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379B1 -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379B1
KR102258379B1 KR1020190109969A KR20190109969A KR102258379B1 KR 102258379 B1 KR102258379 B1 KR 102258379B1 KR 1020190109969 A KR1020190109969 A KR 1020190109969A KR 20190109969 A KR20190109969 A KR 20190109969A KR 102258379 B1 KR102258379 B1 KR 102258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siologically active
active substance
inducing agent
elicitor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8879A (ko
Inventor
조영제
이은호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9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3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름조개풀의 잎에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로서 효모(yeast) 효소 분해물을 처리하여 재배하였을 때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처리하지 않고 재배한 주름조개풀에 비해 haluronidase 저해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elastas 저해 활성,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처리하여 재배한 주름조개풀은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하여 항염증, 미백, 및 주름개선능이 증가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처리함으로써 항염증, 미백, 및 주름개선능이 증가된 주름조개풀을 재배하여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 개발 등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Method for increasing anti-inflammation, whitening, or anti-wrinkle activity of Oplismenus undulatifolius using elicitor}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처리하여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이 증가된 주름조개풀을 재배하는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생리활성 효과를 지닌 물질은 동식물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식물체는 자외선에 의한 산화나 자동산화, 곤충들로 인한 피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polyphenol류의 phytochmical 물질을 세포 내 함유하며, flavonoid류와 산성의 phenolic compounds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효능이 검증된 약용식물자원 유래의 생리활성과 우수한 기능성 물질에 대한 기능성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서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용식물이나 산채류, 한약재, 과실류 등 약용부위의 물질을 탐색하여 건강기능성 식품이나 식품부재료로 개발하는 것은 천연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측면과 새로운 식품자원 개발, 신소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주름조개풀을 포함한 약용식물이 생산하는 식물 이차대사산물은 다양하고 특이적인 약리활성을 가지며, 최근 이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자생식물로 규명된 것은 약 4200여종에 이르며 이중 한반도에서만 존재하는 자생식물은 400여종 이상으로 이러한 자생식물의 상업적 가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사이에 해외로 이미 많이 반출되어 국내로 역수입되고 있다.
염증은 조직에 해롭거나 해로울 가능성이 있는 요인들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국소적인 생리적 반응으로, 최근,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는 알레르기 반응유발, 염증유도 및 암 전이 등과의 연관성이 있는 것이 보고된 바 있고,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저해제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항 알레르기 약물, 항 염증약물 및 기능성 식품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인간의 피부는 노화되어감에 따라 기능적, 구조적으로 변화되어 시각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이 저하되어 피부가 얇아져 피부탄력 감소로 인한 주름 생성, 피지생성 감소로 인한 건성 피부화, 경피 수분 손실 증가뿐만 아니라 멜라닌 생성에 의한 얼굴의 명도가 낮아지고 기미와 검버섯 등이 생성되는 등 여러 가지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피부는 항상 산소와 접촉하고 있고 자외선에 쉽게 노출되어 활성 산소 등에 의한 피부의 광산화적 손상과 광노화가 발생할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 현재 인류의 당면과제인 노화 억제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피부노화 억제 및 개선을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노화억제를 위한 기능성 물질들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물질에 대한 연구는 인체에 부작용이 작은 천연물에 대한 관심으로 집중되고 있으며, 동양의학에서 오랜 기간 치료와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온 한약재와 약용식물들과 식물의 2차 대사산물이 가지는 생체에 대한 생리활성 물질 등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비교적 검증된 것을 이용하는 연구가 시도되었다. 따라서 피부 구성물질을 증가시키거나,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물질 등을 적용시키는 것은 노화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주름개선, 탄력복원 및 미백효과 등의 피부개선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melanin)이나 카로틴(carotene)과 같은 색소 성분과 혈관의 분포, 각질층의 두께 등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이는 멜라닌이 피부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도 갖고 있지만 국소적으로 과도하게 합성되거나, 멜라닌 생성에 이상이 생기면 melasma, freckle 및 hyperpigmentation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멜라닌 합성의 기질인 tyrosine을 분해하는 tyrosinase를 저해함으로써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여 피부의 미백효과를 볼 수 있다.
