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5095A -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5095A
KR20030065095A KR1020020005255A KR20020005255A KR20030065095A KR 20030065095 A KR20030065095 A KR 20030065095A KR 1020020005255 A KR1020020005255 A KR 1020020005255A KR 20020005255 A KR20020005255 A KR 20020005255A KR 20030065095 A KR20030065095 A KR 20030065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ag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군
Original Assignee
오세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군 filed Critical 오세군
Priority to KR1020020005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5095A/ko
Publication of KR20030065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0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특용작물인 몰로키아(Molokhia)로부터 추출물을 배합하여 함유하는 것으로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오는 피부노화의 제 현상인 피부건성화, 탄력상실, 주름살 형성, 피부 흑화, 주근깨, 기미 등을 지연 또는 억제시키는 효과가 뛰어난 피부 노화 지연 기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안정도(Stability)와 피부에 대한 안전성(Safety)이 우수한 노화지연(Anti-ageing)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의 노화 지연을 위해 노화의 주된 원인물질로 주목되는 인체내에 발생된 유해 산소의 소거와 더불어, 이미 형성된 세포막내의 과산화지질의 배출시켜 세포내에 유익한 산소와 영양 공급을 원활히 함으로써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부 각질층이 축적됨으로써 두꺼워지는 현상을 지연시키며 특히 피부 진피층에 풍부한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이로 인해 피부재생을 활성화시킴과 함께 피부에 뛰어난 보습기능을 주는 메카니즘(Mechanism)을 통해 피부 노화지연을 위한 다각적인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몰로키아(Molokhia)의 건조 약재를 기준하여 이것을 정제수와 일정 함량비로 혼합한 에탄올 같은 극성 용매 혼합물로써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 일정 함량 함유하는 것으로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는 종래의 화장료보다 노화지연 효과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및 제품의 안정도 등 사용성도 보다 뛰어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보아, 본 발명에 의한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시 탁월한 노화지연 효과 및 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Description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s of anti-ageing cosmetics containing Molokhia extracts}
본 발명은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특용작물인 몰로키아(Molokhia)로부터 추출물을 배합하여 함유하는 것으로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오는 피부노화의 제 현상인 피부건성화, 탄력상실, 주름살 형성, 피부 흑화, 주근깨, 기미 등을 지연 또는 억제시키는 효과가 뛰어난 피부 노화 지연 기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안정도(Stability)와 피부에 대한 안전성(Safety)이 우수한 노화지연(Anti-ageing)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외부 환경의 위해 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그 뿐만 아니라, 비타민-디 합성, 체온 조절 작용, 분비 배설 작용, 지각작용, 호흡작용, 흡수작용 등을 통해 정상적인 피부의 신진대사 및 생리작용을 하게 된다. 그런데 사람은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가면서 신체기능이 전반적으로 저하되면서 자외선 등 외부환경의 위해 요소와 함께 인체내에 유해 산소가 형성되어 이로 인해 세포막의 지질성분이 과산화되고 이로 인해 세포막이 경화되어 산소와 영양의 세포내 공급이 원활치 못하게 됨에 따라 결국 피부의 신진대사, 즉 피부 세포의 재생(세대교체;turn-over)이 늦어지면서 피부 각질충은 더욱 두꺼워지고 피부 진피층의 콜라겐(Collagen)은 파괴되며 히아루론산의 감소와 함께 엘라스틴(Elastin)도 변성되어 피부 탄력 부여라는 이란 그 본래의 기능을 잃게 되면서 피부가 생기가 없어 보이며 칙칙해 보이고 건조해지고 거칠어지게 되는 피부건성화, 탄력상실, 주름형성, 모세혈관벽 약화, 노인성 색소침착증의 피부 노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들의 피부 증상을 막기 위해 노화 지연 또는 방지용 화장료가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노화지연 화장료는 제품의 안정도가 좋지 못하고 이로 인해 피부 노화지연 효과가 불명확하며, 피부에 대한 안전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종래의 노화지연 화장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효과가 급속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노화지연 화장료는 피부 노화지연을 위한 물질로서 주로 레티놀(Retinol), 레티노익 엑시드와 그 유도체(Retinoic acid and its derivatives), 식물성 가수분해된 콜라겐(Hydrolysed collagen), 식물성 가수분해된 엘라스틴(Hydrolysed Elastin), 기타 식물 추출물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레티놀은 공기나 열, 빛에 매우 불안정하여 이를 소량 함유하는 화장료는 실온에서 수주일만 보관하면 산화에 의한 변색 현상이 일어나며 레티노익 엑시드와 그 유도체는 피부 안전성에 문제점이 있다. 