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367B1 - 오이풀 추출물(Sanguisorba officinalis L)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이풀 추출물(Sanguisorba officinalis L)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367B1
KR102388367B1 KR1020200022136A KR20200022136A KR102388367B1 KR 102388367 B1 KR102388367 B1 KR 102388367B1 KR 1020200022136 A KR1020200022136 A KR 1020200022136A KR 20200022136 A KR20200022136 A KR 20200022136A KR 102388367 B1 KR102388367 B1 KR 102388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ucumber
exercise function
cucumber extract
health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7318A (ko
Inventor
하기태
한정호
배성진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367B1/ko
Priority to PCT/KR2020/018805 priority patent/WO2021172726A1/ko
Publication of KR2021010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이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운동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이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운동 기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이용하면, 부작용이 적으면서, 운동 기능을 개선시킬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피로 회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의약 업계 또는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이풀 추출물(Sanguisorba officinalis L)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Health functional foods compositions comprising Sanguisorba officinalis L extract}
본 발명은 오이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운동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과 생활 패턴으로 인한 운동 부족 및 스트레스로 인한 비만, 고혈압, 성인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규칙적인 운동과 효율적인 운동수행능력의 증진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운동 수행 능력이란 일상생활이나 스포츠에서 수행되는 신체동작을 빠르게, 강하게, 오래, 능숙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근피로 회복, 지구력 등이 있다. 근피로(muscle fatigue)는 강도가 강한 운동 후 또는 장기간의 운동으로 인해 신체활동 수행능력이 일시적으로 감소된 상태를 의미한다. 해당과정 시스템은 글리코겐 분해(glycogenolysis) 또는 해당과정(glycolysis)에서 글리코겐(glycogen)이 젖산(lactate)으로 분해되는 과정이다. 해당과정 및 글리코겐분해로부터 과도하게 생산된 젖산에 의해 체내에 근피로가 증가하게 된다. 지구력(endurance)은 '피로에 대한 저항력'으로 정의된다. 고강도 운동 시 산소공급량이 근육의 산소소모량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근육조직의 젖산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때 생성된 젖산은 혈액으로 확산되어 간에서 처리 된다. 운동으로 인해 젖산이 과도하게 축적되면 체내 산성화가 초래되어 운동에너지의 급원이 억제된다.
최근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미토콘드리아의 양과 활성을 증가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근육에 미토콘드리아가 다량 분포하고 있고 ATP(adenosine triphosphate)와 같은 에너지원을 만든다. 유산소 운동을 하면 미토콘드리아의 수와 활성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ATP의 생산이 높아져 지구력이 향상된다고 알려져 있다(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86,12 (2011): 10605-17, 2011).
미토콘드리아의 수와 활성은 PGC-1α(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에 의해 조절되며, 따라서 해당 인자를 측정하여 운동수행능력에 대한 지표로 삼기도 한다(Curr. Pharm. Des. 20 (35): 5507-9.).
AMPK(AMP activated protein kinase)는 세포 내의 에너지 항상성 유지 역할을 하는 효소로서, 운동이나 스트레스에 의해 ATP가 고갈되어 AMP/ATP 비율이 증가하는 경우 활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PGC1-alpha의 인산화를 증가시켜 미토콘드리아생성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ci Rep. 2017 Mar 20;7:44799. doi: 10.1038/srep44799.).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은 한국, 일본, 유럽, 중국 만주,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장미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해당 식물의 뿌리를 지유(地楡)라 하며 한약재로 쓰고, 잎과 지상부는 식품으로 사용한다.
