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129B1 -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129B1
KR102516129B1 KR1020200178785A KR20200178785A KR102516129B1 KR 102516129 B1 KR102516129 B1 KR 102516129B1 KR 1020200178785 A KR1020200178785 A KR 1020200178785A KR 20200178785 A KR20200178785 A KR 20200178785A KR 102516129 B1 KR102516129 B1 KR 102516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essential oil
skin
cell protection
inhi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8587A (ko
Inventor
장귀영
이지연
서경혜
김형돈
김동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78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1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8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용식물 종자로부터 추출된 에센셜 오일의 피부세포와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용식물 종자로부터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을 추출하였으며, 식용가능한 약용식물의 종자 정유는 피부세포와 신경세포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으며,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및 약학적 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A Cell protection composition comprising essential oil from fruits of medicinal plants}
본 발명은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용식물 종자로부터 추출된 에센셜 오일의 피부세포와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내인성 노화와 외부의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외인성 노화로 분류할 수 있다.
내인성 노화는 유전적 요인과 세포대사 불균형으로 발생하며, 외인성 노화는 주로 자외선 자극과 같은 외부적 자극에 의해 발생한다.
자외선에 노출되어 피부가 자극받게 되면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발생하는데, 활성산소 종은 피부의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을 유도하여 피부 노화를 촉진시킨다.
산화 스트레스로 인해 피부노화가 촉진되면 DNA 손상을 야기하며, 이러한 손상이 회복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면 세포사멸이 유도되어 피부의 상피 구조를 파괴시키고 피부 질환을 일으킨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항산화제는 부티레이트 하이드록시톨루엔 (butylated hydroxytoluene, BHT)이 있지만, 최근 동물실험에서 기형 발생 또는 암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BHT를 사용함에 있어서 문제되고 있다.
따라서,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 노화 및 피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항산화 물질로서, 부작용이 개선되어 인체에 흡수되어도 안전하며,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항산화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피부세포와 신경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쳔연물질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약용식물 종자 유래의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에센셜 오일의 피부세포와 신경세포에서의 보호효과 및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237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325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6878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이 신경세포와 피부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로서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의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할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약용식물 열매 정유는 율무, 산수유, 월견자, 오미자 또는 면화자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용식물 열매 정유는 물,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n-헥산, 염산, 초산, 포름산, 디에틸에테르 및 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 보호용은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 보호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세포에서 UVB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에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에 대한 제거능을 갖는다.
또한, 약용식물 열매 정유는 식용 가능한 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약용식물 열매 정유는 조성물 총량에 1 ~ 500 ㎍ / mL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또한, 본 발명에서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약학적 조성물은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일 수 있다.
또한,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식용가능한 약용식물의 종자 정유는 피부세포와 신경세포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으며,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및 약학적 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본 발명의 효과들은 후술할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피부세포에서 UVB 자극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피부세포에서 UVB 자극에 대한 ROS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신경세포에서 H2O2 자극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신경세포에서 H2O2 자극에 대한 ROS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신경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용식물 종자로부터 추출된 에센셜 오일의 피부세포와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피부세포와 신경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쳔연물질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약용식물 종자로부터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에센셜 오일의 피부세포와 신경세포에서의 보호효과 및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약용식물은 식용가능한 식물로서 율무, 산수유, 월견자, 오미자 또는 면화자의 종자 또는 열매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월견자 종자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월견자는 달맞이꽃 (Oenothera biennis)의 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바늘꽃과의 2년생초본으로 야래향 또는 월하향으로도 불리며, 우리 나라 전국 각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월견초라고 하여 감기로 열이 높고 인후염이 있을 때 물에 넣고 달여서 복용하고, 종자인 월견자는 고지혈증에 사용한다.
