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378A - 피부 항산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항산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78A
KR20180001378A KR1020160080431A KR20160080431A KR20180001378A KR 20180001378 A KR20180001378 A KR 20180001378A KR 1020160080431 A KR1020160080431 A KR 1020160080431A KR 20160080431 A KR20160080431 A KR 20160080431A KR 20180001378 A KR20180001378 A KR 20180001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antioxidant composition
antioxidant
niacin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485B1 (ko
Inventor
김현정
송민정
이은정
박녹현
김지현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80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485B1/ko
Priority to US16/308,746 priority patent/US10952956B2/en
Priority to TW106121298A priority patent/TWI769167B/zh
Priority to JP2018564833A priority patent/JP7012032B2/ja
Priority to PCT/KR2017/006691 priority patent/WO2018004212A1/ko
Priority to CN201780039449.0A priority patent/CN109414398B/zh
Publication of KR20180001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4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otan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효모 발효물; 및 알파-케토글루타르산, 나이아신아마이드 각각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항산화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효과의 지속성이 높아 피부에 사용시 향상된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인체에 유해성이 없어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제품의 제조를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피부 항산화 조성물{ANTIOXIDATIVE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본 발명은 향상된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자외선, 공해물질과 같은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체내의 기관을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든다. 또한, 외적으로는 자외선에 대한 과도한 노출,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의 발생량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되며,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피부 혈색도 칙칙하게 되고, 피부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며, 기미와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최근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 및 태양 광선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증가는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의 분해 및 변성을 가속화시킨다. 이에 따라 피부기질이 파괴되고 얇아져 피부 노화의 제반 증상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생체의 노화를 촉진시키거나 암을 발생시키는 등 많은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및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활성 산소종이 생성된다. 발생한 활성 산소종은 지질, 단백질, 당, DNA 등의 세포구성 성분들을 파괴함으로써 세포노화 또는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활성 산소종에 의한 지질 과산화의 결과로 생성되는 지질 과산화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체내 과산화물도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를 일으켜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활성 산소종에 의한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물질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항산화 물질은 동,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 빌리루빈(bilirubin), 비타민 C, 비타민 E, 카테킨, 퀘르세틴, 플라보노이드(β-카로틴, 라이코펜, 루테인, 안토시아닌, 라스베스테롤), 이소플라본(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등의 비효소성 항산화 물질과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페록시다제(peroxidase), 티오레독신(thioredoxin; TRX) 등과 같은 효소성 항산화 물질이 알려져 있다.
특히 활성 산소종은 피부 노화와 관련성이 크기 때문에 항산화 물질을 피부 외용제에 배합함으로써 피부의 산화 및 노화 방지 효과를 달성하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16382호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니아올리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산화 및 항균 작용을 얻을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87146호는 타베르소닌(tabersonine)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특성 개선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특허들은 피부의 산화 방지에 어느 정도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나, 그 효과가 충분치 않다. 