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398B1 - 금연보조기구 - Google Patents

금연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398B1
KR101119398B1 KR1020090034388A KR20090034388A KR101119398B1 KR 101119398 B1 KR101119398 B1 KR 101119398B1 KR 1020090034388 A KR1020090034388 A KR 1020090034388A KR 20090034388 A KR20090034388 A KR 20090034388A KR 101119398 B1 KR101119398 B1 KR 101119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smoker
image dat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5679A (ko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이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호 filed Critical 이동호
Priority to KR102009003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39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5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02Special television systems not provided for by H04N7/007 - H04N7/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7Head Mounted Displays [HM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연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흡연자가 입에 물고 흡입하는 과정에서 흡입되는 외부공기 흡입량을 감지하여 담배연기의 영상이 출력되도록 영상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과; 상기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출력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담배연기 영상이 출력되어 흡연자가 시각적으로 확인되도록 마련된 안경형태의 영상출력수단(200);을 포함하여 흡연자가 흡연욕구시, 담배형상의 영상신호발생수단을 입에 물고 흡입하는 과정에 의해 상기 영상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영상시작신호가 전송되고, 전송된 영상시작신호에 의해 흡연자가 흡연을 통해 연기가 입으로 배출되는 것과 같은 실사영상을 안경형 모니터를 통해 3차원 영상처리하여 흡연자에게 시각적으로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흡연자가 실제 흡연하는 것과 같이 시각적으로 느끼도록 하여 흡연욕구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흡연욕구의 감쇠를 유도하여 빠른금연이 가능하며, 금연을 통해 국민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금연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금연, 담배, 영상, 블루투스.

Description

금연보조기구{Support apparatus for quit smoking}
본 발명은 금연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연자가 흡연욕구시, 담배형상의 영상신호발생수단을 입에 물고 흡입하는 과정에 의해 상기 영상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영상시작신호가 전송되고, 전송된 영상시작신호에 의해 흡연자가 흡연을 통해 연기가 입으로 배출되는 것과 같은 실사영상을 안경형 모니터를 통해 3차원 영상처리하여 흡연자에게 시각적으로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흡연자가 실제 흡연하는 것과 같이 시각적으로 느끼도록 하여 흡연욕구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흡연욕구의 감쇠를 유도하여 빠른금연이 가능하며, 금연을 통해 국민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금연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담배는 인체에 백해무익한 기호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담배는 흡연자가 불을 담배 끝단에 붙여 호흡과정을 통해 연소되고,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니코친과 타르 등의 수많은 유해물질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담배에서 발생되는 니코친과 타르 등의 수많은 유해물질은 흡연자가 호흡하는 과정과 같이 외부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과정에서 인체의 폐와 기관지 및 인체의 많은 부분에 면역 력 및 손상을 주고 있다.
또한, 담배로부터 발생되는 수많은 유해물질은 흡연자의 체내에 장기간 축적되고, 흡연자가 담배를 끊더라도 축적된 체내 유해물질로 인한 영향이 상당히 오랜기간동안 지속되는 등 많은 폐단이 따르게 되며, 심한 경우 수명을 크게 단축시키고, 담배에 의한 질병의 발생으로 인해 오랜기간 병고에 시달리게 되는 등의 폐단도 따르게 된다.
나아가, 흡연자가 담배를 피우는 흡연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는 흡연자 주변환경과 주변인에게 큰 영향을 주게되고, 전자의 흡연자 주변환경은 담배연기로 인한 불쾌한 악취의 발생으로 인한 생활환경오염을 들 수 있으며, 나아가 예를 들면 집안의 벽지가 니코틴, 타르 등에 의해 누렇게 변색되는 등의 손상으로 인해 벽지를 교체해야 하는 불필요한 비용의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점 등 다양한 문제점이 ㅂ발생되고 있다.
