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810B1 -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810B1
KR101469810B1 KR1020120072201A KR20120072201A KR101469810B1 KR 101469810 B1 KR101469810 B1 KR 101469810B1 KR 1020120072201 A KR1020120072201 A KR 1020120072201A KR 20120072201 A KR20120072201 A KR 20120072201A KR 101469810 B1 KR101469810 B1 KR 101469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s
lotion
cosmetic composition
ginsenosid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897A (ko
Inventor
이종은
강현미
박시준
장수진
Original Assignee
(주)에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씨티 filed Critical (주)에이씨티
Priority to KR1020120072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8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d와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진세노사이드 Rd를 F2와 혼합하여 사용하면 그 상승효과에 의하여 우수한 섬유아세포 증식효과,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MMP-1 생성 억제 효과 및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효과 등을 나타내어 복합적인 주름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주름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insenoside Rd and Ginsenoside F2 for improving skin wrinkle}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d와 F2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것 이외에도 체온조절, 피지분비 및 모발생성 등의 항상성 유지에 필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외부의 화학적, 물리적 자극, 스트레스 및 영양상태 등에 의해 피부의 기능이 불균형하게 되면 피부에 존재하는 세포의 활성이 저하되고, 피부의 구성 성분들이 본래의 안정한 구조를 유지하기 못하게 되어 주름이 생기게 된다. 피부진피를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섬유아세포 및 내피세포 등의 세포들과 콜라겐, 엘라스틴 및 파이브로넥틴과 같은 ECM을 구성하는 물질들이 있다. 이들 ECM 구성물질들은 진피의 구조를 형성하고 안정화시키는데 이들이 비정상적으로 생성되거나 분해되면 이것은 피부 전체의 구조에 영향을 주어 피부에 주름이 생기고 피부탄력이 저하된다.
피부노화 현상으로부터 피부 고유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 주름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특히 인삼성분을 이용한 화장료의 연구개발이 다수 이루어졌다. 피부에 대한 인삼의 효능이 일찍이 입증되어 화장료 조성물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인삼의 효능은 주로 인삼 사포닌이 관여하는데, 아글리콘에 결합되어 있는 당의 종류나 결합된 당류의 수 또는 결합위치에 따라 약리효능이 각각 다르다는 것이 이미 밝혀져 있다.
이 중에서 진세노사이드 Rd는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 촉진 작용, 코티코스테론 분비 촉진작용, mesenchyme 세포증식 억제(신장사구체 비대 억제작용) 등이 있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F2는 종양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종양세포나 세균에서 나타나는 다제내성을 반전시키는 효과등이 있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한국생약학회지 28(1), 35, 성종환 등 1997년).
이러한 진세노사이드 Rd와 F2에 관한 연구는 아직 상대적으로 적은편이다. 진세노사이드 Rd와 F2는 화합물 K가 생성되기 전의 중간체 화합물이다. 따라서 이를 위한 중간체 사포닌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에 관한 공지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97441에서는 진세노사이드 Rd의 제조방법과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포닌 함유한 화장료등은 단일 진세노사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 또는 홍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중 진세노사이드 Rd와 F2의 혼합이 피부 주름을 예방 및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이들을 최적의 비로 함유하고 있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Rd와 F2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엘라스타제(elastase)의 활성을 억제하고, MMP-1 생성을 억제하며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함으로써 주름을 개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는 1:10~10: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d와 F2는 엘라스타제(elastase)의 활성을 억제하고, MMP-1 생성을 억제하며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함으로써 주름을 개선한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혼합물은 