구체적으로, 천연 항산화 물질을 피부 적용 시 실질적으로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합성 항산화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항산화력은 우수하나, 인체 안전성(safety), 가공 안정성(stability) 등에 대한 우려로 그 사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인체 피부에 해롭지 않으면서도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의 개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16382호(2016.02.15), 항산화 및 항균 작용을 갖는 니아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87146호(2015.07.29), 피부 개선용 조성물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피부 항산화 조성물에 효모 발효물과 함께 항산화 물질의 기능 회복을 도와주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항산화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효모 발효물과 알파-케토글루타르산, 또는 나이아신아마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효모 발효물은 티오레독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효모 발효물은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 속 효모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효모 발효물은 전체 피부 항산화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0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은 전체 피부 항산화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0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전체 피부 항산화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알파-케토글루타르산과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혼합물은 5000:1 내지 1:5000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항산화 조성물은 효모 발효물 내 포함된 항산화 물질이 활성 산소종을 소거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높은 환원력을 가지는 화합물을 통해 산화된 항산화 물질을 활성을 복구됨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피부 외용제, 화장료로 제품화되어 피부 사용시 항산화 효능을 극대화되어 산화로 인한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항산화 효과 또는 항산화 효능"이라 함은 세포 내 대사 또는 자외선 등의 영향으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에 따라 반응성이 높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또는 활성 산소종에 의한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자유 라디칼 또는 활성 산소종을 제거하여 이로 인한 세포의 손상이 감소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활성 산소종은 정상적인 세포 내 활성작용 과정에서 생성되며 세포 성장과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 산화 스트레스는 활성 산소종의 생성과 이를 제거하는 항산화 반응 간의 불균형으로, DNA나 단백질, 지질(lipid)과 반응하여 손상시키는 현상이며 이는 노화나 암, 당뇨병, 동맥경화증 등 각종 만성질환의 핵심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는 산소를 이용하여 생존하는 생명체에게 있어서는 피할 수 없으나 최근 방사선, 오존, 중금속, 미세먼지, 자외선, 담배 등 오염 물질, 바이러스, 세균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염증 등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해 자극은 체내 산화 스트레스의 급격한 증가를 야기한다. 이에 생체는 활성 산소종에 대한 방어 기구로서 산화환원 응답을 기본으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항산화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중 대표적인 것이 티오레독신 시스템이다.
티오레독신(thioredoxin; TRX)은 분자량이 10,000 내지 13,000인 저분자 단백질이며 리보뉴클레오티드 환원효소가 리보뉴클레오티드를 환원할 때 수소 이온을 공여하는 조효소이다. 티오레독신은 -Cys-Gly-Pro-Cys-라고 하는 활성 부위를 갖고 있어 2개의 시스테인 잔기의 사이에서 디술피드(S-S) 결합을 만드는 산화형과 디티올(-SH-SH)을 만드는 환원형이 존재하는 세포 내의 산화환원 제어 인자이다. 이러한 티오레독신은 세포 내에서 활성 산소종을 환원시켜 소거하지만, 이때 티오레독신은 산화되기 때문에 더 이상 항산화 기능을 수행할 수 없고 체내에서 자체적으로는 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티오레독신의 공급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의 지속적인 항산화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항산화 효과를 갖는 효모 발효물과 함께 항산화 물질의 환원에 필요한 NADPH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hydrate)를 생성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항산화 조성물은 효모 발효물과 알파-케토글루타르산(α-ketoglutaric acid) 또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항산화 조성물의 효모 발효물은 원료에 효모를 첨가하여 발효 과정을 거쳐 얻어진 산물로, 티오레독신을 포함한다.
상기 효모 발효물은 원료에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속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통해 직접 제조하거나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쌀, 찹쌀, 현미, 흑미, 미강, 보리, 밀, 호밀, 귀리, 조, 수수, 옥수수, 메밀, 율무, 기장, 감자, 고구마, 카사바, 앰(얌), 타피오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효모 발효물로 Pharma Food International 유한회사에서 제조한 사카로마이세스 발효물(Saccharomyces Ferment)이 사용된다.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발효물은 미가공 정종과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 속 효모의 혼합물을 발효시킨 후 얻어진 발효물을 여과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 속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마이세스 칼스버겐시스(Saccharomyces Carlsbergensis), 사카로마이세스 파스토리아누스(Saccharomyces pastorianus) 등일 수 있다.
상기 티오레독신은 효모가 원료 내 유기물을 분해시켜서 생성한 것으로, 각종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과도하게 생성된 활성 산소종를 환원시켜 이로 인한 산화를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티오레독신의 활성 부위에 존재하는 1쌍의 시스테인 잔기는 원핵생물에서 진핵생물에 이르기까지 보존되어 있어 지구상의 모든 생물체가 공유하는 단백질이기 때문에 체외에서 생산된 것이라도 인체에 유해성이 매우 적다.
