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662B1 -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662B1
KR101469662B1 KR1020120083145A KR20120083145A KR101469662B1 KR 101469662 B1 KR101469662 B1 KR 101469662B1 KR 1020120083145 A KR1020120083145 A KR 1020120083145A KR 20120083145 A KR20120083145 A KR 20120083145A KR 101469662 B1 KR101469662 B1 KR 101469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extract
sargassum
sagamia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057A (ko
Inventor
강희경
강정일
현진원
유은숙
고영상
이남호
서인수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6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는 랫트(rat)의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를 증식시키고,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랫트(rat)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의 모섬유질(hair-fiber) 길이를 성장시키는 효능을 갖는다. 따라서, 탈모방지/발모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천연물질로서 식용 가능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기간 사용에도 안전한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Improving Hair Growth Containing Extract of Sargassum sagamianum}
본 발명은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효능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다수의 남성과 여성에게 발생하여 정서적인 괴로움을 준다. 탈모는 연모(vellus hair)의 증가, 모낭의 축소화 및 성장기 모낭의 감소 등과 같은 특징을 가짐이 밝혀져 있다. 안드로겐성 탈모(androgenetic alopecia, AGA)는 40세 이상의 남성에게 발생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탈모이다. 탈모 인구의 증가로 치료제의 개발 및 그 기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탈모의 원인이 무엇인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현재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약물로는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서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와 미녹시딜(minoxidil)이 잘 알려져 있다.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type Ⅱ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로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로 개발되었으며, 안드로겐성 탈모 환자에서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킴이 알려지면서 발모제로 이용되고 있다.
미녹시딜(minoxidil)은 고혈압 치료를 위한 혈관확장제로 개발되었으나, 부작용으로 다모증이 보고되면서 발모제로 이용되고 있다. 미녹시딜(minoxidil)의 발모효과에 대한 작용기전은 현재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KATP-channel oppening 효과, 혈관확장을 통한 영양공급 증가 및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에서 β-catenin 경로의 활성화 등이 모발성장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또한 미녹시딜(minoxidil)은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세포사멸(apoptosis) 저하를 통해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를 증식함이 알려져 있다.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는 중배엽 유래의 섬유아세포로서, 인슐린-like 성장인자-1(IGF-1), hepatocyte 성장인자(HGF) 및 fibroblast 성장인자-7(FGF-7) 같은 단백질 분비를 통하여 모발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육상식물에서의 육모 효능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해조류에서의 연구는 제주에 자생하는 홍조류인 참도박(Grateloupia elliptica), 넓패(Ishige sinicola), 넓미역(Undariopsis peterseniana)의 육모 효능 연구를 제외하면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선행문헌 1은 고삼추출물이나 고추추출물 외에 미역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선행문헌 2는 저온나노추출법을 활용하여 봉령, 상백피, 미역 등으로부터 추출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발모촉진제에 관한 것이며, 선행문헌 3은 비틀대모자반( Sargassum sagamianum )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확장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앞의 두 문헌의 발명에서는 비틀대모자반( Sargassum sagamianum ) 추출물을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선행문헌 3에서도 혈관확장 효과에 대해서만 기재하고 있을 뿐, 육모 효능에 대해서는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0668878호, 발모제 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발모제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0908745호, 저온나노추출법을 이용한 발모촉진제 및 그 제조방법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0945780호, 잔가시모자반 추출물,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및 사가하이드로퀴노익산을 포함하는 혈관확장제
본 발명자들은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이 랫트(rat)의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를 증식시키고,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랫트(rat)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의 모섬유질(hair-fiber) 길이를 성장시키는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C1~C4의 알코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물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은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한 분말을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용매에 넣어 실온에서 0.5 내지 48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이다.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70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조성물은 의약품, 건강보조제, 화장료, 식품 또는 식품첨가제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경우,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경우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로 이루어진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용 조성물은 랫트(rat)의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를 증식시키고,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랫트(rat)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의 모섬유질(hair-fiber) 길이를 성장시키는 효능을 갖는다. 따라서, 탈모 방지 및/또는 발모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은 탈모방지/발모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식용 가능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기간 사용에도 안전한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의 렛트(rat)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증식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데이터는 평균 ±S.E로 표시하였고, ** P<0.01, *** P<0.001 vs. 대조군임).