인체의 중성구 과립구내에 존재하는 elastase는 진피 내 피부탄력을 유지하는데 주요한 기질 단백질인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이며, 다른 중요한 기질 단백질인 콜라겐을 분해할 수 있는 비특이적 가수분해 효소이다. 따라서 elastase 저해제는 피부 주름개선을 하는 작용을 나타내며, ursolic acid 등이 elastase 저해제로 이용되고 있고, 체내의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백혈구 과립 효소 중의 하나로 이상조직에서는 그 효소의 활성이 극히 높아 조직 파괴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피부주름 및 탄력성 소실을 유발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콜라겐(Collagen)은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과 결합조직의 저항력, 조직력, 세포분할과 분화를 유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 감소와 같은 내적요인과 여러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 증가,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된다. 이러한 collagen의 감소는 피부의 탄력을 저하시켜 주름과 피부쳐짐의 원인이 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한편, 주름조개풀(Oplismenus undulatifolius)은 명들대 또는 털주름풀이라 불리는 벼과(Gramineae)의 다년생 초본으로 산야의 숲속에서 지천으로 퍼져서 자라며,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에 자생하며 세계적으로 지중해 연안에서 중앙 아시아, 인도 북부를 거쳐 극동에 널리 분포한다. 주름조개풀은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약용으로는 밝혀진 바가 없고, 현재까지 Oplismenus 속에 대한 식물화학적 성분 연구에서 triterpenoid 성분인 isoarborinol, cylindrin, triedelin가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주름조개풀의 유용성분을 활용하여 항염증, 미백, 주름개선 등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물질 개발 등과 관련하여 아직까지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며, 특히 주름조개풀 내 유용성분을 증가시켜 이의 생리활성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법 등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주름조개풀 재배시 대사공학 및 생산유도(elicitation) 기법을 접목하여 주름조개풀의 이차 대사산물 생산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부가 약리활성물질들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약리활성물질의 생산성이 높은 우수한 식물자원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757827호
본 발명자들은 주름조개풀의 재배시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하였을 때,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처리하지 않고 재배한 경우에 비해 항염증, 미백, 주름개선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는 바,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주름조개풀에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름조개풀에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이 증가된 주름조개풀의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한 주름조개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름조개풀에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름조개풀에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이 증가된 주름조개풀의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한 주름조개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는 미생물 배양액 추출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제조되는 미생물 효소 분해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미생물은 효모(yeas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주름조개풀의 추출물은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한 주름조개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한 주름조개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한 주름조개풀의 추출물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에 이용되는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조개풀의 잎에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로서 효모(yeast) 효소 분해물을 처리하여 재배하였을 때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처리하지 않고 재배한 주름조개풀에 비해 haluronidase 저해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elastas 저해 활성,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처리하여 재배한 주름조개풀은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하여 항염증, 미백, 및 주름개선능이 증가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처리함으로써 항염증, 미백, 및 주름개선능이 증가된 주름조개풀을 재배하여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 개발 등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 구간별 주름조개풀의 생육상태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군 및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물 추출물의 total phenolics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군 및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에탄올 추출물의 total phenolics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군 및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군 및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물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군 및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에탄올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군 및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물 추출물의 elastase 저해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군 및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에탄올 추출물의 elastase 저해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군 및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물 추출물의 collagenase 저해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군 및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에탄올 추출물의 collagenase 저해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주름조개풀에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름조개풀에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이 증가된 주름조개풀의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농지에서 재배되고 있는 약용 식물에 대사공학 및 생산유도 (elicitation) 기술로서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적용하여 주름조개풀의 이차 대사산물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생산유도(eliciation) 기술"은 식물이 외래 병원균 등의 공격을 받을 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생산하는 피토알렉신(phytoalexin)의 생산을 인위적으로 유도하는 기술로서, 수확하기 전 짧은 기간 동안 소량의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함으로써 유용성분의 함량이 높은 고품질의 한방 재료를 생산할 수 있어, 쉽고,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바이오매스(biomass) 처리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는 미생물 배양액 추출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제조되는 미생물 효소 분해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의 주된 성분은 다당류의 탄수화물(carbohydrate)로서, 식물에 대해 병원체(pathogen)로 작용하는 미생물의 세포벽으로부터 유래한 다당류이며, 이 때 상기 미생물은 효모(yeast)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생물 효소 분해물은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s) 수용액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작용시킨 후, 과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에탄올 불용성 성분들을 유도한 다음, 침전을 회수하고 건조하여 분말 상태로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단백질과 펩티드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로서 동식물의 조직이나 세포, 미생물로부터 유래된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곰팡이에서 분리된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 후 정제된 미생물배양액 효소분해물은 효모(yeast)의 자가분해물질(autolysate)에서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성분을 분리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효모 효소 분해물은 분말제제의 균질화를 위하여 소량의 염화구리 분말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 분말을 적당한 희석제에 용해하여 용액으로 제조한 후 주름조개풀 잎에 직접 분무하여 처리할 수 있다. 