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332A -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332A
KR20160109332A KR1020150033530A KR20150033530A KR20160109332A KR 20160109332 A KR20160109332 A KR 20160109332A KR 1020150033530 A KR1020150033530 A KR 1020150033530A KR 20150033530 A KR20150033530 A KR 20150033530A KR 20160109332 A KR20160109332 A KR 20160109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inseng
hair
hea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득
김성향
이양범
박만기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5003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332A/ko
Priority to US14/830,674 priority patent/US20160263169A1/en
Priority to CN201510561515.3A priority patent/CN105963426A/zh
Publication of KR20160109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가공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가공처리 추출물을 대상으로 6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육모 효과 측정실험 (실험예 1); 모유두세포(HFDPC;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를 이용한 모유두세포 분열증식 활성화 측정 실험 (실험예 2); 등의 발모효과 측정실험을 통하여 선행문헌 (한국특허공개 제 10-2014-0114492호)에 개시된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 발효물보다 본원 발명의 가공처리 조합 추출물이 당업자가 예기치 못한 보다 강력한 발모 촉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탈모증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a processed combined herb extract consisting of heat processed ginseng, Houttuyniae Herba, Perilla leaf and Tea leaves as an active ingredient showing hair-growth stimulating activity and preventing activity from hair loss}
본 발명은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J. Korean Med. Assoc., Vol.55(5), pp.475-483, 2012
[문헌 2] J. Ginseng Research, 33(3), pp.223, 2009
[문헌 3] 대한민국특허 제0157667호
[문헌 4] 대한민국특허 제0161338호
[문헌 5] 대한민국특허 제259037호
[문헌 6] 대한민국특허 제0260673호
[문헌 7] 한국특허공개 제 10-2014-0114492호
[문헌 8] 정보섭 외 1인, 향약 대사전, 영림사, pp.812~813, 1998년
[문헌 9] 정보섭 외 1인, 향약 대사전, 영림사, pp.855~857, 1998년
[문헌 10] 정보섭 외 1인, 향약 대사전, 영림사, pp.403~405, 1998년
[문헌 11] Rho SS et al., J Dermatol Sci, 2005, 38(2):89-97
[문헌 12] 한국등록특허 제 10-1443182
[문헌 13] 한국등록특허 제 10-1132246
사람의 모발에는 모주기가 있어 일정한 기간 후에는 휴지기가 와서 두피로부터 탈락하게 되며 모주기와 관계없이 빠지는 것을 탈모증이라 하며, 독발증(禿髮症) 또는 독두병(禿頭病)이라고도 한다. 즉, 비정상적으로 털이 많이 빠지거나 모발이 있어야 할 부위에 없거나 빈약한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머리털뿐만 아니라 털은 모두 일정한 성장기간이 지나면 성장이 정지되고 휴지기에 들어가서 탈모하여 다시 털이 나는 일을 되풀이하며, 이것을 털의 성장주기라고 하는데, 눈썹, 속눈썹, 솜털 등의 성장주기는 6 개월 이하인데 반해, 머리털은 성장기가 2~6년 이상으로 길고 휴지기가 2~3 개월 이하로 짧으며, 1개씩 독립된 성장주기를 가지며, 성인은 머리털의 2~5% 정도가 휴지기에 있다고 한다. 휴지기에 들어간 털은 색소가 엷으며, 윤기가 없고, 모근도 가늘며, 세발이나 빗질로 쉽게 빠진다. 또 발열성 질병, 임신, 정신적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성장기의 털이 갑자기 휴지기에 들어가 많이 빠지는 일이 있는데, 원인이 제거되면 회복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탈모의 원인은 내분기계 이상, 혈액순환장애 등 순환계 이상에 의한 과도한 피지생성, 모근의 영양 결핍, 알레르기, 세균 감염 등의 신체적 요인, 남성 호르몬의 영향 등 유전적 요인, 각종 공해, 가공 식품이 주류인 음식물, 샴푸, 비누, 무스, 헤어젤, 헤어스프레이, 퍼머, 염색, 헤어드라이 사용 등 환경적 요인, 과도한 스트레스를 자주 받는 현대인의 정신적사회적 요인, 노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어 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대부분의 탈모환자들이 모낭충이 일정 부분 탈모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모낭충이란 거미과 진드기목에 속하는 기생성 진드기로 사람의 눈꺼풀이나 코 주위, 외이도(外耳道), 머리 등의 피지선과 모낭에 기생한다.
