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339B1 -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339B1
KR101738339B1 KR1020160017794A KR20160017794A KR101738339B1 KR 101738339 B1 KR101738339 B1 KR 101738339B1 KR 1020160017794 A KR1020160017794 A KR 1020160017794A KR 20160017794 A KR20160017794 A KR 20160017794A KR 101738339 B1 KR101738339 B1 KR 101738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ger
cosmetic composition
skin
lo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열
차성원
남지호
채성욱
임아랑
최송이
김영화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17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339B1/ko
Priority to PCT/KR2016/010842 priority patent/WO201714215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추출물을 1:2.5~6.5:2.5~6.5: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이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 손상을 억제하며, MMP-1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건강기능식품 및 약학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의학에서 분류하는 사상체질 중에서 소음인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탁월하다.

Description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aging and wrinkle comprising herbal medicine mixed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1:3~6:6~3:1의 중량비로 혼합한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체내의 기관들을 보호해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는 여러 가지 내외적 요인에 의해서 노화가 발생하며, 크게 유전적 원인에 의한 내인성 노화와 환경적 원인에 의한 외인성 노화로 구분된다. 이 중, 광노화는 자외선(ultraviolet; UV)에 의한 노화를 의미한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한 오존층 파괴는 자외선의 양을 증가시켰고 이에 따라 광노화에 대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Wang SQ et al., 2010, Dermatol. Ther. 23(1):31-47). 광노화 된 피부에서는 거칠어짐, 탄력 손실, 주름 발생 및 불규칙한 색소 침착 등과 같은 외관상의 특징이 관찰되며, 이 중 광노화의 주된 연구 분야는 피부 주름의 변화에 대한 것이다. 상기 광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 형성에 관해 피부의 주요 구성성분인 콜라겐(collagen)의 합성, 분해 및 수분 함유량 등의 기초적인 생리 대사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Brenneisen et al., 2002, Ann. N. Y. Acad. Sci., 973:31-43). 특히 자외선에 의해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이 증가되고 피부의 효소적,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체계가 붕괴되어 콜라겐의 분해 증가 및 생합성을 감소시켜 진피층 내의 콜라겐이 현저하게 감소된다(Bickers DR, Athar M, 2006, J. Invest. Dermatol., 126(12):2565-2575). 상기 콜라겐 감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 분해 효소(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로, 이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과 기저막(basement membrane)의 분해에 관여한다. 상기 효소는 자외선에 의해 활성이 증가되며 이를 억제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두께 증가 및 주름 형성이 감소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어 있다(Inomata S et al., 2003, J. Invest. Dermatol., 120(1):128-134). 따라서 광노화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는 MMPs를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생강(Zingiber officinale)은 특유의 향기와 매운맛 때문에 가정에서 식품원료인 향신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활성 때문에 모든 한방 처방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약재의 원료로는 사용방법이 다양하며, 수확한 근경을 생강이라고 하며 생강의 근강을 찌거나 삶아서 건조한 것을 건강(乾薑)이라 하고, 불에 구워 말린 것을 흑강이라 칭한다. 생강은 소화액을 분비하여 식욕을 증진시키고 위장의 운동을 촉진하고 소화흡수를 도와주며, 또한 담을 없애고 기를 내리며 구토를 그치게 하고 풍한과 종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천식에 사용된다(신민교. 임상본초학(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영림사, 1997, 293-296; 이상인, 본초학, 1981, 203-204). 또한 발한 해열약, 혈행장애, 감기풍한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방향신미 성분은 혈액순환과 체온을 증가시키며, 민간요법으로 감기와 기침을 치료하기 위해 생강즙에 꿀을 혼합하여 복용한다. 반면에 건강은 신진대사 기능이 저하되었을 때 이용되며 기침, 현기증, 손발이 찬 경우, 요통, 설사, 구토 등의 치료제로 활용된다. 또한, 구풍, 소화제로서 심기를 통하고 양을 돋우며 오장육부의 냉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창출(Atractylodes lancea)은 중국의 화북, 산서 등에 분포하는 국화(Compositae)과 식물인 삽주 속의 뿌리줄기로서 길이 3~10㎝, 지름 10~25㎜의 불규칙하게 구부러진 원주형으로 바깥면은 어두운 회분비물에 의한 가는 점이 있으며, 약리작용으로 건위작용, 이뇨작용, 발한작용, 진정작용, 혈당저하작용, 강장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창출은 다년생 초본으로 각지의 산에 자라며, 가을에 캐서 물에 씻어 잔뿌리를 다듬고 햇볕에 말린 것이다. 창출에는 약 1.5%의 정유와 카로틴, 이눌린, 고무질, 알카로이드 반응이 있고, 전초는 사포닌, 쿠마린 반응이 있다. 창출은 달고 맵고 따뜻하여 진정작용, 조혈작용, 오줌내기작용이 있으며, 동의치료에서는 실증에 의한 콩팥 기능장애로 오줌이 적을 때, 위장염, 붓기, 어지럼증과 온몸이 아플 때 오줌내기, 땀내기 약 등으로 동의처방에 배합하는 매우 중요한 약재이다.
