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835A -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835A
KR20210109835A KR1020200024928A KR20200024928A KR20210109835A KR 20210109835 A KR20210109835 A KR 20210109835A KR 1020200024928 A KR1020200024928 A KR 1020200024928A KR 20200024928 A KR20200024928 A KR 20200024928A KR 20210109835 A KR20210109835 A KR 20210109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okra
parsley
examples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399B1 (ko
Inventor
장아름
박혜진
한수민
이시영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주)인터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케어 filed Critical (주)인터케어
Priority to KR102020002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39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9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로써,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방법은 우수한 보습 효과 또는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Skin moisturizing and 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mixed extract using okra, molokhia and parsley}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노화가 일차적으로 나타나는 기관으로, 피부의 노화는 유전적 인자, 자외선에 노출 정도, 물리/화학적 스트레스에 의한 각종 활성산소 및 산화성 자유 라디컬 생성 증가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진행 속도 및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자외선은 피부 세포 내 활성 산소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생성된 각종 활성 산소는 세포 내 단백질, 지질 또는 핵산 등을 손상시키거나, 콜라겐의 합성량 감소, 멜라닌 합성량 증가 및 금속 단백질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세포외 기질(extra cellular matrix; ECM)을 분해하여 피부암, 색소침착 등을 비롯한 여러 만성 피부 질환과 피부노화를 일으킨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피부노화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백, 주름개선, 항염 및 보습 등 다기능성을 지닌 인공합성 소재를 주로 사용해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계면활성제를 비롯하여 다양한 합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인체 과민반응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는 바, 천연물질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 물질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7-0130307)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일 양상은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
또 다른 양상은 개체의 피부에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주름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오크라”, “Hibiscus esculentus” 또는 “okra”이란 아프리카 북동부 원산지의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아욱목 아욱과의 다년생초로써, 여자 손가락 모양과 비슷하다 하여 레이디스 핑거로도 불릴 수 있다. 자양강장 성분이 있어 피로회복에 좋으며 섭취 시 배변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오크라, 또는 오크라 추출물은 오크라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를 들어, 열매, 잎, 뿌리, 줄기, 가지, 어린가지, 껍질 및 종자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과피를 제거한 성숙된 열매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몰로키아”, “Corchorus olitorius L.”, “Melokhia” 또는 멜로키아는 이집트 원산의 식물로 시금치와 비슷한 맛이 나는 채소를 의미할 수 있다. 몰로키아는 다량의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철분, 마그네슘, 비타민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몰로키아, 또는 몰로키아 추출물은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를 들어, 열매, 잎, 뿌리, 줄기, 가지, 어린가지, 껍질 및 종자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잎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파슬리”, “Petroselinum crispum” 또는 “parsley”란 지중해 연안, 프랑스 남부 원산지인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두해살이풀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파슬리는 서양 기초 요리에 향신료로 많이 쓰이며, 비타민과 칼슘이 다량 들어 있어 영양가가 높다.