탈모를 방지하고 육모를 촉진하기 위해서 혈관을 확장시켜 모근에 영양을 공급하거나, 모발의 구성 성분과 유사한 성분을 직접 모근에 공급하는 외용제나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등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발모촉진용 약물 중 현재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탈모치료제로서 그 효능을 승인받은 제품으로는 경구용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Merk, 미국)와 외용제 미녹시딜(Minoxidil, Upjohn, 미국) 두 가지가 있다.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탈모를 유발하는 남성호르몬인 DHT(5α-dihydrotestosterone) 생성 억제 작용을 갖고 있으며, 6개월에서 1년 정도 복용시 발모 또는 탈모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복용을 중단하면 2개월 안에 원상태로 돌아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작용으로 성욕감퇴, 발기부전 등의 성기능 감퇴 등을 들 수 있으며, 여성은 기형아 출산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복용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녹시딜(Minoxidil)은 모세혈관 확장 기능이 있어 두피에 바름으로서 탈모를 방지하지만, 매일 2회씩 지속적으로 발라야하고, 3-4시간 동안 약제가 두피에 머무르도록 해야만 어느 정도 효과가 나타나며, 기름기가 많고 가마 부분이 빠지는 경우에만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사용상 제한사항이 많을 뿐 아니라, 가려움증, 자극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실정이다(J. Korean Med. Assoc., Vol.55(5), pp.475-483, 2012). 또 다른 경구용 치료제로 미국 제약회사 머크(Merck)의 프로페시아(Propecia)는 가격이 비싸고 발기부전, 성욕감퇴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 Ginseng Research, 33(3), pp.223, 2009).
이외에도 탈모 치료를 위해 의료적인 방법의 모발이식수술이 사용되는데, 이 방법은 고가의 경제적 부담과 근본적인 모근과 모낭의 치료방법이 아니라는 한계가 있다.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두피에 바르거나 복용함으로써 발모를 촉진시키려는 시도 또한 많이 있었는데, 난초과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0157667호), 웅지와 만형자를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0161338호), 반하, 정향, 복분자, 산초, 만형자, 단삼 및 백자인을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259037호), 녹두분, 대두분, 흑미분, 들깨분, 참깨분, 호두분, 김분, 홍합분, 굴분, 멸치분, 미역분, 다시마분, 효모농축액 또는 이의 건조분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0260673호) 등이 공개된 바 있으나, 그 작용 원리가 명확하지 않으며 효능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 10-2014-0114492호에는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을 혼합한 혼합물을 발효시켜 얻은 발효액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기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내용이 알려진 바가 있다.
상기와 같이, 전술한 발모제들은 탈모 환자에게 경제적 부담 및 고통을 주거나 부작용을 유발하고, 효과가 일시적이거나 또는 단편적인 약리학적 기작만을 사용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효과가 보다 탁월하고 지속적이며, 부작용이 없는 약제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수천 년간 사용되어진 대표적인 약용식물이자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서, 사포닌, 다당류, 폴리사카라이드, 폴리아세틸렌, 페놀화합물, 펩티드, 단백질 등의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은 단일로 또는 복합적으로 뇌를 포함한 중추신경계 항진 및 면역기능 조절 작용, 간장, 신장 및 심혈관계 기능 개선, 항스트레스, 항암, 항당뇨, 항산화 및 방사선 장해 방어 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인삼을 장기 보관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홍삼은, 인삼 증숙, 건조 과정을 통해 홍삼 특이 성분들을 생성하게 되었고, 이 성분들은 미량으로도 강한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홍삼 특이 성분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공 조건으로 인삼을 가공하여 다양한 약리 작용을 연구하였다. 특히, 가공인삼에서 다량 만들어지는 Rg3와 Rh2가 우수한 육모, 양모개선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132246).
어성초는 삼백초과(Saururaceae)에 속하는 약모밀 (Houttuynia cordata THUNB)의 전초로서, 알려진 성분으로는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decanoyl actaldehyde), 피넨(pinene), 리날룰 (linalool), 캄펜(camphene), 리모넨(limonene), 코르다린(cordarine), 퀘르시트린(quercitrin), 퀘르세틴(quercetin),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등을 함유하고, 항균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및 이뇨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바 있다 (정보섭 외 1인, 향약 대사전, 영림사, pp.812~813, 1998년).
자소엽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소엽 (Perilla frutescens BRITT. var acuta KUDO) 또는 주름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 var crispa DECNE)의 잎으로서, 알려진 성분으로서, 페릴라알데히드(perillaldehyde), 리모넨(limonene), 아르기닌(arginine), 쿠민산(cumic acid), 이소에고마케톤(isoegomaketone), 페릴라 알콜(perilla alcohol)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오한, 한기 등의 치료에 사용되다고 알려진 바 있다 (정보섭 외 1인, 향약 대사전, 영림사, pp.855~857, 1998년).
