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964A -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964A
KR20140019964A KR1020120086149A KR20120086149A KR20140019964A KR 20140019964 A KR20140019964 A KR 20140019964A KR 1020120086149 A KR1020120086149 A KR 1020120086149A KR 20120086149 A KR20120086149 A KR 20120086149A KR 20140019964 A KR20140019964 A KR 20140019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distillation
skin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유미
박소현
함수진
한현탁
조진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6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9964A/ko
Publication of KR20140019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3Gleditsia (locu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행인(Prunus Armeniaca (Apricot) Kernel) 및 주엽나무(Gleditsia japonica) 열매를 추출 용매로 증류 추출하여 얻어지는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 얻어진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증류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및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어 화장료 제품에 적용시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고 보습능을 향상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DISTILLED EXTRACTS OF PRUNUS AMENIAXA KERNEL AND GLEDITSIA JAPONICA NUT, PREPARATION METHOD THEREOF, 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 및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어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을 개선하기 위한 각종 화장료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노화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 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그 원인으로는 크게 내적인 노화(intrinsic aging)와 광노화(photo-aging)로 구분되며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상태, 환경인자, 상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프리라디칼이 활성화되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런 상태가 심화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성인병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 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특히 단백질의 산화는 피부의 결합조직인 콜라겐(collagen),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엘라스틴(elastin),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피브로넥틴(fibronectin) 등이 절단되어 심한 과다 염증반응과 피부의 탄력에 지장을 준다. 그리고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 DNA의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기능 저하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신체의 대사 과정 중 발생하는 프리라디칼이나 자외선 조사, 염증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프리라디칼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해야 한다. 또한 이미 손상 받은 세포는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재생시켜서 세포를 증식시켜야 피부는 빠르게 회복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노화에는 프리라디칼 뿐만 아니라 피부 주름의 발생 원인 중 하나로 피부교원질(콜라겐)의 결핍을 들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 진피를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구조와 탄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콜라겐은 나이가 들면서 생성의 감소를 보이며 분해도 증가되어 피부 진피층의 함몰을 유도하여 피부의 주름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피층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는 피부 구성 주요 단백질인 콜라겐의 합성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콜라겐의 생성 증가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능 향상 및 주름 개선 효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한편, 화장료 조성성분으로 다양한 화학물질을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 이러한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최근 천연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8-0103206호에서는 검은콩, 감국, 백급, 약쑥, 천문동, 황금추출물의 천연복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0032715호는 양하, 백리향, 비자나무, 유채꽃, 오가피 등의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방지 화장료를 제안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074566호는 노화된 피부 지질 성분의 합성을 촉진하여 지질 장벽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콩 추출물과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천연물의 경우 수많은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성분들이 다 밝혀지지도 않았을 뿐만 아니라 효과가 어느 성분의 작용인지도 명확하지 않다.
일반 추출법에 비해 증류를 이용한 증류 추출법의 경우 어떤 용질이 녹아 있는 용액을 가열하여 얻고자 하는 액체의 끓는점에 도달하면 기상으로 변하고, 이를 다시 액화하여 액체 상태로 만들고 모으는 것이다. 증류 추출법은 열수 추출에 의해 얻어지는 일반 추출물과는 달리 기름기나 부유물이 없이 이슬처럼 맑고 투명한 증류 한방액을 얻을 수 있다고 해서 무공해 자연 용법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또한, 불순물이나 중금속 등을 제거해 인체에 무해하며 약재를 스팀으로 가열하여 약효의 손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양질의 성분만 뽑아낸 추출물은 증류과정을 거쳐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8-0103206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0032715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074566호
본 발명자들은 장기간에 걸쳐 다수의 천연물로부터 다양한 추출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여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벗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살구나무(Prunus armeniaca)의 씨인 행인(Prunus Armeniaca (Apricot) Kernel)과 콩과에 속하는 주엽나무(Gleditsia Japonica) 열매의 증류 추출물이 피부 항산화 효과, 콜라겐 합성 효과가 있으며, 이를 화장료에 적용할 경우 피부 보습 및 잔주름 완화효과가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피부 항산화 및 콜라겐 합성효과가 있는 유효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을 화장료의 용도로 적용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행인(Prunus Armeniaca (Apricot) Kernel) 및 주엽나무(Gleditsia japonica) 열매를 추출 용매로 증류 추출하여 얻어지는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추출 용매로 증류 추출한 상기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의 증류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및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어, 피부 탄력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각종 화장료 제품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 (b)는 실시예 1의 증류 추출물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증류 추출물의 고순도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스펙트럼이다.