분무량은 평(3.3m2) 당 0.1 mg 내지 10 mg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처리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험예에 따르면 상기 효모 효소 분해물을 1 mg 내지 5 mg 사용할 때 항염증, 미백, 및 주름개선 증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한 주름조개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한 주름조개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상기 주름조개풀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주름조개풀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주름조개풀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추출은 각 용매의 특성에 따라 시료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 및 기능성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이며, 추출 시 사용되는 용매의 설정은 생리활성 실험 전 단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순수한 증류수를 이용한 열수 추출은 용매에 대한 유해성의 문제가 없고, 수율이 높으며 수용성 물질 추출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극성 용매인 에탄올 추출의 경우 추출 후 정제가 쉬운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름조개풀을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주름조개풀 추출물은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염증"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포함하는 의미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천식,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비염, 위염, 장염, 궤양성 위염, 신장염,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섬유종, 과민성 대장증후군, 염증성 통증, 편두통, 두통, 허리 통증, 섬유 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예컨대, C형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통풍,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포도막염, 피부염(아토피성 피부염 포함), 습진,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 예방 또는 치료, 미백, 주름개선을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등의 피부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제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름조개풀 추출물에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화제, 및 과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락토오스, 덱스트로즈,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키롤리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로리돈, 메틸셀룰로오스, 물, 설탕시럽,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염증억제, 미백, 주름개선 효과를 위한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한 주름조개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한 주름조개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한 주름조개풀의 추출물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에 이용되는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서는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적용에 따른 주름조개풀 생육상태를 확인한 결과, 생리활성물질 유도제가 주름조개풀 생육에 변화를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서는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군 및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추출물에서의 total phenolics 함량을 비교한 결과,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무처리군에 비해 처리군에서 total phenolics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는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군과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고형분 중량대비 phenolic 함량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고형분 중량대비 phenolic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3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는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군과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고분자 다당으로 진피층의 섬유아세포에서 산출되어, 표피, 진피에 주요한 세포외 매트릭스로 glucuronic acid와 glucosamine이 반복해서 연결된 점액성 moucopolysaccharide이다. 그리고, 염증 형성의 중요 요소인 macrophage의 phagocytic ability를 저해하는 한편, HA 분해 산물 혹은 저분자 HA는 상처 치유과정에서 inflammation, fibrosism, collagen deposition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고분자 HA의 분해효소인 hyaluronidase(HAase)의 저해에 의해 HA의 고분자 형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군과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hyaluronid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군이 무처리군에 비해 hyaluronidase 저해 효과가 뛰어나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4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는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군과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였다.
멜라닌(melanin)은 여러 동물들의 피부나 눈 등의 조직에 존재하는 흑색 또는 갈색 색소를 총칭한다. 특히 멜라닌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써 인종에 따라서 멜라닌 발현 유전자가 다르고, 이에 따라 멜라닌 세포의 양이 조절되어 피부색이 결정된다. 피부에서 멜라닌의 기능은 자외선 차단 기능으로서 피부의 체온을 유지시켜주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주지만, 과도한 멜라닌 생성은 기미, 주근깨, 피부 반점 형성에 원인이 되며, 더 나아가 피부암 유발에 기여한다.
이에,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군과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멜라닌 색소 형성 등에 관여하는 tyrosin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군이 무처리군에 비해 tyrosinase 저해 효과가 뛰어나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5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는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군과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Elastin은 진피 내에서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기질 단백질로, collagen과 그물망 구조로 결합된 상태로 존재한다. 구조 단백질인 elastin은 피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생성량이 감소하고, 피부 노화 정도에 따라 진피 내 교원섬유 및 탄력섬유와 같은 기질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여 피부탄력을 떨어뜨리고 피부 주름의 생성을 야기한다. 인체의 중성구 과립구 내에 존재하는 elastase는 피부탄력성 섬유(elastin)을 분해하는 효소로 elastase의 저해는 피부 주름의 개선을 의미한다.
