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763A -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763A
KR20140136763A KR20130057250A KR20130057250A KR20140136763A KR 20140136763 A KR20140136763 A KR 20140136763A KR 20130057250 A KR20130057250 A KR 20130057250A KR 20130057250 A KR20130057250 A KR 20130057250A KR 20140136763 A KR20140136763 A KR 20140136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lotion
inhibitio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7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호
김영희
김진국
김지연
유희종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20130057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6763A/ko
Publication of KR20140136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또는 항히스타민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에 함유되는 홍경천 추출물은 P 물질 분비 저해, CGRP 분비 저해, 히스타민 유리 저해, 인터페론 감마 유리 저해를 통해 항스트레스 효과를 나타내므로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과 약학 조성물로서 융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홍경천 추출물은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의 유리를 억제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항히스타민제로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antistress comprising extracts of Rhodiola rosea}
본 발명은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또는 항히스타민제를 제공한다.
스트레스란 내부, 외부의 압력을 조정하고 그것에 적응하려는 각 개인의 심리적, 행동학적 반응을 총칭한다. 생존을 위협하는 실제적, 상징적, 가상적 스트레스요인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생체는 일련의 반응을 보이게 된다. 이 반응의 목적은 Claude Bernard가 내부 환경이라 일컬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스트레스 요인은 개체의 평형을 깨뜨리는데, 개체는 이에 반응하여 생리적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이에 적응하고 항상성을 회복한다. 스트레스는 정신적 측면에서는 각성수준, 기억, 정서 등 심리적인 항상성의 변화를, 생물학적 측면에서는 뇌하수체-부신 축 활성화와 관련된 내분비계, 자율신경계, 면역계 등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행동적 측면에서는 대처, 운동계 등 다양한 적응적 행동변화를 일으킨다. 스트레스반응은 기본적으로 생존을 위한 적응반응이지만,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불안장애와 우울증의 증상을 야기할 수 있으며, 만성적으로 오랜기간 지속되면 신체적인 손상이 올 수도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환의 병태생리와 관련해서 스트레스의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탐구하는 연구가 오랫동안 진행되어 왔다.
심리적 스트레스로 자극을 받으면 신체는 호르몬 분비 및 신경전달 물질의 변화가 나타난다. 코르티코트로빈 방출호르몬(CRH)과 같은 뇌하수체 호르몬의 생성이 증가하고, 신경전달물질인 P 물질(Substance P), 칼시토닌 유전관련 펩타이드(calcitonin gene related protein, CGRP) 등이 스트레스에 의해서 그 분비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혈관내피의존성 혈관확장, 비만세포의 탈과립 유도, 염증세포 이주 및 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P 물질과 피부의 악화와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근거가 된다.
이들 중에서 P 물질은 타키키닌 류에 속하는 신경전달 펩티드로서 통증전달에 관여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P 물질은 혈류량 증가, 혈관확장, 비만세포의 과립화 등을 유도하며, 특히 피부의 각질형성세포 등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P 물질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트러블을 개선시킬 수 있다.