또한, 강황(Curcuma longa)은 편자강황이라고도 하며, 우리나라의 중부 이남에서 재배되며, 가을에 뿌리줄기를 캐 물에 씻어 삶거나 쪄서 말린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매우 따뜻하다. 기와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어혈을 없애며, 통증을 멎게 하고 월경을 순조롭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이담작용, 간의 해독 기능을 높이는 작용 진통작용, 자궁수축작용 항균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무월경, 기혈이 막혀 가슴과 배가 아픈 데, 팔이 쑤시는 데, 간염, 담석증, 타박상 옹종 등에 사용한다.
또한, 육계(Cinnamomum cassia)는 지역에 따라 기원식물이 다를 수 있고, 그 질도 다를 수 있다. 그 채취 연한과 가공방법이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상품 규격도 기변계, 관계, 판계, 계심, 계쇄 등 종류가 비교적 많다. 줄기껍질로 통 모양 또는 말려 들어간 통 모양이고, 길이 5~50cm, 지름 1.5~5cm, 두께 0.1~0.5cm이다. 바깥 면은 어두운 적갈색, 안쪽 면은 적갈색을 띠며 매끈하다. 꺾이기 쉬우며 꺾인 면은 적갈색을 띠고 연한 갈색의 얇은 층이 있으며 약간 섬유성이다. 특유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약간 달고 매우며 후에 약간 점액성이고 수렴성이다.
한편, 사상의학은 이제마 선생이 임상관찰을 통하여 성격, 체형, 생리, 병리 외형과 정신 심리 및 전 우주에 이르기까지 4가지 분류라는 틀을 통하여 인식하였고 이것을 질병의 예방, 치료 및 철학으로 이론화 체계화하였다. 사상의학에서는 체질은 한 번 타고나면 불변하는 것으로 보며, 특질이나 기질, 성격 적성 등을 결정하는 특성에 따라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4가지 타입으로 분류하고, 각기 체질에 따른 음식과 섭생 등으로 질병을 미리 예방할 수도 있고 병이 났을 때는 각자의 체질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따라서 같은 화장품, 식품 또는 약물일지라도 체질에 따라 유익할 수 있고 해로울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상체질 중에서 소음인은 본래 비장과 위장이 허약하고 신장이 충실하기 때문에 몸의 형태가 위아래로 균형이 잘 잡혀져 있고, 생김새는 일반적으로 작은 편이나 혹 장대한 사람도 있다. 여자는 용모가 잘 짜여져 있어 오밀조밀하고 깜찍하며 또 애교가 넘친다. 이마가 약간 나오고 눈·코·입이 크지 않으며 눈에는 정기가 어려 흡수적(吸收的)이라 할 수 있다. 피부는 매우 부드럽고 치밀하여 땀이 적으며, 여자는 겨울철에 물 일을 해도 손이 트지 않는다.
상기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과 피부의 주름 개선 또는 피부노화 관련 기술로 알려진 일례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182765호에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8-0094457호에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1-0055960호에 육계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알려져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891986호에 생약 추출물과 생약 분말을 함유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언급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생강(Zingiber officinale), 창출(Atractylodes lancea), 강황(Curcuma longa) 및 육계(Cinnamomum cassia)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추출물을 1:2.5~6.5:2.5~6.5: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은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 손상을 억제하며, MMP-1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고, 특히 소음인에게 주름개선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추출물을 1:2.5~6.5:2.5~6.5: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은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 손상을 억제하며, MMP-1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한다.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추출물의 혼합비가 1:2.5~6.5:2.5~6.5:1 중량비인 경우, 다른 혼합비로 혼합하거나, 생강, 창출, 강황 또는 육계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효과적으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 손상을 억제하며, MMP-1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한의학에서 분류하는 사상체질 중 소음인에게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소음인의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의 혼합비(중량비에 따른 혼합)별 세포 생존률을 확인하기 위하여, HaCaT 세포(사람 각질형성 세포주)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50㎍/㎖ 및 100㎍/㎖)로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ltR5 Lum)을 30분간 조사한 후, MTS 어세이를 수행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의 혼합비(중량비에 따른 혼합)별 MMP-1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레플리카 분석에서 사용되는 주름 파라미터의 정의 및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중량비가 1:6:3:1의 중량비로 혼합된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품을 사용한 시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주름 개선 효과를 레플리카의 R1 파라미터의 분석 결과이다. (A)는 제품의 사용하기 전(0W), 사용 4주 후(4W), 사용 8주 후(8W) 및 사용 12주 후(12W)에 측정된 R1 값을 나타낸 것이며, (B)는 사용 전(0W)을 기준으로 했을 때, R1의 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사용하기 전(0주)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는 시험군과 대조군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와 †는 p값이 0.05 미만임을 나타낸다.