지유의 한약으로써의 기능으로는 열을 내리고 수렴지혈(收斂止血)의 효능이 있어서 대변 출혈, 치질 출혈, 이질 복통 출혈 및 자궁 출혈에 효과를 보이며 외과적으로는 화상에 가루를 내어 바르고 치질 환부에 증기를 쐬는 등의 기능이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지유에 의하여 지방 생성, 지방 분해와 관련된 전사 인자의 조절을 통해 항비만 효과를 내는 것을 보고한 바 있다(J Med Food. 2016 Aug;19(8):768-79. doi: 10.1089/jmf.2016.3704).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물질 중에서 운동 수행 능력을 개선시키거나, 근 피로를 해소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오이풀 추출물이 피로 회복 기능이 있으며, 근 지구력과 같은 운동 기능을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이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운동 기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 L) 추출물을 포함하는 운동 기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이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운동 기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이용하면, 부작용이 적으면서, 운동 기능을 개선시킬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피로 회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의약 업계 또는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오이풀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체중 변화량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오이풀 추출물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운동능력을 점수화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오이풀 추출물 투여에 따른 AST, ALT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오이풀 추출물 투여에 따른 혈중 젖산, 젖산 탈수소효소 및 간 내 글리코겐의 수준을 측정한 도이다.
도 5는 오이풀 추출물 투여에 따른 근육 세포 내 PGC-1α 및 AMPK 수준을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 L) 추출물을 포함하는 운동 기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반그늘 혹은 양지의 물 빠짐이 좋은 풀숲에서 자란다. 키는 30~150cm이고, 잎은 길이 2.5~5cm, 폭 1~2.5cm로 삼각형의 톱니가 있고 타원형이다. 꽃은 적색이고 길이 1~2.5cm, 지름 0.6~0.8cm로 곧게 서며 한 개의 긴 꽃대 주위로 꽃자루가 없는 것들이 많이 달린다. 열매는 10~11월경에 맺고 사각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은 오이풀의 잎, 줄기, 열매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이풀의 뿌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 추출물은 상기 추출 대상을 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C1-C4 알코올,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 추출물은 개체에 투여시 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이풀 추출물 투여에 의해 혈중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또는 ALT(alanine aminotransferase) 수준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 추출물은 운동 기능을 개선 또는 향상시키는 것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운동 기능은 순발력, 근력, 민첩성 및 근 지구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근 지구력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 추출물은 혈중 젖산 수준 또는 조직 내 젖산 탈수소효소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바탕으로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조직은 상피 조직, 결합조직, 근육조직, 신경조직일 수 있으며, 간조직, 신장조직, 비장조직, 소화기관의 조직과 같은 기관(organ)의 조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 추출물은 근 조직 내 PGC1-alpha 또는 AMPK 발현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이풀 추출물의 투여량은 투여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투여경로 및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50㎎/㎏/일 내지 1000㎎/㎏/일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운동기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운동기능 향상 효과의 상승·보강을 위하여 이미 안전성이 검증되고 운동기능 향상 효과를 갖는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제조 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으로서 오이풀 추출물 이외에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추가 성분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및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을 포함한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린,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실험동물 준비
실험 동물은 하나바이오 (경기도 성남, 한국)로부터 C57BL/6, 8주령 모델 (수컷)을 분양 받아 (주)동남의화학연구원 동물사 (동물시설등록증: 제 412호)에서 일주일간 검역과 순화·사육을 거친 후 실험하였다. 사육 시 조명 시간은 12 시간 (07:00∼19:00)으로 설정했고, 식이와 급수는 자유 섭취 시켰다. 사료는 실험 동물용 고형 사료 (하나바이오, 경기도 성남, 한국)를 제공하고, 체중 변화는 주 2 회 측정하였다.
오이풀 추출물 제조방법
3차 증류수 1리터에 한약재 오이풀 100g을 넣어 100℃에서 1시간 끓인 후, 필터로 여과한 용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였다. 그 후 농축액을 동결 건조하여 수분을 없애고 분말을 얻었다.
