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108B1 -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108B1
KR102568108B1 KR1020200174643A KR20200174643A KR102568108B1 KR 102568108 B1 KR102568108 B1 KR 102568108B1 KR 1020200174643 A KR1020200174643 A KR 1020200174643A KR 20200174643 A KR20200174643 A KR 20200174643A KR 102568108 B1 KR102568108 B1 KR 102568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white water
flower extract
water li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4802A (ko
Inventor
조재열
유롱
김해엽
진항
리완이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4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10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피부 주름, 피부 수분함유 저하 및 피부 노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 흰물싸리꽃 추출물 추출물은 천연물로서 세포독성이 없기 때문에, 피부 주름, 수분 저하 및 피부 노화 등의 피부 문제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제로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otentilla glabr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피부 주름, 피부 수분함유 저하 및 피부 노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체내의 기관들을 보호해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 탄력 감소, 피부색 변화, 피부주름 형성 등의 외형적인 변형이 함께 수반된다. 이러한 피부 노화 과정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히 발생하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 또는 자연노화)와 외인성 노화인 주위 환경, 특히 자외선(ultraviolet; UV)에 의환 광노화(photoaging)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다. 두 가지 노화 사이에는 주름이 생성되는 기전이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피부에서는 표피 세포의 증식이나 신진대사가 저하되며, 표피-진피 사이의 결합이 약해 조그만 자극에도 손상을 입기 쉽고, 콜라겐 합성 감소와 과다한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의 발현 증가 등의 생리적 변화들이 나타나 피부가 건조해지며 표피, 진피 층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피부가 탄력성을 잃고 늘어져 보이며 점차적으로 주름이 깊어지게 된다. 피부 노화 현상에서 자연노화 현상은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환경적인 요인인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피부 노화를 지연하고 억제하는 방법이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한 오존층 파괴는 자외선의 양을 증가시켰고 이에 따라 광노화에 대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 광노화된 피부에서는 거칠어짐, 탄력 손실, 주름발생 등과 같은 외관상의 특징이 관찰되며, 이 중 광노화의 주된 연구 분야는 피부 주름의 변화에 대한 것이다. 상기 광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형성에 관해 피부의 주요 구성성분인 콜라겐(collagen)의 합성, 분해 및 수분 함유량 등의 기초적인 생리 대사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화장품의 화학성분으로 인해 부작용이 발생하는 사례가 적지않게 알려지면서, 천연성분을 함유하여 제조되는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천연소재 흰물싸리꽃이 피부 수분함유 저하 및 피부 노화의 개선에 효과적인지는 거의 알려진 바 없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961152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이 세포독성은 없으면서, 피부 수분함유 저하 및 탄력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피부 주름, 피부 수분함유 저하 및 피부 노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피부 주름, 피부 수분함유 저하 및 피부 노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의한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필라그린(Filaggrin) 발현 또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HAS-1(Hyaluronan synthase 1) 또는 HAS-2의 발현 또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피부를 재생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염증성 피부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전신 홍반성 낭창, 접촉성 피부염, 알레르기 피부질환, 여드름, 좌창 및 두드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질환은 피부발적(erythema), 광과민, 일광화상, 피부부종, 일광염증, 피부 광노화, 피부 주름, 탄력 저하, 피부 내 수분 저하, 피부 모세혈관 확장 및 피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피부 수분함유 저하 및 피부 노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주름, 피부 수분함유 저하 및 피부 노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의 피부 주름, 피부 수분함유 저하 및 피부 노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제, 화장품 또는 식품을 생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의 염증성 피부 질환에 이용되는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피부 수분함유 저하 및 피부 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 흰물싸리꽃 추출물 추출물은 천연물로서 세포독성이 없기 때문에, 피부 주름, 피부 수분함유 저하, 피부 노화, 및 피부 염증 등의 피부 문제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제로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HaCaT 세포 (Keratinocytes)에 대한 흰물싸리꽃 에탄올 추출물(Pg-EE)의 세포 독성이 50 μg/ml까지의 농도에서는 유의하지 않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HaCaT 세포 (Keratinocytes)에 Pg-EE를 처리하였을 때 Nitric Oxide의 발현양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HaCaT 세포 (Keratinocytes)에 Pg-EE를 처리하고 UVB를 조사해주었을 때 염증 관련 유전자인 COX-2의 단백질 발현양이 감소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HaCaT 세포 (Keratinocytes)에 Pg-EE를 처리하고 UVB를 조사해주었을 때 염증 관련 신호인 AP-1 관련 유전자 (TAK1, MKK3/6, p38)의 활성형 단백질 발현양이 감소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HaCaT 세포 (Keratinocytes)에 Pg-EE를 처리하고 UVB를 조사해주었을 때 염증 관련 신호인 AP-1 관련 유전자 (MEK 1/2, ERK 1/2)의 활성형 단백질 발현양이 감소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HaCaT 세포 (Keratinocytes)에 Pg-EE를 처리하고 UVB를 조사해주었을 때 세포자연사 조절 단백질의 발현양이 조절됨을 확인한 것이다.
