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674B1 -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항산화 및 향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 - Google Patents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항산화 및 향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674B1
KR102632674B1 KR1020210087644A KR20210087644A KR102632674B1 KR 102632674 B1 KR102632674 B1 KR 102632674B1 KR 1020210087644 A KR1020210087644 A KR 1020210087644A KR 20210087644 A KR20210087644 A KR 20210087644A KR 102632674 B1 KR102632674 B1 KR 102632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antioxidant
antibacter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6980A (ko
Inventor
박충무
윤현서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6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06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항산화 및 향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은 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피부 항산화 활성을 통하여 피부 주름개선, 노화방지, 기타 활성산소종에 의한 피부트러블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항산화 및 향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SKIN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EAWEED EXTRACT AND GEL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항산화 및 향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면서 우수한 피부 항산화 활성과 함께 높은 향균성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과 함께 뛰어난 롤링 활성을 가지는 마사지용 화장료 또는 젤 타입의 기능성 화장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온도 및 습도의 변화, 자외선, 공해물질과 같은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체내의 기관을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든다. 또한, 외적으로는 자외선에 대한 과도한 노출, 자유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의 발생량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되며,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피부 혈색도 칙칙하게 되고, 피부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며, 기미와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최근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 및 태양 광선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증가는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의 분해 및 변성을 가속화시킨다. 이에 따라 피부기질이 파괴되고 얇아져 피부 노화의 제반 증상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생체의 노화를 촉진시키거나 암을 발생시키는 등 많은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및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활성 산소종이 생성된다. 발생한 활성 산소종은 지질, 단백질, 당, DNA 등의 세포구성 성분들을 파괴함으로써 세포노화 또는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활성 산소종에 의한 지질 과산화의 결과로 생성되는 지질 과산화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체내 과산화물도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를 일으켜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활성 산소종에 의한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물질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항산화 물질은 동,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 빌리루빈(bilirubin), 비타민 C, 비타민 E, 카테킨, 퀘르세틴, 플라보노이드(β-카로틴, 라이코펜, 루테인, 안토시아닌, 라스베스테롤), 이소플라본(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등의 비효소성 항산화 물질과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페록시다제(peroxidase), 티오레독신(thioredoxin; TRX) 등과 같은 효소성 항산화 물질이 알려져 있다.
특히 활성 산소종은 피부 노화와 관련성이 크기 때문에 항산화 물질을 피부 외용제에 배합함으로써 피부의 산화 및 노화 방지 효과를 달성하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16382호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니아올리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산화 및 항균 작용을 얻을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87146호는 타베르소닌(tabersonine)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특성 개선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피부 사상균, 칸디다 등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아 감염되기 쉽다. 더군다나 동물의 피부 및 털에는 각종 세균, 곰팡이 및 효모균 등이 기생하여 피부 질환이 흔하게 나타난다.
동물의 피부에서 각종 피부 질환을 유발하는 병원성 세균으로는 Propionibacterium acnes, Borelia burgdorferi, staphi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및 Proteus mirabilis 등이 있고, 병원성 진균으로는 Microsporium canis, Microsporium gypseum 및 Trichophyton mentagrophytes 등이 있다.
현재 이러한 병원성 진균에 의한 피부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항진균제로 암포테리신 비(Ampotericin B), 클로트리마졸(clotrimazole), 크리니판 에이디(crinipan AD), 플루코나졸(fluconazole), 리세오풀빈 (griseofulvin)
또는 케토코나졸(ketoconazole)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항균제로 트리클로산(triclonic acid), 트리클로카반(triclocarban), 염화벤잘코늄 (benzalkonium chloride) 또는 염화벤제토늄(benzetonium chloride)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진균제 또는 항균제는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그 사용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므로 화장료 등에 적용하는데 일정한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피부 조직에 대한 향균활성을 통하여 피부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향균활성을 가지는 화장료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KR 10-2016-0016382 A KR 10-2015-0087146 A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피부 항산화 활성을 통하여 피부 주름개선, 노화방지, 기타 활성산소종에 의한 피부트러블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향균 활성을 통하여 피부감염에 의한 피부트러블, 기타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고 윤활성이 우수한 마사지용 화장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고 젤 타입으로 제조된 화장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은 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은 톳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매생이 추출물, 김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은 알로에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은 페퍼민트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바질 추출물, 타임 추출물, 마늘 추출물, 생강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커민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는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용 화장료는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젤은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은 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추출물(extract)"이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 즉, 목적하는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추출 과정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추출물 이의 건조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 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에는 상기 추출 과정을 거친 추출물을 분획한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항산화; 항산화 효과 또는 항산화 효능"이라 함은 세포 내 대사 또는 자외선 등의 영향으로 인한 산화스트레스에 따라 반응성이 높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또는 활성 산소종에 의한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자유 라디칼 또는 활성 산소종을 제거하여 이로 인한 세포의 손상이 감소되는 것을 포함한다.
