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631B1 - 한방 피부미용 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한방 피부미용 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631B1
KR100821631B1 KR1020020048657A KR20020048657A KR100821631B1 KR 100821631 B1 KR100821631 B1 KR 100821631B1 KR 1020020048657 A KR1020020048657 A KR 1020020048657A KR 20020048657 A KR20020048657 A KR 20020048657A KR 100821631 B1 KR100821631 B1 KR 100821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kin
composition
her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471A (ko
Inventor
김선영
이상준
김완기
변범선
박현우
심영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20048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631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9Polygonatum (Solomon's se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미용 개선효과를 갖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하수오, 황기, 옥죽, 숙지황, 작약, 당귀, 연자육, 오미자, 산수유, 영지, 백출, 백합, 백복령, 감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 콜라겐 합성 증진 및 광노화 억제작용 등에 의해 피부노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피부개선효과를 갖는 경구용 미용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미용*한방*생약추출물*피부주름완화*광노화억제*미용식품

Description

한방 피부미용 식품조성물{A beauty food composition containing oriental medicine extract for improvement of skin condition}
도 1a는 무모생쥐 (hairless mouse) 정상군의 피부표면을 SkinVisiometer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1b는 무모생쥐 (hairless mouse)에 UV를 조사한 후 SkinVisiometer를 이용하여 촬영한 피부표면의 사진이다.
도 1c는 무모생쥐 (hairless mouse)에 본 발명에 의한 생약추출물을 투여하고, UV를 조사한 후 SkinVisiometer를 이용하여 촬영한 피부표면의 사진이다.
도 2a는 정상군의 피부조직에 타입(type) 1 pN 콜라겐 (collagen)을 면역조직 화학 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b는 UV대조군의 피부조직에 타입(type) 1 pN 콜라겐 (collagen)을 면역조직 화학 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c는 UV/생약추출물 투여군의 피부조직에 타입(type) 1 pN 콜라겐 (collagen)을 면역조직 화학 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피부미용 개선효과를 가지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하수오, 황기, 옥죽, 숙지황, 작약, 당귀, 연자육, 오미자, 산수유, 영지, 백출, 백합, 백복령, 감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 콜라겐 합성 증진 및 광노화 억제작용 등에 의해 피부노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피부개선효과를 갖는 경구용 미용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는 조직으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의 세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 한선, 피지선, 땀샘, 유선, 모근 등의 부속기관이 있다. 표피는 각질층, 투명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나누어지며 주로 각질형성 세포와 멜라닌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진피는 상부의 유두층과 하부의 망상층으로 나누어지며 점탄성을 갖는 탄력적인 조직으로 무정형의 기질, 교원섬유 (콜라겐), 탄력섬유 (엘라스틴) 등의 섬유성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유두층은 미세한 콜라겐 섬유와 섬유사이의 빈 공간들로 구성되어, 세포성분과 기질성분이 많은 반면, 망상층은 굵고 응집된 형태의 콜라겐 섬유와 섬유 사이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원섬유의 그물망 사이에 탄력섬유가 연결되어 있다.
피부노화는 노화에 미치는 요인에 따라 내인성 노화 (intrinsic aging)와 외인성 노화 (extrinsic aging)로 구분할 수 있는데 내인성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구조와 생리기능이 환경변화와는 무관하게 감퇴하는 것이고, 외인성 노화는 태양 광선 등의 외부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다. 특히 광에 의한 노화를 광노화 (photoaging)라고 하며 자외선은 피부노화의 생리학적 및 형태학적 변화의 주된 원인이 된다.
내인성 피부노화가 진행되면 피부는 건조해지며 잔주름이 늘어나고, 시간이 지나면서 주름은 더욱 깊어진다. 그리고 표피, 진피 등의 구조 및 기능적인 변화로 인해 피부가 탄력성을 잃고 처져 보이게 된다. 진피의 두께는 감소하는데 반해 콜라겐 (교원질)의 총량은 성인이 된 후 1년에 1%씩 소실되며, 또한 남아 있는 콜라겐 섬유는 점차 두꺼워지면서 가교 (cross-linking)가 증가하게 되어 용해도, 팽창력 등이 감소한다. 아울러 탄력섬유도 두꺼워지게 되며 가교도 증가하게 된다. 그 외 진피 내에서는 섬유아세포의 증식 활성이 떨어지고 콜라겐의 합성, 분해능 역시 감소한다.