비만세포(mast cells)는 대부분의 기관과 조직에 분포하고 있으며, 알레르기(allergy) 및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와 같은 염증반응의 중요한 유발세포이다. 특히 아나필락시스 반응은 비만세포의 FcεRI에 결합된 IgE에 항원이 결합함으로써 유리되는 히스타민과 다양한 염증반응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발되는데, 이중 히스타민이 즉각적인 과민반응의 가장 강력한 혈관 반응 매개물질이다.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유리는 합성 화합물인 compound 48/80에 의해서도 유도되므로 아나필락시스 반응의 기전 연구는 물론 예방 및 치료제 탐색에도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인터페론-감마(INF-γ)는 면역조절물질인 사이토카인(cytokines)의 한 종류로서, 임상적으로 림프구들과 기타 면역세포들의 활성을 강화하거나 (Wu L. et al., Science, 309(5735): 774-7 (2000)), B형 및 C형 만성 간염 등의 급성 염증을 억제하거나, 다발성 골수종 등을 포함한 각종 암 및 박테리아나 진균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홍경천(Rhodiola rosea Linne)은 우리나라 북부 지방의 백두산, 포태산, 낭림산의 산꼭대기 부근 바위틈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특히 백두산의 해발 1천 8백 미터에서 2천 3백 미터 사이의 이끼 낀 원시림 속 자작나무 숲과 협곡의 바위틈에서 많이 자란다. 참돌꽃이라고도 부르며 비슷한 약효가 있는 식물로 돌꽃, 기린초, 애기 기린초, 낙지다리, 큰꿩의 비름, 섬기린초 등이 우리나라의 중부 와 북부 지방에 자라고 있다. 줄기는 6-30센티미터쯤 자라고 잎은 길쭉하고 둥근 숟가락 모양인데 아래쪽은 드문드문 붙고 위쪽은 빽빽하게 붙는다. 굵은 뿌리는 바로 뻗기도 하고 옆으로 뻗기도 한다. 꽃은 줄기 끝에 노란색으로 모여서 피는데 암꽃과 수꽃이 다른 포기에 핀다. 꽃이 지고 난 뒤에 길이 6-8밀리미터쯤 피침 꼴의 열매기 4개 달린다.
홍경천은 전초를 약으로 쓸 수도 있지만 대개 굵은 뿌리를 약으로 쓴다. 최근 중국에서 홍경천이 인삼을 능가하는 약리작용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인삼이 가진 부작용이 전혀 없는 새로운 약물이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홍경천은 자음강장약으로 노쇠를 막고 피로를 풀어 주며, 병후에 원기를 보충하여 주고,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하는 작용이 있다. 노인성 심장병, 음위증, 당뇨병, 관절염, 폐결핵, 빈혈, 간염, 저혈압, 식물 신경 실조증, 두통, 산후풍, 건망증, 불면증 등의 갖가지 질병에 모두 좋은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홍경천 추출물에 관한 선행발표의 예를 보면, 홍경천 추출물, 홍경천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이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한국 특허등록 제100999872호), 홍경천을 이용한 항당뇨 복합조성물(한국 특허출원 제102007010947호),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조성물(한국 특허등록 제100445404호), 홍경천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강장제(한국 특허출원 제1020000003499호), 홍경천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제 조성물(한국 특허등록 제100386809호), 홍경천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암조성물(한국 특허출원 제1020020052688호), 항산화 활성 및 DNA 손상억제 활성물질로서의 홍경천 및 포도씨 추출물(한국 특허출원 제1020030027528호),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한 수렴 화장료 조성물(한국 특허출원 제1019970070601호), 식물 당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한국 특허출원 제1020110023435호)에 관련한 특허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P 물질 분비, CGRP 분비, 히스타민 유리의 저해 효과를 가지는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한 항스트레스 조성물과는 무관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스트레스 효과를 가지는 천연물을 스크리닝한 결과, 홍경천 추출물이 P 물질 분비, CGRP 분비, 히스타민 유리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P 물질 분비 저해, CGRP 분비 저해, 히스타민 유리 저해, 인터페론 감마 유리 저해를 통해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히스타민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홍경천 추출물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스트레스 자극을 받으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진 신경전달물질인 P 물질(Substance P), 칼시토닌 유전관련 펩타이드(calcitonin gene related protein, CGRP)의 분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들 물질은 혈관내피의존성 혈관확장, 비만세포의 탈과립 유도, 염증세포 이주 및 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의 원인과 P 물질과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근거가 된다. 도 1은 다양한 원인으로 유발되는 스트레스에 의한 P 물질과 CGRP의 발생 기전을 설명한 그림이다.
