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174B1 -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174B1
KR102202174B1 KR1020200054963A KR20200054963A KR102202174B1 KR 102202174 B1 KR102202174 B1 KR 102202174B1 KR 1020200054963 A KR1020200054963 A KR 1020200054963A KR 20200054963 A KR20200054963 A KR 20200054963A KR 102202174 B1 KR102202174 B1 KR 102202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ubies
apple peel
app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2867A (ko
Inventor
조영제
이은호
강인규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4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1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2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6Antigout agents, e.g. antihyperuricemic or uricosur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및 통풍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신육성 품종인 루비에스(Ruby-S; Malus pumila Mill.) 사과 껍질추출물은 DPPH, ABTS, 및 TBARs 라디칼을 억제하고 PF를 증가시킴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tyrosinase를 저해함으로써 melanin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미백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elastase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elastin 분자 형태를 유지시키고, collagenase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hyaluronidase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염증반응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은 xanthin oxidase 효소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통풍(관절염)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α-amylase와 α-glucosidase 효소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제2형 당뇨병 억제 효과를 나타내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extract of Ruby-S apple peel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대표 과일 중 하나인 사과(Malus pumila Mill.)는 경제성장으로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양적인 면보다는 질적인 면으로 소비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 흔히 ‘부사’라고 불리는 ‘후지’(Busa; Malus domestica Borkh.)는 가장 대표적인 사과 품종으로 2012년 기준 국내 과실 총 생산량의 29.5%를 점하고 있으며, 주로 대만에 수출되고 있다. 국내 사과는 당해에 약 50% 정도가 소비되고, 나머지는 저장되어 이듬해에 소비되는데, 저온 저장 후 수출되는 후지 사과는 품질 저하로 이듬해 2월부터는 수출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일본 사과에 비해 인지도와 가격이 많이 떨어져서 아직까지 한국 사과는 품질이 중간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2011년 일본의 원전 사고 이후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가 커지면서 대만, 한국, 중국, 미국의 일본산 농식품 수입이 감소하였고, 2014년 4월 현재 37개국에서 일본산 농산물의 수입규제가 이행되고 있다. 중국의 경우, 일본 내에서 안전하다고 판단하는 지역의 농식품 수입도 전면 금지하는 엄격한 조치를 단행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원전사고 이후 농수산식품의 대외교역 변화를 기회로 한국산이 가지는 식품안전성과 가격경쟁력의 우위점을 활용하여 중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국가로의 수출이 가능한 고품질 사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사과는 분류학상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목본식물로서 유럽, 아시아 및 북아메리카의 북반구에서 재배된다. 민간에서 사과는 미용, 구토, 구충, 정혈, 변비 등에 약으로 쓰이고 있다. 사과의 종류중 하나인 능금은 소갈, 곽란, 복통 등을 다스리고 담을 없애며 이질을 다스린다. 덜 익은 능금은 맛은 떫으나 약으로 쓰인다. 그러나 많이 먹으면 잠이 많이 오며, 담이 생기고 종기가 난다. 사과를 발효시켜 만든 사과주는 독특한 풍미가 있으며, 특히 식후의 소화를 돕는 음료이다. 이런 사과주를 좀 더 산화 발효시켜 사과초를 만들어 화상에 바르면 즉시통증이 그친다고 향토의학에 나와 있고, 또 정맥류에 사과초를 환부에 밤낮으로 바르면 1개월 후에는 국소가 훨씬 작아진다고 한다. 사과는 이런 민간요법뿐 아니라 연구를 통해서도 그것의 효과를 증명하고 있다. 사과 과실은 관능특성이 좋고 영양학적으로 유기산과 당류와 같은 기호성 성분 이외에도 비타민, 미네랄, 칼륨, 나트륨 성분 및 폴리페놀 화합물과 같은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고 있다. 그 중에서 procyanidin,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epicatechin, catechin, p-coumaroyl qunic acid, rutin, phloridzin, quercetin과 같은 다양한 폴리페놀 물질은 활성산소에 의한 생체 성분의 산화적 손상에 의하여 유발되는 피부노화, 비만, 염증, 동맥경화, 당뇨, 고혈압을 비롯하여 각종 암과 같은 퇴행성 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Yun HJ, Lim SY, Hur JM, Jeong JW, Yang SH, Kim DH. 2007. Korean J Food Preserv 14: 239-246, Hwang IW, Kim CS, Chung SK. 2011. Korean J Food Preserv 18: 700-705.).