도 2는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의 렛트(rat) 전립선의 5α-환원효소 활성에 대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데이터는 평균 ±S.E로 표시하였고, * P<0.05, ** P<0.01, *** P<0.001 vs. 대조군임).
도 3은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의 랫트(rat)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의 모섬유질(hair-fiber) 성장 촉진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 및 결과다(데이터는 평균 ±S.E로 표시하였고, * P<0.05, ** P<0.01 vs. 대조군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 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 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in vitro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이 랫트(rat)의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를 증식시키고,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랫트(rat)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의 모섬유질(hair-fiber) 길이를 성장시키는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은 갈조식물 모자반과의 일년생 해조류이며, 주로 일본과 우리나라의 삼척, 영해, 울릉도, 주문진, 부산, 흑산도, 제주도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0945780호에는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확장제가 개시되어 있을 뿐,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의 육모 효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은 상기한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추출물" 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의 열수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결건조한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을 파쇄한 후, 건조된 시료의 중량의 약 0.5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5배 분량의 추출용매에서 실온에서 약 0.5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시간 동안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추출물을 얻고 이를 여과하여 농축 및 건조하여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조추출물을 얻고, 상기 조추출물을 추출용매와 다른 용매로 녹인 분획물을 얻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보호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제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품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7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0~50 중량%이다. 상기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에 의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 효과가 크게 감소되고,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제형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 등과 같은 화장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배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POP(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 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식품 조성물일 수 있는데, 이러한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을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10219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록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계분석
모든 측정결과는 평균 ± 표준오차로 나타내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 검정은 student's t test으로 검정하였으며, p-value가 0.05이하일 경우 유의성을 인정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2.0K for Windows(Release 12.0.1. SPSS Inc. USA)를 사용하였다.
[ 실시예 ] 비틀대모자반 ( Sargassum sagamianum ) 추출물의 제조
실험재료인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은 제주도 차귀도 연안에서 채집된 것으로, 채집한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을 세척한 후 48시간 건조하였고, 건조 후 잘게 분쇄하였다. 분쇄한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10 g을 80% 에탄올 200 mL에 넣어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하였으며, 추출 후 membrane filter(0.45㎛, Whatman, Maidstone, England)로 여과하였다.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80% 에탄올 추출물은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였으며, 동결건조 하였다. 동결건조된 파우더 형태의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80% 에탄올 추출물을 다이메틸설폭시화물(DMSO)로 녹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다이메틸설폭시화물(DMSO)의 최종 농도는 0.2%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 실험예 1]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증식 효능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이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성장증식 효능이 있는지 불멸화된 모유두세포(Rat vibrissa immortalized dermal papilla cell)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는 모낭의 기저에 위치하는 중배엽 유래 세포로써, 상피세포로 이루어진 모기질 세포(matrix cells)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모발의 형성 및 성장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흰쥐 수염에서 분리된 불멸화된 모유두세포(Rat vibrissa immortalized dermal papilla cell)를 100 units/ml 페니실린-100 ㎍/㎖ 스트렙토마이신(Gibco Inc, NY, USA)과 10% heat-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FBS; Gibco Inc, NY, USA)이 함유된 DMEM(Hyclone Inc,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으며, 3일에 한 번씩 계대배양 하였다.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증식은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 1.0×104 cells/㎖를 1% FBS를 포함한 DMEM 배지에 혼탁하여 96 well plate에 넣고 24시간 배양 후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0.1, 1, 10 및 100 ㎍/㎖ )을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미녹시딜(Sigma, MO, USA)은 10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4 일 동안 배양한 후 50 ㎕의 MTT(Sigma, MO, USA)을 첨가하고 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층액은 제거하고 DMSO 200 ㎕을 가하여 침전물을 용해시킨 후 microplate reader(Amersham Pharmacia Biotech, NY, USA)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군에 대한 평균 흡광도 값을 구하였으며,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증식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을 0.1, 1, 10 및 100 ㎍/㎖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93.0±5.1%, 92.5±6.4%, 97.5±6.8% 및 133.0±5.4% (P>0.001) 정도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증식이 더 증가하였다. 특히, 100 ㎍/㎖ 농도에서의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 증식 증가 효과는 양성대조물질로 사용한 10 μM 미녹시딜의 증식 증가 효과인 109.3±6.0% (P>0.01) 보다 높았다(도 1 참조).
