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619B1 -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619B1
KR102017619B1 KR1020170168668A KR20170168668A KR102017619B1 KR 102017619 B1 KR102017619 B1 KR 102017619B1 KR 1020170168668 A KR1020170168668 A KR 1020170168668A KR 20170168668 A KR20170168668 A KR 20170168668A KR 102017619 B1 KR102017619 B1 KR 10201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group
skin
test
composi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362A (ko
Inventor
이민호
김성아
정광선
조신환
김명옥
주혜진
Original Assignee
스킨큐어 주식회사
(주)다빈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킨큐어 주식회사, (주)다빈홀딩스 filed Critical 스킨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61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유효성분으로 올리브(Olive) 오일, 로즈힙(Rosa Canina)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Bisabolol), 제 2 유효성분으로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씨 오일 및 토코페롤(Tocopher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COX-2, interleukin-2 및 eotaxin-1의 발현 억제 및 아질산염의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의 가려움에 관여하는 히스타민의 유리 억제 및 P-NK1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Anti-Pruritus, Skin Moisturizing and Skin Suppression}
본 발명은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유효성분으로 올리브(Olive) 오일, 로즈힙(Rosa Canina)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Bisabolol)을 포함하거나, 제 1 유효성분 외에 제 2 유효성분으로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씨 오일 및 토코페롤(Tocopherol)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장벽 기관으로서, 특정 범위에 대한 외부 영향의 대상이 되며, 유전적인 원인과 같은 본질적인 요소 또는 자외선,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의 작용과 같은 외적인 요소에 의해 자극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면서 피부에 지속적인 케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다.
전체 국내 인구의 약 10~20%는 아토피성 피부염 증세를 나타고 있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은 소아에게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며, 5세 이후부터는 발병률이 감소하여 성인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그 증상이 없어지거나 완화되는 특징을 보여 준다. 그러나,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생활환경이 청결해지고 외부 자극 물질에 노출되는 확률이 낮아지게 되어 면역 시스템이 약화되면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 수가 매년 10% 이상씩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은 지속적인 소양감과 피부의 급, 만성 습진 병변을 일으키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피부병변 외에도 천식, 알러지성 비염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특성을 보면 피부 표면에서 증발되는 수분량이 많기 때문에 쉽게 피부가 건조해지고, 정상인의 피부보다 피부의 산도가 높다. 또한 각질층 전반적인 지질 함량의 감소로 인해 항균력이 감소되고 장벽 기능이 약화되어 외부 자극 물질에 대한 방어력이 떨어지게 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따라서 외부 자극 물질에 의한 염증 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른 가려움증이 나타나게 된다.
한편, 임상학적으로 소양증(가려움증)은 두 가지 의미를 갖는데 하나는 원래 가려움증을 야기시키지 못하던 아주 약한 자극에도 가려움증을 느끼는 과민성에 의한 가려움증과 다른 하나는 바늘로 찌르는 통증 감각과 같은 가려움증으로 가려움증과는 무관한 이질적인 자극에 의한 가려움증이 있다. 이러한 두 가지 가려움증의 발병은 다양한 외부요인에 의해 유발되며, 이렇게 유발된 가려움증을 해결하기 위해 피부를 긁게 되고 이는 다시 가려움증으로 이어지는 순환 고리가 형성되어, 가려움증과 함께 염증적 질환이 증가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게 된다. 가려움증은 피부에서의 염증반응과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가려움증 억제의 차단은 이로 인해 야기되는 다양한 질병들의 치료의 선행적 과제로 여겨질 수 있다.
피부는 인체가 갖고 있는 약 65~70%의 수분, 즉 인체에 필요한 각종 생리 활성 물질을 운반하며, 피부가 부드럽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이러한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조절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피의 각질층은 약 10~20%의 수분을 함유하며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함으로써, 체외로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물질 과잉 침투를 차단한다. 그러나 환경의 변화 혹은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 보습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제 또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제는 피부 표면의 수분을 유지시켜주는 보습제와 함께 염증반응을 호전시키기 위한 스테로이드 제제, 국소 면역억제제 및 항히스타민(Anti-histamine)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약물 제제를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피부가 얇아지거나 피부색의 변색, 골다공증, 동맥경화, 발암 가능성 및 내성으로 인한 증상 악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려움을 치료하기 위해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제, 면역억제제 등을 국소 및 전신에 투여하고 있으나, 이러한 약제들은 졸림, 면역력 저하, 피부에 대한 안전성 및 조성물 배합시의 안정성 면에서 문제점이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항염증 및 가려움 완화 효능을 보유하는 원료나 제약의 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주로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로서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화학성분을 대체하여 천연 성분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8187호(등록일자: 2016.08.08.)는 오미약성 이론을 바탕으로한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하엽, 백작약으로 조성된 혼합물을 곰보버섯 균주로 발효시킨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기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267호(공개일자: 2016.02.03.)는 강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8066호 (공개일자: 2012.12.24.)는 숙지황, 고삼, 마늘, 구기자, 검은콩 발효추출물과 알로에 추출물을 혼합한 아토피 및 여드름 개선용 천연 한방 생약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5146호(공개일자: 2007.10.30.)는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추출물을 이용하여 여드름균(Propionebacterium acnes)의 생육을 억제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 성분 조성물도 피부에 대해 어느 정도 자극을 가하게 되며, 효과적인 면에서 기존의 치료 물질에 비하여 효과가 미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피부에 실제적으로 이로운 효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천연 유래의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자극이 없으며 피부 가려움증, 아토피성 피부염 등 다양한 피부 질환을 치료, 개선 및 예방할 수 있고,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올리브(Olive) 오일, 로즈힙(Rosa Canina)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Bisabol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제 1 유효성분으로 올리브(Olive) 오일, 로즈힙(Rosa Canina)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Bisabolol)을 포함하고, 제 2 유효성분으로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씨 오일 및 토코페롤(Tocopher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올리브(Olive) 오일, 로즈힙(Rosa Canina)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Bisabolol)을 포함하는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올리브(Olive) 오일, 로즈힙(Rosa Canina)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Bisabolol)을 편의상 제 1 유효성분으로 명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올리브(Olive) 오일은 올리브 나무(Olea europaea)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꽃, 뿌리, 줄기, 가지,껍질 및 과육 등)으로부터 추출한 오일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올리브나무의 과육에서 짠 기름을 의미한다. 올리브 나무의 원산지는 터키이며, BC 3000년부터 재배해왔고 지중해 연안에 일직 전파되었다. 주요 생산국은 이탈리아, 에스파냐, 그리스, 프랑스 및 미국 등이다.