특히 상기 P 물질은 타키키닌류에 속하는 신경전달 펩티드로 통증전달에 관여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P 물질은 혈류량 증가, 혈관확장, 비만세포의 과립화 등을 유도하며, 특히 피부의 각질형성세포 등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europeptide. 2006, 40, 251-263). 따라서 P 물질의 생성을 억제는 혈류량 증가, 혈관확장, 비만세포의 과립화 등을 감소시킴으로써 스트레스의 개선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홍경천 추출물은 히스타민 유리 저해, 인터페론 감마(INF-γ) 유리 저해를 통해 항스트레스 효과를 나타낸다. 신체적 스트레스는 신체 외부의 항원으로 인한 과민반응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므로, 외부 항원에 대항하는 면역세포의 활성을 강화시키는 인터페론 감마의 유리를 억제하고 과민반응을 억제하는 히스타민의 유리를 감소시킴으로써 결국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히스타민제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항히스타민제의 유효성분으로서 홍경천 추출물은,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 유리를 억제함으로써 히스타민에 의해 유발되는 과민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히스타민제’는 약리기전에 관한 표현이지만 약효로 당업계에 인식되어 있어서 의약으로서의 용도가 명확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알레르기성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주요세포로 알려진 비만세포를 이용한 히스타민 효소결합면역흡착 검사법을 통해 홍경천 추출물이 히스타민 유리율을 감소시킴으로써 항히스타민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참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 추출물은 홍경천 식물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식물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든 추출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이다.
상기 극성 용매는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 알코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일 수 있고 상기 비극성용매는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에테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 추출물은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유효량으로 함유될 수 있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조성물이 화장료로서 이용되는 경우,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잔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필수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 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 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 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린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1 내지 10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특히 투여 방법은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 홍경천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홍경천 추출물들의 수득과정을 살펴보면, 건조된 홍경천를 건조중량에 대해서 추출용매로 정제수를 포함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칠, 부틸렌글리콜, 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에 가용한 추출물을 바람직하게 10 내지 20배 부피의 양을 넣고 상온 또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95℃, 4-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37℃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한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그 건조중량으로서 본 발명의 홍경천 조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홍경천 추출물은 P 물질 분비 저해, CGRP 분비 저해, 히스타민 유리 저해, 인터페론 감마 유리 저해를 통해 항스트레스 효과를 나타내므로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과 약학 조성물로서 융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홍경천 추출물은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의 유리를 억제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항히스타민제로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원인으로 유발되는 스트레스에 의한 P 물질과 CGRP의 발생 기전을 설명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 추출물의 CGRP 저해 실험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 추출물의 P 물질 저해 실험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 추출물의 히스타민 유리 저해 실험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홍경천 추출물의 INF-gamma 저해 실험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조추출물의 제조
1-1. 홍경천 70% 에탄올 가용 조추출물의 제조
홍경천 1 kg을 70%(w/w) 에탄올 10 L에 넣고 상온에서 4일간 숙성한 후 25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건조된 조추출물 93 g을 수득하였다.
1-2. 홍경천 물 가용 조추출물의 제조
홍경천 1 kg을 물 10 L에 넣고 60℃에서 6시간 추출한 후 25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건조된 조추출물 88 g을 수득하였다.
1-3. 홍경천 100% 메탄올 가용 조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고 100%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물 9.1L, 조추출물 97 g을 수득하였다.
1-4. 홍경천 95% 에탄올 가용 조추출물의 제조
홍경천 1 kg을 95%(w/w%) 에탄올 10 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70℃에서 3시간 가열, 추출하였다. 25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15℃에서 7일간 방치하였다. 최종 0.45 μm 필터로 여과하여 추출물 8.5 L (고형분 89 g)을 얻었다.
1-5. 홍경천 30% 에탄올 가용 조추출물의 제조
홍경천 1 kg을 30%(w/w) 에탄올 10 L에 넣고 상온에서 4일간 숙성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건조된 조추출물 91 g을 수득하였다.
1-6. 홍경천 30% 부틸렌글리콜 가용 조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고 30% 부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추출물 8.7 L (고형분 87.3 g)을 수득하였다.