이와 같이 콜라겐은 피부노화와 관련된 주요 피부조직 성분이며 지방을 제외한 피부 전체 건조 중량의 77%, 진피섬유 성분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단백질로서 피부의 강도, 탄력성,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따라서 콜라겐의 합성 증진 및 분해 억제는 피부 미용 및 노화 억제와 관련하여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광노화는 내인성 노화와 외관상의 변화는 비슷하나, 조직학적으로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속도가 증가되어 표피의 두께가 두꺼워지며 멜라닌세포가 증가하고 광손상 부위에서 색소 침착이 일어난다. 그 외 진피의 주요 구성 성분의 하나인 탄력섬유가 이상적으로 증식하는 특징이 있다.
광노화의 주요 원인인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막기 위해서는, UV 차단제를 함유하는 화장품, 의약품을 피부에 도포하여 UV를 차단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UV 차단제로는 두 가지가 있는데, 자외선을 흡수하여 흡수된 자외 선 에너지를 열, 진동으로 변동시키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피부를 보호하는 자외선 흡수제와 자외선을 산란시켜 피부 속으로의 침투를 막는 자외선 산란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UV 차단제 함유 외용제들은 그 효과가 일시적이며, 얼굴과 같이 특정부위의 도포한 부분에만 국소적으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보다 장기적이며 얼굴뿐만 아니라 신체 전반에 효과를 가지기 위하여 식품을 통한 피부노화 억제작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피부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UV에 의한 광노화를 억제하면서 콜라겐의 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미용 식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피부미용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처방을 찾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적하수오, 황기, 옥죽, 숙지황, 작약, 당귀, 연자육, 오미자, 산수유, 영지, 백출, 백합, 백복령, 감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 추출물을 복용하는 경우, 부작용이 없이 탁월한 피부미용 개선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없으면서 콜라겐 합성 증진 및 광노화 억제작용 등에 의해 피부노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피부개선효과를 갖는 경구용 미용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하수오, 황기, 옥죽, 숙지황, 작약, 당귀, 연자육, 오미자, 산수유, 영지, 백출, 백합, 백복령, 감초를 포함하는 생약제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미용제 조성물은 환, 음료, 티백 차, 인스턴트 차, 과립, 정제, 캡슐 등 여러 제형의 식품으로서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미용제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천연물 및 생약재를 선별하기 위해 생약재에 대한 콜라겐 생성 능력을 스크리닝(screening)하여, 30여 개의 생약재를 선별하였고, 그 중에서 효과가 우수한 14 종을 하기와 같은 실험에 의하여 찾아내었다.
<예비실험 1: 생약재의 콜라겐 생성능 측정>
(1) 실험 방법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타입 (type) 1 프로콜라겐 (procollagen) 생성능을 비교하였다. 콜라겐 생성능 비교를 위하여 48-웰(well) 플레이트(plate)에 섬유아세포를 5×104/웰 (well)로 넣고 부착시킨 상태에서 물로 추출하여 농축한 생약 추출물을 10∼100ppm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 별도의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실험군을 마련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 상층액에서 타입(type) I 프로콜라겐 (procollagen) 생성량을 타입(type) I pN 콜라겐 (collagen) EIA 키트(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타입(type) I 프로콜라겐 (procollagen) 생성량을 총단백질량으로 나누어서 보정하였다.
(2) 실험 결과
시료군 생성량(%) 시료군 생성량(%) 시료군 생성량(%)
대조군 100 복분자 109 익지인 111
적하수오 125 옥죽 124 원지 107
율무 108 토사자 111 숙지황 126
창출 105 작약 138 산수유 130
황기 124 계피 112 연자육 125
건강 105 당귀 124 오미자 121
영지 124 백합 122 감초 136
백출 123 백복령 127 진피 114
단삼 113 산사자 112 산조인 111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섬유아세포 내에서 콜라겐 합성을 증진하여 궁극적으로 피부를 개선시킬 수 있는 한방미용식품 조성물의 원료로 적하수오, 황기, 옥죽, 숙지황, 작약, 당귀, 연자육, 오미자, 산수유, 영지, 백출, 백합, 백복령, 감초를 선택하였다.
또한 선택된 생약재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때 콜라겐 합성의 상승작용 여부를 알기 위하여 아래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예비실험 2: 혼합생약추출물의 콜라겐 생성능 측정>
하기에 나타낸 표 2의 처방대로 약재들을 동량의 무게를 달아 혼합하고, 약재 무게의 10배 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가압 멸균기 (autoclave)에서 3시간 동안 가압 추출한 후 150 메쉬 (mesh)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약 5%의 고형분을 함유하였으며 상기 고형분이 30%가 될 때까지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60 ∼ 70 ℃에서 농축하였다.
