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528A -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528A
KR20230135528A KR1020230032718A KR20230032718A KR20230135528A KR 20230135528 A KR20230135528 A KR 20230135528A KR 1020230032718 A KR1020230032718 A KR 1020230032718A KR 20230032718 A KR20230032718 A KR 20230032718A KR 20230135528 A KR20230135528 A KR 20230135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mposition
astaxanth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철준
이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이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이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이켐
Publication of KR20230135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52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능력, 항염,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개선 효과가 우수한바, 주름 개선, 미백,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다양한 피부트러블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staxanthin, epidermal growth factor and mixed extracts of natural product as effective components}
본 발명은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는 크게 내적 요인에 의한 노화와 외적 요인에 의한 노화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요인에 따라 피부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초래한다. 피부는 외부 환경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므로 노화에 따른 피부 변화의 많은 부분이 자외선과 같은 외부의 영향을 받는다. 노화가 진행함에 따라 피부는 건조해지고 피부색이 어두워지며 탄력을 잃어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노화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인 활성산소 (oxygen free radical)는 산소가 필요한 대사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활성산소는 매우 불안정한 상태로 존재하게 되므로 체내의 조직을 공격하여 세포를 산화시키고 손상시켜 노화를 유발한다.
활성산소는 체내의 단백질을 산화시키거나 세포막의 지질을 산화시키게 되면서 인체 기능이 저하되고 DNA를 손상시켜 돌연변이나 암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한, 피부에 탄력을 주는 콜라겐 (collagen)과 피부 섬유질을 공격하여 피부 노화가 진행되어 피부가 처지고 늘어져 주름이 생기게 된다.
체내에는 SOD (Superoxide Dismutase)처럼 과잉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방어 효소 시스템이 있는데 20대까지는 인체의 항산화 효소의 방어시스템이 활발하여 신체를 건강하게 지켜나가는데 무리가 없으나 이후 점차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급속히 항산화 효소의 기능이 약화되면서 인체는 활성산소에 더욱 쉽게 노출되며 노화의 진행이 가속화되므로, 안티에이징을 위해 활성산소의 적절한 제거가 필요하다.
한편, 피부에 나타나는 염증 반응은 붉어짐, 따금거림, 화끈거림, 팽윤, 조직의 변화와 같은 5가지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해로운 주위 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려는 생리적 반응이다.
염증과 관계되는 대표적인 피부트러블의 형태로는 아토피성 피부염과 여드름 등이 있으며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은 그 원인이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알레르기와 연관된 면역글로불린인 IgE의 증가에 따른 면역 과민 반응 또는 T 림프구의 기능 결여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원인들 중 최근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것이 비정상적 체내 항산화 시스템과 과도한 반응성 자유 라디칼의 발생이다. 원래 자유 라디칼은 면역 시스템의 일환으로 체내로 침투한 외인성 병원균을 소멸시키는 방어 기작으로도 작용하나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체내 및 피부에서는 발생 민감도가 크게 증가하여 과도한 자유 라디칼이 오히려 피부 보호막 혹은 피부 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와 같은 면역 과민반응과 활성산소의 과다 발생은 근본적인 발병 원인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유전적 원인 이외에 주로 환경오염에 따른 다이옥신과 같은 환경호르몬의 인체 내 유입에 따른 내, 외인적 스트레스에 의해 면역체계의 기능악화 및 파괴에 의해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염에 수반되는 피부장벽 손상, 이차적인 세균감염, 약물 부작용에 대한 감수성의 증가, 곰팡이류나 바이러스 등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 감소 등도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알레르기원을 제거하거나 면역체계를 개선시키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는데, 알레르기원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면역에 관련된 치료와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분비를 낮추기 위한 약물 치료를 받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치료방법으로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또는 아토피 질환자의 피부 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습제를 도포하고 수반되는 염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국소 부신피질호르몬과 같은 스테로이드제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테로이드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스테로이드성 여드름, 피부위축 및 모세혈관확장 등 다양한 피부 부작용을 유발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항히스타민제는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이 유리되지 못하도록 하여 가려운 증상을 경감시키는 임시방편으로 사용되는데, 장기간 복용 시 불면, 불안, 식욕감퇴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소재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마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가지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마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가지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복합 추출물을 1:0.15-6:0.15-6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마카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1:0.2-5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마카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1:0.2-5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1:0.2-5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마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1:0.15-6:0.15-6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또는 여드름 개선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능력, 항염,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개선 효과가 우수한바, 주름 개선, 미백,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다양한 피부트러블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마카 추출물의 세포 독성 및 세포 증식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아스타잔틴의 세포 독성 및 세포 