도 5는 중량비가 1:6:3:1의 중량비로 혼합된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품을 사용한 시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주름 개선 효과를 레플리카의 R4 파라미터의 분석 결과이다. (A)는 제품의 사용하기 전(0W), 사용 4주 후(4W), 사용 8주 후(8W) 및 사용 12주 후(12W)에 측정된 R4 값을 나타낸 것이며, (B)는 사용 전(0W)을 기준으로 했을 때, R4의 변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사용하기 전(0주)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는 시험군과 대조군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와 †는 p값이 0.05 미만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추출물은 물, C1~C4의 저급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에틸아세트산,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테르 및 클로로포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하는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추출물의 혼합비는 1:2.5~6.5:2.5~6.5:1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3.5:5.5~6.5:1 또는 1:5.5~6.5:2.5~3.5:1 중량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5.5~6.5:2.5~3.5:1 중량비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1:2.5~6.5:2.5~6.5:1 중량비로 혼합하는 경우,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에 비해 주름개선 효과가 탁월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사상체질 중에서 소음인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서의 소음인 여부는 한의사에 의해 진단받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제마 선생이 임상관찰을 통하여 성격, 체형, 생리, 병리 외형과 정신 심리 및 전 우주에 이르기까지 4가지 분류(태양, 태음, 소양, 소음)라는 틀을 통하여 질병 예방, 치료 및 철학으로 이론화 체계화한 사상의학으로 분류한 기준에 의거하여 소음인은 키가 작은 편이며, 상체가 빈약하여 수그린 자세로 걷는 경우가 많고, 비교적 하체가 발달한 편이지만, 전체적으로 왜소하고 약하고 얼굴이 오밀 조밀 예쁜 편이다. 여성적 성향이 강하며, 침착하고, 세심하게 신경 쓰고 챙기기를 잘하고, 생각이 많아 신중한 편으로 일을 빈틈없이 처리하는 성격이지만, 세심함과 신중함이 지나쳐서 소심할 수 있으며, 모험을 꺼리는 경향이 있고, 내성적이고, 이기심과 질투심이 많아 사소한 일에도 감정이 상하고 쉽게 풀어지지 않는다. 신장과 방광의 기능이 좋지만, 위의 기능이 약하여 음식을 잘 소화하지 못하는 체질이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MMP-1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피부의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 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항노화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추출물의 혼합비는 1:2.5~6.5:2.5~6.5:1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3.5:5.5~6.5:1 또는 1:5.5~6.5:2.5~3.5:1의 중량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5.5~6.5:2.5~3.5:1 중량비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사상체질 중에서 소음인용인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추출물의 혼합비는 1:2.5~6.5:2.5~6.5:1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사상체질 중에서 소음인용인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레밍턴의 약학적 과학(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0.0001 내지 100mg/kg(체중)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의 경우,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필요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범위의 농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주사제, 크림,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재료 및 방법]
1. 한약재 추출물의 제조
한약재는 옴니허브로부터 구입하였고, 각 시료는 5.5±0.3℃의 온도 및 55±5%의 습도를 유지하는 약재보관용 냉장고에서 보관하였다.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추출물은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각각의 총중량에 대하여 10배량에 해당되는 물을 첨가하여 3시간씩 2회 환류냉각 추출하고, 여과지를 이용하여 얻어진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세포실험
1) 세포배양
HaCaT 세포(사람 각질형성 세포주)는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Gibco)에 10% 소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FBS, Gibco)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PS, Gibco)이 함유된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 세포생존률 분석
HaCaT 세포(사람 각질형성 세포주)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ltra Lum)을 30분간 조사한 후, MTS 어세이(CellTiter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ynyl)-2H-tetrazolium, inner salt; MTS, Promega Co. Madison, WI, USA) 기법으로 세포 생존능을 490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 로 측정하여 시험하였다.