율무 (Job’s Tears)는 벼과의 1년생 초본식물로서, 율무속(Coix) 식물은 전 세계에 약 10종이 있으며 주로 아시아의 열대에 분포한다. 의이인이란 약명으로 본초서적에 많이 기재되었으며, 대한민국약전에 따르면 의이인을 “율무(Coix lacryma-jobi Linne var. ma-yuen Stapf, 벼과)의 잘 익은 씨로서 씨껍질을 제거한 것”으로 등재하고 있다. 글레세라이드 성분과 다당을 율무의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건조 시료 중에 트리올레일글리세롤의 함량이 0.50%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효과로서 율무는 항종양, 인체면역력 제고, 진통, 해열, 항염, 항혈당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수유 (Cornus officinalis)는 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인 산수유나무의 열매이다. 타원형의 핵과로서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8~10월에 붉게 익는다. 종자는 긴 타원형이며, 능선이 있다. 약간의 단맛과 함께 떫고 강한 신맛이 난다. 10월 중순의 상강 이후에 수확하는데, 육질과 씨앗을 분리하여 육질은 술과 차 및 한약의 재료로 사용한다. 과육에는 코르닌(cornin), 모로니사이드(Morroniside), 로가닌(Loganin), 타닌(tannin), 사포닌(Saponin) 등의 배당체와 포도주산·사과산·주석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고, 그밖에 비타민 A와 다량의 당도 포함되어 있다. 종자에는 팔미틴산, 올레인산, 리놀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성분 중 코르닌은 부교감신경의 흥분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는 습기가 적당하고 비옥한 골짜기에 무리를 지어 분포하는데, 8~9월이 되면 마치 포도송이처럼 빨간 열매가 알알이 박혀 속에는 씨앗이 한두 개씩 들어 있다. 이 열매가 오미자라 하여 단맛, 신맛, 매운맛, 쓴맛, 짠맛의 다섯 가지 맛을 내며 그중 신맛이 가장 강하다. 오미자는 여러 종류의 약리적 작용을 하는 물질이 들어 있어서 천식 치료에 효능이 탁월하고, 강장제로 이용되며, 눈을 밝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장을 따뜻하게 해 준다.
면화자는 목화씨(Gossypium hirsutum L. ) 의 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목화씨는 주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지방산을 함유한다. 유럽약전 및 영국약전은 의약 물질의 품질관리를 위해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시험할 때 14보다 짧은 탄소사슬을 갖는 경화면실유에서 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0.20% 이하, 미리스트산의 함량은 1.0% 이하, 팔미트산, 스테아르산의 함량은 68~80%, 올레인산 및 이성질체의 함량은 4.0% 이하, 리놀레산 및 이성질체의 함량은 1.0% 이하, 아라키돈산의 함량은 1.0% 이하, 베헨산의 함량은 1.0% 이하, 리그노세르산의 함량은 0.50% 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씨에는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항균제, 항종양 및 항우울제 효과가 있다. 민간요법에 따르면 경화면실유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비타민 E를 보충한다. 한의학에서 면화자는 신장을 따뜻하게 하고 유선을 뚫어주며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출혈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약용식물의 종자를 이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건조 후 분쇄한 분말을 이용하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추출물 또는 정유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약용식물 열매 정제된 정유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정유(精油)"란 식물 (식물의 잎, 줄기, 열매, 꽃, 뿌리 등)로부터 추출 분리한 방향유(휘발성 물질)을 통칭하는 용어로서, 추출물, 추출법,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천연물 유래 정유는 추출법에 따라 에센셜오일(essential oil), 앱솔루트(absolute), 콘크리트(concrete) 등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약용식물 열매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약용식물 열매의 정유는 약용식물 열매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줄기, 잎, 종자 뿐만 아니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종자에서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약용식물 열매의 정유를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벌,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냉침 추출법등 정유를 수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용식물 열매의 정유를 추출하는 데에 사용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 제한적인 예로는 물,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n-헥산, 염산, 초산, 포름산, 디에틸에테르 및 사이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며,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용식물 열매의 추출 용매로 바람직하게는 순수한 정유의 추출을 위하여 헥산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료 이용하기 위한 약용식물 열매 정유는 조성물 중 0.001 ㎍/mL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500 ㎍/mL,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5 내지 200 ㎍ / mL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 모두의 효과를 가지는 점에서 좋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약용식물 열매 정유의 화장품학적 유효량 (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화장품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본 발명의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에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에 대한 제거능을 통하여 조성물의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 보호를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화장료 조성물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 (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 (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또는 자외선 B로부터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를 보호 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색조화장품, 선크림, 투웨이케이크,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메이크업베이스, 스킨커버, 아이쉐도우, 립스틱, 립글로스, 립픽스, 아이브로우 펜슬, 화장수 등의 화장품 및 샴푸, 비누 등의 세정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약용식물 영매 정유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 (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약용식물 열매 정유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하여 세포생존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존재하고 있어, 신경기능의 퇴화로 인한 퇴행성 뇌질환에 대하여 신경세포 보호 및 치료효과를 가질 수 있고, 인지능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는 유익하거나 바람직한 임상 결과를 얻기 위한 접근법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유익하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결과를 감지 가능하거나 가능하지 않거나를 불문하고, 또한 부분적이든 전체적이든 상관없이 증상의 완화, 질환 정도의 감소, 질환의 안정화된(즉, 더 나빠지지 않는) 상태, 질환 진행의 지연 또는 속도감소, 질환 상태의 개선 또는 일시적 완화 및 경감을 포함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여 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치료법적 치료 및 예방적인 차원의 것들 모두를 가리키며, 치료할 필요가 있는 것들은 이미 질환을 가지고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질환이 예방되어야 할 상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 보호에 효과가 있어 퇴행성 신경질환에 대한 치료 또는 개선에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퇴행성 뇌질환 또는 퇴행성 신경질환으로서 알츠하이머병(Alzheimer disease), 픽병(Pick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및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단독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외 제형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된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경우, 통상의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비경구, 경구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 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약학 조성물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 즉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인 치료상 유효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1,000㎎/㎏/day, 바람직하게는 1~200㎎/㎏/day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경세포 보호용 또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정유를, 0.0001 mg/kg 내지 1000 mg/kg으로,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0.01 mg/kg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 보호효과를 통한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약용식물 열매 정유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신경세포 보호에 효과가 있어 퇴행성 뇌질환 또는 퇴행성 신경질환에 대한 개선 또는 예방을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퇴행성 뇌질환 또는 퇴행성 신경질환으로서 알츠하이머병(Alzheimer disease), 픽병(Pick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및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인 약용식물 열매 정유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약용식물 열매 정유는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9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복용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9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화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약용식물 열매 정유는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조절을 목적으로 하여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0.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 비율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용식물 열매 정유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이나 식품 조성물의 경우와 동일하게 준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용식물 열매 정유는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에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에 대한 제거능을 통하여 세포 보호 효과가 나타내므로 동물이나 가축의 성장 촉진 또는 질병 발생 예방 및 개선을 위하여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사료로 제조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농후사료, 조사료 또는 특수사료가 포함될 수 있다.
농후사료에는 밀, 귀리, 옥수수 등의 곡류를 포함하는 종자 열매류, 곡물을 정제하고 얻는 부산물로서 쌀겨, 밀기울, 보릿겨 등을 포함하는 겨류, 콩, 유체, 깨, 아마인, 코코야자 등을 채유하고 얻는 부산물인 깻묵류와 고구마, 감자 등에서 녹말을 뺀 나머지인 녹말찌꺼기의 주성분인 잔존녹말질류 등의 찌꺼기류, 어분, 물고기찌꺼기, 어류에서 얻은 신선한 액상물(液狀物)을 농축시킨 것인 피시솔루블(fish soluble), 육분(肉粉), 혈분, 우모분, 탈지분유, 우유에서 치즈, 탈지유에서 카제인을 제조할 때의 잔액인 훼이(whey)를 건조한 건조훼이 등의 동물질사료, 효모, 클로렐라, 해조류 등이 있다.
조사료에는 야초, 목초, 풋베기 등의 생초(生草)사료, 사료용 순무, 사료용 비트, 순무의 일종인 루터베어거 등의 뿌리채소류, 생초, 풋베기작물, 곡실(穀實) 등을 사일로에 채워 놓고 젖산발효시킨 저장사료인 사일리지(silage), 야초, 목초를 베어 건조시킨 건초, 종축용(種畜用) 작물의 짚, 콩과 식물의 나뭇잎 등이 있다.
