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314A -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314A
KR20080097314A KR1020070042393A KR20070042393A KR20080097314A KR 20080097314 A KR20080097314 A KR 20080097314A KR 1020070042393 A KR1020070042393 A KR 1020070042393A KR 20070042393 A KR20070042393 A KR 20070042393A KR 20080097314 A KR20080097314 A KR 20080097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ak
skin
pores
plant extract
p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군
Original Assignee
(주)로다멘코스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다멘코스메딕스 filed Critical (주)로다멘코스메딕스
Priority to KR102007004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7314A/ko
Publication of KR2008009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3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인체에 안전한 참나무속 나무의 잎으로부터 얻은 식물 추출물을 배합한 것으로서 피지 분비의 억제 기능이 우수하고 모공을 효과적으로 수렴함으로써 모공이 늘어져 확장된 피부를 수축하는데 유효한 효과를 갖는 참나무과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강력한 모공수축 기능을 가지면서도 장기간 사용시 인체 안전성이 높은 참나무 속 식물의 특정 부위(잎)로부터 건조 중량 기준으로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용매로 추출,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 제형에 따라 일정량 함유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를 In vitro test 및 임상적으로 측정한 결과,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는 종래 처방의 화장료에 비해 모공수축기능에 대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모공수축, 참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Description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s of skin-care cosmetics for pore-tightening containing Quercus herb-extracted complex}
본 발명은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인체에 안전한 참나무 속 나무의 잎으로부터 얻은 식물 추출물을 배합한 것으로서 피지 분비의 억제 기능이 우수하고 모공을 효과적으로 수렴함으로써 모공이 늘어져 확장된 피부를 수축하는데 유효한 효과를 갖는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맑고 깨끗한 피부는 남녀노소를 불문한 누구나의 염원이지만 실상 이런 피부를 갖고 있는 사람은 그리 흔하지 않다. 사람마다 각기 여러 가지 피부 고민을 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넓은 모공을 지닌 얼굴은 흉하고 지저분해 보이며 피부 표면이 고르지 못해 화장을 해도 불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쉽게 지워질 뿐만 아니라, 한번 넓어진 모공은 좀처럼 작아지기 힘들기 때문에 피부 최대의 적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모공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모공의 크기를 작게 감소시키는 것은 여성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화장품이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모공이 넓어지는 이유는 피부노화가 시작되면서 모공벽을 지지하고 있던 콜라겐 교원섬유와 엘라스틴 탄력섬유가 노화되면서 변성, 점차 감소함에 따라 피부탄력이 없어지고 쳐져서 모공이 늘어나 넓어 보이며, 또한 과다한 피지 분비로 인해 모공이 넓어진다. 정상적으로 우리 피부에는 피지선이라는 기름샘이 있으며, 여기에서 피지를 만들어 모공을 통하여 배출시킨다. 이 피지는 피부 및 모발 표면에 지방막을 형성하여 외부의 균으로부터 우리 피부와 몸을 보호하는 항균작용을 비롯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거나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등 여러 기능을 하는데, 피지선에서부터 피지 분비가 많아지거나 모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장애가 있게 되면 모공은 확대되게 된다. 피지량을 결정하는 인자들로는 식사, 호르몬, 연령, 성별, 피부의 부위별 차이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호르몬이 가장 크게 작용한다. 호르몬의 피지선에 대한 지배는 복잡하지만 피지선은 하수체, 부신피질, 성선 등에서 생성되는 성호르몬을 포함한 다양한 호르몬에 의해 지배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남성호르몬(안드로겐)은 피지선의 발달과 피지의 합성, 피지선의 크기, 피지 합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피지선은 남성호르몬의 수용체가 핵내에 국소적으로 있고 전립선과 마찬가지로 안드로겐의 표적조직이다. 남성호르몬은 남성의 고환, 여성에게는 부신과 난소에서 유래한다. 남성의 피지량은 10대에 현저하게 상승하고 20∼30대에는 정점에 달해 그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하는데 약 80세까지 뚜렷한 저하는 보이지 않는다. 여성은 일찍이 부신성 안드로겐이 증가하기 때문에 남성보다 빨리 피지 분비가 증가하고 남성과 같은 경과를 거치지만 남성보다 빨라 50세 정도에 저하한다. 