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948A -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948A
KR20120131948A KR1020110050454A KR20110050454A KR20120131948A KR 20120131948 A KR20120131948 A KR 20120131948A KR 1020110050454 A KR1020110050454 A KR 1020110050454A KR 20110050454 A KR20110050454 A KR 20110050454A KR 20120131948 A KR20120131948 A KR 20120131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leaf extract
leaf
ski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0113B1 (ko
Inventor
박덕미
김안나
Original Assignee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안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안나 filed Critical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0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11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비파잎(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 추출물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화장료조성물은 미백효과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건조 비파잎을 용매 추출하여 0.05~20중량부 양으로 화장료를 만들었을 때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등의 미백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Compositions for Skin-lightening comprising Extract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비파잎(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화장료조성물은 미백효과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건조 비파잎을 용매 추출하여 0.05~20중량부 양으로 화장료를 만들었을 때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등의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생활이 욕구가 더욱 다양해지고 그럼에 따라 희고 깨끗한 피부에 대한 요구는 날로 증가하여 미백화장품의 시장은 날로 성장하고 있으며, 아울러 점점 그 효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그 기능성이 강조됨에 따라 인체 친화적이고 자연적인 것으로부터 얻고자 하는 경향이 증가하여 천연원료의 사용과 연구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비파잎(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추출물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현재까지 비파잎 추출물에 대한 미백효과는 보고된 바가 없으므로 에탄올과 같은 유기혼합용매로 추출물의 멜라닌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세포독성이 없으므로 피부미백용 화장품 또는 미백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멜라닌 합성 과정을 살펴보면, 자외선을 받은 케라티노사이트에서 메라노싸이트로 신호전달이 되어 멜라노사이트 내의 멜라노좀이라는 소포체에서 먼저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에 의해 티로신이 도파(DOPA)를 거쳐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되고, 도파퀴논으로부터 자동 산화반응과 효소 반응으로 도파크롬(DOPAchrome)을 거쳐 공중합체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따라서 일부 미백제품은 이 신호 전달을 제어함으로써 미백효과를 갖는 성분이 개발되기도 한다.
피부에서의 색소침착 방지는 주로 자외선을 받아 멜라노 싸이트에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단계에 사용되는 성분, 멜라닌 합성의 주효소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는 성분이나 티로시나아제의 기질에 대한 길항물질(antagonist)을 개발하고, 또한 멜라닌 합성 경로의 중간 대사물질인 도파(dopa)의 산화방지를 위해 도파 환원물질을 개발한다.
현재 기능성화장품에 있어서 알부틴, 비타민C 유도체, 나이아신 아마이드 등이 쓰이고 있으며 식물추출물로는 엘라직애씨드 등 최근 많은 추출물이 사용되며, 의약품으로는 하이드로퀴논 등이 사용되나 피부 부작용이나 안전성이 문제가 되어 사용이 금지되거나 극히 제한적 함량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 부작용, 용해도, 안정성 등의 문제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는 산화가 잘되는 불안정성 때문에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이 어려우며, 또한 알부틴은 하이드로퀴논에 글루코피라노사이드(Glucopyranoside)가 결합된 유도체로 하이드로퀴논 사용 시 나타나는 부작용이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미백용 성분으로 널리 사용되나 소양감 등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한편,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 Lindl.)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으로서, 높이가 10m에 달하며 작은 가지는 굴고 튼튼하고 연한 갈색이고, 단엽이 호생하고 열매는 송이모양으로 달리며 개화기는 9~10월 이며 결실기는 그 다음해의 5~6월이다. 제주도, 남부 지방에서 과수 또는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비파나무의 과실은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맛이 달고 시며 성질이 차다.
비파나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시미쭈(shimizu) 등은 비파나무 잎이 소염작용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으며{Chem. Pharm. Bull.(Tokyo) 1986 Jun:34(6):2614-7}, 정(Jung) 등은 비파나무 잎의 메틸알콜을 추출물에 항산화작용이 있음을 보고하였다{Arch Pharm Res 1999 Apr:22(2):213-8}. 또한 쇼우(Shaw) 등은 고압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비파나무 잎 추출물의 유기산과 당 성분을 분석하였으며{J Sci Food Agrix 1981 Dec:32(12):1242-6}, 고도이(Godoy)등은 비파나무 잎의 캐로틴 성분과 비타민 A의 농도를 측정한 바 있다{Arch Latinoam Nutr 1995 Dec:45(4):336-9}.
현재, 비파나무 잎은 달여서 마시는 비파차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동의보감에 따르면 이러한 비파잎 침출액은 폐를 맑게 하고, 진해 거담의 작용을 하며, 위장을 튼튼하게 해주고, 신진대사를 원활히 해주는 효능이 있다고 한다(동의보감 탕액편).