생약재
1 대조군
2 오미자 + 연자육
3 적하수오 + 황기 + 백출
4 산수유 + 백복령 + 숙지황 + 연자육
5 옥죽 + 당귀 + 백합 + 백복령 + 숙지황
6 작약 + 감초 + 산수유 + 백복령 + 숙지황 + 적하수오
(1) 실험 방법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타입 (type) 1 프로콜라겐 (procollagen) 생성능을 비교하였다. 콜라겐 생성능 비교를 위하여 48-웰(well) 플레이트(plate)에 섬유아세포를 5×104/웰 (well)로 넣고 부착시킨 상태에서 물로 추출하여 농축한 생약 추출물을 10∼100ppm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 별도의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실험군을 마련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 상층액에서 타입(type) I 프로콜라겐 (procollagen) 생성량을 타입(type) I pN 콜라겐 (collagen) EIA 키트(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타입(type) I 프로콜라겐 (procollagen) 생성량을 총단백질량으로 나누어서 보정하였다.
(2) 실험 결과
생약재 콜라겐 생성능 (%)
1 대조군 100
2 오미자 + 연자육 128
3 적하수오 + 황기 + 백출 130
4 산수유 + 백복령 + 숙지황 + 연자육 135
5 옥죽 + 당귀 + 백합 + 백복령 + 숙지황 132
6 작약 + 감초 + 산수유 + 백복령 + 숙지황 + 적하수오 140
본 발명자들은 예비실험 1을 통해 콜라겐 생성 능력이 우수하다고 판단된 14 가지 생약재들인 적하수오, 황기, 옥죽, 숙지황, 작약, 당귀, 연자육, 오미자, 산수유, 영지, 백출, 백합, 백복령, 감초 중 여러 생약재를 혼합하여 추출 사용할 때 콜라겐 생성능이 더욱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의학에서는 피부 미용과 관련되어 한약을 내복과 외용하는 방법에 의하여 용모에 손상을 주는 질병 치료 또는 질병 예방, 피부 보호 및 자양, 항노화 효과 등을 추구한다. 한약을 이용한 미용 치료는 한방 미용의 다양한 치료 방법 중의 하나이며 특히 내복법(內服法)을 통한 전신의 조리(調理)를 통하여 국부를 치료하거나 신체를 보익(補益)하는 목적을 성취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인 심신의 건강은 국부적인 미(美)로서 표현되는데, 이것은 치본제근(治本除根)의 치법으로서 전신의 건강과 노쇠를 억제하며 안면의 미용을 유지하는 수단이 된다 (황리(黃莉) 미용중의학, 79-89, 1999, 북경: 과학출판사).
한약과 피부 미용의 관계는 질병의 치료 및 예방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약물의 부정거사(扶正祛邪), 조리기혈(調理氣血), 조치장부(調治臟腑) 등의 작용을 통하여 용모에 손상을 주는 질병을 치료하고, 보익(補益)작용에 의하여 전신의 건강을 회복하여 안색을 좋게 한다. 한약이 이와 같은 미용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전통 한의학 이론에 의하면 한약이 지니고 있는 특성과 효능에 기초한 것인데, 현대 이들의 화학적인 연구에 의하면 이는 한약에 함유되어 있는 화학 성분과 다양한 약리 작용에 의한 것임이 밝혀지고 있다 (유대유(劉大有), 공제우(貢濟宇), 실용미용중약, 1∼14, 북경: 인민위생출판사).