녹차엽은 차나무과(Theaceae)에 속하는 차나무 (Camellia sinensis O. KTZE)의 잎으로서, 알려진 성분으로는 카페인(caffein), 테오브로민(Theobromine), 테오필린(Theophylline), 크산틴(xanthine), 탄닌(tannin)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중추신경계 흥분작용, 혈관 확장작용, 이뇨작용 등이 알려진 바 있다 (정보섭 외 1인, 향약 대사전, 영림사, pp.403~405, 1998년).
그러나, 상기 문헌의 어디에도 열처리한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 조합 추출물에 대한 발묘효과에 대하여 언급되거나, 개시된 바는 없다.
본 연구자는 한방제로 사용되고 있는 생약 추출물 가운데 안정성이 뛰어나고 발모 촉진 효과를 가진 원료를 찾고자 노력을 계속 해오는 가운데, 선행문헌(한국특허공개 제 10-2014-0114492호)에 개시된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 발효물보다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 조합 추출물이 마우스를 통한 발모효과 실험에서 보다 강력한 발모 촉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가공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가공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가열처리 인삼(Panax ginseng)은 백삼, 수삼, 홍삼 등이 포함되며, 그 뿌리를 가열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복합생약은 바람직하게는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의 건조중량 배합비(w/w)가 1~10:1~10:1~10:1~1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1~5:1~5:1~5, 가장 바람직하게는 1~3:1~3:1~3:1~3로 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가열처리는 바람직하게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약 8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온도에서 약 30분 내지 78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열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에탄올 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수용성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가공처리는 수지처리, 구체적으로,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법(Reverse phase chromatography), 보다 바람직하게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법 또는 극성 물질들이 먼저 용리되고, 비-극성 화합물이 정지상에 보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든 수지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법,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세파덱스(Sephadex), 세파덱스 LH20, 세파덱스 G-25, 세파덱스 G-10, 세파로스(Sepharose), 수퍼덱스(Superdex), 메틸아크릴레이트 수지,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설포프로필 셀룰로스, 카복시메틸 세파덱스, 설포프로필 세파덱스, 설포프로필 세파로스 및 카복시메틸 세파로스를 포함하는 세파덱스 계열 수지; 폴리머(Polymer) X, HP20, PRP-h1 Polymer 등의 스틸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Stylene-divinylbenzen co-polymer) 제품군, 메타아크릴레이트 (Methacrylate) 지지체 제품군 등을 이용한 역상폴리머 수지를 고정상으로 하고, 증류수,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콜 용매, 테트라히드로퓨란 또는 이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증류수 및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콜 용매의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을 흘려보내 비극성 성분을 수지에 흡착시키고, 극성물질을 용출시킨 뒤, 에탄올 용매를 흘려 비극성 물질을 용리하는 수지처리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공처리 추출물은 약학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건조상태의 인삼을 8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온도에서 약 30분 내지 78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가열처리한 인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가열처리한 인삼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 약제를 건조중량비(w/w)가 1~10: 1~10:1~10: 1~10, 바람직하게는 1~5:1~5:1~5:1~5, 더 바람직하게는 1~3:1~3:1~3:1~3 비율로 혼합하는 제 2단계; 상기 혼합물 중량의 약 1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에탄올 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수용성 에탄올로 약 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온도에서 약 10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2시간 동안 상온 추출법, 가열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등의 통상적인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환류 추출법으로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회 반복 추출하는 제 3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는 제 4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액상 추출물을 수지컬럼, 바람직하게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법(Reverse phase chromatography), 보다 바람직하게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법 또는 극성 물질들이 먼저 용리되고, 비-극성 화합물이 정지상에 보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든 수지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법,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세파덱스(Sephadex), 세파덱스 LH20, 세파덱스 G-25, 세파덱스 G-10, 세파로스(Sepharose), 수퍼덱스(Superdex), 메틸아크릴레이트 수지,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설포프로필 셀룰로스, 카복시메틸 세파덱스, 설포프로필 세파덱스, 설포프로필 세파로스 및 카복시메틸 세파로스를 포함하는 세파덱스 계열 수지; 폴리머(Polymer) X, HP20, PRP-h1 Polymer 등의 스틸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Stylene-divinylbenzen co-polymer) 제품군, 메타아크릴레이트 (Methacrylate) 지지체 제품군 등을 이용한 역상폴리머 수지를 고정상으로 하고, 