올리브 오일에는 단백질, 미네랄 및 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올레산과 아젤라익산이 함유되어 건성피부나 각질, 모발 등에 영양을 공급해주며, 피부장벽 기능이 강화되어 외부 유해환경에 대한 피부의 방어작용을 증가시켜준다. 또한, 비타민 A, D 및 E를 함유하고 있어 피부 침투성이 좋고 살결을 유연하게 만든다. 또한, 염증 및 가려움증을 억제하고 모발 관리 및 피부 진정 효과에 뛰어나며 겨울에 살이 트는 것을 방지한다. 상처 소독 효과가 있어 염증이 있는 피부를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며, 관절염 및 류마티스의 통증 완화에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즈힙(Rosa Canina) 열매 오일은 남미 칠레가 원산지인 장미나무(로즈힙, Rosa canina)의 종자로부터 추출한 오일로, 풍부한 비타민 C와 함께, 비타민 P, 폴리페놀의 일종인 리코펜, 베타-카로틴, 그 밖의 다양한 비타민 군을 함유하고 있다. 로즈힙 열매 오일은 피부 탄력 및 pH 밸런스 유지에 도움을 주며, 화상, 얼굴 주름과 같은 증상 개선 및 조직재생 효과가 뛰어나 수술 후 흉터 치료에 매우 유익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사보롤(Bisabolol)은 천연의 단환 세스퀘테르펜(monocyclic sesquiterpene) 알코올 중 한 종류로, 알파 비사보롤(α-(-)-bisabolol) 또는 레보메놀(levomenol)로도 알려져 있으며. 비사보롤은 브라질 칸데이아 나무(Eremanthus erythropappus 또는 Vanillosmopsis erythoropappa) 또는 독일 카모마일(Matricaria recutita)의 에센셜 오일의 주된 성분인 무색의 점성 오일이다.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대부분의 비사보롤은 칸데이아 나무 껍질의 증류에 의하여 제조된다. 비사보롤은 화학적으로도 합성해 낼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상기의 알파 비사볼롤은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정제 과정을 거쳐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효성분은 올리브 오일, 로즈힙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을 10 : 0.3 내지 5 : 0.3 내지 5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10 : 0.4 내지 4 : 0.4 내지 4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0.5 내지 2.2 : 0.5 내지 2.2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상기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항염 및 항소양증 등의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제 1 유효성분인 올리브 오일, 로즈힙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 외에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씨 오일 및 토코페롤(Tocophero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 1 유효성분 외에 더 포함되는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씨 오일 및 토코페롤(Tocopherol)을 편의상 제 2 유효성분으로 명명한다.
상기 제 2 유효성분 중 하나인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씨 오일은 일반적으로 채집한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의 열매를 이용 압착, 여과 및 탈색과정을 거쳐 획득하며, 이와 같은 동백나무 씨 오일은 올레산, 팔리트산, 리놀레산, 스테아르산 등의 성분으로 구성된다. 예로부터 동백나무 씨 오일은 모발의 보호를 위해 머릿기름으로 이용되어 왔다.
상기 제 2 유효성분 중 다른 하나인 토코페롤(Tocopherol)은 지용성 항산화 물질로 비타민 E로도 알려져 있다. 토코페롤은 방향족 고리의 메틸기(-CH3)수와 위치에 따라 알파(α-), 베타(β-), 감마(γ), 델타(δ-) 등 4개의 동족체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토코페롤은 콩에서 추출한 원유를 정제하는 공정 중에서 마지막 단계인 탈취공정에서 분리되는 탈취 유출물에 평균 10~15%로 혼합되어 있으며, 이것은 검화가 잘 되지 않는 불검화물로 알려져 있다. 천연 토코페롤은 각종 식물계나 동물계에 널리 분포되어있고 특히 식물성 유지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제 2 유효성분인 동백나무 씨 오일 및 토코페롤을 1 : 0.2 내지 1.2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1 : 0.23 내지 1.1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25 내지 1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상기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항염 및 항소양증 등의 상승 효과가 미미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효성분과 제 2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제 1 유효성분과 제 2 유효성분을 43 내지 67 : 33 내지 57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44 내지 66 : 34 내지 56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5 : 35 내지 55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상기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산패에 의한 안정성이 감소하고, 제 2 유효성분의 첨가에 따른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의 상승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염"은 외부 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 물질)의 침입에 의하여 형성되는 염증의 억제, 염증의 발병지연, 염증 상태의 호전 또는 염증 상태를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소양증"는 각질층의 지질 함량의 감소로 인한 항균력 감소 및 장벽 기능 악화에 의해 발생하는 가려움증 또는 온도 변화, 화학적 물질, 전기적 자극 등과 같은 외부적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가려움증을 억제 또는 조절하여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보습"은 피부의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억제하고 외부 물질의 과잉 침투를 차단함으로써, 피부 각질층의 수분을 유지하고 피부가 건조해지거나 표면이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가 부드럽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진정"은 피부에 시원함, 청량감 또는 냉감을 부여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선" 또는 "치료"는 개체에서 피부염 질환의 (a) 발전의 억제 (b) 경감 및 (c)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방"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리기 쉬운 경향이 있는 개체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개체"는 본 발명의 상기 항염증용 조성물을 투여하여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돼지, 양, 개, 고양이, 랫드, 마우스, 침팬지 등의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의 제 1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 1 유효성분과 제 2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 1 유효성분이나, 또는 제 1 유효성분 및 제 2 유효성분을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6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상기 양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 등의 효능이 미약하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여 비경제적이고 제형상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 1 유효성분이나, 또는 제 1 유효성분 및 제 2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독성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낸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의 제 1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 1 유효성분과 제 2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제 1 유효성분이나, 또는 제 1 유효성분 및 제 2 유효성분을 약제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상기 양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 등의 효능이 미약하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여 비경제적이고 제형상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시르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주사제 또는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 효과가 있으며, 투여방법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약제학적 유효량으로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올리브(Olive) 오일, 로즈힙(Rosa Canina)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Bisabolol)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기 올리브(Olive) 오일, 로즈힙(Rosa Canina)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Bisabolol) 외에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씨 오일 및 토코페롤(Tocopherol)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COX-2, interleukin-2 및 eotaxin-1의 발현 억제 및 아질산염의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의 가려움에 관여하는 히스타민의 유리 억제 및 P-NK1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장료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유효성분의 eotaxin-1 생성억제 효과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유효성분의 히스타민(Histamine) 유리억제 효과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유효성분의 P-NK1 결합 경쟁 방해 효과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산가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eotaxin-1 생성억제 효과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P-NK1 결합 경쟁 방해 효과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아토피 개선 효과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보습 효과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가려움증 개선 효과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올리브 오일, 로즈힙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 혼합물 제조
본 제조예 1에서는 올리브 오일, 로즈힙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의 혼합물의 항염 효과와 가려움 완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기 표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물질의 배합 비율을 달리하여 시험군과 대조군을 제조하였다.
