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972A -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972A
KR20160039972A KR1020140133368A KR20140133368A KR20160039972A KR 20160039972 A KR20160039972 A KR 20160039972A KR 1020140133368 A KR1020140133368 A KR 1020140133368A KR 20140133368 A KR20140133368 A KR 20140133368A KR 20160039972 A KR20160039972 A KR 20160039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ley
fermented
yeast
fermentation
soy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1516B1 (ko
Inventor
김대응
조동운
전종은
배현아
정승경
정혜인
조미나
정경훈
허병석
Original Assignee
샘표식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샘표식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샘표식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5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표적인 식품의 원재료인 콩 및 보리를 기능화하여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다이드제인(daidzein) 및 제니스테인(genistein)의 함량이 증가된 콩 효모발효물 및 베타-글루칸(β-glucan) 의 함량이 증가된 보리 효모발효물을 포함하는 콩-보리 발효복합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증진 등 전반적인 피부 미용에 우수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mplex ferment consisting of soybean and barley}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농림축산식품부(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의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High Value-added Food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의 지원과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PET)의 관리 하에 이루어진 것이다.
피부는 환경독소, UV 등에 직접 노출되어 이로 인해 발생하는 활성산소와 염증반응의 수준이 다른 조직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며, 수질오염과 오존층 파괴 등의 환경 요인의 증가에 의해 노화가 촉진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 노화가 장기간 지속될수록 다른 피부 질환 및 암 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 노화의 예방은 중요한 보건상의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피부 기능과 피부 상태는 영양에 크게 의존하며, 영양결핍에 반응하여 피부에 병소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근거로 하여 천연물로부터 비타민, 미네랄, 필수 지방산 등의 공급을 통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68815호 (2011.09.23.)
본 발명은 대표적인 식품의 원재료인 콩 및 보리를 기능화하여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콩 및 보리로부터 유래된 콩-보리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상기 발효복합물은 다이드제인(daidzein) 및 제니스테인(genistein)의 함량이 증가된 콩 효모발효물 및 베타-글루칸(β-glucan) 의 함량이 증가된 보리 효모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콩 효모발효물은 피부 미용개선의 지표가 되는 유효성분으로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을 종래 콩 효모발효물보다 증가된 양으로 포함하며, 보리 효모발효물도 유효성분으로 β-글루칸 을 종래 보리 발효물보다 증가된 양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콩 및 보리로부터 유래된 콩-보리 발효복합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주름의 바이오마커인 MMP-1 활성 및 발현 억제, 피부 보습 히아루론산 생성효소의 활성화에 우수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수정 찰보리 발효물(실시예 1) 및 자수정 찰보리 원물(비교예 1)의 추출용매 종류에 따른 HAS2(hyaluronan synthase 2)발현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수정 찰보리 발효물(실시예 1, Fer-) 및 자수정 찰보리 원물(비교예 1, Ori-)의 MMP-1 발현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세포독성 실험결과로서 각 샘플 처리군에 따른 세포 생존률을 나타낸 도이다.
도 4은 광노화가 유도된 동물모델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콩-보리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처리한 군의 사료 식이섭취량을 비교하여 나타내 것이다.
도 5는 광노화가 유도된 동물모델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콩-보리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식이에 따른 무모생쥐의 무게를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광노화가 유도된 동물모델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콩-보리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식이에 따른 피부의 수분 보습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콩-보리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식이에 따른 피부 수분손실량(TEWL)을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콩-보리 발효복합물의 프로콜라겐 타입-1(procollagen type-1, PIP-1)과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정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콩-보리 발효복합물에 따른 피부조직의 주름생성정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콩-보리 발효복합물에 의한 UVB조사로 낮아진 pH의 변화정도 및 피부 보습정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콩-보리 발효복합물에 의한 UVB 조사로 두꺼워진 표피의 변화정도를 촬영 및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콩-보리 발효복합물에 의한 UVB 조사 후 유리아미노산의 생성량, 억제된 filaggrin의 발현정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콩-보리 발효복합물에 의한 UVB 조사로 줄어든 글리세롤의 증가정도 및 늘어난 수분 손실량의 감소정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콩-보리 발효복합물의 UVB 조사로 인산화된 p38(p-p38)과 ERK(p-ERK) 억제정도를 촬영한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콩-보리 발효복합물의 UVB 조사로 인산화된 p38(p-p38)과 ERK(p-ERK) 억제정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콩-보리 발효복합물은 UVB 조사로 낮아진 SOD(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과 Nrf-2(nuclear factor-erythroid 2-related factor 2)의 발현정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7는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 효모 단독 배양 시의 시간에 대한 세포 농도, 기질 소모량, β-glucan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검정 ●: DCW (g/L), 분홍 ●: Residual reducing sugar (g/L), 파랑 ●: β-glucan (g/L))
도 18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 효모 단독 배양 시의 시간에 대한 시간에 대한 발효변수들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빨간 ●: 비 증식 속도, 카키 ●: 증식 수율. 청록 ●: β-glucan 생산 수율, 갈색 ●: 기질 소모 속도)
도 19는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 효모 단독 배양 시의 시간에 대한 세포 농도, 기질 소모량, β-glucan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검정 ■: DCW (g/L), 분홍 ■: Residual reducing sugar (g/L), 파랑 ■: β-glucan (g/L))
도 20는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 효모 단독 배양 시의 시간에 대한 발효변수들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빨간 ■: 비 증식 속도, 카키 ■: 증식 수율, 청록 ■: β-glucan 생산 수율, 갈색 ■: 기질 소모 속도).
도 21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 효모 동시 배양 시 시간에 대한 세포 농도, 기질 소모량, β-glucan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검정 ◆: DCW (g/L), 분홍 ◆: Residual reducing sugar (g/L), 파랑 ◆: β-glucan (g/L)).
도 22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 효모 동시 배양 시 시간에 대한 발효변수들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빨간 ◆: 비 증식 속도, 카키 ◆: 증식 수율, 청록 ◆: β-glucan 생산 수율, 갈색 ◆: 기질 소모 속도).
도 23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 효모 단독 배양(●),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 효모 단독 배양(■),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 효모 동시 배양시(◆)의 생육 특성 및 발효변수의 변화 측정하여 나타낸 도이다(DCW: 검정, residual reducing sugar: 분홍, β-glucan: 파랑).
