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261B1 -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261B1
KR102534261B1 KR1020230025635A KR20230025635A KR102534261B1 KR 102534261 B1 KR102534261 B1 KR 102534261B1 KR 1020230025635 A KR1020230025635 A KR 1020230025635A KR 20230025635 A KR20230025635 A KR 20230025635A KR 102534261 B1 KR102534261 B1 KR 102534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barley
dandel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261B9 (ko
Inventor
강유지
강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코스
Priority to KR1020230025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261B1/ko
Publication of KR10253426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26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로서의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팽창선조를 촉진시키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결합 조직 단백질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분해를 저해시키며,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시키고, 팽창선조의 손상을 빠르게 회복시키며, 보습을 유지시키고, 피시험자 대상 시험에서 팽창선조의 길이, 색조, 밀도 등을 피부 부작용이 전혀 없는 높은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의약품, 의약외품, 화장품 등의 제품에 천연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Striae Distensae comprising Corchorus olitorius L. extract and Taraxacum platycarpum and Hordeum vulgare L. extract}
본 발명은 팽창선조(Striae Distensae, 튼살) 자국을 예방, 경감, 또는 치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천연 식물 유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몰로키아(Corchorus olitorius L.) 잎 추출물과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줄기와 보리(Hordeum vulgare L.)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팽창선조의 예방, 경감, 완화,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치 자국(stretch mark)으로 알려진 팽창선조(striae distensae, 튼살)는 전형적으로 복부, 가슴, 둔부(buttocks), 힙(hips) 및 허벅지에 잘 나타난다.
팽창선조는 피부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콜라겐과 탄력을 형성하는 엘라스틴이 물리적인 힘이나 여러 요인으로 인해 이들 네트워크에 균열이 생기면서 피부의 이상을 초래하는 피부과 질환의 하나이다(Han GH, et al. 1998. Changes of skin organ by aging. Korean J Dermatology 36, 961-980.).
팽창선조는 표피의 위축과 진피의 콜라겐 및 탄력섬유의 감소를 보이는 진피의 흉터이다. 임신기간, 청소년기의 급격한 성장 기간 및 과도한 체중 변화 등에 의해 탄성 피부조직이 약화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Gerald E, et al. 2000. Cellulite from standing fat herniation to hyperdermal stretch marks. Am J Pathology 22, 34-37.).
팽창선조가 발생하는 주된 요인은 소년의 사춘기 때에 신체가 급격히 성장하는 경우, 임신으로 인해 피부 표피가 제때 늘어나지 못하고 찢어지는 경우로 인하여 갑작스런 체중 증가를 보이는 기계적인 요인과, 체내 부신피질 호르몬의 증가로 진피 내 콜라겐 섬유가 파괴되어 발생하는 생리적인 요인이 있다(Kim GJ, et al. 2003. Applicability of sphingosine as Kelloid treatment. Korean J Dermatology 10, 119-126.).
또한, 팽창선조 자국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로 국소적으로 또는 장기간 치료할 때에도 발생할 수 있다. 임신한 여성의 약 50%가 임신 과정을 통하여 팽창선조 자국이 생기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팽창선조의 발생기전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피부의 탄력도를 결정하는 요인들은 매우 많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수분 함량과 피하지방층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가령, 어떠한 요인에 의하여 피부가 변형되면 피부 내에 그물망처럼 얽혀있는 탄성 및 콜라겐 섬유의 보충이 필요하게 된다. 이들 섬유는 피부를 원래의 상태로 재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피부를 잡아당기게 되면 콜라겐 섬유가 먼저 당겨지면서 평행, 확장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점점 세게 잡아당기면, 이 힘에 대응할 수 있을 정도로 점점 더 많은 섬유들이 편성된다. 섬유가 최대한 늘어난 상태에서, 피부를 잡아당기는 것을 멈추게 되면, 이 섬유들은 늘어나는 것을 중단하게 되고, 결국 피부 표피는 늘어져 있는 상태로 머물게 된다. 이것은 피부와 피하조직간 경계면에 울퉁불퉁한 형태를 남기게 되며 이는 팽창선조, 즉 튼살을 의미한다.
팽창선조, 즉 튼살의 종류에는 임신 중 태아를 보호하기 위해 분비되는 부신피질호르몬의 영향과 함께 태아의 성장으로 인해 피부가 팽창하게 되어 발생하거나 출산 후에는 늘어났던 배가 갑자기 줄어들면서 발생하기도 하는 임신에 의한 튼살, 부신피질호르몬의 과다 분비로 인한 여성의 튼살, 비만 및 다이어트로 인한 튼살, 내분비 질환, 만성적 소모성 질환, 스테로이드 제제의 장기 복용으로 인한 튼살, 과도한 근육운동이나 스트레칭 등에 의해 발생한 튼살이 있는데, 한번 생긴 튼살은 현대 의학으로는 원형 회복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치료라는 말보다는 “개선 효과”라는 말이 더 적절할 수 있다.
팽창선조 자국은 의학적 문제로 취급되지는 않을지라도, 미용의 관점에서는 당사자에게 상당한 고통을 일으킬 수 있고, 특히 상기 자국 면적이 넓게 퍼져 있는 경우에는 더욱 더 그러하다. 나아가 비록 오랜 시간이 지나면 그 자국이 희미해진다고 할지라도, 그 자국을 최소화하거나 감소시키는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이제까지는 효과가 만족스러운 정도의 대표적인 치료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팽창선조를 해결하기 위해 콜라겐과 엘라스틴 등 결합조직 단백질 분해를 촉진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물질과 결합조직을 활성화하고 합성을 촉진하는 물질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보고된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로는 비타민류, 폴리페놀류, 탄닌류 및 플라보노이드류 등이 있다. 또한, 정유(essencial oil), 병풀, 정량 등과 같은 천연물질로부터 유용성분을 발굴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생체 성장인자나 신호 조절 물질 등을 이용한 치료제 개발과 고주파 치료기 등의 물리적 방법과 마사지 크림과의 병용 처리 방법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 방법은 도출되지 않는 실정으로 효과적인 팽창선조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몰로키아(Corchorus olitorius L.)는 중국 남부가 원산지로 알려진 피나무과 1년생 녹황색 식물로서 어린 잎을 수확해 식용으로 하는 엽채류로 아프리카는 물론 이집트를 중심으로 하여 중동지역, 수단 등지에서 이용되고 있다.
학명은 Corchorus olitorius인데 이는 아랍제국에서 신비의 약초로 널리 사용되었고 옛날 이집트왕이 이 야채를 먹고 중병을 고쳤다고 해서 그 때부터 몰로키아(Molokhia; 제왕의 야채)라고 부르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Azuma K et al. 1999. Phenolic antioxidant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 3963-3966).
몰로키아는 품종에 따라 섬유의 재료로도 쓰이기도 하는데 잎은 향이 없고 잘게 자르면 독특한 점액이 나온다. 국내에서도 몰로키아는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저하시키고 변비를 개선하는 건강증진 효과가 있다고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Jung CH. et al. 2003. Effect of Molokhia (Corchorus olitorius) and its mucilage on choresterol fed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79-385).