증식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마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가지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천연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부능로 포함하여 기능성 및 생체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이 적고, 항산화 능력, 항염,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개선 효과가 우수한바, 주름 개선, 미백,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은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예컨대,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개선, 모공 수축, 피지 분지 억제, 피부 탄력 개선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스타잔틴(astaxanthin)은 인간이 섭취하는 많은 식품에 존재하는 주홍색 또는 밝은 오렌지색의 색소로서, 정상적인 호기적 대사과정 중 발생하는 활성 산소에 의한 세포 내 DNA, 단백질, 지질 등의 손상, 세포 및 조직의 노화와 발암을 유발하는 반응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강력한 생물학적 항산화제로 강한 유리 라디칼(free radical)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므로 지질의 과산화 및 산화적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저밀도 콜레스테롤, 세포막 및 조직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스타잔틴은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는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EGF의 과도한 사용은 암세포의 성장과 이동을 촉진하는 문제가 있어, 안전상의 이유로 그 사용량에 제한이 있는바, EGF를 적은 양을 사용하고도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피성장인자는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마카(Lepidium meyenii Walpers)는 십자화과(Brassic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주로 페루의 안데스 산맥 해발 4,0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재배되는 다년생 식물로 감자와 비슷한 형태인 뿌리부분이 안데스 산맥 주변 토착인들에게 주요한 식량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마카는 추위, 강풍, 가뭄 등 어려운 자연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생명력이 매우 강하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비타민, 무기질, 섬유소 등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가가 높고 알칼로이드, 스테로이드, 탄닌, 사포닌 등의 다양한 생리기능성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카는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병풀(Centella asiatica)은 말굽풀, 조개풀이라고도 불리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원산지는 아프리카 동부의 Madagascar섬이며 해열제, 피부궤양, 외상치료, 결핵, 원형탈모증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병풀은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호장근(Polygonum Cuspidatum)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예로부터 황달, 이질, 이뇨, 거풍, 월경불순, 간염, 골수염 등 치료를 위한 약재로 사용되어왔으며, 호장근의 뿌리는 활성 산소를 차단하여 피부 세포를 보호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멜라닌 색소의 형성을 돕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막아 멜라닌 색소가 침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맑은 피부 톤 유지 및 개선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호장근은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스타잔틴은 천연물로부터 추출하거나, 또는 시판하는 것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표피성장인자는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에 결합하여 다양한 세포의 증식, 분화 및 생존을 조절하는 성장인자 중 하나이다. 특히, 각질 세포의 증식과 세포이동을 촉진하여 재상피화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상처치료에 탁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휴먼 올리고펩타이드-1(Human Oligopeptide-1)로 알려진 nano EGF(Epidermal Growth Factor/1ppm)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마카, 병풀, 호장근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로는 C1-C4 알코올,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핵산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1-C4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천연물의 추출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추출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을 사용하여 1회 이상 실시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는 유용 성분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9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한 다음 통상의 정제과정을 통해 더 정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정제를 할 수 있다. 또한, 감압 증류, 동결 건조 및 분무 건조 등과 같은 건조 과정을 통해 분말 상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스타잔틴과 표피성장인자의 조합과, 마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가지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스타잔틴과 표피성장인자 및 상기 복합 추출물은 1:0.15-6:0.15-6의 중량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의 상한치를 초과하거나 하한치 미만인 경우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낮을 수 있으며,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각 유효성분 간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되어 우수한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개선효과를 갖고, 제형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마카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1:0.2-5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의 상한치를 초과하거나 하한치 미만인 경우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낮을 수 있으며,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각 유효성분 간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되어 우수한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개선효과를 갖고, 제형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마카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1:0.2-5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의 상한치를 초과하거나 하한치 미만인 경우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낮을 수 있으며,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각 유효성분 간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되어 우수한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개선효과를 갖고, 제형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병풀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1:0.2-5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의 상한치를 초과하거나 하한치 미만인 경우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낮을 수 있으며,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각 