도 3은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고순도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스펙트럼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사용한 시험군 및 대조군에서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사용한 시험군 및 대조군에서 활성산소(ROS) 저해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는 화장료 제품에 적용하기 위한 원료 물질로서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추출물을 사용하되, 상기 추출물의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물의 유익한 효과를 극대화하는 추출 방법을 제시한다.
종래 화장료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하는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추출물은 일반 열수 추출물의 추출액을 농축 및 건조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순 열수 추출이 아닌 추출 후 얻어진 추출액을 증류하는 추출액을 얻는 방법에 의해 수득된다.
행인(Prunus Armeniaca (Apricot) Kernel)은 벗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살구나무(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와 산살구나무(P. mandshurica Koehne)의 씨를 말린 것이다.
살구나무는 우리 나라 각지의 산과 들에서 자라며, 익은 열매를 따서 살을 벗기고 굳은 껍질을 까 버린 다음 끓는 물에 담가서 씨껍질을 없애고 그대로 또는 볶아서 쓴다. 행인은 민간에서 환을 지어 먹거나 가루로 만들어 복용하여 폐나 대장에 작용하고 가래를 삭히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미용에 효과가 좋아 그 가루를 화장품 원료 및 비누를 만들어 활용하고 있다.
주엽나무((Gleditsia japonica)는 콩과에 속하고 높이는 20미터까지 자라며, 줄기나 가지에 작은 가시같은 가시가 나는데 가시 단면이 납작하고 갈라진다.
주엽나무의 열매는 조협, 열매의 씨는 조각자 혹은 조협자라고 하며, 이들은 동의 보감에서 '뼈마디를 잘 쓰게 하고 두통을 낫게 하며 구규(九竅)를 잘 통하게 하고 가래침을 삭이고 기침을 멈추게 한다'고하고 있으며, 세종실록지리지에서도 여러 지방의 특산품으로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오래전부터 약으로 사용하였다.
상기한 효능이 알려진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하고, 이때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각 식물은,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추출물 1:0.1∼1:10의 중량비로 사용한다. 이러한 함량비는 각 성분이 나타내는 효과, 특히 노화와 관련한 콜라겐네이즈와 엘라스타제의 저해 활성을 고려하여 얻어진 것으로,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효능이 미비하고 하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변색 변취의 문제, 산화된 부산물의 결과물로 침전 현상이 발생하거나 자극의 원인을 제공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 공정이 아닌 증류 추출 공정에 의해 얻어진 증류 추출물이다.
이때 사용하는 증류 추출 장치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증류 추출 공정에서 사용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행인, 주엽나무 열매, 및 추출 용매가 저장 및 가열되는 플라스크와, 증기가 이동하는 통로와, 증기를 응축시키는 환류 냉각기와, 응축된 증류 추출물을 수집하기 위한 저장 용기로 이루어진다.
원료로 사용하는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는 시장에서 구입하거나, 직접 채취한 것을 세척 후 건조하여 사용하고, 이들 열매는 껍질, 종자를 모두 사용한다.
사용 가능한 추출 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사용하고, 바람직하기로 물을 사용하여, 원료 건조 중량의 1∼100배(부피)의 추출 용매를 부가한다.
이어 25∼100℃에서 1시간∼5일간 가열하여 증류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가열에 의해 기상 상태의 증류 추출물과 추출 용매는 통로를 통해 이동하고, 환류 냉각기에 의해 액상으로 응축되어 저장 용기에 수집된다. 상기 저장 용기는 최소 하나 이상을 마련하여 증류 추출물과 추출 용매를 함께 또는 별도로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저장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증류 추출물과 추출 용매의 별도의 분리 공정을 더욱 수행한다.