도 7은 HaCaT 세포 (Keratinocytes)에 Pg-EE를 처리하고 UVB를 조사해주었을 때 keratinocyte의 분화 마커로 알려진 FLG와 보습 관련 유전자인 HAS-1, HAS-2의 mRNA level 증가를 확인한 것이다.
도 8은 Pg-EE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컬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도 9는 Pg-EE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ABTS 라디컬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도 10은 HaCaT 세포에 UVB를 조사하였을 때 Pg-EE에 의한 세포 신호 전달 증가 및 전사 수준에서 유도를 통한 항염증, 보습, 세포자연사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기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HaCaT 세포 (Keratinocytes)에 Pg-EE와 같은 Potentilla 속의 다른 종 식물인 Potentilla viscosa Donn ex Lehm., Potentilla centigrana Maxim., Potentilla ancistrifolia Bunge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고 세포 생장률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HaCaT 세포 (Keratinocytes)에 세포독성을 갖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한 Pg-EE와 같은 Potentilla 속의 다른 종 식물인 Potentilla viscosa Donn ex Lehm., Potentilla centigrana Maxim., Potentilla ancistrifolia Bunge의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고 UVB를 조사해주었을 때 keratinocyte의 분화 마커로 알려진 FLG와 보습 관련 유전자인 HAS-1의 mRNA level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피부 주름, 피부 수분함유 저하 및 피부 노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흰물싸리(Potentilla glabra var. mandshurica (Maxim.))는 백두산 등지의 고산지대에 서식하는 Potentilla 속에 속하는 식물이다. 흰물싸리는 낙엽활엽관목 식물로, 백두산 등지의 고산지대에서 자라며, 성질이 강건하여 재배가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흰물싸리의 꽃은 6-8월에 백색으로 피며 지름 3cm정도로서 새가지 끝에 달리거나 2-3개가 액생하고 꽃받침열편은 난상 삼각형으로서 겉에 견모가 있으며 황록색이고 부악편은 선형 또는 피침형이며 첨두로서 연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국가생물종 지식정보시스템).
