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428B1 -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428B1
KR102364428B1 KR1020210103588A KR20210103588A KR102364428B1 KR 102364428 B1 KR102364428 B1 KR 102364428B1 KR 1020210103588 A KR1020210103588 A KR 1020210103588A KR 20210103588 A KR20210103588 A KR 20210103588A KR 102364428 B1 KR102364428 B1 KR 102364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ley
cosmetic composition
rice
spirulina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애순
오경희
조승희
정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순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순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순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21010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7가지 곡물과 스피룰리나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를 고체기질로 이용하여 발효한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항산화효과,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grain extract having high antioxidative activity}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7가지 곡물과 스피룰리나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항산화효과,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란 세월이 지나감에 따라 신체의 구조와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고 질병과 사망에 대한 감수성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쇠약해지는 과정으로 신체에 생리적 변화가 발생하여 신체 전반적으로 현저한 퇴화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 중에서 우리가 가장 쉽게 느낄 수 있는 것이 피부 노화로 이는 당뇨병, 심장병, 동맥경화, 치매, 암 등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으로 인식이 되고 있으며, 개인차가 있지만 피부노화는 대개 20대 초반을 전후해서 시작되어 나이가 많아지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인간의 주식으로 사용되는 곡물은 영양분을 공급하며 다양한 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곡물을 이용한 제품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개선 활성을 가지는 다양한 천연물들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는 곡물인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와 스피룰리나를 고체기질로써 이용하여 발효시켜 제조된 혼합발효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효과,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7582호(2020.04.28)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9198호(2018.06.25) (000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9972호(2016.04.12)
본 발명은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와 피부 보습 및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혼합발효추출물은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를 고체기질로 하여 효모를 배양하면서 발효시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발효추출물은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가 각각 1~3 : 1~2 : 1~2 : 1~3 : 2~4 : 1~2 : 1~2 : 0.5~1의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 1~2 : 1~2 : 2~3 : 3~4 : 1~2 : 1~2 : 0.5~1의 중량비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2 : 1 : 1 : 2 : 3 : 1 : 1 : 0.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발효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20 중량% 함유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 주름개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A)세척 건조된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를 각각 1~3 : 1~2 : 1~2 : 1~3 : 2~4 : 1~2 : 1~2 : 0.5~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B)수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멸균하면서 혼합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
C)상기 혼합물에 효모를 혼합하여 20~25℃에서 48~72시간 배양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D)상기 발효물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 혼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7가지 곡물과 스피룰리나의 발효추출물인 본 발명의 혼합발효추출물은 그 상승효과에 의하여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피부 보습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개선용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발효추출물의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발효추출물의 HAS mRNA 발현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와 스피룰리나의 혼합발효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효과, 피부 보습효과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메밀은 성질이 차 체내 열을 내려주고 염증을 가라앉히며 몸의 습기와 열기를 내려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밀에는 트레오닌, 리신 등 필수 아미노산 및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으며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어 피부미용에 효과적이며 피부나 머리에 종기 및 부스럼에 효과가 있다.
수수는 벼목 볏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며 서아프리카와 인도의 주식으로 이용된다. 수수는 프로안티시아닌을 함유하여 염증제거에 도움을 주며, 폴리페놀, 타닌 등의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활성산소 제거 및 세포재생에 도움을 준다.
찹쌀은 찰벼에서 나는 쌀이며 중국과 인도가 원산지이다. 찹쌀은 밥을 짓는 맵쌀에 비해 배젖이 불투명하여 녹말의 대부분이 아밀로펙틴으로 이루어져 찰기가 높다. 찹쌀은 비타민 E와 미네랄을 함유하여 피부보습에 도움을 주며 항산화 작용을 한다.
현미는 수확한 벼를 건조, 탈곡한 후 왕겨를 벗긴 쌀이다. 현미에는 지방, 단백질, 비타민 B1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식으로 이용된다. 또한, 철분, 셀레늄, 아연 등의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여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피부노화예방에 도움을 준다.
흑미는 고대 중국인들에게 인기 있던 특종 쌀이며 단백질과 지방, 비타민 B군과 D, E, 칼슘과 인, 철 등이 풍부해 아미노산이 많고 특히 라이신이 백미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강력한 항산화 물질인 오리자놀, 토코트리에놀, 오리자후란 등이 함유되어 있어 활성산소의 산화작용을 방지하고 멜라닌 합성억제를 통해 피부를 밝고 환하게 한다.
율무는 열대, 아열대에서 재배되거나 야생한다. 글리세라이드 성분과 다당을 함유하고 있으며, 트리올레오일글레세롤을 함유하고 있어 면역증강에 도움을 주며 항염작용을 한다.