도 24은 본 발명의 임상평가 결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시험제품(B제품)과 대조제품(A제품)의 복용시점별 눈가주름 육안 평가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임상평가 결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시험제품(B제품)과 대조제품(A제품)의 복용시점별 눈가주름 정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임상평가 결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시험제품(B제품)과 대조제품(A제품)의 복용시점별 피부 수분량 변화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임상평가 결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시험제품(B제품)과 대조제품(A제품)의 복용시점별 경피수분손실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8는 본 발명의 임상평가 결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시험제품(B제품)과 대조제품(A제품)의 복용시점별 피부 각질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임상평가 결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시험제품(B제품)과 대조제품(A제품)의 복용시점별 피험자의 얼굴, 전박 부위 각질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0는 본 발명의 임상평가 결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시험제품(B제품)과 대조제품(A제품)의 복용시점별 피험자의 눈가 피부주름정도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1는 본 발명의 임상평가 결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시험제품(B제품)과 대조제품(A제품)의 복용시점별 눈가주름변화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2은 본 발명의 임상평가 결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시험제품(B제품)과 대조제품(A제품)의 복용시점별 눈가주름변화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임상평가 결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시험제품(B제품)과 대조제품(A제품)의 복용시점별 효능을 설문조사로 평가한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4은 본 발명의 임상평가 결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시험제품(B제품)과 대조제품(A제품)의 제품사용성에 대한 설문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몸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콩 효모발효물" 및 "보리 효모발효물"이라 함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복합 균주를 콩 또는 보리에 접종하여 발효배양한 생성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발효복합물"이라 함은, 복수의 발효물을 혼합한 혼합물 및 복수의 원료를 혼합하여 발효한 발효물을 모두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콩 및 보리로부터 유래된 콩-보리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콩 및 보리로부터 유래된 콩-보리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상기 발효복합물은 다이드제인(daidzein) 및 제니스테인(genistein)의 함량이 증가된 콩 효모발효물; 및 베타-글루칸(β-glucan) 의 함량이 증가된 보리 효모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보리의 세포벽에 포함된 상기 베타-글루칸(β-glucan)은 다당류의 일종으로, 효모의 세포벽, 버섯류, 곡류 등에 존재하는 물질이다. 베타-글루칸은 포도당 중합체로서 포도당 단위체가 1, 3위치에 β-글리코시드 결합을 기본 구조로 가지고 있고, 포도당이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구조 및 물리 화학적 성질이 다르다. 예를 들면 베타-글루칸에는 베타-(1,3)/(1,4)-글루칸(β-(1,3)/(1,4)-glucan), 베타-(1,3)/(1,6)-글루칸(β-(1,3)/(1,6)-glucan) 등이 있으며, 하기 화학식 1은 이 중 베타-(1,3)/(1,6)-글루칸의 구조식을 나타낸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베타-글루칸은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비특이적 면역반응으로 인간의 정상 세포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고 (macrophage)를 활성화 시켜 암세포가 있는 체내로 들어가 여러 가지 (Cytokine)의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면역세포인 와 B세포의 면역기능을 활성화 시켜준다. 이 외에도 베타-글루칸은 혈당강하 및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가 우수하며, 지질대사를 개선하여 체지방 형성과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항 비만효과를 가지고 있다. 베타-글루칸은 종래 항암효과 및 면역증강효과만이 알려져 있어 항암 또는 면역증강을 위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되어 왔다. 상기 베타-글루칸은 당구조를 갖는 단위가 세포막을 이루는 당단백질과 결합하므로 피부조직과의 친화력이 우수하고, 수분과의 친화력이 높아 피부 내에서의 수분을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보리원물 또는 종래 보리 발효물보다 매우 증가된 보리 효모 발효물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보습효능, 주름개선 및 미백 효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콩에 포함된 상기 다이드제인(daidzein, 7-Hydroxy-3-(4-hydroxyphenyl) chromen-4-one)은 플라보노이드 중 아이소플라본의 일종으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주어 각종 만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화학식은 아래와 같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콩에 포함된 상기 제니스테인(genistein, 5,7-Dihydroxy-3-(4-hydroxyphenyl)chromen-4-one)은 상기 다이드제인과 같이 아이소플라본 화합물 중의 하나로서 다음의 화학식을 가진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3
상기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은 대두 및 이집트콩과 같은 콩과 식물, 두부 및 템페(tempeh)와 같은 콩가공품, 식물단백질 조직을 가진 식품에 포함되어 있다. 식물성 호르몬으로서 세포 내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단백질인산화효소를 저해하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탄력이 없어진 피부가 탄력을 되찾는데 필수인 단백질인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여 주며, 천연물이기 때문에 안전성이 뛰어나고 피부 산화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외, 유방암과 전립선암, 난소암, 대장암뿐만 아니라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 주어 각종 만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다. 이는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이 혈중 지방 농도 감소, LDL산화억제, 항염증 효과, 피응고와 혈전감소, 건전한 혈관유지 등 항동맥경화 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α-글루코시다제를 저해하여 N-결합형 당단백질(N-linked glycoprotein)인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글리코실화(glycosylation)를 저해하므로, 티로시나제의 세포내 이동이나 활성을 억제할 수 있고,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흑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의 함량이 콩 원물 또는 종래 콩 발효물보다 매우 증가된 콩 효모 발효물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효능,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 효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콩 효모발효물 및 보리 효모발효물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효모발효물이다. 발효물은 균의 종류에 따라 그 발효 메커니즘이 상이하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복합균주로 콩 및 보리를 발효함으로써 균주간의 상호 보완을 통해 콩 또는 보리의 발효를 촉진시켜, 피부에 유익한 대사산물을 다량생성하고 배출시킬 수 있어 풍부한 발효산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복합 균주는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 피키아 쟈디니보다 더 많이 포함된 것이며, 예를 들면 피키아 쟈디니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이 1:2 내지 1:4의 중량비율(균수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이는 피키아 쟈디니의 생육속도가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의 생육속도 보다 2배 이상 빠르므로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을 보다 많이 접종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피키아 쟈디니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은 각각 피키아 쟈디니(KFCC 11487P)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KCCM 12017)를 예로 들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상기 콩 효모발효물 및 보리 효모발효물은 알파화된 콩 및 보리를 발효한 효모발효물이며, 이때 상기 알파화된 콩 및 보리는 열을 가하며 볶은 콩 및 보리를 분말화한 것이다. 콩 및 보리는 외피로 둘러싸여 효소분해 작용을 받기 어려우므로 외피를 파괴하는 과정을 거쳐야 콩 및 보리 안의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미생물의 효소작용으로 분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처리 과정은 습식과 건식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증기를 사용하는 습식방법은 추후 제조공정상 외부미생물에 불안정한 원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건식방법에 의한 전처리 방법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방법에 의한 외피의 파괴 및 열을 이용한 단백질 및 탄수화물의 변성은 효소분해 수율을 높이고, 더욱이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 단백질의 구조를 파괴하여 효소분해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콩 효모발효물 및 보리 효모발효물은 콩 및 보리를 각각 알파화 단계; 액/당화 단계; 및 효모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콩과 보리의 혼합물을 함께 알파화 단계; 액/당화 단계; 및 효모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통해 하나의 공정으로 발효복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알파화 단계는 콩/보리를 90℃ 이상의 온도에서 볶은 다음 100 메쉬(mesh) 이상으로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액/당화 단계는 상기 분말화된 콩/보리를 아밀라제(Amylase) 및 글루코아밀라제(glucoamylase) 중 하나 이상을 첨가하여 프로테아제(protease)로 효소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모발효 단계는 상기 액/당화된 콩 또는 보리를 발효조에 넣고 20 내지 40℃의 온도조건 하에서 10 내지 30 시간동안 배양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효모 발효 후 세포 파쇄 단계(disruption) 및 여과 단계(seive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콩 효모발효물 및 보리 효모발효물은 상기 효모발효 단계에서 각각 복합 균주 종배양액을 발효액량 대비 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콩 또는 보리에 접종하여 발효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효모 발효 단계에서 발효조에 넣는 콩 또는 보리의 함량은 각각 전체 함량 대비 1 중량% 내지 2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체 함량 대비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내일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콩은 대두, 강낭콩, 완두콩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대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리는 흰찰쌀보리, 새찰쌀보리, 자수정찰보리, 보석찰보리, 강호청보리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자수정 찰보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제조된 콩-보리 복합화합물은 피부 미용 개선기능을 갖는 유효성분인 다이드제인, 제니스테인, 베타-글루칸 등을 일반 콩 및 보리 원물 또는 일반 콩 및 보리 발효물과 비교하여 매우 증가된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구현예로서 상기 복합발효물은 상기 베타-글루칸을 복합발효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발효물은 상기 베타-글루칸을 복합발효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 12중량% 이상, 14중량% 이상, 16중량% 이상, 18중량% 이상, 20중량% 이상, 22중량% 이상, 24중량% 이상, 26중량% 이상, 28중량% 이상, 30중량% 이상, 32중량% 이상, 34중량% 이상, 36중량% 이상, 38중량% 이상 또는 40중량% 이상 일 수 있다.