담배연기로 인한 후자의 주변인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는 담배 흡연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에도 수많은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배출되고 있는 바, 주변인인 배출되는 담배연기를 다시 흡입하게 되면 담배연기의 수많은 유해물질이 직접담배를 피우는 것과 같이 유해물질에 주변인이 노출되는 간접흡연의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비흡연자도 흡연자와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간접흡연 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근자에는 공공건물이나 공공장소를 비롯하여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거나 모이는 장소는 대부분 금연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흡연자의 입지는 크게 좁혀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회적 현실이나 정책적 방향이 금연을 추구함으로서 흡연자들의 입지가 자꾸 좁혀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흡연자들의 경우는 담배가 백해무익한 기호품이기에 끊거나 줄여야 한다는 점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오랜 습관과 사회적 스트레스 등을 핑계로 지속하고 있는 흡연욕구 및 관행 때문에 담배를 끊거나 줄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매번 금연을 다짐하면서도 실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담배형상의 영상신호발생수단과 안경과 같이 착용되는 안경형 모니터를 통해 흡연자가 흡연욕구가 발생시, 영상신호발생수단을 담배피울 때 처럼 흡입함으로써 영상시작신호가 안경형 모니터로 전송되고, 전송된 영상시작신호에 의해 흡연자가 담배를 피울때와 같은 담배연기 실사영상이 안경형 모니터를 통해 3차원 영상처리되어 흡연자에게 시각적으로 표현되도록 하여 흡연욕구를 해소하고, 인체에 매우 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니코친 및 타르가 인체로 전혀 축적되지 않아 담배로 인한 질병 및 건강악화를 예방할 수 있는 금연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연자가 마치 담배를 피우는 듯한 착각을 일으켜 흡연욕구가 억제됨에 따라 담배를 피우는 횟수 및 량이 크게 줄고 결국에는 금연할 수 있도록 하여 국민 건강에 크게 일조할 수 있는 금연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연보조기구는 흡연자가 입에 물고 흡입하는 과정에서 흡입되는 외부공기 흡입량을 감지하여 담배연기의 영상이 출력되도록 영상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과; 상기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출력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담배연기 영상이 출력되어 흡연자가 시각적으로 확인되도록 마련된 안경형태의 영상출력수단(20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은 담배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흡입공(112)이 관통형성된 본체하우징(110)과; 상기 흡입공(112) 내연에 마련되고, 흡연자가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량을 감지하도록 구비된 흡입량감지센서(120)와; 상기 흡입량감지센서(120)로부터 감지된 흡입량에 따라 영상출력시간(MT)과 영상출력시작신호(MS)로 데이타변환하여 상기 영상출력수단(200)으로 전송하도록 마련된 무선통신수단(13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수단(130)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통신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영상출력수단(200)은 안경형태로 형성되어 안경과 같이 흡연자가 착용하도록 형성된 안경형 본체(210)와; 상기 안경형 본체(210) 일측면에 구비되고,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가 저장된 영상데이터 저장부(220)와; 상기 안경형 본체(210)의 전면에 마련되고,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가 출력되는 안경형 모니터(230)와; 상기 안경형 본체(210) 타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출력신호의 데이터를 수신처리하여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의 영상출력시작(MS)과 영상출력시간(MT)을 제어하며, 상기 안경형 모니터(230)로 담배연기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24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출력신호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242)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242)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담배연기 영상데이터(MD)의 영상출력시작(MS)과 영상출력시간(MS)을 연산하여 영상 처리하고, 상기 안경형 모니터(230)를 통해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244);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는 