS·COX-2·TNF- α·IL-6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실시예 2-5와 같은 제법 및 조성에 해당하는 혼합추출물을 3% 포함하는 크림제형을 표 11과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Water 69.95
혼합 추출물 3.00
Microcare Emollient PTG 5.00
Amigum 0.30
Dermofeel GSC SG 4.50
Myritol 312 15.00
Nafol 1618 2.25
합계 100
실험예 6: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형을 이용한 피부 자극에 대한 보호 효과
상기 실시예 2-5에서 제조한 혼합추출물을 제조예 1의 내용대로 제조한 영양 크림을 이용하여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인체 피부 자극에 대한 효과 시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먼저 시험 부위인 전박 내측면에 4 x 5 cm2 의 크기에 2 mg/cm2의 제조예 1의 제형을 처리한 후 전박 내측을 수세척한 후 항온항습실 (온도 22 ± 2 ℃, 상대습도 50 ± 7.5 %)에서 30분간 머문 뒤, 전박 내측면의 시험 부위에 대한 경피 수분 증발량 측정(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ameter® TM 300)과 홍반 기기 측정 (Erythema, Skin color a*, Chromameter CR 400) 및 피부과 평가(육안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준점, baseline).
그 후 시험 부위인 전박 내측면에 4 x 5 cm2 의 피부에 2 mg/cm2의 제조예 1의 제형을 처리하였으며, 15 분 뒤 5 %의 SDS 단일 패치를 각각의 시험 부위에 약 24시간 동안 적용하였다. 패치 적용 후 약 24시간에 패치를 제거하고 티슈로 피부를 조심스럽게 닦아냈다. 하루 뒤, 피험자를 항온항습실 (온도 22 ± 2 ℃, 상대습도 50 ± 7.5 %)에서 30분간 머물게 한 뒤, 전박 내측면의 시험 부위에 대하여 경피 수분 증발량 측정(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ameter® TM 300)과 홍반 기기 측정 (Erythema, Skin color a*, Chromameter CR 400) 및 피부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DAY 3).
단위면적당 증발되는 수분량(g/(m2h))은 표 12 및 도 11에 나타내었으며, 그 변화량은 도 12에 나타내었다.
표 12,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제형을 처리한 군은 처치를 하지 않은 군이나 플라시보군보다 더 낮은 경피 수분 증발량을 나타내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경과일 시료 평균값
(표준 편차)
측정값 기준점에 대한 차이
기준점(baseline) 무처치 9.36 (2.37) -
플라시보 9.20 (1.75) -
3% 혼합 추출물 9.11 (2.09) -
DAY 3 무처치 28.13 (7.69) 18.53 (6.91)
플라시보 25.66 (8.96) 16.32 (8.30)
3% 혼합 추출물 21.76 (5.95) 12.21 (4.17)
크로마미터(Chromameter)로 측정된 피부 붉기(skin color a*)는 표 13 및 도 13에 나타내었으며, 그 변화량은 도 14에 나타내었다.
표 13,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제조예 1의 제형을 처리한 군은 처치를 하지 않은 군이나 플라시보군보다 홍반 증상이 완화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경과일 시료 평균값
(표준 편차)
측정값 기준점에 대한 차이
기준점(Baseline) 무처치 8.52 (1.50) -
플라시보 8.54 (1.48) -
3% 혼합 추출물 8.62 (1.52) -
DAY 3 무처치 12.11 (1.98) 3.71 (1.88)
플라시보 11.90 (2.27) 3.44 (1.72)
3% 혼합 추출물 11.02 (2.05) 2.34 (1.40)
30명을 대상을 한 피부과 평가(육안 평가) 측정값은 표 14에 나타냈으며, 표의 값은 각 반응을 나타내는 인원수를 의미한다. 피부과 평가 (육안 평가)는 훈련된 grader (피부과 의사)가 다음의 척도에 따라 각 테스트 영역의 객관적인 피부 상태를 평가하였다. [0 = 무자극 (No reaction), 0.5 = 아주 약간의 자극 (very slight), 1 = 저자극 (slight), 2 = 중자극 (Moderate), 3 = 고자극 (Strong)]
표 14에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3 %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군의 경우 무처치 및 플라시보 군보다 피부자극에 대한 반응이 약하게 발생한다.