또한,일 구현예로서 상기 발효복합물은 상기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을 발효복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5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을 발효복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중량% 이상, 0.01중량% 이상, 0.05중량% 이상, 0.1중량% 이상, 0.2중량% 이상, 0.3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5중량% 이상 또는 1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 구현예로서 상기 발효복합물은 베타-글루칸을 발효복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50 중량%, 다이드제인 0.005-5 중량%, 및 제니스테인 0.005-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콩 효모발효물 및 보리 효모발효물을 10: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한 발효복합물, 콩 및 보리를 10: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발효한 발효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콩 효모발효물 및 보리 효모발효물을 9:1 내지 1:9, 8:1 내지 1:8, 7:1 내지 1:7, 6:1 내지 1:6, 5:1 내지 1:5, 4:1 내지 1:4, 3:1 내지 1:3, 2:1 내지 1:2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발효복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때, 콩발효물에서의 지표물질인 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함량과 보리발효물의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서로 적절히 포함됨으로써 탁월한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발효복합물을 조성물의 제형 또는 용도에 따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01 내지 5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상기 발효복합물은 다이드제인, 제니스테인, 베타-글루칸 과 같은 피부 유용성 성분들을 증가된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UV-B 자극에 의해 증가된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 발현의 억제 활성을 가져, 피부 각질화 과다생성 및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고, 콜라겐의 합성의 전구체인 타입-1 프로콜라겐(Procollagen type-1) 생성을 증가시켜 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피부의 방수성 외부층이 적절히 발달되도록 할 수 있는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보습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미백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피부 미용 개선 용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대두 발효물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실시예 1] 보리 효모발효물의 제조
전남 영광 100% 국내산 자수정찰보리를 150℃-180℃에서 10분-20분 동안 볶음솥에서 알파화 시킨 후 분쇄기를 사용하여 100 mesh이상으로 분말화하였다. 상기 분말화된 자수정찰보리를 발효배지로 하였다. 발효에 사용한 미생물로서 본 출원인의 균주인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와 KCCM으로부터 분양 받은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를 1:1의 균수로 혼합하여 복합균주를 제조한 다음, 이를 YM 배지(전 배양 배지; 기본 배지조성 - 1.71 % 글루코오스, 0.15 % 질산암모늄, 0.1 % K2H2PO4, 0.1 % NaCl, 0.02 % MgSO4)를 사용하여 30℃에서 24시간동안 발효조에서 배양하였다. 글루코스 17.1g/L, 질산 암모늄 1.5g/L 및 알파화한 상기 자수정찰보리 1%-10%를 상기 발효조 배지에 첨가하였다. 이를 수용액 상태에서 121℃에서 30분 동안 멸균시킨 후 상기 복합균주의 종배양액을 발효액량의 1%-5% 정도 발효조에 접종하여 30℃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완료 후 90℃-100℃에서 30분 이상 살균 후 분무건조기를 사용하여 분말화하여, 보리 효모발효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보리 효모발효물 내의 최종 베타글루칸 함량은 282.6mg/g 으로, 자수정찰보리 원물에 비하여 3.5배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콩 효모발효물의 제조
대두(구입처: ㈜샘표식품)를 150℃-180℃에서 10분-20분 동안 볶음솥에서 알파화 시킨 후 분쇄기를 사용하여 100 mesh이상으로 분말화하였다. 상기 분말화된 대두를 발효배지로 하였다. 발효에 사용한 미생물로서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와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를 1:1의 균수로 혼합하여 복합균주를 제조한 다음, 이를 YM 배지(broth)를 사용하여 30℃에서 24시간동안 발효조에서 배양하였다. 글루코스 17.1g/L, 질산 암모늄 1.5g/L 및 알파화한 상기 대두 1%-10%를 상기 발효조 배지에 첨가하였다. 이를 수용액 상태에서 121℃에서 30분 동안 멸균시킨 후 상기 복합균주의 종배양액을 발효액량의 1%-5% 정도 발효조에 접종하여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완료 후 90℃-100℃에서 30분 이상 살균 후 분무건조기를 사용하여 분말화하여, 콩 효모발효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제조된 콩 효모발효물내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 함량의 증가여부를 하기와 같이 확인하였다.
먼저, 상기 제조된 콩 효모발효물 1.73 g을 80% MeOH에 담궈 상온에서 하루 동안 추출한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여 80% MeOH 추출물 287 mg 얻었다. 이때 상기 콩 효모발효물에는 지표성분 외에 상당량의 당과 그 외 물질들이 존재하므로 분석에 용이하게 분획을 통해서 이들을 최대한 제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콩 효모발효물의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부탄올(BuOH), 그리고 물(H2O)을 각각 이용하여 계통분획을 진행하여 각각 5.1mg, 68.5 mg, 210 mg을 얻었다. 물층을 제외한 EtOAc와 BuOH 분획물을 합쳐 500ppm농도로 시료를 제조하였다.
STD(Standard)는 100ppb, 250ppb, 500ppb, 1000ppb, 5000ppb 농도로 하여, 상기 콩 효모발효물의 추출물의 질량을 분석하였다.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 Column; C18 (2.1 mm X 150 mm, 2.7 ㎛)
- Solvent; gradient with 0.1% Formic acid in Water and Acetonitrile, 0.2ml/min
- Instrument; Agilent Technologies 6410 Triple Quad LC/MSMS
[표 1]
Figure pat00004
분석결과, 물분획물은 제외한 분획물의 양은 73.6 mg이였으므로, 다이드제인의 함량은 73.6 X 2080.69 =153,138.78 ng, 제니스테인의 함량은 73.6 X 2453.13 = 180,550.37 ng 였다(하기 표 2 내지 4 참조).