한의학에서는 허증(虛證)을 기허(氣虛), 양허(陽虛), 혈허(血虛), 음허(陰虛)로 나누고 있으며 보허약(補虛藥)은 보기(補氣), 보양(補陽), 보혈(補血), 보음(補陰)으로 분류하게 된다. 현대 연구에서 말하는 허증(虛證)은 신체의 면역기능저하를 공통점으로 수반하고 있고, 또한 신경과 내분비 조절계통의 기능 이상을 공통 특징으로 표현하는 질환이다 (시기(施杞), 진만장(秦万章), 현대중의약응용여 연구대계·피부과(現代中醫藥應用與硏究大系·皮膚科) 1994, 상해: 상해중의약대학출판사). 허증(虛證)과 용모를 손상시키는 질환과의 관계는 밀접하여 보허약(補虛藥)은 미용 임상의 치료에 상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한의학에서는 노쇠해지는 현상을 음양(陰陽) 기혈(氣血)의 허쇠(虛衰)로 인한 결과로 간주하고 있다. 따라서 보허약(補虛藥)은 미용과 관련하여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질환 특히, 여성질환에 주로 사용되는 보허약(補虛藥) 중에서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생성능을 보이는 한약재 14종을 선별, 배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미용 개선을 위하여, 활성성분으로 14가지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각각의 활성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적하수오 (赤何首烏, Polygoni Multiflori Radix)는 크리소판올(chrysophanol), 레인(rhein), 이모딘(emodin), 피사이온(physcion) 등을 함유하며 동물의 장관운동을 촉진하며, 콜레스테롤 (cholesterol) 저하효과를 가지며 동맥경화 억제작용, 중추신경 흥분작용, 항바이러스작용, 스테로이드호르몬 유사작용 등을 가진다. 주로 기와 혈에 작용하여 강장, 강정, 보혈하는 기능을 가진다.
황기 (黃耆, Astragali Radix)의 약효성분은 포모노네틴(formononetin),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itigenin), 베타인(betain), 콜린(cholin), 쿠마린(coumarin), 엽산(folic acid) 등이며, 강장작용, 혈압강하작용, 이뇨작용, 간장보호작용, 항균작용, 항신염작용 등을 한다.
옥죽 (玉竹, Poligonati Odorati Rhizoma)에는 일종의 뮤코폴리사카라이드(mucopolysaccharide)인 오도라톤(odoraton)과 당, 알칼로이드, 아미노산 등이 존재한다. 혈당조절 능력이 있으며 혈압강하작용, 항균작용, 항진균작용, 동맥경화 억제효과를 가진다. 자양강장약으로 병후허약증, 당뇨병의 구갈 등에 쓰인다.
숙지황 (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a)의 주성분은 카탈폴(catalpol), 레오누리드(leonuride), 아큐빈(aucubin), 모노메리토사이드(monomelitoside), 메리토사이드(melitoside), 버바스코제(verbascose), 만니톨(mannitol), 글루코오스(glucose), 만니토트리오제(maninotriose)이며 자양강장, 혈당강하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 등이 한다. 그 외 비타민A가 함유되어 있어 피부각화를 예방하고 피부를 부드럽게 하며 각질세포를 연화한다.
작약 (芍藥, Paeoniae Radix)의 성분으로 피어닌플로린(paeoniflorin), 옥시피어닌플로린(oxypaeoniflorin), 벤조일피어닌플로린(benzoylpaeoniflorin), 알비플로린(albiflorin), 탄닌(tannin),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안식향산(benzoic acid) 등을 함유하며, 진경, 진정, 항염증작용 및 위궤양예방 효과와 항균작용, 항진균작용, 진통작용, 이뇨작용, 혈압강하작용, 항혈소판응집작용 등을 한다.
당귀 (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는 데쿠신(decursin), 데쿠시놀(decursinol), 노다케닌(nodakenin) 등의 쿠마린(coumarin) 유도체와 α-오이넨(α-oinene), 리모넨(limonene), β-유데스몰(β-eudesmol), 엘레몰(elemol) 등을 주로 한 정유성분 및 임페라토린(imperatorin)을 함유한다. 자궁기능 조절작용, 진정작용, 진통작용, 이뇨작용, 항균작용 등을 한다. 빈혈개선, 활혈효과가 있어 혈행장애에 의한 부인과 질환 (어혈, 월경불순)에 많이 쓰이며 기타 보혈강장, 진통 등에 쓰인다.
연자육 (蓮子肉, Nelumbinis Semen)은 전분(starch), 라피노오스(raffinose), 단백질(protein), 지방(fat), 광물질을 함유하며 수렴작용, 진정작용, 강장, 자양에 효과가 있다.
오미자 (五味子, Schizandrae Fructus)는 스키잔드린(schizandrin), 고미신 A-Q(gomisin A-Q), 시트럴(citral), 구연산(citric acid), 능금산(malic acid), β-차미그렌(β-chamigrene), 지방유(fatty oil) 등을 함유한다. 중추에 작용하여 반사기능을 항진시키며 트랜스아미나아제(transaminase) 저하작용, 스트레스성 궤양억제 작용, 간기능 강화효과, 진해거담작용, 항균작용, 자궁수축작용, 혈압강하작용, 강심작용, 중추신경흥분작용 등을 한다.
