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780B1 -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780B1
KR101355780B1 KR1020130003082A KR20130003082A KR101355780B1 KR 101355780 B1 KR101355780 B1 KR 101355780B1 KR 1020130003082 A KR1020130003082 A KR 1020130003082A KR 20130003082 A KR20130003082 A KR 20130003082A KR 101355780 B1 KR101355780 B1 KR 101355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extract
compound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경
강정일
유은숙
고영상
전유진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3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챗말(Padina arborescens)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은 5α-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 NIH3T3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 및 모발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성장 증식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모방지 및 발모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약품 및 식품의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물질로서 장기간 사용에도 안전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und 1-O-palmitoyl-2-O-oleoyl-3-O-(β-D-glucopyranosyl)-glycerol Isolated from the Extract of Padina arborescens for Preventing Hair Loss or Improving Hair Growth}
본 발명은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1-O-palmitoyl-2-O-oleoyl-3-O-(β-D-glucopyranosyl)-glycer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다수의 남성과 여성에게 발생하여 정서적인 괴로움을 준다. 탈모는 연모(vellus hair)의 증가, 모낭의 축소화 및 성장기 모낭의 감소 등과 같은 특징을 가짐이 밝혀져 있다. 안드로겐성 탈모(androgenetic alopecia, AGA)는 40세 이상의 남성에게 발생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탈모이다. 탈모 인구의 증가로 치료제의 개발 및 그 기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탈모의 원인이 무엇인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현재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약물로는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서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와 미녹시딜(minoxidil)이 잘 알려져 있다.
그 중 Type 2 5α-환원효소 억제제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탈모환자의 탈모 호르몬 DHT(dihydrotestosterone)를 감소시켜 탈모를 개선시킨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는데(Van Neste et al., 2000), 이를 통해 5α-환원효소가 탈모 치료를 위한 중요한 타겟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미녹시딜(minoxidil)의 경우 미국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의 승인을 받은 모발성장 촉진 약물 중 하나로, 처음에는 고혈압 치료를 위한 혈관확장제로 개발되었으나, 그 부작용으로 다모증이 보고되면서 현재는 발모제로 이용되고 있다. 미녹시딜(minoxidil)의 발모효과에 관한 구체적인 작용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KATP-채널 개방, 혈관 확장을 통한 영양 공급 증가 및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에서 β-카테닌(catenin) 경로의 활성화 등이 모발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는 중배엽 유래의 섬유아세포로서, 인슐린-유사 성장인자-1(IGF-1), 간세포 성장인자(HGF)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7(FGF-7)과 같은 단백질 분비를 통해 모발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미녹시딜(minoxidil)은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세포사멸(apoptosis) 저하를 통해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성장을 증식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어떠한 물질의 5α-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 NIH3T3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 및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성장 증식 효과를 측정하는 것은 해당 물질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탈모를 치료하고 발모를 개선시킬 수 있는지 평가하는 유효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착안하여 천연물질로부터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을 수득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081861호에서는 부챗말 추출물이 발묘 효과를 나타낸다는 내용을 밝힌바 있으나, 효과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화합물은 밝히고 있지 않으며, 구체적인 효능 메커니즘 역시 기재되어 있지 않다.
부챗말 추출물과 관련하여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2615호에는 부챗말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이 향균 효과 및 여드름 개선 효과를 가진다는 내용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31809호에는 부챗말 추출물이 항염증 효과를 가진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문헌들은 부챗말 추출물의 발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또한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지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08186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261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31809호
본 발명자들은 탈모방지 및 발모개선 효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의 5α-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 NIH3T3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 및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 성장 증식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 효과가 있는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조식>
Figure 112013002785000-pat0000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챗말 추출물은 물, C1∼C4의 알코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 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메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부챗말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제형, 화장학적 제형 또는 식품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 중에서 선택된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은 5α-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 NIH3T3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 및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 성장 증식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탈모방지 및 발모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탈모방지 및 발모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약품 및 식품의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은 천연물질로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기간 사용에도 안전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의 구조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의 렛트(rat) 전립선의 5α-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데이터는 평균 ±S.D.로 표시하였고, * P<0.05, ** P<0.01, *** P<0.001 vs. 대조군임)
도 3은 본 발명의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의 NIH3T3 섬유아세포 증식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데이터는 평균 ±S.D.로 표시하였고, * P<0.05, ** P<0.01, *** P<0.001 vs. 대조군임).