[표 2]
Figure pat00005

[표 3]
Figure pat00006

[표 4]
Figure pat00007
발효복합물
[실험예 2] 자수정 찰보리 원물 및 효모발효물 간의 피부건강개선 효능 비교
피부보습
자수정 찰보리 원물(비교예1) 및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수정 찰보리 효모발효물(실시예 1)간의 피부보습 효능평가 및 적절한 추출용매 선택을 위하여, 자수정 찰보리 원물(비교예1) 및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수정 찰보리 효모발효물(실시예 1)의 각 열수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 부탄올추출물의 보습 인자인 HAS2(hyaluronan synthase 2)의 발현 및 활성을 웨스턴블랏을 통해 단백질 수준에서 그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수정 찰보리 원물 및 자수정 찰보리 발효물 모두 추출용매 중 에틸아세테이트 발효추출물에서 HAS2 발현이 가장 높았으며, 추출용매 중 에틸아세테이트 발효추출물의 경우 자수정 찰보리 발효물이 자수정 찰보리 원물보다 HAS2 발현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피부 주름개선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노화는 MMP-1(collagenase) 단백질의 과발현 및 활성증가를 유도하며, 이러한 과정은 자외선에 의한 활성산소 생성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한 세포손상은 주름형성을 촉진한다. 따라서 자수정 찰보리 원물(비교예1) 및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수정 찰보리 효모발효물(실시예 1)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주름개선효능을 비교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E1-E5는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농도별) 추출 샘플을 의미한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수정 찰보리 원물은 UVB조사시 MMP-1 발현정도가 급격히 증가한데 반해, 자수정 찰보리 발효물은 MMP-1의 발현이 약 50% 이상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동물모델에서 콩-보리 발효복합물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주름완화 및 보습개선 효능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콩-보리 발효복합물의 광노화 동물모델에서 식이에 의한 피부개선 효능평가 비교를 위하여 효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동물모델에서의 평가는 UVB를 조사하지 않은 N(Normal)군, UVB를 조사한 C(Control)군, UVB를 조사하고 자수정 찰보리 효모발효물(실시예 1)과 콩 효모발효물(실시예 2)의 혼합물(콩-보리 발효복합물)을 식이섭취한 BS군, 양성대조군(pyconogenol)인 PC군 간의 비교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때 상기 BS군은 다시 자수정 찰보리 효모발효물과 콩 효모발효물을 5:5 배합비율로 처리한 군=BS1, 자수정 찰보리 효모발효물과 콩 효모발효물을 8:2 배합비율로 처리한 군=BS2. 자수정 찰보리 효모발효물과 콩 효모발효물을 2:8 배합비율로 처리한 군=BS3로 나누었다.
자외선이 조사된 세포모델에서의 발효 자수정 찰보리와 콩 혼합물의 보습 효능 검증
먼저, 인간 피부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 세포주인 HaCaT세포를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1%, FBS 10%가 함유된 DMEM배지를 이용하여 유지하여 세포주 모델을 준비하였다. 그 다음 상기 HaCaT세포를 40mm 세포배양접시에 40 x 104개의 개수로 분주하고 24시간 후 UVB를 125 mJ/cm2 양으로 조사한 후 자수정 찰보리 효모발효물(실시예 1) 및 콩 효모발효물(실시예2)을 혼합한 콩-보리 발효복합물(실시예 3) 및 피크노제놀(pyconogenol, 양성대조군)을 각각 10, 50, 100 μg/ml과 1, 20, 50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독성실험(MTT assay)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BS2과 BS3 처리군은 UVB 가 조사되지 않은 보통의 상태인 즉 정상 수준의 상태로 세포증식을 회복시켰으나, BS1 처리군은 효능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PC 처리군은 오히려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동물모델에서 광노화 유도 및 콩-보리 발효복합물이 첨가된 식이공급에 따른 피부보습 측정
먼저, 총 50마리의 6주령 무모생쥐(구입처: ㈜중앙실험동물)에 약 12주간 UV(ultra violet) B를 하기 표 5에 해당하는 양만큼 조사하여 광노화를 유도하였다.
[표 5]
Figure pat00008
그리고, 자수정 찰보리 효모발효물(실시예 1) 및 대두 효모발효물(실시예 2)을 이용한 식이를 제작하였다. 이때 상기 실시예 1 및 2를 혼합한 발효복합물은 식이 총 중량에 대하여 2.5중량%, 양성 대조군은 0.5중량%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AIN-93G 조제 사료를 이용하였으며, 그 조성은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9
상기 광노화가 유도된 동물모델에 약 4주간 일반식이 후, 주3회씩 8주간 제작된 식이 공급하였다. 사료의 섭취량은 매주 모든 처리군에 200g씩 사료를 공급해 주었으며, 총 3회 식이섭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 및 광노화 유도군과 비교하여 콩-보리 발효복합물이 첨가된 식이 처리군 및 PC군에서는 모두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 다음, 상기 광노화가 유도된 동물모델에서의 식이 효율 및 체중 증가를 측정하였다. 식이 효율은 광노화 유도 동물모델에서 식이 섭취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매주 마다 섭취한 사료의 양을 측정하였고, 체중 증가는 광노화 유도 동물모델에서 식이에 의한 체중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 2주 마다 체중을 측정하였다. 광노화가 유도된 무모생쥐를 각 처리군당 무작위로 5마리씩 선택하여 저울을 이용해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12주간 총 3회 실시하고 각 처리군당 측정된 모든 값을 평균 처리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각 처리군에서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피부 수분은 광노화 유도 동물모델에서 발효 자수정 찰보리와 콩 혼합물이 첨가된 식이에 의한 피부 보습양을 측정하였다. 광노화 유도 무모생쥐를 각 처리군 모두 총 12주 동안 매주마다 1회씩 피부의 수분양을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량 측정은 피부측정 센서통합장치(Courage-Khanzaka electronic GMDH, Germany)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그 측정값은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상기 식이섭취량 및 무게측정 결과와 달리, UVB를 조사한 모든 군은 N군에 비해서 피부의 수분양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콩-보리 발효복합물을 식이섭취한 모든 처리군은 UVB만을 처리한 대조군 C군에 비해서 피부의 수분양이 증가하였다. 특히 자외선에 노출됨으로써 피부 수분량이 줄어든 대조군에 비하여 콩-보리 발효복합물 처리군은 초기에 피 부의 수분량을 유지함으로써 보습기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노화 유도 동물모델의 피부 수분 손실량 관찰 및 분석