상기 티오레독신의 함량은 효모 발효물 1g을 기준으로 0.001 내지 0.005 g, 바람직하게는 0.0015 내지 0.003 g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티오레독신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티오레독신의 항산화 효과를 얻기가 어려우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정제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최종 얻어지는 제품의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효모 발효물은 전체 피부 항산화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000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001 내지 10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효모 발효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항산화 효능이 미약하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에 적용시 안전성 또는 가공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항산화 조성물은 전술한 효모 발효물과 함께 알파-케토글루타르산, 나이아신아마이드 각각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알파-케토글루타르산 또는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체내 항산화 작용에 의해 산화된 티오레독신을 환원시키기 위한 NADPH의 공급원 역할을 한다.
상기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은 체내 에너지 대사인 TCA 회로의 중간대사 산물로서 아데노신 삼인산(ATP) 생성 과정에서 ATP 합성효소(ATP synthase)를 저해하여 중간체인 NAD+(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의 소비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남는 NAD+는 NADPH를 형성하며 환원력을 가져 티오레독신의 재사용을 가능케 한다.
상기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은 직접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있는 제품을 이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은 전체 피부 항산화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0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01 내지 30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균일한 용해가 어려워 제형 중 배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니코틴아마이드 또는 피리딘-3-카르복실산 이라고도 알려진 비타민 B3의 생리활성 아마이드이고, 항산화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NADPH의 전구물질로 체내에서 NADPH로 바뀌어 티오레독신의 환원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직접 합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전체 피부 항산화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0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001 내지 5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사용에 따라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제형의 안정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알파-케토글루타르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각각의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알파-케토글루타르산과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혼합물은 중량비가 5000:1 내지 1:5000, 바람직하게는 1000:1 내지 1:1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1 내지 1: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1 내지 1:50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개선 효과가 부족하거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조성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그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산화로 인한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항산화 조성물은 상기 조성 이외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지 성분, 보습제, 연화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기포제거제, 점증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피부과학 분야에서 허용 가능한 담체,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페이스트, 로션, 크림, 겔, 용액, 현탁액, 유탁액, 패취 또는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항산화 조성물의 유효량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구성, 제형의 종류, 사용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피부 항산화 조성물의 함량은 전체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충분한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가려움, 두드러기, 알러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화장품학 분야에서 허용 가능한 담체, 매질 또는 기제를 포함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로션, 크림, 겔, 용액, 현탁액, 유탁액, 패취 또는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에센스, 크림, 젤, 팩, 패치, 마스크, 미스트 등의 스킨 케어 제품,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마스카라, 립스틱 등의 메이크업 제품, 클렌징 오일,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포인트 메이크업 리무버 등의 메이크업 제거 제품, 비누, 클렌징 폼, 바디 워시 등의 세정 제품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항산화 조성물을 화장품으로 제품화하는 경우에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와 같은 워쉬-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상기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쉬-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상기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일례로, 본 발명의 피부 항산화 조성물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충분한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가려움, 두드러기, 알러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카보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폴리데센,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소르비단 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세테아릴 알코올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형이 클렌징인 경우에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제형이 비누, 바디워시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1: 항산화 효소 관련 유전자의 발현 평가
세포 내 항산화에 관여하는 효소인 SOD2 및 NRF2의 유전자 발현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mRNA 발현량을 RT-PCR을 통하여 정량하였다.
상기 SOD2(superoxide dismutase 2)는 인체 내에서 생성되는 항산화 효소의 일종으로, 활성 산소종인 과산화물음이온(superoxide anion, O2-*)을 불균등화(dismutation) 반응을 통해 과산화수소를 만들고, 최종적으로 물과 산소로 분해시켜 활성 산소종을 소거시킨다. 또한, 상기 NRF2(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는 산화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항산화 효소 및 해독 효소의 유전자 상부에 존재하는 ARE(antioxidant response element)에 결합하여, 세포 내 항산화 방어 시스템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이들 두 효소의 유전자 발현량을 통해 세포 내 항산화 효과 평가에 이용하였다.