증류수,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알콜 용매, 테트라히드로퓨란 또는 이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증류수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알콜 용매의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을 흘려 비극성 성분을 수지에 흡착시키고, 극성 성분을 용출시킨 뒤 에탄올 용매를 흘려 비극성 분획물을 회수하는 제 5단계; 제 5단계의 비극성 분획물을 농축시키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가공처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생약들은 오랫동안 생약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들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고, 피부 첩포 시험에서 무자극 시료임이 입증되었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6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육모 효과 측정실험 (실험예 1); 모유두세포(HFDPC;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를 이용한 모유두세포 분열증식 활성화 측정 실험 (실험예 2); 등의 발모효과 측정실험을 통하여 선행문헌 (한국특허공개 제 10-2014-0114492호)에 개시된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 발효물보다 본원 발명의 가공처리 추출물이 당업자가 예기치 못한 보다 강력한 발모 촉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탈모증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 선행문헌 (한국특허공개 제 10-2014-0114492호)에서는 추출액 상태로 사람에게 적용하다보니 정확한 농도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본원의 발명의 경우 농축 고형물 상태로 한 다음 적용대상에 따라 처방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생약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경피 및 직장, 또는 정맥 등의 방법을 통하여 투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가공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탈모증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탈모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1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또한, 탈모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약학 투여형태 또는 티백제, 침출차, 건강 음료 등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및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가공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가공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롤로오스,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이 포함된 기능성 식품으로는 빵, 떡류, 건과류, 캔디류, 초콜릿류, 츄잉껌, 쨈류와 같은 과자류, 아이스크림류, 빙과류, 아이스크림 분말류와 같은 아이스크림 제품류, 우유류, 저지방 우유류, 유당분해우유, 가공유류, 산양유, 발효유류, 버터유류, 농축유류, 유크림류, 버터유, 자연치즈, 가공치즈, 분유류, 유청류와 같은 유가공품류, 식육가공품, 알가공품, 햄버거와 같은 식육제품류, 어묵, 햄, 소세지, 베이컨 등의 어육가공품과 같은 어육제품류, 라면류, 건면류, 생면류, 유탕면류, 호화건먼류, 개량숙면류, 냉동면류, 파스타류와 같은 면류, 과실음료, 채소류음료, 탄산음료, 두유류, 요구르트 등의 유산균음료, 혼합음료와 같은 음료 간장, 된장, 고추장, 춘장, 청국장, 혼합장, 식초, 소스류, 토마토케첩, 카레, 드레싱과 같은 조미식품, 마가린, 쇼트닝 및 피자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정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20g, 바람직하게는 약 5~12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목적 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 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음료를 포함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제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으면서 마우스를 통한 모발 생장 효과를 나타내는 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가공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은 발모 효과를 갖는 화장품, 세안제, 샴푸 및 린스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으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복합생약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가공처리 추출물을 대상으로 6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육모 효과 측정실험 (실험예 1); 모유두세포(HFDPC;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를 이용한 모유두세포 분열증식 활성화 측정 실험 (실험예 2); 등의 발모효과 측정실험을 통하여 선행문헌 (한국특허공개 제 10-2014-0114492호)에 개시된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 발효물보다 본원 발명의 가공처리 조합 추출물이 당업자가 예기치 못한 보다 강력한 발모 촉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탈모증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녹차엽 에탄올 추출물의 HPLC 성분분석 크로마토그램를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녹차엽 에탄올 추출물을 HP-20 수지 처리한 후의 HPLC 성분분석 크로마토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선행문헌( 한국특허공개 제 10-2014-0114492호)에 개시된 어성초, 자소엽 , 및 녹차엽 발효물의 제조
선행문헌(한국특허공개 제 10-2014-0114492호)에 개시된 제조방법에 따라, 건조된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을 각각 100g, 60g, 40g 칭량하여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다음 누룩 4.0g을 투입하여 잘 버무려 마개로 밀봉하였다. 이것을 2일간 그대로 방치한 후, 마개를 열고 30%의 주정 3.2L를 조심스럽게 부었다. 천천히 흔들어 준 다음 다시 마개로 밀봉하고 보관온도 20℃ 내외, 상대습도 55% 내외로 유지되는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실내에서 6개월간 발효 및 숙성시켰다. 발효 기간 중 일주일에 1회 정도 밀봉된 용기를 10분간 흔들어주어 잘 섞이게 하였다. 6개월 후 용기를 개봉하고 찌꺼기와 액을 채로 걸러 발효액을 얻어 여과기로 여과하였다. 최종적으로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의 혼합물을 발효 및 숙성시켜 발효액 3.0L를 얻었고, 이를 농축하여 고형발효물 40g을 얻었다.
