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154B1 -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154B1
KR102334154B1 KR1020190165607A KR20190165607A KR102334154B1 KR 102334154 B1 KR102334154 B1 KR 102334154B1 KR 1020190165607 A KR1020190165607 A KR 1020190165607A KR 20190165607 A KR20190165607 A KR 20190165607A KR 102334154 B1 KR102334154 B1 KR 102334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id
cosmetic composition
oi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659A (ko
Inventor
손연경
박혜윤
방우영
남기흠
이사라
김가륜
이채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6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1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5Verbenaceae (Verben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비나무(Callicarpa mollis)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새비나무 추출물은 활성산소의 억제 효과가 탁월하여 각종 생리활성을 증진시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Callicarpa mollis}
본 발명은 새비나무(Callicarpa mollis)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활성산소종이라 불리는 ROS(reactive oxygen species)는 인체의 대사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되며, 과도한 운동, 환경 호르몬 등 인체의 산화적 스트레스로 발생되기도 한다(Cho 등 2011). 활성산소종의 종류로는 hydroxyl radical(OH), superoxide radical(O2-), hydrogen peroxide(H2O2) 등이 있는데, 과발현된 ROS는 생체내의 세포막, 단백질, DNA 손상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산업에서는 이러한 ROS를 제거하기 위하여 갈산 프로필(propyl gallate:PG), 디부틸히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BHA), 디부틸 히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BHT) 등의 합성 항산화제를 사용하여 왔으나, 많은 연구에서 이들 합성 항산화제가 암을 유발하거나, 세포내 독성을 나타내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한다고 보고하였다(Ito 등 1986; Safer & al-Nughamish 1999). 이러한 이유로 합성 항산화제보다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천연 항산화제를 찾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되어 오고 있으며, 민간요법이나 한방에서 효능이 입증된 육상생물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 연구를 위주로 수행하여 왔다. 국내에 자생하는 식물은 총 205과 1,157속 4,940종으로 우리나라와 국토 면적이 비슷한 영국(2,000여종), 덴마크(1500 여종)와 비교하면 상당히 다양성이 높으며, 같은 동북아시아 국가인 일본, 중국보다 다양한 종이 분포하고 있어서 이들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다(Kim 등 2012a).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국내 자생 식물을 이용한 기능성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데, Jeong 등(2004)은 천연 항산화제 개발을 목적으로 118종의 국내 자생 식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중 녹차, 인진쑥, 황금, 삼백초, 작약 등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다고 보고하였고, Hyun 등(2007) 및 Jang 등(2015)은 제주도에 자생하는 식물들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고, 화장품 소재를 탐색하였다. 국내 산림지역에 자생하는 식물들의 생리활성과 관련하여 Kim 등(2015a)이 느릅나무 뿌리인 유근피의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Kim 등(2015b)은 가시오가피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와 같이, 산림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의 개별적 기능성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수행되었으나, 산림지역 자생 식물의 다품종 항산화 활성에 관한 비교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산림지역 자생 식물의 기능성 연구는 향후 국내 자생 식물의 보존 및 활용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가 될 수 있다.