보리는 화분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로 대맥이라고도 한다. 보리는 재배역사가 가장 오랜 작물의 하나로 이집트의 석기시대 유물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약 1만년 전 재배가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보리는 베타글루칸, 비타민C, 비타민E를 함유하고 있어 높은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다.
스피룰리나(Spirulina)는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조류로서 식물, 동물, 해조류, 박테리아 등이 가지는 다양한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어서 미래 식량 및 우주 식품으로 여겨진다. 스피룰리나에는 주성분인 단백질, 탄수화물, 식이섬유 뿐 아니라 감마리놀렌산, 카로티노이드, 클로로필, 피코사이아닌 등의 항산화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칼슘, 철,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도 다량 포함되어 있어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항노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발효추출물은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를 고체기질로 하여 효모를 배양하면서 발효시켜 추출한 것이다.
상기 혼합발효추출물은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가 각각 1~3 : 1~2 : 1~2 : 1~3 : 2~4 : 1~2 : 1~2 : 0.5~1의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 1~2 : 1~2 : 2~3 : 3~4 : 1~2 : 1~2 : 0.5~1의 중량비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2 : 1 : 1 : 2 : 3 : 1 : 1 : 0.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발효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A)세척 건조된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를 각각 1~3 : 1~2 : 1~2 : 1~3 : 2~4 : 1~2 : 1~2 : 0.5~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B)수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멸균하면서 혼합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 C)상기 혼합물에 효모를 혼합하여 20~25℃에서 48~72시간 배양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D)상기 발효물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먼저, 세척 건조된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를 각각 1~3 : 1~2 : 1~2 : 1~3 : 2~4 : 1~2 : 1~2 : 0.5~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천연물들은 분말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를 각각 2~3 : 1~2 : 1~2 : 2~3 : 3~4 : 1~2 : 1~2 : 0.5~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경우에 더욱 우수한 항산화, 보습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더욱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 : 1 : 1 : 2 : 3 : 1 : 1 : 0.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다.
상기 혼합물에 수증기를 가하여(steam heating) 세균을 사멸하면서 수분을 공급한다. 수분을 머금은 혼합물에 효모를 혼합하여 20~25℃에서 48~72시간 배양하여 발효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효모고체발효 공법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와 같은 고체발효공법은 낮은 수분함량으로 발효공정 중 균의 오염 가능성이 낮아지며, 미생물의 서식 환경과 흡사한 환경을 조성하여 생성물의 활성이 액체배양에 비해 증가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어서 상기 배양물을 회수하여 5~10배 중량의 용매로 추출한다. 이때 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헥산,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1,3-부틸렌글리콜과 정제수를 3:7(w/w) 비율로 혼합한 혼합 용매를 가하고, 3~5일간 침적하여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120℃로 3~7시간 끓여서 추출한다.
이어서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상기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의 혼합발효추출물은 그 활성을 평가한 결과, 그 상승작용에 의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 보습관련인자 발현증가 효과, 콜라겐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혼합발효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20 중량% 함유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바디 로션, 바디 오일, 바디 젤, 샴푸, 린스, 헤어 콘디셔너, 헤어 젤, 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하기의 실시예와 시험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 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6: 혼합발효추출물의 제조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를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혼합하여 혼합물 500g을 제조하였다. 수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멸균하면서 혼합물에 수분을 공급하고 고체기질로 하여 효모를 접종 후 25℃에서 72시간 배양하여 발효시켰다. 이어서 상기 배양물을 회수하여 8배 중량의 용매(1,3-부틸렌글리콜:정제수=3:7)로 5일간 침적하여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5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
중량비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스피룰리나
실시예 1 1 1 1 1 2 1 1 0.5
실시예 2 2 2 1 2 2 1 2 0.5
실시예 3 3 1 1 3 3 2 1 1
실시예 4 1 2 2 2 2 2 2 1
실시예 5 2 1 1 2 3 1 1 0.5
실시예 6 2 2 2 3 4 2 2 1
비교예 1~6: 혼합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6과 동일한 조성으로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를 혼합하여 혼합물 500g을 제조하였다. 수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멸균하면서 혼합물에 수분을 공급하고 8배 중량의 용매(1,3-부틸렌글리콜:정제수=3:7)로 5일간 침적하여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5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
시험예 1: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시료에 대해 DPPH free radical 소거 실험을 하였다.