남성호르몬에는 강력한 활성을 가진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DHT)), 또 비교적 활성이 약한 부신성 디히드로에비언드로스테론설파이트(DHEA-S)가 있는데, 혈중의 주요 안드로겐은 테스토스테론이다. 테스토스테론은 그 형태 그대로 피지선 내의 남성호르몬 수용체와 결합하는 경우와, 5α-reductase에 의한 DHT로 환원한 후 수용체와 결합하여 호르몬작용을 발휘하는 2가지 경우가 있고, DHT와 결합하면 호르몬작용은 강해진다고 한다. 상기와 같이 특히 여성에게 있어서도 부신성 안드로겐이 중요하며, 디히드로에비언드로스테론(DHEA)이나 DHEA-S가, 사춘기 이전뿐만 아니라, 혈중 테스토스테론 등이 높은 수치를 보이는 성 성숙기에도 피지 분비와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부신 유래의 안드로겐이 피지 분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피지가 과다하게 분비될 경우, 모공 속에 정체된 피지 덩어리가 노폐물과 함께 쌓이게 되고, 이런 피지 덩어리들은 세균에 감염되어 염증성 여드름을 유발하거나 뾰루지, 염증, 모공확장 등의 피부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피지조절이 피부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모공과 관련한 피부 트러블을 개선 방법으로 국내 공개특허 제97-70601호에서는 수렴제를 이용하여 모공을 수축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수렴제를 이용하여 피부에 일시적인 탄력과 당김을 주는 것으로 모공의 크기증가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05-294836호에서는 올리고 사카라이드를 복용함으로써 피지선에서의 피지 분비량을 감소시켜 피지 분비를 억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피지선에서의 피지 분비량을 감소시키는 것만으로는 모공의 크기 감소에 의한 피부 거칠음을 해소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 원료인 참나무과 식물의 잎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에 첨가시킴으로써, 피지 억제 기능과 모공벽을 지지하고 있는 콜라겐, 엘라스틴 섬유에 대한 항노화작용이 있어 종국적으로 모공 수축 작용이 우수하면서 독성이 없고 자연 친화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피지 억제 기능이 우수하면서도 장기간 사용해도 인체 안전성이 높은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천연 식물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참나무 속 식물의 잎 추출물이 피부의 모공수축에 대해 유효한 효과를 가진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들 추출물을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함으로써 피부 모공 수축에 유효한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항노화작용, 항염작용도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게 된바, 이를 본 발명의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강력한 모공수축 기능을 가지면서도 장기간 사용시 인체 안전성이 높은 참나무 속 식물의 특정 부위(잎)로부터 건조 중량 기준으로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용매로 추출,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 제형에 따라 일정량 함유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참나무 속 식물의 피부에 미치는 작용에 대해 알려진 사실을 기초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참나무의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참나무과 참나무 속에 속하는 식물의 추출물이다.
1. 상수리 나무 [Quercus Acutissima]
2. 신갈나무 [Quercus Mougolica]
3. 물참나무 [Quercus Crispula]
4.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5. 굴참나무 [Quercus Varabilis]
6. 갈참나무 [Quercus Aliena]
7.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8. 졸참나무 [Quercus Glancclulifera Blume]
9. 불가시나무 [Quercus Glauda]
10.참가시나무 [Quercus Myrsinaefolia]
11. 그 밖의 참나무과 참나무 속에 속하는 나무
참나무는 낙엽 또는 상록교목이며 때로는 관목도 있다. 북반구의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200∼250종이 자란다. 참나무는 한 속(屬)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으로 사용된다. 잎은 어긋나고 대부분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참나무 속의 식물은 성상이 비슷하여 수형이 비슷하고 각두에 담겨진 동그란 열매(도토리, 상수리)를 달며 추출물의 성분은 대동소이하여 대차가 없다. 참나무의 열매(도토리,상수리)는 전분을 분리하여 식용(묵. 전)으로 사용하거나 가축의 사료로 사용한 오랜 역사를 가지고있으며 참나무(떡갈나무)의 잎은 떡을 싸서 찌는 가랍떡(한국), 박라명(중 국), 가시와모찌(일본)등으로 고유한 향을 이용하여 왔으며 참나무의 목재는 주류를 저장하는 용기로 제조되어 (오크통) 위스키, 꼬냑 등을 장기간 저장하여 단백질, 탄닌, 리그닌, 락톤 등 참나무 고유의 성분이 용출되게 하여 주류의 숙성향을 증가 시키는데 이용하였으며, 육가공 품의 훈증재료로 쓰이는 등 식용식물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또한 참나무과 식물의 잎은 이취를 중화 소멸시키는 성능이 있어 냉장고의 탈취제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소, 토끼, 사슴, 양 등의 가축이 즐겨 먹으므로 축산농가에서는 참나무의 잎을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람과 가축이 음용 할 수 있는 참나무 속 식물의 피부과적 사용은 부작용이 없는 안정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쉽게 유추할 수 있다.