몰로키아는 식물섬유, 각종 비타민, 칼슘등의 미네랄과 폴리페놀, 카로테노이드 등이 풍부하며, 점질성의 다당류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병충해에도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Oshodi AA. 1992. Comparison of protein, minerals and vitamin C contents of some dried leafy vegetables. Pak J Sci Ind Res 35, 267-269). 시금치와 동일 함량 기준으로 비교할 때 카로틴이 3.5배, 칼슘이 8배, 비타민 A가 4배, 비타민 B2가 20배나 함유되어 있고 식물섬유가 30%나 되어 놀라운 고영양 자연식품이라고 할 수 있다.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는 국화과(Compositae)의 여러 해살이 풀로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이른 봄부터 늦가을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포공영(浦公英)이란 한약재명으로 알려져 있고 해독과 이뇨 작용이 있다. 예로부터 민들레의 어린 순과 뿌리는 나물이나 국 그리고 구황식물 등으로 식용되었고, 서양에서는 잎은 샐러드용, 뿌리는 커피대용, 꽃은 와인의 재료로 이용되어 왔다.
한방에서는 해열, 발한, 건위, 강장 해독, 임파선염, 급성 기관지염, 위염, 간염, 담낭염, 부인병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Lee EB. et al. 1993. The antigastritic effect of Taraxaci Herba. Kor J Pharmacogn 24, 313-318.).
또한 히드록시시나믹산(hydroxycinnamic acid)와 같은 페놀류(phenolic) 화합물과 비타민 C, 토코페롤(tocopherol) 등 비타민류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뿌리에는 타락사스테롤(taraxasterol), β-시토시테롤(β-sitosterol) 등 많은 식물성 스테로이드 화합물과 클로로겐산(chlorogenicacid), 카페산(caffeic acid) 등의 페놀류(phenolic)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hmad VU. 2000. Taraxacin, a new guaianolide from Tarazacum wallichii. J Nat Prod 63, 1010-1011.). 특히, guainolide sesquiterpene인 desacetylmatricarin(austricin)은 항알러지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eong H. 1998. Desacetylmatricarin, an anti-allergic component from Taraxacum platycarpum. Plant Med 64, 577-578.).
또한 민들레는 인체에 유해한 각종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는 항균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및 항암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Takasaki M. 1999.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araxacum plant. Biol Pharm Bull 22, 602-605.).
한편, 보리(Hordeum vulgare L.)는 벼과(Poaceae/Gramineae)에 속하는 한해살이 작물로 세계 4대 작물의 하나로 세계 각국에서 재배되는 대표적인 곡물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오곡(쌀, 보리, 조, 콩, 기장) 중 하나이며, 쌀 다음가는 주식 곡물이다. 또한, 예로부터 혼반용 또는 보리밥의 형태로 활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보리차, 엿기름, 된장, 미숫가루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이용되어진 친숙한 작물이며, 단백질, 지방 및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을 고르게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으로도 매우 우수하다.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quercertin, kaempferol, catechin과 비타민C, 비타민E, β-carotene 등의 강력한 항산화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단백질 및 필수아미노산을 많이 가지고 있어 간과 위장 보호에 효과적이며, β-glucan이라 는 수용성 식이섬유 또한 많아서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와 당뇨병 등의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Nirupama G. et al. 2015. A Review of extraction and Analysis of bioactives in Oat and Barley and scope for use of novel food processing technologies. Molecules 20, 10884-10909.).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리에 관한 연구는 식품으로의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기능성이 향상된 보리 및 발아 보리에 대한 효능 검증 연구는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팽창선조(튼살)을 예방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천연물을 이용한 시도가 많이 보고되었는데, 병풀 정량 추출물을 함유한 외용제(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9067호), 여주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9062호), 태반추출물, 가수분해 호호바에스터, 병풀추출물 및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튼살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6415호), 아스파라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팽창선조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5576호),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튼살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0190호),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4444호), 함초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튼살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4355호), 저근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8736호) 등이 개시(disclosing)되어 있다.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되는 저분자 화합물을 기본으로 한 복합 조성물을 이용한 시도로써는, 구연산, 아연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팽창선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6807호), 디팔미토일 하이드록시프롤린을 함유하는 튼살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134호), 레게스트릴, 케라스젠, 피토올리고, 상피세포성장인자, 포도당 및 생리적으로 적용 가능한 용매를 포함하며 오스몰농도가 상기 포도당으로 인해 체내 세포의 오스몰 농도보다 120% 내지 350% 높은 팽창선조 치료용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4381호), 아르가니아 스피노사 커넬 추출물 및 쿠쿠르비타 페포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의 유효량의 조합물 및 세린 및 프롤린을 포함하는 아미노산의 유효량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국소 피부 케어 제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9999호) 등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인체 성장인자, 유전자 발현 조절인자, 펩타이드 등을 이용한 시도가 보고되었는데, 상피세포 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튼살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8847호), 싸이토카인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9914호), 다양한 피부 병태의 치료에 유용한 인간 C-X-C 케모카인으로부터 유래된 테트라펩타이드(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4260호) 등이 있다. 또한, 제형에 초점을 맞춘 방법으로, 다층 라멜라 구조의 액정 에멀젼의 튼살 개선 또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7040호)이 있고, 유용물질 전달체로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튼살 개선 패치 및 그 제조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3323),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병풀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호스테일켈프 추출물, 참미역 추출물, 티트리잎 추출물, 접시꽃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치료용 패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2019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부분의 종래기술은 팽창선조가 발생한 초기에는 치료 가능성이 높으나, 흰색으로 변해버린 다음에는 만족스런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자들이 파악하고 있는 바로는,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팽창선조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규명된 바가 전혀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76202호(2014.03.13.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897488호(2018.09.05. 등록) 특허공개공보 제10-2021-0109835호(2021.09.07.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1505576호(2015.03.18. 등록)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부작용이나 약물 내성을 유발하지 않고 독성이 낮아 장기 적용이 가능한 팽창선조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팽창선조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팽창선조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반 목적은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의해 원활히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몰로키아 추출물 30~70중량%와 민들레 및 보리의 복합 추출물 70~30중량%, 특정하게는 몰로키아 추출물 30중량%와 민들레 및 보리의 복합 추출물 70중량%일 수 있다.