상기 시험 방법은 에탄올상에서 1,1-Diphenyl-2-picryhydrazyl(DPPH, Sigma D9132-1G)가 발생시키는 자유 라디칼에 대한 소거능을 시험함으로써 항산화 효과의 직접적인 작용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시험법이다. 화합물 1,1-Diphenyl-2-picryhydrazyl(DPPH, Sigma D9132-1G)은 에탄올 내에서 자유라디칼을 발생하는데, 이에 일정 농도의 추출물과 혼합하여 자유라디칼의 양이 어느 정도 감소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에탄올 0.4ml에 0.1mM의 DPPH용액 0.5ml, 그리고 일정농도로 희석된 각 시료를 0.1ml 첨가하였다. 10초간 강하게 vortexing 후 냉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를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며, 항산화능의 정도는 에탄올을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강도를 기준으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결과적인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하기의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자유 라디칼 소거능(%)= {1-(B/A) }×100
A: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웰의 흡광도
B: 시료를 처리한 실험군 웰의 흡광도
시료 농도(%) 자유라디칼 소거능(%)
실시예 1 0.5 26.5
실시예 2 0.5 30.9
실시예 3 0.5 37.8
실시예 4 0.5 35.7
실시예 5 0.5 43.4
실시예 6 0.5 41.7
비교예 1 0.5 13.8
비교예 2 0.5 17.3
비교예 3 0.5 24.1
비교예 4 0.5 20.0
비교예 5 0.5 29.9
비교예 6 0.5 27.8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7가지 곡물과 스피룰리나를 고체기질로하여 발효한 실시예의 혼합발효추출물에서 일반 혼합추출물에 비하여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5, 6에서 더욱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5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2: Hyaluronic acid 생성량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추출물 시료 처리에 의한 Hyaluronic acid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HaCaT 세포를 96 well plate에 1×106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배양한 후,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하여 18시간 starvation 시키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HaCaT 세포에 각 시료 0.5%씩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회수한 배양액은 ELISA kit를 이용하여 hyaluronic acid(HA)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7가지 곡물과 스피룰리나를 고체기질로하여 발효한 실시예의 혼합발효추출물에서 일반 혼합추출물에 비하여 훨씬 높은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3, 5 및 6에서 더욱 높은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3: HAS-3 발현 증가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혼합발효추출물 시료 처리에 의한 HAS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HaCaT 세포를 96 well plate에 1×106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배양한 후,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하여 18시간 starvation 시키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HaCaT 세포에 각 시료 0.5%씩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한 후 세포는 RT-PCR을 이용하여 hyaluronic acid synthase(HAS) mRNA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HAS-3 발현 증가율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HAS-3 발현증가율(%)=(시료 HAS-3 발현양/대조군 HAS-3 발현양) ×100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7가지 곡물과 스피룰리나를 고체기질로하여 발효한 실시예의 혼합발효추출물에서 일반 혼합추출물에 비하여 훨씬 높은 HAS-3 발현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4: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시험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CCD-986sk cell)를 96-well plate에 1×106cells/well되게 접종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을 serum이 없는 DMEM 배지에 농도별로 첨가하여 교체한 후 24시간 동안 더 배양하여 세포 배양액을 취하였다. 세포 배양액 내 콜라겐 양은 procollagen type I C-peptide (PIP) EIA kit(Takara Bio, Japan)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측정된 콜라겐 양은 Lowry assay로 구한 총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였다. procollagen 발현율(%)은 하기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UV를 조사하지 않은 정상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아데노신(Adenosine)을 사용하였다.