시료 올리브 오일
(중량%)
로즈힙 열매 오일
(중량%)
비사보롤
(중량%)
대조군 1 100 - -
대조군 2 - 100 -
대조군 3 - - 100
시험군 1 90 10 -
시험군 2 90 - 10
시험군 3 90 5 5
시험군 4 70 30 -
시험군 5 70 - 30
시험군 6 70 15 15
시험군 7 50 50 -
시험군 8 50 - 50
시험군 9 50 25 25
시험군 10 30 70 -
시험군 11 30 - 70
시험군 12 30 35 35
상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시험군의 조성비는 본 발명자들이 항염증과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갖는 천연 공급원들에 관하여 경제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다양한 경우의 수로 배합한 것이다.
시험예 1: 올리브 오일, 로즈힙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 혼합물의 COX 활성억제 효과 측정
본 시험예 1에서는 제조예1의 시험군이 항염증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인간단핵구 세포인 THP-1 세포에서의 COX 활성억제능을 측정하는 실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시행하였다.
COX 활성 측정은 F. J. Van de Ouderaaa and Muytenhek 가 발표한 Method in Enzymology 43:9(1994)에 따라 시행하였다. THP-1세포주(한국세포주은행)를 배양한 다음 24-웰 플레이트에 세포들을 분주하였다. 웰 당 인큐베이션 부피는 500 ul로 맞추고, LPS(lipopolysaccharide, Sigma)(1 ug/mL)와 하기 표 2에 표기된 농도로 용매에 각각 녹인 시료 2 ul를 첨가한 다음 24 내지 48시간 동안 같은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시험물질의 용매(DMSO)만 처리하였다. 24 내지 48시간 후 각 웰에 칼슘 이오노포어(calcium ionophore, Sigma)와 [1-14C] 아라키돈산 1 ul(in EtOH, 0.1 uCi/mL, Sigma)를 첨가 후 같은 조건으로 10분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에 시트르산을 첨가하여 pH를 3.5로 맞추어 흔들어 준 다음 각 배양액을 500 ul 취하여 마이크로원심분리기 튜브에 분주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 700 ul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진탕 추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을 500 ul 취하여 스피드 진공 건조기를 이용하여 20분 동안 농축하고 농축한 잔여부분을 20 ul 에틸아세테이트로 녹인 다음 TLC 플레이트에 어센틱 스탠다드(authentic standard)와 함께 적용하였다. 방사능 밴드는 어센틱 이오코사노이드 스탠다드(authentic eicosanoid standards)로 확인하였고, 확인된 밴드의 방사능은 BAS 2000 바이오-이메이징 어넬라이저(bio-imaging analyzer, Fuji,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ppm) COX 활성 (%) 농도(ppm) COX 활성 (%)
음성 대조군 - 100 - 100
대조군 1 10 93 100 75
대조군 2 10 95 100 80
대조군 3 10 93 100 76
시험군 1 10 89 100 73
시험군 2 10 89 100 70
시험군 3 10 87 100 66
시험군 4 10 90 100 68
시험군 5 10 89 100 68
시험군 6 10 88 100 64
시험군 7 10 90 100 74
시험군 8 10 91 100 72
시험군 9 10 89 100 68
시험군 10 10 93 100 75
시험군 11 10 92 100 74
시험군 12 10 92 100 7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과 시험군은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COX의 활성이 억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시험군 중에는 비사보롤 또는 로즈힙 열매 오일 중 한 가지 성분이 포함된 것보다 두 가지 모두 포함된 혼합물이 COX 활성 억제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각의 성분으로 구성된 대조군보다 3가지 성분을 혼합한 시험군 3, 6, 9 및 12이 억제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시험군 중 시험군 3과 시험군 6이 효과적으로 염증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올리브 오일, 로즈힙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 혼합물의 효과 측정
2-1. interleukin-2 발현억제 효과 측정
시험군 6 및 대조군 1 내지 3의 염증과 관련된 면역관련 반응억제 효과를 IL-2 루시퍼라아제 리포터(interleukin-2 luciferase reporter) 활성실험을 통해 측정하였다. IL-2 프로모터는 염증과 관련된 면역관련 사이토카인의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IL-2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인간 T림프구세포주인 Jurkat 세포(한국세포주은행)를 6-웰 플레이트에 각각 1x106개의 세포를 분주한 후, 슈퍼펙트 트랜스펙션 리에전트(superfect transfection reagent, Invitorgen)를 이용하여 IL-2 루시퍼라아제 리포터 플라스미드 DNA(IL-2 luciferase reporter plasmid DNA)를 형질감염(transfection)시켰다. 형질감염 후 24시간이 경과한 뒤, PHA(phytohemaglutinin, Sigma) 100 ng/mL를 처리하여 Jurkat 세포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시험군 6과 대조군 1 내지 3을 용매에 녹여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시험물질의 용매(DMSO)만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를 수집하여 루미노미터(luminometer, Berthold Technologies GmbH&Co.KG, 독일)를 이용하여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ppm) IL-2 루시퍼라아제 활성 (%)
음성 대조군(-) - 100
시험군 6 10 95
50 85
100 75
대조군 1 10 97
50 93
100 86
대조군 2 10 100
50 97
100 91
대조군 3 10 99
50 96
100 88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군 6과 대조군 1 내지 3은 모두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IL-2의 발현을 억제하나, 대조군 1 내지 3에 비하여 시험군 6의 IL-2의 발현억제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2. eotaxin-1 생성억제 효과 측정
eotaxin-1은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케모카인의 한 종류로 염증부위로 호산구를 응집시킴으로 인해, 호산구에 의한 분비된 과립에 의한 염증반응을 악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시험군 6과 대조군 1 내지 3의 eotaxin-1 발현억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주인 NIH/3T3을 DMEM 배지가 들어있는 24-웰 플레이트에 웰당 약 5 x 104개의 세포가 되도록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상기 각 웰의 배지를 새 배지로 교환한 후 상기 조성물을 10 ppm(ug/mL)과 100 ppm(ug/mL) 농도에서 각각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배양액을 수집하여 eotaxin-1 ELISA 키트(ebioscience, 미국)를 이용하여 eotaxin-1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IL-4를 50ng/mL 처리한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와 도 1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 eotaxin-1 생성 (pg / mL)
음성 대조군(-) - 9
양성 대조군(IL-4) 50 ng/mL 177
시험군 6 10 ppm 113
100 ppm 83
대조군 1 10 ppm 152
100 ppm 105
대조군 2 10 ppm 168
100 ppm 134
대조군 3 10 ppm 165
100 ppm 122
상기 표 4와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시험군 6이 대조군 1 내지 3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eotaxin-1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eotaxin-1의 생성량이 감소하여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2-3. 아질산염(nitrite, HNO 2 ) 생성억제 효과 측정
염증반응에 동반하는 아질산염(nitrite, HNO2)의 생성억제에 상기 시험군 6이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면역대식세포(macrophage)인 RAW267.4 세포를 이용하여 아질산염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RAW264.7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24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시험군 6과 대조군 1 내지 3을 10 ppm(ug/mL)와 100 ppm(ug/mL) 농도로 각각 처리하였다. 그 다음 24시간 동안 다시 배양한 후 세포배양액을 수집하여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과 반응시켜 아질산염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RAW264.7 세포를 사용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LPS를 200 ng/mL 처리한 RAW264.7 세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 Nitrite 생성 (uM)
음성 대조군(-) - 11
양성 대조군(LPS) 200 ng/mL 67
시험군 6 10 ppm 36
100 ppm 23
대조군 1 10 ppm 59
100 ppm 43
대조군 2 10 ppm 61
100 ppm 50
대조군 3 10 ppm 63
100 ppm 53
상기 표 5에 나타나 있듯이, 시험군 6은 대조군 1 내지 3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아질산염(nitrite)생성억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아질산염(nitrite)의 생성량이 감소하여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관찰되어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4. 히스타민(Histamine) 유리억제 효과 측정
비만세포는 아토피 피부염을 비롯한 대부분의 알레르기성 질환에서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을 일으키는 핵심적인 세포로 알려졌다.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히스타민과 같은 가려움 유발 물질(pruritogen)을 방출하여 피부의 가려움을 더욱 촉진시켜 피부장벽을 붕괴시키는 원인이 된다.
