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734B1 - 홍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734B1
KR101709734B1 KR1020140067729A KR20140067729A KR101709734B1 KR 101709734 B1 KR101709734 B1 KR 101709734B1 KR 1020140067729 A KR1020140067729 A KR 1020140067729A KR 20140067729 A KR20140067729 A KR 20140067729A KR 101709734 B1 KR101709734 B1 KR 101709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298A (ko
Inventor
최동원
박홍근
김한별
심진섭
하인혜
김연준
강병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067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734B1/ko
Priority to US14/728,254 priority patent/US9877915B2/en
Publication of KR20150139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734B1/ko
Priority to US15/848,597 priority patent/US1069528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8Gastro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홍국의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각질 형성 세포에서 로리크린(loricrin)의 생성을 증가시켜 각질 형성을 돕고, 이로 인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우수한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hongguk extract for skin moisturizing}
본 발명은 홍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홍국의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각질 형성 세포에서 로리크린(loricrin)의 생성을 증가시켜 각질 형성을 돕고, 이로 인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우수한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질 형성 세포는 세포의 분화 정도에 따라 발현되는 케라틴의 종류가 특이적인데, 바닥층의 각질 형성 세포에서는 주로 K5와 K14이 발현되며, 각질 형성 세포가 바닥층을 이탈하여 상부의 가시층으로 이동하면서 K5와 K14 케라틴 쌍 대신에 K10과 K1의 다른 케라틴 쌍이 발현되기 시작한다. 로리크린은 최종 분화를 거치는 동안 발현되는 단백질로서, 각질 형성 세포가 분화하여 안정적인 각질을 형성하는데 필요하며 각질 질량의 70~85%를 차지하는 물질인데, 이는 트랜스글루타미나제가 촉매하는 펩티드간의 교차결합에 참여할 수 있는 글루타민과 리신이 풍부한 도메인을 가지고 있으며, 각질 형성 단백질들간의 교차결합을 도와줌으로써 각질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로리크린은 상부 과립층에서 세포막과 서로 결합하여 단백질로 완성되므로, 각질 형성 세포의 최종 분화 과정을 추적하는 데 있어서 표지자로 사용된다.
따라서,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외부 환경 변화인 대기 건조, 자외선 및 각종 공해 물질로 피부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피부 조직의 수분 유지를 촉진하면서, 피부 조직의 수분의 손실을 방지하는 피부 장벽을 강화하도록 각질층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로리크린의 발현을 촉진하는 피부 보습용 물질의 개발이 요구된다.
국내 등록특허 10-119398 등록일: 2012년 10월 17일)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추출물 중에서 홍국 추출물이 각질 형성 세포에서 로리크린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홍국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보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홍국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홍국 추출물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홍국 추출물이 로리크린 mRNA의 발현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qPCR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홍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홍국은 일반 백미에 붉은누룩곰팡이인 홍국균(Monascus pilosus)을 접종하여 15일~30일동안 발효시켜 만든 붉은색 쌀로서, 발효 과정에서 빨간색의 천연 색소인 모나콜린 K(monacolin-K)가 생성되는데, 이는 주요 성분이 GABA(gamma-aminobutyric acid)이며, 뇌기능 활성, 성인병 예방, 두뇌발육 촉진, 콜레스테롤 제거, 당뇨 개선 및 예방, 혈압 강하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홍국 추출물은 일반 쌀에 홍국균을 접종하여 완전히 발효가 된 홍국쌀로부터 얻은 침출액뿐만 아니라 이를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상기 농축물을 다시 건조시켜 제조한 침체, 전제, 정기, 유동엑기스 및 홍국에 함유되어 주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 물질은 물론 그 자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홍국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홍국을 물 또는 유기용매를 넣고, 환류 추출하여 침적시킨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홍국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렌글리콜 등,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원료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물과 부틸렌글리콜을 6:4의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한다. 이때, 추출 온도는 5~100℃가 바람직하고, 추출 시간은 1~8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상기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은 이후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홍국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홍국 추출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추출물에 의한 효능, 효과가 미약하고, 20중량%를 초과하면 피부 안전성 또는 제형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로리크린의 발현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부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피 분화의 불완전함으로 생기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건선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보습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시험예 및 제형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 및 제형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홍국 추출물의 제조
홍국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홍국균은 Monascus purpureus (KCTC 6120)를 제조 균주로 사용하였다. 홍국을 제조하기 위하여 정백미를 물에(정백미와 물은 중량비로 1:1임) 1시간 동안 침지한 후 멸균한 정백미 100g에 홍국 균주를 접종(106 CFU/ml)하여 30℃에서 2일, 25℃에서 6일간 호기적으로 정치 배양한 후 이를 90℃에서 20분간 가열하고 다시 50℃에서 수분 함량이 10%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후 분쇄기(Food mixer FM-707T, Hanil, Seoul, Korea)로 분쇄하여 홍국 분말을 얻었다. 제조한 홍국 분말에 물과 부틸렌글리콜 6:4(중량비) 혼합물을 10배량(중량기준)으로 가한 후 80℃에서 3회 반복 추출하고 여과하여 홍국 추출물(수득률 83%)을 얻었다.