도 4는 본 발명의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의 렛트(rat)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 성장 증식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데이터는 평균 ±S.D.로 표시하였고, * P<0.05, ** P<0.01, *** P<0.001 vs. 대조군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in vitro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육모 효능을 알아보았으며, 모발의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5α-환원효소 활성 억제 효과, NIH3T3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 및 모발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증식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조식>
Figure 112013002785000-pat0000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은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부챗말은 거제도, 제주도 등 남해 연안에서 채집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부챗말 추출물을 얻을 수 있는데, 구체적인 일례로 동결건조한 부챗말을 파쇄한 후, 건조된 시료 중량의 약 0.5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5배 분량의 추출용매에서 실온에서 약 0.5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함으로써 부챗말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부챗말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매로는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물, C1∼C4의 알코올, 헥산(hex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초산에틸(ethyl acetate), 에테르(ether), 클로로포름(chloroform)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로서 에탄올 또는 메탄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메탄올이 사용될 수 있다.
부챗말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특정 화합물을 분리해내기에 앞서 분획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헥산(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등을 순차적으로 첨가함으로써 각각의 용매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획물 중 모발 성장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클로로포름 분획물로부터 주요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는데, 본 발명자들은 분리된 주요 화합물을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1-O-palmitoyl-2-O-oleoyl-3-O-(β-D-glucopyranosyl)-glycerol)이라고 명명하였다.
이때 상기 분획물로부터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화합물을 분리함에 있어서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제형, 화장학적 제형 또는 식품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제제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약제학적 제형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된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된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술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각 질환 또는 성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된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으며,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보호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중에서 선택된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된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화장학적 제형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품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7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0~50 중량%이다. 상기 화합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 효과가 크게 감소되고,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제형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되는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 외에도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선택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선택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선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이 선택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선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선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선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때 배합 성분으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지 성분으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습제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보습제, 지용성 고분자 보습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 보습제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 보습제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몰리엔트제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POP(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된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된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된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식품학적 제형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식품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된 조성물일 수 있는데, 이러한 조성물은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모노사카라이드(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와 같은 통상적인 당 또는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과 같은 당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또는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된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된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외에도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상기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천연물질로서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을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10219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록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통계분석
모든 측정결과는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 검정은 student's t test로 검정하였으며, p-value가 0.05 이하일 경우 유의성을 인정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2.0K for Windows(Release 12.0.1. SPSS Inc. USA)를 사용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재료 및 방법
1. 부챗말 추출물의 제조
실험재료인 부챗말(Padina arborescens)은 제주도 연안에서 채집된 것으로, 물로 여러 번 씻어 이물질을 제거한 후, 심온동결기(-70℃)에서 동결된 시료를 건조하여 50메쉬(Mesh) 이하의 크기로 분말화하여 준비하였다. 이후, 준비된 부챗말 분말 300 g에 80 % 메탄올을 5 L 첨가한 후, 35 ℃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후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잔사를 제거한 후, 여과하여 부챗말의 80 %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 잔사에 다시 80 % 메탄올을 첨가하여 위 과정을 3회 반복함으로서, 농도가 높은 부챗말의 80 %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2.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화합물의 분리정제
상기 과정을 통해 수득한 부챗말 추출물의 용매 성분을 감압 회전농축기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현탁액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헥산(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및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각각의 용매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각 분획물에 포함되어 있는 용매를 감압 회전농축기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각 분획물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헥산 분획물은 2.1 g으로,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4.1 g으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0.7 g으로 측정되었다.
