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5408A - 오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408A
KR20130035408A KR1020110099693A KR20110099693A KR20130035408A KR 20130035408 A KR20130035408 A KR 20130035408A KR 1020110099693 A KR1020110099693 A KR 1020110099693A KR 20110099693 A KR20110099693 A KR 20110099693A KR 20130035408 A KR20130035408 A KR 20130035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skin irritation
extract
irr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
김수나
김아름
박원석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099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5408A/ko
Priority to JP2012211041A priority patent/JP6232180B2/ja
Priority to CN201210365432.3A priority patent/CN103027875B/zh
Publication of KR20130035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및 민감성 두피를 위한 헤어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오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ducing Skin Irritation comprising Prunus mume extracts}
본 발명은 오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레티노이드는 각질 형성 세포에 작용하여 세포 분화를 촉진하고, 콜라겐 및 엘라스틴 생성을 증가시켜 두꺼운 점액층을 형성하며, 각질화를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증가시키고 주름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므로,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레티노이드를 피부에 도포하면 피부를 자극하여 피부 건조, 홍반, 각질, 가려움 또는 화끈거림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를 레티노이드 피부염(retinoid dermatitis)라고 한다. 또한 화장품 조성물 등의 제형화를 위해 첨가되는 계면 활성제도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는 주 원인 물질로 작용한다.
특히, 민감성 피부를 가진 이들에게 레티노이드 또는 계면 활성제에 의한 피부 트러블이 더 잘 발생하므로, 이들이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고자 할 때 더욱 문제가 된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0-0042414호 명세서 (2010.04.26. 공개) 한국특허공개 제10-2003-0015654호 명세서 (2003.02.25. 공개)
본 발명의 일측면은 피부 자극을 완화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피부를 자극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및 헤어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오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상기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상기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민감성 두피를 위한 헤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오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 건조, 홍반, 각질, 가려움 또는 화끈거림과 같은 피부 자극을 완화할 수 있으며, 특히 레티노이드 또는 계면 활성제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및 헤어용 조성물은 오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를 자극하지 않아 민감성 피부 또는 민감성 두피를 가진 사람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오매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레티노산 또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에 의한 IL-6 분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오매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레티노산 또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에 의한 IL-8 분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오매 추출물의 레티노산에 의한 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오매 추출물의 소듐라우릴설페이트에 의한 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이토카인(cytokine)은 신체의 방어 체계를 제어하고 자극하는 신호 물질로서, 피부 자극 반응 또는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염증 매개 인자이다. 특히, IL-8(Interleukin-8)은 레티노이드에 의한 피부 자극 반응에 관여하고, IL-6(Interleukin-6)는 계면 활성제에 의한 피부 자극 및 피부 염증 반응에 관여한다. 따라서 이러한 염증 매개 인자의 분비를 억제하는 물질은 피부 자극을 완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오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오매 추출물은 염증 매개 인자인 IL-6 및 IL-8의 분비를 억제하여 피부 자극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매"는 매실나무(Prunus mume)의 말린 미성숙 열매를 의미한다.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그 안의 성분을 추출함로써 얻어진 물질이라면, 추출 용매, 추출 방법,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오매 추출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한 오매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오매 추출물은 오매의 열수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용매는 유기 용매, 구체적으로 C1 내지 C5의 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은 피부 자극에 의한 피부 건조, 홍반, 각질, 가려움 또는 화끈거림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피부 자극은 피부 외용제에 의한 피부 자극, 구체적으로 피부 외용제 내 레티노이드 또는 계면 활성제에 의한 피부 자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자극을 쉽게 받아들이고 이에 쉽게 반응하는 민감성 피부에 대한 피부 자극을 완화함에 있어,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레티노이드는 비타민 A 유도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구체적으로 레티놀, 레티날 및 레티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계면 활성제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SLS)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민감성 피부는 자극을 쉽게 받아들이고 이에 쉽게 반응하는 피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10 중량%, 더 구체적으로 0.01 내지 5 중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 