또한,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작용에 의해 합성되어 진피층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collagen은 세포외 기질의 주요 구성성분이자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collagenase에 의해 분해된다. Collagen은 피부의 주름생성과 관련이 있으며, 진피층에서 함량이 낮아질 경우에 주름이 유발될 수 있어,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알아볼 수 있다. 또한 자외선에 의해 세포사이를 채우는 성분인 교원질과 탄력질의 합성이 감소하게 되면 다양한 기질 단백질 분해 효소이자 피부 노화의 주원인인 collagenase가 활성화되게 되며, collagenase의 활성화는 피부 진피층의 90%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collagen의 분해를 야기하게 되는데, collagenase를 저해 효과는 주름과 같은 피부 노화를 억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군과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elastase 및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군이 무처리군에 비해 elastase 저해 효과(실험예 6-1 참조) 및 collagenase 저해 효과(실험예 6-2 참조)가 뛰어나 우수한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6 참조).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재료 준비
1-1.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의 제조
효모(yeast) 배양액에서 초음파 파쇄기로 세포벽을 파쇄한 후 원심분리 하여 세포벽 찌꺼기는 침전시켜 제거하고, 상징액을 동결건조 하여 효모 배양액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s) 수용액에 단백질 분해효소(As pergillus fumigatus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단백질 분해효소)를 작용시키고, 과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에탄올 불용성 성분들을 유도한 후, 침전을 회수하고 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이스트 효소 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분말 kg당 5 g의 염화제2구리 분말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유효성분 생산유도제(elicitor) 분말을 제조하였다.
1-2.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의 적용
주름조개풀의 경우, 농가가 재배하는 작물이 아닌 야생초의 일종으로 정확한 재배방법이 모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경북 봉화군 청량산 일대 야생에 분포하는 주름조개풀을 직접 채집하여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실험실습장 내 비닐하우스 M2구역 실험장에 이식하여 대량 증식 재배를 실시하였다.
주름조개풀은 2018년 5월 19일 경북 봉화군 청량산 소재의 야산에서 1차 채집 및 이식을 실시하여 88일(약 13주)간 재배하여 최종 수확하였으며, 재배 기간 중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는 3주 간격으로 총 3회 처리하였다. 생리활성물질 생산유도제 처리는 무처리군(control) 및 처리군 3구간(농도별로 1 mg/평(3.3m2) (A그룹), 3 mg/평(3.3m2) (B그룹), 5 mg/평(3.3m2) (C그룹) 등 총 4구간으로 구분하여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물에 희석한 용액으로 제조하여 분무기를 사용하여 직접 잎에 분무하였다.
1-3.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한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제조
대조군 및 상기 실시예 1-2에서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각각 1 mg/3.3m2, 3 mg/3.3m2, 5 mg/3.3m2 처리하여 재배한 그룹 A, B, C 주름조개풀 잎은 수확하여 각각 dry oven에서 45℃로 열풍건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해 40 mesh로 분쇄하여 분말상태의 원료로 제조하였으며, 이후 실험을 위해 4℃ 시료보관 냉장고에서 저온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물 추출물의 경우 상기 건조한 주름조개풀 잎 분말 시료 1 g에 증류수 200 mL를 넣고 용액이 100 mL가 될 때까지 가열한 후 냉각하고, 에탄올 추출물은 상기 건조한 주름조개풀 잎 분말 시료 1 g에 100 mL의 70% 에탄올을 가하고 균질기(homogeniger)로 20,000 rpm에서 1분간 균질화시킨 후 24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였으며, 추출액은 여과지(whatman No. 1 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필요에 따라 진공건조(rotary vacuum evaporator; Eyela NE, Japan)에서 농축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험 방법
2-1. Total phenolic compounds 함량 정량
Total phenolic 정량은 Folin과 Denis의 방법(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에 준하여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주름조개풀 추출물 1 mL에 95% ethanol 1 mL와 증류수 5 mL를 첨가하고 1 N Folin-ciocalteu reagent 0.5 mL를 잘 섞어 5분간 방치한 후 Na2CO3 1 mL를 가하여 흡광도 725 nm에서 1시간 이내에 측정하여 gallic acid를 이용한 표준곡선으로부터 양을 환산하였다.