파우더 형태나 나노캡슐화, 마이크로캡슐화 또는 나노좀(nanosome)화 되어 용액 형태의 원료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Rd 및 F2 혼합물은 조성물 전 중량에 대해서 0.00001~5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함유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져,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새도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적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d와 F2가 최적의 비로 이루어진 혼합물은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엘라스타제 활성저해 효과,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로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는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건조된 인삼에 에탄올 등의 저급알코올을 가하여 추출온도 100℃에서 2시간 추출하고, 여과한 후 알코올을 증발하여 홍삼추출 엑기스를 얻었다. 홍삼추출 엑기스에 락토바실러스 펙티나아제를 가하여 20~60℃에서 1~72시간 반응시킨다. 반응시켜 얻어진 아글리콘(Aglycon)을 유기용매에 녹인 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여 진세노사이드 Rd 및 F2에 해당하는 파우더를 얻는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혼합하는 바람직한 혼합비는 진세노사이드 Rd 및 F2가 1:10~10:1,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혼합물의 제조에 있어서, 인삼의 효소반응으로부터 Rd와 F2가 혼합되어 있는 파우더를 얻을 수도 있고, 각각의 진세노사이드를 얻은 후 혼합할 수도 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Rd 및 F2 혼합물은 조성물 전 중량에 대해서 0.00001~5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진세노사이드 Rd 및 F2가 파우더 형태 또는 나노캡슐, 마이크로캡슐, 나노좀(nanosome)등의 제형으로 용액 형태로 존재한다면 당업자는 상기 농도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에 이 용액 또는 파우더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진세노사이드 Rd와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함유하는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d 및 F2 혼합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조예 1 : 진세노사드 Rd 제조
인삼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여기에 그 건조 중량의 7~8배의 에탄올을 가한다. 100℃에서 2시간 환류시켜 끓인 다음 여과해서 추출액을 얻은 다음 에탄올을 증발하여 인삼엑기스를 얻었다. 인삼추출 엑기스를 수성용매에 용해시키고 미생물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펙티나아제를 가하고 20 ~ 60℃에서 1~72시간 반응시킨 후 진세노사이드 Rd가 함유된 아글리콘(aglycon)을 얻었다. 이 아글리콘(aglycon)을 정제수와 에탄올 혼합용매를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진세노사이드 Rd를 함유하는 분획만을 분취하여 진세노사이드 Rd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진세노사드 F2 제조
인삼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여기에 그 건조 중량의 7~8배의 에탄올을 가한다. 100℃에서 2시간 환류시켜 끓인 다음 여과해서 추출액을 얻은 다음 에탄올을 증발하여 인삼엑기스를 얻었다. 인삼추출 엑기스를 수성용매에 용해시키고 미생물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펙티나아제를 가하고 20 ~ 60℃에서 1~72시간 반응시킨 후 진세노사이드 F2가 함유된 아글리콘(aglycon)을 얻었다. 이 아글리콘(aglycon)을 정제수와 에탄올 혼합용매를 전개용매로 사용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분획만을 분취하여 진세노사이드 F2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과 2에서 제조한 진세노사이드 Rd와 F2, 그리고 이를 각각 1:10, 1:1, 3:1, 5:1, 10:1로 혼합한 혼합물을 농도별로 디메틸설폭사이드에 희석하여 제조한 희석용액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예 1 : 엘라스타제 제어 활성시험
0.1 중량% Elastin-Congo red(Sigma, USA)가 포함된 2.5 중량% agar에 시험시료 및 엘라스테이즈 효소 용액(1,000 units/mL, Sigma, USA)을 혼합하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용액 10 ul 씩 주입 후 37℃에서 1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엘라스테이즈의 활성에 의해 Elastin-Congo red agar 주변에 투명대가 형성되면 그 헤일로(halo)의 직경을 측정하여 엘라스테이즈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엘라스틴을 포함하는 한천배지에 엘라스타제만을 적가하는 한편, 상기 진세노사이드 Rd와 F2 그리고 이들을 10:1, 1:1, 3:1, 5:1, 1:10 중량비로 혼합한 농도가 0.01, 0.05, 0.1 및 0.5%되는 용액을 시료로 하여 엘라스타제와 함께 적가하여 배지 상에 나타나는 헤일로(halo)의 직경을 측정하여 진세노사이드 Rd와 F2혼합의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대조예로서 retinol crystal을 엘라스타제와 함께 적가하여 비교하였다.