[ 실험예 2] 5α-환원효소 억제 효능 평가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은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와 모낭의 점진적인 축소화를 가져오고 모발 성장을 억제하는데,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으로의 전환은 5α-환원효소 활성에 의해 일어남이 밝혀져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5α-환원효소 활성 억제를 통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의 감소가 모발 성장에서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이 모발의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5α-환원효소 억제 효과가 있는지 생후 7~8 주령의 SD 랫트(rat) 전립선의 조효소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7~8주령 된 SD 랫트(rat) 수컷을 에틸에테르로 마취시킨 후 경추도살 하여 전립선을 적출하고, 액체질소에 넣어서 보관하였다. 전립선을 homogenizer buffer(2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6.6, 0.32 M sucrose, 1 mM dithiothreitol(DTT), 0.2 mM PMSF)에 넣고 Polytron homogenizer(Brinkman instruments, Wesrbury, NY, USA)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원심분리(100,000 g, 90분, 4℃) 후 얻은 pellet은 두 번 세척하였고, homogenizer buffer를 넣어서 suspension하여 crude enzyme으로 사용하였다.
5α-환원효소 assay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마이크로튜브에 crude enzyme과 시료 및 reaction buffer(40 mM potassium phosphate(pH6.6), 200 μM NADPH, 1mM DTT, 120 nCi [1,2,6,7-3H]테스토스테론)를 넣어 최종 반응액을 500 ㎕로 맞춘 후, 37℃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1 ㎖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넣고 vortex 후, 원심분리(1,000g, 5분)하여 상층액을 얻어냈다. 새로운 마이크로튜브로 옮긴 후, heating plate(60℃)을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하였다. 마이크로튜브에 500 ㎍/㎖ 테스토스테론과 500 ㎍/㎖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을 포함한 50 ㎕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넣고, TLC plate에 spotting하였다. TLC plate는 전개용매(50% 시클로헥산, 50% 에틸 아세테이트)하에서 전개한 후, 건조하였다. UV spectrometer로 254 nm에서 테스토스테론을 확인하고 10% 황산을 뿌려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을 확인하였다. Radioactivity는 테스토스테론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부위를 오려낸 후 10 ㎖의 Ultima GoldTM cocktail(PerkinElmer, Massachusetts, USA)을 넣어 Liquid scintillation analyzer(Packard Bioscience, Meriden, USA)로 측정하였다. 5α-환원효소 활성에 의한 테스토스테론의 전환율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테스토스테론+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100의 비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은 0.1, 1, 10 및 100 ㎍/㎖ 농도에서 각각 30.8±3.0% (P>0.05), 28.9±4.6%, 36.7±1.8% (P>0.01) 및 19.5±4.5% 정도 5α-환원효소 활성을 억제하였다. 이런 5α-환원효소 억제 효과는 양성대조 물질로 사용한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의 억제 효과(90.6%) 보다는 다소 낮은 것이나(도 2 참조),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이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와 마찬가지로 5α-환원효소 활성 억제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실험예 3] in vitro 에서 비틀대모자반 ( Sargassum sagamianum ) 추출물의 육모 효능 측정
3-1. 랫트 ( rat ) 코털 모낭( vibrissa follicles )의 분리 및 배양
생후 3주령인 Wistar 랫트(rat) 수컷을(Japan SLC, Hamamatsu, Janpan) ㈜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에틸에테르로 마취 후 경추도살 하였다. 랫트(rat) 왼쪽과 오른쪽 mystacial pads를 분리하여 100 units/ml 페니실린-100㎍/㎖ 스트렙토마이신(Gibco Inc, NY, USA)이 함유된 E/P buffer [Earle's balanced salts solution(EBSS, Sigma MO, USA) + phosphate-buffered saline(PBS, Sigma MO, USA)]에 넣었다. 해부 현미경으로 관찰하며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을 조심스럽게 분리하였다. 모낭이 모두 분리될 때까지 E/P buffer를 넣은 Petri dish에 분리된 모낭을 넣고 37℃, 5% CO2 항온기에서 1시간 정도 배양하였다. 24 well plate의 각 well에 2 mM L-글루타민(Gibco Inc, NY, USA), 10 ㎍/㎖ 인슐린(Sigma MO, USA), 50 nM hydrocortisone(Sigma MO, USA)과 100 units/ml 페니실린-100 ㎍/㎖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500 ㎕의 William E medium(Gibco Inc, NY, USA)을 넣고, 하나의 well에 하나씩의 모낭을 넣어서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다. 한 실험군에 8-12개의 모낭을 이용하였으며, 배양 중에 배지는 3 일마다 교환하였다.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은 1 및 10 ㎍/㎖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양성 대조물질인 미녹시딜(minoxidil)은 10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3-2. 랫트 ( rat ) 코털 모낭( vibrissa follicles ) 성장 측정