1-7. 홍경천 30% 프로필렌글리콜 가용 조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하고, 30% 프로필렌글리콜을 이용하여 추출물 8.4 L (고형분 89.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의 제조
2-1. 홍경천 n-헥산 용매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얻은 추출물 고형분 중 50 g을 500 ml의 정제수에 분산시킨 후, n-헥산 500 ml을 넣어 진탕하여 실온에서 2~3시간정도 방치한 후, 상층과 하층으로 나누고, 상층액(n-헥산)을 회수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3회 실시하여 얻은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액 파우더 6.4 g을 얻었다.
2-2. 홍경천 에틸아세테이트 용매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1에서 남은 하층액(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 500 ml을 넣고 진탕하여 실온에서 2~3시간정도 방치한 후, 상층과 하층으로 나누고, 상층액(에틸아세테이트)을 회수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3회 실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액 파우더 15.8 g을 얻었다.
실시예 3.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의 제조
3-1. 홍경천 n-부탄올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2에서 남은 하층액(물층)에 n-부탄올 500 ml을 넣고 진탕하여 실온에서 2~3시간정도 방치한 후, 상층과 하층으로 나누고, 상층액(부탄올)을 회수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3회 실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추출액 파우더 16.9 g을 얻었다.
3-2. 홍경천 물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3-1에서 남은 하층액(물층)을 감압농축하여 추출액 파우더 18.5 g을 얻었다.
실험예 1. 세포독성에 관한 실험(MTT assay)
상기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렛트 갈색세포종 세포(rat pheochromocytoma cells (PC-12(CRL-1721), ATCC, 미국)를 배양하여 문헌에 기재된 MTT법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reduction test) (A. A. Van de Loosdrecht, et al., J. Immunol . Methods, 141(1), 15 (1991))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MTT assay는 세포증식이나 독성 측정에 사용되는 실험법으로,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숙신산탈수소효소(succinate dehydrogenase 또는 mitochondrial dehydrogenase)에 의해 황색 수용성염인 MTT가 불수용성인 자주색의 포르마잔 유도체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으로 생성된 포르마잔 유도체는 용해제 (DMSO 또는 2-propanol)를 넣고 용해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한다.
렛트 갈색세포종 세포를 2×106 cells/well의 밀도로 우태아혈청(Fetal calf serum, FCS; GiBCO) 1%, 말혈청(Horse serum, HS; GiBCO), 100 units/ml 페니실린 및 100 μg/ml의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한 RPMI-1640(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GIBCO) 배지가 담긴 24웰 배양플레이트에서 37℃, 5% CO2 환경으로 1일 배양한 후 혈청이 첨가되지 않은 RPMI-1640 배지로 교체하고, 실시예 1-1의 홍경천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MTT 용액(2.5 mg/ml; Sigma, 미국)을 웰당 0.1 ml씩 첨가하여 37℃에서 4시간 반응 후 MTT 용액을 제거하고 DMSO를 웰당 0.5 ml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포르마잔 유도체를 녹인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음성대조군과 흡광도 차이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은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계산식 1]
Figure pat00001
시 료 세포 생존율(%)
Control 100
실시예 1-1
(㎎/㎖)
0.000128 101
0.00064 102
0.0032 102
0.016 105
0.08 102
0.4 9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홍경천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CGRP and substance P release ELISA