산수유 (山茱萸, Corni Fructus)는 우조릭산(ursoric acid), 올레에놀릭산(oleanolic acid)과 같은 트리터페노이드(triterpenoids)계 화합물 및 코닌(cornin), 모로니사이드(morroniside), 로가닌(loganin), 갈릭산(gall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능금산(malic acid) 등을 함유한다. 주석산(tartaric acid), 능금산(malic acid), 갈릭산(gallic acid) 등의 유기산과 비타민A는 수렴작용을 가져 피부, 점막에 자윤을 공급한다. 그 외 자양작용, 혈당강하작용, 항균작용, 항진균작용, 항당뇨효과 등을 한다.
영지 (英芝, Ganoderma)는 자이로폴릭산(gyrophoric acid), 레카노릭산(lecanoric acid), 가노데닉산(ganodernic acid),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GL-1, 가노데란 B, C(Ganoderan B, C), 쿠마린(coumarin), 만니톨(mannitol), 유기산(organic acid)을 함유하며 혈당강하효과, 항종양작용, 진해거담작용, 진통진정작용 등을 가진다.
백출 (白朮, Atractylodis Rhizoma Alba)은 아트락틸론(atractylone), 아트락틸레노리드 I, Ⅱ, Ⅲ(atractylenolide I, Ⅱ, Ⅲ), ß-유데스몰(ß-eudesmol), 히네졸(hynesol)을 함유하며 건위작용, 이뇨작용, 자양효과, 진정작용, 안태작용 등을 한다.
산백합 (山百合, Lilium auratum)은 단백질(protein), 전분(starch), 지방(fat), 콜히친(colchicine) 등을 함유하며 진정작용, 이뇨작용, 진해작용 등을 한다.
백복령 (白茯笭, Hoelen)은 트리터페노이드(triterpenoid)인 패키믹산(pachymic acid), 포도당의 다당체인 ß-패키만(ß-pachyman),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히스티딘(histidine), 칼륨염(kalium salt), 콜린(choline), 레시틴(lecithin) 등을 함유하고 있어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뇌세포를 활성화하여 정신을 안정시키고 허약체질을 개선한다. 또한 자양작용, 진정작용과 이뇨작용이 있어 부종이 경감된다.
감초 (甘草, Glycyrrhizae Radix)는 글리사이히진(glycyrrhizin), 리퀴리티제닌(liquiritigenin), 리퀴리틴(liquiritin) 등의 다종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을 함유하며 해독, 진경, 거담, 항염증, 항알러지, 위산분비 억제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주요 유효 성분의 혼합조성으로 인하여 상승작용 나타내며, 이 때문에 피부노화 증상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각 성분을 별도로 추출하여 혼합하거나, 상기 약재를 혼합한 후 추출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고(혼합추출), 각 각의 성분별로 추출한 후 추출물을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약재를 혼합한 후 혼합 추출하는 것이 좋다. 추출법은 통상의 추출법, 즉, 물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혼합 추출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비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적하수오 100 중량부 및, 적하수오 100 중량부에 대하여 건조된 약재로서 황기 80∼120 중량부, 옥죽 80∼120 중량부, 숙지황 70∼100 중량부, 작약 70∼100 중량부, 당귀 70∼100 중량부, 연자육 40∼70 중량부, 오미자 40∼70 중량부, 산수유 40∼70 중량부, 영지 30∼60 중량부, 백출 30∼60 중량부, 백합 30∼60 중량부, 백복령 20∼50 중량부, 감초 20∼50 중량부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혼합추출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의 10∼80 중량%만큼 함유하는 경구용 피부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 해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적합하게 선정한 후, 정제, 캡슐제, 연질캡슐제, 환제, 과립제, 드링크제 등으로 제형화하여 건강식품, 의약품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약 추출물
하기에 나타낸 표 4의 처방대로 약재들의 무게를 달아 혼합하고, 약재무게의 10배 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가압 멸균기(autoclave)에서 3시간 동안 가압 추출한 후 150 메쉬 (mesh)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약 5%의 고형분을 함유하였으며 상기 고형분이 30%가 될 때까지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60∼70℃에서 농축하였다.