0.01 내지 2 중량%의 오매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매 추출물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안전성 및 제형 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오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레티노이드 또는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민감성 피부는 자극을 쉽게 받아들여 반응하므로 레티노이드 또는 계면 활성제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에 더욱 잘 반응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오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람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制汗)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오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민감성 두피를 위한 헤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민감성 두피는 자극을 쉽게 받아들여 반응하므로 레티노이드 또는 계면 활성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는 헤어용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에 더욱 잘 반응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헤어용 조성물은 오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민감성 두피를 가진 사람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한 제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헤어용 조성물은 헤어 샴푸, 헤어 컨디셔닝,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에센스, 헤어 세럼, 헤어 로션, 헤어 크림, 두피 헤어토닉, 두피 에센스, 두피 크림, 헤어젤, 헤어 스프레이 및 헤어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형들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첨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오매 추출물의 제조
오매를 이용하여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오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오매를 30% 1,3-부틸렌 글리콜(1,3-buthylene glycol)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3일간 침출시켰다. 이어, 250 메쉬, 3㎛, 1㎛, 0.5㎛ 크기의 여과기로 순차적으로 여과하였다. 이후, 0~4℃에서 3일간 방치(Standing)한 다음, 0.5㎛, 0.3㎛, 0.2㎛ 크기의 여과기로 순차적으로 여과하여 오매 1,3-부틸렌 글리콜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자극에 의한 염증 매개 인자 분비 억제 효과 평가
시험 세포인 각질형성세포 (세포주명: HaCaT 입수처: Dr. N.E. Fusenig,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Heidelberg, Germany)를 10%의 우태아 혈청 (Fetal bovine sereum, FBS, 입수처:Gibco, USA)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Penicillin-Streptomycin, 입수처: Gibco, USA)를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입수처: Lonza, USA) 배지를 이용하여,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약 4 x 104 세포수/웰의 밀도로 분주한 후, 37℃, 5% CO2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한 후, 인산염완충용액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200㎕로 1회 세척하고, 우태아 혈청이 함유되지 않는 DMEM 배지 200㎕를 넣어 6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1%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오매 추출물을 하기 표에 언급한 농도로 30분간 처리한 후, 10 μM 농도의 레티노산(retinoic acid, 입수처: Sigma-Aldrich, USA) 또는 10 ppm 농도의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SLS)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배양액 50㎕를 취한 다음 ELISA 법을 이용하여 IL-6, IL-8 엘라이자 키트(ELISA kit)(입수처: BD pharmigen, USA)를 이용하여, 이들 염증 매개 인자의 유리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억제능은 표준 물질인 rh IL-6, rh IL-8(입수처: BD pharmigen, USA)의 흡광도를 토대로 표준 곡선을 그려 흡광도와 표준 물질간의 반응식을 구한 후, 처리 물질의 흡광도를 대입하여 이들 염증 매개 인자의 분비량을 얻었으며, 이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아래의 공식에 의해 염증 매개 인자 억제율(%), 즉 자극 완화율(%)을 평가하고,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염증 매개 인자 억제율(%) = 100 x [1-(물질 처리군에서의 염증 매개 인자 분비량/ 레티노산(retinoic acid) 또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SLS) 단독 처리군에서의 염증 매개 인자 분비량)]
자극 물질 시험 농도(%) IL-6 억제율(%) IL-8 억제율(%)
레티노산(10μM) 오매추출물 0.02 29.9 19.7
오매추출물 0.1 69.4 62.6
오매추출물 0.5 81.1 91.8
오매추출물 2.5 99.0 88.0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0ppm) 오매추출물 0.02 8.1 18.2
오매추출물 0.1 19.3 32.8
오매추출물 0.5 43.6 49.9
오매추출물 2.5 53.4 77.0
표 1,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오매 추출물은 레티노산 및 소듐라우릴설페이트에 의한 염증 매개 인자의 분비를 억제할 수 있으며, 그 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오매 추출물이 레티노이드와 계면 활성제에 의한 자극을 완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자극에 의한 세포 사멸 억제 효과 평가
실험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각질형성세포를 처리하고, 처리한 각질형성세포에 1% 오매 추출물을 30분간 처리하였다. 이후 각각 0, 10, 100, 500 및 1,000 ppm의 레티노산 및 0, 100, 500 및 1,000 ppm의 소듐라우릴설페이트를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WST-1 분석법을 기반으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사멸 정도를 평가하였다. 무처리군과 대비한 결과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오매 추출물은 레티노산 및 소듐라우릴설페이트에 의한 세포 사멸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오매 추출물이 레티노이드와 계면 활성제에 의한 자극을 완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화장수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한다.
함량(중량%)
오매 추출물 2.0
레티노산 0.5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 크림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영양 크림을 제조한다.