통계 분석
실험 결과는 평균치와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각 군의 유의성 검정은 StatView program에서 Anova t-test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실시예 1. 실험군 설정
실험군은 정상군,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오이풀 추출물 저용량 투여군, 오이풀 추출물 고용량 투여군으로 총 5 군을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군에는 마우스를 5 마리씩 설정하였다. 정상군과 음성대조군에는 식염수(saline)를 투여하였고, 양성 대조군에는 타우린(5 mg/kg)을 투여하였으며, 오이풀 추출물 저용량 투여군은 오이풀 추출물 10 mg/kg을 투여하였고, 오이풀 추출물 고용량 투여군은 오이풀 추출물 50 mg/kg을 투여하였다. 약물은 4 주간 매일 오전 10 시에 경구투여 하였다. 정상군은 실시예 3의 트레드밀 운동실험을 실시하지 않았으며, 나머지 4개 실험군에 대해서 실시에 3의 트레드밀 운동실험이 진행되었다.
실시예 2. 오이풀 추출물 투여에 따른 체중 변화
실시예 1의 실험군을 대상으로 4주간 체중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오이풀 추출물 투여군에서 체중 증가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3. 오이풀 추출물 투여에 의한 근 지구력 변화 측정 시험
오이풀 추출물 투여가 근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트레드밀 운동 실험을 실시하였다. 트레드밀 운동 실험은 2 주간 주 1 회 적응 운동 시간을 가진 후 진행하였으며, 본 실험 2 주 동안 실시예 1의 실험군에 대하여, 해당 약물을 주 3 회씩 투여 하고, 2 시간 금식 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10 m/min 속도로 시작하여 최종 속도 25 m/min 에 도달할 때까지 매 3분 마다 3 m/min 씩 속도를 증가시켰다. 더 이상 트레드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채 10 초가 지난 경우, 탈진 상태로 간주하며 속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였다. 탈진 시기가 10 m/min, 13 m/min, 16 m/min, 19 m/min, 22 m/min, 25 m/min 에 따라 0, 1, 2, 3, 4, 5 점을 부여하였고 탈진하지 않으면 6 점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오이풀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운동 수행 능력 점수가 높게 측정되었는 바, 오이풀 추출물이 근 지구력과 같은 운동 능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오이풀 추출물 투여에 의한 간독성 시험
오이풀 추출물에 의하여 간손상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에서 트레드밀 운동실험을 종료한 실험군 마우스를 16 시간 금식 시킨 후, CO2 로 마취시켜 개복한 후 1 mL 주사기를 이용하여 복부대정맥에서 채혈하였다. 채혈한 혈액의 혈청으로부터 간독성 지표 효소인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를 생화학분석기 Cobas-c11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ST와 ALT 수치가 모든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 바, 오이풀 추출물에 의해 간손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오이풀 추출물 투여에 따른 피로 관련 물질의 변화 측정.
오이풀 추출물투여에 따라 혈중 피로 관련 물질 및 간 내 글리코겐 수준이 변화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3에서 트레드밀 운동실험을 종료한 실험군 마우스를 16 시간 금식 시킨 후, CO2 로 마취시켜 개복한 후 1 mL 주사기를 이용하여 복부대정맥에서 채혈하였으며, 간, 근육, 신장 및 비장 조직을 채취하였다. 채혈한 혈액의 혈청으로부터, 젖산(Lactate), 젖산 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enase)를 측정하였다.
젖산 농도는 상용화된 ELISA 키트(MyBioSource, MBS756195)를 사용하여 polyclonal anti LAC antibody와 LAC-HRP(Horseradish peroxidase, 발색효소)의 접합을 이용한 경쟁 효소 면역 분석 기술로 측정하였으며,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로 450nm에서 분광 광도를 측정하였다.
젖산탈수소효소의 활성은 생화학분석기 Cobas-c111를 이용하여 상용화된 키트로 측정하였다.