위에서, 몰로키아 추출물은 몰로키아 잎추출물이고, 민들레 및 보리의 복합 추출물은 민들레 줄기와 보리의 적량 혼합물, 특정하게는 등중량 혼합물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의하면, 팽창선조를 촉진시키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결합 조직 단백질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분해를 저해시키며,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시키고, 팽창선조의 손상을 빠르게 회복시키며, 보습을 유지시키고, 피시험자 대상 시험에서 팽창선조의 길이, 색조, 밀도 등을 피부 부작용이 전혀 없이 개선하는 장점이 있어, 화장수, 로션, 크림 등 바디 케어 제제, 패치 및 하이드로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용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몰로키아 추출물 및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로써, 이들 추출물이 HaCaT 세포의 세포 생존율(A)과 PCNA 발현(B)에 미치는 영향 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몰로키아 추출물 및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의 세포 증식 효과를 평가한 결과로써, 몰로키아 추출물(A) 및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B)을 HaCaT 세포에 처리하고 24시간, 48시간 배양 중 이 추출물들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몰로키아 추출물 및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의 콜라겐 발현을 평가한 결과로써, 이 추출물들이 HaCaT 세포 내에서 콜라겐 합성에 관여하는 mRNA의 발현(A)의 증가로 인해 콜라겐의 발현(B)도 증가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몰로키아 추출물 및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의 HaCaT 세포 내 보습인자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평가한 결과로써, 이 추출물들이 HaCaT 세포 내에서 HAS-1 mRNA(A), HAS-2 mRNA(B)의 발현 증가로 인해 관련 단백질인 HAS-1 및 HAS-2의 발현(C)도 증가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몰로키아 추출물 및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이 BSA로 활성화된 비반세포(mast cell)와 섬유결합소(fibronectin)와의 결합력을 평가한 결과로써,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비반세포(mast cell)와 섬유결합소(fibronectin)와의 결합력을 저해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HaCaT 세포에서 H2O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로 기인하는 콜라겐 감소를 저해하는 효과를 평가한 결과로써, 양성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H2O2로 인해 감소된 콜라겐 발현이 회복되었으며, 반대로 콜라겐 분해를 촉진하는 MMP-1의 발현은 감소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HaCaT 세포의 상처를 치유하고 생장하는 피부재생 혹은 리모델링(remodeling)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상처 치유(wound healing)를 분석한 결과로써, 음성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들에서 빠른 상처 회복을 나타내며 실시예 3이 가장 빠른 회복력을 발휘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험시자의 팽창선조가 있는 피부에 3개월 간 적용하였을 때 얻은 결과로서, 실시예 3에서 팽창선조 개선효과를 가시적으로 확인됨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구현예는 몰로키아(Corchorus olitorius L.) 잎 추출물과,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줄기 및 보리(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의 복합 추출물을 일정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팽창선조를 완화 경감, 개선, 치료하는 효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구현예는 몰로키아(Corchorus olitorius L.) 잎 추출물과,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줄기 및 보리(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의 복합 추출물을 일정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팽창선조를 억제하거나, 완화, 개선하는 효능을 갖는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구현예는 몰로키아(Corchorus olitorius L.) 잎 추출물과,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줄기 및 보리(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의 복합 추출물을 일정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팽창선조를 억제하거나, 완화, 개선하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팽창선조”는 “튼살”이라고도 하는데, 인체를 둘러싸고 있는 피부는 매우 탄력적인 조직이지만, 피하의 신체조직인 근육이나 지방질이 갑자기 양적으로 팽창하면서 피부가 그 팽창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찢어질 수 있는데, 이렇게 유방, 둔부, 허벅지, 종아리나 복부 등의 피부가 피하 신체조직의 팽창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얇게 갈라지거나 찢어지는 증상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 몰로키아 추출물은 초음파 추출법으로 2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천연물 원료 산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고온공압 추출법보다 고온에 의한 색 변화 없이 고순도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등 생리활성 물질을 빠르고 쉽게 추출할 수가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용매는 정제수 추출이나 메탄올 등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것보다 50%(v/v) 에탄올 추출물이 수용성 물질과 지용성 물질은 동시에 용출할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민들레 줄기 및 볶은 보리 추출물은, 각각을 따로 추출하는 것과 비교하여 혼합물로 추출하여도 기본적인 항산화성 등 생리활성의 차이가 거의 없어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민들레 줄기 : 볶은 보리의 혼합 중량비는 1 : 0.1~10의 범위일 수 있다. 추출 조건은 80℃ 고온에서 진탕 교반하면서 24시간 추출하는 것이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등 생리활성 물질을 많이 추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는 에탄올이나 메탄올 등 유기용매보다는 정제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 하기하는 실험예 2에 의하면 “몰로키아 추출물”은 매우 우수한 항산화 활성(표 1)과 항균 활성(표 3)을 나타내었고, 피부세포에 대한 어떠한 독성도 없었다(도 1-A, 도 2-A). “몰로키아 추출물”의 세포 내 보습인자인 HAS-1과 HAS-2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촉발시켜 세포의 보습 환경을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C). 이에 본 발명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팽창선조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민들레 줄기 분말과 보리 분말을 등중량으로 혼합하여 추출한 복합 추출물”은 피부 세포에 대해 생육 증식 효과를 나타내어 독성 없이 오히려 세포를 잘 증식하게 했으며(도 1-B, 도 2-B), 12.5 μg/mL의 농도부터 HaCaT 세포의 콜라겐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촉진시키는 높은 결합조직 단백질 발현 특성을 나타냈다(도 3). 또한, 혼합 추출물의 50과 100 μg/mL 농도에서 비반세포(mast cell)와 섬유결합소(fibronectin)의 결합력을 각각 약 28% 및 36%로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피부 탄력인자를 분해하는 효소들의 발현을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도 5). 이에 본 발명은 “민들레 줄기 및 보리의 복합 추출물”을 팽창선조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의 또 다른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팽창선조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은 H2O2를 처리한 HaCaT 세포에서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전사인사 Nrf2의 발현 감소와 Nrf2의 타켓(target) 인자인 HO-1의 감소를 정상 이상으로 회복시키고 오히려 확대시켜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된 상태에서, 모든 처리구에서 H2O2로 인해 감소된 콜라겐 발현이 회복되었으며, 반대로 콜라겐 분해를 촉진하는 MMP-1의 발현은 감소된 결과를 얻었다(도 6).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재생 혹은 remodeling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wound healing 분석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세포의 상처 회복이 빨리 나타났으며, 실시예 3에서 가장 빠른 회복 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Type-1 프로콜라겐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에서 실시예 1 내지 3은 세포 신호전달 물질인 TGF-β(양성대조구) 보다 더 높은 프로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6). 실시예 3은 프로콜라겐의 생합성을 91.7% 촉진되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도 3에서 도출된 콜라겐 합성 증가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조성물의 엘라스터레이즈의 활성 억제 실험에서 실시예 1이 86.2%로 가장 높은 엘라스터레이즈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냈고, 비교예 2가 가장 낮게 70.5%의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7). 몰로키아 추출물이 엘라스터레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만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도 4)와 같은 경향을 보여,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우수한 탄력 증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포화 흡습시킨 표피세포가 정제수에 의하여 포화 흡습된 표피세포보다 재건조 과정에 있어 훨씬 많은 물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8).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수한 프로콜라겐 생합성 촉진, 콜라겐 분해 억제, 보습 및 세포 치유 증진 효과 등으로 팽창선조에서 나타나는 임상적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표 11, 도 8).
따라서, 본 발명은 “몰로키아 추출물 및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팽창선조를 개선,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몰로키아 추출물: 민들레 및 보리의 복합 추출물이 30∼70 중량% : 70~30중량%의 혼합비를 갖는 팽창선조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윽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몰로키아 추출물 30 중량%이고,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 70 중량%로 된 팽창선조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형화 제품에 적용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90.0 중량%의 범위로 함유할 수 있다. 1.0 중량% 미만일 경우 조성물의 실질적인 팽창선조 개선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9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료 투입량 대비 효율성이 떨어져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팽창선조가 발생한 피부에 적용하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통상 1일 0.01~5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0~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일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 외용제 및 개인 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착용 패치(하이드로겔 포함), 샤워폼,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화장료에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첨가제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피부 도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킨 토너, 바디 로션, 바디 크림, 또는 바디 하이드로겔 패치나 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는데, 외용제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일예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액제, 에어로솔제, 엑스제, 연고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캅셀제, 크림제, 하이드로겔제, 첩부제, 서방화 제제가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기제; 운반제; 부형제; 전분, 트래거캔스 고무, 젤라틴, 당밀,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비닐 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결합제; 한천, 전분, 젤라틴 가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 결정 셀룰로오스,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및 알긴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분쇄제;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활석 및 수첨 식물유를 포함하는 윤활제; 및 착색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운반제 및 부형제로는 젖당,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감자녹말, 옥수수녹말, 탄산칼슘, 인산칼슘 및 셀룰로오스 등이 있다. 상기 외에도 안정화제, 용해보조제, 경피흡수 촉진제 등의 보조제 방향제, 방부제 등의 첨가제가 더 첨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에 대한 표준 투여량은 환자의 개별적 특성에 의해 그 양이 변화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숙련된 임상 의사는 환자를 위해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대한 이상적인 투여량 및 투여 계획, 예를 들어 특정 필요 및 환자의 전체적인 조건의 관점에서 가장 적절한 치료 전략을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대하여, 적절한 투여량을 결정하는 데는 수많은 참조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적절한 투여량은 시험관 내 또는 동물 모델에서 일반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험관 내에서 표적 세포에 대해 여러 농도의 본 발명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그 적절한 투여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와 실험예, 그리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 근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추출물 제조예:
본 발명에 사용한 말린 몰로키아 잎과 말린 민들레 줄기는 서울약령시장에서, 보리는 경동시장에서 각각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몰로키아 잎, 민들레 줄기와 보리는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24시간 더 건조시킨 후 각각 잘게 분쇄한 후 분말로 제조하였다.