실시예 1. 인삼, 어성초, 자소엽 , 및 녹차엽 가공처리 추출물의 제조
1-1. 열처리한 인삼의 제조
건조된 인삼 100g을 120℃에서 3시간 열처리시킨 후 60℃에서 하룻밤 건조시켜 열처리한 가공인삼 33g(이하, “선삼”이라 함)을 얻었다. 이중 10g을 70% 에탄올로 가열 추출하고 감압으로 용매를 날려보내 열처리 인삼 추출물 4g을 얻었다.
1-2. 혼합추출물의 제조
1-1 단계에서 얻은 건조된 선삼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을 각각 20g, 100g, 60g, 40g 칭량하여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다음에 혼합한 후에, 70% 에탄올 4ℓ를 가하여 1시간동안 환류 추출하고 여과한 후 용매를 감압농축하여, 선삼, 어성초, 자소엽, 녹차 혼합추출물 84.5g을 제조하였다.
1-3. 혼합추출물의 수지처리
1-2 단계에서 수득한 혼합 열처리 추출물 5g을 DIAION HP-20 컬럼(Samyang Co.)을 통과시켜 물을 흘려보내 비극성 물질은 수지에 흡착시킨 후, 에탄올을 흘려보내 비극성분획을 수득하였고, 이를 감압농축하여 수지처리한 추출물 2.2g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HPLC 성분 분석
상기한 1-2 내지 1-3 단계에서 얻은 추출물의 성분 상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Agilent 1260, USA)를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1 내지 2에 나타내었다.
HPLC 조건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조건
펌프(Pump) Agilent 1260 Series, 1260 quart pump
검출기(Detector) Agilent 1260 Series, 1260 DAD
컬럼(Column) Agilent Eclipse XDB C18, 4.6x250mm, 5μm
유속(Flow rate) 1.0ml/min
검출파장(UV absorbance) 266nm
이동상 이동상 A : 아세트산염완충용액 (pH = 3.5)
이동상 B : 아세토니트릴
시간 이동상 A (%) 이동상 B (%)
0~5 80 20
5~20 75 25
20~25 75 25
25~30 55 45
30~35 55 45
35~36 80 20
36~40 80 20
Injection volume 10μl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2의 시료들의 크로마토그램상 유효성분들이 수지 처리를 통해 다당체들은 물을 흘려 제거되고, HP-20에 흡착된 비극성 물질들 즉, 유효 성분들이 더 효과적으로 얻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수지 처리를 함으로써 발모에 영향을 주는 비극성 유효성분들이 극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마우스를 통한 발모 촉진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1-2 내지 1-3에서 수득한 시료들을 이용하여 마우스에서의 실제 발모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Rho SS et al., J Dermatol Sci, 2005, 38(2):89-97).
육모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텔로젠(telogen) 시기를 앞둔 6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오리엔트바이오, 한국, 18 내지 20G)를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제모제(Veet, Reckitt Benckiser France)를 이용하여 등쪽 피부의 털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실험군과 2개의 대조군, 및 비교군으로 나누어 평가를 하였으며, 실험군당 마리수는 각각 10마리로 진행하였다. 실험군에는 제모된 부위에 실시예 시료를 매일 1회 2.5mg을 충분히 도포하였다. 대조군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용매와 미녹시딜을 함유하는 용매 조성물을 처리하였고, 비교군으로는 비교예 1에서 제조한 RCF를 처리하였다. 털이 자란 면적의 비율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 표 3에 기재된 기준에 따라 5일 간격으로 20일간 평가하였다.
판정기준
모발성장률 점수 판정
0~20% 0 효과없음
20~40% 1 미약
40~60% 2 양호
60~70% 3 우수
70%이상 4 매우 우수
발모 및 양모 활성
경과일수 평가 용매대조군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비교예 1 미녹시딜
(0.5% w/w)
5일 모발성장률
점수
판정
9
0
효과없음
12
0
효과없음
12
0
효과없음
12
0
효과없음
10
0
효과없음
14
0
효과없음
10일 모발성장률
점수
판정
22
1
미약
28
2
미약
42
2
양호
50
2
양호
38
1
미약
42
2
양호
15일 모발성장률
점수
판정
28
1
미약
39
3
미약
68
3
우수
74
4
매우 우수
55
2
양호
62
3
우수
20일 모발성장률
점수
판정
38
1
미약
48
4
미약
76
4
매우우수
84
4
매우 우수
68
3
우수
68
3
우수
상기 표 3의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용매 및 미녹시딜 처리군과 비교군으로 사용한 RCF 처리군에 비해, 효과면에서 15일 경과시부터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모유두세포 분열증식 실험
상기 실시예 1-1, 1-2 및 1-3에서 수득한 시료들을 이용하여 모유두세포 분열증식 활성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문헌(한국등록특허 제 10-1443182)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2-1. 1단계: 모유두세포 배양
모유두세포(HFDPC;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 ATCC)는 2×105으로 T75 plate(FA3024, Falcon)에 공급(seeding)하고 모유두세포 S(+)(supplement mix, IX Antibiotic-Antimycotic 포함, LS203-01, Welgene)배지에서 4-5일 배양하였다. 이후 48 well plate(30048, SPL Lifesciences)에 6000개/well로 S(-)(supplement-free media, Welgene)배지를 공급하여, 1일 방치하였다.