새비나무(Callicarpa mollis)는 한국 남부 섬의 산기슭의 숲 속에 나는 낙엽관목으로 높이 3m이다.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가고, 전체에 별 모양의 털이 밀포한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타원형, 타원상 피침형, 양 끝이 뾰족하고, 길이 3~12cm, 양 면에 작은 선점이 있으며, 표면에 짧은 털이 있고, 뒷면에 별 모양의 털이 밀생,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은 양성화, 연한 자주색, 길이 4~5mm,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화관의 통부는 꽃받침과 길이가 달린다. 열매는 핵과로 둥근 모양이며 자주색으로 익는다. 양산 자루, 신탄재, 조류의 먹이 등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새비나무가 갖는 약리학적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새비나무가 갖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상기 새비나무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3807호 (발명의 명칭 :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출원인 : 주식회사 더마랩)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9779호 (발명의 명칭 : 정제봉독, 단풍나무 추출물 및 작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천연 화장료 조성물, 출원인 :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Cho ML, Lee HS, Kang IJ, Won MH, You SG. 2011.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Enteromorpha prolifera, a type of green seaweed. Food Chem 127:999-1006. Cho ML, Yoon SJ, Kim YB. 2013.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Undariopsis peterseniana. Ocean Polar Res 35:273-280. Hyun SH, Jung SK, Jwa MK, Song CK, Kim JH, Lim SB. 2007. Screening of antioxidants and cosmeceuticals from natural plant resources in Jeju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9:200-208. Ito N, Hirose M, Fukushima S. 1986. Modifying effects of antioxidants on chemical carcinogenesis. Toxicol Pathol 14:315-323. Jang HJ, Bu HJ, Lee S. 2015.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y of Jeju native plants. Korean J Plant Res 28:158-167. Jeo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aeg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135-140. Kahkonen MP, Hopia AI, Vuorela HJ, Rauha JP, Pihlaja K, Kujala TS, Heinonen M.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extract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7:3954-3962. Kim EJ, Choi JY, Yu M, Kim MY, Lee S, Lee BH. 2012a.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337-342. Kim JM, Cho ML, Seo KE, Kim YS, Jung TD, Kim YH, Kim DB, Shin GH, Oh JW, Lee JS, Lee JH, Kim JY, Lee DW, Lee OH. 2015a.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root bark extract from Ulmus pumila L. J Korean Soc Food Nutr 44:1172-1179. Kim YH, Cho ML, Kim DB, Shin GH, Lee JH, Lee JS, Park SO, Lee SJ, Cho OH, Lee OH. 2015b.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ir major antioxidant compound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and A. koreanum. Molecules 20:13281-13295. Mitsunaga T, Doi T, Kondo Y, Abe I. 1998. Color development of proanthocyanidins in vanillin-hydrochloric acid reaction. J Wood Sci 44:125-130. Ordonez AAL, Gomez JD, Vattuone MA, Isla MI.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Sechium edule (Jacq.) Swartz extracts. Food Chem 97:452-458. Ou B, Hampsch-Woodill M, Prior RL.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t probe. J Agr Food Chem 49:4619-462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Rockett K, Awburn MM, Cowden WB, Clark IA. 1991. Killing of Plasmodium falciparum in vitro by nitric oxide derivatives. Infect Immun 59:3280-3283. Safer AM, al-Nughamish AJ. 1999. Hepatotoxicity induced by the antioxidant food additive,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in rats: an electron microscopical study. Histol Histopathol 14:391-406.
본 발명의 목적은 새비나무(Callicarpa mollis)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새비나무(Callicarpa mollis)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새비나무 추출물은 잎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새비나무 추출물은, 새비나무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새비나무 추출물은 새비나무의 부위 중, 잎을 원료로 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새비나무 추출물은 새비나무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C1~C4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새비나무 추출물은 물 추출물보다는 C1~C4 알코올 추출물 또는 C1~C4 알코올의 수용액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이 좋으며, C1~C4 알코올 추출물 또는 C1~C4 알코올의 수용액 추출물 중에서도 C1~C4 알코올의 수용액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더 좋다. C1~C4 알코올의 수용액으로서 항산화 활성이 좋은 추출물을 제조하기에 더 적절한 것은 50~90%(v/v) 에탄올 수용액이며, 가장 적절한 것은 70%(v/v) 에탄올 수용액이다.
상기 새비나무 추출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은 새비나무 사용 중량 기준 1~40배 중량 또는 1~40배 부피(1kg 기준 1~40ℓ)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40배 부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새비나무 추출물의 추출조건은 20~100℃에서 1분~48시간일 수 있다. 상기 과정은 1~4번까지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당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새비나무의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에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분획하여 분획물로 제조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새비나무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 농축하여 얻은 새비나무 추출물에, 물을 가하여 현탁한 후, 바람직하게는 새비나무 추출물의 중량의 1~1000배, 더 바람직하게는 1~500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배의 물을 가하여 현탁한 후, 상기 현탁물에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가하여 얻은 새비나무 분획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추출용 기기로는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새비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열풍건조, 감압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새비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새비나무 추출물은 상법에 따라, 유기용매(알코올, 에테르, 아세톤 등)에 의한 추출, 헥산과 물의 분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등,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획 또는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새비나무 추출물이 0.0001~1㎎/㎖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에센스, 로션, 에멀젼, 팩, 핸드크림, 풋크림, 립밤, 립스틱, 아이섀도우,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펜슬, 블러셔, 하이라이터, 일반화장수, 스킨, 크림, 세럼, 미용비누, 유연화장수, 약용화장수, 전신세정제,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겔, 클렌징 오일, 클렌징 크림, 샴푸, 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로션, 클렌징 티슈 및 클렌징 워터에서 선택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L-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통상의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도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새비나무 추출물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새비나무 추출물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비나무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은 새비나무(Callicarpa mollis)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새비나무 추출물은 활성산소의 억제 효과가 탁월하여 각종 생리활성을 증진시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새비나무 잎 추출물이 갖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새비나무 잎 추출물이 갖는 과산화물 소거능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새비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
새비나무 잎의 추출은 수용성 화합물과 지용성 화합물을 함께 추출하기 위하여 70%(v/v)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건조된 새비나무 잎 100 g을 70%(v/v) 에탄올 수용액 1,000 ㎖에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얻어진 추출액은 모두 합하여 filter paper(Whatman, No. 3, Maidstone, Kent, UK)로 여과한 후, 회전진공농축기(EYELA, N-3000, Tokyo, Japan)를 사용하여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Ilshinbiobase Co., Ltd, Yangju, Korea) 하였다.