활성 산소종은 정상적인 세포 내 활성작용 과정에서 생성되며 세포 성장과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 산화 스트레스는 활성 산소종의 생성과 이를 제거하는 항산화 반응 간의 불균형으로, DNA나 단백질, 지질(lipid)과 반응하여 손상시키는 현상이며 이는 노화나 암, 당뇨병, 동맥경화증 등 각종 만성질환의 핵심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는 산소를 이용하여 생존하는 생명체에게 있어서는 피할 수 없으나 최근 방사선, 오존, 중금속, 미세먼지, 자외선, 담배 등 오염 물질, 바이러스, 세균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염증 등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해 자극은 체내 산화 스트레스의 급격한 증가를 야기한다.
상기 미역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활성 산소종을 소거하며, 항산화 물질의 환원에 필요한 NADPH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hydrate)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특히 피부 항산화 활성을 통하여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 질환, 기타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항균 또는 향균은 피부에 존재하는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그 활성을 제거 또는 저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하여 피부 질환 또는 관련 피부 트러블 등의 문제를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존재하며, 이들 미생물들은 각종 피부 질환을 야기시킨다.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들로는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무좀(백선) 유발균인 에피더모피톤 플록코섬(Epidermophyton floccosum), 마이크로스포럼 아우도워이니(Microsporum audouinii), 트리초피톤 페러지니움(Trichophyton ferrugineum), 트리초피톤 멘타그로파이츠(Trichophyton mentagrophytes) 및 트리초피톤 루범(Trichophyton ruburm), 피부에서 화농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피부 상재균인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s), 비듬 유발균인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 외음질염 또는 항문주위칸디다증 유발균인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성병(여성질염, 요도염, 방광염등과 남성의 요도염) 유발균인 질트리코모나스(Trichomonas Vaginalis) 등이 있으며, 이 균들은 피부상에서 분비된 피지나 땀을 분해시켜 냄새를 발생시키며, 이와 더불어 분해산물들은 피부에 자극을 주고 염증을 발생시킨다.
상기 미역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상기 피부 미생물, 특히 유해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 또는 향균 활성을 통하여 미생물에 의한 피부 질환 또는 피부 트러블의 문제를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은 톳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매생이 추출물, 김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미역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에 의하는 경우 우수한 피부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은 알로에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로에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피부 보습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과 함께 우수한 피부 보습효과를 통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피부 개선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은 페퍼민트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바질 추출물, 타임 추출물, 마늘 추출물, 생강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커민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은 미역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미역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시마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알로에 추출물 100 내지 300 중량부, 파슬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및 생강 추출물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항산화 활성; 향균 활성 및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적은 사용량으로 우수한 피부 항산화, 항균 및 보습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부작용의 문제가 적을 뿐만 아니라 상승효과에 기초하여 적은 사용량으로 높은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에 따른 세포독성 등의 문제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은 미역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미역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시마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알로에 추출물 100 내지 300 중량부, 파슬리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생강 추출물 0.5 내지 5 중량부, 민들레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및 참죽나무순 추출물 0.5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어 보다 적은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세포독성 등의 문제가 없고 장기간 사용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는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또는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등의 경피 투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병변의 정도 등의 개인 차이나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1일 1회 내지 수회 적?韜?을 피부에 도포하여 1 주일 내지 수개월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용 화장료는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사지용 화장료는 제형 또는 성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크게 수성형, 유성형, 크림형 등의 제형을 예시할 수 있으며, 피부 마사지를 제공하는 사용하는 화장료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사지용 화장료는 윤활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오일류가 추가로 포함되거나 수용성 에멀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기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가 윤활성을 가지는 제형으로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사항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마사지용 화장료에 대한 제형의 일 예시로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점증제,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젤은 상기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향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젤은 젤 타입의 화장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우수한 피부 항산화 활성을 통하여 피부 주름개선, 노화방지, 기타 활성산소종에 의한 피부트러블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부 향균 활성을 통하여 피부감염에 의한 피부트러블, 기타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상기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상기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고 윤활성이 우수한 마사지용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상기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고 젤 타입으로 제조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활성 평가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타입 화장료에 대한 보습 만족도 평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추출물의 제조]
1. 미역 추출물의 제조
미역을 세척 및 건조하고, 분쇄한 후에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미역 추출물(AW)을 제조하였다.