2-2. 2단계: 추출물 처리
모든 well에 세포가 배양되어 부착된 후, S(+)(growth media)배지를 제거한 후 S(-)에 실시예 1-2 내지 1-3의 CEH, CEHR을 각각의 농도로 희석한 후 혼합추출물 시료를 (1)음성대조군(S(-)), (2)40ug/mL, (3)80ug/mL, (4)160ug/mL 및 (5)양성대조군(S(+))의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48시간 간격으로 각 well의 시료배지를 새로 교체하고, 실시예 1-1, 1-2 및 1-3의 추출물을 처리한지 72시간 후 세포 분열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에서 제조한 RCF를 처리한 군을 비교군으로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 분열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2-3. 3단계: 모유두세포 분열 증식 측정
EZ-Cytox(EZ-3000, DAEILLAB Service co., Ltd.)는 high sensitive water soluble terazolium salt(WST)를 이용한 cell viability 반응 키트로서, 상기 WST는 세포내의 모든 탈수소화효소(dehydrogenase)와 반응하여 세포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는 방법으로 널리 쓰인다(EZ-Cytox Manual, DAEILLAB Service co., Ltd.).
각 well의 배지를 제거한 후, S(-)배지로 교체하였다(48well의 경우 200ul/well의 부피). Well에 20ul/well의 EZ-Cytox에서 제공하는 반응액을 처리한 후 2시간동안, 37℃, 5% CO2 incubator(311, Forma)에서 배양하였다. 450nm에서 흡광도를 microplate reader 기기(SperctraMax 340 PC, Molecular Device)로 측정하여, O.D. ratio를 바탕으로 세포수를 계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1-1, 1-2 및 1-3에서 얻은 추출물을 처리한 군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처리한 군(비교군)의 모유두세포 분열증식 활성화 실험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모유두세포 분열증식 활성화 실험결과
추출물 처리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비교예 1
S(-)a 100.0 100.0 100.0 100.0
S(-)+40ug/mLb 105.3 119.2 132.1 110.7
S(-)+80ug/mLb 107.3 128.6 148.9 114.6
S(-)+160ug/mLb 113.5 132.9 160.4 120.8
a S(-) : S(-)배지만 처리한 음성대조군
b S(-)+40~160ug/mL : S(-)배지에 추출물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한 군
(단위 : %)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2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3일이 경과된 후 음성대조군(S(-))에 비해 40ug/mL, 80ug/mL, 160ug/mL 처리시 각각 19.2%, 28.6%, 32.9% 증가하였고, 실시예 1-3의 경우 32.1%, 48.9%, 60.4%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유두세포의 분열증식이 증가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군으로 사용된 비교예 1의 추출물 처리군보다도 실시예 1-2 및 1-3 추출물 처리군의 분열증식이 크게 증가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즉 상기 실시예 1-2 및 1-3에서 제조된 추출물이 비교예 1에 비하여 월등히 두피 내 모유두세포 분열증식을 활성화시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본 발명에서 선삼, 어성초, 자소엽, 녹차엽 추출물을 HP-20 수지처리로 가공한 약학적조성물의 유효성분은 탈모방지와 발모촉진을 개선하는 효과가 확실함을 확인하였고, 특히 본 조성물은 화학물질이 아닌 천연물에서 유래된 것으로 부작용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장점이 있다.