한약명 생약명 중량
적하수오(赤何首烏) Polygoni Multiflori Radix 3kg
황기(黃耆) Astragali Radix 3kg
옥죽(玉竹) Poligonati Odorati Rhizoma 3kg
숙지황(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a 2kg
작약(芍藥) Paeoniae Radix 2kg
당귀(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 2kg
연자육(蓮子肉) Nelumbinis Semen 1.5kg
오미자(五味子) Schizandrae Fructus 1.5kg
산수유(山茱萸) Corni Fructus 1.5kg
영지(英芝) Ganoderma 1kg
백출(白朮) Atractylodis Rhizoma Alba 1kg
산백합(山百合) Lilium auratum 1kg
백복령(白茯笭) Hoelen 0.75kg
감초(甘草) Glycyrrhizae Radix 0.5kg
<실시예 2> 환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추출물을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g으로 하여 환을 제조하였다.
생약추출물 유당 글리세린 자일리톨
1 1.5 1 0.5
<실험예 1>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타입(type) 1 프로콜라겐 (procollagen) 생성능과 콜라게네이즈 (collagenase) 합성능을 비교하였다. 콜라겐 생성능 비교를 위하여 48-웰(well) 플레이트(plate)에 섬유아세포를 5×104/웰(well)로 넣고 부착시킨 상태에서 생약추출물을 1ppm 농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 상층액에서 타입(type) I 프로콜라겐 (procollagen) 생성량을 타입(type) I pN 콜라겐 (collagen) EIA 키트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타입(type) I 프로콜라겐 (procollagen) 생성량을 총단백질량으로 나누어서 보정한 후, 대조군으로 이용된 비타민C와 TGF-b 처리군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6에 나타내었다.
콜라게네이즈 (Collagenase) 합성 억제능 측정을 위하여 48-웰(well) 플레이트(plate)에 섬유아세포를 5×104/웰 (well)로 넣고 부착시킨 상태에서 UVB의 15 mJ/cm2를 조사한 후에 생약추출물을 1ppm 농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 상층액에서 콜라게네이즈 (collagenase)의 일종인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s-1)의 생성량을 MMP-1 ELISA 키트(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MMP-1 발현양을 셀(cell)의 총단백질량으로 나누어서 보정한 후, 대조군으로 이용된 레티노익산 (retinoic acid)과 TGF-b 처리군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콜라겐 생성능 콜라게네이즈 (collagenase) 합성능
비타민C (10ppm) ↑28.7% -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1M) - ↓52.5%
TGF-b (10ng/ml) ↑27.4% ↓68.8%
생약추출물(1ppm) ↑20.2% ↓32%
상기 표 6으로부터 섬유아세포에 생약추출물을 처리시 콜라겐 합성이 증가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네이즈 (collagenase) 생성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즉, 변성이 적고 바로 복용이 가능한 생약 추출물이면서도 불안정한 비타민 C 또는 레티노익산에 상응하는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이 광노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무모생쥐 (hairless mouse)를 동물모델로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6~7 주령의 암컷 무모생쥐(hairless mouse)(Skh: HR-1)를 그룹 당 8마리씩 정상군, UV대조군, UV/생약 추출물 투여군으로 나누어 실험기간동안 사육하였다. 정상군과 UV대조군은 0.5ml의 생리식염수를 경구 투여하였고, UV/생약 추출물 투여군은 추출물의 고형분 기준으로 체중 Kg당 500mg의 생약추출물을 0.5ml 식염수에 섞어 액체투여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기간은 총 5주로 주 5일 동일한 시간에 투여하였다. 경구투여 후 2주부터 5주까지 UV대조군 및 UV/생약 추출물 투여군에 주 3회 태양광과 유사하게 UV를 조사하였다. 이때 실험기간 중 총 UV 조사량이 600mJ/cm2이 되도록 하였다.
주름개선 효과의 객관적 판정을 위하여 부검 전 무모생쥐 (hairless mouse)의 등 쪽에서 실리콘폴리머를 이용하여 피부주형(replica)을 채취하였으며, 피부의 주름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SkinVisiometer를 이용, 피부표면의 이미지를 파일화하였다 (그림 1a, lb, 1c).