광노화유도 무모생쥐 피부의 수분 손실량(TEWL)을 측정하기 위하여 무모생쥐를 주당 3회(총 12주) UVB를 조사하였으며, 컬러미터(Colormeter; DermaLab Skin Lab combo, Cortex Technology, Denmark)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TEWL을 측정하여 도 7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그 결과 N군과 C군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고, 발효 자수정 찰보리와 콩 혼합물을 첨가한 식이를 섭취 한 처리군들 중 BS2군과 PC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UVB 처리에 따른 피부의 수분손실량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광노화 유도 동물모델에서의 주름개선 효능평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콩-보리 발효복합물의 피부 주름개선 효능이 우수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주름 관련 인자인 프로콜라겐 타입-1(procollagen type-1, PIP-1)과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 및 활성을 웨스턴 블랏을 통해 단백질 수준에서 그 효능을 확인하고, 메이슨스 트리크롬(masson's trichrome) 염색법을 이용하여 콜라겐의 합성정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피부조직의 주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 및 도 9과 같이 혼합물은 콜라겐 합성을 원활하게 해주고, PIP-1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MMP-1의 발현을 저해하여 결과적으로 주름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노화 유도 동물모델에서의 피부보습 효능평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콩-보리 발효복합물의 피부 보습 효능이 우수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조직에서의 pH, 보습량과 수분손실량을 측정하고, H&E염색법을 이용하여 피부두께를 측정하였다. 보습 관련 인자인 필라그린의 발현 및 활성을 웨스턴 블랏을 통해 단백질 수준에서 그 효능을 확인하고, 유리아미노산과 글리세롤의 생성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내지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콩-보리 발효복합물은 UVB에 의하여 낮아진 pH(도 10), 두꺼워진 표피(도 11), 유리아미노산의 생성량(도 12), 억제된 filaggrin의 발현(도 12), 늘어난 수분 손실량(도 13), 줄어든 글리세롤(도 13)에 영향을 주어 표피 두께를 정상수준으로 회복시키고 pH를 높였으며, 수분손실량을 줄이고, 글리세롤과 유리아미노산의 생성량을 늘렸으며, 필라그린의 발현을 N군 수준으로 복구 시킴으로써 피부 보습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노화 유도 동물모델에서의 주름 및 보습 관련 기전연구 평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콩-보리 발효복합물의 피부 주름 및 보습에 관여하는 기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MAPK 경로(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에서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랏을 이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콩-보리 발효복합물은 UVB에 의하여 인산화된 p38과 ERK1/2를 억제시키는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노화 유도 동물모델에서의 항산화 효능평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콩-보리 발효복합물의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항산화 관련 인자와 효소의 발현 및 유도 정도를 ELISA와 웨스턴 블랏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콩-보리 발효복합물은 UVB에 의하여 낮아진 SOD(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과 Nrf-2(nuclear factor-erythroid 2-related factor 2)의 발현을 높여 항산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보리 품종 별 발효에 따른 품질 지표 분석
먼저, 보리를 스팀 살균 한 후 냉각수로 냉각하고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와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 균주를 YM Broth(전 배양 배지; 기본 배지조성 - 1.71 % 글루코오스, 0.15 % 질산암모늄, 0.1 % K2H2PO4, 0.1 % NaCl, 0.02 % MgSO4) 배양액에 5 %가 되도록 접종하였다.
그 다음,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와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를 각각 100 mL YM broth에서 130 rpm, 30℃에서 24시간 전보온(pre incubation)한 후 3 L 발효 조에 각각 또는 동시에 5 %가 되도록 접종하여 30℃, 24시간 배양하였다. 칭량된 코니칼 튜브(conical tube)에 배양액을 30 mL 회수하여 10 분간 3000 rpm으로 원심분리 후 균체를 증류수로 3회 세척하고, 상등 액을 제거한 후 남은 균체를 105℃에서 등량이 될 때까지 건조하였다. 건조 후 튜브의 무게에서 코니칼 튜브 무게를 뺀 값을 측정하여 건조 균체량(고형분 함량, DCW)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배양액을 적당한 농도로 희석한 후 DNS 발색시약을 사용해 58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류 환원당(Residual reducing sugar)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건강기능식품 공전의 Ⅲ.3.4.3 β-glucan 시험법을 이용하여, 배양액의 베타-글루칸을 글루코오스형태로 분해하고 발색시켜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글루코오스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최대 흡수 파장인 470 nm에서 정량하였다. 글루타치온(Glutatitione)은 알록산 시약법(Alloxan reagent method)을 이용하여 글루타치온을 발색 법으로 정량하였다.
[표 6]
Figure pat00010
4 종류의 보리에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와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 효모를 동시 배양한 결과, 발효물의 베타-글루칸 함량이 원료에 비해 자수정보리 중 알파화한 것이 가장 함량이 뛰어났다. 글루타치온 함량은 156.6(mg/L)으로 쌀보리나 발아보리와 평균값에 대한 유의적 차이가 크게 없었으나 베타-글루칸 함량은 105.3(mg/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5] 효모 단일/복합 발효에 따른 품질 지표 분석
먼저, 각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 단일 균주 및 상기 두 균주를 1:1의 균수 비율로 혼합한 복합균주를 YM Broth(전 배양 배지; 기본 배지조성 - 1.71 % 글루코오스, 0.15 % 질산암모늄, 0.1 % K2H2PO4, 0.1 % NaCl, 0.02 % MgSO4) 배양액에 5 %가 되도록 접종하였다.
그 다음,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와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를 각각 100 mL YM broth에서 130 rpm, 30℃에서 24시간 전보온(pre incubation)한 후 3 L 발효 조에 각각 또는 동시에 5 %가 되도록 접종하여 30℃, 24시간 배양하였다. 칭량된 코니칼 튜브(conical tube)에 배양액을 30 mL 회수하여 10 분간 3000 rpm으로 원심분리 후 균체를 증류수로 3회 세척하고, 상등 액을 제거한 후 남은 균체를 105℃에서 등량이 될 때까지 건조하였다. 건조 후 튜브의 무게에서 코니칼 튜브 무게를 뺀 값을 측정하여 건조 균체량(고형분 함량, DCW)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배양액을 적당한 농도로 희석한 후 DNS 발색시약을 사용해 58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류 환원당(Residual reducing sugar)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건강기능식품 공전의 Ⅲ.3.4.3 β-glucan 시험법을 이용하여, 배양액의 베타-글루칸을 글루코오스 형태로 분해하고 발색시켜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글루코오스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최대 흡수 파장인 470 nm에서 정량하였다. 글루타치온(Glutatitione)은 알록산 시약법(Alloxan reagent method)을 이용하여 글루타치온을 발색 법으로 정량하였다.