그 밖에 가수분해된 엘라스틴과 콜라겐, 그리고 식물추출물 성분을 함유하는 노화지연 화장료는 그 효능에 있어 한계가 있거나 상술한 문제점들이 경우에 따라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피부의 노화 지연을 위해 노화의 주된 원인물질로 주목되는 인체내에 발생된 유해 산소의 소거와 더불어, 이미 형성된 세포막내의 과산화지질의 배출시켜 세포내에 유익한 산소와 영양 공급을 원활히 함으로써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부 각질층이 축적됨으로써 두꺼워지는 현상을 지연시키며 특히 피부 진피층에 풍부한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이로 인해 피부 재생을 활성화시킴과 함께 피부에 뛰어난 보습기능을 주는 메카니즘(Mechanism)을 통해 피부 노화지연을 위한 다각적인 기능을 발휘하면서 사용성이 우수한 몰로키아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바, 이를 본 발명의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피부의 노화 지연을 위해 노화의 주된 원인물질로 주목되는 인체내에 발생된 유해 산소의 소거와 더불어, 이미 형성된 세포막내의 과산화지질의 배출시켜 세포내에 유익한 산소와 영양 공급을 원활히 함으로써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피부 각질층이 축적됨으로써 두꺼워지는 현상을 지연시키며 특히 피부 진피층에 풍부한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이로 인해 피부재생을 활성화시킴과 함께 피부에 뛰어난 보습기능을 주는 메카니즘(Mechanism)을 통해 피부 노화지연을 위한 다각적인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몰로키아(Molokhia)의 건조 약재를 기준하여 이것을 정제수와 일정 함량비료 혼합한 에탄올 같은 극성 용매 혼합물로써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 일정 함량 함유하는 것으로서 구성된 것이다.
이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화지연 화장료와 관련하여 과거에는 세포내에 발생된 유해 산소의 소거와 활동 저해, 피부 각질층의 보습력 증강, 그리고 피부세포의 재생 촉진을 위한 영양 공급이라는 노화 지연 메카니즘에 기본을 두고 있었으나, 본 발명은 안정성과 실효성을 지닌 피부 노화지연 성분의 개발과 함께 유해 산소의 생성과 제어에 관한 오랜 기간 동안의 메카니즘 연구 결과에 따라 유해 산소의 활동 저해 작용과 유해 산소의 소거 뿐만 아니라 세포막내에 기형성된 과산화지질의 배출 촉진을 통한 세포내 신선한 산소와 영양 공급으로 실질적인 피부세포의 신진대사 촉진, 그리고 각질층 사이의 지질 방어층에 강력한 보습기능을 주는 피부 노화지연 메카니즘의 문제를 다각적으로 다루도록 화장료 조성을 구성하였기에 보다 탁월한 노화지연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본 발명의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에서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몰로키아에 대해 피부 노화지연과 연관된 알려진 사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몰로키아는 중국 남부가 원산지로 알려진 피나무과 1년생 녹황색 식물로서 어린 잎을 수확해 식용으로 하는 엽채류로 아프리카는 물론 이집트를 중심으로 하여 중동지역, 수단 등지에서 이용되고 있다. 학명은 Corchorus Olitorius인데 이는 아랍제국에서 신비의 약초로 널리 사용되었고 옛날 이집트왕이 이 야채를 먹고 중병을 고쳤다고 해서 그 때부터 몰로키아(Molokhia;제왕의 야채)라고 부르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 몰로키아는 품종에 따라 성유의 재료로도 쓰이기도 하는데 잎은 향이 없고 잘게 자르면 독특한 점액이 나온다. 최근 국내에서도 한국식품개발원에서몰로키아는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저하시키고 변비를 개선하는 건강증진 효과가 있다고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몰로키아는 식물섬유, 각종 비타민, 칼슘등의 미네랄과 폴리페놀, 카로테노이드 등이 풍부하며 점질성의 다당류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병충해에도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시금치와 동일 함량 기준으로 비교할 때 카로틴이 3.5배, 칼슘이 8배, 비타민 A가 4배, 비타민 B2가 20배나 함유되어 있고 식물섬유가 30%나 되어 놀라운 고영양 자연식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몰로키아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몰로키아 잎을 종래의 동결건조 방법으로 건조시키고 미세분말화한 후, 추출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몰로키아 추출물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추출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등의 극성 유기용매와 정제수의 혼합 용액이며, 추출 방법은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된 식물 분말에 5∼10배량의 상기 추출 용매를 가하여 1∼7일간 실온에서 침적 추출하거나 1기압하 섭씨 60∼70도에서 1∼5시간 가온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도록 한다. 이는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1∼4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바르는 외용제의 형태로 하는 경우, 피부 외용제 중의 몰로키아 추출물의 배합량은 전체의 0.01∼10.0 중량%, 특히 0.05∼5.0 중량%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몰은 상기(上記)한 몰로키아 추출물 외에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피부 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성분, 예를 들면 수용성 성분, 분말 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노화지연 화장료에 사용되어온 레티놀, 레티노익 엑시드 유도체, 가수분해된 콜라겐, 가수분해된 엘라스틴, 히아루론산, 기타 식물추출물 등과의 병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되,종래의 화장료 제형인 크림, 밀크로션, 유연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등 뿐만 아니라, 비누, 세안폼과 같은 세안료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몰로키아는 오래 전부터 중동지역과 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해 오던 재료로서 피부 외용제로 사용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어 있어 피부 및 점막에 대한 자극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몰로키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실시예1∼4을 통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1
건조 약재를 기준으로 몰로키아 잎을 분쇄한 것 300g을 정제수와 에탄올을 1 : 2로 혼합한 용액 3,000㎖에 가하여 25℃에서 7일간 침적하여 추출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 증발하여 72g의 농축물을 얻었다.