이들 중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대상으로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ephadex LH-20 및 ODS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주된 화합물을 분리하였는데,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지름 55 mm, 길이 400 mm인 유리관에 180 μm의 직경을 가지는 실리카를 충진시킨 후 수득한 분획물을 주입하고 클로로포름:메탄올의 비가 10:1 에서 0:1의 비가 되도록 메탄올을 첨가하여 용리시키는 과정을 통해 수행하였다. 이렇게 얻은 분획물 중 12번째 분획물을 Sephadex LH-20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여 메탄올을 흘려주었으며, 이 과정에서 얻어진 분획물 중 5번째 분획물을 ODS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고 물:메탄올 비가 50:50 에서 0:100의 비가 되도록 메탄올을 첨가하여 용리시키는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3. 화합물 1-O- 팔미토일 -2-O- 올레오일 -3-O-(β-D- 글루코피래노실 )-글리세롤 분석
ODS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수득한 주된 화합물을 ESI-mass(유속 = 0.2 ml/min, 2.1×100mm C-18 컬럼; Thermo (USA), Thermo HPLC-mass system)로 분석하였다. 또한 구조 분석을 위하여 1H-NMR(400MHz, DMSO-d6) 및 13C-NMR(100 MHz, DMSO-d6)을 측정한 결과, 주된 화합물이 순수한 화합물로서 하기의 NMR 데이터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분자량은 756 MW로 측정되었다. 본 화합물은 아래와 같은 구조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분자식은 C43H80O10이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동정한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을 '1-O-palmitoyl-2-O-oleoyl-3-O-(β-D-glucopyranosyl)-glycerol'이라고 명명하였다.
<1-O-palmitoyl-2-O-oleoyl-3-O-(β-D-glucopyranosyl)-glycerol의 NMR data>
1H NMR (DMSO-d 6,400MHz): δ 5.31 (2H, t, J = 4.8), 5.13 (1H, m), 4.56 (1H, d, J = 3.68), 4.35 (1H, dd, J = 2.3, 9.8), 4.14 (1H, dd, J = 4.6, 7.32), 3.87 (1H, dd, J = 5.9, 11.1), 3.77 (1H, ddd, J = 5.2, 5.9, 9.4), 3.41 (1H, dd, J = 5.7, 10.7), 3.19 (1H, dd, J = 3.7, 9.6), 2.91 (1H, t, J = 8.7), 2.53 (1H, dd, J = 6.6, 14.0), 2.26 (4H, m), 1.98 (4H, m), 1.49 (4H, m), 1.23 (36H, br. s), 0.85 (6H, t, J = 6.4).
13C NMR(DMSO-d 6,100 MHz): δ 173.9 (C-1'), 172.4 (C-1''), 129.6 (C-9'), 129.5 (C-10'), 104.1 (C-1'''), 74.3 (C-5'''), 72.9(C-3'''), 71.6 (C-2'''), 69.8 (C-2), 68.5 (C-3), 64.6 (C-3), 62.6 (C-1), 54.6 (C-6'''), 33.5 (C-2'), 33.4 (C-2''), 31.2 (C-16', C-14''), 28.5-29.0 (C-4'-7', C-12'-C-15', C-4''-C-13''), 26.6 (C-8'), 26.5 (C-11'), 24.4 (C-3'), 24.2 (C-3'), 22.0 (C-15'', C-17'), 13.9 (C-18', C16'').
<구조식>
Figure 112013002785000-pat00003

[ 실험예 1] 5α-환원효소 억제 효능 평가
1-1. 실험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득한 화합물이 5α-환원효소 억제 효과를 가지는지 생후 7~8 주령의 SD 랫트(rat) 전립선의 조효소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7~8주령 된 SD 랫트(rat) 수컷을 에틸에테르로 마취시킨 후 경추도살 하여 전립선을 적출하고, 액체질소에 넣어서 보관하였다. 전립선을 homogenizer buffer(2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6.6, 0.32 M sucrose, 1 mM dithiothreitol(DTT), 0.2 mM PMSF)에 넣고 Polytron homogenizer(Brinkman instruments, Wesrbury, NY, USA)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원심분리(100,000 g, 90분, 4℃) 후 얻은 pellet은 두 번 세척하였고, homogenizer buffer를 넣어서 suspension하여 crude enzyme으로 사용하였다.