3) MMP-1의 발현량 분석
HaCaT 세포(사람 각질형성 세포주)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ltra Lum)을 20mJ/cm2로 조사한 후, MMP-1 ELISA kit (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MMP-1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상세하게는 96웰 플레이트에 HaCaT 세포를 도말한 후, 본 발명의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추출물을 다양한 혼합비율별로 처리하였다. 이후, 자외선(UV) 조사하고, 배양물의 상등액을 수집하고 13,0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취해 ELISA 키트를 이용한 형광 어세이를 수행하여 MMP-1의 발현량을 정량분석하였다.
3. 인체적용시험
1) 시험 목적
본 시험은 주름이 생성되기 시작하거나 이미 생성된 30~65세의 소음인 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시험제품을 사용하게 하여 주름개선 효과 및 피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임상시험번호: DEF-HSWIT001(4)-14060).
2) 시험 제품
- 제품명: KIOM SY(2015SY 1-1)
- 시험군(A): 생강 추출물(0.09g), 창출 추출물(0.55g), 강황 추출물(0.27g), 육계 추출물(0.09g)의 혼합물 1.0% 함유
- 대조군(B): 생강 추출물, 창출 추출물, 강황 추출물, 육계 추출물 미함유
- 제품의 성상: 크림
- 제품의 보관: 실온 보관
- 제품의 유효 성분: 생강 추출물(0.09g), 창출 추출물(0.55g), 강황 추출물(0.27g), 육계 추출물(0.09g)의 혼합물 1.0%
- 제품의 사용 방법: 12주 동안 1일 2회 세안 후 스킨 다음 단계에서 제품 A와 B를 안면 좌, 우측 정해진 눈가 부위에 바르고 흡수시키게 하였다. 피험자는 이중맹검법과 무작위 배정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A그룹은 좌측에 시험군(제품 A), 우측에 대조군(제품 B)을 사용하게 하고, B그룹은 좌측에 대조군(제품 B), 우측에 시험군(제품 A)을 사용하게 하였다.
3) 시험 방법
모든 피험자는 방문 시마다 시험부위를 세척한 다음에 항온항습실(22±2℃, 50±5%)에 입실하였으며, 30분 동안 안정을 취한 후 시험에 참여하였다.
평가는 제품 사용 전(0주)과 사용 후 각 시점(4주, 8주, 12주)에서 육안평가, 피부 주름 파라미터 측정, 피험자에 의한 설문평가 및 시험자의 관찰과 문진을 통해 피부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① 피험자 선정
피부 임상 시험 전 SCAT 프로그램(한국공개특허 제2012-0034475호, JH DO. et.al 2012, Development of an intefrated Sasang constitution diagnoisis method using face, body shape, voice, and questionnaire information 12:85)을 이용한 체질 판별이 된 임상 대상자 선정 절차에 따라 선별하였다.
본 시험은 30~65세의 소음인 여성을 모집하였으며, 모집결과, 피험자 선정 기준에 부합하고 제외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소음인 여성 피험자 22명이 모집되었으며, 이들의 연령은 35~54세(평균연령: 45.2±5.2세)로 분포하였다.
피부 주름은 더마프로 피부과학연구소의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에 따라 주름이 생성되기 시작하거나 이미 생성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시험의 목적과 방법, 기대 효능과 이상반응을 설명하여 참여 의사를 보이는 자는 시험 참가 동의서를 작성하고 시험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또한, 소음인 인자 판별을 위해 시험 시작 전, 체질량 지수(BMI) 측정(Inbody 330, Biospace, Korea), 신체 둘레 측정, 사진촬영 및 사상체질 진단 설문평가를 진행하였고, 한국한의학연구원의 사상체질 진단 프로그램(SCAT, Sasang Constitutional Analysis Tool)을 이용하여 소음인을 선정하였다.
- 체질을 대략 분류할 수 있는 설문문항 2-3개를 이용하여 임상 대상자 1차 필터링 시행하였다.
- 1차 필터링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SCAT를 통하여 체질을 진단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르는 소음인 체질인 자를 선정하였다.
- 피부 임상 기준 인원인 20명을 초과한 22명을 최종 임상 시험 피험자로 선정하였다.
선정 과정에서 피험자마다 계산된 태음(TE), 소음(SE), 소양(SY) 체질 값 중 가장 높은 체질값(max(TE,SE,SY))과 두 번째로 높은 체질값(median(TE,SE,SY))의 차이가 큰 순서대로 정렬해서 소음인으로 판단된 22명(중도탈락 1명 포함)을 선정하였다.