procollagen 발현율(%) = B/A × 100(%)
A: 상기 대조군에서의 procollagen 발현 량
B: 시료 처리 및 UV조사 섬유아세포의 procollagen 발현 량
시료 농도(%) procollagen 발현율(%)
실시예 1 0.5 34.9
실시예 2 0.5 38.4
실시예 3 0.5 42.9
실시예 4 0.5 41.0
실시예 5 0.5 47.2
실시예 6 0.5 44.7
비교예 1 0.5 22.9
비교예 2 0.5 24.7
비교예 3 0.5 34.2
비교예 4 0.5 28.8
비교예 5 0.5 38.9
비교예 6 0.5 36.7
Adenosine 0.5 48.6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7가지 곡물과 스피룰리나를 고체기질로하여 발효한 실시예의 시료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7 :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제조
상기 실시예 5의 혼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한 크림을 하기 표 4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중량%)
대조예 1 실시예 7
실시예 5 - 2.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스테아릴알콜 2.2 2.2
스테아린산 1.5 1.5
밀납 1.0 1.0
폴리솔베이트 60 1.5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0.6
정화식물유 1.0 1.0
스쿠알란 3.0 3.0
광물유 5.0 5.0
트리옥타노인 5.0 5.0
디메치콘 1.0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0.1
글리세린 5.0 5.0
베타인 3.0 3.0
트리에탄올아민 1.0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4.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시험예 5: 피부 보습 개선 효과 확인
피부 보습에 대한 임상시험으로 피부 수분 측정기(Corneometer, Courage+Khazaka,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전도도를 측정함으로써 피부 보습력을 평가하였다. 피부 수분 측정은 실내온도 20 내지 25℃, 상대습도 40 내지 55%로 유지시킨 항온항습 조건 하에서 실시예 7과 대조예 1의 크림을 10명의 피검자 얼굴을 반으로 나누어 한쪽에는 실시예의 제품을 다른 한쪽에는 대조예의 제품을 2회/1일 도포하면서 사용 전 및 2주 후의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초기(D0) 평균 2주(D14) 평균 수분 증가량(%)
대조예 1 33 36 9
실시예 7 32 40 25
상기 표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7에서 높은 보습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6: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확인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각 10명씩 나누어 상기 실시예 7과 대조예 1의 제형을 안면부에 하루 2회씩(아침 및 저녁) 4주간 도포하였다. 4주 후 주름의 개선 정도를 주름의 영상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주름의 영상분석에 의한 평가는 실험이 시작되기 전 눈 밑의 레플리카를 채취하고 실험이 종료된 직후의 레플리카를 눈 밑의 동일 부위에서 채취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주름의 2차원적 분석으로 주름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영상분석에 의한 주름 밀도의 측정 결과는 사용 전과 비교한 주름 밀도에 대한 감소율로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주름 밀도 감소율 (%)
대조예 1 4
실시예 7 17
상기 표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7에서 높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8)

  1.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가 각각 2~3 : 1~2 : 1~2 : 2~3 : 3~4 : 1~2 : 1~2 : 0.5~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물을 고체기질로 하여 효모를 배양하면서 발효시켜 추출한 메밀, 수수, 찹쌀, 현미, 흑미, 율무, 보리 및 스피룰리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발효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20 중량% 함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KR1020210103588A 2021-08-06 2021-08-06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4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588A KR102364428B1 (ko) 2021-08-06 2021-08-06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3588A KR102364428B1 (ko) 2021-08-06 2021-08-06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428B1 true KR102364428B1 (ko) 2022-02-17

Family

ID=8049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588A KR102364428B1 (ko) 2021-08-06 2021-08-06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42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745B1 (ko) * 2007-02-28 2008-07-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피루리나 발효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9972A (ko) 2014-10-02 2016-04-12 샘표식품 주식회사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1378A (ko) * 2016-06-27 2018-01-04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항산화 조성물
KR20180069198A (ko) 2016-12-14 2018-06-25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발효보리, 발효배즙, 발효콩 및 발효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JP2019106988A (ja) * 2017-12-19 2019-07-04 株式会社ユーグレナ 麹菌発酵産物、麹菌発酵産物原料、麹菌発酵産物の製造方法、発酵食品の製造方法、甘酒の製造方法及び酵素産生促進剤
KR102107582B1 (ko) 2019-09-27 2020-05-08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누룩 및 밭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745B1 (ko) * 2007-02-28 2008-07-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피루리나 발효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9972A (ko) 2014-10-02 2016-04-12 샘표식품 주식회사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1378A (ko) * 2016-06-27 2018-01-04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항산화 조성물
KR20180069198A (ko) 2016-12-14 2018-06-25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발효보리, 발효배즙, 발효콩 및 발효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JP2019106988A (ja) * 2017-12-19 2019-07-04 株式会社ユーグレナ 麹菌発酵産物、麹菌発酵産物原料、麹菌発酵産物の製造方法、発酵食品の製造方法、甘酒の製造方法及び酵素産生促進剤
KR102107582B1 (ko) 2019-09-27 2020-05-08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누룩 및 밭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415B1 (ko) 유색미 미강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176529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670166B2 (ja) 化粧料
KR101086225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6263B1 (ko) 마조람, 몰로키아 및 레몬밤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8887B1 (ko) 히카마, 콜리플라워, 말로우 및 아이슬란드 이끼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보습,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486B1 (ko) 다단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40141A (ko)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5579B1 (ko) 측백엽을 포함하는 천연유래물질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984163B1 (ko) 차요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1855206B1 (ko) 장뇌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64428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4792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775485B1 (ko) 계혈등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2453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곡물 발효추출물과 베리류 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10122448A (ko)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9622B1 (ko) 수수새싹 추출액의 발효액 또는 이의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0203930A (ja) 化粧料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