생후 3 주령 랫트(rat)의 성장기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을 분리하여 3주간 배양하면서 모낭 길이를 측정하여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이 육모 효능 있는지 조사하였다. 배양중인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 형태는 현미경(Olympus, Japan)을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모낭 길이는 image analyzer(DP controller; Olympus,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낭 길이 변화의 평균값을 구하고 대조군의 평균길이와 비교하여 성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3-3. 실험결과
실험결과 21일째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 처리군과 대조군과의 모낭의 길이 차이(%)를 비교한 결과, 1 및 10 ㎍/㎖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100±22.6%)보다 모섬유질(hair-fiber)의 성장이 124.8±16.5% (P>0.05) 및 126.3±13.8% (P>0.01)로 증가하였다.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의 모섬유질(hair-fiber) 성장 증가 효과는 양성대조군인 10 μM 미녹시딜(minoxidil)의 116.8±13.9% (P>0.05) 성장 증가 효과보다 더 높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실험예들을 통하여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이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를 증식시키고,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랫트(rat) 코털 모낭(vibrissa follicles)의 모섬유질(hair-fiber) 길이를 성장시키는 효능을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은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에 유용한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의 추출물에서 유효성분은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으며, 효능 메커니즘 역시 아직까지 밝혀지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를 참조하여 당업자라면 다양한 알코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이나 기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이 역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 효능을 가질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다양한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제제예 1] 헤어토닉의 제조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 10.0%
레조시놀 0.1%
멘톨 0.05%
판테놀 0.2%
살리실산 0.1%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염산피리독신 0.1%
피마자유 5.0%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에탄올 적량
정제수 잔량
계 100.0%
[ 제제예 2] 헤어컨디셔너의 제조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 2.5%
세탄올 3.5%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5%
프로필렌 글리콜 2.5%
염화스테아릴메틸벤질 암모늄(25%) 7.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3%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계 100.0%
[ 제제예 3] 헤어로션의 제조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 5.0%
레조시놀 2.0%
멘톨 2.0%
판테놀 0.5%
피록톤올아민 0.1%
향료, 색소 0.5%
정제수 잔량
계 100.0%
[ 제제예 4] 헤어비누의 제조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 0.1%
이산화티탄 0.2%
폴리에틸렌글리콜 0.8%
글리세린 0.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05%
나트륨 1.0%
색소 적량
비누향 적량
화장비누베이스(수분 13%, 중량부) 잔량
계 100.0%
[ 제제예 5] 친수성 연고제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 0.5 ㎎
백색 바세린 250 ㎎
스테아릴 알코올 220 ㎎
에칠(또는 메칠)p-옥시벤조에이트 0.25 ㎎
프로필렌 글리콜 120 ㎎
라우릴 황산 나트륨 15 ㎎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0.15 ㎎
[ 제제예 6] 우유에의 적용
우유 99.9%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 0.1%
[ 제제예 7] 음료의 제조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 추출물 10 ㎎
젖산칼슘 50 ㎎
구연산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아르기닌 10 ㎎
자당지방산에스테르 10 ㎎