유효성분 간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되어 우수한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개선효과를 갖고, 제형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마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1:0.15-6:0.15-6의 중량비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의 상한치를 초과하거나 하한치 미만인 경우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낮을 수 있으며,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각 유효성분 간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되어 우수한 항산화능,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및 여드름 개선효과를 갖고, 제형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도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등록된 화장품 원료 리스트 및 ICID(국제화장품원료집)에 등재되어 있는 성분을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증제, 보습제, pH 조절제, 유화제, 색소, 향료, 방부제 또는 용제 중에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보머, 아크릴레이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잔탄검 및 셀룰로오스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우레아 및 트레할로스(trehalos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연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말산, 푸마르산, 말레산, 글리콜산 등의 유기산, 염산, 황산, 인산, 질산 등의 무기산, 이들 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암모늄염, 및 알지닌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트리에탄올아민, 소듐클로라이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화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피이지-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인 트윈 20과 친유성 계면활성제인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색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및 무기 색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운모, 합성운모, 견운도, 카올린, 이산화티탄, 산화티탄 피복 운모, 알루미늄 파우더, 황산화철, 흑산화철, 황산바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메칠파라벤(Methylparaben), 에틸파라벤 또는 프로필파라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수, 에탄올, 사이클로메치콘 또는 디메치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 이외에도 항산화, 피부 미백, 주름 재선,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진 공지의 천연 추출물이나, 비타민 유도체 또는 금속이온봉쇄제 등을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과 레이저 시술 후 또는 여드름 부위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시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안정성이 우수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사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제조예 : 복합 추출물의 제조
(1) 마카 건조 분말 100 g에 추출용매(70% 에탄올)를 넣어 60℃에서 90분간 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 제거 후 동결 건조시켜 분말화된 마카 추출물을 얻었다.
(2) 병풀 건조 분말 100 g에 추출용매(70% 에탄올)를 넣어 60℃에서 90분간 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 제거 후 동결 건조시켜 분말화된 병풀 추출물을 얻었다.
(3) 호장근 건조 분말 100 g에 추출용매(70% 에탄올)를 넣어 60℃에서 90분간 추출 후 감압 여과하였으며,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 제거 후 동결 건조시켜 분말화된 호장근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마카 추출물과 아스타잔틴 항산화 활성 측정 실험
마카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비타민 E와 같은 항산화제를 비교 샘플로 하여 DPPH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Trolox와 같은 항산화제를 비교 샘플로 하여 ABTS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DPPH ABTS
에탄올 대조군 98.4 98.6
마카 추출물 92.7 93.7
아스타잔틴 93.9 94.2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DPPH) radical 소거능 측정은 안정한 free radical 화합물인 DPPH를 기질로 하여 시료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며, 517nm에서 광흡수를 나타내는 화합물인 DPPH는 보라색을 띠고 있다. DPPH가 항산화 물질에 의해 전자공여 작용으로 노란색으로 탈색이 되면 흡광도가 감소하고 감소된 흡광도 변화를 이용하여 항산화물질의 활성을 측정한다. 색의 변화가 뚜렷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측정 결과, 마카 추출물이 92.7%, 아스타잔틴이 93.9% 정도의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는 약 98%의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ABTS)는 peroxyl radical이나 산화제에 의해 양이온 radical(ABTS·+)로 산화되며, ABTS radical은 상당히 안정하므로 산화촉진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DPPH radical과 마찬가지로 합성된 radical이나 ABTS radical은 DPPH radical과 달리 물과 유기용매 모두에 용해되므로 극성 시료와 비극성 시료 모두 항산화능 측정이 가능하여 다양한 시료의 항산화능 측정에 사용되며, 734nm에서 광흡수를 나타내는 화합물인 ABTS는 청녹색을 띠고 있다. ABTS radical은 항산화력을 가진 물질로부터 전자를 받아 무색의 물질로 환원시킨다. 측정 결과, 마카 추출물이 93.7%, 아스타잔틴이 94.2% 정도의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는 약 98%의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세포 독성 및 증식 효과 실험
세포배양을 이용하여 마카 추출물과 아스타잔틴의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 방법은 mitochondrial dehydrogenases에 의하여 MTT가 formazan으로 전환되는 것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RAW 264.7 cell 5Х105 cells/ml의 세포를 96-multi well culture plate에 100 μl씩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다음 다양한 농도의 시료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뒤 각 well에 5 mg/ml 농도의 MTT용액을 20 μl씩 넣고 4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생성된 formazan을 DMSO 100 μl에 녹인 후 900 μl의 물과 섞어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독성은 세포만 배양한 무처리군 (control)을 100% 생존률으로 하여 시료 처리군의 상대적인 세포 생존도(cell viability, %)를 계산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들을 농도별 (7.5, 15, 30, 60, 120, 240 μg/ml)로 24시간 처리하였을 때 마카 추출물은 120 μg/ml이하에서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240 μg/ml이상에서는 세포독성이 관찰되었으며, 아스타잔틴 또한 120 μg/ml에서도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240 μg/ml이상에서는 세포독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마카 추출물과 아스타잔틴 모두 세포 무독성이며, 세포 증식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상기 제조예를 통해 수득한 추출물의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기 표 2 내지 표 8과 같이 시료를 혼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정하였다.