함량(중량%)
오매 추출물 1.0
레티노이드 0.5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락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헤어 샴푸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헤어 샴푸를 제조한다.
함량(중량%)
오매 추출물 2.5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5.0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0.3
세틸알코올 0.6
코카마이드엠이에이 1.0
구아하이드록시트리모늄클로라이드 0.2
구연산 0.05
방부제, 항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연고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함량(중량%)
오매 추출물 0.1
레티놀 0.5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Claims (10)

  1. 오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피부 자극에 의한 피부 건조, 홍반, 각질, 가려움 또는 화끈거림을 완화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피부 자극은 피부 외용제에 의한 피부 자극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에 의한 피부 자극은 피부 외용제 내 레티노이드 또는 계면 활성제에 의한 피부 자극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레티노이드는 레티놀, 레티날 및 레티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피부는 민감성 피부를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오매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민감성 두피를 위한 헤어용 조성물.
KR1020110099693A 2011-09-30 2011-09-30 오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KR20130035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693A KR20130035408A (ko) 2011-09-30 2011-09-30 오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JP2012211041A JP6232180B2 (ja) 2011-09-30 2012-09-25 烏梅抽出物を含む皮膚刺激緩和用組成物
CN201210365432.3A CN103027875B (zh) 2011-09-30 2012-09-27 含有乌梅提取物的缓解皮肤刺激用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693A KR20130035408A (ko) 2011-09-30 2011-09-30 오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408A true KR20130035408A (ko) 2013-04-09

Family

ID=48015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693A KR20130035408A (ko) 2011-09-30 2011-09-30 오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32180B2 (ko)
KR (1) KR20130035408A (ko)
CN (1) CN10302787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527A1 (ko) * 2017-09-21 2019-03-28 (주)아모레퍼시픽 매화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CN113350232A (zh) * 2020-03-05 2021-09-07 株式会社现代百朗德 含马齿苋、艾叶及红景天的混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护及刺激缓解用化妆品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0428A (zh) * 2015-11-09 2016-01-20 广州丹奇日用化工厂有限公司 一种植物提取物及其应用
EP3603610B1 (en) * 2017-03-30 2023-08-23 Mandom Corporation Trpa1 activity inhibitor
CN113181089B (zh) * 2021-03-23 2022-10-11 太和康美(北京)中医研究院有限公司 一种舒缓修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648A (ja) * 2001-03-27 2002-10-03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育毛剤組成物
CN1394568A (zh) * 2001-07-06 2003-02-05 陈辉年 洗发护发液的植物添加剂
CN1397294A (zh) * 2001-07-13 2003-02-19 金蕙芬 一种含有红枣和乌梅的中药外用皮肤搽剂的配制方法
KR100937339B1 (ko) * 2007-07-20 2010-01-2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동백꽃, 금은화, 이화, 회화, 백련화, 홍화 및 매화의 혼합 추출물로 구성된 칠화수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9649B1 (ko) * 2008-06-24 2015-05-13 (주)아모레퍼시픽 뉴로코스메틱 피부 미용방법, 피부 미용 물질 스크리닝방법 및 피부 미용 물질
KR101736979B1 (ko) * 2010-09-08 2017-05-19 (주)아모레퍼시픽 오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527A1 (ko) * 2017-09-21 2019-03-28 (주)아모레퍼시픽 매화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CN113350232A (zh) * 2020-03-05 2021-09-07 株式会社现代百朗德 含马齿苋、艾叶及红景天的混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护及刺激缓解用化妆品组合物
CN113350232B (zh) * 2020-03-05 2023-07-21 株式会社现代百朗德 含马齿苋、艾叶及红景天的混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护及刺激缓解用化妆品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79233A (ja) 2013-05-02
CN103027875B (zh) 2017-10-27
CN103027875A (zh) 2013-04-10
JP6232180B2 (ja)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0052A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20120000880A (ko)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69756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5408A (ko) 오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KR101781466B1 (ko)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30031988A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81328A (ko) 상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14533722A (ja) 白色シマカンギク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252554B1 (ko) 피지분비 억제용 조성물
KR101922089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8186B1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4534B1 (ko)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1692B1 (ko)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1762B1 (ko) 캐비어 추출물 및 비타민 c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9755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05297A (ko) 피지 감소 및 여드름 완화용 조성물
KR20120075766A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80081329A (ko)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877803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4856913A (zh) 一种抗衰老化妆水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