동일한 배양시간, 배양조건에서 균체량, β-glucan 함량 등을 비교한 결과를 도 17 내지 도 23에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최대 비 증식속도인 0.887 h-1를 나타내고, 균체 증식 수율의 평균값은 0.388 g-DCW/g-sugar, β-glucan 증식 수율의 평균값은 0.331 g-β-glucan/g-sugar로 효모를 단독 배양하는 것 보다 복합균주로서 동시 배양하는 것이 β-glucan 생산 수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실험계획법(DOE)을 적용한 발효 공정 최적화 수립
RSM(Response Surface Design)을 이용하여 보리, 콩 발효의 최적조건검색: 중심합성계획법에 의한 실험 설계
-2요인 설계, 입방체 점, 중심점으로 구성하여 설계
-보리 당화물: low- 10, high- 30
-효모 추출물: low- 5, high- 10
-반복 수: 2
실험 방법 및 결과
보리 용액은 아밀라제, 글루코시다제 등의 효소를 0.5 %씩 첨가하여 20시간 동안 60℃에서 당화하여 준비하였다. 보리 당화물과 효모 추출물를 하기 표 7에 표시된 만큼씩 섞어 50 mL 배양액 기준으로 혼합하고,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KFCC 11487P)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 KCCM 12017) 효모를 각각 5%씩 접종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표 7]
Figure pat00011
요인분석적 설계(Factorial design)에 따른 설계 결과 및 베타-글루칸의 농도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pat00012
부분요인적합(Factorial fit): 베타-글루칸 대 보리 당화물, 효모 추출물의 계수 값을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Figure pat00013

소결
1차 RSM, 2차 2수준 요인분석적 설계를 통하여 최적 보리 당화물, 효모추출물. 첨가량 결정 실험을 실시한 결과, 보리 당화물 40g/L, 효모추출물 10g/L 이상의 모든 첨가 구에서 최소 8.231 g/L에서 최대 14.491 g/L의 베타-글루칸 생산량을 보였다. 보리 당화물 40-50g/L 첨가 구에서 가장 높은 베타-글루칸 증가량을 보였으며, 50-60g/L 첨가구간에서는 증가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또한 보리 당화물 50g/L 이상 실험구에서 점성이 매우 증가하여 발효조에서의 배양 시 용존 산소(DO)조절이 매우 힘들 것으로 예상되었다. 보리 당화물 첨가량 50-60g/L, 효모추출물 첨가량이 15-20g/L인 실험 구에서 배지에 의한 베타-글루칸 생산량과 미생물에 의한 베타-글루칸 생산량의 비가 6:4 정도로 파악되었으며, 미생물에 의한 베타-글루칸 생산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실험예 7] 콩-보리 발효복합물의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개선 효능 임상평가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콩-보리 발효복합물의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임상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제품 및 대조제품의 제조
먼저, 대조제품으로서 상기의 콩보리 발효복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음료를 제조하였다(이하, A제품).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인 시험제품으로는 상기 실시예 1의 보리 효모발효물 및 실시예 2의 콩 효모발효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콩보리 발효복합물을 포함하여 베타글루칸을 300mg 이상, 제니스테인 및 다이드제인을 총 200μg 이상 포함하는 100ml의 음료(이하, B제품)를 제조하였다. A 제품과 B제품의 구체적인 성분은 하기 표와 같다. 상기 음료는 레트로트 멸균 파우치 형태로 포장되며, 1일 1회 1포 음용하기 위한 것이며, 12주의 복용 기간을 권장하고 있다.
A 제품 (대조제품)
Figure pat00014

B 제품 (시험제품)
Figure pat00015

피험자 선정 및 공통된 실험방법
피험자로 건성피부(수분량 지수 49이하-Corneometer ® CM825 측정 시, C+K, Germany의 reference 반영)이면서 눈가주름(육안평가 grade 3이상-ref. 경희대피부생명공학센터 SOP) 이 생성되기 시작하거나 이미 생성된 25~60세의 한국 성인여성 6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피험자들에게 상기 제조한 시험제품(B) 또는 대조제품(A)을 이중맹검 무작위로 할당하여 12주간 복용하도록 한 다음, 복용 전(0주), 복용 4주 후, 복용 8주 후, 복용 12주 후 각 시점에 육안평가, 피부수분량, 각질량, 경피수분손실량 (TEWL), 눈가주름 개선 정도, 식이조사 및 체중조사, 혈액분석(외부업체 위탁- 더웰의원 건강검진 센터), 설문 평가 및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여 시험제품에 대한 인체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에 대한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피험자들을 시험제품 복용 전, 복용 4주 후, 8주 후, 12주 후 시점에 센터를 방문하도록 하였다. 센터 방문 직후 피험자들을 무작위로 할당하여 A제품 (대조제품)과 B제품(시험군)으로 나누고, 각 그룹 안에서 다시 A그룹과 B그룹으로 나누어 피험자의 얼굴, 전박의 좌 또는 우측을 측정부위로 정하였다. 피험자들은 세안을 한 다음 공기의 이동과 직사 광선이 없으며 항온항습조건 (22ㅁ2℃, 50ㅁ5%)이 유지되는 공간에서 3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한 후 육안평가, 기기측정(피부 수분량, 각질량, 경피 수분손실량, 눈가주름-레플리카), 설문 평가, 체중(BMI)측정, 식이조사 및 안전성 평가에 참여하도록 하였다(표 10 참조). 이때 피험자들은 기능성을 표시하는 화장품 사용을 중단하도록 하고, 복용하고 있던 건강보조제품 등의 섭취도 중단하도록 하여 시험제품을 사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등을 소거 하였다
[표 10]
Figure pat00016
측정부위는 열굴 및 전박내측으로, 얼굴은 피험자 얼굴의 눈꼬리와 코끝이 만나는 뺨 부위(수분량, 각질, TEWL 측정), 눈가 Crow's feet 부위(주름 측정)를 측정하였으며, 전박내측은 전박 내측의 굴측 부위에서 5cm 떨어진 부위(수분량, 각질, TEWL 측정) 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시험제품 복용 전, 복용 4주 후, 복용 8주 후, 12주 후 시점에 기기 측정값의 평균 및 표준편차 값(S.D)을 각각 구하고, 측정값의 시점별, 군간별 차이유무를 통계분석 하였다.
-제품복용 시점별 비교: Paired t-test (p<0.05)
-제품의 군간 비교: Independent t-test (p<0.05)
-순응도: Chi-square test (p<0.05)
통계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0.0을 사용했으며, 설문조사 결과는 빈도분석 하였다.
육안평가
육안평가는 피험자의 눈가주름 정도를 2명의 시험자가 육안 평가기준(표 11)에 의거하여 0~9 단계로 평가하였다. 시점별 눈꼬리 부위의 주름 상태는 안면 촬영장치 (VISIA , Canfield Sientific, Inc. USA)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표 11]
Figure pat00017
그리고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2 및 13, 도 24 및25에 나타내었다.
[표 12]
Figure pat00018
[표 13]
Figure pat00019
표 12, 도 24 및 2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품 복용 전과 비교시 제품복용 12주 시점의 시험제품인 B제품을 섭취한 시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눈가주름 육안평가 점수가 감소, 즉 개선되었다(p<0.05). 표 13 및 도 24 및 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제품을 섭취한 시험군간의 제품복용 4, 8, 12주 후 시점에서의 그룹간 눈가주름 육안평가 점수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p<0.05).
Corneometer ® CM825 를 이용한 피부 수분량 측정
Corneometer ® CM825(Courage+Khazaka GmbH, Germany)는 전기용량(capacitance)을 측정하는 원리로 피부 각질층 아래 30~40㎛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Probe에서 전류를 보내면 피부의 수분 함유량에 따른 피부의 전기 전도도에 따라 probe head에 남아 있는 절연이온 값이 수치화(AU: arbitrary unit)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피부에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측정값은 높아진다. 본 시험에서는 정확한 측정치를 얻기 위해 제품복용 전, 복용 4주 후, 8주 후, 12주 시점에서 시험부위(뺨, 전박내측)를 각각 3회 반복 측정 하여 그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분석결과를 표 14 및 15, 도 26에 나타내었다.