상기 파슬리, 또는 파슬리 추출물은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를 들어, 열매, 잎, 뿌리, 줄기, 가지, 어린가지, 껍질 및 종자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는 압착법 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추출방법으로 추출되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으며, 용매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일정한 압력 조건에서 일정한 크기의 필터로 걸러질 수도 있다.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는 추출법으로는 예컨대, (a)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용어 “M/F 공정”은 고압 균질기(Microfluidizer)를 사용하여 500 내지 1000bar의 기압 하에서 1 내지 5회 균질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압은 500 내지 900bar, 600 내지 800bar일 수 있고, 균질화 과정은 2 내지 5회, 2 내지 4회, 2 내지 3회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 중량비는 1~9:1~9:1~9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중량비는 1~8:1~8:1~8, 1~7:1~7:1~7, 1~6:1~6:1~6, 1~5:1~5:1~5, 1~4:1~4:1~4, 1~3:1~3:1~3, 1~2:1~2:1~2, 2~5:2~5:2~5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0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0.01 내지 80, 0.01 내지 70, 0.01 내지 60, 0.01 내지 50, 0.01 내지 40, 0.01 내지 30, 0.01 내지 20, 0.01 내지 15, 0.01 내지 10, 0.01 내지 8, 0.01 내지 5중량%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개선용 또는 보습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프로콜라겐 및 Col1a1 mRNA를 발현 촉진, 아쿠아포린 단백질 및 mRNA 발현 촉진, HAS-3 및 필라그린 단백질 및 mRNA의 발현량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의 노화, 건조 또는 염증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예방”은 피부의 노화, 건조 또는 염증 증상을 방지하거나, 피부의 노화, 건조 또는 염증 증상을 지연시키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컨대 안정화제, 가용화제,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또 다른 양상은 개체의 피부에 상기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개선 및 주름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용어 "개체"란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세포 등의 모든 생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고, 인 비보(in vivo) 뿐만 아니라 인 비트로(in vitro)의 상태도 포함한다.
용어 "적용"은 손가락, 브러쉬, 솜뭉치, 패드, 스프레이, 스폰지, 면봉, 롤-온(roll-on) 등에 의한 적용과 같이, 개체의 피부에 투여 또는 도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적용하는 적절한 방법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보습 증진 효과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유효성분 간 시너지 효과로 인해 낮은 농도에서도 피부 보습력 향상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원물 3종은 국내에서 모두 구입하였으며, 각각 따로 추출하였다.
제조예 1: 오크라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국내산 오크라 열매를 잘게 세절하여 50~80℃의 정제수에서 Water bath를 이용하여 3~6시간 추출한 후 Mesh로 1차 여과를 진행한 후, 와트만(Whatman)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를 진행하였다.
제조예 2: 몰로키아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국내산 몰로키아잎(건물)을 잘게 세절하여 50~80℃의 정제수에서 Water bath를 이용하여 3~6시간 추출한 후 Mesh로 1차 여과를 진행한 후, 와트만(Whatman)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를 진행하였다.
제조예 3: 파슬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국내산 파슬리를 잘게 세절하여 50~80℃의 정제수에서 Water bath를 이용하여 3~6시간 추출한 후 Mesh로 1차 여과를 진행한 후, 와트만(Whatman)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를 진행하였다.
제조예 4: Complex (1)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오크라, 몰로키아, 파슬리추출물을 각각 5 : 3 : 2 중량비로 혼합한 Complex (1)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Complex (2)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오크라, 몰로키아, 파슬리추출물을 각각 3 : 5 : 2 중량비로 혼합한 Complex (2)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Complex (3)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오크라, 몰로키아, 파슬리추출물을 각각 2 : 3 : 5 중량비로 혼합한 Complex (3)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complex(1)에 M/F 공정의 추가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오크라, 몰로키아, 파슬리추출물을 각각 5 : 3 : 2 중량비로 혼합한 Complex (1)에 M/F(Microfluidizer) 공정을 추가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M/F 공정은 Complex (1) 샘플을 고압 균질기를 이용하여 500 내지 1000bar의 조건에서 2회의 균질화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실시예]
상기 제조한 제조예 1 내지 7에 사용감 부여를 위해 글리세린 및 1,3-부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을 첨가하였으며, 방부 효과를 위해 1,2-헥산다이올(1,2-Hexandiol)를 첨가하여 최종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와 비교예의 유효성분의 중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성분(w/w중량%)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제조예1 1.0 - - - - - -
제조예2 - 1.0 - - - - -
제조예3 - - 1.0 - - - -
제조예4 - - - 1.0 - - -
제조예5 - - - - 1.0 - -
제조예6 - - - - - 1.0 -
제조예7 - 1.0
글리세린 2.0 2.0 2.0 2.0 2.0 2.0 2.0
1,3-부틸렌글라이콜 3.0 3.0 3.0 3.0 3.0 3.0 3.0
1,2-헥산다이올 2.0 2.0 2.0 2.0 2.0 2.0 2.0
실험예1: 화장료 조성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능 확인
화장료 조성물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하는 실험 과정은 하기와 같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ToTal Polyphenol Contents Assay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100ul와Folin & Ciocalteu’s phenol reagent 100ul, 증류수900ul를 혼합한 다음 반응하였다. 반응 후, 10 % Sodium Carbonate 100μl와 약 1시간 반응시킨 다음 6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인 카테킨(Catechin)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검량곡선을 작성하고, 작성된 검량곡선을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페놀 함량을 계산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농도에서 DPPH Assay 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95% ethanol 에 용해시킨0.15 mM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Sigma, USA) 800ul와 각 실험군200ul을E.P. tube 에 넣고3분동안voltexing한 다음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ascorbic acid (Sigma, USA)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실시예1 내지4가 더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1 내지 3에 비하여 실시예1 내지 4가 우수한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이는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3보다, 각 추출물을 특정 비율로 혼합한 실시예1 내지 4가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더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가져 항산화능이 높음을 의미한다.