감각신경세포(sensory neurons form dorsal root ganglia (DGR) of newborn Wistar rats (R-DRG-505, Lonza, 스위스)를 배양하여 문헌에 기재된 CGRP 효소결합면역흡착 검사법과 substance P 효소결합면역흡착 검사법을 진행하였다. 감각신경원을 자극하여 substance-P와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와 같은 피부신경펩티드(cutaneous neuropeptides)들을 유리시켜 신경성 염증반응을 야기시킨다고 알려져 있는 캡사이신(capsaicin)을 자극제로 사용하였다. 5×103 cells/well의 밀도로 DMEM-Ham F12(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Nutrient Mixture F-12; GIBCO)에 N2(E1521; sigma) complement 1%, 항생제(Penicillin 50 U/ml Streptomycin 50 μg/ml), L-glutamine(GIBCO) 2 mM , Nerve Growth Factor beta (NGF-β, BioVison;P01139) 20 ng/ml, Neurotrophin 3 (NT-3, GENTAUR, BB-EK0474) 5 ng/ml 배지가 담긴 96웰 배양플레이트에서 37℃, 5% CO2 환경으로 6일 배양한 후 capsazepine (TRPV1 antagonist at 30 ), capsaicin (Sigma,M2028) 0.3 및 실시예 1-1의 홍경천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고 30분 동안 배양한 DMEM-Ham F12 배지로 교체하였다. 자극요소들이 첨가된 배지를 30분 동안 배양시켰다. 1웰은 blank로 5웰은 각각 1/2로 희석한 standard 50 μl 첨가 후 즉시 50 μl의 detection reagent A를 첨가하고 플레이트에 커버를 씌운 뒤 37℃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플레이트 안에 있던 용액들을 버리고 각 웰에 1x wash buffer 350 μl 첨가 후 1~2분 반응시킨 후 wash buffer를 버렸다. 위와 같은 과정을 3번 반복하며 마지막 과정에서 wash buffer가 남지 않도록 하였다. Detection reagent B 100 μl 첨가한 다음 플레이트에 커버를 씌우고 37℃에서 30분 배양하였다. 플레이트 안에 있던 용액들을 버리고 각 웰에 1x wash buffer 350 μl 첨가 후 1~2분 반응시킨 후 wash buffer를 버리는 과정을 5번 반복하였다. Substrate solution 90 μl 첨가 후 새 커버로 플레이트를 감싸고 15~25분 37℃ 암실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시간은 30분을 넘지 않도록 하며 substrate solution 첨가 시 파란색을 띄게 된다. Stop solution 50 ㎕ 첨가 후 노란색으로 용액이 변하는 것을 확인한 후 잘 섞이도록 하며, 플레이트에 지문이 묻지 않도록, 웰 안에 거품이 없도록 하여 450 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CGRP 효소결합면역흡착 검사법은 하기 표 2로, substance P 효소결합면역흡착 검사법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 료 CGRP 유리율(%)
Control 16
Capsaicine 0.3(μM) Control 100
Capsazepine
(mg/ml)
0.011 46
RHODIOLA EXTRACT
(mg/ml)
0.0022 91
0.066 78
0.2 52
시 료 Substance P 유리율(%)
Control 3
Capsaicine 0.3(μM) Control 100
Capsazepine
(㎎/㎖)
0.011 24
RHODIOLA EXTRACT
(㎎/㎖)
0.0022 66
0.066 39
0.2 9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상기 추출물 농도에 따라 처리한 결과 0.0022, 0.066, 0.2 ㎎/㎖ 농도에서 CGRP 유리율이 각각 9%, 22%, 48%가 감소하는 효과를 얻었고, 표 3에서와 같이, 상기 추출물 농도에 따라 처리한 결과 0.0022, 0.066, 0.2 ㎎/㎖ 농도에서 Substance P 유리율이 각각 34%, 61%, 91%가 감소하는 효과를 얻었다. 이로부터 CGRP, Substance P 분비 저해를 통하여 피부에서 항스트레스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험예 4. 히스타민 release ELISA
상기 실시예 1-1의 홍경천 추출물을 렛트 비만세포(mast cell line, RBL-2H3, ATCC, 미국)를 배양하여 히스타민 효소결합면역흡착 검사법을 진행하였다. 많은 알레르기성 질환에서 급성 및 만성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세포로 알려진 비만세포(mast cells)를 이용하여 히스타민 release ELISA assay를 진행하였다. RBL-2H3 (Rat basophil Leukemia, ATCC, 미국) 세포를 5×105 cells/well의 밀도로 10%의 heat-inactivated FBS(GIBCO), 1% penicillin 및 streptomycin (invitrogen)을 포함한 DMEM(Dulbecco's modification Eagle medium ; GIBCO) 배지가 담긴 24웰 배양플레이트에서 37℃, 5% CO2 환경으로 1일 배양한 후 플레이트를 꺼내어 15분 밖에서 전 보온 시킨 후 실시예 1-1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1시간 배양한 후 CP48/80 자극제를 처리하고 20분 후, 8시간 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코팅되어 있는 96웰 플레이트에 50 ㎕을 첨가하였다. 