[표 14]
Figure pat00020
[표 15]
Figure pat00021
분석결과, 표 14 및 도 2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품 복용전과 비교시 제품복용 4주 후, 8주 후, 12주 후 시점에서 얼굴, 전박부위의 A제품(대조군)과 B제품(시험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피부 수분량이 증가하였다(p<0.05). 피부 수분 최대 증가율은 얼굴부위에서 A제품이 24.02%, B제품이 42.07%로 나타났으며, 전박부위에서는 A제품이 18.07%, B제품이 27.81%로 나타났다. 또한, 표 15 및 도 2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품 복용전과 비교시 제품복용 4주 후, 8주 후, 12주 후 시점에서 모두 A제품(대조군)에 비해 B제품(시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피부 수분량이 증가하였다(p<0.05).
Vapometer ® 를 이용한 경피수분손실량(TEWL) 측정
경피수분손실은 피부로부터 발산되는 수분을 말하며 보습기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건조함이 악화될 경우 TEWL값이 증가하기 때문에 보습력의 유무는 TEWL측정 정도로 판단할 수 있다. 측정기기인 Vapometer ® (Delfin, Finland)는 온도와 습도 센서가 측정 부위의 단위 면적 당 시간 경과에 따른 수분 증발량(g/m2h)을 측정한다. 본 시험에서는 각 평가시점 마다 시험부위(뺨, 전박내측)를 측정하여 수분 증발량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표 16 및 17, 도 27에 나타내었다.
[표 16]
Figure pat00022
[표 17]
Figure pat00023
분석결과, 표 16 및 도 2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품 복용전과 비교시 제품복용 8주 후 시점에서는 얼굴 부위에서, 제품복용 12주 후 시점에서는 얼굴, 전박부위 모두에서 B제품(시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경피수분손실량(TEWL)이 감소하였다(p<0.05). 경피수분손실량 최대 감소율은 얼굴부위에서 A제품이 4.40%, B제품이 6.52%로 나타났으며, 전박부위에서는 B제품이 7.37%로 나타났다. 또한, 표 17 및 도 2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품복용 12주 후 시점에서 전박부위에서 A제품(대조군)에 비해 B제품(시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경피수분손실량이 감소하였다(p<0.05).
D-squame ® 을 이용한 피부 각질량 측정
피부수분 정도를 평가하는 또 다른 지표인 각질량 측정은 D-squame ® Black Tape을 이용하여 시험부위(뺨, 전박내측)의 각질을 채취한다. 본 시험에서는 D500 D-squame ® Disc Applicator로 약 5초간 225g/cm2 의 압력으로 피부에 부착한 후 떼어냈다. 채취한 각질표본은 Charm view(Moritex, Japan)로 700배 확대하여 촬영한 후 이미지 프로그램(Image-Pro ® plus)을 이용하여 각질의 면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표 18 및 19, 도 28 및 29에 나타내었다.
[표 18]
Figure pat00024
[표 19]
Figure pat00025
분석결과, 표 18 및 도 28, 2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품 복용전과 비교시 제품복용 4주 후 시점에서는 얼굴 부위에서, 제품복용 8주 후, 12주 후 시점에서는 얼굴, 전박부위 모두에서 B제품(시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피부 각질량이 감소하였다(p<0.05). 각질 최대 감소율은 제품복용 12주 후 시점에서 얼굴부위에서는 A제품이 3.09%, B제품이 13.15%로 나타났으며, 전박부위에서는 A제품이 1.97%, B제품이 9.64%로 나타났다. 또한, 표 19 및 도 28, 2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품복용 4, 8, 12주 후 시점에서 얼굴, 전박 부위 모두에서 A제품(대조군)에 비해 B제품(시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피부 각질량이 감소하였다(p<0.05).
Visioline ® VL-650을 이용한 눈가주름(Replica) 측정
Visioline ® , VL650 ( Courage + KhazakaGmbH , Germany)은 제작된 Replica의 주름의 깊이, 길이 등을 측정하는 장비이다. 특별한 광원이 통과되도록 제작된 표준 카트리지에 Replica를 끼우고 광원을 통과시켜 그림자 명암 영상을 CCD Camera를 이용하여 파일화 한 후 각 파라미터들(Total wrinkle area; 총 주름면적, No. of wrinkles; 주름의 수, Total length; 총 주름의 길이, Mean length; 평균 주름의 길이, Wrinkle depth; 총 주름의 깊이, Mean depth; 평균 주름의 깊이, Max wrinkle depth; 가장 굵은 주름의 깊이)을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표 20 내지 24, 도 30 내지 32에 나타내었다.
[표 21]
Figure pat00026
[표 22]
Figure pat00027
[표 23]
Figure pat00028
[표 24]
Figure pat00029
분석결과, 표 21, 22 및 도 30, 3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품 복용전과 비교시 제품복용 12주 후 시점에 A제품(대조군)에서 파라미터들 중 주름깊이(Wrinkle Depth)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나머지 파라미터들에서는 A제품(대조군), B제품(시험군) 모두 감소하는 경향은 다소 보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표 23, 24 및 도 30, 3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군간비교시 제품복용 4, 8, 12주 후 시점에서 두 그룹간의 피부 눈가주름(Replica)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혈액분석
시험제품 복용 전(-2주)과 복용 12주 후 피험자들의 혈액을 검사하여 시험제품이 인체 대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확인한다. 혈액검사는 외부의뢰기관(더웰의원 건강검진 센터)에 위탁하여 시험이 종료된 후 결과를 제공받아 분석하였고, 그 분석결과는 표 25 내지 27에 나타내었다.
[표 25]
Figure pat00030
[표 26]
Figure pat00031
[표 27]
Figure pat00032
분석결과, 상기 표 25 및 2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품복용 전과 비교시 제품복용 12주 후 알부민(Albumin), 크레아티닌(Creatinine), 헤모글로빈(Hemoglobin) 항목은 A제품(대조군)에서, T.프로틴(T.Protein), 알부민(Albumin), T.빌(T.Bil), 혈당, 크레아티닌(Creatinine), 헤모글로빈(Hemoglobin) 항목은 B제품(시험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파라미터들의 평균값은 모두 참고치 범위 내에 있었다(p<0.05). 또한, 표 2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군간비교시 크레아티닌(Creatinine) 파라미터에서는 제품복용 12주 후 시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나머지 모든 파라미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식이조사 및 체중측정
피험자들의 식습관 변화가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확인하고자 시험제품 복용 전, 복용 4주 후, 8주 후, 12주 후 시점에서 체중을 측정하고, 식이조사를 실시하여 시험기간 동안에 식습관이 평소처럼 유지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피험자들은 제공받은 식이조사 평가지에 본인이 식사량 정도를 자가평가 하도록 하고 방문 시에 가져오도록 하여 시험자는 확인 및 기록하였다. 이때 식이량 정도는 안먹음:0, 적음:1, 보통:2, 많음:3으로 평가하였고, 평가결과는 표 28 및 29에 나타내었다.