시료 무 반응
(0)
아주 약한
(0.5)
약한
(1)
보통
(2)
강한
(3)
0 초과
반응의 합
평균값
무처치 DAY1* 25 5 0 0 0 5 0.1
DAY3 0 3 17 10 0 30 1.3
플라시보 DAY1* 26 4 0 0 0 4 0.1
DAY3 0 4 19 7 0 30 1.2
3% 혼합추출물 DAY1* 26 4 0 0 0 4 0.1
DAY3 1 6 19 4 0 29 1.0
*1일차 평가는 기준점으로 정의되었다.
** 표의 값은 반응을 나타내는 인원수를 의미한다.
상기 표 12 내지 표 14 및 도 11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 혼합 추출물은 도포시 피부 장벽을 보호하여 SDS 자극에 의한 경피수분 손실 및 피부 자극에 대한 반응(홍반)이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효과로부터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은 피부자극에 대한 반응을 감소시켜 피부보호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마치현 추출물, 애엽 추출물 및 홍경천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자극에 대한 회복 및 진정 효과
상기 제조예 1에서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제형을 이용하여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인체 피부 자극에 대한 회복 및 진정 효과 시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먼저 시험 부위인 전박 내측면에 4 x 5 cm2 의 크기에 0.5% SDS 단일 패치를 각각의 시험 부위에 약 24시간 동안 적용하였다. 패치 적용 후, 약 24 시간에 패치를 제거하고 티슈로 피부를 조심스럽게 닦아냈다. 하루 뒤, 피험자를 항온항습실 (온도 22 ± 2 ℃, 상대습도 50 ± 7.5 %)에서 30분간 머물게 한 뒤, 전박 내측면의 시험 부위에 대한 경피 수분 증발량 측정(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ameter® TM 300)과 홍반 기기 측정 (Erythema, Skin color a*, Chromameter CR 400) 및 피부과 평가(육안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준점, baseline) (Day 3, baseline). 그런 다음 지정된 시험 부위에 2 mg/cm2의 제조예 1의 제형을 2일간 적용하였다. 이틀 뒤, 피험자를 항온항습실 (온도 22 ± 2 ℃, 상대습도 50 ± 7.5 %)에서 30분간 머물게 한 뒤, 전박 내측면의 시험 부위에 대한 경피 수분 증발량 측정(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ameter® TM 300)과 홍반 기기 측정 (Erythema, Skin color a*, Chromameter CR 400) 및 피부과 평가(육안 평가)를 실시하였다 (Day 5). 추가 3일간 지정된 시험 부위에 2 mg/cm2의 제조된 제형을 적용한 뒤, 피험자를 항온항습실 (온도 22 ± 2 ℃, 상대습도 50 ± 7.5 %)에서 30분간 머물게 한 뒤, 전박 내측면의 시험 부위에 대한 경피 수분 증발량 측정(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ameter® TM 300)과 홍반 기기 측정 (Erythema, Skin color a*, Chromameter CR 400) 및 피부과 평가(육안 평가)를 실시하였다 (Day 8). 단위면적당 증발되는 수분량(g/(m2h))은 표 15에 나타내었으며, 그 회복량은 도 15에 나타내었다.
표 15,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된 제형을 처리한 군은 처치를 하지 않은 군이나 플라시보군보다 경피 수분 손실의 회복량이 높게 나타났다.