비파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특허공고 제96-4026호에는 비파잎으로부터 얻어지는 우르솔린산을 함유하는 혈관억제 조성물에 관해 기재되어 있고, 한국특허공고 제92-8844호 및 한국 특허공개 제2000-37680호에는 비파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비파나무 잎이 피부색소의 침착을 억제하는 피부 미백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천연에서 유래되는 효능이 뛰어난 미백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천연 약용식물을 연구하던 중, 중국의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는 식물인 비파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피부에 안전하고 변색 가능성이 적으며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고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피부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어 안전하고, 용해도가 높아 이용이 용이한 미백 활성을 갖는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파잎(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비파잎 추출물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으로 0.05~2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비파잎 추출물이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비파잎 추출물이 30℃ 내지 50℃에서 3일 내지 7일 동안 1 내지 2회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크림, 에센스, 화운데이션, 비누 중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과다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므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비파추출물의 농도별 멜라닌 생성저해도를 알부틴과 비교하여 보여주는 그림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자들은 특이 취가 없으며 변취, 변색 등의 문제가 없고 동시에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료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비파잎(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추출물이 안전성이 뛰어나고 미백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파잎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비파잎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하고, 건조된 비파잎을 추출 용기에 넣은 다음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용매를 넣은 후 적절한 온도에서 일정 시간 추출한다. 이때 추출물은 여과되고 농축된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에서 비파 건조 잎은 용매에 대해 10~50중량부가 되게 하고,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부가 되게 하며, 10중량부 미만의 경우는 과량의 용매를 사용하게 되어 경제성 및 농축의 어려움이 있고, 50중량부 이상의 경우 비파 건조 잎이 용매에 충분히 함침되기 어렵다.
상기 추출방법은 열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 추출의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2회 추출될 수 있는데, 3회 이상은 유효성분의 감소로 인하여 효능성분으로의 의미가 없게 된다.
상기 침적온도는 30℃ 내지 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인데, 이 온도범위에서 변색 및 변취의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며, 30℃ 미만에서는 추출기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50℃ 이상에서 변색 및 변취의 문제가 있다.
상기 침적 시간은 3내지 7일이고, 바람직하게는 5일인데, 3일 미만에서는 원하는 성분의 추출이 미흡하며, 7일이 넘게 되면 추출 성분의 변화가 없고 추출물이 변색 된다.
상기 비파잎 추출물을 수득한 후에 거름종이 등을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0.2~0.5㎛ 필터로 여과하여, 상층액을 감압 여과한다. 상기와 같이 비파잎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 저해능이 우수하여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추출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파잎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20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때 비파잎 추출물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기대하는 효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20중량부를 초과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효능의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크림, 영양 에센스, 화운데이션,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중에서 선택된 등의 제형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피부 미백용 비파잎 추출물의 제조
본 실시예의 비파잎(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은 국내에서 채취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채취한 비파잎을 깨끗이 씻어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식물 100g을 용매(에탄올 : 정제수 = 75 : 25) 1000㎖에 침지시켜 45℃ 항온조에서 5일간 침출하였다. 수득한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망으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한 후 얻어진 여과액을 회전진공농축기로 농축시켜 비파잎 추출물을 200g 수득하였다.
<시험예 1> 인체에 대한 1차 자극시험(폐쇄첩포시험)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비파추출물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인체 첩포시험(closed patch test)을 통하여 자극시험을 하였다. 피험자는 성인 30명을 선택하였고 시험 부위는 상박(forearm)이다.
각 농도별{콘트롤(증류수), 비파추출물 0.1%, 비파추출물 0.5%, 비파추출물 5%}로 시료를 만든 후에 핀챔버(Fin chamber)에 시료를 15㎕씩 적하시킨 후 이를 시험 부위인 상박에 얹고 실험용 테이프로 고정시킨다. 24시간 후에 시료를 제거한 다음 시험부위표시에 대하여 4시간 후 피부 반응을 판정하였는데, 판정기준은 다음 [표 1]과 같고, 그 판정결과는 [표 2]와 같다.
판정기준
특이현상 없음
± 미세 홍반
홍반
++ 홍반 이상, 뾰루지등
또한 판정결과 중 하나인 자극도는 하기식에 따라 계산한다.
자극도={(-x인원) + (±x 인원) + (+x인원) + (++x인원)}/피험자수
판정결과
시료 ± ++ 자극도
콘트롤(증류수) 27 2 1 - 0.1
비파추출물 0.1% 28 1 - 1 0.1
비파추출물 0.5% 30 - - - 0
비파추출물 5% 25 3 - 2 0.3
상기 판정결과를 보면, 컨트롤보다 높아지고 함량이 많아질수록 자극도가 미세하게 높아짐을 알 수 있으나, 일정함량에서는 피부반응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제의 원료로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멜라닌 저해 측정
<1-1> B16 멜라노마 세포 배양
B16 멜라노마 세포는 ATCC(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으며, 위 시험은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 배양 시 시료 처리에 의한 멜라닌 합성의 억제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실험법은 다음과 같다.