[피험자 선정기준]
하기에 기재한 바와 같은 조건에 부합되는 지원자를 시험 대상군으로 선정하였다.
- 30~65세의 소음인(SCAT 프로그램으로 체질진단)으로 주 시험자의 판단에 따라 시험부위에 주름이 있는 자
- 피부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건강한 자
- 시험에 앞서 시험의 목적, 내용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서면 동의서에 서명한 지원자
- 시험기간 동안 추적 관찰이 가능한 자
[피험자 제외기준]
하기에 기재된 항목에 해당되는 지원자는 시험 대상군에서 제외하였다.
- 임신, 수유 중 또는 6개월 이내에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
- 피부질환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 외형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한 경우
- 동일한 시험에 참가한 뒤 6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 민감성, 과민성 피부를 가진 경우
- 시험부위에 점, 여드름, 홍반, 모세혈관 확장 등의 피부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 시험시작 3개월 이내에 시험부위에 동일 또는 유사한 화장품 또는 의약품을 사용한 경우
- 시험부위에 시술(박피술, 보톡스, 기타 피부관리 등)을 받거나 6개월 이내 계획한 경우
- 만성 소모성 질환이 있는 경우 (천식, 당뇨, 고혈압 등)
- 그 외 주 시험자의 판단으로 시험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피험자 제한사항]
피험자는 시험제품 이외의 기능성 화장품 혹은 의약품과의 혼용을 금하도록 하였고, 시험제품 외에 사용하는 기초 화장품은 기능성 성분이 없는 스킨, 로션만을, 메이크업 화장품은 베이스 메이크업(파운데이션, 파우더), 펜슬, 립스틱만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선 크림 제품은 외출 시 반드시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방문(측정)시에는 색조 화장은 하지 않고 방문하도록 하였다.
[피험자 수 및 이에 대한 근거]
피험자 수는 기능성 화장품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2003, 2005), 화장품 표시, 광고 실증을 위한 시험방법 가이드라인(2013)에 준하여 20명 이상을 선정하여 시험을 시행하였다.
② 피부 주름의 육안 평가
육안 평가는 양측 눈가의 주름 상태에 대해 주름평가 기준에 의거 2인의 시험자가 일정한 조명하에 독립적으로 평가하였다. 각 평가 시점마다 주름 상태의 등급을 10단계(0.5점 단위)로 기록하고, 시험자 2인의 평균값을 분석하였다(표 1).
다니엘의 판별기준을 변형한 육안 주름평가 기준
점수 주름평가 기준
0 피부에 주름이 없으며 피부 결이 섬세하다.
1 피부에 얕은 주름이 보이기 시작한다.
2 피부에 얕은 주름이 보인다.
3 얕은 주름이 많거나 보통 주름이 보이기 시작한다.
4 피부에 보통 주름이 보인다.
5 보통주름이 있으나 깊은 주름은 보이지 않는다.
6 보통 주름이 많거나 깊은 주름이 보이기 시작한다.
7 피부에 깊은 주름이 보인다.
8 피부에 깊은 주름이 많다.
9 피부에 깊은 주름이 매우 많다.
③ 레플리카를 이용한 피부 주름 파라미터 평가
피부 주름은 각 평가시점에서 Visioline? VL650 (C+K, Germany)을 이용하여 피부 레플리카 이미지를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이 장치는 빛을 레플리카에 조사하였을 때 피부 형태에 따른 레플리카의 두께에 따라 투과된 빛의 명암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이를 수치화하여 주름의 임의적 단위인 R1, R2, R3, R4, R5를 측정하였다.
R1은 주름 프로필(profile) 중 가장 높은 꼭대기 값과 가장 낮은 계곡의 값의 차이를 의미하며, R2는 주름 프로필(profile)을 5개로 균등하여 5개의 R1 값을 구하여 이 중 가장 큰 값을 의미한다. R3는 주름 프로필을 5개씩 균등하여 연속적 5개의 R1 값을 산술 평균한 값으로서, R1과 R2에 비해 artifacts가 제거된 값이 된다. R1, R2, R3는 주름의 깊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해할 수 있다. R4는 프로필(profile)중 가장 꼭대기 값에서 수평선을 그어 프로필과 이루는 면적을 적분하여 프로필의 중간선의 길이로 나눈 값으로서 피부 주름의 평균 깊이를 의미한다. R5는 프로필의 중간선과 프로필이 이루는 면적을 적분하여 프로필의 중간선의 길이로 나눈 값으로서 피부의 평균 거칠기를 나타낸다(도 3).