물 200 ㎖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의 추출물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의 추출물은 물, C1~C4 의 알코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의 추출물은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한 분말을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용매에 넣어 실온에서 0.5 내지 48시간 동안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대모자반(Sargassum sagamianum)의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제형, 화장학적 제형 또는 식품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 중에서 선택된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20120083145A 2012-07-30 2012-07-30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469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145A KR101469662B1 (ko) 2012-07-30 2012-07-30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145A KR101469662B1 (ko) 2012-07-30 2012-07-30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057A KR20140016057A (ko) 2014-02-07
KR101469662B1 true KR101469662B1 (ko) 2014-12-05

Family

ID=5026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145A KR101469662B1 (ko) 2012-07-30 2012-07-30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6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162A (ko) * 2021-04-12 2022-10-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861A (ja) * 2001-09-06 2003-03-19 Shiseido Co Ltd 養毛料
JP2003160486A (ja) * 2001-09-17 2003-06-03 Lion Corp 経口養育毛剤及び該養育毛剤を含有する飲食品
JP2007131571A (ja) * 2005-11-10 2007-05-31 Ichimaru Pharcos Co Ltd 毛乳頭細胞増殖促進剤
JP2009242325A (ja) * 2008-03-31 2009-10-22 Naris Cosmetics Co Ltd アポトーシス抑制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861A (ja) * 2001-09-06 2003-03-19 Shiseido Co Ltd 養毛料
JP2003160486A (ja) * 2001-09-17 2003-06-03 Lion Corp 経口養育毛剤及び該養育毛剤を含有する飲食品
JP2007131571A (ja) * 2005-11-10 2007-05-31 Ichimaru Pharcos Co Ltd 毛乳頭細胞増殖促進剤
JP2009242325A (ja) * 2008-03-31 2009-10-22 Naris Cosmetics Co Ltd アポトーシス抑制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162A (ko) * 2021-04-12 2022-10-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50913B1 (ko) 2021-04-12 2023-07-04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057A (ko)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503B1 (ko) 금화규 및 포포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20160109332A (ko)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309680B1 (ko)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800161B1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JP2012140360A (ja) 抗酸化剤、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20117128A (ko) 반지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469662B1 (ko)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912996B1 (ko)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10939B1 (ko) 밀기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 조성물
KR20190063171A (ko) 까마중 추출물 또는 솔라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420913B1 (ko) 넓미역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498201B1 (ko) 몽우리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JP5507437B2 (ja) 抗酸化剤、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JP5835894B2 (ja)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美白剤、並びにこれらを含有する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WO2021145004A1 (ja) 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KR101536224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20140016056A (ko) 가는개도박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646347B1 (ko) 솔방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498200B1 (ko) 띠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JP5665117B2 (ja) 抗酸化剤、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KR20170036640A (ko)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JP2012140377A (ja)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美白剤、並びにこれらを含有する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KR101355774B1 (ko)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