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633B1 -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633B1
KR102212633B1 KR1020130146864A KR20130146864A KR102212633B1 KR 102212633 B1 KR102212633 B1 KR 102212633B1 KR 1020130146864 A KR1020130146864 A KR 1020130146864A KR 20130146864 A KR20130146864 A KR 20130146864A KR 102212633 B1 KR102212633 B1 KR 102212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tress
cosmetic composition
cardamom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328A (ko
Inventor
전병배
김세현
김수나
박원석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146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6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탈모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다몬 오일 및 서양측백나무엽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고 장기간 사용시 부작용이 없으며,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의해서 야기되는 두피 염증을 억제하고, 스트레스로부터 모발세포를 보호하여 탈모를 방지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ssential oil for preventing stress alopecia}
본 발명은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탈모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다몬 오일 및 서양측백나무엽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고 장기간 사용시 부작용이 없으며,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의해서 야기되는 두피 염증을 억제하고, 스트레스로부터 모발세포를 보호하여 탈모를 방지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스란 여러 가지 형태의 불쾌감이나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학문적으로는 “한랭, 외상, 질병, 정신적 긴장 등의 원인으로 체내에서 일어나는 방어 반응”으로 정의할 수 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인체에서 여러가지 반응이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동공은 확산되고, 침분비가 억제되어 입이 마르며, 피부색이 창백해진다. 또한, 호흡이 빨라지고, 혈압이 상승하게 된다.
특히 시상하부에서 분비된 스트레스 호르몬이 피부 면역세포인 비만세포(mast cell) 호르몬 수용체와 결합하여 비만세포를 활성화 시키면 모낭의 면역 균형이 깨져 피부와 모낭 손상이 일어나 탈모가 유발된다.
스트레스와 관련된 아로마 요법에 대한 연구에서, 에센셜 오일의 흡입 방법에 따라 작업 환경에서 스트레스 감소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그 밖에도 최근 향기가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이 과학적으로 증명되기 시작했다. 특히, 에센셜 오일의 향기 물질은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율신경의 균형성을 유지시켜 탈모나 질병의 예방은 물론이고, 몸의 부조화를 다스리는 면역기능이 더욱 강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Julie L. Davidson, "Aromatherapy & work-related stress", The International J. of Aromatherapy, 12(3), 145-151, 2002
본 발명자들은 에센셜 오일을 이용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고 장기간 사용시 부작용이 없으며,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의해서 야기되는 두피 염증을 억제하고, 스트레스로부터 모발세포를 보호하여 탈모를 방지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레스에 의해서 야기되는 두피 염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트레스로부터 모발세포을 보호하여 탈모를 방지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다몬 오일 및 서양측백나무엽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트레스성 탈모방지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식물 유래의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므로 피부에 자극이 없고, 인체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의해서 야기되는 두피 염증의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스트레스로부터 모낭 세포를 보호하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두피 및 피부에 적용될 수 있는 화장료로 제형화가 가능하므로, 다양한 화장품 또는 의약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스트레스에 의한 비만세포의 탈과립 반응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스트레스에 의한 모유두 세포의 증식억제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탈모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카다몬 오일 및 서양측백나무엽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이 모발세포를 보호하여 탈모를 방지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다몬 오일은 카다몬(Elettaria cardamomum)의 과실로부터 유래하는 것으로 소두구라고도 불려지며, 잘 익은 과실을 수증기 증류하여 얻는다. 카다몬의 과피는 무미 무취지만, 종자는 상쾌한 향기를 띄워 맛은 맵고 약간 쓰다. 카다몬은 황색의 과각으로 덮이고, 원형 또는 장원형으로 1~2cm의 뾰족한 끝을 갖는다. 