주름이 형상화된 그림파일을 비교해보면 생약 추출물을 복용한 무모생쥐 (hairless mouse)의 피부표면 주름의 굴곡이나 정도가 UV대조군에 비해 약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실험예 2에서 UV대조군 및 UV/생약 추출물 투여군의 무모생쥐 (hairless mouse)를 이용, 병리조직학적 관찰을 위하여 면역조직 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동물을 등 부위의 피부를 떼어내어 10%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한 후 피부조직 내 타입(Type) 1 pN 콜라겐 (collagen) 발현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마이스 모노클로날 (mice monoclonal) IgG1 항체 (antibody)를 이용하여 면역조직 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그림 2는 정상군 및 UV 손상을 입은 무모생쥐 (hairless mouse)의 피부조직에서 타입(type) 1 pN 콜라겐 (collagen)을 면역조직 화학 염색한 것인데, 정상군에 비해 타입(type) 1 pN 콜라겐 (collagen)이 적게 염색된 반면, UV를 조사하면서 생약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표피/진피 경계층에 있는 콜라겐이 UV대조군에 비해 많이 염색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로 생약 추출물을 복용할 때 피부 내 콜라겐 합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그 외 일반적인 조직상태 관찰과 표피층 두께측정을 위하여 H&E (Hematoxylin & Eosin) 염색을 실시하였다. 피부표피층의 두께는 H&E 염색 슬라이드를 현미경 상에서 100 배 확대해서 읽어 조직당 무작위로 선택한 10군데의 두께 를 측정하여 평균치를 계산하였다.
표피층 두께
UV 대조군 9.77 ± 0.68mm (100%)
UV/생약추출물 투여군 7.56 ± 0.75mm (77.4%)
정상군 5.23 ± 0.31mm (53.5%)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UV대조군의 경우 9.77±0.68mm이고, UV/생약 추출물 투여군은 약 30% 감소된 7.56±0.75mm를 나타내어, 생약추출물의 복용이 UV 조사로 인해 피부가 두꺼워지는 현상을 완화시킴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연령 25 ∼ 45세의 성인여자 40명을 2군으로 나누어서, 시험군은 실시예 2에서 조제한 환을 1일 1정씩 30일간 복용시켰고, 플라시보군은 실시예 2에서 생약추출물 대신 포도당을 첨가하여 환을 제조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복용시켰다. 시험종료 후의 피부상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8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대조군
설문항목 20대 (4명) 30대 (10명) 40대 (6명) 합계 (20명) 20대 (6명) 30대 (8명) 40대 (6명) 합계 (20명)
피부가 촉촉해짐 3 8 5 16(80%) 2 1 2 5(25%)
피부가 팽팽해짐 2 8 5 15(75%) 1 2 1 4(20%)
잔주름이 줄었음 2 8 4 14(70%) 1 3 2 6(30%)
화장이 잘받음 3 9 5 17(85%) 2 2 3 7(35%)
전반적으로 피부가 개선됨 3 7 4 14(70%) 2 3 1 6(30%)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피부의 촉촉한 감이나 탄력감을 느끼는 비율이 높았고, 잔주름이 줄었다고 느꼈으며 화장이 잘 받는다고 응답하는 등 전반적인 피부상태가 개선되었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았다. 이와 같 이 생약추출물의 피부 개선효과는 인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실시예 3> 연질캅셀제
실시예 1에서 얻은 생약추출물 100mg, 대두추출물 50mg, 홍삼추출물 50mg, 대두유 180mg, 팜유 2mg, 팜경화유 8mg, 황납 4mg, 레시틴 6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캡슐당 400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정제
실시예 1에서 얻은 생약추출물 100mg, 대두추출물 50mg, 홍삼추출물 50mg, 포도당 100mg, 전분 96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섭씨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내용물의 최종중량은 400mg으로 한다.
<실시예 5> 과립제
실시예 1에서 얻은 생약추출물 100mg, 대두추출물 50mg, 홍삼추출물 50mg, 포도당 200mg, 전분 600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중량은 1g으로 한다.
<실시예 6> 드링크제
실시예 1에서 얻은 생약추출물 100mg, 대두추출물 50mg, 홍삼추출물 50mg, 포도당 10g, 구연산 2g, 정제수 188g을 혼합하고 병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중량은 200ml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증진 및 광노화 억제작용 등에 의한 피부노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피부개선효과를 갖는 조성물로, 이를 환제, 캅셀제, 정제, 과립제, 드링크제 등으로 제형화하여 건강 식품, 의약품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활성성분으로 적하수오, 황기, 옥죽, 숙지황, 작약, 당귀, 연자육, 오미자, 산수유, 영지, 백출, 백합, 백복령, 감초를 포함하는 생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한 생약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에서 각 구성성분의 함량은 적하수오 100 중량부 및, 적하수오 100 중량부에 대하여 건조된 약재로서 황기 80∼120 중량부, 옥죽 80∼120 중량부, 숙지황 70∼100 중량부, 작약 70∼100 중량부, 당귀 70∼100 중량부, 연자육 40∼70 중량부, 오미자 40∼70 중량부, 산수유 40∼70 중량부, 영지 30∼60 중량부, 백출 30∼60 중량부, 백합 30∼60 중량부, 백복령 20∼50 중량부, 감초 20∼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추출물을 10∼80 중량%만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환제, 정제, 캡슐제, 연질캡슐제, 과립제 또는 드링크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5. 활성 성분으로 적하수오, 황기, 옥죽, 숙지황, 작약, 당귀, 연자육, 오미자, 산수유, 영지, 백출, 백합, 백복령 및 감초를 포함하는 생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한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콜라겐 생성 증진 조성물.