[비교예 1] 백미 추출물의 제조
정백미 100g을 분쇄기(Food mixer FM-707T, Hanil, Seoul, Korea)로 분쇄하여 백미 분말을 얻었다. 제조한 제조한 분말에 물과 부틸렌글리콜 6:4(중량비) 혼합물을 10배량(중량기준)으로 가한 후 80oC에서 3회 반복 추출하고 여과하여 백미 추출물(수득률 84%)을 얻었다.
[시험예 1] 세포 독성 평가
각질 형성 세포(Invitrogen으로부터 구매)에 대한 홍국 추출물의 처리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각질 형성 세포를 1.0 x 104 세포수/웰의 농도로 96 웰 플레이트에 파종하고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홍국 추출물을 농도별(125, 250, 500, 1000, 2000 ppm)로 처리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때 비교를 위하여 상기 비교예 1의 백미 추출물을 농도별(125, 250, 500, 1000, 2000 ppm)로 처리하거나, 또는 홍국 추출물과 백미 추출물 어느 것으로도 처리하지 않은 후,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씻어낸 후에 0.1 mg/ml MTT (Thiazolyl Blue Tetrazolium Blue, Sigma 구매) 용액을 넣어주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넣어준 MTT 용액을 제거하고 보라색 침전물을 DMSO(Dimethyl sulfoxi, 시그마 알드리치 구매) 유기용매로 녹인 다음,여서 560nm 파장에서 BioTek사의 synerge2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함으로써 흡광도를 측정하여 물질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홍국 추출물과 비교예 1의 백미 추출물은 2000 ppm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1000ppm 이하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이 세포에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후의 실험에서는 홍국 추출물을 1000ppm 이하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시험예 2] 분화 마커 발현 확인(qPCR)
로리크린은 각질 형성 세포가 분화하여 안정적인 각질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단백질이다. 각질은 피부 최외각층으로 외부의 오염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내 수분을 유지하는 피부 장벽 기능을 한다. 따라서 홍국 추출물의 장벽기능 강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로리크린 mRNA의 발현 변화량을 q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각질 형성 세포에 상기 실시예 1의 홍국 추출물을 농도별(125, 250, 500, 1000ppm)로 처리한 후 5일 뒤에 수확하였다. 이 때 비교를 위하여 상기 비교예 1의 백미 추출물을 농도별(125, 250, 500, 1000ppm)로 처리하거나, 또는 홍국 추출물과 백미 추출물 어느 것으로도 처리하지 않은 후, 5일 뒤에 수확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QIAGEN사의 RNeasy 미니 키트(mini kit)을 사용하여 각질 형성 세포의 RNA를 추출한 후 cDNA 합성을 Invitrogen사의 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III kit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유전자 비교를 위한 real-time PCR은 2X TaqMan universal PCR mixture(10μl), 20X TaqMan expression assay mix (1μl), cDNA(50ng) 및 프라이머(Loricrin: Hs01894962_s1*)를 사용하여 7500 Fast Real-Time PCR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홍국 추출물과 비교예 1의 백미 추출물에 대한 로리크린 유전자 발현 분석 결과는 비처리군의 발현율을 1.0으로 하고 비처리군과의 비교를 통한 상대값으로 구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미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마커 중 하나인 로리크린의 mRNA 발현량이 거의 증가하지 않았으나, 홍국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로리크린의 mRNA 발현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예 1]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배합성분 제형예1 비교제형예1 비교제형예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홍국 추출물(실시예 1) 0.1 - -
백미 추출물(비교예 1) - 0.1 -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 글리세라이드 11.00 11.00 11.00
사이클로메디콘 6.00 6.00 6.0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 0.1 0.1
[시험예 3] 피부 보습력 증가 효과 측정
홍국 추출물이 피부 보습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 및 2를 이용하였고,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건조 피부로 분류된 40~50대 성인 남녀 30명을 각각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 및 2의 3개 군에 대해 10명씩 3조로 나누어 영양크림을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 그리고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 후에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피부수분량측정기(Corneometer CM825, C+K Electronic Co., 독일)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의 결과는 시험개시 직전에 측정한 피부 수분량 측정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기간 처치한 후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시험군 수분 증가율 (%)
1주 경과 2주 경과 4주 경과 6주 경과
제형예 1 45 43 47 23
비교제형예 1 35 38 37 18
비교제형예 2 30 32 32 15