종자는 회갈색~흑갈색으로 길이 3~4mm이다. 카다몬은 소스, 카레가루, 피클, 빵, 케이크 등에 쓰이고, 건위제, 소화 촉진, 감기 치료, 신경 질환, 폐질환, 통증 완화 등에 약용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서양측백나무엽(Thuja occidentalis) 오일은 측백나무의 잎과 가지를 수증기 증류하여 얻는다. 측백나무는 높이 25m, 지름 1m에 달하지만 관목상이며 작은 가지가 수직으로 벌어진다. 비늘 모양의 잎이 뾰족하고 가지를 가운데 두고 서로 어긋나게 달린다. 측백엽은 혈열을 내려 코피, 토혈, 변혈, 소변출혈, 자궁출혈을 막는데 효과가 있으며, 천식, 가래, 탈모, 지루성피부염, 외상출혈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다몬 오일 또는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은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중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사용할 경우, 누적 사용시 유의미한 효능이 있으며, 피부 자극이 없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다몬 오일과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은 중량비로 1:1의 함량비로 조성물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의해서 야기되는 두피 염증 억제 효능 및 스트레스로부터 모낭 세포의 보호 효능이 인정된다. 또 천연 유래의 에센셜 오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므로 인체에 안전하고 피부에 자극이 없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모발 또는 두피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도를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색소, 방부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향 등을 적정량으로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발 또는 두피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세정제 조성물일 수 있으며,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토닉,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로션, 헤어크림, 모발 영양화장수 또는 일반 연고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시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카다몬 오일의 제조
카다몬(Elettaria cardamomum)의 과실을 따서 음지에서 3일간 말린 후에 약 1kg을 증류통에 넣고 밀봉한 다음 2시간 동안 증기를 불어 넣어 약 25g의 오일을 제조했다.
[ 제조예 2]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의 제조
서양측백나무엽(Thuja occidentalis)의 잎과 가지 1kg을 증류통에 넣고 3시간 동안 수증기 증류하여 약 15g의 오일을 얻었다.
[ 시험예 1] 세포 배양 조건
면역세포인 비만세포(mast cell) 세포주 RBL-2H3를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10%, 페니실린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0mg/ml을 첨가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모낭을 구성하며 모발을 생성하는 인체 모유두 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hDPC)는 DMEM 배지에 우태혈청 20%, 페니실린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 100mg/ml을 첨가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 시험예 2] 스트레스성 염증반응 억제 in vitro 평가
에센셜 오일의 스트레스성 염증반응 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비만세포를 이용한 염증반응 유도와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96웰(well) 배양 플레이트에 비만세포를 웰당 5x104개 접종하여 하루 동안 부착시켰다. 이 때 배양배지는 DMEM에 우태혈청 10%, 페니실린(penicillin)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 100mg/ml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하루 뒤 스트레스성 염증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신경말단에서 분비되는 신경펩타이드인 물질 P(Substance P) 10uM을 처리하였고, 이때 배지는 DMEM(phenol red free)에 페니실린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 100mg/ml을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카다몬 오일 또는 서양측백나무엽 오일 각각의 염증반응 억제 효능을 보기 위한 시험군에는 추가적으로 천연향료 2ppm, 5ppm 두 농도로 처리하였고, 상승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카다몬 오일과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을 동시에 처리해보았다. 세포 내 약물 흡수와 염증반응을 위해 하루 동안 처리한 뒤 염증반응 평가법 중 하나인 비만세포 탈과립 반응 분석(β-hexosaminidase assay)을 실시하였다.
비만세포 탈과립 반응을 위해 탈과립 활성제로 칼슘이온 운반체(A23187 1uM + PMA 40nM)를 세포에 추가로 처리하였다. 2시간 뒤 세포를 반응시키고 있는 96웰 배양 플레이트로부터 세포 배양 및 반응 산물을 50ul씩 덜어내어 새로운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여기에 탈과립 산물의 발색반응에 필요한 기질 버퍼(substrate buffer, 1mM p-nitrophenyl-N-acetyl-b-D-glucosaminide in 0.1M sodium citrate, pH4.5) 50ul를 첨가하여 37℃ 에서 1시간 반응하였다. 이후 정지 버퍼(stop buffer, 0.1M Na2CO3, NaHCO3, pH 10) 150u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 발색을 유도하였다.