특수사료에는 패각, 암염 등의 미네랄 사료, 요소나 그 유도체인 디우레이드이소부탄 등의 요소사료, 천연사료 원료만을 배합했을 때 부족하기 쉬운 성분을 보충하거나, 사료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서 배합사료에 미량으로 첨가하는 물질인 사료첨가물, 식이보조제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다양한 사료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 첨가제" 란 영양소 보충 및 체중감소 예방, 사료 내 섬유소의 소화 이용성 증진, 유질개선, 번식장애 예방 및 수태율 향상,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예방 등 다양한 효과를 목적으로 사료에 첨가하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하며, 탄산수소나트륨(중조), 벤토나이트 (bentonite), 산화마그네슘, 복합광물질 등의 광물질제제, 아연, 구리, 코발트, 셀레늄 등의 미량 광물질인 미네랄제제, 케로틴, 비타민 E, 비타민 A, D, E, 니코틴산, 비타민 B 복합체 등의 비타민제, 메티오닌, 리이산 등의 보호아미노산제, 지방산 칼슘염 등의 보호지방산제, 생균제(유산균제), 효모배양물, 곰팡이 발효물 등의 생균, 효모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에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에 대한 제거능을 통하여 세포 보호 효과가 있으므로 동물이나 가축의 성장 촉진 또는 질병 발생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기 개체는 동물, 예를 들어 비-영장류 (예를 들면, 소, 돼지, 말, 고양이, 개, 래트 및 마우스) 및 영장류 (예를 들면, 원숭이, 예를 들어 사이노몰구스 (cynomolgous) 원숭이 및 침팬지)를 비롯한 포유동물을 나타낸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개체는 축산용 동물 (예를 들면, 말, 소, 돼지 등) 또는 애완용 동물 (예를 들면, 개 또는 고양이)이다. 또한, 어류, 예를 들어, 넙치, 가자미, 뱀장어, 민물장어, 바다장어, 우럭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의 급여량은 동물의 종(species), 크기(size), 무게(weight), 나이(age)와 같은 다수의 요인들에 좌우될 것이다. 원칙적으로, 전형적인 급여량은 개체/일 당 0.001 내지 1,000 mg/kg의 범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용가능한 약용식물의 종자 정유는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에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으며,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및 약학적 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실시예 1>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제조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약용식물 종자로 판매되고 있는 율무, 산수유, 월견자, 오미자 및 면화자 종자를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약용식물 종자는 식용이 가능한 원료로 사용하였다.
율무, 산수유, 월견자, 오미자 및 면화자 종자는 각각 헥산에 침지시켜 정유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헥산 추출물을 감압농축을 통해 헥산을 완전히 제거하여 각각의 종자 정유를 수득하였다. 이후, 수득된 정유를 이용하여 피부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 HDF)와 신경세포 (PC12)에서의 보호효과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2> 자외선 조사 및 H 2 O 2 에 대한 보호효과 평가
2.1 정유의 UVB 자극에 대한 세포생존율 및 ROS 제거 효과
HDF 피부세포를 96-well plate에 1.0 × 104 cells/well씩 분주하고 24 시간 배양한 후, FBS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 및 정유로 24 시간 처리하였다. 처리한 정유의 농도는 12.5, 25, 50, 100, 200 μg/mL 이었으며, 24 시간 후에 배지를 제거하고 PBS를 이용하여 세포를 헹구어 준 다음, 100 μL의 PBS 를 well에 분주 후 UVB를 250 mJ/cm2 (30s 동안)로 조사하였다. UVB 조사시 UVB lamp(Sankyo denki Lamps, GL20SE, Marine, Japan)를 사용하였고, 광원의 강도는 UV LIGHT METER(LT Lutron, UV-340A, Taiw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UVB 조사 후, 남아 있는 PBS를 제거한 후, 새로운 PBS로 한 번 더 세포를 헹구어 준 뒤, FBS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 및 정유를 12.5, 25, 50, 100, 200 μg/mL의 농도로 24 시간 처리하였다. 이후에 MTT solution(1 mg/mL)을 넣고 37 ℃, 5 %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으며, 4 시간 후에 MTT solution을 제거하고 생성된 formazan crystal을 DMSO에 녹여 microplate reader(Bio Tek, Inc., Winooski, VT, USA)로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ROS 측정은 DCFDA(dihydrochlorofluoresein-diacetate)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최적 용적 250 μL의 조직균질액에 최종농도의 25 μM DCFDA용액을 넣어 발생되는 형광의 분당 변화를 여기파장 500nm 및 방출파장 536nm로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Synergy HT, BIO-TEK, USA)로 측정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피부세포에서 UVB 자극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CL은 율무를 의미하고, CO는 산수유를 의미하고, OB는 월견자를 의미하고, SC오미자는 오미자를 의미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세포에서 UVB 자극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면화자를 제외하고 율무, 산수유, 월견자 및 오미자에서 높은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피부세포에서 UVB 자극에 대한 ROS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CL는 율무, CO는 산수유, OB는 월견자, SC는 오미자를 의미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면화자를 제외하고 율무, 산수유, 월견자, 오미자는 UVB 자극에 의해 생성된 ROS 제거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우수한 제거효과를 보였다.