2. 기타 추출물의 제조
상기 AW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마 추출물(BW). 알로에 추출물(CW), 파슬리 추출물(DW), 생강 추출물(EW), 민들레 추출물(FW) 및 참죽순나무 추출물(GW)를 제조하였다.
3. 혼합 추출물 제형의 제조
혼합에 따라 각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상호 작용에 따른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AW 내지 GW를 하기의 [표 1]에 따른 범위로 혼합하여 M1 내지 M12를 제조하였다.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M11 M12
AW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W 1 10 20 30 40 20 20 20 20 20 100 100
CW 50 100 200 300 400 200 200 200 200 200 - 100
DW 0.1 1 5 10 20 5 5 5 5 5 - -
EW 0.1 0.5 3 5 10 3 3 3 3 3 - -
FW - - - - - 0.1 1 5 10 15 - -
GW - - - - - 0.1 0.5 3 7 10 - -
(단위: 중량부)
[실험예: 활성 평가]
1. 피부 항산화 활성 평가
각 조성물의 피부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AW에 대하여 1, 2.5, 5, 10(mg/mL) 농도별로 수소전자공여능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를 메탄올을 용매로 용해하고, 900μL의 DPPH 용액(100μM)과 각 시료 100μL를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이 혼합 시료를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소전자공여능은 각 실험을 3회 반복하여 평균을 낸 다음 대조구에 대한 흡광도의 감소 정도를 다음 [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도 1]에 나타내었다.
[식 1]
An=(A0-A)/A0*100
An: DPPH radical 소거능에 대한 항산화 활성(%)
A0: 시료가 첨가되지 않은 DPPH 용액의 흡광도
A: 반응 용액 중의 DPPH와 시료가 반응한 흡광도
하기의 [도 1]을 참조하면, AW를 사용하는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산소에 대한 저해활성이 증가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AW를 사용하는 경우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활성산소종에 의한 세포 손상 등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제형의 상승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M1 내지 M12의 추출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한편, 각 혼합제형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 여부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AW를 지수 5로 고정하고, AW 상대적인 평가를 통하여 M1 내지 M12의 효과를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이다. 그 결과를 하기의 [도 2]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도 2]를 참조하면, M5를 제외하고, 상승활성이 나타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M2 내지 M4의 범위에 의하는 경우 항산화 활성이 증가되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M1 및 M5를 참조하면, 상기 M2 내지 M4의 혼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위와 같은 상승효과가 관찰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혼합조성의 범위에서 각 유효성분의 상호작용에 따른 상승활성이 나타나는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M2 내지 M4에 의하는 경우 상승활성을 통하여 보다 적은 함량으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누릴 수 있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세포독성 등의 문제가 없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한편, M7 내지 M9을 참조하면, 일정한 혼합범위로 FW 및 GW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추가적인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M7 내지 M9의 범위에 의하는 경우 항산화 활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독 추출물 또는 추출물의 혼합 제형에 의하는 경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혼합 제형에 의하는 경우 적은 사용량으로도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2. 피부 항균 활성 평가
AW 및 M1 내지 M12에 대한 항균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를 대상으로 disc diffusion assay로 측정하였다. 항균시험용 평판배지는 계대 배양된 각 균주 배양액을 100μl씩 분주한 후 멸균 면봉을 이용하여 도말하여 준비하였다. 각 시료를 paper disc에 천천히 흡수시킨 뒤 건조시킨 후 용매를 휘발시킨 다음 평판배지 위에 밀착시킨 상태로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disc를 중심으로 생성된 저해환(clear zone, ㎜)을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한편 control로는 정제수를 사용하였으며, 각 조성물에 대한 항균활성의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control의 결과를 1로 고정하고, AW 및 M1 내지 M12의 각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종합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숫자가 높을수록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이다. 그 결과를 하기의 [도 3]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도 3]을 참조하면, AW에 의하는 경우 피부 항균 활성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혼합 제형에 의하는 경우 M2 내지 M4의 범위에서 눈에 띄는 상승활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M7 내지 M9에서 추가적인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일정한 혼합 조성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상호작용으로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3. 보습성 평가
AW 및 M1 내지 M12에 의한 보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폴리올을 사용하지 않고, AW 및 M1 내지 M12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젤타입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젤타입 제형의 화장료를 건성피부를 가지는 여성 20인에게 사용하도록 하고, 피부 보습효과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상기 평가는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AW에 대한 결과를 5로 고정하고,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으며, 상기 지수가 높을수록 보습 만족도가 우수한 것이다.