2-2. 항염증( hyaluronidase 저해) 효과 측정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저해 활성은 나트륨-히알루론산(sodium-hyaluronic acid, Na-HA)으로부터 형성된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을 글루콕사졸린(glucoxazoline) 유도체로 변형시킨 후 p-디메틸아미노 벤즈알데히드(p-dimethylamino benzaldehyde, DMAB)로 발색시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0.1M 아세테이트(acetate) 버퍼(pH 3.5)에 녹인 히알루로니다아제(7,900 unit/ml) 0.05 mL와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주름조개풀 추출물(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각각 1 mg/3.3m2, 3 mg/3.3m2, 5 mg/3.3m2 처리한 그룹 A, B, C 주름조개풀 추출물) 시료 용액 0.1 mL를 혼합하여 37℃에서 20분간 배양한 다음 12.5 mM CaCl2 0.1mL를 가하고 혼합 후 다시 20분간 배양하였다. 기질로서 0.1M 아세테이트 버퍼(pH 3.5)에 녹인 HA (12 mg/mL)를 첨가하여 다시 40분간 배양하여 0.4N 포타슘테트라보레이트(potassiumtetraborate) 0.1 mL 및 0.4N NaOH 용액을 0.1mL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3분 동안 수욕 상에서 가열한 후 완전히 냉각시켰다. 냉각시킨 반응물에 발색제로 DMAB 시약 3 mL을 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배양한 다음 58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hyaluronidase 저해율(%)은 (1-시료 첨가군의 흡광도/무 첨가군의 흡광도)×100으로 산출하였다.
2-3. 미백( tyrosinase 저해) 효과 측정
미백 효과는 Vincent와 Hearing의 방법(Vincent J, Hearing JR. 1987; Mammalian monophenol monooxygenase (tyrosinase): purification, properties, and reactions catalyzed. Method Enzymol. 142:154-165.)에 준하여,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2.3 mL와 기질액 1.5 mM L-tyrosine 용액 0.4 mL의 혼합액에 250 U/mL mushroom tyrosinase (Sigma-Aldrich Co.) 0.1 mL와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주름조개풀 추출물(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각각 1 mg/3.3m2, 3 mg/3.3m2, 5 mg/3.3m2 처리한 그룹 A, B, C 주름조개풀 추출물) 시료 0.2 mL를 넣고 대조군에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0.2 mL를 첨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다음,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4. 주름개선( elatase collagenase 저해) 효과 측정
Elastase 저해 효과는 Kraunsoe 등의 방법(Kraunsoe JA, Claridge TD, Lowe G (1996) Inhibition of human leukocyte and porcine pancreatic elastase by homologues of bovine pancreatic trypsin inhibitor. Biochemistry, 35, 9090-9096)에 준하여, 0.2 M Tris-HCl buffer(pH 8.0) 1 mL에 기질액 0.8 mM N-succinyl-(Ala)3-ρ-nitroanilide 용액 0.1 mL의 혼합액에 1.0 U/mL porcine pancreatic elastase (PPE)(Sigma-Aldrich Co.) 효소용액 0.1 mL와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주름조개풀 추출물(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각각 1 mg/3.3m2, 3 mg/3.3m2, 5 mg/3.3m2 처리한 그룹 A, B, C 주름조개풀 추출물) 시료 0.1 mL를 넣고 대조군에는 시료 대신 증류수 0.1 mL를 첨가하여 25℃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ρ-nitroaniline 생성량을 흡광도 410 nm에서 측정하였다.