시험군 6과 대조군 1 내지 3의 가려움 유발 핵심 물질인 히스타민에 대한 방출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컷 스프래그 돌리(Sprague Dawley) 래트로부터 마르티노바(Martynova) 등의 방법에 따라 분리한 복강비만세포(rat peritoneal mast cells, RPMCs)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복강비만세포(RPMSc) 5x105 ng/mL에 탈과립 유도 물질로 알려진 PMA 30 ng/mL 및 A23187 10 uM을 혼합하여 처리하고, 상기 시험군 6과 대조군 1 내지 3을 10 ppm(ug/mL), 50 ppm(ug/mL), 100 ppm(u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여 37℃에서 10분 동안 유지한 다음, 화합물 48/80(compound 48/80)을 0.5 ug/mL 처리하여 30분간 방치하고, 반응을 중지시키기 위해 배양 튜브를 빙수에 넣어 충분히 냉각시킨 후 1,200 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어 히스타민 양을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시험물질의 용매(DMSO)만 처리하였다. 히스타민 양의 측정은 상기 상층액을 안티-히스타민(Anti-histamine) 항체로 코팅된 플레이트에 주입하여 반응시키고, 안티-히스타민 항체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2차 항체로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etylcholinesterase)가 부착된 래빗 안티-마우스(Rabbit Anti-mouse) IgG를 주입하여 반응 시킨 후, 발색 기질로서 5,5'-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익애씨드)(5,5'-dithiobis-(2-nitrobenzoic acid); DTNB)를 반응시켜 발색시키고, R&D 사가 제공하는 ELISA 법에 따라 ELISA reader(Molecular Divices, USA)로 히스타민 양을 측정하고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 히스타민 유리 (ng/mL)
음성 대조군 (-) - 7
양성 대조군 PMA 30 ng/mL 152
A23187 10 uM
시험군 6 10 ppm 117
50 ppm 96
100 ppm 65
대조군 1 10 ppm 139
50 ppm 121
100 ppm 102
대조군 2 10 ppm 137
50 ppm 116
100 ppm 92
대조군 3 10 ppm 125
50 ppm 109
100 ppm 81
상기 표 6과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시험군 6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히스타민 방출억제 효과가 나타나며, 특히 100 ug/mL 처리군에서 히스타민 방출 억제 효과가 매우 현저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2-5. P-NK1 결합 경쟁 방해 효과 측정
가려움의 주된 중재자인 물질 P(substance P)-NK1 수용체의 결합 방해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물질 P의 수용체인 NK1(Neurokinin 1)이 많이 존재하는 인간세포 U373-MG (한국세포주은행, KCLB-30017)을 이용하여 물질 P와 경쟁적 결합 정도를 알아보았다.
U373-MG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접종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0~80% 자란 상태의 세포를 0.1 % FBS/RPMI 1640으로 교체한 후, 시험군 6 및 대조군 1 내지 3을 10 및 100 ug/mL(ppm) 농도로 3 nM 3H-SP와 동시에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용매인 (DMSO)만 처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 후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깨끗이 세척한 후 5% SDS(Sodium Dodecyl Sulfate)/0.01 N HCl을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액체섬광계수기(LSC)를 이용하여 용해액의 방사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음성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물질 P 결합 억제율(%)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농도 결합 저해율 (%)
음성 대조군(-) - 0
시험군 6 10 ppm 27
50 ppm 42
100 ppm 69
대조군 1 10 ppm 12
50 ppm 23
100 ppm 37
대조군 2 10 ppm 15
50 ppm 27
100 ppm 38
대조군 3 10 ppm 19
50 ppm 31
100 ppm 49
상기 표 7과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시험군 6은 농도 의존적으로 NK1 수용체에 대한 물질 P의 경쟁적 결합 저해력에 매우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조예 2: 올리브 오일, 로즈힙 열매 오일, 비사보롤, 동백나무 씨 오일 및 토코페롤의 혼합물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시험군 6에 동백나무 씨 오일과 토코페롤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할 경우, 제조된 혼합물의 안정성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기 표 8와 같이 시험군 13 내지 26을 제조하였다.
시료 시험군 6
(중량%)
동백나무 씨 오일
(중량%)
토코페롤
(중량%)
시험군 6 100.0 - -
시험군 13 85.0 15.0 -
시험군 14 85.0 12.0 3.0
시험군 15 85.0 7.5 7.5
시험군 16 85.0 3.0 12.0
시험군 17 85.0 - 15.0
시험군 18 65.0 35.0 -
시험군 19 65.0 28.0 7.0
시험군 20 65.0 17.5 17.5
시험군 21 45.0 55.0 -
시험군 22 45.0 44.0 11.0
시험군 23 45.0 35.0 20.0
시험군 24 25.0 75.0 -
시험군 25 25.0 60.0 15.0
시험군 26 25.0 55.0 20.0
시험예 3: 올리브 오일, 로즈힙 열매 오일, 비사보롤, 동백나무 씨 오일 및 토코페롤 혼합물의 안정성 시험
본 시험예 3에서는 시험군 6 및 시험군 13 내지 26에 대한 열-광 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험군을 각각 30g씩 분취하여 투광용기에 담아 배양기(Sanyo, MIR-254) 안에 넣어 6달간 실험하였다. 또한 시험용기에 장기간 보관했을 때 수분 손실을 막기 위해 타이트한 용기 마개를 사용하였다. 배양기의 내부온도를 40±2℃로 하며, 조도는 1000±200 Lux가 되도록 설정하고 빛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설치하였다.