MPEG-2, MPEG-4 또는 Divx 규격의 동영상 데이터 또는 JPEG 규격의 정지 영상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는 ATSC 또는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NTSC, PAL 또는 SECAM 방식의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어도 바람직하며, S-Video, 아날로그 RGB, DVI, MDDI, LVDS, TMDS, IEEE 1394 규격의 영상 신호이여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영상출력수단(200)은 흡연자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250)를 더 포함함으로써, 담배연기 영상의 동작을 제어하여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담배형상의 영상신호발생수단과 안경과 같이 착용되는 안경형 모 니터를 통해 흡연자가 흡연욕구가 발생시, 영상신호발생수단을 담배피울 때 처럼 흡입함으로써 영상시작신호가 안경형 모니터로 전송되고, 전송된 영상시작신호에 의해 흡연자가 담배를 피울때와 같은 담배연기 실사영상이 안경형 모니터를 통해 3차원 영상처리되어 흡연자에게 시각적으로 표현되도록 하여 흡연욕구를 해소하고, 인체에 매우 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니코친 및 타르가 인체로 전혀 축적되지 않아 담배로 인한 질병 및 건강악화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연자가 마치 담배를 피우는 듯한 착각을 일으켜 흡연욕구가 억제됨에 따라 담배를 피우는 횟수 및 량이 크게 줄고 결국에는 금연할 수 있도록 하여 국민 건강에 크게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금연보조기구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연보조기구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연보조기구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연보조기구의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연보조기구는 흡연자가 흡연욕구시, 흡연자가 흡연을 통해 연기가 입으로 배출되는 것과 같은 실사영상을 안경형상의 영상출력수단을 통해 3차원 영상처리하여 흡연자에게 시각적으로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흡연자가 실제 흡연하는 것과 같이 시각적으로 느끼도록 하여 흡연욕구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흡연욕구의 감쇠를 유도하여 빠른금연이 가능하며, 금연을 통해 국민건강을 증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배형상의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 안경형상의 영상출력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 1의 블럭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은 흡연자가 입에 물고 흡입하는 과정에서 흡입되는 외부공기 흡입량을 감지하여 담배연기의 영상이 출력되도록 영상출력신호를 발생하여 후술되는 영상출력수단(200)의 담배연기 영상의 영상출력시작(MS)과 영상출력시간(MT)을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10), 흡입량감지센서(120), 무선통신수단(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하우징(110)은 원통형의 담배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흡연자가 마치 담배를 피는 것과 같은 느낌을 그대로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을 흡연자가 입에 물어 담배를 피는 것과 같이 외부공기를 흡입하도록 중앙에 관통된 흡입공(112)가 형성된다. 따라서, 흡연자는 담배를 피는 것과 같이 입에 물어 흡입하게 되면 흡입공(112)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흡연자의 호흡에 따른 외부공 기의 흡입량은 흡입공(112) 내측에 구비된 후술되는 흡입량감지센서(120)에 의해 흡입량이 감지된다.
상기 흡입량감지센서(120)는 앞서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10)의 흡입공(112) 내측에 구비되어 흡연자의 호흡에 따른 외부공기의 흡입량을 측정한다. 이후, 흡입량을 측정한 데이터값은 후술되는 영상출력수단(200)의 제어부(240)에서 담배연기 영상의 출력시간(MT)하게 됨과 함께 담배연기 영상이 출력되는 최초신호(MS)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무선통신수단(130)은 전술한 상기 흡입량감지센서(120)로부터 감지된 흡입량에 따라 영상출력시간(MT)과 영상출력시작신호(MS)로 데이타변환하여 후술되는 영상출력수단(200)으로 데이터값이 전송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외주연 일측에 흡연자가 입에 물어 흡입하는 동작에 간섭을 받지 않는 범위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수단(130)은 블루투스(Bluetooth) 무선통신수단으로 구비되어 별도의 전선이 구비되지 않아 외관이 우수하고, 흡연자의 행동 제약을 두지 않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은 작고, 저렴한 가격, 저전력 소모(100mW이하)로 근거리 송, 수신기를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에 직접 또 는 피씨카드와 같은 어댑터를 통해 탑재되어 무선 환경을 제공해 주는 하나의 기술적인 규격 사양이다.