몰로키아 추출물은 몰로키아 잎 분말 100 g에 50% 에탄올 1 L를 첨가하여 1시간 침지시켰다. 30℃로 고정한 초음파추출기(SJC-II-50L, GREENAPPLE사, 중국)를 사용하여 1,000 W의 출력에서 20 KHz의 주파수로 30분 동안 1차 추출하였다. 60분간 그대로 정치한 후 다시 상기의 추출조건으로 30분간 2차 추출하였다.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을 준비하기 위하여 민들레 분말 100 g과 보리 가루 100 g을 잘 섞어준 후 증류수 2 L를 각각 가한 후 80℃로 고정한 항온수조(waterbath)에서 24시간 진탕교반하였다. 추출물은 실온에서 방냉한 후 추출액을 분리하였다.
두 가지 추출액을 각각 5,000 rpm에서 20분간(4℃) 원심분리하여 그 여액을 따로 취한 후 남겨진 잔류물을 상기의 추출 조건에서 1회 더 추출하고, 같은 방법으로 원심분리하여 새로운 여액를 얻었다. 이들 여액을 함께 혼합한 후 감압 농축장치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제거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추출물 분말을 획득하였다.
실험예 1: 추출물의 생리활성 시험
1.1.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본 발명에서 준비한 두 가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은 Blois(1958)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96-well plate에 시료를 농도별로 20 μL씩 각각 넣고 실험군에는 DPPH, 대조군에는 메탄올 180 μL를 첨가하여 20분간 혼합한 후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라디칼 소거능(%)을 구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은 Re 등(1999)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ABTS stock solution은 7 mM ABTS와 2.45 mM potassium persulfate를 24시간 암소에서 반응시켜 라디칼을 형성하여 제조하였다. 이후 흡광도 0.70± 0.02로 희석시킨 ABTS working solution 270 μL에 시료 30 μL를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ABTS 라디칼 소거능을 구하였다.
각 추출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
DPPH 라디컬 소거능
(SC50, μg/mL)
ABTS 라디컬 소거능
(SC50, μg/mL)
몰로키아 추출물 45.8 ± 2.4 15.6 ± 3.1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 157.1 ± 3.5 87.9 ± 2.5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몰로키아 추출물의 DPPH 및 ABTS 라디컬 소거능은 각각 45.8 및 15.6 μg/mL로 나타났다. 반면에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의 DPPH 및 ABTS 라디컬 소거능, 즉 SC50에 해당하는 농도가 각각 157.1 및 87.9 μg/mL로 나타나,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에 비해 몰로키아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이 월등이 높게 나타났다.
1.2.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시험
추출물들이 함유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추출물 시료 1 g에 증류수 10 mL을 첨가한 후, 2 mL의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5분간 반응하였다. 이 반응물에 20% 소듐 카보네이트를 2 mL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지표물질은 탄닌산(tannic acid)을 사용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각각의 추출물 시료 0.5 g에 10%의 aluminum nitrate 0.1 mL, 1 M의 potassium acetate 0.1 mL, 에탄올 4.3 mL을 순차적으로 넣고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40분간 반응시킨 후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지표물질은 퀘르세틴(quercetin)을 사용하였다.
각 추출물의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총폴리페놀 (μg/mL) 총플라보노이드 (μg/mL)
몰로키아 추출물 188.56 ± 3.5 89.5 ± 3.4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 82.5 ± 5.4 41.2 ± 3.8
총 폴리페놀 함량은 몰로키아 추출물이 188.56 μg/mL,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이 82.5 μg/mL로 몰로키아 추출물이 약 2.3배 이상 높게 나타났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몰로키아 추출물이 약 2.1배 가량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표 2). 즉, 몰로키아 추출물 내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더 많아 이로 인해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을 알수 있었다.
1.3. 항균성 시험
각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피부의 건강과 위생과 관련한 세균 1종(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효모 1종(Candida albicans ATCC 24433) 및 곰팡이 1종(Aspergilus fumigatus ATCC 96918)을 대상으로 Paper disk법으로 조사하였다. 상기 세균 및 진균은 ATCC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험 세균인 Sta. aureus를 BHI(Difco Laboratories) 평판배지에 7 log CFU/mL 이상 도말하고 상기에서 준비한 4개 농도(12.5, 25, 50, 100 μg/mL)로 준비한 추출물 용액에 paper disk를 충분히 담군 후 중앙에 부착한 후 37℃에서 20시간 배양 후 paper disk를 중심으로 생성된 생육 저해환(clear zone)의 지름을 측정하여 항균성 여부와 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 효모인 Can. albicans는 sabouraud dextrose(Difco Laboratories) 평판배지에, 시험 곰팡이 Asp. fumigatus는 PDA 평판배지에 각각 1×106 CFU/mL로 도말한 후 농도별로 준비한 각각의 추출물 용액에 paper disk를 충분히 담근 후 중앙에 부착한 후 25℃에서 72시간 배양 후 paper disk를 중심으로 생성된 저해환의 지름을 측정하여 항균성 여부와 정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의 시험 균주 3종에 대한 항균성 시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항균 활성 시험 결과
추출물 Paper disc에 도포한 용량
(μg/mL)
항균 활성(생육 저지환의 크기, mm)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Aspergilus fumigatus
몰로키아 12.5 ++ + +
20.0 +++ ++ ++
50.0 ++++ +++ +++
100.0 +++++ ++++ ++++
민들레+보리 12.5 - - -
20.0 - - -
50.0 - - +
100.0 + + ++
활성 없음 : -, 10 mm 미만 : +, 10-14 mm : ++, 15-19 mm : +++, 20-24 : ++++, 25-30 mm : +++++, 30 mm 초과 : ++++++
몰로키아추출물에서 시험 균주 3종에 대한 항균 활성이 발견되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균인 Sta. aureus에 대해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냈고, 진균류인 Can. albicansAsp. fumigatus에 대해서도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다. 반면에 민들레보리혼합추출물은 항균 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단지 100 μg/mL의 농도에서 10 mm 정도의 약한 생육 저해 활성을 보였다.
실험예 2: 세포 실험을 통한 추출물의 피부 활성 평가
2.1. 세포독성(세포 생존율) 측정
본 발명에 사용한 사람 유래 피부각질 형성세포(HaCaT cell)는 DMEM에 10% FBS와 1% penicillin-strep-tomycin이 함유된 배지를 사용하여 37°C, 5% CO2 incubator (MCO-170AIC, Panasonic, Osaka, Japan)에서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몰로키아 추출물 및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을 최대 100 μg/mL의 농도로 HaCaT 세포에 처리한 후 24시간 뒤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여 각 추출물의 세포 독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즉, HaCaT 세포 2×104 세포/well을 96 Well-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후, 각 추출물 시료를 처리하고 다시 24~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TT 용액(5 mg/mL) 10 μL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뒤 DMSO 100 μL를 분주하여 생성된 formazan을 녹여낸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몰로키아 추출물을 6.25~100 μg/mL 농도로 세포에 처리한 결과,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처리구와 유사하게 세포 생존율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는 달리,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을 6.25~100 μ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에는 무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여 121.45%로 나타났는데, 이는 세포 증식인자인 PCNA 단백질 발현량과도 동일하게 측정되었다(도 1-B). 즉, 두 추출물 모두 HaCaT 세포 내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몰로키아 추출물과는 달리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은 세포 생존율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PCNA 발현 또한 증가하였다.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의 세포증식 효과는 24시간 동안 반응시켰을 때에 50과 100 μg/mL 농도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세포 증식 효과는 48시간 반응시켰을때까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2-B).