Collagenase 저해 효과는 Wunsch와 Heidrich의 방법(Wunsch E, Heidrich HG (1963) Zur quantitativen bestimmung der kollagenase. Hoppe-Seyler's Z Physiol Chem, 333, 149-151)에 준하여, 0.1 M Tris-HCl buffer(pH 7.5)에 4 mM CaCl2를 첨가하여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0.3 mg/mL)를 녹인 기질액 0.25 mL와 50-200 μg/mL phenolic compounds 농도의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주름조개풀 추출물(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각각 1 mg/3.3m2, 3 mg/3.3m2, 5 mg/3.3m2 처리한 그룹 A, B, C 주름조개풀 추출물) 시료 용액 0.1 mL의 혼합액에 0.2 mg/mL collagenase(Sigma-Aldrich Co.) 0.15 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6% citric acid 0.5 mL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다음, ethyl acetate 2 mL를 첨가하고 3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5. 통계적 분석
모든 실험은 3회 이상 반복 측정하였으며,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3 for window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평균±표준편차(mean±standard deviation)로 표시하였고, 분산분석 Duncan’s multiple range test, one-way ANOVA를 실시하여 시료 간의 유의차를 P<0.05 수준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예 1.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적용에 따른 주름조개풀 생육상태 확인
상기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주름조개풀의 재배 기간 동안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무처리군(control), A 그룹(1 mg/3.3m2), B 그룹(3 mg/3.3m2), C 그룹(5 mg/3.3m2) 총 4구간으로 구분하여 재배 하였으며,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처리하기 전 각 구간별로 주름조개풀 개체의 줄기 및 잎의 생육상태를 측정하여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가 줄기와 잎의 생장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 농도에 따른 주름조개풀 개체의 줄기 및 잎의 생육상태의 변화는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생리활성물질 유도제가 주름조개풀 생육에 변화를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에 의한 생리활성물질 함량 증가 확인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군과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유용성분 함량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안전하면서 유용성분을 가장 많이 추출할 수 있는 용매로 물 및 에탄올을 선정하여, 상기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무처리군(control), A 그룹(1 mg/3.3m2), B 그룹(3 mg/3.3m2), C 그룹(5 mg/3.3m2)별로 물 및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분석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에 존재하는 많은 phytochemical 중 total phenolics는 다양한 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식물의 대표적인 유용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군 및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추출물에서의 total phenolics함량을 상기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름조개풀 물 추출물의 total phenolics 함량은 C그룹, B그룹, control그룹, A그룹 순으로 각각 12.52 mg/g, 12.06 mg/g, 9.24 mg/g, 7.97 mg/g으로 나타났으며, 70% ethanol 추출물의 total phenolics 함량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그룹, B그룹, A그룹, control그룹 순으로 각각 18.22 mg/g, 10.80 mg/g, 7.64 mg/g, 7.35 mg/g으로 나타나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에 의해 stress를 받은 그룹이 무처리군인 control보다 대체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가 식물 체내에 존재하고 생성되는 유용성분인 total phenolics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험예 3.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에 의한 고형분 중량대비 phenolic compound 함량 증가 효과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군과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고형분 중량대비 phenolic 함량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무처리군(control), 1 mg/3.3m2 처리군, 5 mg/3.3m2 처리군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주름조개풀을 물 및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동결건조하여 고형분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무처리군, 1 mg/3.3m2 처리군, 및 5 mg/3.3m2 처리군의 고형분 시료에서 total phenolics 함량을 상기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름조개풀 물 추출물의 동결건조물에서 total phenolics 함량은 control그룹에서는 0.31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평(3.3m2)당 1 mg 처리군에서는 0.30 mg/g, 5 mg 처리군에서는 0.36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주름조개풀 에탄올 추출물의 동결건조물에서 total phenolics 함량은 control그룹에서는 0.33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평당 1 mg 처리군에서는 0.46 mg/g, 5 mg 처리군에서는 0.57 mg/g의 함량을 나타내어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동결건조물 모두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고형분 중량대비 phenolic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Sample Group Contents of total phenolics in solid
(1 mg)
Oplismenus undulatifolius
water solid
Control 0.31±0.01
Elicitor 1 mg/3.3 m2 0.30±0.00
Elicitor 5 mg/3.3 m2 0.36±0.03
Oplismenus undulatifolius
70% ethanol solid
Control 0.33±0.02
Elicitor 1 mg/3.3 m2 0.46±0.04
Elicitor 5 mg/3.3 m2 0.57±0.05
실험예 4.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에 따른 항염증 효과 증가 확인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군과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염증 유발에 관련이 있는 효소인 hyaluronidase 저해 효과를 상기 실시예 2-2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름조개풀 에탄올 추출물에서 A 그룹(elicitor 1 mg/3.3m2 처리), B 그룹(elicitor 3 mg/3.3m2 처리), C 그룹(elicitor 5 mg/3.3m2 처리) 순으로 hyaluronidase 저해율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여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로 인해 증가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에 의한 phenolics의 함량 증가가 항염증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에 따른 미백 효과 증가 확인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군과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멜라닌 색소 형성 등에 관여하는 tyrosinase 저해 효과를 상기 실시예2-3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름조개풀 물 추출물에서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로 인해 다소 증가된 미백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주름조개풀 에탄올 추출물에서도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그룹, B 그룹, 및 C 그룹 모두 대조군에 비해 tyrosinase 저해율이 높은 것을 관찰하였는 바,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로 인해 미백 효과가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에 의한 phenolics의 함량 증가가 미백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에 따른 주름 개선 효과 증가 확인