이러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환경은 세계적으로 이용 가능한 전역 주파수 대역인 2.45GHz band를 이용하고 있고, 721kbps 데이터 전송 속도와 3개의 음성 채널을 지원한다. 또한 블루투스는 전력 소모량이 30micro amps인 ‘대기모드’에서부터 3~30milli amps 범위의 전송량이 많은 장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는 기기간의 무선 도달 거리 측면에서 In Room(사무실/회의실/가정)과 Personal(사용자의 주변) 공간 내에서 지원하도록 개발 되었다. 블루투스 장치는 사용요구에 따라 다양한 거리를 지원하는 장치들과 10미터 반경 내에서 정보 교환 능력을 갖는다. 그리고 데이터 엑서스 포인트(Data Access Point)로 강력한 전송수단(+20dB 정도)과 감도 좋은 수신단(-90dB 정도)을 사용한다면 개방된 공간에서 100m까지 도달 할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블루투스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담배연기 영상의 영상출력신호(MS)와 영상출력시간(MT)의 결정을 위한 신호전송을 오류없이 측정된 정확한 데이터값의 전송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으로부터 무선전송된 영상출력시작(MS)과 영상출력시간(MT)의 데이터 신호값에 따라 미리 저장된 담배연기 영상이 출력되는 시점과 흡입량에 따라 영상이 출력되는 시간이 결정되어 흡연자에게 시각적으로 마치 담배를 피는 것과 같은 착각을 일이키도록 안경형태의 영상출력수단(20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출력수단(200)은 도 1의 블럭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경형 본체(210), 영상데이터 저장부(220), 안경형 모니터(230), 제어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안경형 본체(210)는 흡연자가 쉽게 착용이 간편하도록 안경형태로 형성되어 안경과 같이 흡연자가 착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부(220)는 상기 안경형 본체(210) 일측면에 구비되고,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가 저장된다. 여기서,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는 후술되는 제어부(240)를 통해 안경형 모니터(230)로 출력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플레쉬메모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는 전술한 무선통신수단(130)인 블루투스에 의해 외부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는 MPEG-2, MPEG-4 또는 Divx 규격의 동영상 데이터 또는 JPEG 규격의 정지 영상 데이터, ATSC 또는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NTSC, PAL 또는 SECAM 방식의 아날로그 방송 신호, S-Video, 아날 로그 RGB, DVI, MDDI, LVDS, TMDS, IEEE 1394 규격의 영상 신호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후술되는 제어부(240)에 의해 출력하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 안경형 모니터(230)는 상기 안경형 본체(210)의 전면에 마련되고,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가 흡연자에게 시각적으로 출력되도록 형성된다. 즉, 안경형 모니터(230)는 일반 안경의 안경알과 같이 같이 흡연자의 눈과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흡연자가 시각적으로 담배연기 영상을 확인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안경형 본체(210) 타측에 구비되고, 전술한 상기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출력시작(MS) 및 영상출력시간(MT) 신호의 데이터값을 수신처리하여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의 영상이 출력되는 시작과 흡연자의 외부공기 흡입량에 따른 담배연기 영상의 출력시간을 결정하여 제어하고, 여기서, 얻어지 영상출력시작시점과 영상출력시간에 따라 전술한 상기 안경형 모니터(230)로 담배연기 영상이 출력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40)는 데이터 수신부(242), 영상처리부(244)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수신부(242)는 상기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의 무선통신수 단(13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출력시작(MS)과 영상출력시간(MT) 신호의 데이터값을 수신하는 것으로, 전술한 무선통신수단(130)과 동일하게 블루투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무선통신수단(130)은 송신 블루투스로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수신부(242)는 수신 블루투스로 형성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처리부(244)는 전술한 상기 데이터 수신부(242)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담배연기 영상데이터(MD)의 영상출력시작(MS)과 영상출력시간(MS)을 연산하여 영상 처리하고, 상기 안경형 모니터(230)를 통해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영상 처리부(244)는 흡연자가 담배연기를 흡입하는 것과 같이 외부공기를 최초 흡입한 후, 담배연기를 내뱉는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서 외부공기를 내뱉는 시점을 연산하여 안경형 모니터(230)에 담배연기 영상이 시작되도록 하고, 외부공기의 흡입량에 따라 흡연자가 외부공기를 내뿜는 시간을 산출하여 담배연기 영상이 흡입량에 따른 일정시간 동안 출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금연보조기구는 흡연자가 흡연욕구가 발생되면 안경형태의 영상출력수단(200)을 안경과 같이 안면측에 착용한다. 이후,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을 담배와 같이 손가락 사이에 파지한 후,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의 일단을 입에 물어 담배를 피는 것과 같이 최초 흡입한다. 이때, 흡입공(112)을 통해서는 외부공기가 흡연자의 흡입과정에 따라 흡입되고, 흡연자의 심폐기능에 따라 흡입량이 결정된다.