시료[함량(중량부)]
실시예 마카 병풀 호장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1-1 150 150 - 100 100
2-1 150 - 150 100 100
3-1 - 150 150 100 100
4-1 150 150 150 100 100
5-1 100 100 100 100 100
시료[함량(중량부)]
실시예 마카 병풀 호장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1-1 150 150 - 100 100
1-2 200 100 - 100 100
1-3 250 50 - 100 100
1-4 275 25 - 100 100
1-5 100 200 - 100 100
1-6 50 250 - 100 100
1-7 25 275 - 100 100
시료[함량(중량부)]
실시예 마카 병풀 호장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2-1 150 - 150 100 100
2-2 200 - 100 100 100
2-3 250 - 50 100 100
2-4 275 - 25 100 100
2-5 100 - 200 100 100
2-6 50 - 250 100 100
2-7 25 - 275 100 100
시료[함량(중량부)]
실시예 마카 병풀 호장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3-1 - 150 150 100 100
3-2 - 200 100 100 100
3-3 - 250 50 100 100
3-4 - 275 25 100 100
3-5 - 100 200 100 100
3-6 - 50 250 100 100
3-7 - 25 275 100 100
시료[함량(중량부)]
실시예 마카 병풀 호장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4-1 150 150 150 100 100
4-2 100 100 100 100 100
4-3 150 75 75 100 100
4-4 200 50 50 100 100
4-5 225 37.5 37.5 100 100
4-6 250 25 25 100 100
4-7 75 150 75 100 100
4-8 50 200 50 100 100
4-9 37.5 225 37.5 100 100
4-10 25 250 25 100 100
4-11 75 75 150 100 100
4-12 50 50 200 100 100
4-13 37.5 37.5 225 100 100
4-14 25 25 250 100 100
시료[함량(중량부)]
실시예 마카 병풀 호장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5-1 100 100 100 100 100
5-2 100 100 100 125 75
5-3 100 100 100 150 50
5-4 100 100 100 175 25
5-5 100 100 100 187.5 12.5
5-6 100 100 100 75 125
5-7 100 100 100 50 150
5-8 75 150 75 25 175
5-9 50 200 50 12.5 187.5
시료[함량(중량부)]
비교예 마카 병풀 호장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1 - - - - -
2 - - - 250 250
3 300 - - 100 100
4 - 300 - 100 100
5 - - 300 100 100
실험예 3: 피부 안전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에 대한 피부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섬유아세포(HDF), 멜라닌형성세포(B16F10), 각질세포(HaCaT)에 대한 MTT assay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1 내지 5-1 및 비교예 2 내지 5의 시료를 정제수에 0, 1, 5, 10, 20, 50 및 100mg/L의 농도별로 각각 현탁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은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모스만(Mosmann)의 방법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섬유아세포(HDF), 멜라닌형성세포(B16F10), 및 각질세포(HaCaT)를 각각 96-웰 플레이트에 1×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37℃, 5% CO2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배지에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반복 세척하였다. MTT를 5mg/mL로 PBS에 녹여 50L 첨가하고 37℃, 5%의 CO2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MSO(Dimethyl sulfoxide)를 한 웰(well) 당 100L 넣고, 10분 동안 교반한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각 시료의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사용된 성분들이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인체 안전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피부진정 효과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진정 효과를 평가하였다. 각 시료를 동일한 조성의 크림으로 제형화하였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만을 달리하였다. 19~26세의 여성 중 자극에 민감성 피부를 가진 45명에 대하여 팔 안쪽 부위에 테이프 스트리핑 법(Tape stripping method)을 통한 피부자극을 유발한 후, 상기 제형화된 실시예 1-1, 2-1, 3-1, 4-2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시료를 매일 2회씩 1개월간 얼굴 및 전반부에 도포하게 하였으며, 따가움, 가려움, 홍조, 홍반 등 사용자의 의견에 따라 개선 정도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1주 2주 3주 4주
실시예 1-1 ++ ++ +++ +++
실시예 2-1 ++ ++ +++ +++
실시예 3-1 ++ ++ +++ +++
실시예 4-2 +++ +++ +++ +++
비교예 1 - - - -
비교예 2 + ++ ++ ++
비교예 3 + ++ ++ +++
비교예 4 + ++ ++ +++
비교예 5 + ++ ++ ++
