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283A - 석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석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9283A
KR20230019283A KR1020210099693A KR20210099693A KR20230019283A KR 20230019283 A KR20230019283 A KR 20230019283A KR 1020210099693 A KR1020210099693 A KR 1020210099693A KR 20210099693 A KR20210099693 A KR 20210099693A KR 20230019283 A KR20230019283 A KR 20230019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tone
composition
present
inhib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제
이은호
박혜진
홍신협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9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9283A/ko
Publication of KR20230019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9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41Pterid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6Antigout agents, e.g. antihyperuricemic or uricosur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abet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Rheu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besit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석위 추출물은 DPPH 라디칼, ABTS 라디칼, 및 TBARs를 저해하고 PF를 증가시킴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히알루로니다아제를 저해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티로시나아제를 저해함으로써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엘라스타아제 또는 콜라게나아제를 저해함으로써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석위 추출물은 α-아밀라아제 또는 α-글루코시다아제를 저해함으로써 당뇨병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크잔틴 산화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통풍(관절염)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바, 상기와 같은 생리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석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ti-diabetes, whitening, anti-wrinkle, or inhibition of gout, comprising extract of Pyrrosia lingua}
본 발명은 석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체내에서 일어나는 산화 반응은 노화와 세포의 변이를 유발하여 암세포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산화 반응에 따른 산화스트레스는 인체 내 다양한 조직 세포를 손상시키며, 근육과 지방에서 당의 섭취를 방해하고,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키는 등 당뇨병, 통풍 등의 질환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체내에서 일어나는 산화반응을 억제시키거나 그 속도를 느리게 하는 항산화 작용은 이런 체내의 부정적인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예방 방편으로 볼 수 있으며, 항산화제(anti-oxidant)로 부틸레이트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hydrox yanisole; BHA), 부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BHT)과 같은 합성물질들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산화제는 인체에 대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어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더불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물 유래의 천연 화합물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염증은 조직에 해롭거나 해로울 가능성이 있는 요인들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국소적인 생리적 반응으로, 최근,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는 알레르기 반응유발, 염증유도 및 암 전이 등과의 연관성이 있는 것이 보고된 바 있고,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저해제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항 알레르기 약물, 항 염증약물 및 기능성 식품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피부의 진피층을 포함한 일부 조직, 기관, 동맥 등은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과 같은 세포외기질(ECM) 단백질로 채워져 있다. 특히 피부의 진피층은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고 엘라스틴과 콜라겐의 가교를 통해 주름을 예방한다.
그러나 산화 스트레스, 자외선 B와 같은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활성산소가 과도하게 생성되고, 화학물질 및 미생물에 노출되면 섬유아세포가 노화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ECM 단백질의 합성이 저하되고 이를 분해하는 신호전달물질과 엘라스타아제(elastase),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등의 효소 분비가 촉진되어 주름이 생긴다. 또한, 피부 멜라닌 세포는 자외선의 자극에 의해 멜라닌을 생성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기본 메커니즘인 각질세포에 전달하지만, 노화로 인해 피부 재생 주기가 지연되어 멜라닌이 축적되고, 축적량이 증가하면 색소침착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이에, 초기 멜라닌 생성 속도를 조절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물 미백 물질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생리활성 효과를 지닌 물질은 동식물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식물체는 자외선에 의한 산화나 자동산화, 곤충들로 인한 피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폴리페놀류의 파이토케미칼(phytochemical) 물질을 세포 내 함유하며, 플라보노이드류와 산성의 페놀성 화합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효능이 검증된 약용식물자원 유래의 생리활성과 우수한 기능성 물질에 대한 기능성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서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용식물이나 산채류, 한약재, 과실류 등 약용부위의 물질을 탐색하여 건강기능성 식품이나 식품부재료로 개발하는 것은 천연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측면과 새로운 식품자원 개발, 신소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석위(Pyrrosia lingua)는 양치식물 고사리목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서, 중국 남서부와 인도차이나 반도의 측면에 널리 분포하는 매우 흔한 식물이며 한국과 중국에서 통증, 요로결석 형성, 질출혈 등에 대한 효능이 있어 의학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석위에 대한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및 통풍 억제 등의 생리활성 효과 분석을 통해 고부가가치 기능성소재로서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58379호
본 발명자들은 석위 추출물이 항산화, 항염증, 피부미백, 주름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당뇨병 또는 통풍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는 바,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석위(Pyrrosia ling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항산화용;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위(Pyrrosia ling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항산화용; 항염증용; 피부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석위(Pyrrosia ling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피부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석위(Pyrrosia ling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항산화용;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석위(Pyrrosia ling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항산화용; 항염증용; 피부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석위(Pyrrosia ling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피부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석위 잎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크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를 저해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α-아밀라아제(α-Amylase) 또는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를 저해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저해,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포닉산)(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저해, 티오바르비튜릭산 반응성 물질(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저해, 또는 항산화물질 보호 인자(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 증가 활성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를 저해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를 저해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엘라스타아제(elastase) 또는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를 저해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석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석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석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석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산화, 항염증,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풍 또는 당뇨병의 치료에 이용되는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석위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항염증,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에 이용되는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석위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위 추출물은 DPPH 라디칼, ABTS 라디칼, 및 TBARs를 저해하고 PF를 증가시킴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히알루로니다아제를 저해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티로시나아제를 저해함으로써 피부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엘라스타아제 또는 콜라게나아제를 저해함으로써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석위 추출물은 α-아밀라아제 또는 α-글루코시다아제를 저해함으로써 당뇨병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크잔틴 산화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통풍(관절염)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바, 상기와 같은 생리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석위 추출물에서 에탄올 용매 농도별 페놀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석위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석위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석위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PF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석위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TBARs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석위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석위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석위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석위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크잔틴 산화 효소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석위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석위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서는 석위 추출물에서 에탄올 용매 농도별 페놀 함량을 확인한 결과, 80 %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가장 페놀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는 석위 추출물이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PF의 항산화 활성, 및 TBARs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는 석위 추출물이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실험예 3 참조) 및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실험예 4 참조)을 나타내어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는 석위 추출물이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5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는 석위 추출물이 크잔틴 산화 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통풍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6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는 석위 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피부미백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7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는 석위 추출물이 α-아밀라아제 및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당뇨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8 참조).