이러한 원리로 R1, R2, R3, R4, R5를 측정함에 있어서 가로(horizontal), 세로(vertical), 원형(circle)의 세 가지 방식이 있는데 피부의 결과 주름은 여러 방향으로 생기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원형(circle)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④ 사진 촬영
각 평가 시점에서 안면 피부 촬영장치(VISIA? CR, Canfield, USA)를 이용하여 안면 좌, 우 측면을 촬영하였다.
⑤ 피험자에 의한 설문평가
제품의 효능에 관한 설문은 제품 사용 4주, 8주, 12주 후 평가시점에서 피험자로 하여금 5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은 편이다; 3. 차이가 없다; 4. 그런 편이다; 5. 매우 그렇다)로 설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품 사용성에 관한 설문은 제품 사용 12주 후 평가시점에서 5단계 척도(1, 전혀 좋지 않다; 2, 좋지 않은 편이다; 3, 보통이다; 4, 좋은 편이다; 5, 매우 좋다)로 실시하여, 피험자들이 작성한 긍정적인 답변(4, 좋은 편이다; 5, 매우 좋다)을 분석하였다.
⑥ 피부 안전성 평가
제품 사용 4주, 8주, 12주 후 시점에서 문진과 시험자의 관찰을 통해 주관적 피부 자극감과 객관적 피부 자극을 평가하였다.
4) 통계분석
모든 데이터는 SPSS 패키지 프로그램(IBM, USA)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육안평가의 경우 시험자 간 신뢰도 분석으로 ICC(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을 수행하고, ICC 값이 0.8 이상이면 시험자 간의 신뢰도를 인정하여 시험자의 평균값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정규성은 첨도 (kurtosis)와 왜도(skewness)를, 사전 동질성은 paired t-테스트를 통해 검증하였다.
동일 피험자에게서 반복 측정한 데이터에 존재하는 상호의존성(교호작용), 군간 비교 및 시점별 전 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법(Repeated Measures ANOVA)을 적용하였다. 각 시점별 군간 비교 및 시점별 전후 변화는 제품 사용 전의 값이 동질하다는 조건 하에서 Mann-Whitney U-테스트를 이용하였고, 제품 사용성 설문평가는 카이-스퀘어 테스트(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p 값이 0.05 미만인 것을 유의한 것으로 하였다.
실시예 1.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
상기 [재료 및 방법]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추출물을 제조하여, 생강:창출:강황:육계의 중량비가 1:1:1:1, 1:2:2:1, 1:3:3:1, 1:3:6:1, 1:6:3:1이 되도록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후 실시예에서는 본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률 및 MMP-1 발현량을 분석하였으며, 효과가 가장 우수한 혼합 추출물을 선정하여 소음인 21명을 대상으로 주름 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2.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에 대한 세포 생존률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1:1:1, 1:2:2:1, 1:3:3:1, 1:3:6:1 및 1:6:3:1의 중량비가 되도록 혼합한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각각 HaCaT 세포(사람 각질형성 세포주)에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자외선(UV Crosslinker, Ultra Lum)을 30분간 조사한 후, MTS 어세이를 수행한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의 혼합비에 따라 세포 생존률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자외선 조사에 의해 세포 생존률이 51.09%로 감소하였고, 혼합비가 1:6:3:1인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 50㎍/㎖을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률이 74.85%이고, 100㎍/㎖을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률이 80.99%로 나타났으며, 혼합비가 1:3:6:1인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 50㎍/㎖을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률이 93.93%이고, 100㎍/㎖을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률이 94.11%로 나타났다.
한편,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세포 생존률이 오히려 UV 조사만 했을 경우보다도 낮거나 거의 유사한 정도의 세포생존률을 나타냈다.
실시예 3.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의 MMP -1의 발현량에 대한 효과
콜라겐 분해 효소(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과 기저막(basement membrane)의 분해에 관여함으로써, 콜라겐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효소이다.
본 실시예 3에서는 콜라겐 감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콜라겐 분해 효소(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발현량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추출물의 혼합물의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세포에서는 MMP-1의 발현량이 매우 낮았으나, 자외선 조사에 의해 MMP-1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발명의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추출물을 비율별로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 자외선 조사한 경우에 비교하여 MMP-1의 발현량(ng/㎖)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추출물을 1:6:3: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경우, MMP-1의 발현량이 매우 낮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효성분이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4. 1:6:3:1의 중량비로 혼합한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시험제품을 이용한 임상 시험
본 실시예 4에서는 상기 실시예 2 및 3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가 우수한 1:6:3:1의 중량비로 혼합한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시험제품을 제조하고, 이를 21명의 소음인에게 적용하는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시험은 제외기준 및 선정기준에 준하는 30~65세의 여성 피험자 총 22명이 참여하였으나 1명(#8; 개인사정)이 탈락하여 총 21명(평균 45.2±5.2세)의 피험자가 시험 종료 시까지 전 과정을 성실히 수행하였다. 피험자의 피부 특성은 설문에 의해 조사하였다.