상기 시험결과 하기의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료
농도
(%)
Halo diameter(cm)
진세노
사이드 Rd
진세노
사이드 F2
진세노사이드 Rd + F2 Elastase Retinol
crystal
10:1 1:1 3:1 5:1 1:10
0.01 1.6 1.7 1.6 1.5 1.3 1.5 1.7 1.8
0.9
0.05 1.5 1.5 1.5 1.4 1.1 1.3 1.5
0.10 1.2 1.2 1.2 1.0 0.9 1.0 1.2
0.50 1.2 1.2 1.1 1.0 0.9 1.0 1.1
헤일로 직경(Halo diameter)이 클수록 엘라스틴의 분해가 많이 된 것인데,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Rd, F2 및 이들의 혼합을 처리했을 때 헤일로 직경(halo diameter)이 감소하는 것으로 우수한 엘라스타제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각각의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진세노사이드 Rd와 F2의 혼합으로 처리하였을 때 상승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1:1~5:1의 혼합비에서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도 3:1의 혼합의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시험
섬유아세포를 10% FBS를 첨가한 IMDM 배지에 5×105의 세포농도로 접종하여 37℃, 5% CO2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하여 제조예 1 과 2에서 제조한 진세노사이드 Rd와 F2 그리고 이를 각각 1:10, 1:1, 3:1, 5:1, 10:1로 혼합한 혼합물을 최종 농도가 50, 100, 500, 1000㎍/㎖가 되도록 디메틸설폭시드에 희석하여 제조한 희석용액을 첨가하여 18시간 동안 동일 조건에서 배양 후 1시간 동안 UV를 조사시켜 세포에 스트레스를 주었다. 이후 Trizol reagent(invitrogen, USA)를 이용하여 섬유아세포를 회수하여 mRNA를 추출하여 일련의 과정을 거쳐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로부터 PROCOLLAGEN TYPEⅠ유전자 부위를 증폭시켜 전기영동을 통해 유전자 발현 양을 확인하였으며, 유전자 증폭은 thermal cycler (GenePro, Hangzhou bioer tech., CHINA)를 사용하여 10x taq polymerase buffer, 10 mM dNTP, 10 pmol primer (F: AGC CAG CAG ATC GAG AAC AT, R: TCT TGT CCT TGG GGT TCT TG), taq polymerase를 혼합하고 증류수를 더하여 50 uL로 조정 후 95도 5분 1cycle/95도 1분/51도 2분/72도 1분 28 cycle 증폭, 72도에서 5분간 반응하는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생성된 procollagen의 발현율은 아래식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UV를 조사하지 않은 정상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procollagen 발현율(%) = B/A × 100(%)
A: 상기 대조군에서의 procollagen 발현 량
B: 시료 처리 및 UV조사 섬유아세포의 procollagen 발현 량
상기 시험결과 하기의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료
농도
(㎍/㎖)
procollagen 발현율(%)
진세노
사이드 Rd
진세노
사이드 F2
진세노사이드 Rd + F2 TGF-β
10:1 1:1 3:1 5:1 1:10
0 2.63 2.63 2.63 2.63 2.63 2.63 2.63 2.63
50 26.52 19.40 27.04 40.92 43.62 41.35 20.21 44.15
100 49.12 37.86 50.25 53.87 59.28 56.74 39.68 59.99
500 83.07 71.98 85.10 94.05 98.24 95.91 73.03 99.07
1000 118.47 104.38 119.73 138.76 143.17 140.66 106.29 143.91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Rd와 F2를 단독으로 적용한 경우보다 진세노사이드 Rd와 F2를 혼합해 적용한 시료가 피부 주름에 관련 있는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가 더 높았으며, 보다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1:1~5:1의 혼합비에서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혼합비 3:1은 대조군 TGF-β과도 유사한 경향의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시험예 3: MMP-1 생성 억제 효과
인간 정상 피부세포인 섬유아세포(한국 세포주 은행, 대한민국)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Nunc. 덴마크)에 각 웰 당 1st 106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Sigma, 미합중국) 및 37℃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제조예 1과 2에서 제조한 진세노사이드 Rd와 F2, 그리고 이를 각각 1:10, 1:1, 3:1, 5:1, 10:1 로 혼합한 혼합물을 최종 농도가 50, 100, 500, 1000㎍/㎖가 되도록 디메틸설폭시드에 희석하여 제조한 희석용액을 첨가한 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MMP-1 분석 킷트(Amersham,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MMP-1의 양(㎍/㎖)을 측정하고, 하기식에 따라 MMP-1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MMP-1 생성 억제율의 양성 대조군으로 TGF-β(10㎎/㎖, Roche, 미합중국)을 사용하였다.