2.2. HaCaT 세포 내 콜라겐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급격한 체중 증가는 피부의 표면적을 팽창시켜 염증이나 산화적 스트레스, 혹은 세포 내 환경의 변화에 따른 MMPs의 증가로 이어져 피부조직의 콜라겐이 분해되어 섬유조직이 끊어지고, 이는 피부가 건조하고 갈라지게 되어 결국 팽창선조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HaCaT 세포 내 콜라겐 발현은 팽창선조의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추출물이 콜라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동일한 조건에서 피부 탄력 인자인 콜라겐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 처리구에서 농도에 의존적으로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즉, 세포 독성 및 세포 증식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몰로키아 추출물과는 달리,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피부 탄력인자인 콜라겐의 mRNA 및 단백질의 발현 또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3. HaCaT 세포 내 보습인자(HAS-1과 HAS-2)에 미치는 영향
팽창선조가 유도되면 피부 팽창으로 인한 갈라짐과 건조함으로 인해 상처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피부 보습 유지는 팽창선조의 예방에 있어 꼭 필요하다. 대표적인 보습인자이면서도 수분 증발을 막는 장벽 역할을 하는 hyaluronic acid(HA)는 지속적인 hyaluronic acid synthase(HAS)에 의한 합성과 hyaluronase(HYAL)에 의한 분해에 의해 함량이 조절되기 때문에, 피부에서 HA의 함량을 유지 혹은 증대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HAS 유전자 발현의 증가에 따른 HA의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각 추출물이 세포 내 보습인자, HAS-1과 HAS-2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도 4),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HAS-1 및 HAS-2 mRNA 발현 및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몰로키아 추출물은 50 μg/mL 농도에서부터 HAS-1과 HAS-2 mRNA 발현이 무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피부 보습에 탁월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4. 비만세포와 섬유결합소(fibronectin)와의 결합력 측정
비만세포(mast cell)는 물리적 스트레스 조건에서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ㅇ인테그린(tegrin) 수용체 및 세포 기질인 섬유결합소와의 연결을 통해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비만세포는 엘라스틴(elastin)이나 콜라겐의 분해를 촉진하는 효소들의 발현을 촉진하고, 특히 콜라겐의 섬유조직을 느슨하게 하여 튼살 부위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각 추출물이 비만세포와 섬유결합소와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 인자 및 mRNA 발현을 조사하였다.
쥐의 점막 비만세포인 RBL-2H3를 15% FBS가 포함된 DMEM 배지가 들어있는 50×104 세포/well의 수준으로 6-Well Plate에 분주하고,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상기 세포에 농도별 각 추출물과 대조구(무처리구)로 DMSO를 처리하였다.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세포를 떼어내어 형광물질 Calcein-AM 3 μg/mL을 포함한 DMEM에 부유시킨 후 37℃에서 30분간 세포에 형광물질을 부착시켰다. 이후 세포를 0.1% BSA가 함유된 DMEM 배지로 3번 세척하여 세포에 부착되지 않은 형광물질을 제거하고 100×104 세포수/mL 농도로 조절하였다. 이후 fibronectin이 코팅된 96-well plate에 세포배양액을 100 uL 씩 접종한 후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시간 배양 후, 4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0.1% BSA가 포함된 DMEM 배지로 3번 세척한 후 다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합 정도는 세척 전 형광 값 대비 세척 후 형광 값의 상대적 값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BSA만 처리된 well에 비해 섬유결합소(fibronectin)이 코팅된 well에서 그 결합력이 증가한 반면, 민들레보리혼합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섬유결합소(fibronectin)에 대한 결합력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50과 100 μg/mL 농도에서 각각 약 28% 및 36%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즉,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은 활성화된 비반세포(mast cell)와 섬유결합소(fibronectin)와의 결합력을 감소시킴에 따라 피부 탄력인자를 분해하는 효소들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팽창선조 유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
- 팽창선조 개선을 위한 복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험예들을 통해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의 탄력 및 피부 보습효과를 확인함에 따라, 이 결과들을 근거로 하여 팽창선조에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완성하기 위하여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추출물들을 하기 표 4의 혼합비로 준비하였으며, 팽창선조 개선 효과를 갖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천연물 복합 조성물 혼합비
몰로키아 추출물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
비교예 1 100 0
비교예 2 0 100
실시예 1 70 30
실시예 2 50 50
실시예 3 30 70
실험예 3: 결합조직 단백질의 생성 및 분해에 미치는 영향 측정
3.1. HaCaT 세포 내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콜라겐 분해 저해 효과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감소된 콜라겐이 회복되는 비율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6-well plate에 분주된 HaCaT 세포가 80% 이상 자랐을 때, 농도별로 각 추출물을 1%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16~18시간 처리 후 2.5 mM의 H2O2를 6시간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 및 실시예 1 내지 3을 100 μg/mL의 농도로 HaCaT 세포에 처리한 다음, 콜라겐 분해 저해 효과를 비교하였다.
