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471B1 -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471B1
KR102068471B1 KR1020180051525A KR20180051525A KR102068471B1 KR 102068471 B1 KR102068471 B1 KR 102068471B1 KR 1020180051525 A KR1020180051525 A KR 1020180051525A KR 20180051525 A KR20180051525 A KR 20180051525A KR 102068471 B1 KR102068471 B1 KR 102068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ucumber
fine
radical scavenging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214A (ko
Inventor
이종석
이사라
김병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051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47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9Sanguisorba (burne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가는오이풀 추출물은 각종 생리활성을 증진시켜 다양한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화장료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Sanguisorba tenuifolia}
본 발명은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활성산소종이라 불리는 ROS(reactive oxygen species)는 인체의 대사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되며, 과도한 운동, 환경 호르몬 등 인체의 산화적 스트레스로 발생되기도 한다(Cho 등 2011). 활성산소종의 종류로는 hydroxyl radical(OH), superoxide radical(O2-), hydrogen peroxide(H2O2) 등이 있는데, 과발현된 ROS는 생체내의 세포막, 단백질, DNA 손상 등을 일으켜 암, 당뇨, 고혈압, 비만, 노화 등의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Gardner & Fridovich 1991; Drooge W 2002; Willcox 등 2004). 따라서 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산업에서는 이러한 ROS를 제거하기 위하여 갈산 프로필(propyl gallate:PG), 디부틸히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BHA), 디부틸 히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BHT) 등의 합성 항산화제를 사용하여 왔으나, 많은 연구에서 이들 합성 항산화제가 암을 유발하거나, 세포내 독성을 나타내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한다고 보고하였다(Ito 등 1986; Safer & al-Nughamish 1999). 이러한 이유로 합성 항산화제보다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천연 항산화제를 찾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되어 오고 있으며, 민간요법이나 한방에서 효능이 입증된 육상생물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 연구를 위주로 수행하여 왔다. 국내에 자생하는 식물은 총 205과 1,157속 4,940종으로 우리나라와 국토 면적이 비슷한 영국(2,000여종), 덴마크(1500 여종)와 비교하면 상당히 다양성이 높으며, 같은 동북아시아 국가인 일본, 중국보다 다양한 종이 분포하고 있어서 이들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다(Kim 등 2012a).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국내 자생 식물을 이용한 기능성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데, Jeong 등(2004)은 천연 항산화제 개발을 목적으로 118종의 국내 자생 식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중 녹차, 인진쑥, 황금, 삼백초, 작약 등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다고 보고하였고, Choi 등(2010)은 7종의 자생허브와 4종의 도입허브를 이용하여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Hyun 등(2007) 및 Jang 등(2015)은 제주도에 자생하는 식물들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고, 화장품 소재를 탐색하였다. 국내 산림지역에 자생하는 식물들의 생리활성과 관련하여 Kim 등(2015a)이 느릅나무 뿌리인 유근피의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Kim 등(2015b)은 가시오가피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와 같이, 산림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의 개별적 기능성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수행되었으나, 산림지역 자생 식물의 다품종 항산화 활성에 관한 비교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산림지역 자생 식물의 기능성 연구는 향후 국내 자생 식물의 보존 및 활용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라 생각된다.