이에, 본 발명은 석위(Pyrrosia ling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항산화용;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석위의 잎, 줄기, 근경(뿌리줄기), 뿌리, 또는 이를 모두 포함한 식물 전체 추출물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석위 잎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석위는 직접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상기 석위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석위 추출물은 건조물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석위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석위를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아임계 추출법, 고온 추출, 고압 추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석위를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석위를 추출할 경우, 에탄올의 농도는 10 % 내지 100 %, 10 % 내지 90 %, 10 % 내지 85 %, 20 % 내지 100 %, 20 % 내지 90 %, 20 % 내지 85 %, 30 % 내지 100 %, 30 % 내지 90 %, 30 % 내지 85 %, 40 % 내지 100 %, 40 % 내지 90 %, 40 % 내지 85 %, 50 % 내지 100 %, 50 % 내지 90 %, 50 % 내지 85 %, 60 % 내지 100 %, 60 % 내지 90 %, 60 % 내지 85 %, 70 % 내지 100 %, 70 % 내지 90 %, 70 % 내지 85 %, 75 % 내지 85 %, 또는 8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고,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 횟수는 1회 이상 실시할 수 있으나, 추출이 계속될수록 활성 성분은 수득량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5회 이상 반복 실시하는 것은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2 내지 5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산화"는 생체분자에 산화 손상을 일으키며, 단백질을 가교시키고, DNA를 변이시키며, 지질을 과산화시킬 수 있는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산소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염증”은 염증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는 작용을 의미하며,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활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천식,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비염, 위염, 장염, 궤양성 위염, 신장염,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섬유종, 과민성 대장증후군, 염증성 통증, 편두통, 두통, 허리 통증, 섬유 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예컨대, C형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포도막염, 피부염(아토피성 피부염 포함), 습진,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통풍”은 퓨린(purine) 대사의 이상으로 혈청 요산 농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면서 혈액 내에서 요산염 결정이 관절의 연골, 힘줄 주위 조직에 침착되어 극심한 통증과 발열 및 종창을 일으키는 질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당뇨병”은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으로 발병되는 전신적인 대사질환의 일종으로서, 체내에 인슐린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인 부족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질병으로 혈중의 당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상태를 의미하며, 제1형 당뇨병, 제2형 당뇨병, 특정한 원인에 의한 그 밖의 당뇨병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예를 들어,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흡착제, 보습제, 필름-코팅 물질, 및 제어방출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서방형 과립제, 장용과립제, 액제, 점안제, 엘실릭제, 유제, 현탁액제, 주정제, 트로키제, 방향수제, 리모나아데제, 정제, 서방형정제, 장용정제, 설하정, 경질캅셀제, 연질캅셀제, 서방캅셀제, 장용캅셀제, 환제, 틴크제, 연조엑스제, 건조엑스제, 유동엑스제, 주사제, 캡슐제, 관류액, 경고제, 로션제, 파스타제, 분무제, 흡입제, 패취제, 멸균주사용액, 또는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외용제는 크림, 젤, 패치,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환제, 트로키제의 첨가제로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유당, 백당, 포도당, 과당, 디-만니톨, 침강탄산칼슘, 합성규산알루미늄, 인산일수소칼슘, 황산칼슘,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정제 라놀린, 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 알긴산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카올린, 요소, 콜로이드성실리카겔,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PMC), HPMC 1928, HPMC 2208, HPMC 2906, HPMC 2910, 프로필렌글리콜, 카제인, 젖산칼슘, 프리모젤 등 부형제; 젤라틴, 아라비아고무, 에탄올, 한천가루,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포도당, 정제수, 카제인나트륨, 글리세린, 스테아린산,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히드록시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히드록시메칠셀룰로오스, 정제쉘락, 전분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옥수수전분, 한천가루, 메칠셀룰로오스, 벤토나이트,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구연산칼슘, 라우릴황산나트륨, 무수규산, 1-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덱스트란, 이온교환수지, 초산폴리비닐, 포름알데히드처리 카제인 및 젤라틴, 알긴산, 아밀로오스, 구아르고무(Guar gum), 중조, 폴리비닐피롤리돈, 인산칼슘, 겔화전분, 아라비아고무, 아밀로펙틴, 펙틴, 폴리인산나트륨, 에칠셀룰로오스, 백당, 규산마그네슘알루미늄, 디-소르비톨액, 경질무수규산 등 붕해제;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수소화식물유(Hydrogenated