본 발명의 흰물싸리는 바람직하게는 흰물싸리꽃(Potentilla glabra var. mandshurica (Maxim.) Hand.-Mazz.)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흰물싸리꽃은 주로 중국에서 채집하므로, 중국에서 구입하여 사용 할 수 있어 수급에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흰물싸리꽃은 그 원형을 훼손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거나, 당업자가 의도하는 공정 속도 및 공정(제조) 효율을 고려하여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전처리 과정으로는 예를 들어 통상적인 선별, 수세, 절단, 분말화, 건조 등의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식물체 전체 또는 식물의 일부로부터 수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줄기, 뿌리, 잎, 열매, 및 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위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공지의 천연물 추출방법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 및 아임계 또는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방법은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냉침, 온침, 가열 등 통상의 추출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에탄올은 농도가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30 내지 100%, 40 내지 100%, 50 내지 100%, 60 내지 100%, 70 내지 100%, 80 내지 100%, 90 내지 100%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필라그린(Filaggrin) 발현 또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HAS-1(Hyaluronan synthase 1) 또는 HAS-2의 발현 또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흰물싸리꽃 추출물의 활성을 검증한 결과, 상기 추출물이 세포독성이 없고(실시예 3 참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실시예 4 및 7 참조), 염증 관련 유전자인 COX-2, TAK1, MKK3/6, p38, MEK1/2 및 ERK1/2 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고 (실시예 5 참조), 보습 관련 유전자 HAS-1(hyaluronan synthase-1), 및 HAS-2를 증가시키며 (실시예 6 참조), 동속 식물과 비교해서도 보습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비교예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피부 주름, 피부 수분함유 저하 및 피부 노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방 및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의약, 의약외품,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항노화 효과'라 함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히 발생하는 노화 또는 자외선(UV)에 의한 광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거칠어짐, 탄력 손실, 주름 발생 등을 억제하는 효과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름 개선 효과'라 함은 콜라겐 분해효소를 억제하고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력 증진' 또는 ‘탄력저하 개선’이란 피부에 대한 탄력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콜라겐 분해효소를 억제하고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 탄력의 손실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감소된 탄력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수분함유 저하 개선’이란 각질형성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피부의 수분이 감소되는 것을 저해 또는 억제하거나 피부의 수분 함유량을 증가시켜 피부 표면을 매끄럽게 하며, 윤기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피부질환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나, 아토피 피부염, 전신 홍반성 낭창, 접촉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여드름, 좌창 및 두드러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은 활성 산소종, 프리 라디칼 및 피부세포 손상을 촉진하는 다양한 세포 내 신호전달 분자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피부의 광노화, 색소 침착 및 홍반과 같은 다양한 피부손상을 유발한다. 자외선에 의해 활성 산소종이 과다하게 생성되는 경우, 세포 내의 단백질, 핵산 및 지방과 같은 생체고분자가 손상을 입게 된다. 