<평가기준>+++: 매우 양호한 개선 효과가 있음 / ++: 상당한 개선 효과가 있음 / +: 약간의 개선 효과가 있음 / ±: 개선 효과는 없으나 악화되지도 않음 / -: 개선 효과 없고 오히려 약화됨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카, 병풀 및 호장근 추출물 중 두 가지 이상의 조합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1, 실시예 2-1, 실시에 3-1 및 실시예 4-2)는 추출물들을 전혀 포함하지 않거나(비교예 1), 아스타잔틴 및 표피성장인자만을 포함하거나(비교예 2), 마카, 병풀 및 호장근 추출물 중 하나의 추출물과 아스타잔틴 및 표피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시료(비교예 3 내지 5)에 비해 피부진정 효과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피부 탄력 개선 효과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각 시료를 동일한 조성의 크림으로 제형화하였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만을 달리하였다. 온도 24 내지 26℃, 습도 75%의 조건에서 2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평균연령 37세) 50명을 그룹별로 나누고 제형화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크림을 각각 도포하였다. 눈가를 중심으로 하루 2회씩(아침 및 저녁) 12주간 제형화한 크림을 도포하였고, 피부 탄력 측정기(Cutometer MPA580, Conrage + Khazaka사, 독일연방국)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는 cutometer MPA580의 R8(R8(12주)-R8(0주)) 값으로 기재하였고, R8 값은 피부 점탄성(Vi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내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실시예 1-1 0.88
실시예 2-1 0.86
실시예 3-1 0.89
실시예 4-2 0.93
비교예 1 0.22
비교예 2 0.67
비교예 3 0.69
비교예 4 0.66
비교예 5 0.70
양성 대조군(비타민 C) 0.90
상기 표 10에 나타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마카, 병풀 및 호장근 추출물 중 두 가지 이상의 조합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에 1-3 및 실시예 4-2)는 추출물들을 전혀 포함하지 않거나(비교예 1), 아스타잔틴 및 표피성장인자만을 포함하거나(비교예 2), 마카, 병풀 및 호장근 추출물 중 하나의 추출물과 아스타잔틴 및 표피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시료(비교예 3 내지 5)에 비해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한 임상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 질환을 가진 환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임상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시료를 동일한 조성의 크림으로 제형화하였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만을 달리하였다.
임상실험은 10세에서 50세 사이의 아토피에 의한 피부 가려움증 증세가 있는 환자 45명(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4-1, 실시예 4-2 및 비교예 2 내지 5 모두 각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시작 2주 전부터 가려움 치료에 관련된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 계열 약물을 일절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모든 실험 대상자에게는 가려움증이 있는 부위에 1일 3회씩 4주 동안 도포하도록 한 후 1개월 후의 상태를 하기 표 11과 같은 항목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실험 항목 주관적 점수


피부 가려움 개선 효과
a: 매우 개선됨
b: 개선됨
c: 차이가 없음
d: 악화됨
e: 매우 악화됨
매우 개선됨 개선됨 차이가 없음 악화됨 매우 악화됨
실시예 1-1 2명 3명 - - -
실시예 2-1 2명 3명 - - -
실시예 3-1 1명 4명 - - -
실시예 4-1 4명 1명 - - -
실시예 4-2 3명 2명 - - -
비교예 2 - 3명 2명 - -
비교예 3 1명 4명 - - -
비교예 4 - 4명 1명 - -
비교예 5 - 4명 1명 - -
상기 표 12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카, 병풀 및 호장근 추출물 중 두 가지 이상의 조합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에 1-3 및 실시예 4-2)를 사용한 경우,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5의 시료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피부 가려움 증상이 매우 개선 또는 개선되었다고 답한 대상자가 증가하였으며, 또한, 복합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매우 개선 또는 개선되었다고 답한 대상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실시예 4-1 및 실시예 4-2 비교).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유용성분이 피부 가려움증 해소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아토피성 피부염의 감염 증상에 대한 임상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감염 증상에 대한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 질환을 가진 환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임상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시료를 동일한 조성의 크림으로 제형화하였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만을 달리하였다. 임상실험은 10세에서 50세 사이에 아토피에 의한 피부 감염증이 있는 환자 45명(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4-2 및 비교예 2 내지 5 모두 각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시작 2주 전부터 아토피 치료에 관련된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 계열 약물을 일절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모든 실험 대상자에게는 피부 감염증이 있는 부위에 1일 3회씩 4주 동안 도포하도록 한 후 1개월 후의 상태를 하기 표 13과 같은 항목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실험 항목 주관적 점수

아토피 피부 감염증상 개선 효과
a: 매우 개선됨
b: 개선됨
c: 차이가 없음
d: 악화됨
e: 매우 악화됨
매우 개선됨 개선됨 차이가 없음 악화됨 매우 악화됨
실시예 1-1 2명 3명 - - -
실시예 2-1 2명 3명 - - -
실시예 3-1 1명 4명 - - -
실시예 4-1 4명 1명 - - -
실시예 4-2 3명 2명
비교예 2 - 4명 1명 - -
비교예 3 1명 4명 - - -
비교예 4 1명 3명 1명 - -
비교예 5 1명 4명 - - -