생리활성 효과를 지닌 물질은 동식물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식물체는 자외선에 의한 산화나 자동산화, 곤충들로 인한 피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polyphenol류의 항산화 물질을 세포 내 함유하며, flavonoid류와 산성의 phenolic compounds는 항산화, 항알러지, 항당뇨, 항암, 항염증, 미백, 주름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효능이 검증된 약용식물자원 유래의 생리활성과 우수한 기능성 물질에 대한 기능성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서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용식물이나 산채류, 한약재, 과실류 등 약용부위의 물질을 탐색하여 건강기능성 식품이나 식품부재료로 개발하는 것은 천연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측면과 새로운 식품자원 개발, 신소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루비에스(Ruby-S; Malus pumila Mill.) 사과는 일본 품종인 '알프스오토메' 품종에 '산사'품종을 교배하여 육성한 신 육성 품종으로, 8월 하순에 익으며 무게가 90g(보통 사과 크기 270g~300g)정도이고 탁구공 크기만 하다. 그동안 국내 시장에 유통된 작은 사과인 '알프스오토메'는 익는 시기에 낙과가 많고 수확한 과일이 금방 푸석거리며 맛도 떫은 단점이 있었으나, 이를 보완하여 개발한 루비에스는 알프스오토메에 비해 과일 크기가 50g 정도 더 크기 때문에 먹을 부분이 많으며 당도는 높고 산도가 낮아(당도 13.9°Brix, 산도 0.49%) 맛이 더 좋다. 특히 탄저병에 강하고 수확 전 낙과가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국내에서 육종한 신품종인 루비에스 품종의 사과에 대한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및 통증 억제 등의 효과 분석을 통해 고부가가치 기능성소재로서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국내에서 육종한 신품종인 루비에스 품종의 사과가 부사 품종에 비해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및 통증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고, 특히 루비에스 사과의 껍질추출물에서 효과가 가장 현저함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피부미백용; 주름개선용; 또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피부미백용; 주름개선용; 또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피부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저해, 2,2'-아지노비스-(3-에틸벤조티아졸린-6-설포닉산)(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저해, 티오바르비튜릭산 반응성 물질(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저해 또는 항산화물질 보호 인자(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를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를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엘라스타아제(elastase) 또는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를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크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를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α-아밀라아제(α-Amylase) 또는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를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항산화; 항염증;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육성 품종인 루비에스(Ruby-S; Malus pumila Mill.) 사과 껍질추출물은 DPPH, ABTS, 및 TBARs 라디칼을 억제하고 PF를 증가시킴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tyrosinase를 저해함으로써 melanin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미백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elastase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elastin 분자 형태를 유지시키고, collagenase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hyaluronidase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염증반응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은 xanthin oxidase 효소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통풍(관절염)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α-amylase와 α-glucosidase 효소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제2형 당뇨병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루비에스 사과의 껍질추출물은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루비에스의 껍질(peel), 과육(fruits), 및 whole 사과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의 phenolic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루비에스의 껍질, 과육, whole 사과추출물에서 ABTS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루비에스 사과의 고형분과 페놀 성분의 생리활성 비교를 위해 각각의 DPPH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루비에스 사과의 고형분과 페놀 성분의 생리활성 비교를 위해 각각의 ABTS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루비에스 사과 껍질의 용매 종류별 추출물에서 phenolic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루비에스 사과 껍질의 에탄올 농도별 추출물에서 phenolic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루비에스 사과 껍질과 부사 사과 껍질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별 PF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루비에스 사과 껍질과 부사 사과 껍질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별 TBARs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루비에스 사과 껍질과 부사 사과 껍질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별 hyaluronidase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루비에스 사과 껍질과 부사 사과 껍질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별 tyrosinase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루비에스 사과 껍질과 부사 사과 껍질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별 elastase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루비에스 사과 껍질과 부사 사과 껍질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별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루비에스 사과 껍질과 부사 사과 껍질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별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루비에스 사과 껍질과 부사 사과 껍질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별 α-amylase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루비에스 사과 껍질과 부사 사과 껍질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별 α-glucosidase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피부미백용; 주름개선용; 또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병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병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상기 루비에스 사과 껍질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루비에스 사과 껍질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루비에스 사과 껍질을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은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항산화; 항염증;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피부미백용; 주름개선용; 또는 통풍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제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에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화제, 및 과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락토오스, 덱스트로즈,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키롤리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로리돈, 메틸셀룰로오스, 물, 설탕시럽,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피부미백용,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항산화, 염증억제, 미백, 주름개선 효과를 위한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루비에스 사과의 부위별(껍질, 과육, whole 사과)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한 결과, 루비에스 사과의 껍질 추출물이 가장 높은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루비에스 사과 추출물의 solid와 phenolic의 생리활성 비교를 위해 DDPH radical 및 ABTS radical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루비에스 사과 껍질의 phenolic compounds가 생리활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루비에스 사과의 용매 종류별, 농도별 phenolic compound 추출수율을 비교하였다.
