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996B1 -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996B1
KR101912996B1 KR1020160064001A KR20160064001A KR101912996B1 KR 101912996 B1 KR101912996 B1 KR 101912996B1 KR 1020160064001 A KR1020160064001 A KR 1020160064001A KR 20160064001 A KR20160064001 A KR 20160064001A KR 101912996 B1 KR101912996 B1 KR 101912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rinkle
skin
acid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051A (ko
Inventor
조영제
이은호
박소영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4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996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의 노화방지, 미백, 또는 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DPPH, PF, ABTS 및 TBARS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수렴효과에 의해 모공수축 효과를 나타내며, 티로시나아제를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미백효과를 나타내며, 엘라스타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엘라스틴 분자 형태를 유지시키고, 콜라게나아제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히아루노니다제 활성억제에 의해 염증반응을 억제시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Oplismenus undulatifolius}
본 발명은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 등과 같은 생활양식의 변화에 의해 비만,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등과 같은 활성산소로 인한 만성질환이나 성인병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심혈관 질환은 고콜레스테롤증, 고중성지방혈증, 음주, 운동부족, 스트레스, 흡연 등의 인자로 인하여 생체내 산화적 손상이 촉진되어, 항산화 영양소나 항산화 효소의 활성도를 낮추는 문제가 있다.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은 생체 내에서 유기호흡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Free radical을 가져 불안정하며 그로 인해 강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강한 활성 때문에 세포내 독성을 나타내기도 하며 여러 퇴행성질환이나 암, 노화와 같은 만성질환과 강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활성산소종이 낮은 농도에서는 세포내 신호전달과정에서 2차 신호전달물질 (second messenger)로서 작용하는 것이 밝혀졌으며, 암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발하거나 cell cycle arrest를 일으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양면성 때문에 활성산소종의 생성과 분해에 관련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식물체는 자외선에 의한 산화나 자동산화와 곤충들로 인한 피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폴리페놀류의 항산화 물질을 세포내 함유하고, 플라보노이드류와 산성의 페놀화합물은 항산화, 항알러지, 항염증, 항당뇨, 항암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효능이 검증된 약용식물자원유래의 생리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물질에 대해 기능성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서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Kinsella JE, Frankel E, German B, Kanner J. 1993. Possible mechanism for the protective role of antioxidants in wine and plant foods. Food Technol 478: 85-89), 이와 같이 약용식물이나 산채류, 한약재의 약용부위의 물질을 탐색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이나 식품부재료로 개발하는 것은 천연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측면과 새로운 식품자원 개발, 신소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일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주로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는 주름조개풀(Oplismenus undulatifolius)은 명들대 또는 털주름풀이라 불리는 벼과(Gramineae)의 다년생 초본으로, 산야의 숲속에서 자라며 국내 중부 이남에 자생하며 세계적으로 지중해 연안에서 중앙 아시아, 인도 북부를 거쳐 극동에 널리 분포하는 식물이다. 주름조개풀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약용으로는 밝혀진 바가 없고, 현재까지 Oplismenus 속에 대한 식물화학적 성분 연구에서 triterpenoid 성분인 isoarborinol, cylindrin, triedelin가 보고된 바 있다(Ohmoto T, Ikuse M. 1970. Triterpenoids of the Gramineae. Phytochemistry 9: 2137-2148).