시험에 사용된 시료는 비파잎 추출물을 Dimethyl Sulfoxide(DMSO)에 녹였으며, 시료농도는 세포에 처리할 농도의 1000배로 희석하여 준비해 두었으며, 시험에 사용된 Forskoline(Fk)는 cAMP경로를 통해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물질로 미백후보물질과 함께 처리하여 미백후보물질이 Fk에 의해 유도되는 멜라닌 생성을 의미 있게 차단하는 지를 살펴보는데 쓰인다. 시험에 사용된 Fk는 2mM 농도로 DMSO에 녹여 준비해 두었다.
상기 세포를 배양하기 위해 B16 melanoma cells을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배지에 10% fetal bovine serum(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하여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으며 시료 처리조건은 다음과 같다.
1) B16 멜라노마 세포를 6wall plates에 각 wall당 5X104개 씩 분주하였다.
2) 세포가 부착된 후 시험 물질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이후 멜라닌합성 유도물질로 알려진 Fk(2μM)을 함께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3) 72시간 후 Phosphate buffered sallne(PBS)으로 두 번 씻어 준 다음 트립신을 처리하여 회수한 후에 회수된 세포는 5000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한 후 세포 펠렛을 얻는다.
<1-2> 단백질 정량 시험
회수된 세포의 총 단백질양은 Bio-Rad의 protein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회수된 세포 펠렛에 protein sxtraction brffer를 첨가한 후 펠렛을 잘 풀어준 뒤, 얼음에서 40분 동안 반응시킨다.
2) Cell lysis가 끝나면, 12,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고, 이를 적당히 희석하여 protein assay kit solution을 넣고 상온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킨다. 이때 표준품으로 bovine albumin serum(BAS)를 사용하였다.
3) 반응이 끝나면 ELISA reader(Bio Tekk Inc.)를 이용하여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4) 측정된 값은 standard curve에 대입하여 단백질량을 구한다.
<1-3> 흡광도 측정을 통한 멜라닌 합성 억제 시험
비파잎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험물질을 처리하여 배양된 세포의 멜라닌 양을 측정함으로써 시료처리에 의해 멜라닌 합성이 억제되는지를 알아보았으며 실험법은 다음과 같다.
1) 회수된 세포의 단백질 정량이 끝난 후, 60℃에서 30분간 반응시켜 세포내 멜라닌을 얻는다.
2) 반응이 끝나면 96 wall plate에 옮겨 ELISA reader(Bio-tek Inc.)를 이용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 표준품으로서 합성 멜라닌(Sigma Aldrich. USA)을 0~0.25mg/mL의 농도로 standard curve 그린 뒤, 시료에서 얻어진 흡광도 값을 대입하여 멜라닌 양을 계산한다.
측정된 각 시료의 멜라닌 저해율은 멜라닌 생성도로부터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멜라닌 생성도(%) = 처리구 흡광도/무처리구 흡광도×100
멜라닌 저해율(%) = 100 - 멜라닌 생성도
B16 melanoma 세포의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비파잎 추출물의 효과
시료명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시료 5 시료 6 무처리 알부틴
멜라닌합성
저해율(%)
30.0 35.4 39.1 48.0 37.3 33.7 8.0 32.0
주) 시료 1 : 비파잎추출물 0.001중량부, 시료 2 : 비파잎추출물 0.01중량부
시료 3 : 비파잎추출물 0.2중량부, 시료 4 : 비파잎추출물 1.0중량부
시료 5 : 비파잎추출물 20.0중량부 시료 6 : 비파잎추출물 21.0중량부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파잎 추출물은 0.01중량부 20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함유시킬 경우 상기 범위 밖인 시료 1 및 시료 6, 비교예인 무처리, 알부틴을 함유시킬 때보다 과다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므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파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파잎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제조 실시예>
[제조 실시예1]
수렴화장수
성분 함량(%) 기능
1,3-부틸렌글리콜 4.0 보습제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피마자유 0.5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2.0 보습제
보존제 0.15 보존제
향료 0.1 방향제
에탄올 4.0 장벽강화기능제
소튬 히아루로네이트 0.2 피부보호제
EDTA-2Na 0.02 피부컨디셔닝제
알란토인 0.1 피부보호제
정제수 잔부 피부컨디셔닝제
비파잎추출물 0.3 미백제
[제조 실시예2]
유연 화장수
성분 함량(%) 기능
1,3-부틸렌글리콜 4.0 보습제
세토스테아릴알콜 0.1 에몰리엔트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0.5 계면활성제
모노스테아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5
글리세린 5.0 보습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5 에몰리엔트제
보존제 0.15 보존제
해바라기오일 8.0 에몰리엔트제
향료 0.1 방향제
비파잎추출물 0.5 장벽기능강화제
콜레스테롤 0.5 피부보호제
세라마이드 0.2
스테아릭애씨드 0.8 피부컨디셔닝제
KOH 0.05 중화제
카보머 0.1 점증제
정제수 잔부 피부컨디셔닝제
[제조 실시예3]
에센스
성분 함량(%) 기능
1,3-부틸렌글리콜 4.0 보습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0.5 계면활성제
모노스테아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5
글리세린 15.0 보습제
보존제 0.15 보존제
스쿠알란 3.0 에몰리엔트제
향료 0.1 방향제
비파잎추출물 0.5 장벽기능강화제
세라마이드 0.2 피부보호제
베타글루칸 1.0 피부보호제
KOH 0.2 중화제
카보머 0.2 점증제
히아루론산(1.0%) 5.0 피부보호제
정제수 잔부 피부컨디셔닝제
[제조 실시예4]
크림
성분 함량(%) 기능
스쿠알란 5.0 에몰리엔트제
바셀린 2.0 에몰리엔트제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보조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8.0 보습제
향료 적량 방향제
보존제 보존제
유동파라핀 3.0 에몰리엔트제
밀랍 1.0
마이크로스텔린왁스 1.0 피부보호제
세테아릴알콜 2.0 에몰리엔트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비파잎추출물 1.0 장벽기능강화제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 계면활성제
세라마이드 0.3 피부보호제