다음은 참나무 속 식물 중의 한 표본으로서 떡갈나무잎의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라피 분석에 의한 성분분석표로서 떡갈나무 이외의 참나무 속에 속하는 식물 또한 그 성상과 추출물의 성분이 크게 다르지 않고 대동소이하므로 떡갈나무에 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참나무 추출물은 주로 참나무의 잎으로부터 수득하지만 1∼2년생의 어린 가지에서도 유효성분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참나무 속 식물의 추출물은 단일 식물추출물로는 특이하게 각질제거기능, 미백 기능. 보습기능을 가지는 물질이 포함되어있어 있는데 각질을 분해하는 기능이 있는 몇 종류의 산과 피부보습 기능이 있는 글리세린과 동물의 성장인자의 하나이며 탈모예방과 피부질환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Inositol 등 피부건강에 도움이 되는 천연성분들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참나무 잎추출물의 PH는 6.5 내외로서 기존의 각질제거 제품인 AHA의 액성(3.5내외) 과 비교하여 사람의 피부에 산에 의 한 자극을 젼혀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각질을 제거하는 기능이 탁월하여 AHA, BHA등 기존의 각질제거제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동시에 미백 기능과 보습기능을 고루 갖추고 있어 화장료로서 뛰어난 적성을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지방을 분산시키는 기능이 있어 참나무추출물을 세제에 첨가하면 세척력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보아 피부의 지방대사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들은 종래의 동결건조 방법으로 건조시키고 미세분말화한 후 추출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추출 용매는 정제수나 여기에 에탄올(Ethanol)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등 폴리올(polyols)을 일정량 가한 극성 용매이며, 추출 방법은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건조된 식물잎 분말에 5∼10배량의 상기 추출 용매를 가하여 1∼7일간 실온에서 침적 추출하거나 1기압하 20∼80℃에서 1∼5시간 가온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추출 단계 후, 수득된 조추출물(crude extract)은 선택적으로 예컨대 정제, 농축. 분획 및/또는 탈색 등과 같은 다른 전형적인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공수축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바르는 외용제의 형태로 하는 경우, 피부 외용제 중의 식물 추출물의 배합량은 추출한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3:1 내외로 감압 농축한 후, 전체의 0.05∼50.0 중량%, 특히 0.5∼20.0 중량%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上記)한 참나무속 식물추출물 외에도 필요 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피부 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성분, 예를 들면 수용성 성분, 분말 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푸에라리아 미리피카 등 천연추출물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화장료 성분으로 많이 사용되어온 벤조일 퍼록사이드(Benzoyl peroxide)나 테트라싸이클린(Tetracyclin), 에리스로마이신 등의 항균제나 항안드로겐, 스테로이드 등의 호르몬,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등의 비타민A 유도체와 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되,종래의 화장료 제형인 크림, 밀크로션, 유연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등 뿐만 아니라, 비누, 세안폼과 같은 세안료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들은 오래전부터 동양에서는 민간 요법 또는 한방에서 사용해 오던 재료로서 피부 외용제로 사용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어 있어서,피부 및 점막에 대한 자극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실시예1∼6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 본 발명에 의한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의 제조 방법
참나무의 어린 잎(건조약재)를 분쇄한 것 500g을 정제수 2,500㎖에 가하여 실온에서 5일간 침적하여 추출, 여과하여 2.0kg을 얻었다.
<실시예2> - 본 발명에 의한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의 제조 방법
참나무의 어린 잎(건조약재)를 분쇄한 것 500g을 30% 함수에탄올 2,500㎖에 가하여 실온에서 5일간 침적하여 추출, 여과하여 1.8kg을 얻었다.
<실시예3> - 본 발명에 의한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의 제조 방법
참나무의 어린 잎(건조약재)를 분쇄한 것 500g을 30%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2,500㎖에 가하여 실온에서 5일간 침적하여 추출, 여과하여 1.9kg을 얻었다.
<실시예4> - 본 발명에 의한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의 제조 방법
참나무의 어린 잎(건조약재)를 분쇄한 것 500g을 정제수 2,500㎖에 가하여 냉각콘덴서를 장치하여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80℃, 3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1.7kg을 얻었다.
<실시예5> - 본 발명에 의한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의 제조 방법
참나무의 어린 잎(건조약재)를 분쇄한 것 500g을 30% 함수에탄올 2,500㎖에 가하여 냉각콘덴서를 장치하여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80℃, 3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1.5kg을 얻었다.