6-1. elastase 저해 효과 증가 확인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군과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피부구조 단백질 elastin을 분해하여 피부 주름을 생성시키는 효소인 elastase 저해 효과를 상기 실시예 2-4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름조개풀 물 추출물에서 A 그룹, B 그룹, C 그룹 순으로 elastase 저해율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여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농도에 의존적으로 매우 증가된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름조개풀 에탄올 추출물에서도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로 인해 증가된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여,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에 의한 phenolics의 함량 증가가 주름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2. collagenase 저해 효과 증가 확인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군과 무처리군 주름조개풀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collagen을 분해하는 효소인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상기 실시예 2-4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름조개풀 물 추출물에서 A 그룹, B 그룹, C 그룹 순으로 elastase 저해율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여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된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름조개풀 에탄올 추출물에서도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농도에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증가된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생리활성물질 처리에 의한 phenolics의 함량 증가가 주름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들에서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 처리로 인해 증가된 항염증, 미백,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리활성물질 유도제 처리에 따른 phenolics의 함량 증가가 기능성 소재로서의 효능을 증가시킨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elicitor의 처리에 의해 항염증,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가 증가된 주름조개풀의 재배가 가능하며,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4)

  1. 주름조개풀에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름조개풀의 생리활성물질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주름조개풀은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 활성이 증가된 것이고,
    상기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는 미생물 배양액 추출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제조되는 미생물 효소 분해물이고,
    상기 미생물은 효모(yeast)이며,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igatus)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조개풀의 생리활성물질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주름조개풀에 생리활성물질 유도제(elicitor)를 처리하여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리활성물질 함량이 증가된 주름조개풀의 재배 방법으로서,
    상기 주름조개풀은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 활성이 증가된 것이고,
    상기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는 미생물 배양액 추출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제조되는 미생물 효소 분해물이고,
    상기 미생물은 효모(yeast)이며,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igatus)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활성물질 함량이 증가된 주름조개풀의 재배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109969A 2019-09-05 2019-09-05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2258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69A KR102258379B1 (ko) 2019-09-05 2019-09-05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69A KR102258379B1 (ko) 2019-09-05 2019-09-05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879A KR20210028879A (ko) 2021-03-15
KR102258379B1 true KR102258379B1 (ko) 2021-05-31

Family

ID=7513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969A KR102258379B1 (ko) 2019-09-05 2019-09-05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283A (ko) 2021-07-29 2023-02-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827B1 (ko) 2016-03-30 2017-07-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때죽나무(Styrax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히알루로니다아제(HAase, hyaluronidase) 저해제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조성물
KR101912996B1 (ko) * 2016-05-25 2018-10-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8904A (ko)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뉴랜드올네이처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함경식 외 8명,"식물면역활성제(elicitor)를 이용한 콩나물의 고품질화 기술개발", 목포대학교,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2003.01), 1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283A (ko) 2021-07-29 2023-02-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879A (ko)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944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4773B1 (ko) 낙엽송 부산물로부터 다량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정제 방법 및 이 유효성분을 함유한 조성물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8108B1 (ko)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8379B1 (ko)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127279B1 (ko) 신규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인삼엽 및 이의 추출물을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20099165A (ko) 대추 또는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284899B1 (ko) 황기 펩타이드 숙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85369A (ko) 대추 또는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KR20200040606A (ko) 아리수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320424B1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9156B1 (ko) 효소처리된 홍삼 및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10123548A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622286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KR20200040607A (ko) 썸머프린스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00011243A (ko) 그린볼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372651B1 (ko) 좀쉬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73040A (ko) 지칭개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헤미스텝신(Hemistepsin) A 또는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211873B1 (ko) 인삼 부산물 추출물의 산처리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