<실험예 1. DPPH 라디칼 소거능>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은 Cho 등(2011)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동결건조된 시료를 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여 100,000㎍/㎖으로 stock solution을 제작한 후, 최종 농도에 맞추어 에탄올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시료 10㎕과 150μM DPPH 용액 190㎕를 혼합한 뒤, 30분 동안 차광조건에서 반응한 후 Microplate reader(Tecan, Switzerland)의 517 nm 조건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시료의 최종 농도는 10㎍/㎖과 50㎍/㎖이 되게 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퀘르세틴(Quercetin 10 μM, QC10)을 사용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Quercetin 10μM에 의한 DPPH 라디컬 소거능(100%)과 대비하여 표 1과 도 1에 나타내었다.
새비나무 잎 추출물 DPPH (% Scavenging activity)
10 ㎍/㎖ 70.4±7.6%
50 ㎍/㎖ 151.0±6.9%
상기 표 1과 도 1을 참고하면, 새비나무 잎 추출물이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과산화물 제거능 측정>
96 well plate에 1 well당 5×103 cells/100 ㎕의 HDF 세포(Human Dermal Fibroblasts, ATCC, USA)를 첨가 후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추출물 시료의 경우 DMSO에 녹인 stock solution(100,000㎍/㎖)을 media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최종농도가 시료는 100㎍/㎖, Quercetin은 10 μM(QC10, 양성대조군)이 되도록 하여 처리 후 다시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으로는 차광조건에서 plate 안의 media를 모두 제거한 뒤, 배양액과 같은 온도의 PBS로 1회 세척 후, DCF-DA(2',7'-dichlorofluorescin-diacetate)를 50 μM로 phenol red-free media에 희석하여 50 ㎕로 처리 후 incubator에서 30분 동안 반응하게 하였다.
차광조건에서 plate 안의 media를 모두 제거한 뒤, 다시 PBS로 1회 세척 후, ROS inducer (Hydrogen peroxide, H2O2)를 1%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에 200 μM로 희석하여 200 ㎕ 처리 후 incubator에서 30min 동안 반응하였다. 이 후 Plate 안의 용액을 제거한 후 Fluorescence reader (Tecan, Switzerland)를 이용하여 excitation 485 nm, emission 535 nm 에서 각 ROS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며, Control을 100%로 기준하여 도 2에 결과값을 나타내었다(control : 무처리군, None : 200 μM의 H2O2 단독 처리군).
도 2를 참고하면, 새비나무 잎 추출물이 과산화수소 처리로 인해 생성되는 활성산소(ROS) 값이 낮아 항산화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된다.
<화장료 조성물 제형예 1. 스킨의 제조>
실시예 1의 새비나무 잎 추출물 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5.2 중량%, 올레일알코올 1.5 중량%, 에탄올 3.2 중량%, 폴리솔베이트 20 3.2 중량%, 벤조페논-9 2.0 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중량%, 글리세린 3.5 중량% 향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의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스킨을 제조하였다.