1웰은 blank로 5웰은 각각 1/2로 희석한 standard 50 ㎕ 첨가 후 즉시 50 ㎕의 detection reagent A를 첨가하고 플레이트에 커버를 씌운 뒤 37℃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플레이트 안에 있던 용액들을 버리고 각 웰에 1x wash buffer 350 μl 첨가 후 1~2분 반응시킨 후 wash buffer를 버렸다. 위와 같은 과정을 3번 반복하며 마지막 과정에서 wash buffer가 남지 않도록 하였다. Detection reagent B 100 μl 첨가한 다음 플레이트에 커버를 씌우고 37℃에서 30분 배양하였다. 플레이트 안에 있던 용액들을 버리고 각 웰에 1x wash buffer 350 ㎕첨가한 후 1~2분 반응시킨 후 wash buffer를 버리는 과정을 5번 반복하였다. Substrate solution 90 μl 첨가 후 새 커버로 플레이트를 감싸고 15~25분 37℃ 암실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시간은 30분을 넘지 않도록 하며 substrate solution 첨가 시 파란색을 띄게 된다. Stop solution 50 ㎕ 첨가 후 노란색으로 용액이 변하는 것을 확인한 후 잘 섞이도록 하며, 플레이트에 지문이 묻지 않도록, 웰 안에 거품이 없도록 하여 450 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 료 히스타민 유리율(%)
Control 7
CP48/80
(10㎍/㎖)
Control 100
Cromoglycate
(mg/ml)
0.0047 5
RHODIOLA EXTRACT
(mg/ml)
0.0022 80
0.066 75
0.2 52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상기 홍경천 추출물 농도에 따라 비만세포에 처리한 결과 0.2 mg/ml 농도에서 히스타민 유리율이 50% 이상 감소하는 효과를 얻었다. 히스타민 유리율의 감소 효과를 통하여 항히스타민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INF-γ release
혈액에서 분리한 PBMCs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를 96well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RPMI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배양액에서 한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시예 1-1의 홍경천 추출물이 포함된 배지, 포함되지 않은 배지(control), 비교화합물(reference compound; cyclosporine A, 10-6 M)이 포함된 배지로 교체하여 한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anti-CD3가 코팅된 플레이트로 옮긴 후, anti-CD28 antibody (3 μg/ml)와 시험 화합물이 포함된 배지, anti-CD28 antibody만 포함된 배지(stimulated control), 비교화합물이 포함된 배지로 배양하였다. 또한 non-stimulated control로서 anti-CD3로 코팅되지 않은 웰에서 CD28 antibody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로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수집하여 INF-γ 분비를 정량화하였다. 모든 실험은 n=3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 료 INF-γ 유리율(%)
Control 0
CP48/80
(10㎍/㎖)
Control 100
Cyclosporine A
(mg/ml)
0.0012 10.0
RHODIOLA EXTRACT
(mg/ml)
0.0022 94.0
0.066 88.5
0.2 56.3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상기 추출물 농도에 따라 유의적으로 INF-γ 유리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0.2 mg/ml의 농도에서는 43.7%를 저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로부터 상기 홍경천 추출물은 매우 훌륭한 항스트레스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 유연 화장수(스킨)의 제조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한 유연 화장수(스킨)의 제조예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번호 원 료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1 홍경천 추출물 10.0 -
2 프로필렌글리콜 5.00 5.00
3 에탄올 5.00 5.00
4 부틸렌글리콜 5.00 5.00
5 글리세린 3.00 3.00
6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0 0.10
7 PEG12 노닐페닐에테르 0.20 0.20
8 폴리솔베이트 80 0.30 0.30
9 트리에탄올아민 0.10 0.10
1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0.10 0.10
11 메칠파라벤 0.10 0.10
12 조합향료 0.10 0.10
13 정제수 총합 100 총합 100
<제조방법>
제형예 1
에탄올에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메칠파라벤 및 조합항료를 용해하고 나머지 성분을 용해한 정제수에 투입하여 용해하였다.