비만세포의 탈과립 산물은 반응 결과 노랗게 발색되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에서 410nm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후 분석은 스트레스 신경 펩타이드(Substance P) 처리군의 반응 결과값을 100%로 하였을 때 카다몬 오일,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에 의한 염증반응의 억제값으로 표현하였고,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살펴보면, 스트레스 처리군에서 비만세포의 탈과립 반응이 일어나지만, 카다몬 오일 또는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을 처리한 경우는 비만세포 탈과립 반응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카다몬 오일과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을 각각 처리한 경우보다, 카다몬 오일 및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에 상승효과에 의해 비만세포 탈과립 반응이 더욱 우수하게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3] 스트레스로부터 모유두 세포 보호 in vitro 평가
에센셜 오일의 스트레스로부터 모유두 세포 보호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 모유두 세포의 증식 억제 정도를 실험하였다. 인체 모유두 세포를 웰당 2x103 개씩 96웰 배양 플레이트에 접종한 뒤 하루 동안 배양 플레이트 바닥에 부착시켰다. 이때 배양 배지는 DMEM 배지에 우태혈청 20%, 페니실린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 100mg/ml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하루 뒤 카다몬 오일,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을 5ppm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였고, 상승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카다몬 오일과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을 동시에 처리해보았다. 이때 배지는 DMEM 배지에 페니실린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 100mg/ml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약물 처리 1일 뒤 인체 모유두 세포에 스트레스 환경을 주기 위해 시험예 2에서 제조한 비만세포 반응액(비만세포에 Substance P, A23187 + PMA 처리한 뒤의 배양액)을 최종 25%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이틀 동안(48시간) 반응시켰다.
모유두 세포의 증식능을 평가하기 위해 WST-1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포를 반응시킨 96웰 배양 플레이트에 WST-1 용액을 10ul 첨가한 뒤 37℃에서 1시간 반응하였다. 이후 배양 배지 색이 붉은색에서 오렌지색으로 변화하였고, 모유두 세포의 증식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분광 광도계에서 490nm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후 분석은 스트레스 신경 펩타이드(Substance P) 를 처리하지 않은 비만세포 반응액 처리군(대조군) 결과값을 100%로 하였고,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살펴보면, 스트레스 처리군에서 모유두 세포 증식이 억제되지만, 카다몬 오일 또는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을 처리한 경우는 스트레스 반응으로 인한 모유두 세포 증식 억제 반응을 저해하여 세포 증식이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카다몬 오일과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을 각각 처리한 경우보다, 카다몬 오일 및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에 상승효과에 의해 모유두 세포 증식 억제 반응이 더욱 효과적으로 저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두피 에센스의 제조
상기 제조예 1~2의 오일을 사용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두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조예 1~2의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s) / POE(60)(Emalex HC-60, Nihon Emulsion Co.,Ltd.), 살리실릭산(Salicylic acid) 0.2%, 에탄올(Ethanol) 10%, 증류수,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제조사 Aristoflex),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PE)를 사용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0.5 0.5 0.5 0.5
제조예 1 0.2 - 0.1 -
제조예 2 - 0.2 0.1 -
살리실릭산 0.2 0.2 0.2 0.2
에탄올 10 10 10 10
증류수 88.3 88.3 88.3 88.3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5 0.5 0.5 0.5
페녹시에탄올 0.3 0.3 0.3 0.3
[ 시험예 4] 피부 자극 시험
본 발명의 사용시 피부 자극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두피 에센스를 20~30대 남녀 40명으로 이루어진 평가단을 대상으로 등 피부를 씻은 후에 물기를 닦아내고, 항온항습실(온도 24 ± 4℃, 상대습도 40~45%)에서 15분간 대기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3에 따른 에센셜 오일을 0.20% 함유한 두피에센스 및 비교예 1의 두피에센스를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의 동일한 양으로 각각 취하여 탈지면에 충분히 도포하여 등 피부의 위치 중 정해서 부착하였다. 시험물질을 부착한 후 24시간과 48시간 때에 피험자가 자극의 정도를 0점에서 4점(0= 자극 없음, 1= 아주 약함, 2 = 약함, 3 = 중간, 4 = 심함)까지로 표시하며(총 2회 측정) 따가움, 화끈거림 등 자극감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각 시간대별로 상기 평가점수에 따른 자극을 호소한 피험자의 숫자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명 시험 농도
(에센셜오일)
24hr 48hr 반응인원 판정
1 2 3 4 1 2 3 4 (n=37)
실시예 1 0.20% 1 - - - 0 - - - 1 자극없음
실시예 2 0.20% 1 - - - 0 - - - 1 자극없음
실시예 3 0.20% 1 - - - 0 - - - 1 자극없음