가는오이풀(Sanguisorba tenuifolia Fisch. ex Link)은 높은 산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굵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50-120cm이다. 뿌리에서 난 잎은 홀수깃꼴겹잎으로 길이 20-45cm이다. 작은잎은 3-7쌍이며 잎자루가 보통 없고, 좁고 긴 피침형으로 길이 4-15cm, 폭 5-13mm이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며, 이삭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다. 꽃차례는 옆이나 밑을 향하며 길이 3-9cm, 폭 4-7mm로 가늘고 길다. 수술은 꽃받침 밖으로 길게 나오며 꽃밥은 흰색이고, 암술은 1개,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열매는 수과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일본, 중국 및 동유럽에 분포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가는오이풀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는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는오이풀이 갖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상기 가는오이풀의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0536호 (발명의 명칭 :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출원인 :(주)더페이스샵, 등록일 : 2011.03.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5528호 (발명의 명칭 : 오이풀 뿌리 분획물의 천연 화장품소재 개발, 출원인 : 이진태 외 2인, 공개일 : 2013.10.22)
Cho ML, Lee HS, Kang IJ, Won MH, You SG. 2011.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Enteromorpha prolifera, a type of green seaweed. Food Chem 127:999-1006. Cho ML, Yoon SJ, Kim YB. 2013.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Undariopsis peterseniana. Ocean Polar Res 35:273-280. Choi IY, Song YJ, Lee WH. 2010.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me herbal extracts. Kor J Hort Sci Technol 28:871-876. Drooge W. 2002.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ol Rev 82:47-95 Gardner PR, Fridovich I. 1991. Superoxide sensitivity of the Escherichia coli aconitase. J Biol Chem 266:19328-19333. Hyun SH, Jung SK, Jwa MK, Song CK, Kim JH, Lim SB. 2007. Screening of antioxidants and cosmeceuticals from natural plant resources in Jeju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9:200-208. Ito N, Hirose M, Fukushima S. 1986. Modifying effects of antioxidants on chemical carcinogenesis. Toxicol Pathol 14:315-323. Jang HJ, Bu HJ, Lee S. 2015.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y of Jeju native plants. Korean J Plant Res 28:158-167. Jeo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aeg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135-140. Kahkonen MP, Hopia AI, Vuorela HJ, Rauha JP, Pihlaja K, Kujala TS, Heinonen M.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extract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7:3954-3962. Kim EJ, Choi JY, Yu M, Kim MY, Lee S, Lee BH. 2012a.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337-342. Kim JM, Cho ML, Seo KE, Kim YS, Jung TD, Kim YH, Kim DB, Shin GH, Oh JW, Lee JS, Lee JH, Kim JY, Lee DW, Lee OH. 2015a.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root bark extract from Ulmus pumila L. J Korean Soc Food Nutr 44:1172-1179. Kim YH, Cho ML, Kim DB, Shin GH, Lee JH, Lee JS, Park SO, Lee SJ, Cho OH, Lee OH. 2015b.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ir major antioxidant compound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and A. koreanum. Molecules 20:13281-13295. Mitsunaga T, Doi T, Kondo Y, Abe I. 1998. Color development of proanthocyanidins in vanillin-hydrochloric acid reaction. J Wood Sci 44:125-130. Ordonez AAL, Gomez JD, Vattuone MA, Isla MI.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Sechium edule (Jacq.) Swartz extracts. Food Chem 97:452-458. Ou B, Hampsch-Woodill M, Prior RL.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t probe. J Agr Food Chem 49:4619-462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Rockett K, Awburn MM, Cowden WB, Clark IA. 1991. Killing of Plasmodium falciparum in vitro by nitric oxide derivatives. Infect Immun 59:3280-3283. Safer AM, al-Nughamish AJ. 1999. Hepatotoxicity induced by the antioxidant food additive,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in rats: an electron microscopical study. Histol Histopathol 14:391-406. Willcox JK, Ash SL, Catignani GL. 2004. Antioxidants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Crit Rev Food Sci 44:275-295.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가는오이풀(Sanguisorba tenuifolia)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는오이풀 추출물은 잎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가는오이풀 추출물은, 가는오이풀을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가는오이풀 추출물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50~200㎎ GAE/g,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5㎎ QE/g, 총 안토시아닌은 50~100 mg CE/g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화장료에는 가는오이풀 추출물이 0.0001~1㎎/㎖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는오이풀 추출물은 가는오이풀의 부위 중, 잎을 원료로 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는오이풀 추출물은 가는오이풀을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C1~C4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가는오이풀 추출물은 물 추출물보다는 C1~C4 알코올 추출물 또는 C1~C4 알코올의 수용액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이 좋으며, C1~C4 알코올 추출물 또는 C1~C4 알코올의 수용액 추출물 중에서도 C1~C4 알코올의 수용액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더 좋다. C1~C4 알코올의 수용액으로서 항산화 활성이 좋은 추출물을 제조하기에 더 적절한 것은 50~90%(v/v) 에탄올 수용액이며, 가장 적절한 것은 70%(v/v) 에탄올 수용액이다.