특히, 자외선에 의해 과다 생성된 활성 산소종은 피부 노화의 주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에 노출되기 전 또는 후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에 노출되기 전에 사용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피부세포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다양한 종류의 피부손상 관련 매개체들의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세포의 사멸 등을 억제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한 활성 산소종 생성 및 세포내 신호전달 분자의 생성을 저해하여 피부세포의 사멸을 억제하여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방지하는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질환은 피부발적(erythema), 광과민, 일광화상, 피부부종, 일광염증, 피부 광노화, 피부 주름, 탄력 저하, 피부 내 수분 저하, 피부 모세혈관 확장 및 피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의 상기 흰물싸리꽃 추출물의 함량은 질환의 증상, 증상의 진행 정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예컨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99.9중량%, 또는 0.001 내지 50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함량비는 용매를 제거한 건조량을 기준으로 한 값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예를 들어,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흡착제, 보습제, 필름-코팅 물질, 및 제어방출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서방형 과립제, 장용과립제, 액제, 점안제, 엘실릭제, 유제, 현탁액제, 주정제, 트로키제, 방향수제, 리모나아데제, 정제, 서방형정제, 장용정제, 설하정, 경질캅셀제, 연질캅셀제, 서방캅셀제, 장용캅셀제, 환제, 틴크제, 연조엑스제, 건조엑스제, 유동엑스제, 주사제, 캡슐제, 관류액, 경고제, 로션제, 파스타제, 분무제, 흡입제, 패취제, 멸균주사용액, 또는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외용제는 크림, 젤, 패치,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환제, 트로키제의 첨가제로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유당, 백당, 포도당, 과당, 디-만니톨, 침강탄산칼슘, 합성규산알루미늄, 인산일수소칼슘, 황산칼슘,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정제 라놀린, 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 알긴산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카올린, 요소, 콜로이드성실리카겔,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1928, 2208, 2906, 2910, 프로필렌글리콜, 카제인, 젖산칼슘, 프리모젤 등 부형제; 젤라틴, 아라비아고무, 에탄올, 한천가루,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포도당, 정제수, 카제인나트륨, 글리세린, 스테아린산,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히드록시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히드록시메칠셀룰로오스, 정제쉘락, 전분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옥수수전분, 한천가루, 메칠셀룰로오스, 벤토나이트,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구연산칼슘, 라우릴황산나트륨, 무수규산, 1-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덱스트란, 이온교환수지, 초산폴리비닐, 포름알데히드처리 카제인 및 젤라틴, 알긴산, 아밀로오스, 구아르고무(Guar gum), 중조, 폴리비닐피롤리돈, 인산칼슘, 겔화전분, 아라비아고무, 아밀로펙틴, 펙틴, 폴리인산나트륨, 에칠셀룰로오스, 백당, 규산마그네슘알루미늄, 디-소르비톨액, 경질무수규산 등 붕해제;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수소화식물유(Hydrogenated vegetable oil), 탈크, 석송자, 카올린, 바셀린, 스테아린산나트륨, 카카오지, 살리실산나트륨, 살리실산마그네슘, 폴리에칠렌글리콜 4000, 6000, 유동파라핀, 수소첨가대두유(Lubri wax),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아연, 라우릴황산나트륨, 산화마그네슘, 마크로골(Macrogol), 합성규산알루미늄, 무수규산, 고급지방산, 고급알코올, 실리콘유, 파라핀유, 폴리에칠렌글리콜지방산에테르, 전분, 염화나트륨, 초산나트륨, 올레인산나트륨, dl-로이신, 경질무수규산 등의 활택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제의 첨가제로는 물, 묽은 염산, 묽은 황산, 구연산나트륨, 모노스테아린산슈크로스류, 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톨지방산에스텔류(트윈에스텔), 폴리옥시에칠렌모노알킬에텔류, 라놀린에텔류, 라놀린에스텔류, 초산, 염산, 암모니아수, 탄산암모늄,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프롤아민, 폴리비닐피롤리돈, 에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럽제에는 백당의 용액, 다른 당류 혹은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방향제, 착색제, 보존제, 안정제, 현탁화제, 유화제, 점조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제에는 정제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유화제, 보존제, 안정제, 방향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탁제에는 아카시아, 트라가칸타,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미결정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PMC), HPMC1828, HPMC2906, HPMC2910 등 현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보존제, 안정제, 착색제,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제에는 주사용 증류수, 0.9%염화나트륨주사액, 링겔주사액, 덱스트로스주사액, 덱스트로스+염화나트륨주사액, 피이지(PEG), 락테이티드 링겔주사액,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비휘발성유-참기름, 면실유, 낙화생유, 콩기름, 옥수수기름, 올레인산에칠,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안식향산벤젠과 같은 용제; 안식향산나트륨, 살리실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요소, 우레탄, 모노에칠아세트아마이드, 부타졸리딘, 프로필렌글리콜, 트윈류, 니정틴산아미드, 