<화장료 조성물 제형예 2. 로션의 제조>
실시예 1의 새비나무 잎 추출물 5.0 중량%,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1.0 중량%,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8 중량%,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3 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0 중량%, 미네랄오일 5.0 중량%, 사이크로메치콘 3.0 중량%, 디메치콘 0.5 중량%, 알란토인 0.1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알코올 2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향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의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화장료 조성물 제형예 3. 에센스의 제조>
실시예 1의 새비나무 잎 추출물 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0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알란토인 0.5 중량%, EDTA-2Na 0.01 중량%, 에탄올 5.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5 중량%, 스쿠알란 2.0 중량%, 밀랍 2.5 중량%, 폴리솔베이트60 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중량%, 향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의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화장료 조성물 제형예 4. 크림의 제조>
실시예 1의 새비나무 잎 추출물 10.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7%,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세틸알코올 0.6%, 스테아린산 0.7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6%, 유동파라핀 1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0.0%, 트리에탄올아민 0.2%, 향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의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약학 조성물 제형예 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새비나무 잎 추출물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식품 조성물 제형예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새비나무 잎 추출물을 조리용 양념에 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식품 조성물 제형예 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새비나무 잎 추출물을 밀가루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식품 조성물 제형예 3.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새비나무 잎 추출물을 스프 및 육즙에 0.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식품 조성물 제형예 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새비나무 잎 추출물을 우유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식품 조성물 제형예 5. 채소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새비나무 잎 추출물 0.5g을 토마토주스 또는 당근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채소주스를 제조하였다.
<식품 조성물 제형예 6. 과일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새비나무 잎 추출물 0.1g을 사과주스 또는 포도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5)

  1. 새비나무(Callicarpa mollis)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추출물이 건조된 새비나무 잎 100 g을 70%(v/v) 에탄올 수용액 1,000 ㎖에 침지시킨 후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상기 추출 과정을 3회 반복한 후, 얻은 추출액을 합하여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한 추출물이며,
    퀘르세틴(Quercetin) 10μM의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컬 소거능을 100%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추출물 10 ㎍/㎖의 DPPH 라디컬 소거능이 70.4±7.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비나무 추출물은 과산화물의 소거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새비나무(Callicarpa mollis)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으로서,
    상기 추출물이 건조된 새비나무 잎 100 g을 70%(v/v) 에탄올 수용액 1,000 ㎖에 침지시킨 후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상기 추출 과정을 3회 반복한 후, 얻은 추출액을 합하여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한 추출물이며,
    퀘르세틴(Quercetin) 10μM의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컬 소거능을 100%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추출물 10 ㎍/㎖의 DPPH 라디컬 소거능이 70.4±7.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건강기능식품.
  5. 삭제
KR1020190165607A 2019-12-12 2019-12-12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4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07A KR102334154B1 (ko) 2019-12-12 2019-12-12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07A KR102334154B1 (ko) 2019-12-12 2019-12-12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59A KR20210074659A (ko) 2021-06-22
KR102334154B1 true KR102334154B1 (ko) 2021-12-02

Family

ID=7660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607A KR102334154B1 (ko) 2019-12-12 2019-12-12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1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581A (ja) 2000-12-15 2002-06-26 Yakult Honsha Co Ltd 皮膚老化防止剤
JP2005145938A (ja) 2003-11-20 2005-06-09 Kyoei Kagaku Kogyo Kk 活性酸素消去剤及び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779B1 (ko) 2011-04-29 2011-12-07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정제봉독, 단풍나무 추출물 및 작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101303807B1 (ko) 2013-04-09 2013-09-04 주식회사 더마랩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581A (ja) 2000-12-15 2002-06-26 Yakult Honsha Co Ltd 皮膚老化防止剤
JP2005145938A (ja) 2003-11-20 2005-06-09 Kyoei Kagaku Kogyo Kk 活性酸素消去剤及び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59A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045B1 (ko)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JP2024061845A (ja) Age産生抑制剤
KR102565127B1 (ko) 뱀독에서 분리한 신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97879B1 (ko) 우방자 및 비자 가종피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16196429A (ja) Nrf2活性化剤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127279B1 (ko) 신규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인삼엽 및 이의 추출물을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060122603A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2284899B1 (ko) 황기 펩타이드 숙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4154B1 (ko)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0606A (ko) 아리수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당뇨, 모공축소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334144B1 (ko) 애기쉽싸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0424B1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11085B1 (ko) 누룩을 이용한 쪽 발효방법 및 이에 얻은 쪽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68471B1 (ko)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471012B1 (ko) 덕우기름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KR102211873B1 (ko) 인삼 부산물 추출물의 산처리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94459B1 (ko) 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KR20230141959A (ko) 생강즙 및 레몬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30141961A (ko) 생강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40054152A (ko) 왓소니아(Selaginella martens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41960A (ko) 레몬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