상기 표 2의 결과를 보면, 비교제형예 2를 도포한 경우에는 도포가 이루어진 4주까지는 약 32% 정도의 수분 증가율을 보이지만, 도포를 중지한 후에는 피부수분량이 15%로 감소하고, 백미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제형예 1을 도포한 경우에는 4주까지는 약 37% 정도의 수분 증가율을 보이지만, 도포를 중지한 후에는 피부수분량이 18%로 감소하여, 도포를 중지한 후에는 피부 수분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반면, 홍국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1을 도포한 경우에는 4주까지는 약 47% 정도의 수분 증가율을 보였으며, 도포를 중지한 후에는 피부수분량이 감소하지만, 어느 정도로 피부 보습력이 유지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홍국 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보습력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피부 장벽기능 회복 효과 측정
홍국 추출물이 피부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 장벽기능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성인 남녀 10명의 상박을 테이프 스트립핑(Tape Stripping)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에 손상을 주고 각각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제조한 제형예 2 및 비교제형예 3 및 4의 3개 군을 도포하면서 7일 동안 하루에 한번씩 경피수분손실량(TWEL)의 회복 정도를 Vapometer(Delfin, 핀란드)로 측정 비교하였다. 여기에서 비교제형예 4는 음성대조군으로서 비히클(vehicle)이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의 결과는 장벽 손상 전과 장벽 손상 후의 처리전 차이를 100%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배합성분 제형예 2 비교제형예 3 비교제형예 4
정제수 69 69 7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실시예 1 1 - -
비교예 1 - 1 -
시험군 TWEL 변화 (%)
처리전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제형예 2 100 111.3 110.7 88.1 60.5 42.7 23.2
비교제형예 3 100 119.4 112.7 92.5 68.4 57.3 39.5
비교제형예 4 100 121.4 112.7 98.3 70.5 62.3 43.5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홍국 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빠른 속도로 경피 수분 손실량이 정상으로 돌아오며 장벽 손상이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20)

  1. 홍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국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홍국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국 추출물은 물과 부틸렌글리콜을 6:4의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국 추출물은 5∼100℃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각질 형성 세포의 로리크린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각질 형성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수분 손실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및 지질 소낭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겔,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이온형 소낭 분산제, 비이온형 소낭 분산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콘실 스틱 및 에어로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
  11. 홍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피부 장벽 기능 강화는 피부 각질 형성 세포가 분화되어 피부 각질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홍국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홍국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홍국 추출물은 물과 부틸렌글리콜을 6:4의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홍국 추출물은 5∼100℃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각질 형성 세포의 로리크린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각질 형성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수분 손실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및 지질 소낭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겔,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이온형 소낭 분산제, 비이온형 소낭 분산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콘실 스틱 및 에어로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
KR1020140067729A 2014-06-03 2014-06-03 홍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09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729A KR101709734B1 (ko) 2014-06-03 2014-06-03 홍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4/728,254 US9877915B2 (en) 2014-06-03 2015-06-02 Skin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ation containing red yeast rice extract
US15/848,597 US10695284B2 (en) 2014-06-03 2017-12-20 Skin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ation containing red yeast rice extr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729A KR101709734B1 (ko) 2014-06-03 2014-06-03 홍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298A KR20150139298A (ko) 2015-12-11
KR101709734B1 true KR101709734B1 (ko) 2017-02-23

Family

ID=5470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729A KR101709734B1 (ko) 2014-06-03 2014-06-03 홍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877915B2 (ko)