추출은 각 용매의 특성에 따라 시료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 및 기능성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이며, 추출 시 사용되는 용매의 설정은 생리활성 실험 전 단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순수한 증류수를 이용한 열수 추출은 용매에 대한 유해성의 문제가 없고, 수율이 높으며 수용성 물질 추출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극성 용매인 에탄올 추출의 경우 추출 후 정제가 쉬우며, 식물체의 tannin, saponin, organic acid 등 다양한 유용성분 추출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루비에스 사과의 껍질을 용매의 종류별로 추출하여 phenolic 함량을 측정한 결과, water, methanol, ethanol 순으로 높은 추출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ethanol 농도별 추출물에서는 40% ethanol 추출물에서 phenolic 함량의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을 나타내었다(실시예 4 참조).
본 발명의 일실험예에서는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항산화물질은 체내의 세포내에서 해로운 반응을 일으키는 free radical이 DNA를 공격하거나, 지질을 산화시키기 전에 그들을 중화시켜 버린다. 따라서 항산화제는 인류가 현재 관심을 집중하는 기능성 혹은 생리활성 물질의 하나로서 식품의 변질을 방지하고 인체에서의 노화 방지, 성인병 예방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항산화제는 반응성이 높아 체내 유해물질과 반응하여 세포내 주요 물질들이 활성산소에 의한 연쇄반응을 막아 주어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체내에는 항산화 효소계인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등이 존재하며, 저분자로 항산화제 혹은 free radical scavenger 역할을 하는 항산화 물질인 vitamin C, vitamin E, β-carotin, carotenoids, flavonoids, 그리고 selenium을 비롯한 몇 가지 무기질 등이 인체를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PF 및 TBARs를 측정한 결과, 부사 사과 껍질추출물에 비해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의 일실험예에서는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고분자의 hyaluronic acid (HA)는 염증 형성의 중요 요인인 macrophage의 phagocytic ability를 저해하는 반면, HA의 분해산물 혹은 저분자의 HA는 상처 치유 과정에서 inflammation, fibrosis, collagen deposition을 증가시킨다. 또한 hyaluronidase는 일반적으로 항상성 유지를 위해 불활성 형태로 리소좀 등에 존재하고 있지만, 신체적 상해나 류마티즘과 같은 염증성 질환이 발병하였을 때 활성화 되어 혈관계 투과성 및 염증반응에 관여하므로 염증 유발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알레르기 반응과 암세포 전이 등에도 관여한다고 보고되었다.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hyaluronid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이 부사 껍질추출물에 비해 hyaluronidase 저해 효과가 더 뛰어나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참조).
본 발명의 일실험예에서는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였다.
멜라닌(melanin)은 여러 동물들의 피부나 눈 등의 조직에 존재하는 흑색 또는 갈색 색소를 총칭한다. 특히 멜라닌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써 인종에 따라서 멜라닌 발현 유전자가 다르고, 이에 따라 멜라닌 세포의 양이 조절되어 피부색이 결정된다. 피부에서 멜라닌의 기능은 자외선 차단 기능으로서 피부의 체온을 유지시켜주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주지만, 과도한 멜라닌 생성은 기미, 주근깨, 피부 반점 형성에 원인이 되며, 더 나아가 피부암 유발에 기여한다. 현재 화장품 분야에는 이러한 멜라닌 형성과정의 불균형으로 인한 색소침착을 막기 위하여 tyrosinase 억제를 target으로 하는 물질들을 개발 중이며 대표적으로 kojic acid를 들 수 있다.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피부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멜라닌 형성과정의 불균형으로 인한 색소침착을 일으키는 tyrosin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이 부사 사과 껍질추출물에 비해 높은 tyrosin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미백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3 참조).