상기 가는오이풀 추출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은 가는오이풀 사용 중량 기준 1~40배 부피(1kg 기준 1~40ℓ)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40배 부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는오이풀 추출물의 추출조건은 20~100℃에서 1분~48시간일 수 있다. 상기 과정은 1~4번까지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당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가는오이풀의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에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분획하여 분획물로 제조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가는오이풀을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 농축하여 얻은 가는오이풀 추출물에, 물을 가하여 현탁한 후, 바람직하게는 가는오이풀 추출물의 중량의 1~1000배, 더 바람직하게는 1~500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배의 물을 가하여 현탁한 후, 상기 현탁물에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가하여 얻은 가는오이풀 분획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추출용 기기로는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가는오이풀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열풍건조, 감압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는오이풀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는오이풀 추출물은 상법에 따라, 유기용매(알코올, 에테르, 아세톤 등)에 의한 추출, 헥산과 물의 분배,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등,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획 또는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는오이풀 추출물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50~200㎎ GAE/g,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5㎎ QE/g, 총 안토시아닌은 50~100 mg CE/g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가는오이풀 추출물의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속할 때 항산화성이 가장 좋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이 포함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가는오이풀 추출물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항산화용 조성물이 작용하는 각종 암, 성인병, 성인병, 혈관질환, 대사질환, 피로, 비만, 각종 면역관련 질환 등의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가는오이풀 추출물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로 인해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노화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가는오이풀 추출물이 0.0001~1㎎/㎖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피부외용연고, 에센스, 미백크림, 로션, 에멀젼, 팩, 일반화장수, 스킨밀크, 스킨, 크림, 세럼, 미용비누, 유연화장수, 약용화장수, 전신세정제, 클렌징 오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티슈 및 클렌징 워터에서 선택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락토스,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가는오이풀 추출물은 각종 생리활성을 증진시켜 다양한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화장료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이 갖는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의 제조>
가는오이풀 잎의 추출은 수용성 화합물과 지용성 화합물을 함께 추출하기 위하여 70%(v/v)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건조된 가는오이풀 잎 100 g을 70%(v/v) 에탄올 수용액 1,000 ㎖에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얻어진 추출액은 모두 합하여 filter paper(Whatman, No. 3, Maidstone, Kent, UK)로 여과한 후, 회전진공농축기(EYELA, N-3000, Tokyo, Japan)를 사용하여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Ilshinbiobase Co., Ltd, Yangju, Korea) 하였다.
<비교예 1. 가는오이풀 또는 오이풀의 기타 추출물 제조>
비교예 1-1. 가는오이풀 뿌리 추출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되 시료를 가는오이풀 잎 대신 뿌리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2. 오이풀 잎 추출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되 시료를 가는오이풀 잎 대신 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의 잎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3. 오이풀 뿌리 추출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되 시료를 가는오이풀 잎 대신 오이풀의 뿌리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1.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측정>
실험예 1-1.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은 Cho 등(2011)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70%(v/v)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용해시킨 시료 0.1 ㎖와 0.4 mM DPPH 용액 0.1 ㎖를 혼합한 뒤, 30분 동안 암소에서 반응시켰다.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의 515 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 [(Ac-As) / Ac] × 100
Ac: 공시료 흡광도, As: 시료군 흡광도
실험예 1-2. ABTS 라디칼 소거능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소거능은 지용성 및 수용성 성질의 항산화 물질 모두 사용 가능한 항산화 활성 측정 방법으로, ABTS의 양이온 라디칼의 흡광도가 항산화 물질에 의해 감소되는 원리에 기초한 방법이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을 위해 7 mM ABTS 용액과 2.45 mM 과황화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혼합하여 빛을 차단한 상태로 12-16시간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켜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 값이 0.70±0.02가 되도록 무수에탄올을 이용하여 조절하였다. 시료 50 ㎕와 150 ㎕의 희석된 ABTS 용액을 첨가하고 20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켜 마이크로플레이트 분석기의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 = [(Ac-As) / Ac] × 100
실험예 1-3. 환원력 측정
환원력(reducing power)은 ferric-ferricyanide (Fe3+)가 ferrous (Fe2+)로 환원되는 능력을 측정한 방법으로 Cho 등(2011)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시료 0.5 ㎖, 0.2 M 인산나트륨 완충액(sodium phosphate buffer) 0.5 ㎖, 1%(w/v) 페리시안화칼륨(potassium ferricyanide) 0.5 ㎖를 혼합하여 50℃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10%(w/v) trichloroacetic acid 0.5 ㎖를 넣어주고 12,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1.0 ㎖ 상등액에 증류수 1 ㎖과 0.1% Iron(Ⅲ) chloride 0.2 ㎖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간 반응하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분석기(microplate reader)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환원력의 기준은 비타민 C의 25 ㎍/㎖ 농도의 환원력을 100%로 계산하였다.
상기 실험예 1-1 내지 1-3에서 확인된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실시예 1)의 항산화 활성은 표 1 내지 3과 도 1에 나타내었다.