본 실험예 1에서 사용된 세포는 피부각질세포(keratinocytes(NHK))로 Lonza사(Lonza, Inc. Walkersville, MD, USA)에서 구입한 정상 사람 각질 세포(Human epidermal neonatal keratinocyte cells)를 계대 배양한 다음 37 ℃, 5% CO2 조건 하의 CO2 배양기(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은 Lonza사(Lonza, Inc. Walkersville, MD, USA)의 지침서에 따랐다. 500 ml의 KBM-Gold 배지에 KGM-Gold SingleQuot 키트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피부각질세포 배양액에 효모 발효물, 알파-케토글루타르산,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농도로 처리한 후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트리졸(Trizol reagent,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이용하여 세포 내의 전체 RNA(총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는 키아젠사의 RNA 키트(Qiagen RNeasy kit, Qiagen, Valencia, CA)를 사용하여 한번 더 정제한 후, 애질런트사의 바이오어낼라이저 2100 모델 기기(Agilent 2100 BioAnalyzer,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를 이용하여 RNA의 질(quality)을 확인하였다. 위의 분리된 RNA로부터 인비트로젠사의 역전사키트(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RT) II kit, Invitrogen, Carlsbad, C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고, 실시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eal time-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방법으로 taqman probe (SOD2, NRF2, RPLPO)를 이용하여 PCR 반응용액으로 증폭시켰다.
최종 PCR 생성물을 1.0% 아가로스젤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 한 뒤 사이버-그린(Cyber Green)으로 염색하여 320 nm UV 하에서 정량하였다. 상기 과정을 실시하여 항산화 효소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율을 구해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효모 발효물
(ppm)
알파-케토글루타르산
(ppm)
나이아신아마이드
(ppm)
대조군 - - -
비교예 1 100 - -
실시예 1 50 50 -
실시예 2 50 - 50
실시예 3 50 25 25
SOD2
(relative mRNA Level)
NRF2
(relative mRNA Level)
대조군 1.00 1.00
비교예 1 1.19 1.24
실시예 1 1.37 1.43
실시예 2 1.32 1.32
실시예 3 1.54 1.59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대조군과 효모 발효물로만 처리한 비교예 1에 비해 항산화 효소 유전자의 발현을 현저히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알파-케토글루타르산과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병용하여 처리한 실시예 3의 경우, 알파-케토글루타르산과 나이아신아마이드 각각 단독 사용한 실시예 1, 2보다 높은 발현율을 나타내어 알파-케토글루타르산과 나이아신아마이드의 병용사용에 의한 상승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 피부외용제의 제조
1. 연고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고를 제조하였다.
성분 연고
(단위: 중량%)
효모 발효물 1.0
알파-케토글루타르산 1.0
나이아신아마이드 1.0
베타-1,3-글루칸 10.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5.0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바세린 5.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쉐어버터 3.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10.0
프로필렌글리콜 10.2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향료 0.1
정제수 잔부
2. 겔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겔을 제조하였다.
성분
(단위: 중량%)
효모 발효물 1.0
알파-케토글루타르산 1.0
나이아신아마이드 1.0
베타-1,3-글루칸 0.1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0.05
글리세린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에탄올 5.0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0.5
트리에탄올아민 0.3
방부제, 향료 0.1
정제수 잔부
제형예 2. 화장품의 제조
1. 영양크림
하기 표 5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영양크림
(단위: 중량%)
효모 발효물 1.0
알파-케토글루타르산 1.0
나이아신아마이드 1.0
식물성 경화유 1.5
스테아린산 0.6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
스테아릴 알코올 2.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소디움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1.0
사이클로메디콘 6.0
방부제, 향료 0.1
트리에탄올 아민 0.1
정제수 잔부
2. 영양화장수
하기 표 6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본 발명의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영양화장수
(단위: 중량%)
효모 발효물 1.0
알파-케토글루타르산 1.0
나이아신아마이드 1.0
베타-1,3-글루칸 1.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향료 0.1
정제수 잔부
본 발명의 피부 항산화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어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제품의 제조를 가능케 한다.