하기와 같이, 상기의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2 -------------------------------------------- 20 mg
유당 ------------------------------------------------- 100 mg
탈크 --------------------------------------------------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1 -------------------------------------------- 10 mg
옥수수전분 ------------------------------------------- 100 mg
유당 -------------------------------------------------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3 --------------------------------------------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 3 mg
락토오스 --------------------------------------------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1 -------------------------------------------- 10 mg
만니톨 -----------------------------------------------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 2974 mg
Na2HPO4,12H2O -----------------------------------------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2 -------------------------------------------- 20 mg
이성화당 ----------------------------------------------- 10 g
만니톨 -------------------------------------------------- 5 g
정제수 -------------------------------------------------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3 -------------------------------------------- 1000 ㎎
비타민 혼합물 --------------------------------------------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 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 0.5 ㎎
비타민 B12 --------------------------------------------- 0.2 ㎍
비타민 C ------------------------------------------------ 10 ㎎
비오틴 -------------------------------------------------- 10 ㎍
니코틴산아미드 ----------------------------------------- 1.7 ㎎
엽산 ---------------------------------------------------- 50 ㎍
판토텐산 칼슘 ------------------------------------------ 0.5 ㎎
무기질 혼합물 -------------------------------------------- 적량
황산제1철 --------------------------------------------- 1.75 ㎎
산화아연 ---------------------------------------------- 0.82 ㎎
탄산마그네슘 ------------------------------------------ 25.3 ㎎
제1인산칼륨 --------------------------------------------- 15 ㎎
제2인산칼슘 --------------------------------------------- 55 ㎎
구연산칼륨 ---------------------------------------------- 90 ㎎
탄산칼슘 ----------------------------------------------- 100 ㎎
염화마그네슘 ------------------------------------------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1 -------------------------------------------- 1000 ㎎
구연산 ------------------------------------------------ 1000 ㎎
올리고당 ------------------------------------------------ 100 g
매실농축액 ------------------------------------------------ 2 g
타우린 ---------------------------------------------------- 1 g
정제수를 가하여 -----------------------------------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8. 헤어 토닉의 제조
실시예 1-2 -------------------------------------------- 1%
에탄올 --------------------------------------------- 55.0%
피마자유 -------------------------------------------- 5.0%
글리세린 -------------------------------------------- 3.0%
피록톤아민 ------------------------------------------ 0.1%
향료, 색소 ------------------------------------------ 적량
정제수 ---------------------------------------------- 잔량
계 ------------------------------------------------ 100.0%
제제예 9. 헤어 로션의 제조
실시예 1-2 ------------------------------------------ 1.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 2.0%
염화스테아릴트리에틸암모늄 -------------------------- 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 0.5%
피록톤올아민 ---------------------------------------- 0.1%
향료, 색소 ------------------------------------------ 0.5%
정제수 ---------------------------------------------- 잔량
계 ------------------------------------------------ 100.0%
제제예 10. 헤어 비누의 제조
실시예 1-3 ------------------------------------------ 0.1%
이산화티탄 ------------------------------------------ 0.2%
폴리에틸렌글리콜 ------------------------------------ 0.8%
글리세린 -------------------------------------------- 0.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 0.05%
나트륨 ---------------------------------------------- 1.0%
색소, 비누향 ---------------------------------------- 적량
화장비누베이스(수분 13%, 중량부) -------------------- 잔량
계 ------------------------------------------------ 100.0%
제형예 11. 크림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01
제형예 12. 맛사지크림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용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02
제형예 13. 로션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03
제형예 14. 스킨로션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Figure pat00004
제형예 15. 에센스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Figure pat00005
제형예 16. 팩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06
제형예 17. 클렌징폼 조성물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07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0)

  1.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가공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처리는 HP20, 또는 HP21 폴리머 합성수지를 고정상으로 하고, 증류수,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테트라히드로퓨란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극성 물질을 제거하고 난 후 비극성 분획을 용리하는 수지처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처리 인삼(Panax ginseng)은 백삼, 수삼, 또는 홍삼 뿌리를 가열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생약은 열처리한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의 건조중량 배합비(w/w)가 1~10:1~10:1~10:1~10의 배합비로 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처리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80 내지 200℃ 온도에서 30분 내지 48시간 동안 열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7.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수지처리를 하여 수득된 가공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가공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샴푸, 린스, 또는 팩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10. 건조상태의 인삼을 80 내지 200℃ 온도에서 30분 내지 72시간동안 열처리하여 가열처리한 가공 인삼을 얻는 제 1단계; 상기 건조상태의 가열처리한 인삼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 약제를 건조중량비(w/w)가 1~10:1~10: 1~10:1~10 비율로 혼합하는 제 2단계; 상기 혼합물 중량의 1 내지 3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0 내지 150℃ 온도에서 10분 내지 48시간 동안 상온 추출법, 가열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또는 환류 추출법으로 1 내지 10회 반복 추출하는 제 3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는 제 4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액상 추출물을 수지컬럼을 이용한 역상폴리머 수지를 고정상으로 하고, 증류수,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콜 용매, 테트라히드로퓨란을 이동상으로 하여, 물을 흘려 비극성 성분을 수지에 흡착시키고, 극성 성분을 용출시킨 뒤 에탄올 용매를 흘려 비극성 분획물을 회수하는 제 5단계; 제 5단계의 비극성 분획물을 농축시키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의 가공처리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KR1020150033530A 2015-03-11 2015-03-11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160109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530A KR20160109332A (ko) 2015-03-11 2015-03-11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US14/830,674 US20160263169A1 (en) 2015-03-11 2015-08-19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mbined herb consisting of heat processed ginseng, houttuyniae herba, perilla leaf and tea leaf or the processed extrac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showing hair-stimulating activity and preventing activity from hair loss, and the use thereof.