경과일 Condition 시료 평균값
(표준편차)
측정값 기준점에 대한 차이
기준점
(Baseline)
무자극 무처치 7.6 (2.2) -
자극 무처치 30.4 (11.4) -
플라시보 31.2 (10.6) -
3% 혼합추출물 32.0 (11.6) -
Day 5 무자극 무처치 7.1 (2.3) -
자극 무처치 19.8 (9.8) -7.7 (5.7)
플라시보 18.8 (5.1) -9.0 (6.5)
3% 혼합추출물 19.1 (6.0) -11.3 (7.4)
Day 8 무자극 무처치 6.8 (2.2) -
자극 무처치 12.5 (3.7) -14.9 (8.1)
플라시보 13.1 (4.2) -14.9 (7.3)
3% 혼합추출물 14.3 (6.2) -17.7 (7.7)
크로마미터(Chromameter)로 측정된 피부 붉기(skin color a*)는 표 16에 나타내었으며, 그 회복량은 도 16에 나타내었다.
표 16에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제조된 제형을 처리한 군은 처치를 하지 않은 군이나 플라시보군보다 홍반 증상이 완화되었다.
Figure 112020023805015-pat00003
피부과 평가(육안 평가) 측정값은 표 1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23805015-pat00004
*3일차 평가는 기준점으로 정의되었다.
상기 표 15 내지 17 및 도 15 내지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 혼합 추출물은 SDS에 의한 피부 자극 후 도포시 피부 장벽을 회복시켜 경피수분 손실 및 피부 자극에 대한 반응(홍반)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효과로부터 본 발명의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은 피부 장벽 강화 내지는 피부자극에 대한 회복, 및 피부 진정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10> SK bioland Co., Ltd. <120>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protection and Alleviation of skin irritation Comprising Extract of Portulaca oleracea, Artemisia argyi and Rhodiola rosea <130> PN190352 <160> 1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OS sense primer <400> 1 cattgctccc ttccgaagtt t 21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OS Anti-sense primer <400> 2 gcctcctttg agccctttg 19 <210> 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X-2 Sense primer <400> 3 ggccatggag tggacttaaa tc 22 <210> 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X-2 Anti-sense primer <400> 4 aaggcgcagt ttatgttgtc tgt 23 <210> 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lpha Sense primer <400> 5 tctcatcagt tctatggccc aga 23 <210> 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lpha Anti-sense primer <400> 6 caggcttgtc actcgaattt tg 22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 Sense primer <400> 7 tcggcaaacc tagtgcgtta t 21 <210> 8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 Anti-sense primer <400> 8 tttctgacca cagtgaggaa tgtc 24 <210> 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Sense primer <400> 9 ggcatcttgg gctacactga g 21 <210> 1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Anti-sense primer <400> 10 ggaagagtgg gagttgctgt tg 22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 alpha Sense primer <400> 11 tgaatgacgc cctcaatcaa 20 <210> 1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 alpha Anti-sense primer <400> 12 tatgtaatgc agcagccgtg a 21 <210> 1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eta-actin sense primer <400> 13 ggcacccagc acaatgaag 19 <210> 1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eta-actin Anti-sense primer <400> 14 ccgatccaca cggagtactt g 21

Claims (9)

  1.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혼합추출물은 마치현, 애엽, 홍경천의 혼합 중량비가 10:1:1이며,
    상기 마치현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은 물 및 에탄올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이고, 상기 홍경천 추출물은 메탄올 용매로 추출한 것이며,
    상기 애엽 추출물은 추출물 총 중량 대비 Isosecotanapartholide 함량이 10~20%(w/w)이며, 상기 홍경천의 추출물은 추출물 총 중량 대비 Rosavin 함량이 10~20%(w/w)인,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장벽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3.0중량%로 함유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자극으로 인한 홍반을 감소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혼합추출물은 마치현, 애엽, 홍경천의 혼합 중량비가 10:1:1이며,
    상기 마치현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은 물 및 에탄올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이고, 상기 홍경천 추출물은 메탄올 용매로 추출한 것이며,
    상기 애엽 추출물은 추출물 총 중량 대비 Isosecotanapartholide 함량이 10~20%(w/w)이며, 상기 홍경천의 추출물은 추출물 총 중량 대비 Rosavin 함량이 10~20%(w/w)인, 피부보호 및 피부장벽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삭제
KR1020200028003A 2020-03-05 2020-03-05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0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003A KR102350141B1 (ko) 2020-03-05 2020-03-05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202110254860.8A CN113350232B (zh) 2020-03-05 2021-03-05 含马齿苋、艾叶及红景天的混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护及刺激缓解用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003A KR102350141B1 (ko) 2020-03-05 2020-03-05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490A KR20210113490A (ko) 2021-09-16