그 결과를 하기의 [도 4]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도 4]를 참조하면, M12에 의하는 경우 보습 만족도가 높아지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M7 내지 M9의 경우 보습 만족도가 상향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보습력을 통하여 피부 주름 예방, 기타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미역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항균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항균 조성물.
  6. 제 1항에 따른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7. 제 1항에 따른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사지용 화장료.
  8. 제 1항에 따른 피부 항산화 및 피부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고 젤 타입 제형인
    젤.
KR1020210087644A 2021-07-05 2021-07-05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항산화 및 향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 KR102632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644A KR102632674B1 (ko) 2021-07-05 2021-07-05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항산화 및 향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644A KR102632674B1 (ko) 2021-07-05 2021-07-05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항산화 및 향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980A KR20230006980A (ko) 2023-01-12
KR102632674B1 true KR102632674B1 (ko) 2024-02-01

Family

ID=84923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644A KR102632674B1 (ko) 2021-07-05 2021-07-05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항산화 및 향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6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2765A (ja) * 2000-09-28 2001-05-08 Naris Cosmetics Co Ltd 活性酸素消去剤および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056A (ko) * 2013-02-05 2014-08-14 김지윤 미역추출물과 글리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7146A (ko) 2014-01-21 2015-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016382A (ko) 2014-08-05 2016-02-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항산화 및 항균 작용을 갖는 니아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2765A (ja) * 2000-09-28 2001-05-08 Naris Cosmetics Co Ltd 活性酸素消去剤および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980A (ko)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421B1 (ko)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솔방울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77254B1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Yang et al. Dietary enzyme-treated Hibiscus syriacus L. protects skin against chronic UVB-induced photoaging via enhancement of skin hydration and collagen synthesis
KR20180001378A (ko) 피부 항산화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00102018A (ko) 님트리 잎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피커링 에멀젼 조성물
KR102525467B1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106690B1 (ko) 피지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3119206A1 (en) Extracts of santolina chamaecyparissus
KR102632674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항산화 및 향균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
KR102057091B1 (ko) Nrf2 인덕션 리바이탈라이징 제제용 피이지프리 가용화제, 이를 포함하는 Nrf2 인덕션 리바이탈라이징 제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5901B1 (ko) 지면패랭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30135528A (ko)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H700735B1 (de) Kosmetische Komposition für die Verjüngung des Erscheinungsbildes der Haut.
KR20190137327A (ko)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164119B1 (ko) 저자극성 항균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87124B1 (ko) 보습성 및 롤링성이 향상된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젤
KR102009604B1 (ko) 인동덩굴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80102928A (ko) 깔라만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7515A (ko)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5952A (ko) 동규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5557973B2 (ja) 皮膚外用剤
KR20210043098A (ko) 영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1762B1 (ko) 캐비어 추출물 및 비타민 c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5275B1 (ko) 천연방부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