HaCaT 세포에 2.5 mM H2O2를 처리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결과(도 6),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전사인사 Nrf2의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이와 동일하게 Nrf2의 target 인자인 HO-1 또한 감소되었다. 이처럼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된 상태에서, 모든 처리구에서 H2O2로 인해 감소된 콜라겐 발현이 회복되었으며, 반대로 콜라겐 분해를 촉진하는 MMP-1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3.2. Type-1 프로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된 추출물이 피부 기질성분인 Type-1 프로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GF-β를 양성대조구로 사용하여, 프로콜라겐 분석(procollagen assay)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신생아의 표피조직에서 분리한 사람 진피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를 Modern Tissue Technology 사(MTT, Korea)로부터 분양받아 DMEM/F-12(3:1) 배지에 10% FBS를 첨가하여 1×104 세포l/cm2 농도로 배양하였다. 70~80% 정도 자랐을 때 1:3의 비율로 분주하여 계대배양 하였고, 3~4차 계대배양된 세포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Type-1 프로콜라겐의 양을 측정하는 실험을 위해서 섬유아세포를 48 Well-Plate에 90% 이상 배양한 후,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를 200 μg/mL의 농도로 가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배지 중에 유리된 Type-1 프로콜라겐의 양을 프로콜라겐 Type-1C-펩타이드 EIA 키트(procollagen type-1 C-peptide EIA kit, MK101, Takara,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Type 1 프로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시료명 프로콜라겐생합성 촉진 효과(%)
음성대조구 0
양성대조구(TGF-β 200 nM) 83.6±2.7
비교예1 68.5±3.4
비교예2 75.2±2.4
실시예 1 85.1±3.6
실시예 2 88.4±2.7
실시예 3 91.7±2.4
실험 결과(표 5), 실시예 1 내지 3은 세포 신호전달 물질인 TGF-β(양성대조구)보다 더 높은 프로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은 프로콜라겐의 생합성을 91.7% 촉진되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상기의 결과는 도 3에서 도출된 콜라겐의 함양 증가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Type-1 프로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3.2. 엘라스터레이즈 활성 억제 효과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된 복합 추출물의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엘라스터레이즈(Ellaster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람으로부터 직접 채취한 사람의 섬유 아세포에 시료를 처리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사람의 섬유 아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고 약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후, 실시예 1 내지 3 또는 비교예 1 내지 2를 200 μg/mL의 농도로 가하고 1일간 배양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여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엘라스틴 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엘라스틴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엘라스터레이즈의 기질인 Suc-(Ala) 3 NA의 NA가 분해되면서 생기는 색의 변화를 흡광도를 이용하여, 엘라스터레이즈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Bieth J. 1974). 이때, 대조구는 정제수만을 처리하였으며, 측정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복합 조성물의 엘라스터레이즈의 활성 억제 효과
시료명 엘라스터레이즈 활성억제 효과(%)
대조구(정제수) 0
비교예1 77.6±2.8
비교예2 70.5±2.6
실시예 1 86.2±4.3
실시예 2 82.5±3.6
실시예 3 78.7±3.8
실험결과, 실시예 1이 86.2%로 가장 높은 엘라스터레이즈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냈고, 비교예 2가 가장 낮게 70.5%의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몰로키아 추출물이 엘라스터레이즈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만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도 4)와 같은 경향을 보였고, 이는 조성물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우수한 탄력 증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3.3. 상처 치유(Wound healing) 시험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의 처리에 따라 산화적 스트레스로 감소되었던 콜라겐의 발현이 회복됨을 확인하였다(도 6). 특히, 비교예 2 및 실시예 1 내지 3은 활성화된 비반세포와 섬유결합소(fibronectin)와의 결합력을 감소시킴에 따라(도 5), 피부세포 내 세포 구조를 형성하고 피부 통합성(skin integrity)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요 ECM 단백질의 발현을 유지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각 추출물이 피부재생 혹은 리모델링(remodeling)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상처 치유(wound heal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HaCaT 세포의 성장율(confluency)이 80~85%가 달했을 때 바늘을 이용하여 ㅅ세포 배양 플레이트 표면에 스크래치를 만들고, 1% FBS가 함유된 DMEM 배지에 각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2시간 이후 6시간 간격으로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의 변화를 관찰하고 촬영하였다.
복합 추출물의 상처 치유(wound healing) 효과
40% 회복에 소요되는 시간 80% 회복에 소요되는 시간
무처리구 9.2±1.2 b 18.7±1.8 d
비교예 1 5.5±1.1 a 12.1±1.3 c
비교예 2 5.4±1.4 11.2±1.2 bc
실시예 1 5.3±1.2 10.7±1.4 b
실시예 2 5.3±1.4 10.2±1.1 ab
실시예 3 5.2±1.3 9.6±1.2 a
그 결과, 무처리구에 비해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에 상처 회복이 빨리 나타났으며, 실시예 3에서 가장 빠른 회복시간을 나타났다(표 7, 도 7). 상처 회복 40% 및 80%에 이르는 시간을 비교해 본 결과, 무처리구에서는 9.2 시간 및 18.7시간으로 나타났으나, 3:7의 비율로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에는 5.3 시간 및 9.6 시간으로 나타났다. 즉, 실시예 3의 몰로키아 추출물 및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의 3:7 비율의 조성물이 단일 추출물들에 비해 상처 회복이 더 잘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피부세포의 수분 흡습성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조성물의 수분 흡습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간으로부터 직접 채취한 사람의 건조 표피세포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수득한 조성물(200 μg/mL)과 증류수를 각각 포화 흡수시키고, 흡수된 물의 양을 측정한 후, 48시간 건조 후 질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각각 측정된 질량 변화로부터 피부 세포 단위 질량당 흡수된 물의 양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실험은 표피세포에 흡습되는 물의 양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실제 사람의 피부에서도 그 보습 효과를 예상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람의 표피세포를 건조시켜 단위 질량당 함유된 수분의 양을 일정하게 만든 후, 각각의 표피세포 시료의 무게와 함유된 물의 양을 카이저 방법(Kaiser method)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물의 함량이 측정된 표피세포를 처리구, 정제수에 각각 24시간 담지하여 포화 흡수시켜준 뒤, 세포 내에 물이 포화흡수된 표피세포를 꺼내서 무게를 달고, 일부를 채취하여 카이저 수분측정기로 세포에 포집되어 있는 단위 질량당 수분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후, 다시 48시간 감압 건조하고 무게를 칭량하였다. 무게 측정 후, 일부를 채취하여 카이저 방법에 따라 수분량을 측정하여 함유한 단위 질량당 수분의 양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측정하였다.
Figure 112023022407598-pat00001
수분 흡습량
시료명 수분량
초기건조상태 포호상태 재건조 후
대조구(정제수) 400 700 400
비교예1 400 850 570
비교예2 400 840 570
실시예 1 400 900 640
실시예 2 400 890 630
실시예 3 400 910 650
실험 결과(표 8), 본 발명의 조성물들로 포화 흡습시킨 표피세포가 대조구(정제수 처리)에 의하여 포화 흡습된 표피세포보다 재건조 과정에 있어 훨씬 많은 물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우수한 피부 흡습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로부터 본 발명의 우수한 보습 효과를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한 팽창선조 개선 효과 측정시험
5.1. 실험 준비
5.1.1. 피시험자 선발
연구대상 피시험자는 팽창선조가 형성된 지 5년 이내에 급작스런 체중 증가나 감소를 경험한 20대 초중반의 여성으로 선정 기준에 부합하고 제외 기준에 부합하지 않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팽창선조 증상을 붉은색과 흰색 중 어느 한 쪽만을 갖고 있거나 모두를 갖고 있는 자로 선정하였다. 피험자 제외 기준으로는, 정신과적 질환이 있는 여성, 감염성 피부 질환이 있는 여성, 시험 참가 시점 3개월 이내에 면역 억제제 치료를 받은 여성, 시험 부위에 병변이 있어 측정이 곤란한 여성, 화장품, 의약품에 알러지가 있는 여성, 실험 진행 동안 추적 관찰이 힘든 여성, 기타 이 실험 연구자의 판단으로 실험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여성은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피험자의 평균연령은 24.5세, 평균 몸무게 54.7 kg, 평균 신장 160.8 cm이었고, 팽창선조 형성 기간은 3~5년이 10명, 1~3년이 8명, 1년 미만이 2명 순이었다. 형성 부위는 둔부 10명, 허벅지 7명, 종아리 안쪽 2명, 복부 1명 순이었다.
5.1.2. 시험 시료의 준비 및 적용
피시험자를 통한 팽창선조의 개선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상기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실시예 3의 조성물(몰로키아 추출물 30중량%, 민들레와 보리의 복합 추출물 70중량%)을 100 μg/mL의 농도로 정제수에 용해한 후 비이커에 담아 준비하였다. 5 cm×5 cm의 크기로 준비한 4층으로 접은 거즈(면포)를 시료 용액에 충분히 잠기게 한 다음, 핀셋으로 건진 후, 정치하며 흐르는 용액이 더 이상 없을 때, 시료를 적용할 신체 부위에 올려놓고 시험하였다.
시험 부위는 목표로 한 팽창선조 부위를 깨끗이 씻은 후 물기가 없도록 수건으로 잘 닦은 다음, 인체의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우측 팽창선조 부위에는 실시예 3을 함유한 면거즈를, 좌측에는 무처리구(정제수) 거즈를 사용하여 아침과 저녁 하루 2회, 20분 정치하도록 하였다. 팽창선조가 한군데 이상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가장 심한 부위를 우선으로 선정하도록 하였으며, 선정 부위 이외에는 어떠한 제품도 도포하지 않도록 하였다.