21명 중에서 그룹 A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1:6:3:1의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시험군이고, 그룹 B는 대조군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제품을 사용한 그룹이다. 하기 표 2 내지 4에 임상 시험에 참여한 시험군(A)와 대조군(B)의 정보, 피부타입 및 피부 상태를 개시하였다.
시험군(A) 및 대조군(B)의 정보 (N=22명)
NO 성명 나이 사상체질별 분류 그룹 중도 탈락
1 L*J 48 소음인 A
2 O*S 48 소음인 B
3 A*J 47 소음인 B
4 I*E 39 소음인 A
5 L*Y 48 소음인 A
6 H*S 41 소음인 A
7 K*J 50 소음인 B
8 J*J 57 소음인 B 개인사정
9 K*S 54 소음인 A
10 L*S 45 소음인 B
11 Y*S 50 소음인 A
12 P*S 38 소음인 B
13 K*J 36 소음인 A
14 K*S 45 소음인 B
15 Y*Y 35 소음인 B
16 K*H 47 소음인 A
17 K*J 45 소음인 A
18 J*S 53 소음인 B
19 J*S 41 소음인 B
20 L*H 46 소음인 A
21 K*S 49 소음인 A
22 J*H 45 소음인 A
평균나이±표준편차: 45.2±5.2세(탈락 피험자 제외)
시험군 및 대조군의 피부타입 (N=21)
항목 분류 시험자 수(N) 비율(%)
연 령(Age) 30대 4 19.05
40대 13 61.90
50대 4 19.05
피부타입
(Skin type)
건성 10 47.62
중성 6 28.57
지성 2 9.52
건지성 3 14.29
문제성 피부 0 0.00
시험군 및 대조군의 피부 상태 (N=21)
항목 분류 시험자 수 (N) 비율(%)
수분(Hydration) 촉촉 0 0.00
보통 11 52.38
부족 10 47.62
유분(Sebum) 번들거림 1 4.76
보통 11 52.38
부족 9 42.86
표면 상태
(Surface)
부드러움 5 23.81
보통 13 61.90
거침 3 1.29
두께
(Thickness)
얇은 편 8 38.10
보통 12 57.14
두꺼운 편 1 4.76
자외선 노출시간
(Duration of UV exposure)
1시간 이내 6 28.57
1~3시간 10 47.62
3시간 이상 5 23.81
수면시간
(Sleeping hours)
5시간 이하 1 4.76
5~8시간 18 85.71
8시간 이상 2 9.52
흡연 유무
(Smoking)
피우지 않음. 21 100.00
10개피 이내 0 0.00
10개피 이상 0 0.00
자극 감수성
(Irritability)
3 14.29
아니오 18 85.71
따가움 감수성
(Stinging)
2 9.52
아니오 19 90.48
이상반응 경험
(Adverse reaction)
0 0.00
아니오 21 100.00
1) 피부 주름의 육안평가 분석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품을 적용 전과 적용 4주 후, 8주 후, 12주 후에 시험군과 대조군의 피부를 육안평가 값을 RM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육안 평가에서는 시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표 5).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 타입의 제품을 사용한 시험군(A)과 대조군(B)의 육안 평가에 대하여 통계학적 의미(p 값)
그룹비교(N=21) 4주 8주 12주
시험군 vs. 대조군 - - 0.329
2) 레플리카를 이용한 피부 주름 파라미터 분석
R1와 R4 파라미터가 제품 사용 12주 후 시점에서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표 6, 도 4 및 도 5).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 타입의 제품을 사용한 시험군(A)과 대조군(B)의 레플리카 분석에 대하여 통계학적 의미(p 값)
파라미터 그룹 4주 8주 12주
R1 시험군 vs. 대조군 0.262 0.259 0.000*
R2 시험군 vs. 대조군 0.275 0.085 0.215
R3 시험군 vs. 대조군 0.410 0.623 0.149
R4 시험군 vs. 대조군 0.104 0.110 0.024*
R5 시험군 vs. 대조군 0.148 0.077 0.052
*: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이고, 시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하게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피부 안전성 평가
본 시험기간 동안 모든 피험자에게서 피부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독성 또는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표 7).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림 타입의 제품을 사용한 시험군(A)과 대조군(B)의 피부 이상반응에 대한 피부 안전성 평가 결과
증상 (Symptom) 4주 8주 12주
A B A B A B
주관적
자극감
(Subjective irritation)
가렵다 (Itching) 0 0 0 0 0 0
바늘로 찌르듯이 아프다(Prickling) 0 0 0 0 0 0
근질거린다 (Tickling) 0 0 0 0 0 0
화끈거린다 (Burning) 0 0 0 0 0 0
따끔거린다 (Stinging) 0 0 0 0 0 0
뻣뻣하다 (Stiffness) 0 0 0 0 0 0
당긴다 (Tightening) 0 0 0 0 0 0
기타 (etc.) 0 0 0 0 0 0
객관적
자극
(Objective
Irritation)
홍반 (Erythema) 0 0 0 0 0 0
부종 (Edema) 0 0 0 0 0 0
인설 (Scale) 0 0 0 0 0 0
구진 (Papule) 0 0 0 0 0 0
기타 (etc.) 0 0 0 0 0 0
총 이상반응자 수(Total number of subjects) 0 0 0 0 0 0

Claims (10)