본 발명의 일실험예에서는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조 단백질인 elastin은 피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생성량이 감소하고, 피부 노화 정도에 따라 type-1 collage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여 진피 내 교원섬유 및 탄력섬유와 같은 기질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여 피부탄력을 떨어뜨리고 피부 주름의 생성을 야기한다. 인체의 중성구 과립구 내에 존재하는 elastase는 피부탄력성 섬유(elastin)을 분해하는 효소로 elastase의 저해는 피부 주름의 개선을 의미한다.
또한, Collagen은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과 결합조직의 저항력, 조직력, 세포분할과 분화를 유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 감소와 같은 내적요인과 여러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 증가,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된다. 이러한 collagen의 감소는 피부의 탄력을 저하시켜 주름과 피부쳐짐의 원인이 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elastase 및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이 부사 사과 껍질추출물에 비해 높은 elastase 및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4 참조).
본 발명의 일실험예에서는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통풍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통풍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체내 요산(uric acid) 농도가 증가하고, 그로 인해서 과잉 축적된 요산이 결정화되면서 뾰족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관절과 관절 주위 조직에 축척되면서 재발성 발작성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요산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잘 알려진 질환은 통풍이며, 통풍은 고요산혈증과 관련이 되어있으며, 혈중 요산염(urate)이 6.8 mg/dL(404 μmol/L) 이상일 때를 말한다. 요산은 체내의 퓨린(purine) 대사의 최종산물이며, 체내 대사과정 중 hypoxanthine과 xanthine이 XOase의 작용에 의해서 통풍을 유발시킬 수 있는 요산을 생성하게 되며, xanthine oxidase는 통풍 발생에 결정적 역할을 수행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다른 포유류에서는 urate oxidase라는 효소가 존재하여 좀 더 수용성인 알란토인(allantoin)으로 변화되어 배설되지만, 사람에서는 요산으로 주로 간에서 형성되어 신장에서 걸러져 주로 소변으로 배설된다. 요산은 최근 연구에서 고혈압을 포함한 심혈관계 질환, 신질환, 복부비만,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 등과의 관련성이 부각되고 있다.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통풍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이 부사 사과 껍질추출물에서 나타나지 않은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통풍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실험예 5 참조).
본 발명의 일실험예에서는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항당뇨 효과를 확인하였다.
탄수화물의 주종인 전분은 장관에서 α-amylase에 의해 그리고 소장의 maltase에 의해 glucose로 가수분해되어 결국 혈류로 흡수되어 혈당량 및 insulin level의 상승을 가져온다. 따라서 α-amylase와 같은 효소의 작용을 제한 조절 할 수 있을 경우 전분의 소화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그 흡수 kinetics 및 혈당량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탄수화물의 조절이상으로 기인한 당뇨증상이나 비만증상의 환자에게 있어서 식이요법의 치료효과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α-Glucosidase는 소장 융모막에 존재하며 이당류나 다당류들을 보다 작은 단당류로 분해하여 당의 흡수를 촉진시켜 혈당 상승작용을 일으킨다. 특히 식후 30분이 경과 시 당의 흡수가 촉진되어 혈당이 증가하는데, 당뇨병 환자의 경우 급격히 상승하는 과도한 혈당 및 고혈당증이 지속됨에 따라 발생하는 활성산소들로 인해 당뇨병의 복합증세인 신경장애, 신장장해, 그리고 망막증 등과 같은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항당뇨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α-amylase 및 α-glucosid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이 부사 사과 껍질추출물에 비해 높은 α-amylase 및 α-glucosid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항당뇨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6 참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재료 준비
1-1. 루비에스 사과 시료 준비
시험 재료는 경북 군위군 소재의 사과연구소에서 교배조합으로 알프스오또메 품종(모본)과 산사 품종(부본)을 이용하여 교배하여 육성한 신 육성 품종인 루비에스 사과를 사용하였다. 시료는 루비에스 사과나무로부터 사과를 수확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사과를 구성하고 있는 껍질, 과육 및 whole 사과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껍질, 과육, whole 사과 시료는 동결건조(freeze dryer, FD8518, Ilshinbiobase, Yangju, Korea)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40 mesh로 분쇄하여 4℃ 저온고에 보관하며 시료로 사용하였다.