3-1. 산가 측정
동백나무 씨 오일과 토코페롤이 시험군 6의 지방산 유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대한민국 약전의 유지 시험법에 수록되어 있는 산가 측정 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군 6 및 시험군 13 내지 26을 10~20 g을 정밀하게 달아 마개가 달린 250 mL 플라스크에 넣어 에테르·에탄올 혼합액(1:1 또는 2:1) 100 mL를 넣고 필요시 가온하여 녹였다. 다음에 페놀프탈레인 시액 몇 방울을 넣고 0.1 mol/L 수산화칼륨·에탄올 액으로 30초간 지속되는 엷은 적색을 나타낼 때까지 적정하였다. 다만 식어서 혼탁해 지는 경우에는 데울 때 적정하였다. 용매는 쓰기 전에 페놀프탈레인 시액을 지시약으로 하여 30초간 지속되는 엷은 적색을 나타낼 때까지 0.1 mol/L 수산화칼륨·에탄올 액을 넣었다. 시험군은 안정성 시험을 진행하기에 앞서 산가 시험을 진행하고, 안정성 시험을 완료 후 산가 시험을 다시 수행함으로써, 안정성 시험 이전과 이후의 산가 변화 값을 측정하였다. 산가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9와 도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122715448-pat00001
시료 산가 증가값
시험군 6 6.1
시험군 13 4.0
시험군 14 3.1
시험군 15 3.2
시험군 16 3.4
시험군 17 3.7
시험군 18 1.8
시험군 19 1.5
시험군 20 1.4
시험군 21 1.5
시험군 22 1.2
시험군 23 1.1
시험군 24 0.9
시험군 25 0.5
시험군 26 0.6
상기 표 9와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시험군 6은 가혹조건에서 산패에 의한 지방산 유리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동백나무 씨 오일과 토코페롤의 구성률이 높아질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산가 증가값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예 2의 시험군 13 내지 26 중 동백나무 씨 오일과 토코페롤이 함께 첨가된 혼합물은 동백나무 씨 오일 또는 토코페롤이 단독으로 첨가된 홉합물보다 가혹조건에서의 지방산 유리를 억제하는데 더 효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2. 과산화물가 측정
동백나무 씨 오일과 토코페롤이 시험군 6의 과산화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대한민국 약전의 유지 시험법에 수록되어 있는 과산화물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250 mL의 마개다린 플라스크에 클로로포름 10 mL를 취하여 건조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크 내의 공기를 치환하고 제조예2의 검체를 약 1 g을 유리컵에 정밀하게 달아 유리컵을 플라스크에 넣고 천천히 흔들어 섞어 녹였다. 여기에 아세트산(100) 15 mL 및 포화요오드화칼륨용액 1 mL를 각각 넣어 마개를 하여 1분간 잘 흔들면서 섞고 암소에 5분간 방치하였다. 다음 물 75 mL을 넣고 마개를 하고 세게 흔들어 섞은 다음 전분시액과 함께 0.01 mol/L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공시험을 하여 보정하였다. 과산화물가의 수식은 하기 수학식 2와 같다. 시험군은 안정성 시험을 진행하기에 앞서 과산화물가 시험을 진행하고, 안정성 시험을 완료 후의 대조군과 시험군의 과산화물가 시험을 다시 수행함으로써, 안정성 시험 이전과 이후의 과산화물가 변화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122715448-pat00002
*A : 검체를 사용했을 때의 0.01 mol/L 티오황산나트륨액의 소비량 (mL)
B : 공시험에 사용한 0.01 mol/L 티오황산나트륨액의 소비량 (mL)
시료 과산화물가 증가값
시험군 6 4.0
시험군 13 2.5
시험군 14 2.1
시험군 15 2.0
시험군 16 2.3
시험군 17 2.3
시험군 18 1.9
시험군 19 1.7
시험군 20 1.7
시험군 21 1.6
시험군 22 1.4
시험군 23 1.3
시험군 24 0.9
시험군 25 0.7
시험군 26 0.6
상기 표 10에 나타나 있듯이, 시험군 6은 가혹조건에서 산패에 의한 과산화물 생성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동백나무 씨 오일과 토코페롤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과산화물 생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예 2의 시험군 13 내지 26 중 동백나무 씨 오일과 토코페롤이 함께 첨가된 조성물은 동백나무 씨 오일 또는 토코페롤이 단독으로 첨가된 조성물보다 가혹조건에서의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3. eotaxin-1 생성 억제효과 측정
상기 시험예 3-1 내지 2의 실험을 통해서 동백나무 씨 오일과 토코페롤이 첨가된 시험군 중 시험군 14, 15, 19, 20, 22, 23, 25 및 26에 산패 억제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동백나무 씨 오일과 토코페롤이 첨가된 시험군의 염증 완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예 2-2의 eotaxin-1 생성 억제 확인 시험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상기 산패억제 효과가 우수한 시험군을 대상으로 항염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1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 eotaxin-1 생성 (pg / mL)
음성 대조군(-) - 7
양성 대조군(IL-4) 50 ng/mL 181
시험군 6 10 ppm 145
100 ppm 101
시험군 14 10 ppm 141
100 ppm 93
시험군 15 10 ppm 139
100 ppm 91
시험군 19 10 ppm 117
100 ppm 62
시험군 20 10 ppm 119
100 ppm 58
시험군 22 10 ppm 116
100 ppm 57
시험군 23 10 ppm 117
100 ppm 60
시험군 25 10 ppm 160
100 ppm 113
시험군 26 10 ppm 157
100 ppm 110
상기 표 11과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제조예 2의 시험군 시료 중 동백나무 씨 오일과 토코페롤이 총 중량 기준으로 35~55%를 차지할 때(시험군 19, 20, 22 및 23), 시험군 6보다 eotaxin-1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15%(시험군 14 및 15) 또는 75%(시험군 25 및 26)를 차지할 때 그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험군의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eotaxin-1의 생성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올리브 오일, 로즈힙 열매 오일, 비사보롤, 동백나무 씨 오일 및 토코페롤의 5가지의 조합으로 구성된 시험군 19, 20, 22 및 23이 시험군 6과 같이 올리브 오일, 로즈힙 열매 오일, 바사보롤 3가지의 조합으로 구성된 시험군 6보다 뛰어난 염증 완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3-4. P-NK1 결합 경쟁 방해 효과 측정
동백나무 씨 오일과 토코페롤이 제조예 1의 시험군 5에 첨가되는 경우 가려움 완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군 14, 15, 19, 20, 22, 23, 25 및 26에 대하여 상기 시험예 2-5의 P-NK1 결합 방해 확인 시험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가려움 완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2와 도 6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농도(ppm) 결합 저해율 (%)
음성 대조군(-) - 0
시험군 6 10 21
50 35
100 62
시험군 14 10 22
50 37
100 61
시험군 15 10 19
50 34
100 58
시험군 19 10 25
50 49
100 78
시험군 20 10 27
50 51
100 79
시험군 22 10 26
50 47
100 74
시험군 23 10 26
50 45
100 76
시험군 25 10 12
50 23
100 32
시험군 26 10 10