<실시예6> - 본 발명에 의한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의 제조 방법
참나무의 어린 잎(건조약재)를 분쇄한 것 500g을 30% 함수 프로필렌글리콜2,500㎖에 가하여 냉각콘덴서를 장치하여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80℃, 3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1.6kg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1∼6>의 본 발명의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중 크림 제형의 조성물(처방예1∼6)과 종래의 크림 조성물(대조용; 처방예7)을 표1과 같이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그리고 이들 화장료들은 처방예에 따라서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을 75℃로 각각 가열한 다음 크림 제조용 혼합기에서 균질화용 믹서(homogenizer)를 이용하여 유화시킨 다음 탈기, 여과, 냉각하여 통상의 방법대로 제조하여 얻었다. 또한 본 발명의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중 기타 제형의 조성물을 구체적인 처방예 8∼12을 표2를 통해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처방예 1∼7> - 크림(Cream)
성 분 명 함 량 (중량%)
처방1 처방2 처방3 처방4 처방5 처방6` 처방7
스쿠알란 스테아린산 세탄올 바셀린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20 E.O)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실시예1의 식물추출물 실시예2의 식물추출물 실시예3의 식물추출물 실시예4의 식물추출물 실시예5의 식물추출물 실시예6의 식물추출물 정제수 5.5 6.0 1.5 2.0 2.5 1.5 적량 적량 0.3 4.0 5.0 2.0 - - - - - to100 5.5 6.0 1.5 2.0 2.5 1.5 적량 적량 0.3 4.0 5.0 - 2.0 - - - - to100 5.5 6.0 1.5 2.0 2.5 1.5 적량 적량 0.3 4.0 5.0 - - 2.0 - - - to100 5.5 6.0 1.5 2.0 2.5 1.5 적량 적량 0.3 4.0 5.0 - - - 2.0 - - to100 5.5 6.0 1.5 2.0 2.5 1.5 적량 적량 0.3 4.0 5.0 - - - - 2.0 - to100 5.5 6.0 1.5 2.0 2.5 1.5 적량 적량 0.3 4.0 5.0 - - - - - 2.0 to100 5.0 8.0 2.0 2.5 1.5 4.0 0.3 2.0 0.2 적량 적량 - - - - - - to100
<처방예 8> - 화장수(Skin Toner)
성 분 명 함 량 (중량%)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에탄올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향료 실시예1의 식물추출물 방부제 정제수 5.0 3.0 5.0 0.5 0.2 2.5 적량 to 100
<처방예 9> - 수렴 화장수(Astringent)
성 분 명 함 량 (중량%)
구연산 소르비톨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에탄올 향료 실시예1의 식물추출물 방부제 정제수 0.1 2.0 3.0 1.0 10.0 0.1 1.0 적량 to 100
<처방예 10> - 밀크 로션(Milk Lotion)
성 분 명 함 량 (중량%)
스테아린산 바셀린 스쿠알란 유동파라핀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6 E.O)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탄올아민 향료 방부제 산화방지제 실시예1의 식물추출물 정제수 1.0 2.0 3.0 5.0 2.0 3.0 4.0 1.0 0.3 적량 적량 1.5 to 100
<처방예 11> - 유액상 파운데이션(Liquid Foundation)
성 분 명 함 량 (중량%)
스테아린산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액상 라놀린 유동파라핀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벤토나이트 글리세린 이산화티탄 탈크 착색안료 트리에탄올아민 향료 방부제 산화방지제 실시예1의 식물추출물 정제수 2.0 0.5 2.0 3.0 5.0 0.2 0.5 3.0 8.0 4.0 적량 1.0 0.2 적량 적량 2.0 to 100
<처방예 12> - 비누(Soap)
성 분 명 함 량 (중량%)
야자유 지방산 이산화티탄 에틸렌아민 테트라초산나트륨 향료 색소 글리세린 산화방지제 실시예1의 식물추출물 비누칩(베이스) 1.0 0.3 0.1 0.5 적량 1.0 적량 1.0 to 100
<시험예1> - In vitro Test; 모공수축효과 시험(Ⅰ)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에 대하여 모공 수축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1∼6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대상으로 피부를 대신할 단백질로 헤모글로빈을 사용하여 모공수축효과를 시험하였다.