vegetable oil), 탈크, 석송자, 카올린, 바셀린, 스테아린산나트륨, 카카오지, 살리실산나트륨, 살리실산마그네슘, 폴리에칠렌글리콜(PEG) 4000, PEG 6000, 유동파라핀, 수소첨가대두유(Lubri wax),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아연, 라우릴황산나트륨, 산화마그네슘, 마크로골(Macrogol), 합성규산알루미늄, 무수규산, 고급지방산, 고급알코올, 실리콘유, 파라핀유, 폴리에칠렌글리콜지방산에테르, 전분, 염화나트륨, 초산나트륨, 올레인산나트륨, dl-로이신, 경질무수규산 등의 활택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제의 첨가제로는 물, 묽은 염산, 묽은 황산, 구연산나트륨, 모노스테아린산슈크로스류, 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톨지방산에스텔류(트윈에스텔), 폴리옥시에칠렌모노알킬에텔류, 라놀린에텔류, 라놀린에스텔류, 초산, 염산, 암모니아수, 탄산암모늄,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프롤아민, 폴리비닐피롤리돈, 에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럽제에는 백당의 용액, 다른 당류 혹은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방향제, 착색제, 보존제, 안정제, 현탁화제, 유화제, 점조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제에는 정제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유화제, 보존제, 안정제, 방향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탁제에는 아카시아, 트라가칸타,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미결정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PMC), HPMC 1828, HPMC 2906, HPMC 2910 등 현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보존제, 안정제, 착색제,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제에는 주사용 증류수, 0.9%염화나트륨주사액, 링겔주사액, 덱스트로스주사액, 덱스트로스+염화나트륨주사액, 피이지(PEG), 락테이티드 링겔주사액,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비휘발성유-참기름, 면실유, 낙화생유, 콩기름, 옥수수기름, 올레인산에칠,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안식향산벤젠과 같은 용제; 안식향산나트륨, 살리실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요소, 우레탄, 모노에칠아세트아마이드, 부타졸리딘, 프로필렌글리콜, 트윈류, 니정틴산아미드, 헥사민, 디메칠아세트아마이드와 같은 용해보조제; 약산 및 그 염(초산과 초산나트륨), 약염기 및 그 염(암모니아 및 초산암모니움), 유기화합물, 단백질, 알부민, 펩톤, 검류와 같은 완충제; 염화나트륨과 같은 등장화제; 중아황산나트륨(NaHSO3) 이산화탄소가스, 메타중아황산나트륨(Na2S2O5), 아황산나트륨(Na2SO3), 질소가스(N2),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과 같은 안정제; 소디움비설파이드 0.1%, 소디움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치오우레아,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아세톤소디움비설파이트와 같은 황산화제; 벤질알코올, 클로로부탄올, 염산프로카인, 포도당, 글루콘산칼슘과 같은 무통화제; 시엠시나트륨, 알긴산나트륨, 트윈 80, 모노스테아린산알루미늄과 같은 현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좌제에는 카카오지, 라놀린, 위텝솔,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로젤라틴,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과 올레인산의 혼합물, 수바날(Subanal), 면실유, 낙화생유, 야자유, 카카오버터+콜레스테롤, 레시틴, 라네트왁스,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롤, 트윈 또는 스판, 임하우젠(Imhausen), 모놀렌(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아뎁스솔리두스(Adeps solidus), 부티룸 태고-G(Buytyrum Tego-G), 세베스파마 16(Cebes Pharma 16), 헥사라이드베이스 95, 코토마(Cotomar), 히드록코테 SP, S-70-XXA, S-70-XX75(S-70-XX95), 히드록코테(Hydrokote) 25, 히드록코테 711, 이드로포스탈(Idropostal), 마사에스트라리움(Massa estrarium, A, AS, B, C, D, E, I, T), 마사-MF, 마수폴, 마수폴-15, 네오수포스탈-엔, 파라마운드-B, 수포시로(OSI, OSIX, A, B, C, D, H, L), 좌제기제 IV 타입(AB, B, A, BC, BBG, E, BGF, C, D, 299), 수포스탈(N, Es), 웨코비(W, R, S, M ,Fs), 테제스터 트리글리세라이드 기제(TG-95, MA, 57)와 같은 기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복용, 피하 주사, 복강 투여, 정맥 주사, 근육 주사, 척수 주위 공간(경막내) 주사, 설하 투여, 볼점막 투여, 직장 내 삽입, 질 내 삽입, 안구 투여, 귀 투여, 비강 투여, 흡입, 입 또는 코를 통한 분무, 피부 투여, 경피 투여 등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질환의 중등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와 함께 활성성분인 약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석위(Pyrrosia ling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항산화용; 항염증용; 피부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미백”은 멜라닌의 합성을 저해하여 멜라닌의 피부 침착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름개선”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성 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며,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분말, 액제, 편상(flake), 페이스트, 시럽제, 겔, 젤리, 바(bar), 또는 필름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석위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석위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0.01-0.20g, 또는 약 0.04-0.10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은 이너뷰티 푸드(inner beauty) 형태로 섭취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효과를 갖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뷰티(inner beauty)는 '먹는 화장품 또는 뷰티 푸드'로 일컬어지는 푸드로, 피부에 좋은 여러 가지 성분을 몸속으로 흡수시켜 피부 