50 21
100 35
상기 표 12와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제조예 2의 시험군 중 동백나무 씨 오일과 토코페롤이 총 중량 기준의 35~55 중량%를 차지할 때(시험군 19, 20, 22 및 23), 시험군 6보다 P-NK1 결합 방해 효과가 뛰어나게 나타내며, 15 중량%(시험군 14 및 15) 또는 75 중량%(시험군 25 및 26)를 차지할 때 그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P-NK1 결합 방해 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올리브 오일, 로즈힙 열매 오일, 비사보롤, 동백나무 씨 오일 및 토코페롤의 5가지의 조합으로 구성된 시험군 19, 20, 22 및 23이 시험군 6과 같이 올리브 오일, 로즈힙 열매 오일, 바사보롤 3가지의 조합으로 구성된 시험군 6보다 뛰어난 가려움 완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3-5. 세포독성시험
배양된 인간 섬유아세포에 제조예 2의 시험군 19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여 조성물이 세포의 증식 및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MTT물질이 세포내로 흡수되어 미토콘드리아내에서 숙신산탈수소효소에 의해 포르마잔을 형성하는데 이 물질의 세포 내 축적은 미토콘드리아의 활성, 넓게는 세포의 활성을 의미하므로 세포의 증식 및 독성평가를 할 수 있다.
96-웰 플레이트에 배양된 세포에 100 내지 1000 ppm (ug/mL) 농도로 시험군 19 조성물을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5% CO2,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T 솔루션에 3 내지 4시간 반응시킨 후 ELISA 측정기로 540nm에서 O.D값을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 산출식을 하기 수학식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122715448-pat00003
상기 시험군 19을 첨가하여 실시한 시험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시험 결과, 시험군 19는 세포의 증식 및 독성에 미치는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시료 음성 대조군(-) 시험군 19
농도(ppm) - 100 500 1000
세포 생존율(%) 100 100 99 100
3-6. 1차 자극 테스트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핀 챔버(Finn Chamber)를 이용하여 윗팔뚝 부위에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시험군 19를 첩포하여 피부 첩포 시험 (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피험자의 연령은 20세에서 45세까지였으며, 평균 연령은 31.5세이고, 남자가 13명, 여자가 7명이었다. 건선(psoriasis), 습진(eczema), 기타 피부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시험에서 제외하였다.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 다음 준비된 피험자 20명의 등에 시험 시료를 각각 25ul 씩 핀 챔버(Epitest Ltd, 핀란드)에 적하시킨 후, 시험부위인 등에 얹어 고정시켰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도포하였고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마킹 펜(Marking Pen)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30분, 24시간 및 48시간 경과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하였다.
판정은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에 행하며, 피부반응은 하기 표 14에 나타낸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 정도를 분류하였다. 평균 피부반응도 (Means score)는 하기 수학식 4 내지 7에 따라 산정하였으며 피부 첩포 시험(Patch Test) 결과 판정표에 따라 자극유무를 판정하였다.
기호 판정기준
- Negative, 무자극
± Douby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미자극
+ Erythema + Induration, 경자극
++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 중자극
+++ Erythema + Induration + Bullae, 강자극
기호 -는 0점, ±는 0.5점, +는 1점, ++는 2점, +++는 3점이며,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판정 기준임
Figure 112017122715448-pat00004
Figure 112017122715448-pat00005
Figure 112017122715448-pat00006
Figure 112017122715448-pat00007
여기서, i = 패치 제거 후 30분 경과 후 피험자 번호이고, j = 패치 제거 후 24시간 경과 후 피험자 번호이고, k = 패치 제거 후 48시간 경과 후 피험자 번호이고, Score i, j, k =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에 각각의 평가결과를 ICDRG 판정기준에 따라 score로 표기된 점수, erythema 와 edema 두 가지 반응에 대하여 모두 적용된다.
하기 표 15는 판정에 따른 스코어를 나타낸다.
판정(Grade) Mean Score
무자극(1) 0.00 - 0.75
미자극(2) 0.76 - 1.50
경자극(3) 1.51 - 2.50
중자극(4) 2.51 - 4.00
강자극(5) 4.01 -
피험자 20명의 윗팔뚝 부위에 시료를 각각 25 ul씩 finn chamber에 적하시킨 후 피부첩포 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 후 제거한 뒤 30분, 24시간, 48시간에 시험부위에서 나타난 피부반응을 국제첩촉피부염연구회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정도를 분류하고 피부 첩포 시험 결과 판정표에 따라 판정하여 하기 표 16에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No. Score
30분 24시간 48시간
1 0 0 0
2 0 0 0
3 0 0 0
4 0 0 0
5 0 0 0
6 0 0 0
7 0 0 0
8 0 0 0
9 0 0 0
10 0 0 0
11 0 0 0
12 0 0 0
13 0 0 0
14 0 0 0
15 0 0 0
16 0 0 0
17 0 0 0
18 0 0 0
19 0 0 0
20 0 0 0
시험 시료를 24시간 동안 피부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30분, 24시간, 48시간이 경과된 후의 시험부위에서 나타난 피부반응을 국제접촉피부염 연구회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 정도를 분류하고, 피부 첩포 시험 결과 판정표에 따라 평균 피부반응도를 구하였다.
시험 결과 제조예 2의 시험군 19은 패치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 모두에서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 결과 평균 자극 판정 스코어는 0.00으로 상기 표 14의 판정기준에 따라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3-7. 피부누적 첩포 자극 시험
상기 제조예 2의 시험군 19를 건강한 2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에 걸쳐 24시간 동안 누적첩포를 실시하여 시험군 19의 혼합물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으로 핀 챔버(Epitest Ltd, 핀란드)에 상기 시험군 19를 25 ul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험군 19 대신 스쿠알란으로 대체하여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의 수학식 8를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122715448-pat00008
이때, 반응도에서 ±는 1점, +는 2점,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하였다.