1-2. 루비에스 사과로부터 phenol성 추출물 제조
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활성 분석을 위한 추출물의 제조는 열수 추출물의 경우 루비에스 사과의 시료 분말 1g을 증류수 200 ml에 침지하여 추출물이 100ml가 될 때까지 가열한 후 냉각하여 24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루비에스 사과 분말 1g에 10~100% 농도의 에탄올 100ml를 첨가하여 4℃의 shaking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은 Whatman No. 1 filter paper (Whatman inc., Piscataway, New jersey, USA)로 여과한 후 필요에 따라 rotary vacuum evaporator (Eyela NE, Tokyo, Japan)에서 농축하여 4℃ 냉장고에서 저온 보관하며, 시료의 phenolic compounds 농도를 각각 25, 50, 75, 100 μg/ml 또는 50, 100, 150, 200 μg/ml phenolics 농도로 설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루비에스 사과의 부위별(껍질, 과육, whole 사과)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신육성 품종 루비에스 사과의 껍질, 과육, whole 사과를 water와 60% ethanol로 추출하여 phenolic 함량을 측정한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껍질에서 가장 높은 phenolic 함량을 나타내었고, whole 사과, 과육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껍질 추출물의 생리활성이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추측되었다.
루비에스 사과의 껍질, 과육, whole 사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용성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합성항산화물질인 BHT와 비교한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비에스 사과의 껍질에서 효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과육과 whole 사과에서는 활성이 낮은 수준의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 따라 루비에스 사과의 껍질, 과육, whole 사과를 비교하였을 때 껍질과 whole 사과에서 phenolic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항산화 활성에서도 과육에 비해 껍질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후 실험에는 효능이 높았던 껍질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3. 루비에스 사과 추출물의 solid와 phenolic의 생리활성 비교
루비에스 사과의 고형분과 phenolic 성분의 생리활성 효능 비교를 위해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DPPH radical 저해 효과는 Blois의 방법에 준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 시료 0.5 mL에 60 μM DPPH 3 mL를 넣고 vortex한 후 15분 동안 방치한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비에스 사과 껍질 water, ethanol 추출물의 100 ㎍/mL 농도의 고형분에서는 각각 16.25, 19.19%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나, 100 ㎍/mL phenolic 농도에서 각각 88.34, 90.38%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어 phenolic compound에 의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형분과 phenolic 성분의 생리활성 효능을 비교를 위해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ABTS radical 저해 효과는 Fellegrini 등의 방법에 준하여, 시료 7 mM ABTS와 140 mM K2S2O8을 5 mL : 88 μL로 섞어 어두운 곳에 12~16시간 방치시킨 후, 이를 ethanol과 1:88의 비율로 섞어 734 nm에서 대조구의 흡광도 값이 0.7±0.02가 되도록 조절한 ABTS solution을 사용하여 시료용액 50 μL와 ABTS solution 1 mL를 30초 동안 섞은 후 2.5분간 incubation하여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비에스 사과 껍질의 water, ethanol 추출물 100 ㎍/mL 농도의 고형분에서 각각 3.47, 3.42%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100 ㎍/mL phenolic 농도에서 각각 98.46, 95.66%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어, 사과의 생리활성은 고형분 중에 함유된 phenolic compound에 의해 활성이 지배되는 것으로 다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고형분과 phenolic 성분의 생리활성 효능 비교실험 결과, 루비에스 사과 껍질의 phenolic compounds가 생리활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루비에스 사과의 껍질부분의 phenolic compound를 추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4. 루비에스 사과의 용매 종류별, 농도별 phenolic compound 추출 수율 비교
4-1. total phenolic compounds 함량 정량
Total phenolic 정량은 Folin과 Denis의 방법에 준하여 추출물 1 mL에 95% ethanol 1 mL와 증류수 5 mL를 첨가하고 1 N Folin-ciocalteu reagent 0.5 mL를 잘 섞어 5분간 방치한 후 Na2CO3 1 mL를 가하여 흡광도 725 nm에서 1시간 이내에 측정하여 gallic acid를 이용한 표준곡선으로부터 양을 환산하였다.