상기 표 14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카, 병풀 및 호장근 추출물 중 두 가지 이상의 조합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에 1-3 및 실시예 4-2)를 사용한 경우,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5의 시료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환부에 발생한 지루성 염증이 매우 개선 또는 개선되었다고 답한 대상자가 증가하였으며, 또한, 복합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매우 개선 또는 개선되었다고 답한 대상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실시예 4-1 및 실시예 4-2 비교).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유용성분이 아토피에 의한 피부 감염증상의 개선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여드름 개선 효과에 대한 임상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여드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각 시료를 동일한 조성의 크림으로 제형화하였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만을 달리하였다. 임상실험은 18~25세의 여성 중 여드름을 가진 45명(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4-1, 실시예 4-2 및 비교예 2 내지 5 모두 각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4주간 일상적인 로션과 같은 사용방법으로 사용하도록 한 후의 상태를 하기 표 15와 같은 항목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6에 나타내었다.
실험 항목 주관적 점수


여드름 개선 효과
a: 매우 개선됨
b: 개선됨
c: 차이가 없음
d: 악화됨
e: 매우 악화됨
매우 개선됨 개선됨 차이가 없음 악화됨 매우 악화됨
실시예 1-1 2명 3명 - - -
실시예 2-1 1명 4명 - - -
실시예 3-1 1명 4명 - - -
실시예 4-1 3명 2명 - - -
실시예 4-2 2명 3명 - - -
비교예 2 - 3명 2명 - -
비교예 3 - 4명 1명 - -
비교예 4 - 3명 2명 - -
비교예 5 - 4명 1명 - -
상기 표 15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카, 병풀 및 호장근 추출물 중 두 가지 이상의 조합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에 1-3 및 실시예 4-2)를 사용한 경우,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5의 시료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여드름 증상이 매우 개선 또는 개선되었다고 답한 대상자가 증가하였으며, 또한, 복합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매우 개선 또는 개선되었다고 답한 대상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실시예 4-1 및 실시예 4-2 비교).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유용성분이 여드름 증상 개선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9: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에 대하여 피부 염증 발생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는 NO의 생성 억제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쥐의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을 10% FBS DMEM 배지로 배양하고 24-웰 플레이트에 4×105 cell/well로 분주하여 5% CO2 항온항습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와 Methylarginine(LNMMA)를 각각 함유한 FBS free DMEM을 처리하고 30분 후 lipopolysaccharide(LPS)로 NO를 유발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NO assay kit를 이용하여 LPS 처리 대비 시료의 NO 양을 계산하여 NO 생성 억제율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구분 농도(ppm) NO 생성 억제율(%)
실시예 1-1 10 71.9
실시예 1-2 10 75.4
실시예 1-3 10 75.8
실시예 1-4 10 72.1
실시예 1-5 10 69.9
실시예 1-6 10 67.4
실시예 1-7 10 66.6
실시예 2-1 10 70.7
실시예 2-2 10 72.9
실시예 2-3 10 73.8
실시예 2-4 10 70.9
실시예 2-5 10 68.9
실시예 2-6 10 67.2
실시예 2-7 10 64.7
실시예 3-1 10 70.3
실시예 3-2 10 72.1
실시예 3-3 10 72.9
실시예 3-4 10 70.8
실시예 3-5 10 68.1
실시예 3-6 10 65.9
실시예 3-7 10 63.4
실시예 4-1 10 88.8
실시예 4-2 10 80.9
실시예 4-3 10 80.3
실시예 4-4 10 78.8
실시예 4-5 10 78.2
실시예 4-6 10 77.9
실시예 4-7 10 76.7
실시예 4-8 10 75.3
실시예 4-9 10 75.0
실시예 4-10 10 73.7
실시예 4-11 10 73.4
실시예 4-12 10 72.0
실시예 4-13 10 71.5
실시예 4-14 10 71.1
실시예 5-1 10 81.7
실시예 5-2 10 79.9
실시예 5-3 10 78.2
실시예 5-4 10 72.8
실시예 5-5 10 72.0
실시예 5-6 10 80.3
실시예 5-7 10 79.1
실시예 5-8 10 73.5
실시예 5-9 10 72.2
비교예 2 10 58.7
비교예 3 10 62.1
비교예 4 10 61.2
비교예 5 10 61.0
LNMMA 10 49.3
상기 표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카, 병풀 및 호장근 추출물 중 두 가지 이상의 조합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에 1-3 및 실시예 4-2)는 대표적인 NO 생성 저해물질인 LNMMA 대비 현저하게 우수한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5의 시료에 비해서도 우수한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는바, 항염 효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복합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실시예 4-1 및 실시예 4-2 비교), NO 생성 억제율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마카, 병풀 추출물의 조합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시료의 경우(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7), 마카와 병풀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 모두에서 우수한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4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우수하였고, 그 중에서도 실시예 1-2 및 실시예 1-3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마카, 호장근 추출물의 조합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시료의 