Claims (11)

  1. 효모 발효물; 및
    알파-케토글루타르산 또는 나이아신아마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발효물은 티오레독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발효물은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 속 효모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발효물은 전체 피부 항산화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0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케토글루타르산은 전체 피부 항산화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0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전체 피부 항산화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케토글루타르산과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혼합물은 5000:1 내지 1:5000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항산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연고, 페이스트, 로션, 크림, 겔, 용액, 현탁액, 유탁액, 패취 또는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피부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패취, 팩,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80431A 2016-06-27 2016-06-27 피부 항산화 조성물 KR102598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431A KR102598485B1 (ko) 2016-06-27 2016-06-27 피부 항산화 조성물
US16/308,746 US10952956B2 (en) 2016-06-27 2017-06-26 Antioxidant composition for skin
TW106121298A TWI769167B (zh) 2016-06-27 2017-06-26 皮膚外用的抗氧化組成物
JP2018564833A JP7012032B2 (ja) 2016-06-27 2017-06-26 皮膚抗酸化組成物
PCT/KR2017/006691 WO2018004212A1 (ko) 2016-06-27 2017-06-26 피부 항산화 조성물
CN201780039449.0A CN109414398B (zh) 2016-06-27 2017-06-26 用于皮肤的抗氧化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431A KR102598485B1 (ko) 2016-06-27 2016-06-27 피부 항산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78A true KR20180001378A (ko) 2018-01-04
KR102598485B1 KR102598485B1 (ko) 2023-11-06

Family

ID=6078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431A KR102598485B1 (ko) 2016-06-27 2016-06-27 피부 항산화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52956B2 (ko)
JP (1) JP7012032B2 (ko)
KR (1) KR102598485B1 (ko)
CN (1) CN109414398B (ko)
TW (1) TWI769167B (ko)
WO (1) WO201800421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569A (ko) 2018-10-12 2020-04-22 동진아이엠테크(주) 해수 스트레이너
KR20220012433A (ko) 2020-07-22 2022-02-04 주식회사 브이티엘 스트레이너
KR20220016389A (ko) 2020-07-31 2022-02-09 주식회사 브이티엘 스트레이너
KR102364428B1 (ko) * 2021-08-06 2022-02-17 주식회사 순바이오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8109B2 (ja) * 2018-01-29 2024-02-26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香料原料の酸化防止
JP7084206B2 (ja) * 2018-05-30 2022-06-14 株式会社コーセー 活性酸素消去酵素産生促進剤
EP3856358A2 (en) * 2018-11-02 2021-08-04 Firmenich SA Prevention of the oxidation of perfumery raw materials and food raw materials
CN109846740B (zh) * 2019-01-30 2022-05-17 江苏长泰药业有限公司 皮肤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813784A (zh) * 2022-11-28 2023-03-21 麦吉丽生物科技有限公司 α-酮戊二酸、含有α-酮戊二酸的米发酵液在制备皮肤炎症抑制剂中的用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7088A1 (en) * 2006-08-30 2008-03-06 Blass John P Anti-aging cream
JP2013165725A (ja) * 2005-09-16 2013-08-29 Kyoto Univ チオレドキシンの製造方法
JP2014520769A (ja) * 2011-06-29 2014-08-25 エボニック デグサ ゲーエムベーハー 皮膚科学的に活性の酵母抽出物
KR20150087146A (ko) 2014-01-21 2015-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16382A (ko) 2014-08-05 2016-02-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항산화 및 항균 작용을 갖는 니아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85454A1 (en) 2003-10-16 2005-04-21 Natreon Inc. Phenolic antioxidant-chromium complexes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type 2 diabetes or glucose intolerance
IT1393777B1 (it) * 2009-04-03 2012-05-08 Rottapharm Spa Composizione per l'igiene intima
US8470880B2 (en) 2009-12-15 2013-06-25 Mcneil-Ppc, Inc. Methods of reducing hair loss and/or facilitating hair growth and/or regrowth