이에 본 발명자들은 주름조개풀의 전초추출물로부터 산화활성, 히아루노니다제활성 억제, 티로시나제 활성억제, 콜라게나제 및 엘라스티아제 활성 억제, 수렴효과를 확인하여,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항염증, 미백, 주름개선, 및 모공수축 효과를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주름조개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의 미백, 주름개선 또는 모공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서, 상기 주름조개풀은 주름조개풀의 전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주름조개풀의 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또는 부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에탄올의 농도는 50 내지 9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페놀성 성분을 1g당 5 내지 20 mg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염으로 인한 발적, 부종, 열감, 또는 동통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 피부염은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접촉성 피부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항산화, 염증억제, 미백,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효과를 확인한 결과, 종래 합성 항산화제, 주름개선용 조성물, 피부 수렴용 화합물 및 항염증용 화합물들에 비하여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피부의 미백, 주름개선 또는 모공축소용 기능성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다양한 용매로 추출된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페놀성 성분의 함량 측정 결과와, 에탄올의 농도에 따른 페놀성 성분의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DPPH 라디컬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ABTS 라디컬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산화방지력(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TBARS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모공 축소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히알루로니다아제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약용식물자원유래의 생리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물질을 탐색하던 중, 주로 가축의 사료로 사용되었던 주름조개풀에 대해서는 연구가 전무한 것에서 착안하여, 주름조개풀의 생리활성 기능에 주목하였다. 이에 상기 주름조개풀(Oplismenus undulatifolius)로부터 페놀성 성분(phenolic compound)를 추출하여, 주름조개풀 추출물에 포함된 페놀성 성분의 생리활성을 확인한 결과, 항산화활성, 히아루노니다제활성 억제, 티로시나제 활성억제, 콜라게나제 및 엘라스티아제 활성 억제, 및 수렴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주름조개풀 추출물이 항산화, 항염증, 미백, 주름개선, 모공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고,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며, 모공 축소에 의해서 피부 결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주름조개풀 전초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주름조개풀의 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부탄올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에 사용되는 에탄올은 50 내지 95 중량%인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추출의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있는 방법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그 효능을 고려하여 페놀성 성분을 1g당 5 내지 20m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염증 감소 효과가 확인된 바,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피부염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피부염은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접촉성 피부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제형이 로션,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주름조개풀 전초 추출물은 DPPH, PF, ABTS 및 TBARS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수렴효과에 의해 모공수축 효과를 나타내며, tyrosinase를 저해함으로써 melanin 생성을 억제하여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름조개풀 전초추출물은 esterase 활성을 억제함으로서, elastin분자 형태를 유지시키고, collagenase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서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히아루노니다제 활성억제에 의해 염증반응을 억제시켜 항염증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준비 및 방법
1.1. 재료 준비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주름조개풀은 시중에서 구입하여 45℃ 건조오븐(dry oven)에서 건조시킨 후 40 mesh로 분쇄한 후 4℃에서 보관하며 시료로 사용하였다.
1.2.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제조
생리활성 측정을 위한 시료 추출은 주름조개풀 분말 1 g을 증류수 200 mL에 침지하여 추출물이 100 mL가 될 때까지 가열한 후 냉각하여 24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였으며, ethanol 추출은 90% ethanol을 사용하여, 주름조개풀 분말 1 g에 90% ethanol 100 mL를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shaking incubator에서 교반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은 Whatman No. 1 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필요에 따라 rotary vacuum evaporator (Eyela NE, Tokyo, Japan)에서 농축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1.3. 총 페놀성 성분의 정량
추출물 1 mL에 95 % ethanol 1 mL와 증류수 5 mL를 첨가하고 1 N Folin-ciocalteu reagent 0.5 mL를 잘 섞어 5분간 방치한 후 Na2CO3 1mL를 가하여 흡광도 725 nm에서 1시간 이내에 측정하여, 갈산(gallic acid)을 이용한 표준곡선으로부터 양을 환산하였다.
1.4. 항산화 효과 측정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은 Blios의 방법(Blio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전자공여능(%)은 1-(반응구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100으로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BTS)의 측정은 Pellegrin 등의 방법(Pellegrin N, Roberta R, Min Y, Catherine RE.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 (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in Enzymology 299: 379-389)에 의해 측정하였고, 저해율(%)은 1-(반응구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100으로 나타내었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는 Andarwulan과 Shetty의 방법(Andarwulan, N. and Shetty, K. 1999. Phenolic content in differentiated tissue cultures of untransformed and Agrobacterium-transformed roots of anise(Pimpinella anisum L.). J. Agric . Food. Chem . 47, 1776-1780)으로 측정하였으며, PF는 반응구의 흡광도/대조구의 비로 나타내었다.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측정은 Burge와 Aust의 방법(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 in Enzymology 105:302-310)에 따라 측정하여, 저해율(%)은 1-(반응구의 TBARs μM/대조구의 TBARs μM)×100으로 나타내었다.
1.5.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 ) 저해효과 측정
Tyrosinase 저해효과 측정은 Vincent와 Hearing의 방법(Vincent J. Hearing Jr. 1987. Mammalian monophenol monooxygenase (Tyrosinase): Purification, properties and reaction catalyzed. Method on Enzymology 142: 154-165)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반응구는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2.3 mL와 기질액 1.5 mM L-tyrosine 용액 0.4 mL의 혼합액에 mushroom tyrosinase (250 U/mL) 0.1 mL와 시료 0.2 mL를 넣고 대조구에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0.2 mL를 첨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켜 흡광도 475 nm에서 측정하여 저해율(%)은 1-(반응구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100으로 나타내었다.