<실시예2> -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2
건조 약재를 기준으로 몰로키아 잎을 분쇄한 것 200g을 정제수와 메탄올을 1 : 1로 혼합한 용액 1,500㎖에 가하여 25℃에서 7일간 침적하여 추출 여과한 후 그여과액을 감압, 증발하여 44g의 농축물을 얻었다.
<실시예3> -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3
건조 약재를 기준으로 몰로키아 잎을 분쇄한 것 100g을 에탄올 1,000㎖에 가하여 15℃에서 7일간 침적하여 추출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 증발하여 18g의 농축물을 얻었다.
<실시예4> -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4
건조 약재를 기준으로 몰로키아 잎을 분쇄한 것 200g을 정제수 1,500㎖에 가하여 70℃로 가온하여 5시간 침적, 추출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 증발하여 40g의 농축물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몰로키아 추출물은 정제수와 기타 극성 유기용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것을 몰로키아 건조 약재의 약 10배 이상의 량으로 25℃이상의 약간 온도에서 오랜 기간 동안 침적하여 추출, 여과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으로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어 이것을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 제조 방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을 구체적인 처방예 1∼7을 통해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처방예 1> - 크림(Cream)
<처방예 2> -유연화장수(Skin Toner)
<처방예 3> - 수렴 화장수(Astringent)
<처방예 4> - 밀크 로션(Milk Lotion)
<처방예 5> - 유액상 파운데이션(Liquid Foundation)
<처방예 6> - 미용 비누(Beauty Soap)
<처방예 7> - 샴 푸(Shampoo)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노화지연 효과를 임상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1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처방예1)과 종래 처방의 화장료 조성물(대조용)을 크림으로 각각 제조하여 제품의 안정도에 대해서는 관능평가로, 피부에 대한 안전성은 첩포시험으로, 그리고 피부 노화지연 효과에 대해서는 피부가 생기가 없어 보이며 칙칙해 보이고 건조해지고 거칠어지게 되는 피부건성화, 탄력상실, 주름형성, 모세혈관벽 약화, 노인성 색소침착증의 피부 노화 현상이 심한 여성 35세이상 50세까지 여성 30명을 실험 대상으로 상기 2가지 크림을 사용하면서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실시,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피부 노화지연 효과(Anti-ageing Effect);
실험대상자의 얼굴 좌우를 반쪽으로 나누어 화장료 2가지를 한달간 매일 2차례 사용하여 사용 전·후 피부가 부드러우면서도 맑아지면서 탄력있게 된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2. 피부 안전성(Safety);
실험대상자의 양쪽 팔 상박부 안쪽에 화장료 2가지를 1주일 동안 첩포로 각각 붙여 나타나는 반응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3. 제품의 안정도(Stability);
상기 화장료 2가지를 섭씨 영상 45도와 영하 10도에서 하루동안 한번씩 번갈아 가며 방치시키는 순환온도법(Cycling test)을 사용하여 내용물의 외관(색상)과 유화가 파괴되어 가는 싯점의 순환 횟수에 따라 평가하였다.