KR102350141B1 true KR102350141B1 (ko) 2022-01-11

Family

ID=7752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003A KR102350141B1 (ko) 2020-03-05 2020-03-05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0141B1 (ko)
CN (1) CN1133502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9645B (zh) * 2022-05-30 2023-07-14 诺德溯源(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抑制trpv1通路减少皮肤刺激的组合物及护肤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0444A (zh) * 2015-10-30 2016-01-20 关美玲 一种治疗皮肤瘙痒的中药搽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911A (ko) * 2000-05-12 2002-01-09 성재갑 항염, 항자극 효과가 있는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JP2004018492A (ja) * 2002-06-19 2004-01-22 Ichimaru Pharcos Co Ltd ヒスタミン遊離抑制剤及び抗アレルギー剤並びに化粧料組成物
KR20040063108A (ko) 2004-06-24 2004-07-12 구정오 건반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4049B1 (ko) * 2006-11-13 2008-05-30 황백 홍경천의 세포 현탁배양 배지 및 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홍경천 세포를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사료
KR20130035408A (ko) * 2011-09-30 2013-04-09 (주)아모레퍼시픽 오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KR101577792B1 (ko) * 2012-10-09 2015-12-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마치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136763A (ko) * 2013-05-21 2014-12-01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20140137144A (ko) * 2013-05-22 2014-12-02 주동조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5949B1 (ko) * 2014-03-27 2015-12-10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우울제 조성물
KR101831883B1 (ko) * 2015-05-26 2018-04-16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05213556A (zh) * 2015-09-30 2016-01-06 罗奕珺 一种治疗皮肤瘙痒的中药搽剂及其制备方法
KR101873218B1 (ko) * 2016-07-29 2018-07-03 코스맥스 주식회사 홀리바질, 박하, 님나무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자극 및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1908678B1 (ko) * 2016-11-22 2018-10-16 주식회사 트루자임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발효 조성물
CN107669935A (zh) * 2017-11-16 2018-02-09 柴为智 一种中药抗过敏美容面膜及其制备方法
CN107854367B (zh) * 2017-12-19 2020-11-10 广州源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敏感肌肤修复的精华液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0444A (zh) * 2015-10-30 2016-01-20 关美玲 一种治疗皮肤瘙痒的中药搽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490A (ko) 2021-09-16
CN113350232A (zh) 2021-09-07
CN113350232B (zh)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0067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2421A (ko) 감국 추출물을 이용한 멜라닌 저색소증 개선제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3166B1 (ko) 티트리잎, 쑥, 메밀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재생, 탄력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50141B1 (ko)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11939A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139328B1 (ko) 두충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 또는 피부 홍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6629B1 (ko)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
KR102525579B1 (ko)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8589A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9463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102147641B1 (ko) 피라칸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9315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진정용 조성물
KR100589667B1 (ko)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0781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102542032B1 (ko) 왕벚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1081B1 (ko) 항염증, 항산화, 항균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2487B1 (ko)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
EP2512495B1 (en) Process for obtaining a standardised extract of quercetin an 3-o-methylquercetin from flowers of macela (achyrocline satureioides), an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aid ex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