헥사민, 디메칠아세트아마이드와 같은 용해보조제; 약산 및 그 염(초산과 초산나트륨), 약염기 및 그 염(암모니아 및 초산암모니움), 유기화합물, 단백질, 알부민, 펩 톤, 검류와 같은 완충제; 염화나트륨과 같은 등장화제; 중아황산나트륨(NaHSO3) 이산화탄소가스, 메타중아황산나트륨(Na2S2O5), 아황산나트륨(Na2SO3), 질소가스(N2),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과 같은 안정제; 소디움비설파이드 0.1%, 소디움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치오우레아,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아세톤소디움비설파이트와 같은 황산화제; 벤질알코올, 클로로부탄올, 염산프로카인, 포도당, 글루콘산칼슘과 같은 무통화제; 시엠시나트륨, 알긴산나트륨, 트윈 80, 모노스테아린산알루미늄과 같은 현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좌제에는 카카오지, 라놀린, 위텝솔,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로젤라틴,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과 올레인산의 혼합물, 수바날(Subanal), 면실유, 낙화생유, 야자유, 카카오버터+콜레스테롤, 레시틴, 라네트왁스,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롤, 트윈 또는 스판, 임하우젠(Imhausen), 모놀렌(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아뎁스솔리두스(Adeps solidus), 부티룸 태고-G(Buytyrum Tego-G), 세베스파마 16 (Cebes Pharma 16), 헥사라이드베이스 95, 코토마(Cotomar), 히드록코테 SP, S-70-XXA, S-70-XX75(S-70-XX95), 히드록코테(Hydrokote) 25, 히드록코테 711, 이드로포스탈 (Idropostal), 마사에스트라리움(Massa estrarium, A, AS, B, C, D, E, I, T), 마사-MF, 마수폴, 마수폴-15, 네오수포스탈-엔, 파라마운드-B, 수포시로(OSI, OSIX, A, B, C, D, H, L), 좌제기제 IV 타입 (AB, B, A, BC, BBG, E, BGF, C, D, 299), 수포스탈 (N, Es), 웨코비 (W, R, S, M ,Fs), 테제스터 트리글리세라이드 기제 (TG-95, MA, 57)와 같은 기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복용, 피하 주사, 복강 투여, 정맥 주사, 근육 주사, 척수 주위 공간(경막내) 주사, 설하 투여, 볼점막 투여, 직장 내 삽입, 질 내 삽입, 안구 투여, 귀 투여, 비강 투여, 흡입, 입 또는 코를 통한 분무, 피부 투여, 경피 투여 등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질환의 중등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와 함께 활성성분인 약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 (mouse), 쥐 (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목적하는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목적하는 질환과 그에 따른 대사 이상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개선"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목적하는 질환과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은 기능성 식품 및 건강기능성 식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은 이너뷰티 푸드(inner beauty) 형태로 섭취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효과를 갖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이너뷰티(inner beauty)는 '먹는 화장품 또는 뷰티 푸드'로 일컬어지는 푸드로, 피부에 좋은 여러 가지 성분을 몸속으로 흡수시켜 피부 체질을 건강하게 바꾸는 식품을 지칭하며, 피부 타입에 맞는 화장품을 고르듯 피부 컨디션과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해 개개인에게 맞는 이너 뷰티 푸드를 선택하여 섭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과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너뷰티 푸드를 혼용할 경우, 화장품 또는 약제만 사용하는 것에 비해 피부 주름, 피부 수분함유 저하 및 피부 노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월등히 높아져 더욱 효과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0.01-0.20g, 또는 약 0.04-0.10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품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제형이 로션,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실험 준비
흰물싸리꽃(Potentilla glabra var. mandshurica (Maxim.) Hand.-Mazz.) 에탄올 추출물(Pg-EE) (FBM108-016), Potentilla viscosa(FBM136-008), Potentilla centigrana(FBM234-037), Potentilla ancistrifolia(FBM237-055)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해외생물소재센터 (www.ibmrc.re.kr, 대전, 대한민국) 에서 구입하였다.
실시예 2. 세포배양법
인간 각질형성세포 (human keratinocyte cell) HaCaT 세포를 10% FBS(fetal bovine serum)와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양액을 이용하여 37℃, 5% 이산화탄소(CO2) 조건의 세포 배양기에서 100 mm 세포 배양 디쉬에 70-80 %의 밀도로 배양하였다.
실시예 3. 세포 생존률(cell viability) 확인