4-2. 루비에스 사과의 용매 종류별, 농도별 phenolic compound 추출 수율 비교
상기 실시예 1의 루비에스 사과의 껍질을 용매의 종류별로 추출하여 phenolic 함량을 측정한 결과, 도 4a에서와 같이 water, methanol, ethanol, acetone, butanol, ethyl acetate 순으로 5.53, 5.29, 4.99, 2.82, 2.75, 2.35 mg/g의 phenolic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추출 수율을 나타낸 water, methanol, ethanol 중에서, 인체에 무해하며 비교적 높은 phenolic 함량을 나타낸 water와 ethanol 추출물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또한, 껍질의 ethanol 농도별 추출물에서는 도 4b에서와 같이 40% ethanol 추출물에서 8.76 mg/g으로 phenolic 함량의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사과의 껍질을 water와 40% ethanol을 용매로 추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의 재현성을 위해 phenolic 함량을 25~200 ㎍/mL으로 조절하였다.
실험예 1.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확인
1-1.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 ) 측정
루비에스 사과 껍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11개의 이중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 높은 불포화 성질을 가지고 있는 β-carotine이 peroxyl radical과 매우 쉽게 반응하는데, 불포화된 탄소 중 하나에 선택적 연쇄 절단되어 항산화제로서 작용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지용성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PF를 측정하였다. PF 측정은 Andarwulan과 Shetty의 방법에 준하여, 10 mg의 β-carotene을 50 mL의 chloroform에 녹인 용액 1 mL를 evaporator용 수기에 넣고 40℃ water bath에서 chloroform을 증류시킨 후 20 μL linoleic acid, 184 μL tween 40과 50 mL H2O2를 가하여 emulsion을 만들고, 5 mL의 emulsion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 시료 100 μL를 혼합하여 vortex로 잘 섞어 준 뒤 50℃에서 30분간 반응 시켜 냉각시킨 다음,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비에스 껍질의 water, ethanol 추출물의 25~100 ㎍/mL phenolic 농도에서 각각 1.56~1.87, 1.39~1.77 PF를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으로 사용한 부사 품종 껍질의 water, ethanol 추출물은 25~100 ㎍/mL phenolic 농도에서 각각 1.22~1.37 PF와 1.18~1.41 PF를 나타내어 루비에스 추출물이 부사사과에 비해 더 우수한 지용성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1-2.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 TBARs ) 저해 효과 측정
루비에스 껍질 추출물을 이용하여 또 다른 지용성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TBARs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TBARs 저해 효과는 Buege와 Aust의 방법에 준하여, 1% linoleic acid와 1% Tween 40으로 emulsion을 만들고 emulsion 0.8 mL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 시료 0.2 mL를 섞은 후 50℃ water bath에서 10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 1 mL에 TBA regent 2 mL를 가하고 15분간 boiling한 다음 10분간 냉각시키고, 15분간 1,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방치 후 상등액을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비에스 껍질의 water,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37.69~80.17%와 19.59~49.29%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으로 사용한 부사 품종의 껍질 water, ethanol 추출물은 각각 32.60~55.40%와 21.02~75.41%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은 대조군인 부사 사과에 비해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확인
루비에스 사과 껍질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염증 유발에 관련이 있는 효소인 Hyaluronidase (HAase)의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Hyaluronidase 저해 효과는 Dorfman와 OTT의 방법에 준하여, sodium-hyaluronic acid (HA)로부터 형성된 N-acetyl-glucosamine을 glucoxazoline 유도체로 변형시킨 후 ρ-dimethylaminobenzaldehyde (DMAB)로 발색시켜 흡광도 600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비에스 껍질의 water 추출물은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1.16~6.37%의 HA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대조군으로 사용한 부사 품종 껍질의 water 추출물은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0.03~1.79%의 HA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루비에스 껍질의 ethanol 추출물은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2.36~31.87%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부사 품종의 ethanol 추출물은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1.29~12.72%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루비에스 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 효과가 부사 품종에 비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미백 효과 확인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멜라닌 형성과정의 불균형으로 인해 색소침착을 일으키는 tyrosinase의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미백 효과는 Vincent와 Hearing의 방법에 준하여,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2.3 mL와 기질액 1.5 mM L-tyrosine 용액 0.4 mL의 혼합액에 250 U/mL mushroom tyrosinase (Sigma-Aldrich Co.) 0.1 mL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50~200 μg/mL phenolic compounds 농도의 각각의 시료 0.2 mL를 넣고 대조군에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0.2 mL를 첨가하여 37°C에서 20분간 반응시킨 다음,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비에스 껍질의 water 추출물에서는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tyrosinase 저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조군으로 사용한 부사 품종의 껍질 water 추출물에서도 tyrosinase 저해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루비에스 껍질 ethanol 추출물에서는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5.82~17.50%의 tyrosin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부사 ethanol 추출물은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2.69~5.23%의 매우 낮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부사 품종에 비해 루비에스 껍질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효과가 더 우수하다고 확인되었다.