이후, 흡연자가 외부공기를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을 이용하여 흡입하게 되면 흡입공(112) 내측에 구비된 흡입량감지센서(120)가 흡입량을 감지하고, 즉, 흡입되는 속도와 흡입되는 시간 및 흡입공(112)의 직경을 통해 흡입량을 감지한다. 이후, 흡입량이 감지되면 흡입량을 기준으로 영상출력시작(MS)과 영상출력시간(MT) 신호를 무선통신수단(130)을 통해 영상출력수단(200)의 데이터 수신부(242)로 신호가 수신된 후, 영상 처리부(244)에서 안경형 모니터(230)으로 출력될 담배연기 영상신호의 시작과 시간을 결정하여 출력하게된다.
즉, 이와 같은 흡연자의 흡연과정의 동작에 따른 외부공기의 흡입에 따라 담배연기 영상이 안경형 모니터(23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됨으로써, 흡연자는 마치 자신이 담배를 피워 담배연기를 내뿜는 것과 같은 착각을 통해 흡연욕구를 상쇄시키고, 습관적 동작을 서서히 줄이게 하여 결국에는 금연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한편, 도 1 블럭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작 감지부(250)를 두어 흡연자가 흡연시, 고개를 흔들거나 위치이동이 되었을 때, 출력되는 영상이 흡연자에게 마치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어 더욱 실감나는 담배연기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더 욱더 현실적으로 영상 출력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연보조기구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연보조기구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연보조기구의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 110 : 본체하우징
112 : 흡입공 120 : 흡입량감지센서
130 : 무선통신수단 200 : 영상출력수단
210 : 안경형본체 220 : 영상데이터 저장부
230 : 안경형 모니터 240 : 제어부
242 : 데이터 수신부 244 : 영상 처리부
246 : 영상 입사부 248 : 도수 조절부
250 : 동작 감지부 MD :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
MS : 영상출력시작 MT : 영상출력시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흡연자가 입에 물고 흡입하는 과정에서 흡입되는 외부공기 흡입량을 감지하여 담배연기의 영상이 출력되도록 영상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과; 상기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출력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담배연기 영상이 출력되어 흡연자가 시각적으로 확인되도록 마련된 안경형태의 영상출력수단(200);을 포함하는 금연보조기구로 상기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은 담배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흡입공(112)이 관통형성된 본체하우징(110)과; 상기 흡입공(112) 내연에 마련되고, 흡연자가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량을 감지하도록 구비된 흡입량감지센서(120)와; 상기 흡입량감지센서(120)로부터 감지된 흡입량에 따라 영상출력시간(MT)과 영상출력시작신호(MS)로 데이타변환하여 상기 영상출력수단(200)으로 전송하도록 마련된 무선통신수단(130);으로 형성되되,
    상기 영상출력수단(200)은 안경형태로 형성되어 안경과 같이 흡연자가 착용하도록 형성된 안경형 본체(210)와; 상기 안경형 본체(210) 일측면에 구비되고,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가 저장된 영상데이터 저장부(220)와; 상기 안경형 본체(210)의 전면에 마련되고,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가 출력되는 안경형 모니터(230)와; 상기 안경형 본체(210) 타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출력신호의 데이터를 수신처리하여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의 영상출력시작(MS)과 영상출력시간(MT)을 제어하며, 상기 안경형 모니터(230)로 담배연기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24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보조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영상출력신호발생수단(100)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출력신호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242)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242)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된 담배연기 영상데이터(MD)의 영상출력시작(MS)과 영상출력시간(MS)을 연산하여 영상 처리하고, 상기 안경형 모니터(230)를 통해 제공될 이미지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244);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보조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는 S-Video, 아날로그 RGB, DVI, MDDI, LVDS, TMDS, IEEE 1394 규격의 영상 신호인 것인 특징으로 하는 금연보조기구.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는 MPEG-2, MPEG-4 또는 Divx 규격의 동영상 데이터 또는 JPEG 규격의 정지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보조기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연기 영상 데이터(MD)는 ATSC 또는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NTSC, PAL 또는 SECAM 방식의 아날로그 방송 신호인 것인 특징으로 하는 금연보조기구.