체질을 건강하게 바꾸는 식품을 지칭하며, 피부 타입에 맞는 화장품을 고르듯 피부 컨디션과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해 개개인에게 맞는 이너뷰티 푸드를 선택하여 섭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과 상기 석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너뷰티 푸드를 혼용할 경우, 화장품 또는 약제만 사용하는 것에 비해 효과가 월등히 높아져 더욱 효과적인 항산화, 항염증,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석위(Pyrrosia ling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피부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미스트,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핸드로션,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클렌징오일, 클렌징밤,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 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품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0.01-5% 중량 백분율 또는 0.01-3% 중량 백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로션,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석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석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석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석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산화, 항염증,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통풍 또는 당뇨병의 치료에 이용되는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석위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항산화, 항염증,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에 이용되는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석위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목적하는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목적하는 질환과 그에 따른 대사 이상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개선”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목적하는 질환과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 (mouse), 쥐 (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석위 샘플 준비
석위(Pyrrosia lingua)는 작은 크기의 착생 양치식물로, 10-30 cm 높이까지 재배한 후, 식물 잎을 수확하여 건조(Jeiotech, 대구, 한국)하고 파쇄기(RT-08, Guohua ChME Inc. Tainan, 대만)를 사용하여 40 mesh로 분쇄하였으며, 샘플로 사용될 때까지 4 ℃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석위 추출물 제조
200 mL 증류수(DW)를 포함하는 플라스크에 석위 분말 1 g씩을 첨가하고 플라스크 내부 용액이 100 mL가 될 때까지 가열한 후 냉각시키고 24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여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에탄올 추출물은 10~100 % 범위의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1 g의 석위 분말에 10~100 % 에탄올 100 mL를 넣고 4 ℃의 진탕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은 Whatman No. 1 여과지(Whatman Inc, Piscataway, New Jersey, 미국)로 여과한 후 필요에 따라 회전식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Eyela NE, Tokyo, 일본)에서 농축하여 추출물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추출물 내에 phenolic의 농도를 50, 100, 150 및 200 ㎍/mL의 4가지 농도로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총 페놀 함량 정량
총 페놀 함량은 1 mL의 95 % 에탄올 및 1 mL의 석위 추출물로 측정되었다. 먼저 상기 1 mL의 95 % 에탄올 및 1 mL의 석위 추출물에 증류수 5 mL를 첨가하고 0.5 N Folin-Ciocalteu 시약 0.5 mL를 첨가한 다음, 볼텍스 믹서(KMC-1300V, Vision Scientific Inc., 대전, 한국)를 이용하여 잘 섞은 후 5분간 방치하고 Na2CO3 1 mL를 가하였다. 이후 1시간 이내에 725 nm에서 Optizen 3,220 UV(Merasys Co. Ltd., 서울, 한국)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갈산(gallic acid)을 이용한 표준 곡선으로부터 환산하여 정량하였다.
실시예 4.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Blois의 방법(Blois MS (1958). Nature, 181: 1199-1200)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 석위 추출물 시료 1 mL에 60 μM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3 mL를 넣고 볼텍스(vortex)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2,6-di-tert-butyl-4-methyl-phenol(BHT)는 양성 대조구로 사용하였으며, 다음 식에서 대조구는 석위 추출물 대신 증류수를 첨가한 것을 의미한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 (1- 시료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 × 100.
실시예 5.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양이온 탈색 분석
ABTS는 Fellegrini et al.의 방법(Fellegrini N, Ke R, Yang M, Rice-Evans C (1999). Meth in Enz, 299: 379-389)에 따라 측정하였다. 7 mM ABTS 5 mL와 140 mM K2S2O8 88 μL를 혼합하여 암실에서 14~16시간 반응시켜 라디칼을 생성시킨 후, 이를 무수 에탄올(absolute ethanol)과 약 1:88 비율로 혼합하여 734 nm에서 대조구의 흡광도 값이 0.7±0.002가 되도록 조절한 ABTS 용액을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석위 추출물 시료 50 μL와 ABTS 용액 1 mL를 혼합하여 30초간 볼텍스한 후 2.5분간 반응시키고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 (1- 시료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 × 100.