시료 총 폴리페놀 함량(㎍/㎖)
대조군(Catechin, 0.02%) 212.63
비교예1 21.47
비교예2 20.59
비교예3 22.09
실시예1 258.06
실시예2 210.23
실시예3 180.42
실시예4(m/f공정 추가) 247.11
시료 DPPH Radical Scavanging Activity 저해율(%)
대조군(Ascorbic Acid, 0.01%) 91.1
비교예1 8.68
비교예2 10.78
비교예3 0.5
실시예1 72.5
실시예2 69.5
실시예3 62.3
실시예4(m/f공정 추가) 73.2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효과의 확인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쿠아포린-3(AQP-3), HAS-3 mRNA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다. 발현 수준을 확인하는 실험 과정은 하기와 같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다양한 농도 처리에 따른 아쿠아포린-3(AQP-3) 및HAS-3 mRNA 발현 수준을 확인한 실시간PCR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를 배양한 후,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각각 처리하고mRNA를 수득하여AQP-3, HAS-3 발현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처리하지 않은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TGF-β를 처리한 군을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상기PCR에 사용된AQP-3, HAS-3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프라이머명 서열 서열번호
AQP3_forward AGACAGCCCCTTCAGGATTT 3
AQP3_reverse TCCCTTGCCCTGAATATCTG 4
HAS-3 _foward CTTAAGGGTTGCTTGCTTGC 5
HAS-3_reverse GTTCGTGGGAGATGAAGGAA 6
하기 표 5 및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실시예 1 내지 4가 더 많은 양의 아쿠아포린-3(AQP-3) 및 HAS-3 mRNA를 발현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실시예 4가 가장 많은 양의 프로콜라겐 및 Col1a1 mRNA를 발현하고 있었다
이는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3보다, 각 추출물을 특정 비율로 혼합한 실시예1 내지 4가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더 우수한 보습 효과를 가짐을 의미한다.
시료 Aquaporin-3
대조군 1
비교예1 1.56
비교예2 1.37
비교예3 1.1
실시예1 3.61
실시예2 3.01
실시예3 2.83
실시예4(m/f공정 추가) 3.9
시료 HAS-3
대조군 1
비교예1 1.42
비교예2 1.27
비교예3 1.3
실시예1 3.22
실시예2 2.96
실시예3 2.17
실시예4(m/f공정 추가) 4.01
실험예3: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개선 효과 확인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콜라겐 및 Col1a1 mRNA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과정은 하기와 같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 처리에 따른 프로콜라겐의 생산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피부 세포의 주름과 관련된 콜라겐은 프로콜라겐(procollagen)이라는 전구물질의 형태로 합성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프로콜라겐 펩타이드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세포 내에서의 콜라겐 합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비교예, 실시예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의 프로콜라겐의 상대적인 생산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또는 비교예를 처리하지 않은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TGF-β를 처리한 군을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 처리에 따른Col1a1 mRNA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실시간PCR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또는 비교예를 처리하지 않은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TGF-β를 처리한 군을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상기 PCR에 사용된Col1a1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7에 기재하였다.