1:5.5~6.5:2.5~3.5:1 중량비의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 창출, 강황 및 육계 혼합 추출물은 물, C1~C4의 저급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에틸아세트산,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테르 및 클로로포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사상체질 중에서 소음인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MMP-1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 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삭제
삭제
삭제
삭제
KR1020160017794A 2016-02-16 2016-02-16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738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794A KR101738339B1 (ko) 2016-02-16 2016-02-16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PCT/KR2016/010842 WO2017142158A1 (ko) 2016-02-16 2016-09-28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794A KR101738339B1 (ko) 2016-02-16 2016-02-16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339B1 true KR101738339B1 (ko) 2017-05-22

Family

ID=5905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794A KR101738339B1 (ko) 2016-02-16 2016-02-16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8339B1 (ko)
WO (1) WO20171421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081A (ko) 2017-12-12 2019-06-20 한국콜마주식회사 강황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6627B (zh) * 2018-09-17 2021-08-31 中国医学科学院药用植物研究所 空气清新喷雾剂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8734A (ko) * 1994-04-02 1995-11-22 조영훈 체질판별 및 건강증진용 칼라 조성물
KR100821631B1 (ko) * 2002-08-17 2008-04-16 (주)아모레퍼시픽 한방 피부미용 식품조성물
KR20100042181A (ko) * 2008-10-15 2010-04-23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대황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101389211B1 (ko) * 2011-08-30 2014-04-24 인타글리오주식회사 녹차 추출물, 울금 추출물, 후박추출물 및 독활 추출물의 나노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4022A (ko) * 2013-07-26 2015-02-06 주식회사 알파크립텍 아트락틸레노라이드 ⅲ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081A (ko) 2017-12-12 2019-06-20 한국콜마주식회사 강황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2158A1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5348A (en) Methods utilizing compositions containing sacred lotus (methyltransferase) to treat aging skin
CN101686728B (zh) 含有人参浆果提取物的皮肤外用组合物
CN101828661B (zh) 一种用于改善皮肤水分、除皱的保健食品
TWI500428B (zh) 不含有糖之鳳梨萃取物、及其製造方法、以及其用途
KR102443708B1 (ko)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N107549554B (zh) 具有美容祛斑功能的果汁发酵饮品及其制备方法
KR102326796B1 (ko)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019224A (zh) 一种胶原蛋白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口服制剂及应用
CN114376949A (zh) 一种精华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N102908302B (zh) 一种纯天然蜂王浆护发生发膏及其生产方法
KR101738339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01316240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皮膚化粧料および美容食品
CN108743501A (zh) 一种植物发酵原浆组合物及其应用
JP6506110B2 (ja) 肌質改善剤
CN106333886A (zh) 一种具有保湿和美白亮肤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CN109568230A (zh) 一种保湿美白的抗衰老的中药化妆品
KR101789518B1 (ko) 황금 및 나복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19195309A (ja) アカシア属樹皮由来物を含有する皮膚保湿用組成物
KR101738340B1 (ko) 황련 및 괄루인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710142B1 (ko)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575768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피부 보습 보조제 조성물
KR101402753B1 (ko) 불미나리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KR20120036171A (ko) 피부 관리용 막걸리 생약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방법 및 마스크 팩
CN110679939A (zh) 一种具有美容、美白、润肤和祛斑功能的食品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