CN201510561515.3A CN105963426A (zh) 2015-03-11 2015-09-06 含有混合草药的提取物或其加工提取物的用于预防和治疗脱发的组合物及其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530A KR20160109332A (ko) 2015-03-11 2015-03-11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332A true KR20160109332A (ko) 2016-09-21

Family

ID=5688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530A KR20160109332A (ko) 2015-03-11 2015-03-11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263169A1 (ko)
KR (1) KR20160109332A (ko)
CN (1) CN10596342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40A1 (ko) * 2016-10-21 2018-04-26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109547B1 (ko) * 2019-10-31 2020-05-26 (주)루데아 탄산수를 함유한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6807A (ko) *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심원에프앤비 대나무잎 성분을 함유하는 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
KR102216882B1 (ko) * 2020-09-08 2021-02-19 한국콜마주식회사 코어-쉘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0794B (zh) * 2017-01-20 2019-04-02 刘玥 归芍茶的检测方法
CN109549881A (zh) * 2017-09-26 2019-04-02 东莞自然衡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植物防脱生发液的制备方法
KR101973937B1 (ko) * 2017-11-30 2019-04-30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743503A (zh) * 2018-07-08 2018-11-06 熊飞燕 一种缓解头发干燥脱发的植物配方护发乳及其制备方法
CN108524401A (zh) * 2018-07-08 2018-09-14 熊飞燕 一种改善断发脱发的植物配方护发乳及其制备方法
CN108653094A (zh) * 2018-07-08 2018-10-16 熊飞燕 一种改善断发脱发的护发乳及其制备方法
CN108498414A (zh) * 2018-07-08 2018-09-07 熊飞燕 一种显著缓解头发干燥脱发的护发乳及其制备方法
CN108498432A (zh) * 2018-07-08 2018-09-07 熊飞燕 一种提高头发含水量的植物配方护发乳及其制备方法
CN108635298A (zh) * 2018-07-08 2018-10-12 熊飞燕 一种提高头发含水量的护发乳及其制备方法
CN112400797B (zh) * 2020-11-19 2022-03-22 北京科技大学 一种雄激素脱发动物模型的快速构建方法
CN117414309A (zh) * 2023-02-23 2024-01-19 茵素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人参皂苷组合物、日用化学品、用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9552A (ja) * 2003-07-09 2005-02-03 Takemitsu Yano 育毛・発毛促進飲料
KR20040037049A (ko) * 2004-04-16 2004-05-04 윤중규 천연발모제 제조방법
KR20060079840A (ko) * 2006-06-07 2006-07-06 유연실 모발 영양제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40A1 (ko) * 2016-10-21 2018-04-26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6807A (ko) *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심원에프앤비 대나무잎 성분을 함유하는 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
KR102109547B1 (ko) * 2019-10-31 2020-05-26 (주)루데아 탄산수를 함유한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KR102216882B1 (ko) * 2020-09-08 2021-02-19 한국콜마주식회사 코어-쉘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63169A1 (en) 2016-09-15
CN105963426A (zh)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9332A (ko)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626319B1 (ko) 동백오일 발효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7388782B2 (ja) キュウリ、ナス及びカタツムリの混合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脱毛防止又は発毛促進用組成物
KR101846503B1 (ko) 금화규 및 포포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2153414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964249B1 (ko) 사상자 추출물 및 카퍼트리펩타이드-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54219B1 (ko) 복령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7529A (ko)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10407A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10939B1 (ko) 밀기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 조성물
KR101740970B1 (ko) 편백나무 피톤치드를 첨가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2010012312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3623A (ko) 감잎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20130033624A (ko) 하수오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20170036640A (ko)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498201B1 (ko) 몽우리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469662B1 (ko)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420913B1 (ko) 넓미역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20140025068A (ko)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07094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6056A (ko) 가는개도박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498200B1 (ko) 띠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355780B1 (ko)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20230090394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55705B1 (ko)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3-O-(6-디옥시-6-설포-α-D-글루코피래노실)-2-O-팔미토일-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