상기 가열은 필요에 따라 감압 하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단계를 거쳐 얻어진 증류 추출액은 단순 열수 추출에 의한 추출액과 비교하여 그 유효 성분이 달라 이에 의한 효과 및 효능 또한 달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험예 1 및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증류 추출물과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증류 추출액이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단계를 거쳐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은 항산화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하고 노화와 관련한 콜라게나아제와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저해하여 화장료, 특히 노화방지용 화장료의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미백 효과 및 노화방지 효과와 함께 피부 흡수 가용성 및 산소에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피부 내 유해 산화물을 제거하여 세포 손상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 세포의 활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9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 중량%이다. 상기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문제점이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 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공지된 바의 어떠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체질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실리콘, α-히드록시산,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의 제조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증류액 제조용 약탕기에 각각 50.0g 주입하였다. 여기에 물 1.2L를 넣고 100℃에서 5시간 동안 증류 추출하여 증류액을 얻었다. 얻은 증류액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여 행인 증류 추출물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얻은 행인 증류 추출물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증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의 제조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약탕기에 각각 50.0g 주입하였다. 여기에 물 1.2L를 넣고 80℃에서 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300메쉬의 여과지에 여과 후 얻은 여과액을 10℃에서 7일 동안 숙성시킨 후 다시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얻은 여과액을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행인 추출물 및 주엽나무 열매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얻은 행인 추출물과 주엽나무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 후 1,3-부틸렌 글리콜에 1%(v/v)의 농도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추출물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각각의 추출물을 성상 및 조성을 확인하였다.
도 1의 (a)는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 (b)는 실시예 1의 증류 추출물을 보여주는 사진으로, 실시예 1의 증류 추출물은 엷은 황색의 투명한 액체이고,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은 진한 황색의 투명 액체로 성상에 차이를 보였다.
상기 성상의 차이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각 추출물의 조성을 확인하기 위해 고순도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2는 실시예 1의 증류 추출물의 고순도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스펙트럼이고, 도 3은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고순도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스펙트럼이다.
도 2 및 도 3을 보면, 각 추출물의 조성으로 인한 피크가 각각 다른 위치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이들 추출물의 조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2, 3의 결과에 대한 스펙트럼 지수 분율(spectrum index fraction)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 1의 증류 추출물은 205nm, 210.9nm, 222.7nm 에서 피크가 검출되었고, 도 3의 비교예 1은 278.3nm, 251.0nm, 219.1nm, 222.7nm 및 287.8nm에서 피크가 검출되어, 증류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조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프로콜라겐 타입1 펩타이드법을 이용한 콜라겐 합성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인간 정상 상피세포인 섬유아세포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각 웰당 1 x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100 ㎍/㎖로 첨가하여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콜라겐 키트(Takara, 일본)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 (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 (PIP) 양을 측정하여 ng/㎖ 환산하였으며, 이로 합성된 콜라겐의 양을 측정하였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사용한 시험군 및 대조군에서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증류 추출물이 비교예 1의 증류 추출물과 비교하여 콜라겐의 합성 능력이 우수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증류 추출물은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세포 생존성 측정을 통한 항산화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DCFH-DA(2',7'-dichlorofluorescin-diacetate)를 이용한 형광분석(fluorimetric assay) 평가법을 사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CFH-DA는 비극성분자로 용이하게 세포 내로 들어갈 수 있으며 세포 내의 에스테라제에 의해 비형광성 극성분자인 DCFH으로 분리된 후 세포 내의 활성산소에 의해 산화되면 형광성 DCF(2',7'-dichlorofluorescin)로 전환되게 되고 이를 형광분석기로 측정하였다.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사용한 시험군 및 대조군에서 활성산소(ROS) 저해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증류 추출물이 비교예 1의 증류 추출물과 비교하여 활성 산소의 저해능이 우수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증류 추출물은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제형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제형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제형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영양 크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으로 영양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2∼10번 물질을 혼합 교반하면서 40∼4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켜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 11∼15번 물질을 각각의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켜 표제의 영양크림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성 분(함량:중량%) 실시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1
1 실시예 1의 증류 추출물 3.0 -
2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3 세테아릴알콜 2.2 2.2
4 스테아린산 1.5 1.5
5 폴리솔베이트 60 1.5 1.5
6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0.6
7 스쿠알란 3.0 3.0
8 트리옥타노인 5.0 5.0
9 디메치콘 1.0 1.0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0.1
11 글리세린 5.0 5.0
12 베타인 3.0 3.0
13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4.0