정상 상태의 세포에 대한 Pp-EE의 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HaCaT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3.5 × 105 개/ml의 세포를 플레이팅하고, Pg-EE (최종농도 200 μg/ml에서 3.125 μg/ml 까지 1/2씩 dilution) 추출물를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inyltetrazolium bromide) 어세이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추출물이 처리된 세포의 세포 생존률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추출물 처리 후 배양된 세포에 10 ㎕ MTT 용액 (stock concentration: 5 mg/ml)을 첨가하고 3시간 동안 추가 반응을 유도하였다. 반응 종료 및 포르마잔 결정(formazan crystal) 용해를 위해 각 웰에 100 ㎕ MTT 정치 용액(stopping solution) (10% Sodium dodecyl sulfate in 0.01M HCl)을 추가적으로 첨가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MTT가 프로마잔으로 환원된 양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얻어진 OD 값을 통해 산출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Pg-EE가 50 μg/ml의 농도에서까지는 독성을 가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NO 생성량 확인
Human keratinocyte 세포인 HaCaT 세포를 페니실린 (100 IU/ml) 및 스트렙토마이신 (100 μg/ml)과 10% FBS를 함유하는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5×105 cells/ml의 농도로 조절한 후, 96 well plate에 접종하고, 5% CO2 및 37 ℃에서 18 시간 동안 전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4배 농도로 조제된 Pg-EE (최종농도 200 μg/ml에서 3.125 μg/ml 까지 1/2씩 dilution) 추출물 50 μl을 처리하고 30분 후 Sodium Nitroprusside (SNP, 최종농도 1.5 mM)를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상층액을 100 μl씩 또 다른 96 well plate에 옮기고 NO 정량은 Griess 용액 (0.5% 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5% 설파닐아마이드, 25% H3PO4)을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실시하였다. 표준물질로 sodium nitrite (0 에서 100 μM) 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증 지표로 사용되는 니트릭 옥사이드 (Nitric Oxide, NO) donor인 Sodium Nitroprusside (SNP)를 HaCaT 세포에 처리한 후 Pg-EE를 농도 별로 처리한 다음 생성된 NO의 농도를 확인해보는 NO assay를 진행한 결과, Pg-EE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량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실시예 5. 웨스턴 블롯을 이용한 단백질 발현량 확인
5-1. 염증 관련 유전자의 단백질 발현량 확인
Keratinocyte 세포인 HaCaT를 페니실린 (100 IU/ml) 및 스트렙토마이신 (100 μg/ml)과 10%의 FBS를 함유하는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X106 cells/ml의 농도로 60mm 세포 배양 디쉬에서 전배양하였다. 18 시간 후 12.5, 25, 50 μg/ml 농도의 Pg-EE를 30분 간 처리한 후 PBS로 세척해주고 30 mJ/cm2의 UVB를 쬐어주었다. 그 후 다시 동일한 농도의 Pg-EE를 8 시간 동안 처리해주었다. 그 후, 세포를 모아서 lysis buffer를 넣고 세포를 용해하여 웨스턴 샘플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각 샘플의 단백질 농도는 BSA를 표준으로 잡고 측정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값을 기준으로 단백질 농도가 되는 각 표본량을 가지고 웨스턴 블롯 어세이를 진행하였다. 먼저, SDS-PAGE를 실행하고 PVDF 막으로 단백질을 transfer한 후 막을 3% BSA 용액을 사용하여 blocking시키고, 표적 단백질 항체 및 신호전달 단백질 항체 (p-TAK1, TAK1, p-MKK3/6, MKK3, p-p38, p38, p-CREB, CREB, p-MEK1/2, MEK1/2, p-ERK1/2, ERK1/2, Bcl-2, Bax, Caspase 3, Cleaved Caspase 3, β-actin (Cell Signaling Technology)) 용액을 사용해 1차 처리하고, 세척 후 2차 항체 용액 (anti-mouse IgG, HRP-linked Antibody 또는 anti-rabbit IgG, HRP-linked Antibody (Cell Signaling Technology))을 처리하고 다시 세척하였다. 그리고 암실에서 막에 ECL 용액 (Amersham, England)을 골고루 처리하여 X-ray film으로 감광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UVB 조사에 의해 증가된 염증 관련 유전자 클로옥시게나제 (Cyclooxygenase-2, COX-2)의 단백질 발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COX-2(cyclooxygenase-2)는 피부세포에서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대량으로 발현되는 효소로서, 세포막에 있는 아라키돈산을 프로스타글란딘으로 전환시켜 세포손상을 촉진한다. 특히, 이러한 COX-2와 프로스타글란딘은 피부 노화 및 피부의 암화(carcinogenesis)와 같은 피부 손상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UVB에 의해 증가된 염증 관련 신호인 AP-1 관련 유전자인 전환성장인자베타 활성화 키나제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Activated Kinase 1, TAK1),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키나제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 MKK3/6), p38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의 활성형 단백질 발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UVB에 의해 증가된 염증 관련 신호인 AP-1 관련 유전자인 MEK1/2 (MAPK/ERK kinase 1/2), 세포외신호조절인산화효소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ERK1/2)의 활성형 단백질 발현량이 Pg-EE에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5-2. 