비교제형예 1
원료물질 1을 제외하고 상기 제형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영양화장수(로션)의 제조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한 로션의 제제예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번호 원 료 제형예 2 비교제형예 2
1 홍경천 추출물 10.0 -
2 스테아린산 0.40 0.40
3 1,3-부틸렌글리콜 6.00 6.00
4 세토스테아릴 알콜 1.20 1.20
5 글리세린 4.00 4.00
6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0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20 0.20
8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3.00 3.00
9 유동파라핀 5.00 5.00
10 스쿠알란 3.00 3.00
11 바셀린 2.00 2.00
12 폴리솔베이트 60 1.50 1.50
13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5.00 0.50
14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0 0.10
15 카보머 0.20 0.20
16 메칠파라벤 0.10 0.10
17 조합향료 0.10 0.10
18 정제수 총합 100 총합 100
<제조방법>
제형예 2
상기와 같은 함량의 원료를 일반 유화방법으로 오일에 용해되는 성분을 유상성분으로, 정제수에 용해되는 성분을 수상성분으로 하여 일정온도(80-85℃)에서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일반 호모믹서로 균질 혼합하는 유화공정을 거처, 증점제(카보머)를 중화한 다음 냉각, 부향, 홍경천 추출물 첨가, 탈포 과정을 거쳐 제조를 완료하였다.
비교제형예 2
원료물질 1을 제외하고 상기 제형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영양크림의 제조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의 제제예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번호 원 료 제형예 3 비교제형예 3
1 홍경천 추출물 10.0 -
2 유동파라핀 6.00 6.00
3 스쿠알란 6.00 6.00
4 밀랍 10.0 10.0
5 글리세린 6.00 6.00
6 폴리솔베이트 60 1.50 1.50
7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0 0.50
8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0 5.00
9 프로필렌글리콜 3.00 3.00
10 부틸렌글리콜 2.00 2.00
11 트리에탄올아민 0.20 0.20
12 카보머 0.30 0.30
13 메칠파라벤 0.20 0.20
14 조합향료 0.10 0.10
15 정제수 총합이 100 총합이 100
<제조방법>
제형예 3
상기와 같은 함량의 원료를 일반 유화방법으로 오일에 용해되는 성분을 유상성분으로, 정제수에 용해되는 성분을 수상성분으로 하여 일정온도(80-85℃)에서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일반 호모믹서로 균질 혼합하는 유화공정을 거쳐, 증점제(카보머)를 중화한 다음 냉각, 부향, 홍경천 추출물 첨가, 탈포 과정을 거쳐 제조를 완료하였다.