실시예 6.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 측정
항산화 보호 인자(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는 Andarwulan과 Shetty의 방법(Andarwulan N, Shetty K (1999). J Agric Food Chem, 47: 1776-1780)에 따라 측정되었다. 즉, 베타카로틴(β-carotene) 10 mg을 클로로포름(chloroform) 50 mL에 녹인 용액 1 mL를 증발기(evaporator)용 수기에 넣고 40 ℃ 수조(water bath)에서 클로로포름을 증류시킨 후, 리놀레산(linoleic acid) 20 μL, tween 40 184 μL, H2O2 50 mL를 첨가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석위 추출물 시료 100 μL에 에멀젼 5 mL를 혼합해 50 ℃에서 30분간 반응시켜 냉각시킨 후, 4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F값은 시료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7.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측정
TBARs는 Buege와 Aust의 방법(Buege JA, Aust SD (1978). Methods Enzymol 52: 302-310)에 따라 측정되었다. 1 % 리놀레산 및 1 % tween 40으로 에멀젼을 제조하고, 석위 추출물 시료 0.2 mL와 에멀젼 0.8 mL를 혼합한 후 50 ℃ 수조에서 10시간 이상 반응시켰다. 반응 후 반응액 1 mL에 TBA 시약 4 mL를 가하고 15분간 중탕한 다음 10분간 냉각시켜 15분간 1,000 rpm으로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한 액을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상층액을 취해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TBARs 값은 (흡광도 수치 × 0.0154)로 1 mL 반응 혼합물에 대해서 생성된 1,1,3,3-tetraethoxypropane (TEP)의 μM로 계산한 후, TBARs에 대한 저해율을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TBARs 저해율(%) = (1- 시료의 TEP 함량/대조구의 TEP 함량) × 100.
실시예 8. 엘라스타아제 저해 효과 측정
엘라스타아제(elastase) 효소 저해 효과는 Kraunsoe 등의 방법(Kraunsoe JA, Claridge TD, Lowe G (1996). Biochemistry 35: 9090-9096)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0.2 M Tris-HCl 완충액(pH 8.0) 1 mL에 0.8 mM 기질액 N-succinyl-(Ala)3-p-nitroanilide 5 g을 첨가하고 잘 혼합하였다. 또한, N-succinyl-(Ala)3-p-nitroanilide 용액 혼합액 0.1 mL에 1.0 U/mL 돼지 췌장 엘라스타아제(porcine pancreatic elastase, PPE)(Sigma-Aldrich Co., St. Louis, MO, 미국) 효소 용액 0.1 mL와 50~200 μg/mL 페놀 함량 농도의 석위 추출물 시료 0.1 mL를 첨가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상기 석위 추출물 시료 대신 0.1 mL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그리고 나서, 반응, 생성된 p-니트로아닐린(nitroaniline)의 양은 4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실험의 양성 대조구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를 사용하였으며, 엘라스타아제 저해율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엘라스타아제 저해율(%) = (1-시료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 × 100.
실시예 9. 콜라게나아제 저해 효과 측정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효소 저해 효과는 Wunsch와 Heidrich의 방법(Wunsch E, Heidrich HG (1963). Hoppe-Seyler's Z Physiol Chem 333: 149-151)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0.3 mg/0.15 mL)를 녹인 기질액 0.25 mL와 50~200 μg/mL 페놀 함량 농도의 석위 추출물 각 시료 용액 0.1 mL의 혼합액에 0.2 mg/mL 콜라게나아제(Sigma-Aldrich Co.)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동안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6 % 시트르산(citric acid) 0.5 mL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 mL를 넣어 볼텍스하고 3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EGCG를 양성 대조구로 사용하였으며, 콜라게나아제 저해율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콜라게나아제 저해율(%) = (1-시료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 × 100.
실시예 10.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효과 측정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HAase) 저해 효과는 Dorfman과 Melvin 방법(Dorfman A, Melvin LO (1948). Int J Biol Chem 172: 367-375)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반응구는 석위 추출물 시료 0.5 mL에 20 mM 인산 나트륨 완충액(sodium phosphate buffer, pH 6.9)에 녹인 HAase(1,000 U/mL) 0.5 mL을 혼합하여 38 ℃에서 5분간 반응시키고, 0.3 M 인산 완충액(phosphate buffer, pH 5.3)에 녹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기질(4 mg/mL) 0.5 mL을 넣어 다시 38 ℃에서 45분간 반응시킨 후, 0.04 M 아세테이트 완충액(acetate buffer, pH 3.75)에 녹인 알부민 용액 5 mL을 첨가한 후 5분간 방치하고 600 nm에서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시료 대신 증류수 0.5 mL를 넣어 반응시켰으며,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율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율(%) = (1-시료의 투과율/대조구의 투과율) × 100.