실험예 4.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 확인
4-1. elastase 저해 효과 확인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체의 피부탄력을 유지해주는 elastin을 분해하여 피부 주름을 생성시키는 효소인 elastase의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elastase 저해 효과는 Kraunsoe 등의 방법에 준하여, 0.2 M Tris-HCl buffer (pH 8.0) 1 mL에 기질액 0.8 mM N-succinyl-(Ala)3-ρ-nitroanilide 용액 0.1 mL의 혼합액에 1.0 U/mL porcine pancreatic elastase (PPE) (Sigma-Aldrich Co.) 효소용액 0.1 mL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50~200 μg/mL phenolic compounds 농도의 각 시료 0.1 mL를 넣고 대조군에는 시료 대신 증류수 0.1 mL를 첨가하여 25°C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ρ-nitroaniline 생성량을 흡광도 410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비에스 껍질의 water 추출물에서는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4.07~6.70%의 elast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대조군으로 사용한 부사 품종의 껍질 water 추출물은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0.00~5.35%의 elast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루비에스 껍질의 ethanol 추출물은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15.83~41.95%의 elast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부사 껍질 ethanol 추출물은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8.02~32.10%의 elast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부사 품종에 비해 루비에스 껍질추출물의 elastase 저해 효과가 더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4-2. Collagenase 저해 효과 확인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ollagen을 분해하는 효소인 collagenase의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collagenase 저해 효과는 Wunsch와 Heidrich의 방법에 준하여, 0.1 M Tris-HCl buffer (pH 7.5)에 4 mM CaCl2를 첨가하여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 (0.3 mg/mL)를 녹인 기질액 0.25 mL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50~200 μg/mL phenolic compounds 농도의 각 시료 용액 0.1 mL의 혼합액에 0.2 mg/mL collagenase (Sigma-Aldrich Co.) 0.15 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6% citric acid 0.5 mL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다음, ethyl acetate 2 mL를 첨가하고 3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비에스 껍질의 water 추출물에서는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12.60~69.85%의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대조군으로 사용한 부사 품종의 껍질 water 추출물은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25.89~59.73%의 collage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루비에스 껍질의 ethanol 추출물에서는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35.01~80.73%의 매우 높은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부사 껍질 ethanol 추출물에서는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47.79~79.05%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부사 품종에 비해 루비에스 껍질추출물이 농도구간별로 유사하거나 다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은 대조군인 부사 껍질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통풍 억제 효과 확인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통풍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통증 유발 물질인 uric acid를 생성하는 xanthin oxidase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Xanthine oxidase (XOase)저해 효과는 Stirpe와 Corte의 방법에 준하여,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5)에 녹인 기질액 2 mM xanthine 3 mL에 효소액 (0.05 U/0.1 mL) 0.1 mL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 시료 0.3 mL를 넣고 대조군에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0.3 mL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키고 종료시약으로 20% TCA 1 mL를 가한 후 반응액을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제거하고 생성된 uric acid를 흡광도 292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비에스 껍질 water 추출물에서는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루비에스 껍질 ethanol 추출물에서는 50~1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27.91~28.66%의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 사용한 부사 품종의 껍질 water 및 ethanol 추출물은 xanthine oxidase에 대한 저해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 부사 품종의 사과에서는 없던 통풍 억제 물질이 신품종인 루비에스 사과에서는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품종개량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예 6.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항당뇨 효과 확인
6-1. α-amylase 저해 효과 확인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항당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α-amylase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α-amylase 저해 효과는 Davidson과 Parish의 방법에 준하여, 5 g의 agar와 5 g의 soluble starch를 증류수에 녹여 끓인 후 121°C로 15분간 멸균하고 15 mL씩 petridish에 붓고 굳힌 후, 지름 10 mm disc paper를 올리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 시료액 0.8 mL와 효소액 0.2 mL (1,000 U/mL)를 혼합해 disc paper에 각각 분주하였고, 대조군에는 시료액 대신 증류수를 넣어 37°C에서 3일간 배양한 후 I2/KI (5 mM I2 in 3% KI) 3 mL를 가하여 15분간 발색시켜 clear zone의 넓이를 계산하여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비에스 껍질 water 추출물에서는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1.92~3.64%의 α-amyl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루비에스 껍질 ethanol 추출물은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2.33~2.71%의 α-amyl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대조군으로 사용한 부사 품종의 껍질 water 추출물은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1.19~2.02%의 α-amyl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부사 