MMP-1 생성억제율(%)=(1-실험군의 MMP-1의 양/대조군의 MMP-1의 양)×100
시료
농도
(㎍/㎖)
MMP-1 생성 억제율(%)
진세노
사이드 Rd
진세노
사이드 F2
진세노사이드 Rd + F2 TGF-β
10:1 1:1 3:1 5:1 1:10
50 16.9 13.6 17.3 18.9 29.7 20.3 14.0 21.4
100 25.7 19.3 26.4 44.3 49.3 47.5 19.9 48.6
500 44.6 37.5 46.2 59.5 67.8 63.9 39.2 64.7
1000 56.8 46.6 58.9 81.8 85.6 82.4 48.3 83.2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Rd와 F2를 단독으로 적용한 경우보다 진세노사이드 Rd와 F2를 혼합해 적용한 시료가 MMP-1 생성 억제율 효과가 더 높았다. 1:1~5:1의 혼합비에서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혼합비 3:1은 보다 우수한 시너지 효과로 대조군 TGF-β 보다도 우수한 경향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시험예 4: 세포독성시험
섬유아세포를 10% FBS를 첨가한 IMDM 배지에 5×105의 세포농도로 접종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제조예 1과 2에서 제조한 진세노사이드 Rd와 F2, 그리고 이를 각각 1:10, 1:1, 3:1, 5:1, 10:1 로 혼합한 혼합물을 최종 농도가 50, 100, 500, 1000㎍/㎖가 되도록 디메틸설폭시드에 희석하여 제조한 희석용액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에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oromide, Sigma, U.S.A.)용액을 각 well에 100㎕씩 첨가한 후(3㎎/㎖)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이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150㎕의 디메틸설폭시드를 첨가한 후, 30분간 shaking하여 생성된 formazan을 녹여 multi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 Spectra max190)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은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시료첨가군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 100
시료 농도
(㎍/㎖)
세포생존율(%)
진세노
사이드 Rd
진세노
사이드 F2
진세노사이드 Rd + F2
10:1 1:1 3:1 5:1 1:10
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5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5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Rd, F2 그리고 진세노사이드 Rd와 F2를 혼합해 적용한 시료 모두 1000㎍/㎖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 : 크림 제조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와 피부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을 위해 하기 표 5의 조성에 따라 크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2 : 크림 제조
하기의 표 5의 조성과 같이 진세노사이드 Rd만을 함유하거나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을 제조하여 비교예로 하였다.
성 분 함량(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진세노사이드 Rd 4.5 4.5 -
진세노사이드 F2 1.5 - -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0
스테아릴알콜 2.2 2.2 2.2
스테아린산 1.5 1.5 1.5
밀납 1.0 1.0 1.0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0.6 0.6
정화식물유 1.0 1.0 1.0
스쿠알란 3.0 3.0 3.0
광물유 5.0 5.0 5.0
트리옥타노인 5.0 5.0 5.0
디메치콘 1.0 1.0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0.1 0.1
글리세린 5.0 5.0 5.0
베타인 3.0 3.0 3.0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4.0 4.0
방부제,향,색소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시험예 5: 피부주름 개선 효과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d와 F2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건강한 35세에서 50세의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세 그룹으로 나누고, A 그룹에는 실시예 1을, B 그룹에는 비교예 1을, C 그룹에는 비교예 2의 제형을 안면부에 하루 2회씩 (아침 및 저녁) 3개월간 도포하였다. 3개월 후 주름의 개선 정도를 피험자의 설문 및 주름의 영상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설문은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4단계로 판단하였으며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주름의 영상분석에 의한 평가는 실험이 시작되기 전 눈 밑의 레플리카를 채취하고 실험이 종료된 직후의 레플리카를 눈 밑의 동일 부위에서 채취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주름의 2차원적 분석으로 주름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영상분석에 의한 주름 밀도의 측정 결과는 사용 전과 비교한 주름 밀도에 대한 감소율로 하기의 표 7에 나타내었다.