0.9% 살린 포스페이트 버퍼(saline phosphate buffer, 0.1 mM, pH 7.4)로 헤모글로빈 용액(0.05 g/50 mL)을 제조하여 헤모글로빈 용액 2 mL에 실시예1∼6의 시료를 2 mL 가한 후, 30 초 가량 진탕 혼합한 다음 3,5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그 상등액 1 mL에 정제수 2 mL을 가하여 407 nm에서 UV-Visible spectrum으로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상기 실시예의 추출물 시료 대신 시료 용매를 2mL 가하였다. 블랭크(blank)는 헤모글로빈 용액 대신 0.9% 살린 포스페이트 버퍼2 mL을 넣었다. 반응액 중에 함유시킨 추출액의 최종농도가 1% 및 6%인 경우에서 헤모글로빈의 침전량을 측정하여 수축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헤모글로빈의 침전(%)가 높을수록 모공수축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이다.
실시예 반응액중의 추출물농도(%) 모공수축효과(%)
실시예 1 6 1 90.0 9.0
실시예 2 6 1 84.0 13.0
실시예 3 6 1 91.0 11.0
실시예 4 6 1 89.0 10.0
싱시예 5 6 1 89.0 15.0
실시예 6 6 1 89.0 10.0
이 중에서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대하여 각각의 농도에 따른 수축효과를 별도로 측정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농도(%) 헤모글로빈의 침전(%)
0 0.1
1 10.0
2 27.0
3 40.0
4 58.0
5 70.0
6 89.0
<시험예2> - In vivo Test; 모공수축효과 시험(Ⅱ)
본 발명에 의한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의 모공 수축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40세∼55세의 여성층으로서 모공이 넓은 지성피부의 소유자 30명을 대상으로 상기 처방예1∼6에서 제조된 크림을 임의로 선택, 사용케 하되 이마 왼쪽부분에는 처방예1∼6의 크림을, 이마 오른쪽부분에는 대조용 크림(처방예7)을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직접 도포하여 사용하게 한 후 4주 후에 육안으로 모공이 작아졌는지의 모공수축효과를 측정하여 표 5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현저한 효과 약간 효과 효과 없음 악화됨
처방예1∼6(본발명) 15 명 10 명 5 명 0 명
처방예7(대조용) 0 명 10 명 17 명 3명
이상의 시험에서 볼 때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모공수축효과는 표3∼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매우 양호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이들 추출물은 모공수축효과 외에도 피부 탄력증진 효과도 있는 것으로 추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모든 결과를 두고 볼 때, 본 발명에 의한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는 종래 처방의 화장료에 비해 모공수축기능에 대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에 참나무 속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0.5 내지 2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이 크림,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밀크 로션, 파운데이션, 비누, 세안 홈 등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42393A 2007-05-01 2007-05-01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조성물 KR20080097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393A KR20080097314A (ko) 2007-05-01 2007-05-01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393A KR20080097314A (ko) 2007-05-01 2007-05-01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314A true KR20080097314A (ko) 2008-11-05

Family

ID=4028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393A KR20080097314A (ko) 2007-05-01 2007-05-01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73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3220A1 (fr) * 2013-11-20 2015-05-22 Sylvain Charlois Participations Principe actif a base d'un extrait vegetal de chene a effet anti-vieillissement cutane et composition cosmetique le comprenant
KR20210066030A (ko) * 2009-08-26 2021-06-04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피부 케어 제형
FR3110418A1 (fr) * 2020-05-21 2021-11-26 Distillerie Michel Boinaud Extrait vegetal comprenant du quercito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030A (ko) * 2009-08-26 2021-06-04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피부 케어 제형
FR3013220A1 (fr) * 2013-11-20 2015-05-22 Sylvain Charlois Participations Principe actif a base d'un extrait vegetal de chene a effet anti-vieillissement cutane et composition cosmetique le comprenant
WO2015075377A1 (fr) * 2013-11-20 2015-05-28 Sylvain Charlois Participations Principe actif à base d'un extrait végétal de chêne à effet anti-vieillissement cutané et composition cosmétique le comprenant
FR3110418A1 (fr) * 2020-05-21 2021-11-26 Distillerie Michel Boinaud Extrait vegetal comprenant du quercit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07935B2 (ja) 皮膚外用剤
KR10105596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173B1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20180353413A9 (en) Skin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cortisone
KR102580399B1 (ko)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7314A (ko)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조성물
KR20180033405A (ko) 갈색거저리 유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00134929A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56263B1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08831A (ko)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올리브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JP4247091B2 (ja) 皮膚老化防止剤
KR100548033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030065095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지연 화장료 조성물
JP6175216B2 (ja) 関節炎の予防・治療剤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7970B1 (ko) 능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1131B1 (ko) 천연 향유를 함유하는 여드름 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