[표 28]
Figure pat00033
[표 29]
Figure pat00034
분석결과, 상기 표 2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품복용 전과 비교시 제품복용 12주 후 시점 A제품(대조군)에서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제외한 식이조사, 체중, BMI 지수 모두 제품복용 4, 8주 후 시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또한, 표 2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품복용 12주 후 시점에서 BMI지수에서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나머지 식이조사, 체중에는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설문 평가
설문 내용은 의뢰인과 협의하여 작성되었으며, 시험제품 복용 4주 후, 복용 8주 후, 복용 12주 후에 피험자가 작성한 답변을 토대로 시험제품의 효능과 복용성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표 30, 31 및 도 33, 34에 나타내었다.
[표 30]
Figure pat00035
[표 31]
Figure pat00036
효능에 관한 설문 분석결과, 상기 표 30 및 도 3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부분의 항목에서 A제품(대조군), B제품(시험군) 모두 제품복용 경과시 피부개선에 관한 만족도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부드러워짐 항목은 복용 12주 후 시점에서 B제품에서 피험자들의 85% 이상이 피부 개선에 대한 만족도를 보였으며, A제품에 비해 10%정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제품 복용성에 관한 설문분석 결과, 표 31 및 도 3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부분의 항목에서 피험자들이 30% 이하로 A제품(대조군) 및 B제품(시험군) 모두에 다소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안전성 평가
시험제품 복용 4주 후, 복용 8주 후, 복용 12주 후 시험자가 피험자의 피부 상태를 관찰하고 피험자와의 질의 응답을 통해 피부상태와 전신적 상태, 제품의 자극 유무를 확인하여 기록, 평가하였다. 이상반응이 있을 시 피부 이상반응 보고를 작성하도록 하며 이에 대한 시험 제품과의 관련성은 시험책임자가 판단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시험기간 동안 모든 피험자에게서 피부, 전신적 증상에 아무런 이상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표 32]
Figure pat0003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조예 1]영양화장수의 제조
하기 표 33의 조성을 갖는 영양화장수를 당업자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33]
Figure pat00038
[제조예 2]영양크림의 제조
하기 표 34의 조성을 갖는 영양크림을 당업자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34]
Figure pat00039
[제조예 3]팩의 제조
하기 표 35의 조성을 갖는 팩을 당업자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35]
Figure pat00040
[제조예 4] 마사지 크림의 제조
Figure pat00041

[제조예 5] 에센스의 제조
Figure pat00042
[제조예 6] 영양 세럼의 제조
Figure pat00043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KFCC11487 20100331

Claims (12)

  1. 콩 및 보리로부터 유래된 콩-보리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상기 발효복합물은 다이드제인(daidzein) 및 제니스테인(genistein)의 함량이 증가된 콩 효모발효물; 및 베타-글루칸(β-glucan) 의 함량이 증가된 보리 효모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복합물은 상기 베타-글루칸을 발효복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복합물은 상기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을 발효복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중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복합물은 베타-글루칸을 발효복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50 중량%,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을 각각 0.005-5중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복합물은 상기 콩 효모발효물 및 보리 효모발효물을 10: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또는 콩 및 보리를 10: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발효한 발효물인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콩 효모발효물 및 보리 효모발효물은 피키아 쟈디니(Pichia jadinii)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Aureobasidium pullulans)의 복합 균주로 발효된 효모발효물인 화장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균주는 피키아 쟈디니(KFCC 11487P) 및 오레오바시디움 플루란(KCCM 12017)가 1:2 내지 1:4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콩 효모발효물 및 보리 효모발효물은 알파화된 콩 및 보리를 발효한 효모발효물인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발효복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화장료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133368A 2014-10-02 2014-10-02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791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368A KR101791516B1 (ko) 2014-10-02 2014-10-02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368A KR101791516B1 (ko) 2014-10-02 2014-10-02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972A true KR20160039972A (ko) 2016-04-12
KR101791516B1 KR101791516B1 (ko) 2017-10-31

Family

ID=5580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368A KR101791516B1 (ko) 2014-10-02 2014-10-02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51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726A (ko) 2017-04-28 2018-11-08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손상 모발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1058B1 (ko) * 2019-07-02 2020-05-15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식물유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ami-1109)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3814A (ko) *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일화 보리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면역 증강 및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10029883A (ko) * 2019-09-06 2021-03-17 주식회사 케이피티 청보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352453B1 (ko) 2021-11-08 2022-01-19 주식회사 순바이오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곡물 발효추출물과 베리류 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364428B1 (ko) 2021-08-06 2022-02-17 주식회사 순바이오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4146045A (zh) * 2021-11-12 2022-03-08 赣州澳丽尔化妆品有限公司 一种利用生物发酵技术获取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556B1 (ko) * 2020-01-31 2020-06-18 박장호 청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98534B1 (ko) * 2020-10-30 2021-09-07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웨이셀라 사이베리아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7298A (ja) * 2007-06-28 2009-01-15 Katakura Chikkarin Co Ltd 皮膚外用剤
KR101449282B1 (ko) * 2013-05-14 2014-10-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효모발효 보리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726A (ko) 2017-04-28 2018-11-08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손상 모발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83814A (ko) *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일화 보리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면역 증강 및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111058B1 (ko) * 2019-07-02 2020-05-15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식물유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ami-1109) 청보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9883A (ko) * 2019-09-06 2021-03-17 주식회사 케이피티 청보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364428B1 (ko) 2021-08-06 2022-02-17 주식회사 순바이오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2453B1 (ko) 2021-11-08 2022-01-19 주식회사 순바이오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곡물 발효추출물과 베리류 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N114146045A (zh) * 2021-11-12 2022-03-08 赣州澳丽尔化妆品有限公司 一种利用生物发酵技术获取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516B1 (ko)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516B1 (ko)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3284940B (zh) 酵母菌发酵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93574B1 (ko) 틴달화 유산균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435855B1 (ko)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3989589A (zh) 含有香豆雌酚或包含香豆雌酚的豆提取物的、用于皮肤护理的化妆品组合物
KR101939918B1 (ko) 파프리카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40016461A (ko) 해삼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742542B1 (ko) 틴달화 유산균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732904B1 (ko) 하수오추출물, 슈도알테로모나스발효 추출물, 효모용해추출물, 마치현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냉감 및 진정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101710142B1 (ko)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20170021278A (ko)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449282B1 (ko) 복합효모발효 보리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40042587A (ko) 제니포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34572A (ko) 복합효모 대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738339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757790B1 (ko) 황숙종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115566A (ko) 두족류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Gu et al. Skin Antiaging Attributes of the Dendrobium Huoshanense Polysaccharides.
KR101402753B1 (ko) 불미나리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KR20120096628A (ko) 표고버섯을 함유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5721A (ko) 발효대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89518B1 (ko) 황금 및 나복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04696B1 (ko) 1-모노에이코사펜타에노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