추출물 DPPH
(% Scavenging activity)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
50 ㎍/㎖ 23.56±2.76
100 ㎍/㎖ 39.84±3.16
200 ㎍/㎖ 73.13±1.45
추출물 ABTS
(% Scavenging activity)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
50 ㎍/㎖ 26.37±0.90
100 ㎍/㎖ 48.94±0.48
200 ㎍/㎖ 81.68±0.66
추출물 환원력
(Absorbance)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
50 ㎍/㎖ 0.10±0.00
100 ㎍/㎖ 0.15±0.01
200 ㎍/㎖ 0.26±0.01
상기 표 1 내지 3과 도 1을 참고하면,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이 DPPH/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NO 라디칼 소거능 및 Hydrogen peroxide 측정>
실험예 2-1. NO 라디칼 소거능 확인
NO(Nitric oxide) 라디칼 소거능은 Rockett 등(1991)의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하였다. 시료 0.5 ㎖에 1 mM NaNO2 용액 0.5 ㎖를 첨가하고, 0.1 N HCl로 반응용액의 pH를 1.2로 보정한 다음 반응용액의 최종부피를 증류수를 가하여 5 ㎖로 하였다. 이 용액을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반응액을 1 ㎖씩 취하여 2%(v/v) 아세트산(acetic acid) 5 ㎖와 그리스(Griess) 시약(A:B=1:1, A: 1% sulfanilic acid in 30% acetic acid, B: 1% naphthylamine in 30% acetic acid) 0.4 ㎖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15 분간 반응시킨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 라디칼 소거능은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NO 라디칼 소거능 = [(Ac-As) / Ac] × 100
Ac: 공시료 흡광도, As: 시료군 흡광도
실험예 2-2. Hydrogen peroxide 측정
Hydrogen peroxide 측정을 위해, 각 시료 30 μL에 pH 7.4인 0.1M sodium phosphate buffer 100 ㎕를 첨가한 후 2mM hydrogen peroxide 15 μL를 첨가하여 35℃의 oven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1.25mM ABTS 25 μL과 peroxidase (1U/mL) 25 μL을 첨가하고 35℃의 oven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의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Hydrogen peroxide 소거능은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Hydrogen peroxide 라디칼 소거능(%) = [(Ac-As) / Ac] × 100
Ac: 공시료 흡광도, As: 시료군 흡광도
실험예 2-1 및 2-2에서 확인된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의 NO 라디칼 소거능과 Hydrogen peroxide 활성은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추출물 NO
(% Scavenging activity)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
250 ㎍/㎖ 61.49±1.31
500 ㎍/㎖ 75.36±0.24
1000 ㎍/㎖ 81.87±0.31
추출물 Hydrogen peroxide
(% Scavenging activity)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
50 ㎍/㎖ 26.30±3.56
100 ㎍/㎖ 28.57±1.42
200 ㎍/㎖ 31.81±1.57
상기 표 4 및 5를 참고하면, NO 라디칼 소거능 확인 결과 및 Hydrogen peroxide 활성측정 결과를 참고해서도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실험예 3.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안토시아니딘 함량 측정>
실험예 3-1.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을 이용하여 Kahkonen 등(1999)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각 시료 500 ㎖에 12.5%(w/v)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용액 1.25 ㎖와 1.0 M Folin-Ciocalteu's reagent 250 ㎕를 혼합하여 암소에서 40분간 방치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분석기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갈릭산(gallic acid)을 이용하여 표준물질로 이용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mg GE/g sample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3-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Ordonez 등(2006)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시료 0.5 ㎖에 2% (w/v) 염화알루미늄(aluminum chloride) 0.5 ㎖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6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분석기의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퀘르세틴(quercetin)을 표준물질로 이용하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g QE/g sample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3-3. 총 안토시아닌 함량 측정
총 안토시아닌 함량(total anthocyanins contents)은 vanillin-hydrochloric acid(V-HCl)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 0.5 ㎎을 methanol 5 ㎖에 용해 후, 4%(w/v) vanillin 용액 3 ㎖을 첨가하여 강하게 휘저었다. 그 후, 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1.5 ㎖을 반응용액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분석기의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Catechin을 표준물질로 이용하였으며, ㎎ CE/g sample로 나타내었다.
이 때 각 실험에 사용한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은 농도는 100 ㎍/㎖이었다. 상기 실험예 3-1 내지 3-3에서 확인된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조건 총폴리페놀
(mg GE/g)
총플라보노이드
(mg QE/g)
총안토시아닌
(㎎ CE/g)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 117.50±0.19 3.88±0.24 71.36±5.61
* GE;Gallic acid equivalent, QE;Quercetin equivalent, CE;Catechin equivalent
상기 표 6을 참고하면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이 총 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총안토시아닌 함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항산화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가는오이풀 또는 오이풀 유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비교>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가는오이풀 또는 오이풀 유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실험예 1-1에서 사용한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방법을 통해 확인하였고 이를 표 7에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은 농축 또는 건조하여 동일한 농도로 제조한 후 최종 처리 농도 200 ㎍/㎖의 측정값을 하기에 나타내었다.