KR1020020048657A 2002-08-17 2002-08-17 한방 피부미용 식품조성물 KR100821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657A KR100821631B1 (ko) 2002-08-17 2002-08-17 한방 피부미용 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657A KR100821631B1 (ko) 2002-08-17 2002-08-17 한방 피부미용 식품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471A KR20040016471A (ko) 2004-02-25
KR100821631B1 true KR100821631B1 (ko) 2008-04-16

Family

ID=37322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657A KR100821631B1 (ko) 2002-08-17 2002-08-17 한방 피부미용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496B1 (ko) * 2008-11-08 2011-02-10 정길동 트랙터 로더 버켓 탈부착 장치
KR102283040B1 (ko) * 2014-08-13 2021-07-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트락틸레놀라이드 i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738339B1 (ko) * 2016-02-16 2017-05-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73378B1 (ko) * 2016-06-03 2023-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703926B1 (ko) * 2019-01-30 2024-09-09 (주)아모레퍼시픽 알비플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CN115429851B (zh) * 2022-10-20 2024-01-23 贵州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鹿晶益气生血丸及其制备工艺和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461A (ko) * 1995-03-07 1996-10-22 한난수 생약성분 조성물
KR20010105905A (ko) * 2000-05-19 2001-11-29 유상옥,송운한 황금, 황련, 감초, 오가피추출물을 안정화한 니오좀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23456A (ko) * 2000-09-22 2002-03-29 조근식 해동피를 주원료로 한 과립상 건강 식품 조성물
KR20030037379A (ko) * 2001-11-03 2003-05-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홍삼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00046A (ko) * 2002-06-19 2004-01-03 김우영 아토피성 피부염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08871A (ko) * 2002-07-19 2004-01-31 (주) 김형민한약연구소 피부보호 및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461A (ko) * 1995-03-07 1996-10-22 한난수 생약성분 조성물
KR20010105905A (ko) * 2000-05-19 2001-11-29 유상옥,송운한 황금, 황련, 감초, 오가피추출물을 안정화한 니오좀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20023456A (ko) * 2000-09-22 2002-03-29 조근식 해동피를 주원료로 한 과립상 건강 식품 조성물
KR20030037379A (ko) * 2001-11-03 2003-05-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홍삼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00046A (ko) * 2002-06-19 2004-01-03 김우영 아토피성 피부염에 효과적인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08871A (ko) * 2002-07-19 2004-01-31 (주) 김형민한약연구소 피부보호 및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471A (ko)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93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090005479A (ko) 발모용 조성물
CN104984074A (zh) 一种美容护肤制品及其生产方法与应用
US9554985B2 (en) Agent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01422555B (zh) 一种能通便、调畅气血、改善内分泌、延缓衰老的制剂及制备方法
CN110664643A (zh) 一种具有多效美白作用的多肽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01524437A (zh) 一种治疗女性贫血的中药组合及其制备方法
KR100970126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21631B1 (ko) 한방 피부미용 식품조성물
CN102133167B (zh) 祛斑中药面膜及其制备工艺
CN102178781B (zh) 一种治疗阴囊湿疹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403932B (zh) 一种治疗激素依赖性皮炎的中药复方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0932C (zh) 一种面部外用软膏及其制备方法
CN112972536A (zh) 一种具有生发、乌发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757104B (zh) 一种治疗银屑病的药物
CN103505535B (zh) 用于治疗银屑病的药物、其提取方法、提取物及用途
CN112386560A (zh) 一种含有中药组分的美容祛斑护理制品及其制备方法
CN101229224B (zh) 一种治疗白癜风的中药软膏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547309A (zh) 一种祛黄褐斑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2675264B (zh) 治疗银屑病的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CN108543033B (zh) 一种疏肝健脾美白祛斑的植物组合物及制备方法
CN108354990B (zh) 一种祛斑美白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440888B1 (ko) 천연약재 달인 물을 이용한 경피용 영양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37017B1 (ko)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미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미용비누
CN118593676A (zh) 一种用于预防或治疗脱发的中药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