글리코겐의 측정을 위해, 간 조직 무게 10 배의 균질화 완충액 (12.5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7.0, 400 mM sodium chloride)을 간 조직에 넣어 균질화하고,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상용화된 ELISA 키트(MyBioSource, MBS733396)를 사용하여, polyclonal anti-GLY 항체와 GLY-HRP(Horseradish peroxidase, 발색효소)의 접합을 이용한 경쟁 효소 면역 분석 기술로 측정하였다.
상기 젖산, 젖산 탈수소효소, 글리코겐 측정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동을 시키지 않은 정상군에 비하여 트레드밀 운동 실험을 실시한 음성대조군에서는 혈중 젖산 및 젖산탈수소효소의 수준이 증가하고, 간 내 글리코겐의 양은 감소하였다. 이에 반하여, 오이풀 추출물 투여 시, 혈중 젖산 및 젖산탈수소효소의 수준이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간 내 글리코겐 수준은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오이풀 추출물이 피로 물질인 젖산과 젖산 탈수소효소는 낮추며, 간 내 글리코겐은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타우린과 비교하여, 오이풀 추출물이 현저히 적은 농도에서도 유사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오이풀 추출물 투여에 따른 근육 내 세포 에너지 대사의 변화
미토콘드리아의 수와 활성은 PGC-1α(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에 의해서 조절되며, AMPK(AMP activated protein kinase)는 세포 내 에너지 항상성 유지 역할을 하는 효소로써 운동이나 스트레스에 의해 ATP가 고갈되어 AMP/ATP 비율이 증가하는 경우 활성도가 증가하게 된다. 오이풀 추출물이 근육 내 세포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근 조직 내 PGC-1α 및 AMPK 수준을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5에서 채취한 근 조직 50mg 에 RIPA 완충액 300 μL를 넣고 4 ℃ 에서 12,000 rpm 으로 20 분 간 원심 분리하였다. Bradford 어세이 방법으로 단백질을 정량한 후, 단백질의 SDS-PAG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크기 별로 분리하였다. Semidry transfer system (Bio-Rad, USA)를 이용하여 PVDF 막에 이동시킨 후, 5% 탈지 우유(skim milk)를 함유한 차단 완충액(0.5% 탈지 우유(skim milk), 1×TBS/T 완충액)을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1×TBS/T 완충액으로 10 분, 3회 세척 후, 일차 항체인 PGC1α, p-AMPK, AMPK, GAPDH를 1:1000의 비율로 처리한 후, 4 ℃에서 밤새 반응시켜, 1×TBS/T 완충액으로 10분, 3회 세척하였다. 웨스턴 블롯 검출 키트 (Biorad, hercules, USA)을 이용하여 막과 반응시킨 후 Chemi-Doc 장비를 이용하여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 조직 내 PGC1-alpha와 AMPK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 음성 대조군(C) 대비 양성 대조군(P) 및 오이풀 추출물 고용량 투여군(H)군에서 PGC1-alpha와 AMPK의 발현이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오이풀 추출물 50 mg/kg 투여가 근육 내 세포의 에너지 대사에 도움을 주며, 이러한 기전을 바탕으로 운동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오이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운동기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고 단지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정제형 건강기능식품
옥타코사놀분말 15중량%, 유당가수분해물분말 15중량%, 분리대두단백분말 15중량%, 키토올리고당 15중량% 효모추출물분말 10중량%, 비타민미네랄혼합제재 10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4.6중량%, 이산화티타늄 0.2 중량%, 및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2중량%와 본 발명의 오이풀 추출물 20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형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한다.
제제예 2. 건강 음료
꿀 5중량%, 과당 3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중량%, 물 86.9998중량% 및 본 발명의 오이풀 추출물 5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음료를 제조한다.