<표 1> - 피부 노화지연 효과 및 사용성 비교 평가
상기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는 종래의 화장료보다 노화지연 효과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및 제품의 안정도 등사용성도 보다 뛰어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보아, 본 발명에 의한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시 탁월한 노화지연 효과 및 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몰로키아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0.01 내지 1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이 크림,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밀크 로션, 파운데이션, 비누, 샴푸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KR1020020005255A 2002-01-29 2002-01-29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KR20030065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255A KR20030065095A (ko) 2002-01-29 2002-01-29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255A KR20030065095A (ko) 2002-01-29 2002-01-29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095A true KR20030065095A (ko) 2003-08-06

Family

ID=3221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255A KR20030065095A (ko) 2002-01-29 2002-01-29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509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669B1 (ko) * 2013-05-30 2013-09-13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오크라, 다시마, 참마, 모로헤이야, 연근, 폴리글루탐산을 이용하여 구성된 네바네바컴플랙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36124B1 (ko) * 2013-02-06 2014-09-02 박주진 건강 기능성 음료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건강 기능성 음료
KR101464406B1 (ko) * 2012-09-03 2014-11-2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이용
WO2018115733A1 (fr) 2016-12-23 2018-06-28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étique d'un extrait de corchorus olitorius
CN109125162A (zh) * 2017-06-16 2019-01-04 深圳绵俪日用化工有限公司 皮肤改善用化妆品组合物
KR102084158B1 (ko) * 2019-08-16 2020-03-03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천연소재의 맞춤형 추출공법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9835A (ko) * 2020-02-28 2021-09-07 (주)인터케어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534261B1 (ko) * 2023-02-27 2023-05-30 주식회사 바이오코스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014A (ja) * 1989-07-07 1991-02-21 Ichimaru Pharcos Co Ltd モロヘイヤ抽出物含有化粧料
JPH03153611A (ja) * 1989-11-09 1991-07-01 Kurooda Japan Kk 化粧料
JPH04145012A (ja) * 1990-10-03 1992-05-19 Arusoa Sogo Kenkyusho:Kk 化粧料
JPH09208451A (ja) * 1995-11-27 1997-08-12 Arusoa Oushiyou:Kk アトピー体質用抗炎症剤
JPH09278667A (ja) * 1996-04-13 1997-10-28 Arusoa Oushiyou:Kk 活性酸素消去能を有する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014A (ja) * 1989-07-07 1991-02-21 Ichimaru Pharcos Co Ltd モロヘイヤ抽出物含有化粧料
JPH03153611A (ja) * 1989-11-09 1991-07-01 Kurooda Japan Kk 化粧料
JPH04145012A (ja) * 1990-10-03 1992-05-19 Arusoa Sogo Kenkyusho:Kk 化粧料
JPH09208451A (ja) * 1995-11-27 1997-08-12 Arusoa Oushiyou:Kk アトピー体質用抗炎症剤
JPH09278667A (ja) * 1996-04-13 1997-10-28 Arusoa Oushiyou:Kk 活性酸素消去能を有する組成物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406B1 (ko) * 2012-09-03 2014-11-2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뽕잎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101436124B1 (ko) * 2013-02-06 2014-09-02 박주진 건강 기능성 음료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건강 기능성 음료
KR101308669B1 (ko) * 2013-05-30 2013-09-13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오크라, 다시마, 참마, 모로헤이야, 연근, 폴리글루탐산을 이용하여 구성된 네바네바컴플랙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8115733A1 (fr) 2016-12-23 2018-06-28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étique d'un extrait de corchorus olitorius
CN109125162A (zh) * 2017-06-16 2019-01-04 深圳绵俪日用化工有限公司 皮肤改善用化妆品组合物
CN109125162B (zh) * 2017-06-16 2021-05-07 深圳绵俪日用化工有限公司 皮肤改善用化妆品组合物
KR102084158B1 (ko) * 2019-08-16 2020-03-03 (주)엔비바이오컴퍼니 천연소재의 맞춤형 추출공법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9835A (ko) * 2020-02-28 2021-09-07 (주)인터케어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534261B1 (ko) * 2023-02-27 2023-05-30 주식회사 바이오코스 몰로키아 추출물과 민들레 및 보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6646A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1047100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wrinkle funtional cosmetics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99B1 (ko) 석류, 서양장미꽃, 홍화 및 해당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0355A (ko)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KR20030065095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KR100357416B1 (ko)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6246A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110301B1 (ko) 쉬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37187B1 (ko) 복분자주 제조 후 잔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57337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9481323A (zh) 一种芦荟原汁保湿油及其制备方法
JPS61178910A (ja) 育毛養毛等美髪料
JP2001233727A (ja) 化粧品
KR102165566B1 (ko) 피부 탄력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JPS63239208A (ja) シリマリンが豊富に含まれるオオアザミの果実の抽出物と不可欠脂肪酸を含む美容用または皮膚用組成物
KR20080097314A (ko)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조성물
CN105362134A (zh) 一种含有柠檬提取物、洋甘菊提取物和甘草提取物的美白化妆品
Vyavhare et al. A review on herbal cosmetics
CN109745262A (zh) 一种用于美白淡斑面霜的组合物
KR101245813B1 (ko) 구기자 추출물 및 고양이발톱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2286B1 (ko)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KR102378103B1 (ko) 노니 및 마카뿌리의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