시료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평균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스쿠알란 -/-/- -/-/- -/-/- ±/-/- -/-/- -/-/- -/-/- -/-/- -/-/- 0.09
시험군 19 -/-/- -/-/- -/-/- -/-/- -/-/- -/-/- -/-/- -/-/- -/-/- 0.00
상기 표 17에 나타나 있듯이, 제조예 2의 시험군 19을 처리한 결과 반응도 ±, +, ++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각각 0명으로 평균 반응도는 0.00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수학식 8에 따라 계산하면 시험군 19은 3 이하의 평균반응도를 나타내므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된다.
제조예 3: 올리브 오일, 로즈힙 열매 오일, 비사보롤, 동백나무 씨 오일 및 토코페롤 조성물을 함유한 크림 제조
본 제조예 3에서는 하기 표 18과 같은 조성으로 대조군 크림(대조군 4)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한 크림(시험군 27)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대조군 4 조성(%) 시험군 27 조성(%)
동백나무 씨 오일 - 0.67
비사보롤 - 0.10
로즈힙 열매 오일 - 0.10
올리브 오일 - 0.87
토코페롤 - 0.27
스쿠알란 2.00 -
카보머940 0.12 0.12
트레할로스 3.00 3.00
솔비톨 1.00 1.00
1,3-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비스-피이지-18 메틸에테르 다이메틸실란 1.00 1.00
글리세린 4.00 4.00
디엘-판테놀 0.30 0.30
이디티에이 0.02 0.02
폴리솔베이트 60 0.80 0.8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1.20 1.2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0.90 0.90
솔비탄 세스퀘레테이트 0.30 0.30
라네트-오 1.60 1.60
세틸 에틸헥소노에이트 3.00 3.0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0 1.00
사이클로메치콘 6.50 6.50
트리에탄올아민 0.13 0.13
향,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합계 100.00 100.00
시험예 4: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피부진정 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피부진정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SDS(0.05 %)로 피부에 자극을 주어 피부조직을 손상시킨 후, 제조예 3의 시험군 27과 대조군 4를 상박부 부위에 각각 첩포하여 피부조직의 개선 여부를 관찰하였다. 본 시험예 4에서는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으며, 핀 챔버에 상기 각 화장료를 15ul씩 적하한 후 24시간 동안 첩포를 실시하였다. 24시간 후 첩포를 제거하고 SDS에 의해 유도된 홍반 정도를 각 처리물질이 얼마나 완화시키는지를 색도계(Chroma meter CR-300, 코니카미놀타, 일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경피수분손실(TEWL) 정도는 TEWA(Tewameter TM210, Germany)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SDS로 피부에 자극을 유도한 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피부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20에 음성 대조군에서의 경피수분 손실과 유도된 홍반 상태를 기준으로 시험군 27 또는 대조군 4에 의해 완화된 상대적인 수치값을 나타내었다.
SDS 0.05%
시료 (-) 시험군 27 대조군 4
TEWL (%) 100 59 83
Erythema (%) 100 63 81
시험 결과, 상기 표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SDS를 처리한 경우 피부자극으로 피부 홍반이 유도되었고, 제조예 3의 시험군 27을 처리하였을 때 뛰어난 홍반 완화 정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경피 수분손실 정도를 측정하였을 때, 시험군 27은 SDS 처리에 의해 증가된 경피 수분손실을 우수하게 완화시킴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아토피 개선 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아토피 개선효과를 임상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3의 시험군 27의 크림을 경증 또는 중증도의 군당 20명으로 구성된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진 만 6세 이상 15세 미만의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1일 2회씩 4주 동안 사용하게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제조예 3의 대조군 4의 크림을 사용하였다. 심한 소양증시 제공되는 항히스타민제 이외에 개인적으로 국소 혹은 전신 스테로이드 제제의 도포나 복용은 금지 하였다.
몸 부위 EASI 스코어
머리/목(Head/Neck) (H) (E + I + Ex + L) x 면적(area) x 0.1
상지(Upper Limbs) (UL) (E + I + Ex + L) x 면적(area) x 0.2
몸통(Trunk) (T) (E + I + Ex + L) x 면적(area) x 0.3
하지(Lower Limbs) (LL) (E + I + Ex + L) x 면적(area) x 0.4
EASI 상기 신체의 4 부위 스코어의 합
상기 표 21에서 E = 홍반(Erythema), I = 경화(induration)/구진(papulation), Ex = 표피박탈(excoriation), L = 태선화(lichenification)이고, 0 = 없음(none), 1 = 경미(mild), 2 = 중간(moderate), 3 = 심함(severe)이다.
또한, 상기 표 21에서 면적 0 = 피부발진 없음 (no eruption), 1 = <10%, 2 = 10-29%, 3 = 30-49%, 4 = 50-69%, 5 = 70-89%, 6 = 90-100%이다.
아토피 개선 효과는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나타내는 지수인 EASI (Eczema Area Severity Index) 스코어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상기 표 21와 같이 계산하였다. 점수를 치료 전, 치료 2주 및 4주에 Kruskall-Wallis one-way ANOVA법을 기본 통계법으로 적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치료 후 호전과 차이에 대한 통계적 검증 후 유효편차로 p값이 0.05 이하이면,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상기 시험 결과를 하기 표 22에 나타내었다.
시료 시험 경과일
1주 2주 4주
대조군 2.85 2.42 2.17
시험군 2.74 1.37 0.63
상기 표 22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군 27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대조군 4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EASI 스코어가 감소하며,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EASI 스코어가 기간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4주라는 짧은 시간 내에 아토피 증상이 완화되어 단기 사용으로도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보습 효과 측정
시험군 27 크림에 의한 경피 수분 손실 완화 효과(보습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에서 항온, 항습 조건 (24 ℃, 상대습도 40 %)에서 경피 수분 손실량(trans 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비교하여 결과를 하기 표 23에 나타내었다.
수분 증발량(%)
시료 0주 1주 2주 4주
시험군 27 100 83 76 59
대조군 4 100 94 89 77
상기 표 23을 보면 시험군 27의 크림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TEWL 변화값(수분 증발량)이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시험군 27이 대조군 4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보습효과가 더 큼을 알 수가 있다.