비교예 1 - 0 - - - 1 - - - 1 자극없음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실시예 1~3는 천연향료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피부자극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카다몬 오일 및 서양측백나무엽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 없이, 스트레스성 두피 염증을 억제하며, 모낭 세포의 보호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카다몬 오일 및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카다몬 오일과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은 1: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다몬 오일 또는 서양측백나무엽 오일은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두피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낭세포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46864A 2013-11-29 2013-11-29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2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864A KR102212633B1 (ko) 2013-11-29 2013-11-29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864A KR102212633B1 (ko) 2013-11-29 2013-11-29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328A KR20150062328A (ko) 2015-06-08
KR102212633B1 true KR102212633B1 (ko) 2021-02-08

Family

ID=5350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864A KR102212633B1 (ko) 2013-11-29 2013-11-29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2781B (zh) * 2017-11-22 2020-08-28 上海中医药大学 豆蔻明在制备防治脱发的药物中的应用
CN108014034B (zh) * 2018-01-11 2020-11-20 广东博然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以天然植物提取物为活性成分的防晒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2516129B1 (ko) * 2020-12-18 2023-04-05 대한민국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240062694A (ko) 2022-11-02 2024-05-09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반송, 소나무 및 측백나무 혼합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59848T3 (es) * 2008-06-09 2024-02-28 Otsuka Pharma Co Ltd Composición para uso extern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328A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633B1 (ko)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Edy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ydrogel containing Tagetes erecta L. Leaves etanolic extract
JP7206216B2 (ja) 酒さを処置するためのポンガミア油と4-t-ブチルシクロヘキサノールの組合せを含んでなる化粧用組成物
CN110302121B (zh) 一种蕴含植物精华的婴儿护臀膏及其制备方法
US20040101577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acne vulgaris and fabrication method
KR102017619B1 (ko)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CN109833431A (zh) 一种抑菌凝胶及其制备方法
KR20110085371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1574B1 (ko) 윈터체리뿌리, 산뽕나무 및 보이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 장애 개선 또는 숙면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4984B1 (ko) 피부 혈류 개선 효과를 위한 피부 도포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25740A (ko) 항균용 천연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이액
KR101221212B1 (ko)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6065A (ko) 막실라리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실라리아 추출물, 및 상기 막실라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Deepak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Anti-Dandruff Shampoo
Mehraliyevaa et al. Development of novel antibacterial gel using clove and calendula extracts with colloidal silver nanoparticles
WO2020084477A1 (en) Method for modifying the odour of ozonized oil comprising the association of the ozonized oil with some essential oils and the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KR101793494B1 (ko) 금모구척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CN105055242B (zh) 栀子甙止痒护肤露及其制备方法
KR20140145324A (ko) 인(仁) 혼합물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인 발효물, 이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61204B1 (ko) 포스파티딜콜린 및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
KR101793493B1 (ko) 히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KR101438376B1 (ko) pH 조절을 통해 안정화된 프룩토오스 1,6-디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16415B1 (ko) 남천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6327620B (zh) 一种婴幼儿用金盏花护肤油及其制备方法
CN107714585A (zh) 含有积雪草提取物的保湿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