KR101086227B1 (ko) * 2009-12-29 2011-11-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도개감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4062607A1 (en) 2012-10-15 2014-04-24 Commercial Marine Biology Institute, Llc Marine extrac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102026800B1 (ko) 2012-11-13 2019-09-30 (주)아모레퍼시픽 티오레독신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5030702A2 (en) 2013-08-26 2015-03-05 Keith Desanto High purity rhamnolipid cosmetic application
KR102001257B1 (ko) 2013-10-31 2019-07-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에틸헥실갈레이트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024947B1 (ko) 2013-10-31 2019-09-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46903B1 (ko) 2014-06-16 2016-08-09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CN104523555A (zh) 2014-11-22 2015-04-22 沈阳源康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含蛹虫草成分的眼霜及其制备方法
CN104721129A (zh) 2015-04-13 2015-06-24 上海东晟源日化有限公司 微乳化生物科技护肤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5725A (ja) * 2005-09-16 2013-08-29 Kyoto Univ チオレドキシンの製造方法
US20080057088A1 (en) * 2006-08-30 2008-03-06 Blass John P Anti-aging cream
JP2014520769A (ja) * 2011-06-29 2014-08-25 エボニック デグサ ゲーエムベーハー 皮膚科学的に活性の酵母抽出物
KR20150087146A (ko) 2014-01-21 2015-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16382A (ko) 2014-08-05 2016-02-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항산화 및 항균 작용을 갖는 니아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569A (ko) 2018-10-12 2020-04-22 동진아이엠테크(주) 해수 스트레이너
KR20220012433A (ko) 2020-07-22 2022-02-04 주식회사 브이티엘 스트레이너
KR20220016389A (ko) 2020-07-31 2022-02-09 주식회사 브이티엘 스트레이너
KR102364428B1 (ko) * 2021-08-06 2022-02-17 주식회사 순바이오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42735A1 (en) 2019-05-16
CN109414398B (zh) 2021-07-23
CN109414398A (zh) 2019-03-01
TWI769167B (zh) 2022-07-01
JP7012032B2 (ja) 2022-01-27
WO2018004212A1 (ko) 2018-01-04
KR102598485B1 (ko) 2023-11-06
US10952956B2 (en) 2021-03-23
TW201800090A (zh) 2018-01-01
JP2019518755A (ja)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8485B1 (ko) 피부 항산화 조성물
KR20080055984A (ko) 인산화당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KR101709734B1 (ko) 홍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2200574B1 (en)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KR20110083480A (ko) 활성 산소 소거제, 라디칼 소거제 및 산화적 세포 장애 억제제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44889B1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JP2006241148A (ja) コラゲナーゼ阻害剤及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CN103945855A (zh) 含有白甘菊提取物的皮肤外用剂组合物
JP2018158899A (ja) 抗酸化系酵素群産生促進剤
KR102441009B1 (ko) 인삼으로부터 화합물을 추출하는 방법,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JP2000344653A (ja) 活性酸素消去剤及び皮膚化粧料
JP2002097151A (ja) 皮膚外用剤
KR102310366B1 (ko) 시아니딘글루코사이드 및 낫토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62111B1 (ko) 동규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6055A (ko) 나도개감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2536390A (ja) 酸化ストレスを治療し、皮膚の健康を回復させるための天然スキンケア組成物および方法
KR101603956B1 (ko) 그린 토마토 뽕나무버섯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22691B1 (ko) 벌나무추출물 및 이의 분리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광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72765B1 (ko) 피부 보습 효과 및 사용감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1180A (ko) 국화, 알로에, 서양송악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2674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항산화 및 향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
JP2018138525A (ja) ビタミンcトランスポーター産生促進剤及びビタミンc吸収促進用組成物
KR102397975B1 (ko) 키레놀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10059139A (ja) デヒドロアスコルビン酸レダクターゼ活性促進剤並びに該促進剤を含有する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