프라이머명 서열 서열번호
Col1a1_forward AGGGCCAAGACGAAGACATC 1
Col1a1_reverse AGATCACGTCATCGCACAACA 2
그 결과, 표 8 및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4의 프로콜라겐 및 Col1a1 mRNA의 발현 수준이 비교예 1 내지 3보다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3보다, 각 추출물을 특정 비율로 혼합한 실시예 1 내지4가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더 우수한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짐을 의미한다.
시료 발현량(%)
대조군 1
TGF-β(2ng/ml) 147.64
비교예1 40.42
비교예2 25.12
비교예3 10.11
실시예1 109.54
실시예2 101.2
실시예3 99.4
실시예4(m/f공정 추가) 114.04
시료 발현량(%)
대조군 1
TGF-β(2ng/ml) 316.42
비교예1 39.71
비교예2 32.69
비교예3 15.53
실시예1 113.013
실시예2 109.11
실시예3 101.04
실시예4(m/f공정 추가) 117.42

Claims (6)

  1.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 중량비는 1~9:1~9:1~9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0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개선용 또는 주름 개선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개체의 피부에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개선 또는 주름 개선 방법.
KR1020200024928A 2020-02-28 2020-02-28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580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928A KR102580399B1 (ko) 2020-02-28 2020-02-28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928A KR102580399B1 (ko) 2020-02-28 2020-02-28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835A true KR20210109835A (ko) 2021-09-07
KR102580399B1 KR102580399B1 (ko) 2023-09-20

Family

ID=7779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928A KR102580399B1 (ko) 2020-02-28 2020-02-28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3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379B1 (ko) * 2022-11-22 2023-05-03 록야 주식회사 클로로겐산이 증대된 몰로키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534261B1 (ko) 2023-02-27 2023-05-30 주식회사 바이오코스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1410A (ja) * 1996-02-14 1997-08-26 Noevir Co Ltd 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2000264833A (ja) * 1999-03-18 2000-09-26 Fancl Corp 皮膚化粧料
KR20030065095A (ko) * 2002-01-29 2003-08-06 오세군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0922A (ko) * 2013-06-25 2015-01-0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오크라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1410A (ja) * 1996-02-14 1997-08-26 Noevir Co Ltd 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2000264833A (ja) * 1999-03-18 2000-09-26 Fancl Corp 皮膚化粧料
KR20030065095A (ko) * 2002-01-29 2003-08-06 오세군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0922A (ko) * 2013-06-25 2015-01-0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오크라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blog.naver.com/dong13bang/221785738909, 네이버 블로그, 블랙보리 장벽크림 자연의 순한 약산성 고보습 얼스노트 블랙보리 카밍 딥크림, 2020.01.3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379B1 (ko) * 2022-11-22 2023-05-03 록야 주식회사 클로로겐산이 증대된 몰로키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534261B1 (ko) 2023-02-27 2023-05-30 주식회사 바이오코스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399B1 (ko)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86669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청미래덩굴 추출물 함유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80399B1 (ko)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1308669B1 (ko) 오크라, 다시마, 참마, 모로헤이야, 연근, 폴리글루탐산을 이용하여 구성된 네바네바컴플랙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3018B1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 안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56263B1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4929A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38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75485B1 (ko) 계혈등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9964A (ko)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8173A (ko) 큰실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40052318A (ko)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67501B1 (ko) 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644064B1 (ko) 포도, 올리브잎 및 몰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6234B1 (ko) 데스모디움 스컥스(Desmodium sequax Wall) 유래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보이는 용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KR101664878B1 (ko)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4428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64798B1 (ko) 아로니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모공개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