5.2. 개선도 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시험자에 대한 팽창선조 개선도 평가는 영상기기를 이용한 육안 평가, 기기 평가와 설문 평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5.2.1. 영상 기기를 이용한 육안 평가
육안 평가로는 영상 카메라로 실험 전과 실험 후에 팽창선조의 감소 상태를 촬영하여 기록하였다. 팽창선조가 생긴 시점, 팽창선조의 패인정도, 면적, 색깔 등을 기준으로 삼아 디지털 영상카메라로 실험 전과 실험 후 시점에서 대조군과 시험군으로 구분하여 각각 촬영하여 기록하였다. 피시험자 중 formative period가 1년에서 3년 사이에 있는 8명을 선정하여 4명은 시험군, 4명은 대조군으로 나누어 촬영, 평가하였다.
도 8과 같이, 시험구(실시예 3)를 처리한 피시험자의 둔부 또는 허벅지 부위로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 팽창선조 부위가 부분적으로 매꾸어져 길이가 짧아졌으며,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으나 전체적으로 팽창선조의 깊이가 얇아져 중간 중간 흐려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팽창선조가 매우 개선되어 실험 후의 이미지에서는 매우 흐려져 잘 보이지 않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팽창선조로 인한 패인부분이 흐려져 육안으로 판명했을 때 매우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육안 평가자 대상자 모두가 형성기간이 1년에서 3년 미만의 초기발생단계로 비교적 초기의 팽창선조가 개선도가 빨랐으며, 팽창선조 부위를 손으로 만져보았을 때 피험자 모두 공통적으로 유연감과 탄력이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조구에서는 팽창선조의 깊이와 길이, 색깔 등의 개선점을 찾을 수 없었다. 가로로 짧게 형성된 팽창선조의 깊이와 길이가 거의 감소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팽창선조가 전혀 개선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2.2. 초음파진단영상기에 의한 echo-pore zone 측정
기기 평가는 시험 전과 1개월 시점, 1개월 시점, 3개월 시점에 초음파 영상 진단기로 이미지를 스캔한 뒤 각 이미지 마다 B스캔 모드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길이 값인 line 1, 두께를 나타내는 평균 거리, 조직의 밀도를 알 수 있는 pixel 및 밀도 값을 기록하였다. 팽창선조로 인한 피부 결합조직의 균열을 평가하기 위하여 덴마크의 Cortex Thechnology사가 제작한 2차원 초음파 영상진단기(Dermascan C ver 3)를 사용하였다. 프로브의 주파수는 20 MHz로, 젤을 도포한 프로브에 의하여 초음파가 쏘여지면 피부구조상 빈약한 부분이 투과된다.
조성물 처리 팽창선조의 초음파 영상진단 cho-pore zone 관찰 결과
평가항목 시 료 측정 값
직 후 1개월 2개월 3개월
길이 대조구 12.43 mm 12.35 mm 12.59 mm 12.56 mm
실시예 3 14.25 mm 13.28 mm 12.89 mm 12.48 mm
평균 거리 대조구 1.509 mm 1.507 mm 1.533 mm 1.541 mm
실시예 3 1.247 mm 1.132mm 1.134 mm 1.008mm
Pixels 대조구 15956 16758 14548 15708
실시예 3 10956 13758 14275 15052
밀도 대조구 1.125 1.162 1.261 1.187
실시예 3 1.325 1.248 0.6430 0.568
실험 결과,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구에 대한 초음파 영상 값에 대한 길이, 평균 거리, 픽셀(pixel) 및 밀도 값을 기록하였다. 밀도 측정값은 평가의 기준이라 할 수 있는데, 사용 후 1개월 시점에서 다소 줄어들었으나 3개월 시점에서는 오히려 증가하여 진피층의 손상된 조직이 개선되었다고 보기 어려웠다. 반면에, 실시예 3을 시험한 초음파 영상 값에 대한 길이값, 평균 거리값, pixel 및 밀도값을 기록하였다. 강도(Intensity) 측정값은 평가의 기준이라 할 수 있는데, 실시예 3의 밀도값이 실험 전에 1.325에서 실험 후에 0.586으로 현저히 줄어들었으므로 진피층의 균열조직 감소와 함께 탄력이 증가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대조구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5.2.3. 피시험자에 의한 설문 평가
설문 평가는 피험자 특징을 중심으로 피험자가 시험물질과 대조용 물질을 사용하면서 실제로 팽창선조 개선에 효능이 있었는지를 주관적 생각을 질문에 필답하는 식으로 실시하였다. 실험 전과 실험 후, 피부의 유연함, 피부의 탄력, 팽창선조의 길이와 깊이의 감소, 주위와의 경계면 감소, 그리고 제품의 도포 시 피부의 불편함이나 부작용 경험을 묻는 설문 문항을 실험 전과 실험 후 자가 평가하였다.
피부 자극 설문 평가 결과
문항 2개월 후 3개월 후
대조구 실시예 3 대조구 실시예 3
가렵다 0 3 0 0
바늘로 찌르듯이 아프다 0 0 0 0
화끈거린다 0 0 0 0
따끔거린다 0 0 0 0
당기고 건조하다 0 0 0 0
홍반 0 0 0 0
부종 0 0 0 0
뾰루지 0 0 0 0
없다. 20 17 20 20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부 자극성에 대한 설문 평가에서 대조구는 피시험자 모두 2개월 시점과 3개월 시점에 있어 자극이 없었다고 하였고, 시험군의 2개월 시점에서 약간의 가려움을 호소하였으나 자극의 정도는 모두 경미하였고 일시적이었다.
팽창선조의 변화에 대한 설문 답변 결과
설문 항목 대조구 실시예 3
면적 감소 옅어졌다 0 16
모르겠다 4 3
그렇지 않다 16 1
색 감소 옅어졌다 0 20
모르겠다 4 0
그렇지 않다 16 0
길이 감소 옅어졌다 0 16
모르겠다 0 4
그렇지 않다 20 0
경계면 감소 옅어졌다 0 17
모르겠다 1 3
그렇지 않다 19 0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한 팽창선조의 개선 효능 평가에 대한 피시험자의 설문평가 결과(표 11), 시험 후 팽창선조 면적 감소를 묻는 설문에 실시예 3을 처리한 시험구는 응답자의 85%가 “감소하였다”고 답한 반면, 무처리구인 대조구는 응답자의 80%가 “그렇지 않다”라고 답하였다. 다음으로 색의 감소에 대한 설문에 시험군은 100%가 “옅어졌다”라고 답한 반면, 대조군은 80%가 “그렇지 않다”라고 응답하였다. 길이의 감소에 대한 설문은 시험구의 80%가 “줄었다”라고 응답했으나 대조군은 100%가 길이 감소에 대한 효능이 없었다고 답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 후 팽창선조와 주위 피부와의 경계면 감소를 묻는 설문에 시험구의 85%가 “감소하였다”라고 응답한 반면, 대조구의 95%가 “그렇지 않다”라고 답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3을 처리 받은 시험구가 팽창선조의 개선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통계처리:
모든 실험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기하였으며 각 군 처리 간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SPSS 18.0 (SPSS, Chicago, USA)을 이용한 Student’s t-test로 하였으며, p 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유의성 평가는 one-way ANOVA를 시행하였으며, 이에 p 값이 0.05 이하인 경우 Dunnett’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통하여 사후 검증을 수행하였다.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한 기기 시험 및 설문 결과에서 실험에 참여한 피시험자 특징, 팽창선조 개선 효능에 관한 자가 평가의 분석은 기술적 통계를 이용하였다.