2.2 정유의 H 2 O 2 자극에 대한 세포생존율 및 ROS 제거 효과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생존율 및 ROS 제거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PC12 신경세포를 25mM HEPES, 25 mM 탄산수소소듐, 10% 소태아혈청, 50 units/mL 페니실린 및 100 mg/mL 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RPMI 1640 배지에 접종하여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정유를 12.5, 25, 50, 100, 200 μg/mL의 농도로 과산화수소와 함께 24 시간 처리하였다. 이후에 MTT solution(1 mg/mL)을 넣고 37 ℃, 5 %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으며, 4 시간 후에 MTT solution을 제거하고 생성된 formazan crystal을 DMSO에 녹여 microplate reader(Bio Tek, Inc., Winooski, VT, USA)로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PC12 신경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 생성량은 DCF-DA (dihydrochlorofluoresein-diacetate)를 이용한 측정방법으로 수행하였다. PC12 신경세포를 1.0×104 cells/well로 분주하였고, 정유를 12.5, 25, 50, 100, 200 μg/mL 농도로 PC12 신경세포에 처리하였다. 24시간 방치 후, 200 μM 과산화수소를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50 μM DCF-DA를 넣어 50분간 배양하여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Synergy HT, BIO-TEK, USA)로 485 nm 과 535 nm에서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신경세포에서 H2O2 자극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G.H는 면화자, C.L은 율무를 의미하고, O.B는 월견자를 의미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경세포에서 H2O2 자극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산수유, 오미자를 제외하고 면화자, 율무, 월견자에서 높은 신경세포의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신경세포에서 H2O2 자극에 대한 ROS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G.H는 면화자, C.L은 율무를 의미하고, O.B는 월견자를 의미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H2O2 자극에 의해 생성된 ROS 제거에서는 면화자와 월견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우수한 제거효과를 나타내었다.
2.3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신경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PC12 신경세포에 제조된 정유를 12.5, 25, 50, 100, 200 ㎍/ml 농도로 3일 간 처리한 후 dojinodo 사의 cell counting kit-8(CCK-8) 시약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약용식물 종자 정유의 신경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G.H는 면화자, C.L은 율무를 의미하고, O.B는 월견자를 의미한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면화자, 율무, 월견자에서 세포독성은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월견자의 경우 특정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율무, 월견자 및 면화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약용식물의 열매 헥산 추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세포 보호는,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는 것이며,
    상기 세포 보호는, 피부세포에서 UVB로 유도된 세포 사멸을 억제하고, 신경 세포에서 산화 스트레스로 유도된 세포 사멸을 억제시키는 것이며,
    상기 세포 보호는,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에서 ROS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인, 세포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는 식용 가능한 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는 조성물 총량에 1 ~ 500 ㎍ / mL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11. 율무, 월견자 및 면화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약용식물의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피부 보호는 피부세포에서 UVB로 유도된 세포 사멸을 억제하고, 피부세포에서 ROS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인, 조성물.
  12. 율무, 월견자 및 면화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약용식물의 열매 헥산 추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세포 보호는,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는 것이며,
    상기 세포 보호는, 피부세포에서 UVB로 유도된 세포 사멸을 억제하고, 신경 세포에서 산화 스트레스로 유도된 세포 사멸을 억제시키는 것이며,
    상기 세포 보호는,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에서 ROS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인, 조성물.