비교제형예 3
원료물질 1을 제외하고 상기 제형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에센스의 제조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의 제제예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번호 원 료 함 량(중량%)
1 홍경천 추출물 10.0
2 에탄올 5.00
3 프로필렌글리콜 5.00
4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5.00
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0
6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0.50
7 글리세린 5.00
8 1.3-부틸렌글리콜 5.00
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0
10 트리에탄올아민 0.20
11 메칠파라벤 0.20
12 조합향료 0.10
13 정제수 총합이 100
제조예 5. 맛사지크림의 제조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한 맛사지 크림의 제제예는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번호 원 료 함 량(중량%)
1 홍경천 추출물 10.0
2 유동파라핀 30.0
3 밀랍 10.0
4 프로필렌글리콜 2.00
5 스쿠알란 5.00
6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0
7 폴리솔베이트 60 1.50
8 글리세린 5.00
9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0
10 부틸렌글리콜 5.00
11 트리에탄올아민 0.20
12 메칠파라벤 0.20
13 조합향료 0.10
14 정제수 총합이 10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홍경천 추출물은 P 물질 분비 저해, CGRP 분비 저해, 히스타민 유리 저해, 인터페론 감마 유리 저해를 통해 항스트레스 효과를 나타내므로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과 약학 조성물로서 융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홍경천 추출물은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의 유리를 억제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항히스타민제로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2.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히스타민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 추출물은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는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 알코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용매는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에테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 추출물은 P 물질(substance P) 분비 저해, CGRP(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분비 저해, 히스타민 유리 저해, 인터페론 감마(INF-γ) 유리 저해를 통해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 추출물은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의 유리를 억제함으로써 항히스타민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히스타민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 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 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 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 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린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갖는 약학 조성물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20130057250A 2013-05-21 2013-05-21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20140136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250A KR20140136763A (ko) 2013-05-21 2013-05-21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250A KR20140136763A (ko) 2013-05-21 2013-05-21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763A true KR20140136763A (ko) 2014-12-01

Family

ID=5245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7250A KR20140136763A (ko) 2013-05-21 2013-05-21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676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8386A (zh) * 2016-02-24 2016-07-13 杨晓婷 一种中草药抗冻防裂护手霜及其制备方法
KR20200062969A (ko) * 2018-11-27 2020-06-04 (주) 레비레스코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933097A (zh) * 2018-12-12 2021-06-11 国玺干细胞应用技术股份有限公司 医药组合物用于制备促发炎细胞介素抑制剂的用途
CN113350232A (zh) * 2020-03-05 2021-09-07 株式会社现代百朗德 含马齿苋、艾叶及红景天的混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护及刺激缓解用化妆品组合物
EP3969054A4 (en) * 2019-05-16 2023-09-06 Aegis Therapeutics, LLC COMPOSITIONS CONTAINING OIL-SOLUBLE DRUGS AND METHODS OF USING SUCH COMPOSITION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8386A (zh) * 2016-02-24 2016-07-13 杨晓婷 一种中草药抗冻防裂护手霜及其制备方法
KR20200062969A (ko) * 2018-11-27 2020-06-04 (주) 레비레스코 홍경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933097A (zh) * 2018-12-12 2021-06-11 国玺干细胞应用技术股份有限公司 医药组合物用于制备促发炎细胞介素抑制剂的用途
EP3969054A4 (en) * 2019-05-16 2023-09-06 Aegis Therapeutics, LLC COMPOSITIONS CONTAINING OIL-SOLUBLE DRUGS AND METHODS OF USING SUCH COMPOSITIONS
CN113350232A (zh) * 2020-03-05 2021-09-07 株式会社现代百朗德 含马齿苋、艾叶及红景天的混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护及刺激缓解用化妆品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680B1 (ko)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39796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gst)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513892B1 (ko) 단삼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에 유용한 유효 성분인 탄시논 i 및 탄시논 iia을 다향 함유한 정제물을 생산하는 제조방법
KR20160109332A (ko)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773856B1 (ko)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626319B1 (ko) 동백오일 발효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0161B1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20140136763A (ko)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101831883B1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05386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40062928A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1124442B1 (ko) 생강나무 줄기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809017B1 (ko)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083666A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천연물
KR20090095039A (ko) 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러지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631A (ko)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831876B1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3171A (ko) 까마중 추출물 또는 솔라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30073040A (ko) 지칭개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헤미스텝신(Hemistepsin) A 또는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912097B1 (ko)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2449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및 피부염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40110565A (ko) 율피 추출물 또는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57788B1 (ko) 무당벌레 유충 유래 신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40025068A (ko)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