Claims (6)

  1. 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 L)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의 피로 회복 및 운동 기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 추출물은 50mg/kg 내지 1000mg/kg으로 투여되는 것인, 근육의 피로 회복 및 운동 기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기능은 근 지구력인, 근육의 피로 회복 및 운동 기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 추출물은 혈중 젖산 수준 또는 조직 내 젖산 탈수소효소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인, 근육의 피로 회복 및 운동 기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은 간 조직 또는 근육 조직인, 근육의 피로 회복 및 운동 기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이풀 추출물은 근 조직 내 PGC1-alpha 또는 AMPK 발현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인, 근육의 피로 회복 및 운동 기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00022136A 2020-02-24 2020-02-24 오이풀 추출물(Sanguisorba officinalis L)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388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136A KR102388367B1 (ko) 2020-02-24 2020-02-24 오이풀 추출물(Sanguisorba officinalis L)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CT/KR2020/018805 WO2021172726A1 (ko) 2020-02-24 2020-12-21 오이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136A KR102388367B1 (ko) 2020-02-24 2020-02-24 오이풀 추출물(Sanguisorba officinalis L)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318A KR20210107318A (ko) 2021-09-01
KR102388367B1 true KR102388367B1 (ko) 2022-04-18

Family

ID=7749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136A KR102388367B1 (ko) 2020-02-24 2020-02-24 오이풀 추출물(Sanguisorba officinalis L)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8367B1 (ko)
WO (1) WO202117272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4315A (ja) * 2007-03-07 2008-09-18 Shiseido Co Ltd 筋細胞賦活化剤
JP2009256272A (ja) 2008-04-18 2009-11-05 Maruzen Pharmaceut Co Ltd Atp産生促進剤および表皮細胞賦活化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438B1 (ko) * 2014-10-17 2016-12-13 주식회사 뉴트리플랜 비타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체적 피로 개선 및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조성물
KR101737854B1 (ko) * 2015-02-23 2017-05-1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49530B1 (ko) * 2016-12-22 2022-10-04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육계, 백출, 갈근, 백작약 및 마황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947786B1 (ko) * 2017-10-16 2019-02-13 강수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101995067B1 (ko) * 2017-10-17 2019-07-01 경북대학교병원 천연 미네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너지 대사 향상을 통한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조성물
KR20190080383A (ko) * 2017-12-28 2019-07-08 김종배 렉틴이 함유된 한국산 겨우살이 발효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68471B1 (ko) * 2018-05-04 2020-01-22 대한민국 가는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4315A (ja) * 2007-03-07 2008-09-18 Shiseido Co Ltd 筋細胞賦活化剤
JP2009256272A (ja) 2008-04-18 2009-11-05 Maruzen Pharmaceut Co Ltd Atp産生促進剤および表皮細胞賦活化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2726A1 (ko) 2021-09-02
KR20210107318A (ko)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3410C (en) Purified extract isolated from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ion, allergy and asthma
CN111617231B (zh) 一种降尿酸、抗痛风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688791B (zh) 具有生物利用度提高的皂素的组合物
KR102080410B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388367B1 (ko) 오이풀 추출물(Sanguisorba officinalis L)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3928B1 (ko) 녹용 및 당귀를 포함하는 피로 개선 증진용 조성물
JP2017522372A (ja) キレノール又はシーゲスベッキアハーブ抽出物を含む筋機能改善用又は運動実行能力増強用組成物
KR101851639B1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70137366A (ko) 페닐에타노이드 배당체 함량이 증가된 육종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136361B1 (ko) 참당귀로부터 분리된 신규 생리 활성 물질, 이의 추출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US9999646B2 (en) Method of treating inflammation, allergy and asthma with a purified extract (ATC1) isolated from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containing abundant amount of active ingredient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16744B1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20130127088A (ko) 택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594107B1 (ko) 백출 및 배초향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로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진용 조성물
CN115518132B (zh) 防治高尿酸血症的中药复方组合物
KR101350217B1 (ko) 흑마늘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20130000017A (ko) 수수로부터 분리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07991B1 (ko) 비만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3603B1 (ko) 석류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53713A (ko)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07669A (ko)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04443A (ko) 차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KR20220153712A (ko) 무청 유래 다당 분획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