세포자연사 조절 단백질 발현량 확인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HaCaT 세포에 30 mJ/cm2의 UVB를 조사한 후 Pg-EE를 농도별 (12.5, 25, 50 μg/ml)로 처리해주었을 때, 세포자연사의 발생 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g-EE를 처리해주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반-자연세포사 유전자인 Bcl-2의 발현이 증가하고 전-자연세포사 유전자인 Bax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자연사의 신호 전달을 활성화시키는 Caspase-3의 활성화된 cleaved caspase-3의 발현 정도가 감소한 것을 통해 Pg-EE가 HaCaT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자연사를 억제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RT-PCR을 이용한 보습 관련 인자의 mRNA 발현량 확인
HaCaT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웰 당 5×104 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흰물싸리꽃 에탄올 추출물을 12.5-50 μg/ml가 되도록 처리하였다. 세포는 37℃, 5% 이산화탄소(CO2) 조건의 세포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배양액을 모두 걷어 내고, TRI-Zol을 이용하여 상기 세포를 분해하고, BCP를 이용하여 중화시켰다. 중화시킨 액체에 isopropanol을 이용하여 mRNA를 침강시켰다. 이어서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강된 mRNA만을 모아 실험에 이용하였다. 세포 내 mRNA는 cDNA kit를 이용하여 cDNA로 합성하여, PCR을 통해 보습에 중요한 유전자인 HAS-1, 및 HAS-2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흰물싸리꽃 추출물이 보습에 중요한 유전자인 HAS-1, 및 HAS-2를 상향조절함으로써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보습 인자 분화 마커인 필라그린(Filaggrin, FLG)의 발현을 상향조절함으로써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필라그린은 케라틴을 서로 엉겨붙게 하는 접착제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각질세포막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결합에도 관여한다. 피부 지질은 장벽 기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더불어 항균작용 등의 방어기전과 함께 신호 전달 물질로서 피부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결과는 흰물싸리꽃 추출물이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고,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프라이머
서열 sequence(5’->3’) 서열번호
FLG Forward AGGGAAGATCCAAGAGCCC 1
Reverse ACTCTGGATCCCCTACGCTT 2
HAS-1 Forward CCACCCAGTACAGCGTCAAC 3
Reverse CATGGTGCTTCTGTCGCTCT 4
HAS-2 Forward TTCTTTATGTAGCTCATCTGTCTAACCGG 5
Reverse ATTGTTGGTTACCAGTTTATCCAAACG 6
GAPDH Forward GGTCACCAGGGCTGCTTTTA 7
Reverse GATGGCATGGACTGTGGTCA 8
실시예7 . 항산화 효과 확인
7-1. DPPH assay
DPPH의 농도가 250 mM이 되도록 메탄올에 녹여준 후 495 μl의 DPPH와 5 μl의 Pg-EE (0-200 μg/ml) 또는 아스코르브산 (50 μM)을 섞어 37 ℃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DPPH 소거능은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얻어진 O.D값을 통해 산출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Pg-EE에 농도 의존적으로 DPPH 소거능이 증가하였는 바, Pg-EE가 HaCaT 세포에 대해 항산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안정한 유리기 상태인 DPPH에 Pg-EE (3.125~200 μg/ml)와 기존에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아스코르브산 (50 μM)를 처리해 준 후 얼마나 DPPH 라디칼이 소거되는지를 분광광도계를 통해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DPPH 소거능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2. ABTS assay
7.4 mM의 ABTS와 2.4 mM의 potassium persulfate를 1:1의 비율로 섞고 상온에서 18시간 정도 배양시켰다. ABTS 용액 100 μl를 96 well plate에 옮긴 후 Pg-EE (0-200 μg/ml) 또는 아스코르브산 (50 μM)을 100 μl을 첨가하였다. 37 ℃에서 30분 간 배양한 후 7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ABTS 소거능 실험을 진행한 경우에도 Pg-EE (3.125~200 μg/ml)와 아스코르브산 (50 μM)을 처리해주었을 때 라디컬 소거능이 농도가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는 형상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동속 식물과의 효과 비교
흰물싸리꽃과 동속에 속하는 식물인 Potentilla viscosa Donn ex Lehm., Potentilla centigrana Maxim., Potentilla ancistrifolia Bunge의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동속 식물일지라도 구체적인 종에 따라 효과가 상이함을 확인하는 비교실험을 진행하였다.