5α-환원효소 assay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마이크로튜브에 crude enzyme, 본 발명의 부챗말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 및 reaction buffer(40 mM potassium phosphate(pH 6.6), 200 μM NADPH, 1 mM DTT, 120 nCi [1,2,6,7-3H]테스토스테론)를 넣어 최종 반응액을 500 ㎕로 맞춘 후, 37 ℃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1 ㎖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넣고 vortex 후, 원심분리(1,000g, 5분)하여 상층액을 새로운 마이크로튜브로 옮겼으며, heating plate(60℃)을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하였다.
건조된 마이크로튜브에 500 ㎍/㎖ 테스토스테론과 500 ㎍/㎖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을 포함한 50 ㎕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넣고, TLC plate에 spotting하였다. TLC plate는 전개용매(50 % 시클로헥산, 50 % 에틸 아세테이트)하에서 전개한 후, 건조하였다.
TLC plate가 완전히 건조되고 나서 UV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테스토스테론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을 확인하였는데, 테스토스테론은 254 nm의 UV를 조사하여 확인하였으며,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은 10 %의 황산을 뿌려서 확인하였다. Radioactivity는 테스토스테론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부위를 오려낸 후 10 ㎖의 Ultima GoldTM cocktail(PerkinElmer, Massachusetts, USA)을 넣어 Liquid scintillation analyzer(Packard Bioscience, Meriden, USA)로 측정하였다.
5α-환원효소의 활성에 의한 테스토스테론의 전환율은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테스토스테론+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100 으로 계산하였으며, 5α-환원효소의 억제 효과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기 테스토스테론 전환율이 감소되는 정도(%)로 계산하였다.
1-2. 실험 결과
부챗말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0.01, 0.1, 1 및 10 μM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각각 24.1±2.4 %(P<0.01), 21.3±1.6 %(P<0.05), 28.3±4.5 %(P<0.01) 및 26.2±5.1 %(P<0.01) 정도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5α-환원효소의 활성 억제 효과는 양성대조 물질로 사용한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의 억제 효과 (84.5 %)보다는 다소 낮은 것이나,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이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와 같은 5α-환원효소 활성 억제제로 작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도 2 참조).
[ 실험예 2] NIH3T3 섬유아세포의 증식 효능
2-1. 실험 방법
NIH3T3 섬유아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Rockville,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100 units/ml penicillin-100 μg/ml streptomycin(Gibco Inc, NY, USA)과 10 % heat-inactivated bovine calf serum(BCS; Gibco Inc, NY, USA)이 함유된 DMEM(Hyclone Inc,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 ℃, 5 %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으며, 3일에 한 번씩 계대배양 하였다. NIH3T3 섬유아세포의 증식은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NIH3T3 섬유아세포(1.0×104 cells/ml)를 10 % 또는 2 % BCS를 포함한 DMEM 배지에 현탁하여 96 well plate에 넣고 24시간 배양하여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0.01, 0.1 및 1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인 미녹시딜(minoxidil, Sigma, MO, USA)은 75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각 시료군을 4일 동안 배양한 후 50 μl 의 MTT(Sigma, MO, USA)를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DMSO 200 μl을 가하여 침전물을 용해시켜 VERSAmax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CA, USA)로 54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군에 대한 평균 흡광도 값을 구하여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증식 정도를 조사하였다.
2-2. 실험 결과
부챗말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0.01, 0.1 및 1 μM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109.8±3.7 %(P<0.05), 112.6±4.2 %(P<0.01), 및 101.2±3.5 %의 증식률을 나타내었다. 이는 양성대조 물질로 사용한 75 μM 미녹시딜(minoxidil)의 증식 효과인 131.8±3.7 %(P<0.001)보다는 다소 낮은 것이나, 0.01 및 0.1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는 대조군(2 % BCS)에 비하여 NIH3T3 섬유아세포의 성장이 유의성 있게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3 참조).