또한, 더 강력한 저해 활성을 가지고 핵 인자(nuclear factor)-κB(NF-κB) 억제제로 알려진 피롤리딘 디티오카바메이트(Pyrrolidine dithiocarbamate)를 양성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1. 크잔틴 산화 효소 저해 효과 측정
크잔틴 산화 효소(xanthine oxidase, XOase) 저해 효과는 Fitzgerald et al.의 방법(Fitzgerald KA et al. (2003), The J Exper Med 198(7): 1043-1055)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인산칼륨 완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5)에 크잔틴(xanthine)이 용해된 2 mM의 기질액 3 mL에 효소 용액(0.05 U/0.1 mL) 0.1 mL와 석위 추출물 시료 0.3 mL를 첨가하고, 대조구에는 상기 시료 대신 증류수 0.3 mL를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반응물을 37 ℃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키고 종료 시약으로 20.0 %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TCA) 1 mL를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액을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제거하고, 생성된 요산(uric acid)은 29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구로는 알로퓨리놀(allopurinol)을 사용하였으며, 크잔틴 산화 효소 저해율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크잔틴 산화 효소 저해율(%) = (1-시료의 요산 함량/대조구의 요산 함량) × 100.
실시예 12.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 측정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 효과는 Hearing과 Vincent의 방법(Vincent J, Hearing JR. 1987. Meth in Enz 142: 154-165)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반응구는 0.1 M 인산 나트륨 완충액(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2.3 mL와 기질액 1.5 mM L-티로신(tyrosine) 용액 0.4 mL의 혼합액에 버섯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Sigma-Aldrich Co, Louis, MO, 미국, 250 U/mL) 0.1 mL 및 석위 추출물 시료 0.2 mL를 넣고, 대조구에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0.2 mL를 첨가하여 37 ℃에서 20분간 반응시키고,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저해율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저해율(%) = (1-시료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 × 100.
실시예 13. α-아밀라아제 저해 효과 측정
α-아밀라아제(α-amylase) 저해 효과는 Kim et al.의 방법(Kim et al. (2014), Korean J Food Preserv 21: 396-403)으로 측정하였다. 즉, α-아밀라아제 저해 효과 측정을 위한 전분 한천 플레이트는 한천 5 g과 가용성 전분 5 g을 포함하는 1 L 용액을 121 ℃에서 15분간 고압멸균하여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15 mL의 고압멸균된 용액을 페트리 접시에 붓고 디스크 페이퍼(직경 10 mm)를 플레이트 중앙에 놓은 후 석위 추출물 시료 800 μL와 α-아밀라아제(1,000 U/mL) 200 μL를 포함하는 용액을 디스크 페이퍼에 분주하였으며, 대조구에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분주하였다. 이후 37 ℃에서 3일간 배양 후, 요오드(I2)/요오드화칼륨(KI)(3 % KI 내 5 mM I2) 용액을 첨가하고 15분간 배양하여 클리어존(clear zone)의 넓이를 계산함으로써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4.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효과 측정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저해 효과는 Tibbot과 Skadsen의 방법(Tibbot BK, Skadsen RW. 1996. Plant Mol Biol 30: 229-241)에 따라 측정하였다. 먼저, 기질액은 p-nitrophenol-α-D-glucopyranoside 1 mg을 1 mL의 50 mM 숙신산 나트륨(sodium succinate) 완충액(pH 6.8)에 용해시켜 준비하였다. 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질액 2 mL를 효소 용액 0.1 mL와 50~200 ㎍/mL phenolic이 함유된 석위 추출물 시료 0.1 mL와 함께 37 ℃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으며, 대조구에는 시료 대신 증류수 0.1 mL를 사용하였다. 반응 후 5 % Na2CO3 3 mL를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생성된 ρ-니트로페놀(nitrophenol)을 흡광도 470 nm에서 측정한 후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양을 환산하였으며,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율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율(%) = (1- 시료의 ρ-니트로페놀 함량/대조구의 ρ-니트로페놀 함량) × 100.
이때 양성 대조구로는 EGCG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5. 통계 분석
모든 테스트와 실험은 5번 이상 수행하였다. 통계 분석을 확인하기 위해 Windows용 IBM SPSS Statistics Client Documentation 25.0(IBM SPSS Inc., Chicago, IL, 미국)과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한 후, Duncan의 다중 범위 테스트(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였다. P<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이를 그래프에 서로 다른 알파벳 문자로 표시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석위 추출물의 페놀(TPC) 함량 확인
석위 추출물에 함유된 유용성분인 총 페놀 함량(TPC)을 측정하기 위해 물과 농도별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측정한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 추출물에서는 25.88 mg/g의 TPC를 나타내었으며, 농도별 에탄올 추출에서는 80 % 에탄올 추출물에서 29.38 mg/g으로 가장 높은 TPC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석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확인
석위 추출물을 사용한 항산화 실험을 위해 추출물을 50, 100, 150 및 200 μg/mL의 4가지 페놀 농도로 테스트하였다.
2-1.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확인
DPPH 라디칼은 항산화 물질의 전자공여능으로 인해 방향족 아민류에 의해 환원되어 짙은 자색에서 탈색되는 정도에 따라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척도로 활용된다.