1.6. 엘라스타아제( Elastase ) 저해 효과 측정
Elastase 저해효과 측정은 James 등의 방법(James A.E.K, Timothy DW, Gorden L. 1996. Inhibition of human leukocyte and porcin pancreatic elastase by homologues of bovine pancreatic tyrosin inhibitors. Biochemistry 35: 9090-9096)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반응구는 0.2 M Tris-HCl buffer (pH 8.0) 1 mL에 기질액 0.8 mM N-succinyl-(Ala)3-ρ-nitroanilide 용액 0.1 mL의 혼합액에 1.0 U/mL porcine pancreatice elastase (PPE) 효소용액 0.1 mL와 시료 0.1 mL를 넣고 대조구에는 시료 대신 증류수 0.1 mL를 첨가하여 25℃에서 20분간 반응시켜 ρ-nitroaniline 생성량을 흡광도 410 nm에서 측정하여 저해율(%)은 1-(반응구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100으로 나타내었다.
1.7. 콜라게나아제 ( Collagenase ) 저해효과 측정
Collagenase 저해효과 측정은 Wunsh 등의 방법(Wunsch E, Heindrich HG. 1963. Zur qutitativen bestimmung der collagenase. Hoppe - Seyler's Physiol chem . 333: 149-151)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반응구는 0.1 M Tris-HCl buffer (pH 7.5)에 4 mM CaCl2를 첨가하여,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 (0.3mg/mL)를 녹인 기질액 0.25 mL 및 시료용액 0.1 mL의 혼합액에 collagenase (0.2 mg/mL) 0.15 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6% citric acid 0.5 mL를 넣어 반응을 정지 시킨 후, ethyl acetate 1.5 mL을 첨가하여 3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저해율(%)은 1-(반응구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100으로 나타내었다.
1.8. 수렴효과(Astringent effect) 측정
Astringent 활성 측정은 Lee 등의 방법(Lee JT, Jeong YS, An BJ. 2002.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and its application for cosmetic materials. Kor J Herbology. 17(2): 51-60)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피부 단백질과 유사한 혈액 단백질(hemoglobin)을 사용하여, 원심분리관 용기에 각각의 시료용액과 헤모글로빈 용액을 1:1로 넣어서 진탕 혼합한 다음 2,000 rpm에서 원심분리 후 576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stringent 효과(%)는 1-(반응구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100으로 나타내었다.
1.9. 히알루로니다아제( Hyaluronidase , HAase ) 저해효과 측정
HAase 저해 활성 측정은 Reissig 등의 방법(Reissig JL, Storminger JL, Leloir LF. 1995. A modified colorimetric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N-acetylamino sugars. J Biol Chem 217: 959-966)에 준하여 sodium-hyaluronic acid (HA)로 부터 형성된 N-acetylglucosamine을 glucoxazoline 유도체로 변형시킨 후 DMAB로 발색시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즉, 0.1 M acetate buffer (pH 3.5)에 녹인 HAase (7,900 U/ml) 0.05 mL와 시료 0.1 mL를 혼합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12.5 mM CaCl 20.1mL를 가하고 혼합 후 다시 20분간 배양하였다. 기질로서 0.1 M acetate buffer (pH 3.5)에 녹인 HA (12 mg/mL)를 첨가하여 다시 40분간 배양하고 0.4 N potassiumtetraborate 0.1 mL와 0.4 N NaOH 용액 0.1 mL를 첨가하여 3분 동안 water bath에서 반응 후 완전히 냉각시켰다. 냉각시킨 반응액에 발색시약 DMAB 시약 3 mL를 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600 nm에서 투과율(%)을 측정하여, 저해율(%)은 1-(반응구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100으로 나타내었다.