제형(formulation)예:
1. 분말 제제의 제조
실시예 1내지 3에서 수득한 팽창선조 개선 효능을 갖는 조성물을 함유한 팽창선조 개선 제제는 통상의 동결건조 방법이나 열풍건조 방법으로 건조한 다음, 부형제와 혼합하여 제조된다.
2. 팽창선조 개선용 분무 스프레이의 제조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팽창선조 개선용 스프레이는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팽창선조 개선 효능을 갖는 조성물 분말 10.00 중량%, 옥시메타졸린이나 자일로메타졸린 0.10 중량%, 클로로페닐아민 0.01 중량%, 소르비톨 0.10 중량%, 생리식염수 잔량 중량%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3. 피부 외용제제의 제조
3.1. 연고의 제조
연고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팽창선조 개선 효능을 갖는 복합 조성물 분말 10.00 중량%, 카프린/카프릴트리글리세리드 10.00 중량%, 액상 파라핀 10.00 중량%, 소르비탄세스퀴놀리에이트 6.00 중량%, 옥틸도데세스-25 9.00 중량%,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10.00 중량%, 스쿠알란 1.00 중량%, 살리실산 1.00 중량%, 글리세린 15.00 중량%, 소르비톨 10.00 중량%, 정제수 잔량 중량%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3.2. 하이드로겔의 제조
하이드로겔 패치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팽창선조 개선 효능을 갖는 복합 조성물 분말 8.0 중량%, 폴리비닐알콜 20 중량% 및 글리세린 5 중량%와 정제수 잔량 중량%을 혼합하고, 121℃에서 15분간 가압멸균하며 혼합 수용액을 제조한다. 제조된 수용액을 친수성 부직포와 통기성 폴리에틸렌 필름을 합지한 수분증발 방지막의 부직포 표면에 부어 2 mm 두께로 캐스팅한 후, 영하 76℃에서 3분간 냉동한 다음 상온으로 융해하여 물리적인 가교 구조를 형성하게 하여 제조된다. 멸균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가교된 하이드로겔을 포장한 후 25 kGy/h로 방사선(감마선, 전자선,X-선 중 하나의 이온화 방사선)을 조사한 다음, 추가로 1 kGy/h의 흡수선량으로 추가로 조사하여 멸균된 수화겔을 제조한다.
4. 화장품의 제조
4.1. 스킨 토닉의 제조
화장수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95% 에탄올 8g에 폴리피로리돈 0.05g, 폴리올알콜 0.1g,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0.2g, 향료 0.2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1g, 소량의 산화방지제, 소량의 색소를 혼합하고 용해한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팽창선조 개선 효능을 갖는 복합 조성물 분말 1g, 글리세린 5g을 정제수 잔량 중량%에 용해한 것에 상기 혼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팽창선조가 나타난 부위에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수를 얻는다.
4.2. 바디 로션의 제조
바디 로션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팽창선조 개선 효능을 갖는 복합 조성물 분말 2.00 중량%, 글리세린 3.00 중량%, 카보머 0.10 중량%, 잔탄검 0.05 중량%, 1,3-부틸렌 글리콜 3.00 중량%,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1.50 중량%,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0 중량%, 세틸아릴 알콜 0.30 중량%, 호호바 오일 3.00 중량%, 유동 파라핀 2.00 중량%, 스쿠알란 3.00 중량%, 디메치콘 0.50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0 중량%,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중량%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4.3. 바디 에센스 로션의 제조
바디 에센스 로션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세틸 알콜(setyl alcohol) 1.2g, 스쿠알란 10g, 바세린 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2g, 글리세린모노에스테아리에트 1g, 폴리옥시에틸렌(20몰 부가)모노올레이트 1g 및 향료 0.1g을 70℃에서 가열혼합 용해하고,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팽창선조 개선 효능을 갖는 복합 조성물 분말 2.00g, 디프로필렌글리콜 5g,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g, 트리에탄올아민 0.2g, 정제수 잔량 중량%를 75℃로 가열하여 가열용해 시킨다. 양자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하여 팽창선조의 개선 효과가 있는 유액을 얻는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제조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팽창선조 개선 효능을 갖는 복합 조성물은 팽창선조로 나타나는 주름, 피부색 변화 등의 증상의 경감, 완화 및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팽창선조 개선 의약품이나 의약외품, 또는 화장품 등의 개발 및 제품화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3.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몰로키아 추출물이 30~70중량%이고, 민들레 및 보리의 복합 추출물이 70~30중량%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몰로키아 추출물은 몰로키아 잎추출물이고, 민들레 및 보리의 복합 추출물은 민들레 줄기와 보리의 등중량 혼합물의 추출물인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몰로키아 추출물이 30중량%이고, 민들레 및 보리의 복합 추출물이 70중량%인 조성물.
KR1020230025635A 2023-02-27 2023-02-27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34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635A KR102534261B1 (ko) 2023-02-27 2023-02-27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635A KR102534261B1 (ko) 2023-02-27 2023-02-27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261B1 true KR102534261B1 (ko) 2023-05-30
KR102534261B9 KR102534261B9 (ko) 2023-09-07

Family

ID=8652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5635A KR102534261B1 (ko) 2023-02-27 2023-02-27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26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095A (ko) * 2002-01-29 2003-08-06 오세군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7515A (ko) * 2003-06-13 2007-07-26 엥겔하드 리옹 탄력섬유형성의 불완전, 결여 혹은 해체로 인한 질병을제어하는 라이실 옥시다제의 동종효소의 활성 촉진
KR20130127731A (ko) * 2012-05-15 2013-11-25 한국원자력연구원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05576B1 (ko) 2014-08-08 2015-03-2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아스파라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팽창선조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97488B1 (ko) 2018-02-28 2018-09-12 스킨79 주식회사 피부장벽강화, 피부재생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9835A (ko) 2020-02-28 2021-09-07 (주)인터케어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095A (ko) * 2002-01-29 2003-08-06 오세군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7515A (ko) * 2003-06-13 2007-07-26 엥겔하드 리옹 탄력섬유형성의 불완전, 결여 혹은 해체로 인한 질병을제어하는 라이실 옥시다제의 동종효소의 활성 촉진
KR20130127731A (ko) * 2012-05-15 2013-11-25 한국원자력연구원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76202B1 (ko) 2012-05-15 2014-03-26 한국원자력연구원 민들레 및 보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05576B1 (ko) 2014-08-08 2015-03-2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아스파라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팽창선조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97488B1 (ko) 2018-02-28 2018-09-12 스킨79 주식회사 피부장벽강화, 피부재생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9835A (ko) 2020-02-28 2021-09-07 (주)인터케어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261B9 (ko)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1834B (zh) Abnormal protein removal composition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0812596B1 (ko) 천연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
MX2011003940A (es) Proceso para extraer glucosidos cardiacos y composiciones.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1147541B1 (ko) 우방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00010316A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2500B1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200063855A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JP2011088845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KR20090017282A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33921B1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505576B1 (ko) 아스파라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팽창선조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17619B1 (ko)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KR20110128384A (ko) 미담 경옥고를 이용한 피부 주름, 보습, 미백을 위한 조성물질 및 제조법
KR102585685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34261B1 (ko)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50331B1 (ko)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803757B1 (ko) 생약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01538B1 (ko) 손바닥선인장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96272A (ko) 아이스플랜트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76655B1 (ko) 미세침 분말 및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1417B1 (ko)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