스테아릭애씨드 1.0 피부컨디셔닝제
KOH 0.3 중화제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4 점증제

Claims (5)

  1. 비파잎(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파잎 추출물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으로 0.05~2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파잎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비파잎 추출물은 30℃ 내지 50℃에서 3일 내지 7일 동안 1 내지 2회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크림, 영양 에센스, 화운데이션,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중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50454A 2011-05-27 2011-05-27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70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454A KR101370113B1 (ko) 2011-05-27 2011-05-27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454A KR101370113B1 (ko) 2011-05-27 2011-05-27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948A true KR20120131948A (ko) 2012-12-05
KR101370113B1 KR101370113B1 (ko) 2014-03-04

Family

ID=4751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454A KR101370113B1 (ko) 2011-05-27 2011-05-27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1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73609A (ja) * 2015-09-03 2020-05-14 丸善製薬株式会社 Dkk1発現促進剤および美白剤
KR102264006B1 (ko) * 2020-09-08 2021-06-11 (주)티이엔 멜라닌 생성 억제 및 분해 촉진용 조성물
KR20220068350A (ko) * 2020-11-19 2022-05-26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파나무 잎 및 녹차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a 차단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322B1 (ko) 2018-02-28 2019-12-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토목향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69684B1 (ko) * 2018-11-15 2019-04-16 주식회사 엠디글로벌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9979A (ja) 2000-07-12 2002-01-29 Kanebo Ltd ヒスタミンh2受容体拮抗剤及び皮膚外用剤
JP2002193734A (ja) 2000-12-27 2002-07-10 Shiseido Co Ltd 外用組成物
JP5645344B2 (ja) * 2007-03-29 2014-12-24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外用剤組成物
JP5137457B2 (ja) 2007-04-27 2013-02-06 丸善製薬株式会社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73609A (ja) * 2015-09-03 2020-05-14 丸善製薬株式会社 Dkk1発現促進剤および美白剤
KR102264006B1 (ko) * 2020-09-08 2021-06-11 (주)티이엔 멜라닌 생성 억제 및 분해 촉진용 조성물
KR20220068350A (ko) * 2020-11-19 2022-05-26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파나무 잎 및 녹차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a 차단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113B1 (ko) 201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663946B1 (ko)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70113B1 (ko)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20160123732A (ko) 아티초크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20536B1 (ko) 오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4688A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25239A (ko) 복분자 뿌리의 활성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8864A (ko) 서장채국화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39408B1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및 미백효과를 갖는대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371504B1 (ko) 분말 상의 포도 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하고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5572B1 (ko) 노니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2555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20036417A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0669B1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829718B1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JP2000256175A (ja) 化粧料組成物
KR101525090B1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5689247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及び保湿剤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101469810B1 (ko)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1240B1 (ko)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5443B1 (ko) 베르가못, 금은화, 율무 및 밀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미백 및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기능성 화장용 조성물
KR101006341B1 (ko) 명당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100000112A (ko) 피부염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