시료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
실시예 1 2 4 6 8
비교예 1 4 8 6 2
비교예 2 14 6 - -
시료 주름 밀도 감소율 (%)
실시예 1 49
비교예 1 32
비교예 2 12
상기 표 6 및 7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d와 F2의 혼합으로 함유한 실시예 1의 피부주름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6: 제형의 안정성 실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의 안정성 시험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를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및 변취, 분리정도를 비료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기재하였다. 이때 제품 변색 및 변취, 분리정도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0:변화없음 1:극히 조금 분리(변색, 변취)
2:조금 분리(변색, 변취) 3: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변취)
4:심하게 분리(변색, 변취) 5: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변취)
구 분 제형의 안정성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45℃ 4℃ 45℃ 4℃ 45℃ 4℃
변색 0 0 0 0 0 0
변취 0 0 0 0 0 0
분리 0 0 0 0 0 0
상기 표 8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와 비교예는 45℃와 4℃에서 변색이나 변취, 분리 현상이 거의 없이 안정하였고, 진세노사이드 Rd 및 F2가 제형 내에서 안정한 상태로 존재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의 여러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2: 유연 화장수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으로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진세노사이드 Rd 1.5
진세노사이드 F2 0.5
1,3-부틸렌 글리콜 5.2
올레일알코올 1.5
에탄올 3.2
폴리솔베이트 20 3.2
벤조페논-9 2.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글리세린 3.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실시예 3: 영양 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으로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함유하는 영양 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진세노사이드 Rd 3.0
진세노사이드 F2 1.0
글리세린 5.1
프로필렌글리콜 4.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유동파라핀 4.6
트리에탄올아민 1.0
스쿠알란 3.1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폴리솔베이트 20 1.6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프로필파라벤 0.6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실시예 4: 에멀젼 베이스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으로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함유하는 에멀젼 베이스를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글리세린 3.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1.50
세테아릴알코올 0.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7.0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 C13-14이소파라핀 & 라우레스-7 0.60
진세노사이드 Rd 3.0
진세노사이드 F2 1.0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실시예 5: 맛사지 크림
하기 표 12에 기재된 조성으로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함유하는 맛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중량%)
진세노사이드 Rd 3.0
진세노사이드 F2 1.0
글리세린 4.0
바셀린 3.5
트리에탄올아민 0.5
유동파라핀 24.0
스쿠알란 3.0
밀납 2.1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2.4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실시예 6:팩
하기 표 13에 기재된 조성으로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중량%)
진세노사이드 Rd 4.5
진세노사이드 F2 1.5
에틸알코올 3.0
EDTA-2Na 0.02
프로필렌 글리콜 5.1
글리세린 4.5
카보폴 1.0
폴리옥사이드 0.1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진세노사이드 Rd 및 F2가 3: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는 나노캡슐화, 마이크로캡슐화 또는 나노좀(nanosome)화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생성 촉진에 의해 주름을 개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및 MMP-1 생성 억제에 의하여 주름을 개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Rd 및 F2혼합물이 조성물 전 중량에 대해서 0.00001~50중량% 함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72201A 2012-07-03 2012-07-03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69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201A KR101469810B1 (ko) 2012-07-03 2012-07-03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201A KR101469810B1 (ko) 2012-07-03 2012-07-03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97A KR20140004897A (ko) 2014-01-14
KR101469810B1 true KR101469810B1 (ko) 2014-12-05

Family

ID=50140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201A KR101469810B1 (ko) 2012-07-03 2012-07-03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839B1 (ko) * 2015-10-30 2022-10-11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8424A (ja) * 2002-01-30 2003-08-27 Iruha:Kk 生物転換人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88741A (ko) * 2004-03-03 2005-09-07 소망화장품주식회사 진세노사이드 알지2를 함유하는 사포닌 혼합물로 이루어진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23876A (ko) * 2010-09-02 2012-03-14 (주)바이오믹스 홍삼 또는 인삼 유래 진세노사이드 알이와 알에이치투 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8424A (ja) * 2002-01-30 2003-08-27 Iruha:Kk 生物転換人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88741A (ko) * 2004-03-03 2005-09-07 소망화장품주식회사 진세노사이드 알지2를 함유하는 사포닌 혼합물로 이루어진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23876A (ko) * 2010-09-02 2012-03-14 (주)바이오믹스 홍삼 또는 인삼 유래 진세노사이드 알이와 알에이치투 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피부미용학회지, 제8권, 제3호, 59-69쪽 (2010년) *
대한피부미용학회지, 제8권, 제3호, 59-69쪽 (2010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97A (ko) 201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225309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KR101574558B1 (ko)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9997B1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1086B1 (ko) 수소수 및 카무카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촉진 및 피부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40043192A (ko) 표피세포에 있어서의 라미닌 5 생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물질 및 이들의 사용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09265B1 (ko) 니코티노일 펩타이드 및 천연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4340B1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101370113B1 (ko) 비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EP2801391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s of Bursera simaruba
KR101987421B1 (ko)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2971B1 (ko) 딱총나무 및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20007829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edicinal Herbs As Active Ingredient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JP3432175B2 (ja) 細胞増殖促進化粧料
KR101469810B1 (ko)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7126A (ko) 아피게닌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455132B1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