KR (1) KR1017097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086A (ko) 2017-09-26 2019-04-03 (주)아모레퍼시픽 1,2,3,4,6-펜타-O-갈로일-β-D-글루코스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00134045A (ko) 2019-05-21 2020-12-01 (주)아모레퍼시픽 홍국쌀 발효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932B1 (ko) 2016-09-23 2023-12-08 (주)아모레퍼시픽 Card18 발현 촉진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조성물 및 card18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KR102635297B1 (ko) 2016-09-23 2024-02-13 (주)아모레퍼시픽 Linc00302 발현 촉진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조성물 및 linc00302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CN110200884B (zh) * 2019-06-19 2022-03-25 广州环亚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控油和修复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在化妆品中的应用
CN111671706A (zh) * 2020-07-06 2020-09-18 广州奥蓓斯化妆品有限公司 一种红米发酵滤液及其制备方法与在制备化妆品中的应用
CN113171316B (zh) * 2021-04-23 2022-06-14 科丝美诗(中国)化妆品有限公司 一种修复、缓解皮肤刺激化妆品及制备方法
CN116162552B (zh) * 2023-01-10 2023-10-20 成都宝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极端红曲霉高粱发酵产物的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8475B2 (ja) * 1995-09-11 2005-08-03 龍宝堂製薬株式会社 細胞賦活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
AU1701501A (en) * 1999-12-14 2001-06-25 Unilever Plc Cosmetic skin conditioning compositions containing red yeast rice extract
KR101119398B1 (ko) 2009-04-20 2012-03-15 이동호 금연보조기구
US9474774B2 (en) * 2010-01-04 2016-10-25 Food Industry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Pyridine alkaloids, preparation process thereof, and the uses of the pyridine alkaloid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086A (ko) 2017-09-26 2019-04-03 (주)아모레퍼시픽 1,2,3,4,6-펜타-O-갈로일-β-D-글루코스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20535135A (ja) * 2017-09-26 2020-12-03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Amorepacific Corporation 1,2,3,4,6−ペンタ−O−ガロイル−β−D−グルコースを含有する皮膚保湿用皮膚外用剤組成物
US11185488B2 (en) 2017-09-26 2021-11-30 Amorepacific Corporation Skin external preparation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skin containing 1,2,3,4,6-penta-O-galloyl-β-D-glucose
JP7277444B2 (ja) 2017-09-26 2023-05-19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1,2,3,4,6-ペンタ-O-ガロイル-β-D-グルコースを含有する皮膚保湿用皮膚外用剤組成物
KR20200134045A (ko) 2019-05-21 2020-12-01 (주)아모레퍼시픽 홍국쌀 발효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1484490B2 (en) 2019-05-21 2022-11-01 Amorepacific Corporation Ski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a fermented product of red yeast r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95284B2 (en) 2020-06-30
US9877915B2 (en) 2018-01-30
KR20150139298A (ko) 2015-12-11
US20180110720A1 (en) 2018-04-26
US20150342870A1 (en)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734B1 (ko) 홍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99763B1 (ko)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1663946B1 (ko)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5412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1088845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74558B1 (ko)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08669B1 (ko) 오크라, 다시마, 참마, 모로헤이야, 연근, 폴리글루탐산을 이용하여 구성된 네바네바컴플랙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3480A (ko) 활성 산소 소거제, 라디칼 소거제 및 산화적 세포 장애 억제제
KR20130031988A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96563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8926A (ko) 옥시레스베라트롤과 디오스신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20131948A (ko)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25737A (ko) 산성 이온수를 이용한 새싹 발효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로써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0662B1 (ko) 인동초 식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30860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933535B2 (ja) 細胞賦活剤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512B1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1088854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KR20160014315A (ko) 호두 및 밤 복합 발효추출물의 나노 에멀젼을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5027B1 (ko) 천연 추출물 및 햄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