용매 종류 및 용매농도 변화에 의한 주름조개풀 phenolic 추출물의 제조
주름조개풀로부터 생리활성에 관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phenolic 화합물을 추출하기 위하여, 추출용매를 다르게 하여 용매와 농도에 따른 phenolic 화합물의 용출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좌측에 나타내었고, 물로 추출하였을 때 7.70 mg/g으로, 다른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phenolic 화합물의 용출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용매에 따른 함량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름조개풀의 기능성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인체에 무해한 용매인 ethanol을 다양한 농도의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용출된 phenolic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1 우측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70% ethanol 추출물에서 10.14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에 따라 생리기능성 탐색을 위하여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기능성식품에 적용하고자 추출 용매를 물과 ethanol을 이용하여 물 추출물과 70% ethanol을 이용하여 추출 한 후 생리활성을 검정하였다.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확인
3.1.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DPPH 소거능 측정
전자공여능 측정에 사용된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는 phenolic 화합물과 같은 전자공여체와 반응하게 되면 phenoxy radical을 생성하게 되며, 안정한 분자가 된다. 또한 공여된 전자는 비가역적으로 결합하여 결합된 수에 비례하여 DPPH의 진보라색깔이 점점 옅어지게 된다. 따라서 DPPH법은 항산화 물질의 전자공여능으로 인해 방향족 아민류에 의해 환원되어 짙은 자색에서 색이 탈색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척도로써 활용된다. 이에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이용하여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도 2와 같이 50~200 μg/mL의 phenolic 화합물 농도 범위에서 물 추출물의 경우 77.9~84.9%의 전자공여능을, ethanol 추출물에서 81.8~99.8%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물과 에탄올 추출물은 대조구인 합성항산화제인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dibutyl hydroxy toluene, BHT)에 비해 더 우수한 산화 억제력을 나타내어 노화방지 화장품의 소재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3.2.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확인
추출물들의 상대적인 항산화 측정은 hydrogen-donating antioxidant와 chain breacking antioxidant 모두를 측정할 수 있으며, aqueous phase와 organic phase 모두에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표준물질의 사용으로 추출물의 상대 비교가 가능하도록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ABTS+ free radical이 추출물속의 항산화 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radical 특유의 색인 청록색이 탈색되는데,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수소공여 항산화제(hydrogendonating antioxidants) 와 연쇄절단형 항산화제(chainbreaking antioxidants)를 측정할 수 있고, 수용상(aqueous phase)과 유기상(organic phase)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측정 방법이다.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ABTS+가 추출물 내의 항산화 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색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한 항산화능 측정 방법으로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은 free radical을 소거하는 반면, ABTS는 양이온 radical을 제거하는 차이를 가지고 두 기질과 반응물과의 결합 정도가 달라져 radical 제거 능력의 차이가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ABTS를 측정한 결과 도 3에서와 같이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저 농도의 150 μg/mL에서 99.3, 95.4% 의 수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력 측정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3.3.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 PF ) 확인
β-carotene을 linoleic acid emulsion에 첨가하여 물레나물 추출물들의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도 4와 같이 물 추출물의 경우 1.26~1.51 PF를, ethanol 추출물은 1.26~2.08 PF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인 BHA의 1.92~2.46 PF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 농도의 첨가군에서 높은 PF를 나타내어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력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3.4.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TBARS 확인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물레나물 추출물의 TBARS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도 5와 같이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저 농도의 50 μg/mL에서 84.0%, 99.2%로 α-토코페롤과 β-카로틴과 같이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력 측정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 보아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수용성, 지용성 항산화에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고, 추출물의 phenolic 화합물에 농도 의존적인 양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미백효과 확인 : tyrosinase 저해 확인
본 실시예에서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고, 이때 도 5의 결과와 같이 물 추출물에서는 활성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ethanol 추출물에서는 47.4~82.3%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0~200 μg/mL phenolics 전 농도구간에서 대조구로 쓰인 누룩산(kojic acid) 보다 저해활성이 높게 나타나, 기존 미백제와 같이 mushroom tyrosinase에 직접적인 저해활성이 있는 미백 화장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 확인
5.1. 엘라스타아제 저해 확인
주름 생성과 관련된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물 추출물에서는 2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4.3%의 비교적 낮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ethanol 추출물에서는 2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대조구인 EGCG(epigallocatechin-3-gallate)와 비슷한 저해활성인 60.6%의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어, 본 발명의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5.2. 콜라게나아제 저해 확인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농도를 50~200 μg/mL phenolics로 조절하여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 8과 같이 물 추출물에서 2.8~39.1%의 억제력을 나타내었고, ethanol 추출물에서는 20.1~67.0%의 collagenase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고, 시중에 주름개선 화장료로 이용되고 있는 EGCG(epigallocatechin-3-gallate)와 비슷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collagenase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작용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 보아 주름조개풀 추출물이 가지는 collagenase 억제활성에 의해 주름개선을 위한 기능성 미용식품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모공수축 효과 확인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astringent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물 추출물에서는 200 μg/mL의 농도에서 12.6%의 수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ethanol 추출물에서도 200 μg/mL의 농도에서 32.0%의 수렴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astringent 효과가 모공 축소효과를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확인