  13. 율무, 월견자 및 면화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약용식물의 열매 헥산 추출 정유를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사료 조성물로서,
    상기 세포 보호는,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는 것이며,
    상기 세포 보호는, 피부세포에서 UVB로 유도된 세포 사멸을 억제하고, 신경 세포에서 산화 스트레스로 유도된 세포 사멸을 억제시키는 것이며,
    상기 세포 보호는,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에서 ROS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인, 조성물.
  14. 삭제
  15. 율무, 월견자 및 면화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약용식물의 열매 헥산 추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피부외용제로서,
    상기 세포 보호는,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는 것이며,
    상기 세포 보호는, 피부세포에서 UVB로 유도된 세포 사멸을 억제하고, 신경 세포에서 산화 스트레스로 유도된 세포 사멸을 억제시키는 것이며,
    상기 세포 보호는, 피부세포 및 신경세포에서 ROS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인, 피부외용제.
  16. 시험관 내(in vitro)에서, UVB로 세포사멸이 유도된 피부세포에, 율무, 월견자 및 면화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약용식물의 열매 헥산 추출 정유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세포 사멸 및 ROS 생성 억제 방법.
  17. 시험관 내(in vitro)에서, 산화스트레스로 세포사멸이 유도된 신경세포에, 율무, 월견자 및 면화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약용식물의 열매 헥산 추출 정유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세포 사멸 및 ROS 생성 억제 방법.
KR1020200178785A 2020-12-18 2020-12-18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2516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785A KR102516129B1 (ko) 2020-12-18 2020-12-18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785A KR102516129B1 (ko) 2020-12-18 2020-12-18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587A KR20220088587A (ko) 2022-06-28
KR102516129B1 true KR102516129B1 (ko) 2023-04-05

Family

ID=8226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785A KR102516129B1 (ko) 2020-12-18 2020-12-18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1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346A (ko) * 2002-03-11 2003-09-19 유앤아이화장품(주) 피부노화억제효과를 갖는 산수유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90943B1 (ko) 2004-10-12 2012-10-12 애경산업(주)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화장료조성물
KR101317042B1 (ko) * 2011-10-26 2013-10-15 (주) 피러스 잣나무 에센셜 오일을 첨가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축용 사료
KR102212633B1 (ko) * 2013-11-29 2021-02-08 (주)아모레퍼시픽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FR3028764B1 (fr) * 2014-11-26 2016-12-09 Expanscience Lab Extrait peptidique et osidique de fruit de schizandra et amelioration de la reponse du systeme neurosensoriel cutane
KR20180103256A (ko) 2017-03-09 2018-09-19 송석주 달맞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조성물
KR20200068780A (ko) 2018-12-05 2020-06-16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20200114623A (ko) * 2019-03-29 2020-10-07 한국식품연구원 오미자 초임계 유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196158B1 (ko) * 2019-04-01 2020-12-29 박신호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587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10902B1 (ko)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미백, 주름개선,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101989407B1 (ko)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200063855A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1712608B1 (ko) α-테르피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Sinicropi et al. Opuntia ficus indica (L.) mill. An ancient plant source of nutraceuticals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20200140749A (ko) 꾸지뽕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721022B1 (ko) 아디프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및 피부탄력증진용 조성물
JP2023118853A (ja) 抗老化用組成物、抗老化用皮膚化粧料および抗老化用飲食品
KR102516129B1 (ko)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2212343B1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조성물
JP2011126824A (ja) 脂肪蓄積抑制剤
KR20200083146A (ko) 팔각회향 또는 시킴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975426B1 (ko)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알러지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2352636B1 (ko)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시킴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633488B1 (ko)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582255B1 (ko) 목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2174B1 (ko) 루비에스 사과 껍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US20220088106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e as effective component for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muscular diseases, or improving muscule functions
KR102660555B1 (ko) 와송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60553B1 (ko) 와송 폴리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조성물
KR10215741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hanpara et al. A review on medicinal activities of mulberry weed
KR20240007869A (ko) 금은화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