경우(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7), 마카와 호장근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 모두에서 우수한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4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우수하였고, 그 중에서도 실시예 2-2 및 실시예 2-3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병풀, 호장근 추출물의 조합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시료의 경우(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7), 병풀과 호장근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 모두에서 우수한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3-1 내지 실시예 3-4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우수하였고, 그 중에서도 실시예 3-2 및 실시예 3-3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마카, 병풀, 호장근 추출물의 조합과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시료의 경우(실시예 4-1 내지 실시예 4-14), 마카, 병풀, 호장근 추출물을 혼합한 조성 모두에서 우수한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대부분의 경우 마카, 병풀 및 호장근 중 두 가지를 조합한 경우(실시예 1 내지 3)보다 NO 생성 억제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실시예 4-1 내지 4-3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마카, 병풀, 호장근 추출물의 조합을 포함하되, 아스타잔틴와 표피성장인자의 혼합 조성을 달리한 시료의 경우(실시예 5-1 내지 5-9)에도, 모든 조성에서 우수한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5-1 내지 5-3 및 실시예 5-6 내지 5-7의 경우 NO 생성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형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마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두 가지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복합 추출물을 1:0.15-6:0.15-6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카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1:0.2-5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카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1:0.2-5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1:0.2-5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1:0.15-6:0.15-6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피부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염증 또는 여드름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32718A 2022-03-16 2023-03-13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355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32486 2022-03-16
KR1020220032486 2022-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528A true KR20230135528A (ko) 2023-09-25

Family

ID=8819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718A KR20230135528A (ko) 2022-03-16 2023-03-13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55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83500A (zh) * 2024-01-19 2024-04-16 广州腾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抗炎活性成分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83500A (zh) * 2024-01-19 2024-04-16 广州腾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抗炎活性成分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0790A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61803B1 (ko)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43655A (ko)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0878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35528A (ko) 아스타잔틴, 표피성장인자 및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0571B1 (ko)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5467B1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30031988A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82177A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6563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2525901B1 (ko) 지면패랭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169463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256175A (ja) 化粧料組成物
KR20210113490A (ko)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9B1 (ko)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101028238B1 (ko) 자작나무, 상지 및 설강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449345B1 (ko)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2628074B1 (ko) 꿩의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817242B1 (ko) 갯방풍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56457B1 (ko) 리포익산이 다량 함유된 천연물 유래의 미백 조성물