추가적으로, 시험군 27의 크림을 1회 도포한 경우 보습 지속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군 27의 크림과 대조군 4의 크림을 도포한 후 6시간 동안 코니오메타(Corneometer, C+K, 독일)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 정도를 측정,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24는 시험개시 직전에 측정한 코니오메타 값을 기준으로 하여 6시간 후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피부 수분량(%)
시료 0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시험군 27 100 117 149 168
대조군 4 100 112 133 149
상기 표 24와 도 8을 보면 시험군 27의 크림을 도포할 경우, 그 보습력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험군 27의 크림은 대조군 4의 크림에 비하여 더 큰 아토피 증상 완화 효과를 나타냈으며, 피부의 수분 손실 억제 및 보습 유지에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6: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가려움증 개선 효과 측정
상기 제조예3의 시험군 27과 대조군 4의 크림을 이용하여, 가려움의 개선도를 평가하였다. 아토피, 습진, 두드러기, 해충에 의한 피부가려움증을 느끼고 있으며, 피험자 중 다른 전신 질환이 없고 최근 한 달간 경구 항생제 및 면역 억제제를 사용하지 않은 사람 중에서 심한 가려움을 호소하는 20명을 선정하였다. 가려움증의 원인에 대한 구분은 하지 않았으며 단지 피험자가 가렵다고 느끼는 정도가 초기 5 이상의 강도인 것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피험자의 연령은 20세에서 39세까지였으며, 평균 연령은 28.5세이고, 남자가 14명, 여자가 6명이었다. 환자들은 실험 시작 전 일주일 이내 스테로이드 외용제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실험 기간 중에는 스테로이드 외용제의 사용을 제한하였다. 대조군 4의 크림을 환부로 규정된 부위에 대조군 시료를 1회 도포 후 30분 후, 1시간 후의 가려움(소양증)의 정도를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수치화 하였으며, 이후 동일한 부위에 시험군 27의 크림을 1회 도포하여 30분 간격으로 3시간 동안 가려움(소양증)의 정도를 주관적 판단에 따라 수치화 하도록 하였다. 가려움증 완화 평가는 가려움증의 강도를 1 내지 10의 수치로 나누어 현재 느끼고 있는 가려움증의 강도를 수치로 나타내게 하였다. 각각의 시간에 따라 얻어진 강도수치를 초기 강도수치로 나누어 백분율로 수치화하여 얻어진 평균값(가려움 활성, %)을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5와 도 9에 나타내었다.
내용 시간경과 (분) 가려움 활성 (%)
대조군 처리전 0 100.0
대조군 처리 30분 경과 30 98.1
대조군 처리 60분 경과 시험군 처리 전 60 96.7
시험군 처리 30분 경과 90 63.9
시험군 처리 60분 경과 120 35.7
시험군 처리 90분 경과 150 14.2
시험군 처리 120분 경과 180 7.3
시험군 처리 150분 경과 210 8.5
시험군 처리 180분 경과 240 10.2
시험 결과, 시험군 27의 크림(도 9에서 시험군)을 병변 부위에 도포하면 가려움증 강도가 30분 경과 후 63.9%, 60분 경과 후 35.7%로 급속하게 줄어들며, 120분 경과 후에는 7.3% 수준까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가려움증을 완화시키거나 억제하는데 뚜렷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올리브(Olive) 오일, 로즈힙(Rosa Canina)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Bisabolol)을 10 : 0.3 내지 5 : 0.3 내지 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씨 오일 및 토코페롤(Tocopherol)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나무 씨 오일 및 토코페롤은 1 : 0.2 내지 1.2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올리브 오일, 로즈힙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 동백나무 씨 오일 및 토코페롤을 43 내지 67 : 33 내지 57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올리브(Olive) 오일, 로즈힙(Rosa Canina)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Bisabolol)을 10 : 0.3 내지 5 : 0.3 내지 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약제학적 조성물.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씨 오일 및 토코페롤(Tocopherol)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나무 씨 오일 및 토코페롤은 1 : 0.2 내지 1.2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올리브 오일, 로즈힙 열매 오일 및 비사보롤: 동백나무 씨 오일 및 토코페롤을 43 내지 67 : 33 내지 57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70168668A 2017-12-08 2017-12-08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KR10201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668A KR102017619B1 (ko) 2017-12-08 2017-12-08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668A KR102017619B1 (ko) 2017-12-08 2017-12-08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362A KR20190068362A (ko) 2019-06-18
KR102017619B1 true KR102017619B1 (ko) 2019-09-04

Family

ID=6710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668A KR102017619B1 (ko) 2017-12-08 2017-12-08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3513B2 (en) 2019-12-10 2024-01-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strengthening composition
CN114028277A (zh) * 2021-12-22 2022-02-11 广州阳菲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舒缓修复敏感肌肤的安肤膏
CN116098839B (zh) * 2023-04-11 2023-07-07 广州品赫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舒缓止痒功能的油溶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555B1 (ko) 2016-10-19 2017-12-01 김형교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88858A1 (en) * 1997-04-18 2000-03-29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Microemulsion
KR100336090B1 (ko) * 1998-06-27 2002-05-27 윤승원 오일, 지방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난용성 약물의 고형분산제제
KR20020046329A (ko) * 2000-12-12 2002-06-21 성재갑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7912B1 (ko) * 2012-03-26 2014-11-06 (주)바이오제닉스 안정화된 지용성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84999B1 (ko) * 2012-05-04 2014-04-14 주식회사 제닉 오르가노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르가노겔 마스크 팩
KR20160055597A (ko) * 2014-11-10 2016-05-18 이동희 수중 용존 규산이 함유되어 제공되는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555B1 (ko) 2016-10-19 2017-12-01 김형교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362A (ko)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undir et al. Ethnomedicinal uses, phytochemistry and dermatological effects of Hippophae rhamnoides L.: A review
KR100812596B1 (ko) 천연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
AU2010201162A1 (en) Use of purslane to treat facial wrinkles
US20130095196A1 (en) Blended oil skin moisturizer and skin repairer
US2022028795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cirsium japonic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stimulating melanogenesis
KR102017619B1 (ko)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US20190008757A1 (en) Dermatological or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 polyphenol?enriched extract of vitex negundo
US8986755B1 (en) Skin moisturizer
KR101436199B1 (ko) 호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43166B1 (ko) 티트리잎, 쑥, 메밀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재생, 탄력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ES2913623T3 (es) Composiciones útiles para el tratamiento cosmético de las pieles grasas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00130877A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55155A (ko) 자외선 등 피부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염증 또는 노화를 개선하는 물질 살리드로사이드
KR101971574B1 (ko) 윈터체리뿌리, 산뽕나무 및 보이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 장애 개선 또는 숙면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5514B1 (ko) 디오스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350141B1 (ko)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5186A (ko) 올리브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튼살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8546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1170A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17679A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US11850272B2 (en) Composition comprising yuzu seed extract and brown rice extract
KR102534261B1 (ko)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14709A (ko) 좀깨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