14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15 증류수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제형예 2: 유연 화장수(스킨로션)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11번 물질에 2, 3, 4, 8번 물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 물질을 60℃ 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어서, 10번 물질을 투입하여 용해한 후 11번 물질에 투입한 다음, 1, 6, 7, 9번 물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 한 뒤 숙성시켜 표제의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의 증류 추출물 1.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 글리콜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에센스의 제조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2, 3, 4, 5 및 6번 물질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제조하였다. 이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1, 7, 8 및 14번 물질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시키고 이어 9번 물질을 50∼60℃로 가온하여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켰다. 그 후, 10, 11, 12, 13번 물질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켜 표제의 에센스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의 증류 추출물 1.0
2 시토 스테롤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실험예 3: 화장료의 보습 효과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증류 추출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 제형예 1과 비교 제형예 1의 영양 크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24명의 피시험자 얼굴을 반으로 나누어 한쪽에는 실시 제형예 1의 영양 크림을, 다른 한쪽에는 비교 제형예 1의 영양 크림을 도포하여(2회/1일) 4주 후 피부의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기기는 피부의 수분 함량에 따른 피부의 전기 용량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측정하는 수분 함량 측정기 (Corneometer CM825, Courage + Khazaka사, 독일연방국)를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사용 주수에 따른 수분함량(mg/cm2/hr) 실시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1
0주 21.45 ± 7.21 22.23 ± 7.98
4주 34.23 ± 9.21 27.12 ± 8.21
4주 -0주 12.78 ± 2.00 4.89 ± 0.23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류 추출물을 사용하게 되면 피부 보습 효과가 더욱 증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화장료의 피부 탄력 개선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증류 추출물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 제형예 1과 비교 제형예 1의 영양 크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자(20세-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실시 제형예 1의 크림을, 왼쪽 부위에는 비교 제형예 1의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3개월간 도포하였다. 실험완료 후 피부 탄력 개선효과는 제품 사용 전과 2개월간 사용 후에 피부 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5에 Cutometer SEM 575의 △R8값으로 기재하였으며, 이때 R8값은 피부의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내, 그 수치가 높을수록 피부 탄력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실험제품 피부 탄력효과(△R8)
실시 제형예 1 0.24
비교 제형예 1 0.11
상기 표 5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증류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 제형예 1의 영양 크림을 사용할 경우 이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보다 피부 탄력이 2배 이상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은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Claims (9)

  1. 행인(Prunus Armeniaca ( Apricot ) Kernel) 및 주엽나무(Gleditsia japonica) 열매를 추출 용매로 증류 추출하여 얻어지는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는 1:0.1∼1:1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25∼100℃에서 1시간∼5일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의 제조방법.
  5. 물을 추출 용매로 증류 추출하여 얻어진 행인(Prunus Armeniaca (Apricot) Kernel) 및 주엽나무(Gleditsia japonica) 열매 증류 추출물.
  6. 제5항의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 0.001∼9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노화방지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86149A 2012-08-07 2012-08-07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9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149A KR20140019964A (ko) 2012-08-07 2012-08-07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149A KR20140019964A (ko) 2012-08-07 2012-08-07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964A true KR20140019964A (ko) 2014-02-18

Family

ID=5026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149A KR20140019964A (ko) 2012-08-07 2012-08-07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99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9879A (zh) * 2014-04-17 2014-07-16 陕西师范大学 一种杏仁皮原花青素和绿原酸保健品的制备方法
KR20220036265A (ko) * 2020-09-15 2022-03-22 한국콜마주식회사 로얄젤리의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9921A (ko) 2021-03-17 2022-09-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엽나무 추출물의 미생물 생물전환에 의한 미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9879A (zh) * 2014-04-17 2014-07-16 陕西师范大学 一种杏仁皮原花青素和绿原酸保健品的制备方法
KR20220036265A (ko) * 2020-09-15 2022-03-22 한국콜마주식회사 로얄젤리의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9921A (ko) 2021-03-17 2022-09-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엽나무 추출물의 미생물 생물전환에 의한 미백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309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KR101885199B1 (ko) 석류, 서양장미꽃, 홍화 및 해당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08669B1 (ko) 오크라, 다시마, 참마, 모로헤이야, 연근, 폴리글루탐산을 이용하여 구성된 네바네바컴플랙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4929A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74558B1 (ko)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586307B1 (ko) 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80399B1 (ko)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1B1 (ko)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9964A (ko) 행인 및 주엽나무 열매 증류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100466862B1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126495A (ko) 은행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644064B1 (ko) 포도, 올리브잎 및 몰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5418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2k-3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천심련 및 바위손의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5682B1 (ko) 에퀴세툼 기간테움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6500B1 (ko)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 식물성 스쿠알란 및 천연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0484B1 (ko) 고순도 발효유화제를 이용하여 해조류 추출물을 포집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73632A (ko) 예덕나무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17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40120650A (ko) 해조류추출물, 펩타이드, 아미노산 및 해양심층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4355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