석위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한 결과,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위 물 추출물 처리 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첨가되는 페놀(phenolic)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31.98 %에서 48.13 %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석위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에는 49.36 % 에서 61.44 %로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BHT 처리 시 44.64~64.12 %로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석위 추출물들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양성 대조구인 BHT만큼 높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양상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2-2. ABTS 라디칼 양이온 탈색 확인
ABTS와 과황산칼륨이 16시간 이상 반응하여 생성된 ABTS+ 자유 라디칼은 짙은 청록색을 나타내지만 항산화 물질과 만나면 무색으로 탈색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한 결과,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50 μg/mL 페놀 농도의 석위 물 추출물 처리 시 74.10 %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100~200 μg/mL 농도에서는 99.79~99.53 %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에도 50~200 μg/mL 페놀 농도에서 73.42~99.90 %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BHT 처리 시 42.44~85.65 %의 ABTS 라디칼 양이온 탈색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석위 추출물의 경우 BHT를 처리한 경우보다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2-3. PF 항산화 활성 확인
PF 측정은 베타 카로틴 리놀레산(linoleate) 시스템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방법이다. 불포화 지방산의 산패 과정에서 생성된 자유 라디칼이 베타 카로틴을 산화시켜 베타 카로틴 특유의 색을 탈색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산화된 베타 카로틴은 자유 라디칼의 연쇄 산화반응을 중단시켜 자유 라디칼의 반응성을 잃게 만든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PF를 측정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PF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위 물 추출물 처리 시 PF의 항산화 활성이 0.87 PF에서 1.24 PF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에도 50~200 μg/mL 페놀 농도에서 농도 증가에 따라 0.77~1.27 PF로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BHT 처리 시에는 50~200 μg/mL 페놀 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이 1.08~1.20 PF를 나타내었으며, 석위 추출물의 PF가 양성 대조구인 BHT보다 더 높은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2-4. TBARs 저해 활성 확인
TBARs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 도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위 물 추출물 처리 시 TBARs 저해 활성이 46.44~83.26 %로, 첨가되는 페놀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석위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에는 페놀 농도 증가에 따라 61.51~92.05 %로 저해 활성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BHT 처리 시 84.58~93.69 %의 저해 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을 통해 석위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PF 항산화 활성, 및 TBARs 저해 활성을 통해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석위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확인
인체의 피부탄력을 유지해주는 엘라스틴(elastin)을 분해하여 피부 주름을 생성시키는 효소인 엘라스타아제(elastase)의 저해 활성을 50, 100, 150 및 200 μg/mL의 4가지 페놀 농도의 석위 물 및 에탄올 추출물 처리 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위 물 추출물 처리 시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11.08~23.18 %로 약간 증가되었으며,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 21.87~60.20 %로 물 추출물에 비해 상당히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EGCG 처리 시 엘라스타제 억제 활성이 93.07~95.01 %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석위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 확인
에스트로겐 감소는 자연노화와 광노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에스트로겐의 역할은 진피층의 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겐 대사에 관여하여 콜라겐 분해,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 발현을 억제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내분비 노화를 촉진하는 자연적인 노화로 인해 에스트로겐 생산이 중단된다. 노화에 의해 나타나는 주름발생에 대한 석위 추출물의 주름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의 저해 활성을 50, 100, 150 및 200 μg/mL의 4가지 페놀 농도의 석위 물 및 에탄올 추출물 처리 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위 물 추출물 처리 시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50~200 μg/mL 페놀 농도에서 10.09~18.35 %로 낮게 나타났으나,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에는 46.03~100.0 %로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EGCG 처리 시에도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93.07~95.01 %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석위 추출물은 엘라스타아제 및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석위 추출물의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 확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과 글루코사민(glucosamine)이 연속적으로 결합된 고분자 다당류이다. 고분자 형태의 히알루론산은 대식세포의 식세포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을 억제하며, 소분자는 상처 치유 과정에서 염증을 형성한다. 이에, 석위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염증 유발에 관련이 있는 효소인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의 저해 활성을 50, 100, 150 및 200 μg/mL의 4가지 페놀 농도의 석위 물 및 에탄올 추출물 처리 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위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 50~200 μg/mL 페놀 농도에서 23.65~74.70 %의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물 추출물 처리 시에는 200 μg/mL 농도에서 77.82 %의 높은 저해율을 보였고 모든 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고분자의 히알루론산은 피부의 수분함량을 높여주고 유지하는 보습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상기 석위 추출물의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을 통해 항염증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갖는 미용 소재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크잔틴 산화 효소 저해 활성 확인
아데노신(adenosine)은 아데노신 데아미나제(adenosine deaminase)에 의해 IMP(이노신)가 되고, IMP는 가수분해되어 하이포잔틴(hypoxanthine)과 D-리보오스(ribose)가 된다. 상기 하이포잔틴은 크잔틴 산화 효소(xanthine oxidase, XOase)에 의해 산화되고 크잔틴(xanthine)을 통해 요산(uric acid)이 된다. GMP는 또한 뉴클레오사이드 구아노신(nucleoside guanosine)으로 가수분해된 다음 절단되어 유리 구아닌을 형성하고, 여기서 아미노기는 가수분해에 의해 제거되어 크잔틴이 되고 나서 XOase에 의해 요산이 된다. 체내 요산의 과잉 생산은 골절에 축적되어 통풍과 신장질환을 유발하여 심한 통증을 유발하고 생물학적 조직에 산화적 손상을 일으켜 염증, 동맥경화, 암을 유발하여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과산화물 라디칼을 생성한다. 이에, 석위 추출물의 통풍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요산을 생성하고 통풍 및 산화적 손상을 일으키는 XOase의 저해 활성을 50, 100, 150 및 200 μg/mL의 4가지 페놀 농도의 석위 물 및 에탄올 추출물 처리 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위 물 추출물 처리 시 페놀 농도 150~200 μg/mL에서만 3.88~9.19 %의 크잔틴 산화 효소 저해 활성이 나타났으나,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에는 100~200 μg/mL 페놀 농도에서 23.84~64.46 %의 높은 크잔틴 산화 효소 저해 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석위 추출물은 크잔틴 산화 효소 저해 활성을 통해 통풍 및 관절염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석위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확인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생성되는 유멜라닌(eumelanin), 페오멜라닌(pheomelanin)과 같은 멜라닌은 피부색에 영향을 미치며, 피부색의 변화는 멜라닌 세포 수의 변화, 멜라노솜(melanosome)의 비정상적인 생성 및 구조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멜라닌은 L-티로신(tyrosine) 계열의 효소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가 산화되어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물질로 피부를 검게 한다. 이에, 석위 추출물의 피부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50, 100, 150 및 200 μg/mL의 4가지 페놀 농도의 석위 물 및 에탄올 추출물 처리 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위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 50~200 μg/mL의 페놀 농도에서 7.21~40.70 %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된 반면, 물 추출물 처리 시에는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코직산(kojic acid) 처리 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200㎍/mL 농도 범위에서 68.72 %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석위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통해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8. 석위 추출물의 α-아밀라아제 및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 확인