1-1. 세포 독성 확인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각 식물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흰물싸리꽃(Pg-EE)을 포함한 4가지 식물 추출물 모두 세포 독성을 가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식물 추출물들이 HaCat 세포에 세포독성을 갖지 않는 다는 사실을 기초로, 하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1-2. 보습 관련 유전자의 발현 확인
실시예 6의 방법에 따라, 각 식물 추출물의 HAS-1 및 FLG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Potentilla 종의 식물인 Potentilla viscosa Donn ex Lehm., Potentilla centigrana Maxim., Potentilla ancistrifolia Bunge 의 에탄올 추출물을 Pg-EE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을 때, Pg-EE를 세포에 처리해주었을 때와 비교하여 효과가 미비하며, 본 발명의 Pg-EE의 보습 효능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시예를 종합하여, 본 발명자들은 흰물싸리꽃 추출물이 세포 독성이 없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자외선에 의해 증가되는 염증 인자 및 세포 사멸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보습인자들의 발현량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보습, 및 피부 노화 개선용 조성물로서, 약제,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과 이들의 개발을 위한 물질에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120>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otentilla glabr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130> MP20-223 <160> 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LG_F <400> 1 agggaagatc caagagccc 19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LG_R <400> 2 actctggatc ccctacgctt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1_F <400> 3 ccacccagta cagcgtcaac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1_R <400> 4 catggtgctt ctgtcgctct 20 <210> 5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2_F <400> 5 ttctttatgt agctcatctg tctaaccgg 29 <210> 6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AS-2_R <400> 6 attgttggtt accagtttat ccaaacg 27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_F <400> 7 ggtcaccagg gctgctttta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_R <400> 8 gatggcatgg actgtggtca 20

Claims (15)

  1.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피부 수분함유 저하 및 피부 노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필라그린(Filaggrin) 발현 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HAS-1(Hyaluronan synthase 1) 또는 HAS-2의 발현 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피부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피부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전신 홍반성 낭창, 접촉성 피부염, 알레르기 피부질환, 여드름, 좌창 및 두드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삭제
  10.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질환은 피부발적(erythema), 광과민, 일광화상, 피부부종, 일광염증, 피부 광노화, 피부 주름, 탄력 저하, 피부 내 수분 저하, 피부 모세혈관 확장 및 피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5.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흰물싸리꽃 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00174643A 2020-12-14 2020-12-14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8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643A KR102568108B1 (ko) 2020-12-14 2020-12-14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643A KR102568108B1 (ko) 2020-12-14 2020-12-14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802A KR20220084802A (ko) 2022-06-21
KR102568108B1 true KR102568108B1 (ko) 2023-08-18

Family

ID=8222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643A KR102568108B1 (ko) 2020-12-14 2020-12-14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4026A (zh) * 2022-09-05 2022-11-22 捷通国际有限公司 用于抑制胶原酶活性的组合物和方法
CN115317426A (zh) * 2022-09-05 2022-11-11 捷通国际有限公司 用于抑制弹性蛋白酶活性的组合物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152B1 (ko) 2017-11-15 2019-03-25 주식회사 프롬바이오 양태반 분말과 식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tivities constituents from Yaowang Tea (Potentilla glabra Lodd.), Foo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22(3), 371-376(2016.) 1부.*
화장품 소재로써의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뿌리 추출물의 효과,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9(1), 13-17(2016.)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802A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944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8108B1 (ko)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5127B1 (ko) 뱀독에서 분리한 신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0606A (ko) 아리수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258379B1 (ko)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2320424B1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83148A (ko) 개소시랑개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0607A (ko) 썸머프린스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372651B1 (ko) 좀쉬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5919B1 (ko) 리카니아 매크로카르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0608A (ko) 홍금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102453622B1 (ko) 레드 마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11243A (ko) 그린볼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408169B1 (ko) 오카닌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408170B1 (ko) 아이소프로컬큐메놀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511934B1 (ko)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81979A (ko)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30005075A (ko) 귀리 추출물 또는 아베난쓰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또는 혈관 협착 개선용 조성물
KR20230106452A (ko) 참꽃마리(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피부미백, 또는 주름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19283A (ko) 석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20210032369A (ko) 홍금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20230134094A (ko) 천일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87186A (ko) 소인제(Aeonium sedifori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모공축소, 또는 주름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90109A (ko) 제비고깔(Delphinium grandiflorum 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모공축소, 또는 주름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3104B1 (ko) 꽃매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