조건 DPPH (% Scavenging activity)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 73
비교예 1-1의 가는오이풀 뿌리 추출물 15
비교예 1-2의 오이풀 잎 추출물 5
비교예 1-3의 오이풀 뿌리 추출물 19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2. 식품 제조>
제제예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을 조리용 양념에 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을 밀가루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3.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을 스프 및 육즙에 0.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을 우유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5. 야채주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 0.5g을 토마토주스 또는 당근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6. 과일주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 0.1g을 사과주스 또는 포도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화장료 제조>
제제예 3-1. 스킨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 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5.2 중량%, 올레일알코올 1.5 중량%, 에탄올 3.2 중량%, 폴리솔베이트 20 3.2 중량%, 벤조페논-9 2.0 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중량%, 글리세린 3.5 중량% 향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의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스킨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3-2. 로션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 5.0 중량%,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1.0 중량%,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8 중량%,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3 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0 중량%, 미네랄오일 5.0 중량%, 사이크로메치콘 3.0 중량%, 디메치콘 0.5 중량%, 알란토인 0.1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알코올 2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향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의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3-3. 에센스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 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0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알란토인 0.5 중량%, EDTA-2Na 0.01 중량%, 에탄올 5.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5 중량%, 스쿠알란 2.0 중량%, 밀랍 2.5 중량%, 폴리솔베이트60 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중량%, 향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의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4. 크림 제조
실시예 1의 가는오이풀 잎 추출물 10.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7%,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세틸알코올 0.6%, 스테아린산 0.7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6%, 유동파라핀 1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0.0%, 트리에탄올아민 0.2%, 향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의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 NO(Nitric oxide) 라디칼 소거능 및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소거능이 있는 가는오이풀(Sanguisorba tenuifolia) 잎의 50~90%(v/v)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건강기능식품.
  5.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 NO(Nitric oxide) 라디칼 소거능 및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소거능이 있는 가는오이풀(Sanguisorba tenuifolia) 잎의 50~90%(v/v)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는 가는오이풀 추출물이 0.0001~1㎎/㎖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51525A 2018-05-04 2018-05-04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68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525A KR102068471B1 (ko) 2018-05-04 2018-05-04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525A KR102068471B1 (ko) 2018-05-04 2018-05-04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214A KR20190127214A (ko) 2019-11-13
KR102068471B1 true KR102068471B1 (ko) 2020-01-22

Family

ID=6853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525A KR102068471B1 (ko) 2018-05-04 2018-05-04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4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367B1 (ko) * 2020-02-24 2022-04-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이풀 추출물(Sanguisorba officinalis L)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762A (ko) * 2000-12-14 2002-06-22 김광석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KR101020536B1 (ko) 2008-05-09 2011-03-09 (주)더페이스샵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9608A (ko) * 2012-02-29 2013-09-06 (주)아모레퍼시픽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115528A (ko) 2012-04-12 2013-10-22 이진태 오이풀 뿌리 분획물의 천연 화장품소재 개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lecules, 2011, Vol. 16, pp. 4642-465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214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590B1 (ko) 아로니아, 아사이베리 및 스테비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식품 조성물
KR102052523B1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944014B1 (ko) 진달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125224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조성물
KR20190090363A (ko) 엉겅퀴 및 모링가의 온천수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8471B1 (ko)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86854B1 (ko) 사초과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5572B1 (ko)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1889331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1944016B1 (ko) 쇠물푸레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45718B1 (ko) 갯질경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세포재생용 조성물
KR101963841B1 (ko) 신갈나무 화분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아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87942B1 (ko)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
KR20220163542A (ko) 레몬머틀 및 꽃송이 버섯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안티 폴루션용 조성물
Abir et al. Phytochemical, Nutritional and Pharmacological Potentialities of Amaranthus spinosus Linn.: A review
KR102334154B1 (ko)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7843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20180012559A (ko) 쇠물푸레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334144B1 (ko) 애기쉽싸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2556A (ko)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129461B1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471026B1 (ko) 시페루스 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또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1012B1 (ko) 덕우기름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4358B1 (ko) 홍삼의 비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90725B1 (ko) 나도풍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