α-글루코시다아제(glucosidase)는 체내 소장 말단에 존재하는 해당(glycolytic) 효소로, 탄수화물로부터 α-글루코스(glucose)를 방출하는 α-글루코시드(glucoside) 결합의 분해를 촉진하여 글루코스 흡수에 관여하는 생체 내 필수 효소이며,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는 제2형 당뇨병의 치료에 사용된다. 이에, 석위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α-아밀라아제 및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50, 100, 150 및 200 μg/mL의 4가지 페놀 농도의 석위 물 및 에탄올 추출물 처리 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위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 50~200 μg/mL 페놀 농도에서 27.97~39.16 %의 α-아밀라아제 저해 활성이 나타났으며, 물 추출물 처리 시에는 39.60~53.69 %의 α-아밀라아제 저해 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1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은 200 μg/mL 페놀 농도의 석위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 100.0 %에 도달하고, 50 μg/mL 페놀 농도의 석위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에도 높은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으나, 물 추출물 처리 시 50~200 μg/mL 페놀 농도에서 11.25 %에서 93.50 %까지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GCG를 사용한 양성 대조구에서도 77.87~91.42 %의 높은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석위 추출물은 α-아밀라아제 및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통해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23)

  1. 석위(Pyrrosia ling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항산화용;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석위 잎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크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α-아밀라아제(α-amylase) 또는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저해,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저해, TBARs(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저해, 또는 PF(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증가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석위(Pyrrosia ling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항산화용; 항염증용; 피부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석위 잎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크잔틴 산화효소(xanthin oxid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α-아밀라아제(α-amylase) 또는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저해,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저해, TBARs(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저해, 또는 PF(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증가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엘라스타아제(elastase) 또는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7. 석위(Pyrrosia lingu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피부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석위 잎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저해,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저해, TBARs(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저해, 또는 PF(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증가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엘라스타아제(elastase) 또는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석위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99693A 2021-07-29 2021-07-29 석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20230019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693A KR20230019283A (ko) 2021-07-29 2021-07-29 석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693A KR20230019283A (ko) 2021-07-29 2021-07-29 석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283A true KR20230019283A (ko) 2023-02-08

Family

ID=8522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693A KR20230019283A (ko) 2021-07-29 2021-07-29 석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92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79B1 (ko) 2019-09-05 2021-05-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79B1 (ko) 2019-09-05 2021-05-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902B1 (ko)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102202174B1 (ko)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568108B1 (ko)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0424B1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87186A (ko) 소인제(Aeonium sedifori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모공축소, 또는 주름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0606A (ko) 아리수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258379B1 (ko)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120036011A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20083148A (ko) 개소시랑개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19283A (ko) 석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20210142362A (ko) 후베리아 페루비아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40608A (ko) 홍금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20200040607A (ko) 썸머프린스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30106452A (ko) 참꽃마리(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피부미백, 또는 주름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90109A (ko) 제비고깔(Delphinium grandiflorum 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모공축소, 또는 주름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22286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2511934B1 (ko)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53622B1 (ko) 레드 마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72651B1 (ko) 좀쉬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11243A (ko) 그린볼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295919B1 (ko) 리카니아 매크로카르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240197672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skin pigmentation through autophagy activity containing procyanidin a2 and quercetin, as active ingredients
KR20240136490A (ko) 사철베고니아(Begonia semperfloren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모공축소,또는 주름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8169B1 (ko) 오카닌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211873B1 (ko) 인삼 부산물 추출물의 산처리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