  9. 삭제
KR1020090034388A 2009-04-20 2009-04-20 금연보조기구 KR101119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388A KR101119398B1 (ko) 2009-04-20 2009-04-20 금연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388A KR101119398B1 (ko) 2009-04-20 2009-04-20 금연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679A KR20100115679A (ko) 2010-10-28
KR101119398B1 true KR101119398B1 (ko) 2012-03-15

Family

ID=4313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388A KR101119398B1 (ko) 2009-04-20 2009-04-20 금연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3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5367B (zh) * 2014-06-06 2015-08-05 万新光学集团有限公司 一种戒烟眼镜的制作方法
KR20150139298A (ko) 2014-06-03 2015-12-11 (주)아모레퍼시픽 홍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10014014A (ko) * 2019-07-29 2021-02-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3033389A1 (en) * 2021-09-06 2023-03-09 Kt&G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image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1944A (zh) * 2011-12-07 2013-06-12 刘志宾 带oled显示器的电子烟
KR20230101346A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상 현실을 위한 영상 출력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65581A (ko) * 2022-05-27 2023-12-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230165614A (ko) * 2022-05-27 2023-12-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230165607A (ko) * 2022-05-27 2023-12-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230165599A (ko) * 2022-05-27 2023-12-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230165605A (ko) * 2022-05-27 2023-12-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230165604A (ko) * 2022-05-27 2023-12-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230165579A (ko) * 2022-05-27 2023-12-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240011391A (ko) * 2022-07-19 2024-01-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상 연기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240011392A (ko) * 2022-07-19 2024-01-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상 연기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240011393A (ko) * 2022-07-19 2024-01-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상 연기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240011394A (ko) * 2022-07-19 2024-01-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상 연기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240039863A (ko) * 2022-09-20 2024-03-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부가 영상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4742A (ko) * 2005-05-31 2008-02-14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가상 현실 흡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4742A (ko) * 2005-05-31 2008-02-14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가상 현실 흡연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298A (ko) 2014-06-03 2015-12-11 (주)아모레퍼시픽 홍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3995367B (zh) * 2014-06-06 2015-08-05 万新光学集团有限公司 一种戒烟眼镜的制作方法
KR20210014014A (ko) * 2019-07-29 2021-02-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70186B1 (ko) * 2019-07-29 2021-06-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3033389A1 (en) * 2021-09-06 2023-03-09 Kt&G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image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679A (ko)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398B1 (ko) 금연보조기구
EP32501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nd monitoring sleep
WO2019087428A1 (ja) 音響再生装置
JP655141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記憶媒体、および制御方法
HK1113700A1 (en) Virtual reality smoking system
WO2016031685A1 (ja) 動作情報測定装置、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動作情報測定プログラム
JP6820431B2 (ja) 下着に基づく身体データ監視方法及び装置
JP2019208876A (ja) 呼吸センサ、呼吸検出装置、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マインドフルネス支援装置
CN109067627A (zh) 家电设备控制方法、装置、穿戴式设备及存储介质
JP7078795B2 (ja) 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77644B1 (ko) 흡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CN109257490A (zh) 音频处理方法、装置、穿戴式设备及存储介质
KR20230035944A (ko)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8188035A1 (zh) 基于移动终端的电子烟烟雾量检测系统及方法
KR20240039863A (ko) 부가 영상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65605A (ko)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230165614A (ko)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230165599A (ko)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230165604A (ko)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230165581A (ko)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230165579A (ko)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230165607A (ko)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230165612A (ko)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JP2023548992A (ja) 映像データを出力する電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CN115349736B (zh) 室内清洁方法、装置、智能床垫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