주름조개풀 ethanol 추출물의 HAase 억제효과 결과는 도 10에서와 같이 50~200 μg/mL phenolic의 농도에서 ethanol 추출물에서 12.4~46.0%의 염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8.0~98.2%의 억제효과를 보인 Pyrrolidine dithiocarbamate(PDTC) 보다는 낮은 억제율을 나타내었지만,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항염증 효과나 아토피 억제효과를 활용하는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주름조개풀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성 물질은 물과 7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각각 7.7 mg/g, 10.1 mg/g 함량을 나타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를 50~200 μg/mL로 조절하여 DPPH를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 5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78%, 82%였고, ABTS radical decolorization는 1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92%, 76%였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2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1.51 PF와 2.08 PF로 측정되었으며, TBARs값은 5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84%, ethanol 추출물에서 99%를 나타내었다. 또한 Tyrosinase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에서 82%의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다. Elastase 저해능 측정 결과 water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4%, 61%로 나타내었고, Collagenase 저해능 측정 결과 200 μ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이 각각 39%, 67%로 ethanol 추출물의 높은 저해력을 나타내어 주름개선효과가 높았다. 이에 더하여 수렴작용으로서 astringent 효과를 측정한 결과, 200 μg/mL phenolic 농도의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13%, 32%의 수렴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염증억제효과로서 hyaluronida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200 μg/mL phenolic 농도의 ethanol 추출물에서 46%의 염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본 발명의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미백효과, 주름개선효과, 수렴효과, 항염증효과 등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활용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2)

  1.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된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의 미백, 주름개선 또는 모공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조개풀은 주름조개풀 전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의 농도는 50 내지 9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페놀성 성분을 1g당 5 내지 20 mg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된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조개풀은 주름조개풀 전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의 농도는 50 내지 9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페놀성 성분을 1g당 5 내지 20 mg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염으로 인한 발적, 부종, 열감, 또는 동통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60064001A 2016-05-25 2016-05-25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2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001A KR101912996B1 (ko) 2016-05-25 2016-05-25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001A KR101912996B1 (ko) 2016-05-25 2016-05-25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051A KR20170133051A (ko) 2017-12-05
KR101912996B1 true KR101912996B1 (ko) 2018-10-29

Family

ID=6092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001A KR101912996B1 (ko) 2016-05-25 2016-05-25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9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435B1 (ko) 2019-11-21 2020-10-15 한국수목원관리원 산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79B1 (ko) * 2019-09-05 2021-05-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391B1 (ko) 2001-11-09 2010-07-07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화장 및/또는 피부의약 조성물에서의 나방콩 식물 유래추출물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391B1 (ko) 2001-11-09 2010-07-07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화장 및/또는 피부의약 조성물에서의 나방콩 식물 유래추출물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435B1 (ko) 2019-11-21 2020-10-15 한국수목원관리원 산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051A (ko)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528B1 (ko) 금화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800161B1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846503B1 (ko) 금화규 및 포포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744579B1 (ko) 수련, 캐모마일꽃, 모링가 및 마치현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2996B1 (ko)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28282B1 (ko)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916953B1 (ko) 피부 미백 기능성을 가진 얌빈 추출물
KR20070041927A (ko) 항산화, 항암,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화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1965032B1 (ko) 물레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3171A (ko) 까마중 추출물 또는 솔라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531686B1 (ko) 토후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36224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KR101912097B1 (ko)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55395B1 (ko) 굴피나무의 수피, 심재,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22286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1687254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매듭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724018B1 (ko) 모시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0624B1 (ko) 모시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69662B1 (ko) 비틀대모자반 추출물 함유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498201B1 (ko) 몽우리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