껍질 ethanol 추출물에서는 0.84~0.91%의 α-amyl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루비에스 껍질추출물이 부사 껍질추출물에 비해 다소 우수한 α-amylase 저해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6-2. α- glucosidase 저해 효과 확인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항당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α-glucosidase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α-glucosidase 저해 효과는 Tibbot과 Skadsen의 방법에 준하여, 50 mM sodium succinate buffer (pH 6.8)에 ρ-nitrophenol-α-Dglucopyranoside (PNPG)를 용해시켜 1 mg/mL의 농도로 기질을 만들고, 기질 1 mL와 효소액 0.1 mL를 혼합하고 대조군에는 증류수 0.1 mL, 반응구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의 200 μg/mL phenolic 농도의 시료 0.1 mL를 넣어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1 N NaOH 0.1 mL를 첨가하여 발색시켜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비에스 껍질의 water 추출물에서는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65.56~94.93%의 높은 α-glucosid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루비에스 껍질 ethanol 추출물에서는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96.62~100.00%의 매우 높은 α-glucosid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대조군으로 사용한 부사 품종의 껍질 water 추출물은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0.00~63.33%의 α-glucosid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부사 껍질 ethanol 추출물에서는 50~200 ㎍/mL의 phenolic 농도에서 62.41~95.56%의 α-glucosid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루비에스 껍질 추출물이 저 농도에서도 부사 품종에 비해 더 우수한 α-glucosidase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은 부사 껍질추출물에 비해 탄수화물 분해 효소의 활성을 매우 강하게 저해함으로써 당분해 억제효과를 가져, 항당뇨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크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α-아밀라아제(α-Amylase) 또는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삭제
  12.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54963A 2020-05-08 2020-05-08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202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963A KR102202174B1 (ko) 2020-05-08 2020-05-08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963A KR102202174B1 (ko) 2020-05-08 2020-05-08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159A Division KR102110902B1 (ko) 2018-04-06 2018-04-06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867A KR20200052867A (ko) 2020-05-15
KR102202174B1 true KR102202174B1 (ko) 2021-01-13

Family

ID=7067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963A KR102202174B1 (ko) 2020-05-08 2020-05-08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1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9227A (ja) 2004-11-22 2006-06-29 Asahi Breweries Ltd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426A (ko) * 2003-08-08 2005-02-22 한국콜마 주식회사 사과 증류수를 함유하는 보습 화장료
JP2012201598A (ja) * 2011-03-23 2012-10-22 Bloom Classic Co Ltd 抗酸化剤及び皮膚化粧料
KR20140052127A (ko) * 2012-10-19 2014-05-07 한불화장품주식회사 효소분해 사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0498B1 (ko) * 2014-10-15 2017-11-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성숙 사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9227A (ja) 2004-11-22 2006-06-29 Asahi Breweries Ltd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2016, Vol. 33, No. 1, pp. 186-194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5, Vol. 47, No. 4, pp. 534-538*
Plos One. 2013, Vol. 8, No. 1, Article No. e53725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2011, 제18권, 제4호, 597-603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867A (ko)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902B1 (ko)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101368406B1 (ko) 피부 관련 기능성이 개선된 녹차 제조방법
KR102568108B1 (ko)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0606A (ko) 아리수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144677B1 (ko) 그린볼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염증용,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JP2023118853A (ja) 抗老化用組成物、抗老化用皮膚化粧料および抗老化用飲食品
KR102202174B1 (ko)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320424B1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8379B1 (ko)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200040608A (ko) 홍금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20200040607A (ko) 썸머프린스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139156B1 (ko) 효소처리된 홍삼 및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10032369A (ko) 홍금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20210032368A (ko) 썸머킹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10032370A (ko) 황옥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00046524A (ko) 황옥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200040605A (ko) 썸머킹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104803B1 (ko) 진세노사이드 f2 및 4-알파-d-글루코피라노실록시 벤질 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16129B1 (ko)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2295919B1 (ko) 리카니아 매크로카르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4154B1 (ko)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4144B1 (ko) 애기쉽싸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102211873B1 (ko) 인삼 부산물 추출물의 산처리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