[ 실험예 3] 모유두세포의 증식 효능
3-1. 실험 방법
부챗말이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성장증식 효능이 있는지 불멸화된 모유두세포(rat vibrissa immortalized dermal papilla cell)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는 모낭의 기저에 위치하는 중배엽 유래 세포로서, 상피세포로 이루어진 모기질 세포(matrix cells)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모발의 형성 및 성장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흰쥐 수염에서 분리된 불멸화된 모유두세포(rat vibrissa immortalized dermal papilla cell)를 100 units/㎖ 페니실린-100 ㎍/㎖ 스트렙토마이신(Gibco Inc, NY, USA)과 10 % heat-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FBS; Gibco Inc, NY, USA)이 함유된 DMEM(Hyclone Inc,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 ℃, 5 %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으며, 3일에 한 번씩 계대배양 하였다.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증식은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 1.0×104 cells/㎖를 1 % FBS를 포함한 DMEM 배지에 혼탁하여 96 well plate에 넣고 24시간 배양 후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0.001, 0.01, 0.1, 1 및 10 μM의 농도로 처리한 후 양성 대조군인 미녹시딜(Sigma, MO, USA)은 10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각 시료군을 4 일 동안 배양한 후 50 ㎕의 MTT(Sigma, MO, USA)을 첨가하고 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DMSO 200 ㎕을 가하여 침전물을 용해시켜 microplate reader(Amersham Pharmacia Biotech, NY, USA)로 54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군에 대한 평균 흡광도 값을 구하였으며,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증식정도를 조사하였다.
3-2. 실험 결과
부챗말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0.001, 0.01, 0.1, 1 및 10 μM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103.6±1.9 %, 108.1±3.2 %(P<0.01), 102.5±5.2 %, 93.5±9.0 % 및 98.0±9.3 %의 증식률을 나타내었다. 이는 양성대조 물질로 사용한 10 μM 미녹시딜(minoxidil)의 증식 효과인 115.2 %(P<0.01)보다는 다소 낮은 것이나, 0.01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는 대조군에 비하여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성장이 유의성 있게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4 참조).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실험예들을 통하여 부챗말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이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NIH3T3 섬유아세포를 증식시키며,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성장을 증식시키는 효능을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탈모방지 및 발모개선에 유용한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1-O-palmitoyl-2-O-oleoyl-3-O-(β-D-glucopyranosyl)-glycer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Figure 112013002785000-pat0000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챗말 추출물은 물, C1~C4 의 알코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부챗말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제형, 화장학적 제형 또는 식품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 중에서 선택된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20130003082A 2013-01-10 2013-01-10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355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082A KR101355780B1 (ko) 2013-01-10 2013-01-10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082A KR101355780B1 (ko) 2013-01-10 2013-01-10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780B1 true KR101355780B1 (ko) 2014-01-27

Family

ID=50146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082A KR101355780B1 (ko) 2013-01-10 2013-01-10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7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9419A (ja) 1999-11-12 2001-05-22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JP2003081861A (ja) 2001-09-06 2003-03-19 Shiseido Co Ltd 養毛料
JP2003261424A (ja) 2002-03-05 2003-09-16 Ichimaru Pharcos Co Ltd 養毛・育毛剤
KR20120062615A (ko) * 2010-12-06 2012-06-14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부챗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9419A (ja) 1999-11-12 2001-05-22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JP2003081861A (ja) 2001-09-06 2003-03-19 Shiseido Co Ltd 養毛料
JP2003261424A (ja) 2002-03-05 2003-09-16 Ichimaru Pharcos Co Ltd 養毛・育毛剤
KR20120062615A (ko) * 2010-12-06 2012-06-14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부챗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9332A (ko)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773856B1 (ko)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846503B1 (ko) 금화규 및 포포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001578B1 (ko) 산거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비니페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696294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979269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조성물
KR101179589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20117128A (ko) 반지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10067529A (ko)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75819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0―메틸호노키올을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
KR101510939B1 (ko) 밀기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 조성물
KR101355780B1 (ko)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355774B1 (ko)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355705B1 (ko)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3-O-(6-디옥시-6-설포-α-D-글루코피래노실)-2-O-팔미토일-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151555B1 (ko) 섬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신규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1420913B1 (ko) 넓미역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498201B1 (ko) 몽우리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469662B1 (ko)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646347B1 (ko) 솔방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70036640A (ko)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629699B1 (ko) 피노스트로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213858B1 (ko) 익모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40016056A (ko) 가는개도박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